KR960006305Y1 - 스프링 클램프 - Google Patents

스프링 클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6305Y1
KR960006305Y1 KR2019930019766U KR930019766U KR960006305Y1 KR 960006305 Y1 KR960006305 Y1 KR 960006305Y1 KR 2019930019766 U KR2019930019766 U KR 2019930019766U KR 930019766 U KR930019766 U KR 930019766U KR 960006305 Y1 KR960006305 Y1 KR 96000630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ing clamp
bolt
recessed
nut
semicircul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1976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09283U (ko
Inventor
김은석
Original Assignee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김태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김태구 filed Critical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30019766U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6305Y1/ko
Publication of KR95000928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928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630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6305Y1/ko

Links

Landscapes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스프링 클램프
제1도는 종래 스프링클램프의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스프링클램프의 사시도
제3도의 (a), (b)는 본 고안의 정면작동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스프링클램프 22a, 22b : 외향절곡단
23a, 23b : 요입면 26a 28a : 가압면
26 : 너트 28 : 패스너
24a, 24b, 28b : 볼트관통공 26b : 나사공
30 : 내경조절볼트
본 고안은 스프링클램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프링클램프에 딸린 나사의 조임에 의해 스프링클램프가 확경되도록 하여 별도의 전용확경공구없이 범용공구로 편리하게 사용하는데 적합하도록 한 스프링클램프에 관한 것이다.
종래 스프링클램프는 첨부도면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탄성띠강판을 원형형태로 말아 호스협지부(10)를 형성하고, 탄성와이어의 양끝단부가 서로 마주보는 ㅂ향으로 상향절곡하여된 공구클램핑부(12)로 구성된 것으로, 사용시에 이 스프링클램프(14)의 내경을 확대시킬 수 있도록 스프링클램프(14) 확경전용공구를 사용하여 스프링클램프(14)의 공구클램핑부(12)를 물고 압력을 가하여 스프링클램프(14)의 호스협지부(10)를 스프링백(Springback) 이내로 확경시켜 호스협지부(10)의 내부로 클램핑할 호스(S)를통과시킨 다음 스프링클램프(14)로부터 확경전용공구를 이탈시키면 스프링클램프(14)의 탄성복귀력에 의해 호스(S)를 압압하여 영구히 클램핑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스프링클램프(14)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상기와 같은 전용공구가 필요하게 되며 이 전용공구의 부피가 다소 크게되어 있어 작업공간이 협소한 장소 특히 자동차의 엔진룸과 같이 복잡하고 좁은 공간에서는 작업에 제한을 받는다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전용공구가 현장에 없거나 분실될 경우에는 클램핑작업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들을 해소하고자 안출한 것으로, 드라이버나 플라이어, 너트드라이버 등의 범용공구를 사용하여 설치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협소한 작업공간에서도 설치가능한 나사붙이 스프링클램프를 제공하고자하는 데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서는 탄성체를 원형태로 말아 양단부가 서로 교차되도록 하고, 교차된 양단부가 외향절곡단을 형성하여된 스프링클램프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클램프의 양측 외향절곡단에 서로 대향되는 방향으로 단면이 반원형인 요입면을 형성하며 요입면 중앙에는 볼트관통공을 형성하고, 이 양측 요입면에 밀착되도록한 너트 및 패스너의 가압면을 각각 반원형으로 형성하여 상기 요입면에 밀착되어 유동되도록 하되, 패스너의 중앙에는 볼트관통공을 형성하고, 너트의 중앙에는 나사공을 형성하여 상기 스프링클램프의 요입면에 패스너와 너트를 밀착시켜 스프링클램프의 내경을 확대 또는 축소시키기 위한 내경조절 볼트을 패스너의 볼트관통공을 통해 관통시켜 너트의 나사공에 나사결합시킨 스프링클램프가 제공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도면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탄성체를 원형태로 말아 양단부가 서로 교차되도록 하고, 교차된양단부에 외향절곡단을 형성하여된 스프링클램프에 있어, 상기 스프링클램프(20)의 양측 외향절곡단(22a), (22b)에 서로 대향되는 방향으로 단면이 반원형인 요입면(23a), (23b)을 형성하며, 그 요입면(23a), (23b) 중앙에는 볼트관통공(24a), (24b)을 형성하고, 이 양측 요입면(23a), (23b)에 밀착되도록한 너트(26) 및 패스너(28)의 가압면(26a), (28a)를 각각 반원형으로 형성하여 상기 요입면(23a), (23b)에 밀착되어 유동되로록 하되, 패스너(28)의 중앙에는 볼트관통공(28b)을 형성하고, 너트(26)의 중앙에는 나사공(26b)을 형성하여 상기 스프링클램프(20)의 요입면(23a)(23b)에 패스너(28)와 너트(26)를 밀착시켜 스프링클램프(20)의 내경을 확대 또는 축소시키기 위해 내경조절 볼트(30)를 패스너(28)의 볼트관통공(28b)을 통해 관통시켜 너트(26)의 나사공(26b)에나사결합시켜된 특징을 갖는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서 상기 너트(26)와 패스너(28)의 양단에는 좌, 우로의 이탈이나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한 단턱(26c), (28c)을 형성한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21)는 클램핑부, (S)는 호스이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한다.
첨부도면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체결하고자 하는 각종 호스(S)의 직경에 맞춘 스프링클램프(20)가 초기상태에는 호스(S)의 직경보다 큰 직경으로 확경되어 출하되는데 이 상태에서 작업자가 스프링클램프(20)의 클램핑부(21)를 체결하고자 하는 호스(S)에 끼우고 스프링클램프(20)에 부착된 내경조절볼트(30)를 드라이버나 플라이어등의 범용공구를 사용하여 클램핑부(21)가 축소되는 방향으로 조작하게되면 이와 동시에 스프링클램프(20)의 탄성복귀력에 의해 내경이 점차적으로 축소되며 스프링클램프(20)가 체결호스(S)를 강하게 가압하게 되고 이 상태에서 내경조절볼트(30)의 조작을 멈추어 클램핑작업을 종료하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고안을 적용하게 되면, 별도의 스프링클램프용 전용공구가 필요치 않게 되므로 클램핑작업이 간단하게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자동차의 엔진룸에서와 같은 협소한 장소에서도 적은 힘을 들여 간단하게 작업을 할 수 있으므로 작업성이 매우 뛰어난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정정) 탄성체가 링형태로 구부려진 상태에서 그 양단부가 서로 교차되고, 교차된 양단부에는 서로 대향되는 방향으로 단면이 반원형인 요입면(23a), (23b)이 형성되고, 그 요입면(23a), (23b) 중앙에는 볼트관통공(24a), (24b)이 형성된 구조의 외향절곡단(22a), (22b)이 구비되며, 상기 외향절곡단(22a), (22b)상의 볼트관통공(24a), (24b)에는 내경조절 볼트(30)가 끼워져 결합되는 한편, 상기 일측 요입면(23b)에는 내측면에 반원형의 가압면(28a)이 형성되고 중심부에 볼트관통공(28b)이 형성된 패스너(28)가 끼워져 결합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스프링클램프(20)에 있어서, 상기 외향절곡단(22a), (22b)상의 일측 요입면(23a)에 끼워지는 너트(26)의 내측면에 상기 요입면(23a)과 동일한 곡률반경을 갖는 반원형의 가입면(26a)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클램프.
KR2019930019766U 1993-09-27 1993-09-27 스프링 클램프 KR96000630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19766U KR960006305Y1 (ko) 1993-09-27 1993-09-27 스프링 클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19766U KR960006305Y1 (ko) 1993-09-27 1993-09-27 스프링 클램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9283U KR950009283U (ko) 1995-04-19
KR960006305Y1 true KR960006305Y1 (ko) 1996-07-23

Family

ID=193646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19766U KR960006305Y1 (ko) 1993-09-27 1993-09-27 스프링 클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630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9240Y1 (ko) * 2015-01-05 2016-01-07 박희철 에어로켓 발사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9240Y1 (ko) * 2015-01-05 2016-01-07 박희철 에어로켓 발사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9283U (ko) 1995-04-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23262A (en) Universal mudguard flap and clamp for motor vehicles
US5339500A (en) Holding clamp for connecting sheets having different expansion characteristics
EP0704033A1 (en) A method and a fastening device for determining the position of a pipe, a hose or a similar element
KR960006305Y1 (ko) 스프링 클램프
US7581753B2 (en) Retaining clamp
US5580180A (en) One-piece stamped clamp yoke
US4100833A (en) Blind fastener
US5144726A (en) Clamp having a reserve of capacity
JP3272904B2 (ja) 締付具と自在支持装置
JP3041544U (ja) パイプ支持具
KR100321614B1 (ko) 호스 체결용 클램프
US3208122A (en) Fasteners
JPH0140268Y2 (ko)
JPH10299749A (ja) 一体型シールワッシャ
JP3839803B2 (ja) 自動車用マフラーの出口位置決め調整装置
JPH1073193A (ja) ホースクランプ
JPH021587Y2 (ko)
JP4265185B2 (ja) 配管固定具
KR200257855Y1 (ko) 체결밴드
JPH02137443U (ko)
CN214818189U (zh) 一种螺丝辅助安装工具
JPH07310874A (ja) フランジにおけるガスケット固定装置および固定方法
JPH0139992Y2 (ko)
JP3329874B2 (ja) コンプレッサのリード線固定構造
JPS61206810A (ja) 空圧または油圧シリンダのピストン位置検知器の取付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