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6056B1 - 전기기계용 코일의 와인딩장치 - Google Patents

전기기계용 코일의 와인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6056B1
KR960006056B1 KR1019920016463A KR920016463A KR960006056B1 KR 960006056 B1 KR960006056 B1 KR 960006056B1 KR 1019920016463 A KR1019920016463 A KR 1019920016463A KR 920016463 A KR920016463 A KR 920016463A KR 960006056 B1 KR960006056 B1 KR 9600060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ing
gripper
former
wire
carr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164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08886A (ko
Inventor
자디쿠 자딕
Original Assignee
스타토마트 슈페찌알마쉬넨 게엠베하
클라우스 잔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타토마트 슈페찌알마쉬넨 게엠베하, 클라우스 잔츠 filed Critical 스타토마트 슈페찌알마쉬넨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9300088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88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60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605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4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of windings, prior to mounting into machines
    • H02K15/0435Wound windings
    • H02K15/0442Loop wind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nufacture Of Motors, Generators (AREA)
  • Replacement Of Web Roll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기기계용 코일의 와인딩장치
제 1 도는 하나의 유닛을 형성하는 길이 드로잉 및 컷팅장치를 가지는 전기 기계용 코일의 와인딩장치의 개략 측면도.
제 2 도는 결합된 길이 드로잉 및 컷팅장치가 대안으로 적용되어지는 여러위에서 도시되어 있는 제 1 도에 따른 장치상에서의 평면선도.
제 3 도는 길이드로잉 장치의 그리퍼에 있는 클램핑죠오의 개략 측면도.
제 4 도 내지 제 6 도는 제 3 도에 따른 그리퍼상에서 개방위치, 와이어의 느슨한 안내를 위한 중간위치 그리고 그 와이어가 잘려지는 클램프된 위치의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형성기 12 : 와인딩 노즐
14 : 스트리퍼 16 : 리시버
18 : 그리퍼 19 : 캐리어
20 : 슬라이드 22, 30 : 전기모터구동자
24 : 캐리어 헤드요소 28 : 가이드
32 : 캐리어 베이스요소 54,56 : 클램핑죠오
60, 62 : 돌출부 68,72 : 와이어 디플렉터
70,74 : 스프링
본 발명은 전기기계용 코일의 와인딩 및 코일의 그룹을 형성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그 장치는 와인딩형성기, 외인딩중에 상기 형성기에 상대적으로 회전하고 그 회전경로상에서 여러 정해진 각도진위치에서 멈출 수 있는 와이딩 노즐, 축에 평행한 슬롯을 가지고 있고 형성기에 맞물려지는 리시버, 형성기로부터 리시버의 슬롯내로 코일부를 미끄러지게 할 목적으로 형성기에 대해서 축방향으로 미끄러질 수 있는 스트리퍼, 캐리어의 제어가능한 드라이버에 의해 형성기에 대해서 축방향으로 그리고 방사상으로 이동가능하고, 코일의 그룹화 또는 코일의 와인딩 전과 후에 선택적으로 와이어를 느슨하게 하거나 와이어를 고정하게 하며, 와인딩 과정 개시단계에서의 하나 또는 여러 와인딩 개시위치와 와인딩 과정 종료후에 와이어가 와인딩 노즐과 그리퍼(18) 사이에서 축방향 상대운동에 의해 그리프(18)내로 도입될 수 잇는 그리핑위치 사이에서 리시버의 방사상 외부면적에 와인딩중의 외부쪽통로를 따라 이동가능한 축방향으로 나타나는 그리프(18)형성기와 그리퍼 사이에서 와이어를 컷팅하기 위한 컷팅장치로 구성되어 있다.
그런 장치는 예를들면, DE-A1-30 24 219에 기술되어 있다.
다른 유사한 장치도 역시 상 특허에 언급되어 있다.
이런것들의 모든것은 선택적으로 느슨한 안내 또는 와이딩 와이어의 견고한 체결을 위한 그리퍼를 가진 소위 길이 드로잉 장치라는 것이 연속적으로 수행되는 와인딩과정 전, 후 및 그 사이에 부착되는 것에 일반적이고 특히, 특정한 와인딩 생산시 형성기 다음에 각기 배치된 특정한 위치에서 보극연결부를 생산하며, 이로서 2차원적으로 또는 3차원적으로 이동가능한 그리퍼가 비록 형성기의 한 측면상에만 있고 반대측면상에 없는 것이 원칙이라 할지라도 복수의 설정된 위치로 사실상 접근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그리퍼의 편리한 또는 필요한 작동위치가 와인딩 작업에 따르고 어떤 경우에도 하나의 측면상에서 그리고 다른 경우에 대향 측면상에서 놓여짐에 따라 만일 리시버의 와인딩 및 지시 방향이 역으로 된다면 공지된 장치는 와인딩 작업이 변화할 경우에 길이 드로잉장치가 형성기 다음에 또다른 위치로 자주 탈착 및 재장착되고 재조정되어져야만 한다는 불편함을 가지고 있다.
그러한 변경은 특정한 수의 코일 또는 코일그룹의 와인딩후 와인딩 와이어가 컷팅장치에 의해 잘려지고 컷팅장치는 와인딩 작업에 따라 다시 자리잡아야 한다는 사실에 의해 복잡하게 된다.
결국, 특정길이의 와이어 단부도 역시 공지장치를 이동한 리시버 다음의 특정한 위치에 고정될 수 없으므로 그 와이어 단부가 더 작동되도록 기계적으로 믿을 만하게 기능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변경시기 필요없고 비생산 시간이 짧아지고 최대 가용성이 다양한 와인딩 작업시에 성취된다는 초기에 인용된 종류의 장치를 만들어 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은 그리퍼 다음에 컷팅장치가 그 그리퍼의 캐리어에 장착되고 그리퍼와 컷팅장치로 구성되는 유닛이 형성기의 한 측면상의 위치로부터 형성기의 대향하는 측면상의 위치까지 캐리어의 제어가능한 운동에 의해 이동가능하게 된다는 점에서 본 발명에 의해 해결된다.
새로운 장치는 와인딩 페라미터 예를 들며, 형성기 형상 및/또는 폭, 와인딩 노즐의 회전경로, 리시버의 와인딩 방향 및 지시방향이 더이상 길이드로잉장치와 컷팅장치에 대한 변경작동을 복잡하게 하고 지연시키지 않는다는 잇점을 제공하는 것이다.
단지 또다른 이동 프로그램이 그리퍼에 대해 명시되어지면 된다.
하나의 단계에서 상기 그리퍼는 형성기의 한쪽에서 다른쪽가지 움직일 수 있으며, 인덱싱동안 종속구동될 수 있다는 것이다.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코일이 감겨질 준비를 한 후 상기 그리퍼는 보극 연결부의 형성을 위한 것과 같이 정확하게 와인딩 노즐과 형성기 사이에서 와인딩 와이어를 유지할 수 있고, 상기 단부가 그리퍼에 의해서 원하는 길이로 와인당 노즐 밖으로 당겨진 후, 와인딩 와이어는 그리퍼의 클램핑표면 다음에 오른쪽이 잘려질 수 있으며, 원한다면 리시버 다음의 어떤 위치내에 자리잡아 고정되어질 수도 있다.
실제적인 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캐리어가 호를 따라 형성기에 대해 이동가능하게 되는 형상이 바람직하다.
또한, 형성기의 반대쪽으로 서로 직각으로 세워지는 좌표를 따르는, 즉 u-형상경로를 따르는 캐리어 이동이 이루어질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u-형상통로를 따를 경우에 그 제어시스템은 특히 만일 리시버가 분할될때 그리퍼가 종속회전되어진다면 더 복잡하게 된다.
그리퍼를 위한 특히 간단한 자지 장치는 상기 그리퍼가 슬라이드 상에 장착되고 상기 슬라이드가 와인딩 노즐의 회전축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축에 대해 회전식으로 장착되고, 와인딩 노즐의 회전축에 수직으로 놓인 축에 대하여 경사지게 될 수 있으며 그리고 상기 경사 가능한 축에 가로질러 미끄러질 수 있다는 사실로부터 기인한다.
회전 및 경사운동 그리고 미끄럼 운동은 제어장치에 의해 제어가능하게 된다. 신속히 처리하기 위해서 그리퍼 그 자체는 서로 향하여 뽀족하게 배열되는 돌출부를 가지는 입구측면상에 배열되지만 어긋나는 두개의 클램핑 죠오를 가진다.
그것은 와인딩 와이어가 돌출부사이 및 돌출부를 통하여 그리퍼내로 도입되어질 수 있는 완전개방위치, 와이어가 그리퍼내에 걸려지나 단지 느슨하게 안내되도록 부분적으로 겹치는 돌출부를 가지는 중간 위치, 그리고 와이어가 압착된 클램핑죠오 사이에서 견고히 고정되는 마지막 클램핑 위치인 3개의 위치를 가정할 수 있다.
그리퍼에 연결되는 컷팅장치는 컷팅 모서리가 클램핑죠오 다음에 배열되고, 상기 컷팅 모서리가 비효율적으로 후퇴 또는 덮임위치로부터 컷팅, 결합 위치까지 이동가능하게 되는 그런형태로 바람직하게 실행된다.
이러한 것은 컷팅 모서리를 위한 컷팅 맞물림하게 하는 특정한 구동을 통하여 일어날 수 있고, 컷팅모서리는 하나 또는 두개의 컷팅 모서리를 이동시키는 구동에 의해 클램핑 운동시 클램핑 구동에 의해 집중되어 진다.
그러나, 다른한편 한번의 구동은 컷팅 모서리의 상대운동시키고 집중시에 탄성을 가진 중간부재를 경유하여 먼저 클램핑죠오를 종속구동한다는 점에서 클램핑운동과 컷팅운동을 한다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제적인 실시예는 도면을 참고로 하기에서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 1 도에 도시된 와이딩 장치는 예를 들면, DE-A1-28 08 048 및 DE-A1-30 24 219에서 도시되고 기술된 바와같이 종래의 구조를 가진다.
그것은 비회전성이나 축방향으로 미끄러지게 안내된 형성기로 구성되고 형성기상에서의 코일의 회전 와인딩 노즐(12)에 의해 감겨진다.
코일부는 지시된 스트리퍼(14)에 의해 아래로 미끄러지고 형성기(10)로부터 크라운 형상의 로드로 구성되는 리시버(16)에 수용된다.
예시한 실시예에서 대응하는 많은수의 동심원 코일은 여러단계 또는 챔버로 형성된 형성기(10)상에서 방해없이 연속적으로 감겨지고 리시버(16)에 배치된다.
순차적으로 리시버(16)는 회전되고 예를들면, 90°그리고 다음 그룹의 동심원 코일은 와이어를 방해하지 않고서 형성기(10)상에서 만들어지고 그리고 다시 리시버(16)에 이송된다.
이 과정은 두번 더 반복되어서 결국 4그룹의 동심원 코일이 각각 90°어긋나게 되어 리시버(16)에 걸려진다.
근접한 그룹들 사이의 코일 연결부는 보극 연결부로 지정된다.
고정자 플레이트팩 및 코일부의 치수와는 별도로 그들의 길이는 연속적인 코일부의 와이딩 방향 그리고 리시버(16)의 분할 운동 방향에 의존한다.
상기 리시버는 코일부가 고정자 플레이트팩내로 곧바로 삽입가능하다는 것에 의해 삽입도구일 수 있고 또는 그 코일부가 삽입도구상으로 이송되어지는 것에 의해 이송도구일 수도 있다.
와인딩 및 미끄러지는 과정이 상세하게 알려져 있기 때문에 더이상 이것을 논할 필요는 없다.
단지 동심원 코일 그룹의 와인딩동안, 종래의 방법의 방법대로 와인딩노즐(12)의 리시버(16)의 자유단부 상부에 일정한 와인딩 수준으로 긴밀히 회전하고 반면에 형성기(10)는 한단계에서 각 정해진수의 와이어 와인딩의 생산후에 리시버(16)내로 낮추어진다.
다음 단계로 와인딩하는 동안 잔동 스트리퍼(14)는 대부분의 와이어 와인딩을 형성기(10)를 벗어나서 미끄러지게 하므로써 리시버(16)의 로드사이로 떨어지게 된다.
형성기(10)로부터 최상부인 가장 큰 형성단계로 가장 나중까지 남아있는 와이어 와인딩을 미끄러지게 하기 위해서, 와인딩 노즐(12)이 멈춘 후에 스트리퍼(14)는 리시버(16)의 로드의 자유단을 하강시키기 위해서 비교적 작은 행정을 수행하고 스트리퍼가 그 수준에서 머무르는 동안에 또는 그 위치로부터 먼저 좀더 낮춰지고 그런 다음 다시 위로 당겨지며, 형성기(10)는 가장 낮고 가장 작은 형성기 단계가 리시버(16)상부에 대부분 다시 위치하게 되는 초기위치인 윗쪽으로 올라가게 된다.
와인딩노즐(12)은 아래로 향한 스트리퍼(14)의 상기 행정에 참여하고, 스트리퍼(14)의 위로 향한 후퇴와 동시에 형성기(10)가 리시버(16)로부터 당겨지게 된 후 와인징 수준으로 다시 복귀한다.
보극 연결부를 통하여 접합된 동심원 코일부에 제 1 그룹의 와인딩 초기와 다음의 코일부의 와인딩 초기에, 그 와인딩 와이어는 와인딩노즐(12)이 가장 낮은 형성기 단계에서 여러 와이어 와장딩부를 만들 때 까지 그 와인딩 수준 바로 다음으로 또는 그리퍼(18)에 의해 견고히 체결되어지며, 형성기(10)의 표면상의 마찰은 형성기노즐(12)로부터 와이어를 당기기에 충분하게 된다.
그러나, 기존의 방식에 있어서는, 상기 그리퍼(18)는 각 와인딩 과정의 초기에서 일시적으로 견고히 와이어를 고정시키는 기능을 가지고 있을 뿐 아니라 다양한 보극 연결부와 코일의 외부 연결단부에 대해 각지 필요한 길이에 대응하는 소정길이의 와이어를 만들어낼 목적을 갖는다.
와인딩 와이어가 와인딩노즐(12) 및/또는 스트리퍼(14)의 하강운동에 의해 상기 그리퍼내로 도입되어진 후 상기 와인딩 와이어는 안내 구멍안으로 밀폐된 상태 즉, 와이어 둘레에 느슨하게 붙잡아지는 상태 또는 와인딩노즐(12) 및/또는 형성기(10)의 어떤 운동시 클램프된 상태로 유지되어야만 하고, 또는, 형성기가 다음 와인딩운동을 시작하거나 와이어가 잘려지기에 앞서, 와인딩 노즐(12)의 밖으로 특정한 길이를 당겨지도록 하기 위해서 그 자체의 어떤 운동을 수행해야만 한다.
일반적으로, 와인딩노즐(12) 밖으로 특정한 와이어길이가 당겨짐은 상기 그리퍼가 와인딩노즐(12) 및 형성기(10)에 상대적인 운동을 수행한다는 점에서 와이어 둘레를 느슨하게 붙잡고 안내하는 반폐쇄된 그리퍼(18)에 영향을 받게 된다.
그러나, 어떤 길이의 와이어는 와인딩노즐의 축방향, 및/또는 회전운동으로, 예를들면, 와이어를 고정하는 정치그리퍼(18)와 함께 밖으로 당겨진다.
한편, 매우 짧은 보극연결부를 얻기 위해서 회전방향으로 리시버(16)의 분할이 있을 때 와이어가 견고히 고정되는 상태로 그리퍼(18)를 종속안내하는 것이 좋다.
실시예에 도시된 장치의 경우에 있어서, 그리퍼(18)는 "19"로 표시된 캐리어 상에, 사실상은 슬라이드(20)상에 장착되고, 그 슬라이드(20)는 수평축(26)에 대해 캐리어 헤드요소(24)에 상대적인 분할 가능한 전기모터구동자(22)에 의해 경사가능하고 가이드(28)을 따라 상기 수평축으로 가로질러 미끄러질 수 있다.
캐리어 헤드요소(24)는 직각으로 경사축(26)에 교차하는 수직축(34)에 대하여 캐리어 베이스요소(32)에 대해서 전기모터구동자(22)에 의해 회전가능하다.
캐리어(19)는 리시버(16)에 맞물리지 않는 형성기(10)의 부분에 대하여 호형태로 반원형으로 연장되는 프레임(38)상의 가이드(36)를 따라 미끄러지면서 안내되고, 그로인하여 호의 중앙점은 와인딩노즐(12)의 회전중심과 일치하게 된다.
180°로 연장되는 호형상 가이드(36)는 그리퍼(18)를 제 2 도에 따른 형성기(10)의 대향하는 측면상에 위치되게 한다.
호형상 가이드(36)를 따라 캐리어(19)를 이동하기 위해서, 반원기어링(40)은 호형가이드에 동심원적으로 연장되는데, 그 가이드안에 제어가능한 전기모터(42)에 의해 구동되어지며 캐리어(19)상에 장착된 기어링 피니언(44)이 들어오게 된다.
제 2 도에 따른 평면도에서, 캐리어(19)는 기본위치의 오른쪽에 실선으로 도시되어지고, 그 위치는 리시버(16) 및 와인딩노즐(12)의 회전축을 통하여 연장되는 수준에 놓인다.
만일 예를들어 와인딩이 반시계방향으로 실행되고 리시버(16) 역시 반시계 방향으로 분할되어 진다면 캐리어(19)는 와인딩이 시작하는 그리퍼(18)를 가진 형성기(10)의 우측편에 접근할 수 있도록 이 부분에 위치하게 된다.
만일 코일부가 시계 방향으로 감져기고 리시버(16)의 역시 시계방향으로 분할된다면 "46"으로 표시되는 대향위치는 와인딩이 시작되도록 조절될 것이다.
와인딩노즐(12)의 회전축과 리시버(16)의 회전축을 통하여 범위의 중앙에 파선으로 "48"이라고 표시된 캐리어(19)의 기본위치는, 축(34)에 대한 회전으로 인하여, 즉 "50"으로 표시되는 그리퍼(18)의 위치에 이를 때까지, 와인딩노즐(12)로부터 특정한 길이의 와이어를 당기도록 마지막 그룹의 코일부의 권선후에, 미리 감겨진 코일부에 연결되는 와이어 단부가, 권선노즐(12)에 이르는 와이어 단부가 고정되는 동안에, 아래로 떨어지게 되는 방법으로 와이어가 그리퍼(18)에 잘려지기 전에 적용될 수 있다.
방금 기술된 바와같은 적당한 방법에서 캐리어(19)가 실선으로 도시된 오른쪽 위치 또는 "46"으로 표시되는 위치에 자리잡게 될때 조차도, 특정한 길이의 보극 연결부는 회전축(34)에 대한 그리퍼의 회전과 호형상가이드(36)를 따라 캐리어(19)를 이동시킴에 의해 만들어지며, 그것에 의해 슬라이드(20)는 "52"에 표시된 바와같이, 가이드(28)를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코일의 와인딩이 시작될때 슬라이드(20)는 그리퍼표면 단부쪽으로 상승하는 경사된 위치를 취하게 되며 그런 위치에서 그리퍼(18)는 근본적으로 와인딩 범위에 위치되나, 와인딩노즐(12)은 슬라이드(20)상부에 방사상으로 더 바깥쪽으로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슬라이드(20)가 축(26)에 대해 경사지게 됨으로서 그리퍼(18)는 와인딩범위 아래에 위치하게 되지만, 와인딩노즐(12) 및 스트라이퍼(14)의 하방행정시에 노즐의 회전경로상에 어떤점에서 멈춰지게 되는 와인딩노즐(12)로부터 형성기(10)까지 연장되는 와인딩 와이어가 제 2 도에 나타나 있는 것같이 그리퍼(18)의 죠오개방부내로 도입된다.
마지막 와이어 와인딩이 형성기(10)와 함께 수행되는 제 1 짧은 하방행정의 끝에 형성기(10)상에 여전히 위치하게 되므로, 특정한 길이의 와이어는 그리퍼(18)운동에 의해 밖으로 당겨지고, 그후 와이어는 절단되며, 와이어 단부는 특정한 곳에 놓인다.
컷팅장치와 함께 수행되는 그리퍼(18)의 구조적인 원리는 제 3 내지 6도에서 도시된다.
상기 구조체는 정치 클램핑죠오(54) 및 이동가능한 클램핑죠오(56)로 구성된다.
적어도 하나의 클램핑죠오의 클램핑표면을 탄성재료(58), 예를들면, 고무 또는 플라스틱으로 형성된다.
클램핑죠오(54)의 클램핑표면 상부에서 돌출부(60)는 이동가능한 클램핑 죠오(56)를 향하여 밖으로 돌출된다.
이동가능한 클램핑죠오(56)의 측부상에서 돌출부(62)도 역시 정지 클램핑죠오(54)쪽으로 클램핑 표면 상부에 돌출된다.
양돌출부(60,62)는 클램핑죠오(54,56)가 제 3 도 및 제 4 도에 따른 완전개방위치를 벗어나 제 6 도에 따른 클램프된 위치내로 가져가 질때 서로 본래의 상태로 이동되도록 어긋나게 배열되고 상기 클램프된 위치내에서 클램프된 표면의 서로서로 대향하여 힘을 받게 된다.
제 3 도 및 제 4 도에 따른 개방위치와 제 6 도에 따른 클램프된 위치 사이에는 제 5 도에서 도시된 중간위치가 있고 그 위치내에서 돌출부(60,62)가 겹쳐지나, 클램핑표면들에는 여전히 간격이 있다.
제 5 도에 따른 클램핑죠오(60,62)의 상대적인 위치에 있어서, 그리퍼(18)는 와이딩 와이어를 느슨하게 차례로 안내하는 아일릿을 형성하는데, 예를들어 와인딩노즐(12)로부터 그리퍼(18)의 거리확장이 일어날 경우에 권선노즐(12)밖으로 와이어를 당긴다.
두개의 결합형 컷팅 모서리(64,66)는 클램핑죠오(54,56) 다음에 측면으로 부착된다. 실시예에 의해 컷팅모서리(64)가 고정될 경우에 한편에서는 컷팅모서리(66)가 컷팅모서리(64)를 지나 상부에 뻗어진다.
클램핑과정시 이동가능한 컷팅모서리(66)는 우선 정지컷팅모서리(64)에 가깝게 안내된다.
클램프된 클램핑죠오(54,56)의 경우에, 이동가능한 컷팅모서리(66)는 제 6 도에 도시된 위치까지 분리구동에 의하여 더 순차적으로 뻗어진다.
그 과정에서 고정된 컷팅모서리를 넘어 제시간에 바로 이 점까지 돌출되는 와이어디플렉터(68)는 회복스프링(70)의 회복력에 대향하여 물러나게 된다.
동시에 이동가능한 컷팅모서리(66)와 함께 뻗어지는 와이어플랙터(72)도 역시 회복스프링(74)의 회복력에 대해서 클램핑죠오(54)상에서 정지표면(73)에 충격을 가함으로서 컷팅모서리(66)에 상대적으로 물러나게 된다.
컷팅과정시와는 달리, 다른 각각의 클램핑죠오쪽으로 상기 컷팅모서리보다, 컷팅모서리(64,66)옆에 오른쪽으로 더 돌출된 와이어디플렉터(68,72)는 와이어가 제 3 도 및 제 4 도에 따른 개방그리퍼내로 그리고 제 5 도에 따른 느슨한 안내 위치내로 도입될 때 날카로운 컷팅모서리(66,68)가 와인딩 와이어 또는 그것의 절연을 손상시키는 것을 막는다.
더우기, 정지 표면(73)이 클램핑표면에 대해서 어긋나게 된다는 사실 예컨대 탄성재료(58)의 표면에 상대적으로 어긋나게 되는 사실 때문에 와이어는 와이어 디플렉터(72)와 정지표면(73) 사이에서 잘려진 후 역시 클램프되고 두개의 클램핑포인트사이에서 계단형상으로 각을 이루게 된다는 것으로 인하여 매우 견고한 클램핑이 성취된다.
컷팅된 후에 그 와이어는 다음 코일의 와인딩 개시가 끝날때까지 제 6 도에 따른 컷팅 위치내로 컷팅모서리를 떠나는 것이 좋게 되어 있다.
클램핑죠오와 컷팅모서리의 작동은 상세하게 도시되지 않은 각각의 공압식 구동원에 의해 달성된다.
본 장치는 캐리어(19), 그리퍼(18) 및 컷팅장치가 매우 견고한 작동을 하게 하고 매우 견고하게 결합시킴으로, 개개의 와이어의 와인딩 뿐만 아니라 평행한 와이어 와인딩에도 적당하다.
그리퍼(18)가 컷팅장치(64,66)에 결합되므로서 와이어는 잘려진 후 그 단부에 오른쪽으로 고정되고 상기 단부는, 예를들면, 두개의 볼트(76)사이 또는 리시버(16)에 연결되는 코일 플레이트(78)상에 클램프내로 위치되고, 따라서 어떤 순차적인 과정의 경우에 자리잡게 될 수 있도록 정확히 위치하게 된다.
결국, 지금까지 가능하지 못했던 와이딩작업은 새롭게 이동가능하고 결합된 컷팅 및 길이드로잉장치로 수행될 수 있는데, 왜냐하면, 그런경우에 그리퍼 또는 컷팅장치 중의 하나는 그중 하나위에 먼저 연속적으로 작동되고 그런 다음에 형성기의 대향측상에 작동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Claims (6)

  1. 와인딩형성기(10), 와이딩레벨에서 상기 형성기에 대해서 회전하고 그 회전경로상에서 여러개의 한정된 각 위치에서 멈출 수 있는 와인딩노즐(12), 축에 평행한 슬롯을 가지고 형성기(10)에 맞물려지는 리시버(16), 형성시로부터 리시버(16)의 슬롯내로 코일부를 미끄러지게 하기 위해 형성기(10)에 대해서 축방향으로 미끄럼 가능한 스트리퍼(147), 캐리어(19)의 제어 가능한 구동자(22,30,42)에 의해 형성기(10)에 대해서 축방향으로 그리고 방사상으로 이동가능하고, 코일의 그룹화 또는 코링의 와인딩 전과 후에 선택적으로 와이어를 느슨하게 하거나 와이어를 고정하게 하며, 와인딩 과정의 개시 단계에서의 하나 또는 여러 와이딩 개시위치와 와인딩 과정 종료후에 와이어가 와인딩노즐(12)과 그리퍼(18) 사이에서의 축방향 상대운동에 의해 그리퍼(18)내로 도입될 수 있는 그리핑 위치 사이에서 리시버(16)의 방사상 외부면적에 와인딩수준의 외부쪽 통로를 따라 이동가능한 축방향으로 나타나는 그리퍼(18), 형성기(10)와 그리퍼(18) 사이에서 와이어를 컷팅하기 위한 컷팅장치(64,66)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컷팅장치(64,66)는 그리퍼의 캐리어(19)상에서 그리퍼(18) 다음으로 장착되고 그리퍼(18)와 컷팅장치(64,66)로 구성되는 유닛이 형성기(10)의 하나의 측면상의 위치로부터 형성기(10)의 대향하는 측면상의 위치까지 캐리어(19)의 제어가능한 운동에 의해 이동가능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기계용 코일의 와인딩 및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캐리어(19)는 와인딩노즐(12)의 회전축에 대해 호를 따라 이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그리퍼(18)가 캐리어(19)의 일부를 형성하는 슬라이드(20)상에 장착되고, 상기 슬라이드가 와인딩노즐(12)의 회전축에 평행하게 연장되며 회전식으로 제어되는 축(34)에 대해 회전식으로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슬라이드(20)는 회전축(34)에 수직으로 놓여있는 축(26)에 제어가능하게 기울어질 수 있으며 그리고 상기축(26)을 가로질러 제어가능하게 미끄러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그리퍼(18)는 서로를 향하여 마주보며 오프셋된 돌출부(60,62)에 의해 입구측상에 배열되고 개방위치, 돌출부(60,62)가 겹치는 중간위치로 이동가능하고, 클램핑표면으로 안내개방부 및 클램핑위치를 한정되는 2개의 클램핑죠오(54,56)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컷팅모서리(64,66)는 클램핑죠오(54,56) 다음에 제공되며, 비효율적인 후퇴 또는 겹침위치로부터 컷팅, 결합위치까지 클램핑위치를 이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19920016463A 1991-10-04 1992-09-09 전기기계용 코일의 와인딩장치 KR96000605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P4132953.8 1991-10-04
DE4132953A DE4132953C1 (de) 1991-10-04 1991-10-04 Vorrichtung zum Wickeln von Spulen für elektrische Maschinen mit Wickelschablone und verfahrbarer Einheit aus Greifer und Schneideinrichtu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8886A KR930008886A (ko) 1993-05-22
KR960006056B1 true KR960006056B1 (ko) 1996-05-08

Family

ID=64420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16463A KR960006056B1 (ko) 1991-10-04 1992-09-09 전기기계용 코일의 와인딩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0535303A1 (ko)
KR (1) KR960006056B1 (ko)
BR (1) BR9203806A (ko)
DE (1) DE4132953C1 (ko)
TW (1) TW20560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403919C2 (de) * 1994-01-12 1996-11-07 Statomat Spezialmaschinen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Wickeln von Spulen für elektrische Motoren oder Generatoren
US5709251A (en) * 1994-01-12 1998-01-20 Statomat Spezialmaschinen Gmbh Method and device for winding coils for electric motors or generators
DE19728943A1 (de) * 1997-07-07 1999-01-14 Otto Rist Vorrichtung zur Herstellung von Spulen bzw. Spulengruppen für Elektromotoren, Generatoren oder dergleichen
DE19748242B4 (de) * 1997-11-01 2005-12-01 Vem Motors Gmbh Elektromotorenwerk Thurm Verfahren zum Herstellen von Drahtspulen auf in konvexen Ebenen angeordneten Wickelkörpern
DE19748241B4 (de) * 1997-11-01 2006-01-05 Vem Motors Gmbh Elektromotorenwerk Thurm Vorrichtung zum Herstellen von Drahtspulen auf in konvexen Ebenen angeordneten Wickelkörpern
DE19900922C1 (de) * 1999-01-13 2000-09-21 Elmotec Elektro Motoren Tec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einer Wellenwicklung für Statoren oder Rotoren elektrischer Maschinen
KR100666798B1 (ko) * 2005-01-27 2007-01-09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케이블 셋팅장치
US8000160B2 (en) 2008-02-14 2011-08-16 Hynix Semiconductor Inc. Semiconductor device and cell plate voltage generating apparatus thereof
TW201431250A (zh) * 2013-01-31 2014-08-01 Kilews Ind Co Ltd 電動機線圈繞組的製造方法
CN103701274B (zh) * 2013-12-27 2017-02-08 山东中际电工装备股份有限公司 一种汽车电机波形绕线机上的绕线装置
KR102072396B1 (ko) 2017-09-29 2020-03-02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코일의 와인딩 방법 및 와인딩 장치
CN108987098B (zh) * 2018-08-31 2023-12-12 公元股份有限公司 一种卧式绕线机
KR102299535B1 (ko) * 2020-12-14 2021-09-09 주식회사 야호텍 모터 코일 권선장치
KR102521888B1 (ko) * 2022-04-11 2023-04-13 이대섭 모터 코일 권취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808048A1 (de) * 1978-02-24 1979-08-30 Balzer & Droell Kg Vorrichtung zum wickeln von spulen fuer statoren elektrischer maschinen
DE3024219A1 (de) * 1980-06-27 1982-01-21 Balzer & Droell Gmbh Vorrichtung zum wickeln von spulen fuer elektrische maschinen
DE3071714D1 (en) * 1980-12-24 1986-09-2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Coil forming apparatus
DE3417469A1 (de) * 1984-05-11 1985-11-14 Statomat Globe Maschf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wickeln von drahtspulen, insbesondere feldspulen fuer elektrische maschinen
JPS622834A (ja) * 1985-06-14 1987-01-08 Odawara Eng:Kk コイル巻線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535303A1 (de) 1993-04-07
KR930008886A (ko) 1993-05-22
DE4132953C1 (de) 1993-02-04
TW205608B (ko) 1993-05-11
BR9203806A (pt) 1993-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06056B1 (ko) 전기기계용 코일의 와인딩장치
US4026483A (en) Device for an apparatus for coiling of cable, wire, wire rope or the like
US5271436A (en) Machine and method for producing reinforcing cages for concrete pipes
US4313251A (en) System for applying electronic components to a circuit board
US3975883A (en) Coiling and binding strand material
US6044682A (en) Wire product manufacturing apparatus
EP0545881A1 (en) Improvements in the wire winding and tying machines
US5988554A (en) Device and method for winding deflection yoke with wire
US4406109A (en) Automatic cord hanking machine
US4541170A (en) Method and device for forming the rotor winding coils of a dynamoelectric machine
US3942246A (en) Method of making armature windings for commutator type dynamo-electric machines
CN112061462B (zh) 一种自动扎线机
EP0119172B1 (en) Device for forming the rotor winding coils of a dynamoelectric machine and for anchoring the ends of the coils to a commutator associated with the rotor
US4457347A (en) Device for winding coils for electric motors
EP058712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winding toroidal coils
US3958611A (en) Apparatus for winding wire coils for electrical machines
US4538770A (en) Apparatus for winding wire coils on a toothed stack
US4037320A (en) Apparatus for forming armature windings for commutator type dynamo/electric machines
CN102133929B (zh) 自动扎线机的夹线装置
US20030029958A1 (en) Method and device for gripping temporarily the wire and cutting it on the hook of a commutator in an armature winding machine
JPH0859075A (ja) 整列密着巻線装置及びその方法
EP0083711B1 (en) Coil inserting apparatus
US6036135A (en) Winding of coils into axial slots in rotationally symmetric bodies of electrical devices
CN112124667B (zh) 一种光缆扎线机
US4601432A (en) Method for winding wire coils on a toothed stac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