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5983B1 - 동력 헤드 조립체가 개선된 내연 기관 구동형 동력 공구 - Google Patents

동력 헤드 조립체가 개선된 내연 기관 구동형 동력 공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5983B1
KR960005983B1 KR1019880016767A KR880016767A KR960005983B1 KR 960005983 B1 KR960005983 B1 KR 960005983B1 KR 1019880016767 A KR1019880016767 A KR 1019880016767A KR 880016767 A KR880016767 A KR 880016767A KR 960005983 B1 KR960005983 B1 KR 9600059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starter
engine
lid member
pull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167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09544A (ko
Inventor
에이치. 터글 로이드
지. 새들러 제프리
Original Assignee
화이트 콘졸리데이티드 인더스트리즈, 인코오포레이티드
스탠리 알. 밀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화이트 콘졸리데이티드 인더스트리즈, 인코오포레이티드, 스탠리 알. 밀러 filed Critical 화이트 콘졸리데이티드 인더스트리즈, 인코오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8900095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95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59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59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CHAND-HELD NAILING OR STAPLING TOOLS; MANUALLY OPERATED PORTABLE STAPLING TOOLS
    • B25C1/00Hand-held nailing tools; Nail feeding devices
    • B25C1/06Hand-held nailing tools; Nail feeding devices operated by electric pow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B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OR OF POSITIVE-DISPLACEMENT TYPE, e.g. STEAM ENGINES
    • F01B1/00Reciprocating-piston machines or engines characterised by number or relative disposition of cylinders or by being built-up from separate cylinder-crankcase elements
    • F01B1/12Separate cylinder-crankcase elements coupled together to form a un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63/00Adaptations of engines for driving pumps, hand-held tools or electric generators; Portable combinations of engines with engine-driven devices
    • F02B63/02Adaptations of engines for driving pumps, hand-held tools or electric generators; Portable combinations of engines with engine-driven devices for hand-held too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1/00Engines characterised by fuel-air mixture compression
    • F02B1/02Engines characterised by fuel-air mixture compression with positive ignition
    • F02B1/04Engines characterised by fuel-air mixture compression with positive ignition with fuel-air mixture admission into cylind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75/00Other engines
    • F02B75/02Engines characterised by their cycles, e.g. six-stroke
    • F02B2075/022Engines characterised by their cycles, e.g. six-stroke having less than six strokes per cycle
    • F02B2075/025Engines characterised by their cycles, e.g. six-stroke having less than six strokes per cycle two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Harvester Elements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 Finish Polishing, Edge Sharpening, And Grinding By Specific Grinding Device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Power Steering Mechanism (AREA)
  • Portable Nailing Machines And Staplers (AREA)
  • Percussive Tools And Related Accessories (AREA)
  • Auxiliary Drives, Propulsion Controls, And Safety Devic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동력 헤드 조립체가 개선된 내연 기관 구동형 동력 공구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가솔린 기관 구동형 가요성 라인 트리머의 사시도.
제2도는 상기 트리머의 동력 헤드부의 확대 사시도.
제3도는 제2도의 선 3-3에 따른 부분 절개, 부분 개략, 부분 정면 확대도.
제4도는 동력 헤드부의 일부 생략한 측면 분해도.
제5도는 제2도의 선 5-5를 따른 동력 헤드부의 후방부 부분 측면도.
제6a도와 제6b도는 제4도의 선 6-6을 따른 동력 헤드부의 시동기 하우징부의 후면도.
제7도는 동력 헤드부의 쵸크판과 공기 필터 반조립체의 확대 사시도.
제8도는 제7도 반조립체의 분해 사시도.
제9도는 제7도의 선 9-9를 따른 확대 부분 단면도.
제10도는 진동 분리 어깨띠 커넥팅 부재의 확대 사시도.
제11도는 제10도의 선 II-II을 따른 커넥팅 부재의 횡단면도.
제12도는 동력 헤드부의 또 다른 실시예의 측면도.
제13도는 동력 헤드부의 또 다른 실시예의 측면도.
제14도는 제13도의 동력 헤드부의 전방 단부를 가로질러 도시한 확대 부분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라인 트리머 12 : 중공 샤프트
14 : 절단 헤드 조립체 16 : 소용돌이 라인부
20 : 동력 헤드 조립체 22 : 내연기관
24 : 덮개 26 : 팬 하우징
28 : 설비 나사 30 : 시동기 하우징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동력 공구와 관계가 있고, 특히 가요성 라인 트리머(flexible line trimmer)와 같은 휴대용 회전 동력 공구용의 개선된 동력 헤드 조립체 및 진동 감소장치를 제공한다.
브러쉬 커터, 잔디 깎는 기계, 가요성 라인 트리머 등과 같은 휴대용 가솔린 기관 구동형 회전 동력 공구는, 회전 전달 조립체가 작동할 수 있도록 그 한 단부에 설치된 신장된 중공 샤프트를 포함한다. 기관을 포함하는 동력 헤드 조립체는 샤프트의 반대 단부상에 설치되고, 내연기관의 전부 또는 부분을 감싸는 보호 덮개(shroud)구조물, 개스 탱크 및 통상의 시동기 로프와 당김 핸들 부품들을 설비한 리코일(recoil) 시동 메카니즘을 구비하고 있다. 중공 샤프트를 통하여 연장되어 있는 가요성 구동 샤프트 구조를 경유하여, 상기 기관은 절단 조립체를 직접적으로 또는 클러치 메카니즘을 통하여 구동시킨다. 공구 사용중에 절단 요소를 적절하게 안내하는 것을 돕기 위해서, 한쌍의 작동 핸들 요소는 전형적으로 적당한 위치에서 공구에 고정된다. 추가적으로, 어깨띠(shoukder strap)가 공구의 하중을 지지하기 위해서 사용되고, 그 어깨띠는 샤프트에 고정된 작은 견고한 클램프 부재 등에 떼어질 수 있도록 결합될 수 있는 외측 단부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일반적인 타입과 구조의 가솔린 기관 구동형 공구가 매우 유용하게 많이 사용되지만, 주로 구조, 작동, 안정성, 제작비용 효율, 작동의 편리성 및 유지 및 보수의 용이함과 관련한 다양한 문제, 제한 및 단점이 여전히 존재한다.
예를 들어, 무게가 가벼우면서도 크기가 작고 재료 및 제조의 관점에서 비용이 덜드는 동력 헤드 조립체를 설계해야 하는 필요 때문에, 결과적인 동력 헤드 조립체는 평균적인 소비자가 사용하기 어렵다. 캬브레터를 공전하게 조정하고 속도조절 나사를 작동하는 것과 같은 작은 기관 조절도 캬브레터에 도달하는 여러가지 다른 동력 헤드 부품들을 해제하고 제거하여야 하는 필요때문에 실행이 곤란하다. 유지면에서, 주 기관의 분해 및 제거는, 이러한 일반적인 형의 종래 많은 동력 헤드가 조립될때 필수적으로 수반되는 복잡성 때문에 보통의 공구 사용자 능력범위를 종종 벗어난다. 어느 정도 이러한 부품 접근 문제를 완화하려는 종래의 시도에서는 어떤 기관 부품들이 얼마간 노출되게 되므로, 비록 접근의 용이성이 증가하더라도, 그러한 노출된 부품들이 공구 사용중에 갑자기 부딪히게 되고 손상될 가능성이 증가되고 또 전체 동력 헤드가 어느 정도 볼품 없고 "임시 방편적인" 외관을 갖게 된다.
이 문제의 단지 일례로서, 상기 기관의 캬브레터와 관련 공기 필터 구조물은 종 접근을 용이하게 할 목적으로 기관 덮게 구조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하고, 그것에 의해 이 부품들이 매우 손상에 취약하게 된다.
부품에 접근하기 용이함과 안전도에 관련된 다른 예는, 전형적으로 제거하기가 어렵고 또한 시동기 로프를 제거할 필요가 발생할때는 일하기가 어려우며, 복잡하고 때때로 위험한 리코일 시동기 메카니즘과 관련하여 발생한다.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문제는, 관련 비틀림 스프링의 이어스 힘에 대항하여 시동기 풀리를 손으로 감은 다음, 상기 비틀림 스프링이 튀어 나가지 않도록 한 손으로 감겨진 풀리를 유지하면서, 그 동안 다른 손으로 상기 풀리상에 새로운 시동기 로프를 끼우고 매듭 지으려고 시도하는 것이 종래에는 필요하다는데 있다.
이러한 일반적인 형태의 공구의 종래 동력 헤드부와 전형적으로 관련된 그러한 그리고 다수의 다른 문제들 이외에도, 대단히 많은 양의 샤프트 진동이 어깨띠의 유연성에 불구하고 공구 샤프트에 고정된 어깨띠를 통해 공구 작동자의 신체로 종종 전달된다는 것이 발견되었다. 이 전달 진동은 괴롭고 피곤할 수 있고, 따라서 간단히 비싸지 않은 방법으로 그것을 제거하거나 적어도 실질적으로 줄여주는 것이 매우 바람직하다.
이전에 기술한 관점에서, 상기 및 다른 문제들, 즉 이러한 일반적인 형태의 종래의 휴대용 회전 동력 공구들과 공통적으로 관련된 한계 및 단점을 제거하거나 최소화하는 것이 본 발명의 목적이다.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원리들을 수행하는 데에 있어서, 가요성 라인 트리머의 형태를 가지고 있는 대표적인 내연기관 구동형 휴대용 회전 동력 공구에는 중공 트리머 샤프트(hollow trimmer shaft)의 한 단부위에 설치되고 또 샤프트의 다른 부위에 설치된 절단 헤드 조립체를 회전할 수 있도록 구동하기 위해 사용되는 모듈러 동력 헤드 조립체가 구비된다.
한 실시예에 있어서, 동력 헤드 조립체는 조립체를 따라 뒤에서 앞으로 계속되는 4개의 떼어낼 수 있는 상호 연결 모듈-엔진 모듈, 팬 하우징 모듈, 시동기 모듈 및 커플링 모듈-로 구성된다.
상기 기관 모듈은, 개방 전방 단부, 상부벽, 바닥벽, 한쌍의 마주보는 측벽들, 전방으로 삽입되고 또 상부벽의 중심 위치로부터 아래로 연장되어 있는 두꺼워진 상부 후방 지지벽부 및 그 위로 적당한 머플러 가드(muffler guard)가 연결될 수 있는 개방 후방 단부를 구비한 머플러 체임버(chamber)를 바닥 및 측벽의 후방부와 함께 한정하고 또한 지지벽의 바닥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하는 수직 중간벽을 갖는 특별히 설계된 덮개를 구비한다.
덮개의 상부벽은 덮개의 상부 우물(well)부를 형성하도록 아래로 끼워지고, 외피(shell)부재의 개방 바닥 단부가 기관 모듈의 연료 탱크부를 한정하도록 우물부의 주위에 밀봉적으로 고정된다.
상부벽의 후방부는 중간벽 및 지지벽과 함께 덮개내의 후방 단부 오목부를 형성한다. 캬브레터와 관련 에어필터 하우징은 손상되지 않게 보호되도록 상기 오목부내에 배치되고, 그와 동시에 거기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캬브레터는 지지벽부의 내측으로 연장되어 있는 연료-공기 혼합기 통로위에 있는 지지벽의 외측면에 고정되고, 리드 밸브 부재는 연료-공기 혼합기 통로의 내측 단부위에 있는 지지벽의 내측면상에 작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기관 모듈은 또한 작은 단일 실린더의 공냉식 2행정 싸이클 가솔린 기관을 포함하고, 상기 기관은 개방된 후방 단부를 가진 크랭크 케이스, 이 크랭크 케이스에 고정되고 매달려 있는 피스톤과 실린더 조립체 및 실린더에 작동할 수 있도록 지지되고 거기에서 뒤로 연장되는 머플러를 가지고 있다. 상기 기관의 크랭크 케이스, 실린더 및 머플러 부는 덮개내에 배치되고, 그 개방 전방 단부를 통해 제거될 수 있다. 크랭크 케이스의 개방된 후방 단부는 그 위에 있는 리드 밸브위의 두꺼운 지지벽의 내부 표면에 볼트로 죄어지고, 그 결과 그러한 지지벽은 기관을 지지하고, 크랭크 케이스의 후방 폐쇄벽을 형성한다. 상기 실린더는 중간 덮개벽의 아래로 연장되고, 그와 함께 상기 머플러는 머플러 체임버를 향해 뒤로 돌출한다. 상기 기관의 크랭크 샤프트는 상기 덮개의 개방 전방 단부를 통해 그리고 그것을 넘어서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고, 외측 크랭크 샤프트 단부상으로 꿰어진 너트에 의해 크랭크 샤프트위에 포획되어 유지되는 원심 클러치 조립체를 전방 외측 단부에 구비한다.
상기 팬 하우징 모듈은, 상기 덮개의 개방 전방 단부 주위의 덮개에 제거될 수 있도록 고정되고 또 크랭크 케이스의 전방에서 크랭크 샤프트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며 동축으로 둘러싸는 기관의 프라이휘일을 밀봉하는 팬 하우징부를 포함한다. 상기 플라이휠에는 기관의 가동중에 주위 냉각 공기를 실린더를 가로질러 후방으로 그리고 머플러 체임버를 통하여 바깥쪽으로 유동하여 공급하는 원주 주위에 이격된 일련의 축방향으로 연장된 냉각 임펠러(impeller) 브레이드가 구비되고, 상기 주위의 냉각 공기는 배기 가스를 냉각시키도록 머플러로부터 배출되는 배기 개스와 혼합된다. 상기 배기 개스-냉각 공기 혼합기는 머플러 가드의 기공을 통하여 후방으로 배출된다.
시동기 모듈에는 전방벽, 전방벽의 주위로부터 후방으로 연장하는 측벽부 및 개방 단부 부분을 가지며, 상기 팬 하우징의 개방 전방 단부에 탈착가능하게 연결된 시동기 하우징이 구비된다. 관형(tubular) 지지포스트는 시동기 하우징의 전방벽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고, 클러치 조립체와 플라이휘일 사이의 기관의 크랭크 샤프트 부분을 둘러싼다. 지지 포스트 상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유지되고 또 시동기 로프가 그 사이로 감기는 전방 및 후방 플랜지를 가지고 있는 시동기 풀리를 포함하는 수동의 리코일형 시동기 시스템이 시동기 하우징내에서 유지되고, 상기 시동기 로프의 외측 단부 부분은 시동기 하우징내의 고리가 끼워진 개구를 통하여 밖으로 연장되고 또 시동기 당김 핸들에 작동할 수 있도록 연결된다.
중공의 원통형 구동 허브는 후방 플랜지의 중심 부분에서부터 뒤로 돌출하고, 플라이휘일의 전방부에 설비된 스프링 바이어스 시동기 도그(dog)와 작동할 수 있도록 체결가능한 구동 이(teeth)가 구비된다. 환형 비틀림 스프링은 지지 포스트를 둘러싸고, 작동할 수 있도록 시동기 풀리에 연결되고, 또 시동기 하우징 전방벽 및 전방 플랜지 사이에 유지된다. 상기 시동기 풀리는 전방 시동기 하우징 벽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는 안내(guide) 부재에 의해 형성된 환형 안내 채널내에 수용된다. 상기 풀리는 작은 나사 부재에 의해 시동기 하우징의 두꺼워진 부분에 고정된 작은 유지 탭 부재에 의해 지지 포스트위에 고정되어 유지된다. 따라서 시동기 모듈이 동력 헤드 조립체의 밸런스(balance)로부터 제거될때, 시동기 풀리와 그 관련 비틀링 스프링은 시동기 하우징내에 유지된다.
시동기 풀리상에 시동기 로프를 설치하는 것은, 풀리 및 스프링이 풀리 안내 부재중 어느 한개와 후방 풀리 플랜지의 주위에 형성된 원주 방향으로 정렬될 수 있는 노치(notch, 홈)들과 관련한 탭 부재의 작용을 가짐으로써 훨씬 쉽고 안전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시동기 로프를 풀리위에 설치하기 위해서, 상기 풀리는 비틀림 스프링의 바이어스 힘에 대향하여 감겨지고, 그후 이 두개의 노치들이 정렬될때까지 대략 1바퀴 거꾸로 돌려져야 한다. 그 다음에 작은 핀 부재 또는 이와 비슷한 것이 감겨진 스프링에 의해 발생되는 회전에 대항하여 풀리를 체결하도록 정렬된 노치들 사이에 삽입될 수 있다. 그때 작동자의 양손은 시동기 로프를 쉽고 안전하게 설치하도록 자유로워진다. 로프가 설치된 후에, 체결핀 부재는 스프링이 풀리도록 하고 또 자동적으로 새로운 로프를 시동기 풀리위에 감기도록 하기 위해서 제거될 수 있다.
시동기 모듈의 전방측에 탈착 가능하도록 연결된 상기 커플링 모듈은 상기 기관의 원심 클러치 조립체를 둘러싸는 클러치 하우징을 포함하고, 환형 베어링과 환형 베어링 스페이서(spacer)를 포함하는 베어링 구조물이 주조되는 내부의 후방 돌출 지지 샤프트가 그 전방 단부에 제공된다. 이 베어링 구조물은, 관형 트리머 샤프트를 통해 연장되어 있고 또 트리머의 절단 헤드 조립체를 구동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가요성 구동샤프트의 단부쪽 지지 샤프트부 내에 배치된 그것의 전방 단부에서 회전가능하게 체결된 원통형 커플링 부재를 동축으로 수용하고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한다. 상기 커플링 부재의 후방 단부에 클러치 드럼이 고정적으로 체결되어, 원심 클러치 조립체를 바깥쪽으로 둘러싼다. 상기 기관의 회전 속도가 소정의 수준에 도달할때, 클러치 조립체의 마찰부는 클러치 드럼의 내측면을 마찰력으로 체결하도록 거기에서 밖을 향해 방사상으로 움직여지고, 그에 따라 가요성 구동 샤프트를 회전시킨다.
이러한 모듈로 동력 헤드 조립체는, 비용면에서 매우 효율적인 방법으로, 내부 동력 헤드 부품들에 접근하기 쉽게 하고 또 수리하기 쉽게 하도록 크게 단순화된다. 예를 들어 단순히 커플링 모듈을 제거함에 의해서, 원심 클러치 조립체는 쉽게 접근가능해지면서도 여전히 크랭크 샤프트의 외측 단부상의 유지 너트에 의해서 동력 헤드 조립체의 밸런스상에 용이하게 유지된다. 노출된 클러치 조립체도 역시 덮개상에 시동기 및 팬 하우징 모듈들을 유지한다. 상기 클러치 조립체를 제거함에 의해서 시동기 조립체는 크랭크 샤프트 전방 단부로부터 떨어져 간단히 밖으로 당겨질 수 있다. 추가적으로, 그 다음에 팬 하우징 나사와 팬 하우징을 제거함에 의해서, 플라이휘일과 그 관련 점화 모듈은 검사와 수선을 위해 노출된다. 상기한 전체 기관은 덮개 지지벽으로부터 그것을 탈속하고 또 상기 덮개의 개방 단부를 통하여 밖으로 당김에 의해서 간단히 제거될 수 있다. 보호 덮개 오목부내에 배치되어 있고 그것들을 통해 접근가능한 캬브레터와 그 관련 공기 필터 구조물은 덮개의 특별히 설계된 지지벽으로부터 간단히 탈속될 수도 있다.
동력 헤드 조립체의 직접적인 구동 실시예에 있어서, 원심 클러치 조립체는 제거되고, 또 단일의 팬 하우징과 시동기 모듈은 덮개의 개방된 전방 단부에 제거될 수 있도록 고정된다. 이러한 단일의 전방 배치 모듈에는 리코일 시동기 시스템이 유지되는 단일의 하우징부가 포함되고, 그리고 커플링 부재는 가요성 구동 샤프트의 내부 단부와 크랭크 샤프트의 외측 단부를 구동가능하게 상호 연결하도록 유지된다.
동력 헤드 조립체의 다른 형태에 있어서, 상기 덮개는 상부 덮개 우물부와 상기 덮개의 상부벽의 후방부를 제거함에 의해서 변형된다. 분리 연료 탱크는 덮개의 전방 상부 꼭대기에 적절히 고정되고 또 후방부를 가지고 있으며, 그 후방부는 덮개 지지벽의 후방으로 연장되어 있고 또 중간 덮개벽으로부터 상향으로 이격되어 중간 덮개벽과 함께 캬브레터와 그 관련 공기 필터 구조물이 배치되는 보호 오목부를 한정한다. 또 다른 형의 동력 헤드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덮개는 본질적으로 이와 같은 방식으로 변형되고, 또 작동자 핸들은 동력 헤드 조립체에 고정되고 그위에 위치된다. 상기 작동자 핸들에는, 상기 덮개의 전방으로 배치된 하우징 구조물에 결합된 전방 단부와, 상기 덮개의 상부에 적절히 고정되고 캬브레터와 그 관련 공기 필터 구조물 위로 걸려 있는 연료 탱크에 의해 한정되는 후방부가 구비된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특별히 설계된 캬브레터 쵸크판과 공기 필터 조립체가 제공되고, 그것은 캬브레터의 후방 단부에 대해 위치된 쵸크판을 포함하고 덮개 지지벽에 체결되는데, 그 체결 지지벽을 통과해 연장하는 연료-공기 혼합기 통로 위로 캬브레터를 클램프하는 방식이다. 상기 쵸크판은 공기 필터 하우징의 개방 전방 단부내에 체결되며, 그리고 그 후방측으로 피봇(pivot)되고 또 선택적으로 상기 평판내의 중심 쵸크 개구를 봉쇄하거나 봉쇄를 풀도록 상기 개구위로 움직여질 수 있는 내측 단부를 가진 쵸크 레버를 구비한다. 멈춤쇠(detent) 돌출부는 쵸크 레버위에 형성되고, 3개의 유용한 쵸크 위치중 어느 선택된 하나에서 레버를 해제 가능하게 유지하도록 쵸크판의 후방측 상에 형성된 보완적 형상의 멈춤쇠 홈과 협력한다.
공기 필터 하우징은 그 내부에 형성된 일련의 공기 유입 개구를 구비한 측벽부를 가지고 있고, 또 내부적으로 발포형의 공기 필터 재료로 된 만곡형 스트립(bent strip)을 지지한다. 쵸크 레버의 외측 단부는 필터 하우징내의 노치를 통하여 외부로 돌출하고, 만곡형 필터 재료 스트립의 전방측 가장자리부에 의해 밀봉적으로 체결된다. 레버가 쵸크판에 상대적으로 피봇됨에 따라, 필터 요소 스트립의 상기 가장자리부는 그 새로운 피봇 위치에서 쵸크 레버의 외측 단부 주위에 먼지 밀봉을 제공하도록 변형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특별히 설계된 커넥터 조립체는 트리머 샤프트에 작동자 어깨띠를 연결하도록 제공되고, 어깨띠를 통해 작동자에게 전달되는 샤프트 진동을 실질적으로 감소시키는 기능을 한다. 상기 커넥터 조립체에는, 상기 트리머 샤프트에 조절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는 본질적으로 강성인 제1의 부재; 어깨띠가 체결될 수 있는 본질적으로 강성인 제2의 부재; 중공의 탄성적으로 휘어질 수 있는 진동 감쇠 부재; 및 서로의 접촉으로부터 제1 및 제2의 부재를 분리시키고, 또 제1부재를 통하여 감쇄 부재에 전달된 샤프트 진동이 감쇠 부재의 구부러짐을 야기시킴에 따라 흡수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제1 및 제2부재를 중공 감쇠 부재의 대향 단부에 연결하기 위한 연결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제1도에서 사시적으로 도시된 가요성 라인 트리머(10)의 형태로 휴대용 회전 동력 공구를 제공하는데, 여기에서 다양한 독특한 구조적 개선, 작동전 개선, 유지 보수의 용이성, 비용 절감 및 다른 개선점들이 제공된다. 트리머(10)은 회전식으로 구동될 수 있는 전달 헤드 조립체(14)의 좌측 또는 전방 단부상에 작동할 수 있도록 설비된 신장된 중공 샤프트(12)를 가지고 있는데, 상기 절단 헤드 조립체는 헤드(14)의 회전축을 가로지르는 절단 면에서 밖으로 돌출된 가요성 트림 라인 부분(trimming line segment)을 회전시키도록 고속으로 회전되며 또한 절단면이 움직여지는 여러 종류의 풀들을 깎기 위해 사용된다. 트리머 작동자를 빠르게 소용돌이치는 라인부(16)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서, 보호차폐 부재(18)은 샤프트(12)의 외측 단부에 역시 고정되고, 그리고 대체로 절단면위에 위치되어 작동자를 향해 뒤로 돌출되어 있다. 절단 헤드 조립체(14)에 회전 동력을 전달하기 위하여, 독특한 형상과 작동의 동력 헤드 조립체(20)이 샤프트(12)의 오른쪽 또는 내측 단부에 설치된다. 작은 단일 실린더의 내연기관(22, 제3도)은 다면 모울드된 플라스틱 덮개 및 하우징 구조내에 배치되고, 상기 하우징 구조에는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력 헤드 조립체(20)의 후방부에 위치된 주 덮개(24); 설비 나사(38)에 의해 덮개(24)의 전방측 부분에 고정된 탈착가능한 팬 하우징(26), 팬 하우징의 전방측에 위치된 시동기 하우징(30); 및 뒤에 서술되는 방식으로 샤프트(12)의 내측 단부에 고정되고 또 시동기 하우징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는 클러치 하우징(32)을 포함한다. 신장된 설비 나사(34)는 클러치 하우징(32)의 후방부를 통과하여 시동기 하우징(30)을 통과한 후 팬 하우징(26)의 전방부내로 연장됨으로써 상기 하우징들(30,32)들을 팬 하우징(26)상에 탈착가능하게 설치한다.
적당한 탄성재로 만들어진 중공 원통형 작동자 손잡이(36)은 클러치 하우징(32)의 외측 단부에 바로 근접한 샤프트(12)를 동축적으로 둘러싼다. 손잡이(36)의 전방 단부에는, 샤프트(12)에 탈착가능하게 클램프되어 있고 또 케이블 요소(42)을 통하여 기관의 외부 설치 캬브레터(46)의 피봇적으로 설피된 드로틀(throttle) 아암부(44, 제5도)에 작동적으로 연결되는 피봇적으로 설치된 드로틀 레버(40)이 구비되는 모울드된 플라스틱 드로틀 레버 하우징(38)이 있다. 제1도에서 가장 잘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케이블(42)는 손잡이(36)에 형성된 축방향 통로(도시되지 않음)를 통해 연장된 다음, 지점(38)에서 팬 하우징(26)으로 들어간다. 제5도에 가장 잘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케이블(42)는 캬브레터(46)에 의해 인접한 후방 덮개(24)를 빠져나와 드로틀 아암(44)의 단부에 연결된다.
트리머 절단 평면의 운동을 정확하게 제어하기 위해서 후방 손잡이(36)와 관련하여 작동자에 의해 사용되는 전방 작동자 핸들(50)은 드로틀 레버 하우징(38)의 앞에서 샤프트에 클램프된다. 또한 뒤에 설명되는 방식으로 자동차 어깨띠(54)에 연결될 수 있는 특별히 설계된 진동 감소 어깨띠 연결기 조립체(52)는 하우징(38)과 제어 핸들(50) 사이에서 샤프트(12)에 클램프되고, 상기 띠(54)는 트리머(10)의 중량을 편안하게 지지하는데 도움이 되도록 종래의 방식으로 작동자에 의해 사용된다.
제2도-제4도를 참조하면, 덮개 및 하우징부(24,26,30 및 32)가 샤프트(12)의 후방 단부를 따라 앞에서 뒤로 "쌓여지고(stacked)", 이전에 언급된 바와 같이 설비 나사 또는 볼트(28과 34)를 제거함에 의해 서로 쉽게 분리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측면도에서 주 덮개(24)는 대체로 직사각형 형상을 가지고 있고, 반면에 팬 하우징(26)의 상부는 다면 하우징 구조가 보기 좋은 유선형 구조를 가지게 하는 원뿔대형 전방 비부(frustroconically-shaped forward nose portion)가 전체 하우징 구조물에 제공되도록 팬 하우징 및 클러치 하우징(30,32)와 결합한다.
주 덮개(24)는 개방 전방 단부(56)를 가지며, 또한 상부벽(58), 저벽(60) 및 한쌍의 측벽(62와 64)에 의해 형성되는 수직으로 신장된 대체로 직사각형인 횡단면을 가지고 있다. 후방으로 연장되어 있는 수직 중간벽(70)과 저측에서 연결되는 실질적으로 두께가 두꺼운 상부 상부 후방벽부(68)은 상부 덮개벽(58)로부터 아래로 연장되어 있다.
주 덮개(24)의 내부는 개방 전방 단부(56)을 통하여 밖으로 개방되고, 또 추가적으로 측벽 62와 64)의 저측부, 중간벽(70) 및 저벽(60)의 후방부에 의해 형성되는 저측 후방 단부 개구(72)를 통하여 밖으로 개방되고, 이러한 특정 벽부들은 덮개(28)내의 저측 후방 내부공동(74)를 형성한다. 또한 상부 후방 오목부(76)은, 벽부(68), 수직 이격벽(58과 70) 및 서로 수직으로 이격되어 있고 또 벽(58과 70)을 넘어서 안으로 돌출되어 있는 측벽들의 기울어진 후방 탭부(78)에 의해 덮개(24)내에 형성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후방 오묵부(76)은 덮개(24)의 후방으로부터 접근 가능하고 또 대향 측벽 탭부 쌍들 사이에 있는 대형면들로 부터도 접근이 가능하며, 두께가 두꺼운 상부 후방 벽부(68)에 의해 그 내측 단부가 한정된다.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이 주덮개(24)의 전방 단부(56)에 고정된 상기 팬 하우징(26)은 개방 전방 단부(80)과 개방 후방 단부(82)를 가지고 있다. 시동기 하우징(30)은 개방 후방 단부(84)와, 그 중심 부분으로부터 중공 원통형 지지 포스트 부재(88)이 후방으로 연장되는 전방벽(86)을 가지고 있다. 전방 및 길이 방향으로 안으로 향해서 테이퍼된 클러치 하우징(32)는 개방 후방 단부(90)과, 중공 원통형 지지 샤프트부(94)가 그 후방으로 연장되어 있는 개방 전방 단부(94)를 가지고 있다.
주로 제3도와 제4도를 참조하면, 기관(22)은 이하에서 설명되는 몇개의 부품을 제외하고는 상기 다면 덮개와 하우징 구조물내에 배치된 단일 실린더의 공냉식 2행정 싸이클 기관이다. 상기 기관(22)의 주요 부품으로는 핀(fin)이 붙어 있는 실린더(100); 제3도 및 제4도에서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수직축을 따라 실린더 안에서 왕복 운동하도록 실린더내에 수용되는 피스톤(102); 크랭크 샤프트 조립체(104); 크랭크 케이스(106); 원주상에 이격되어 있는 일련의 축방향 연장 냉각 임펠러 브레이드(110)를 가진 플라이휘일(108); 원심 클러치 조립체(112); 점화 모듈(114); 스파크 플러그(116); 머플러(118); 캬브레터(46); 및 공기 필터 하우징과 쵸크판 조립체(120)이 포함된다. 크랭크 케이스(106)에는 개방 후방 단부(124)를 갖는 중공 후방부(122)와, 개방 저측부(126) 및 전방으로 돌출된 중공의 원통형 베어링 지지부(128)가 포함된다.
후술되는 바와 같이, 주 덮개(24)는, 상기 기관(22)의 후방부를 덮고 보호하는 데에 더하여, 독특하게 동력 헤드 조립체(20)내에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중요한 기능들중의 하나는 덮개의 두꺼워진 벽부(68)에 의해 수행되는 것으로서, 이제부터 설명되는 바와 같이 상기 기관(22)를 설치하고 지지하는 것이다. 크랭크 케이스(106)의 개방 후방 단부(124)는 개스킷(130) 위에서, 후방덮개 노치 구역(76)에 위치하고 벽부(68)을 통하여 전방으로 연장되고 또 크랭크 케이스 단부(124)내로 고정되는 4개의 설치 볼트(단지 그중 2개를 제4도에서 볼 수 있다)에 의해서, 안쪽으로 돌출되는 보스(boss)부(132)의 주위에서 두께가 두꺼운 벽부(68)의 내측면에 볼트로 조여진다.
상기한 두꺼운 벽부(68)은 또한 노치구역(76)내에 후술되는 방식으로 캬브레터(46) 및 필터와 쵸크판 조립체(120)을 외부적으로 설치하도록 가능하고, 상기 캬브레터(46)은 제3도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보스(132)의 후방 돌출 단부(135)와 접해 있다. 제3도에서 알 수 있듯이, 이 두꺼운벽부(68)은 크랭크 케이스(106)의 후방부의 후방 폐쇄벽을 형성하고, 반면에 적당한 형상의 보스 개구(136)은 캬브레터 출구를 후방 크랭크 케이스부(122)의 내부와 상호 연결시키는 연료-공기 혼합기 통로를 형성한다. 상기 보스(132)는 또한, 통로(136)의 내부 단부 위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크랭크 케이스 리드 밸브(138)을 설치할 수 있도록 편리하게 사용된다. 주 덮개(24)에 의해서 수행되는 여러 가지 다른 기능과 이에 의해 제공되는 이점들을 서술하기 전에, 전술된 기관 부품들의 상호 연결 및 상대 위치에 대한 상세한 설명이 이제 주어질 것이다.
핀이 있는 실린더(100)의 상부 단부는 밀봉 개스킷(140)위에서 크랭크 케이스(106)의 개방 저측부(126)에 적당히 볼트로 끼워지고, 그와 함께 바닥에 설치된 스파크 플러그(116)은 저부 덮개벽(60)에 형성된 적당한 개구(142)를 통해 아래로 돌출된다. 스파크 플러그(116)은 적당한 와이어링(144)에 의해 점화 모듈(114)에 작동할 수 있도록 연결되고, 상기 점화 모듈은 대체로 팬 하우징(26)의 저부내에 위치되고 또한 신장된 설비 나사(148)에 의해 실린더(100)의 전방 돌출 연결 블록부(146)에 체결된다.
실린더(100)에는 그 우측부에 머플러(118)의 입구 단부(152)를 수용하는 적당한 형상의 배기 개스 배출 개구(150)이 제공된다. 상기 실린더(100)으로부터 배출되는 배기 개스는 출구 개구(150)을 통하여 머플러 본체내의 관통된 원통형 머플러 라이너(154)내로 유동된다. 상기 머플러 본체는 둥지(nest) 형상을 이루는 두개의 수평부(118a와 118b)로 만들어지는데, 상기 부(118a)는 머플러 본체의 측면 출구(156)을 형성하는 외측으로 변형된 부분들을 가지고 있다. 라이너(154)를 통하여 머플러 본체의 내부로 유입되는 배기 개스는 이러한 측면 출구(156)을 통해 후방으로 배출되고, 그후 덮개의 저측 후방 단부 개구(72) 위에서 덮개(24)에 고정된 중공형으로 모울드된 플라스틱 머플러 가드(160)에 형성된 후방벽 가공(158)을 통해 후방으로 유동된다.
상기 필터와 쵸크판 조립체(120)은 캬브레터(46)의 후방에 위치한 금속 쵸크판(162)와, 쵸크판의 후방에 위치한 공기 필터 하우징(164)를 가지고 있다. 판(162)는 후방 돌출 보스부(134)와 동작 가능하게 체결되도록 상기 판을 클램프하기 위해서 캬브레터(46)의 후방 단부에 대해 판(162)를 잡아당기는 한쌍의 신장된 설비 나사(166)에 의해 두꺼운 덮개 벽부(68)에 고정되고, 그 결과 캬브레터에 의해 만들어진 연료-공기 혼합기는 보스 개구(136)을 통하여 그리고 리드 밸브(138)을 가로질러 크랭크 케이스내로 유동된다. 상기 필터 하우징(164)는 그 필터 하우징(164)를 통해 연장되어 있고 또 상기 쵸크판(162)내로 고정되어 있는 한쌍의 설비 나사(168)에 의해 상기 쵸크판(162)에 체결된다. 연료는 가요성 연료 라인(170)을 통하여 이하에 설명되는 방식으로 캬브레터(46)에 공급된다. 크랭크 샤프트 조립체(104)는 크랭크 케이스 베어링 지지부(128)을 통해 동축 방향으로 연장되고 베어링 구조물에 의해 그 안에서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비교적 큰 직경의 내측 종방향 샤프트부(172)를 갖는데, 상기 베어링 구조물에는 샤프트부(172)에 의해 유지되는 내측 크랭크 베어링(174)와, 상기 팬 하우징(26)으로 전방을 향해 돌출된 베어링 지지부(128)의 외측 단부내에 유지되는 외측 크랭크 베어링(176)이 포함된다. 내측 샤프트부(172)의 좌 단부는, 지점(178)에서와 같이, 시동기 하우징(30)을 통해 클러치 하우징(32)로 중심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또 외부에 나사가 새겨진 외측 단부(182)가 구비된 보다 작은 직경의 외측 종방향 샤프트부(180)으로 테이퍼된다.
상기 플라이휘일(108)은 상기 팬 하우징(26)내에 위치되고, 테이퍼부(178)를 포함하여 크랭크 샤프트의 종방향 중심부를 동축 방향에서 둘러싼다. 상기 플라이휘일은 키가 끼워지거나 그렇지 않으면 회전을 위해 크랭크 샤프트에 회전할 수 있도록 체결되고, 그 임펠러 블레이드(110)은 크랭크 샤프트에 의한 플라이휘일의 회전중에 시동기 하우징(30)내에 형성된 일련의 측벽 슬롯(186)을 통하여 동력 헤드 조립체(20)의 내부로 주위의 냉각 공기를 끌어들이는 기능을 한다. 동력 헤드 조립체의 내부로 유입되는 상기 공기(184)는 저측 후방 덮개 공동(74)를 통해서 핀이 붙어 있는 실린더(100)과 머플러(118)을 가로질러 오른쪽으로 유동되어 이들을 냉각시킨다. 머플러(118)을 오른쪽으로 가로지르는 냉각 공기(184)는 머플러로부터 배출되는 배기 개스를 냉각시키도록 배기 개스와 혼합된다. 그 다음 냉각 공기-배기 개스 혼합기(184,186)은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머플러 가드 안의 후방 단부벽 기공(158)을 통하여 머플러 가드(160)으로부터 후방으로 배출된다. 이로써 냉각된 배기 개스-냉각 공기 혼합기가 트리머 작동자로부터 후방으로 손쉽게 벗어나게 된다.
상기 크랭크 케이스(106)의 후방부(122)내에 배치된 크랭크 샤프트 카운터웨이트(counterweight) 부재(188)은 크랭크 샤프트부(172)의 내측 단부에 부착된다. 크랭크 샤프트 조립체(104)의 이러한 카운터웨이트부에는 커넥팅 로드(192)에 의해 피스톤(102)와 서로 동작가능하게 연결되는 크랭크핀(190)이 제공된다.
상기 클러치 조립체(112)는 크랭크 샤프트부(180)의 외측 단부상에 동축적으로 설치되고, 나사가 새겨진 크랭크 샤프트 단부(182)상으로 체결되는 너트(194)에 의해 그 위에서 유지된다. 환형 클러치 와셔(196)은 샤프트부(180)상에 역시 동축적으로 설치되고, 클러치 조립체(112)의 후방측면에 기대어져 있다. 신장된 플라이휘일 카운터웨이트 부재(198)의 내측 단부는 샤프트 부위에 활주 가능하게 유지되고, 플라이휘일(108)의 측면부(200)으로부터 중심에 대해 기대어져 있다. 카운트웨이트(198)은 샤프트부(180)상에 끼워져 유지되고, 그리고 샤프트부(180)상에 설치되고 그 양 단부에서 클러치 와셔(196)과 카운터웨이트(198)에 기대어져 있는 관형 리테이너 슬리이브(tubular retainer sleeve, 203)에 의해 상기 플라이휘일 표면과 접촉되어 유지된다.
상기 피스톤(102)가 그 상사점과 그 하사점에 인접해 있을때 크랭크 샤프트의 우측 단부상에 가해지는 피스톤(102), 커넥팅 로드(192) 및 그 관련 연결 구조의 반발력과 선형 관성에 따른 기관의 진동을 실제적으로 감소시키도록 상기 카운터웨이트 부재(198)이 가능하다. 상기 피스톤이 이러한 지점들에 인접해 있을때, 카운터웨이트의 종방향 축이 피스톤 축과 평행한 관계로 진동이 되어 상기 선형 관성 및 반발력에 의해 우측 크랭크 샤프트 단부상에 가해진 진동 토오크를 상쇄(offset)하도록, 크랭크 샤프트상에 적당히 정향된 대응력을 가하는 방식으로 카운터웨이트(198)이 플라이휘일(108)상에 정렬되어진다. 카운터웨이트 부재(198)을 상기 플라이휘일(108)과 적당히 정렬되게 유지하기 위해서, 상기 카운터웨이트(198)의 외측 단부는 적당히 인접한 한쌍의 플라이휘일 임펠러 블레이드(110) 사이에 수용되고 또 유지된다.
종래의 방식에 있어서, 상기 플라이휘일(108)은 전기 스파크를 배선(144)을 경유하여 스파크 플러그(116)에 전달하도록 빠르게 구동되는 원주부에 끼워 묻혀진 자석(도시되지 않음)을 가지고 있다. 스냅 작용 전기 킬(kill) 스위치(201, 제1도와 제2도)은 선택적으로 또 빠르게 기관 작동을 정지시키기 위해서 팬 하우징(26)의 상부에 설치되고 또 배선(144)에 적당히 상호 연결된다(도시되지 않은 방식으로),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래로 돌출된 스파크 플러그(116)은 주 덮개(24)의 아래로 돌출된 전방 가드와 지지부(202)의 후방에 인접해 있다. 상기 지지부(202)는 동력 헤드 조립체(20)이 땅에 놓여질때 동력 헤드 조립체(20)를 위한 지지부로서 가능하고, 또한 밖으로 돌출된 스파크 플러그를 손상되지 않도록 보호한다.
상기 시동기 하우징(30)은 시동기 하우징 지지 포스트(88)상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시동기 풀리를 포함하는 수동 시동기 조립체(204)의 일부를 형성한다. 상기 풀리(206)은 시동기 하우징 포스트(88)을 둘러싸고 또 내측 풀리 플랜지(210)와 시동기 하우징(30)의 전방벽(86) 사이에서 끼워져 유지되는 개략적으로 도시된 환형 비틀림 스프링 요소(208)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일련의 래칫 구동 이(ratchet drive teeth, 216)이 그 주변에 형성된 중심의 원통형 구동 허브(214)는 외측 풀리 플랜지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시동기 로프(218)은 상기 풀리(206)을 구동할 수 있도록 감싸고, 또 시동기 하우징(30)내에 있는 고리가 끼워진 개구(22)를 통해 밖으로 통과되어 대체로 T-형인 시동기 당김 핸들에 고정되는 외측 단부(220)을 가지고 있다. 로프의 내측 단부(226)은 플랜지(212)내에 형성된 풀리 나사 체결 개구(228)을 통하여 외부로 연장되어, 풀리 구동 허브(214) 주위에 묶여지거나 그렇지 않으면 풀리 구동 허브에 체결된다.
상기 핸들(224)이 제3도에서 도시된 것처럼 위로 당겨지는 것과 같은 종래의 방식으로, 시동기 로프(218)의 결과적인 연장은 상기 풀리(206)을 급속하게 회전시키고, 그것에 의해 비틀림 스프링(208)을 감아준다. 상기 구동 허브 이(216)은 회전식으로 플라이휘일을 구동하고 이에 따라 크랭크 샤프트를 구동하여 기관을 시동하도록 플라이휘일(108)상에 스프링 부하 시동기 도그(230)을 동시에 체결한다. 기관이 시동되자 마자, 도그(230)은 시동기 이(216)과 체결된 상태에서 밖으로 흔들려 나오고, 그에 따라 기관이 밸런스로부터 시동기 조립체가 탈속된다. 상기 핸들(224)가 느슨해질때, 조여진 비틀림 스프링(208)은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풀리(206)위에 시동기 로프(218)을 다시 감도록 작용한다.
상기 클러치 하우징(32)는 라이너 구조물(238)내의 트리머 샤프트내에 배치된 가요성 구동 샤프트(234)를 통하여 상기 기관(22)로부터 트리머 절단 헤드(14, 제1도)로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해서 상기 클러치 조립체(112)와 협동하여 기능하는 구동 및 커플링 조립체의 한 부분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핵심을 구성하지 않는 이러한 가요성 구동 시스템은 미합중국 특허 제4,451,983호에 도시되고 기술된 것과 비슷한 것이다.
구동과 커플링 조립체(232)에는,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러치 하우징(32)의 후방부내에 배치되고 개방 후방 단부를 가지고 있고 또 바깥쪽으로 클러치 조립체(112)를 둘러싸는 클러치 드럼(240)이 포함된다. 클러치 드럼(240)의 방사상으로 축소된 전방측벽(242)은, 지지 샤프트(94)와 그 지지 샤프트내에 수용되는 트리머 샤프트(12)의 내측 단부(12a)내로 축방향에서 안쪽으로 돌출되는 중공 관형 연결 부재(246)의 플랜지부(244)에 회전가능하게 체결된다. 상기 연결 부재(246)은 인접 환형 베어링 와셔(250)과 같이 지지샤프트(94)의 내측 단부와 용이하게 모울드되는 환형 베어링(248)에 의해 클러치 하우징(32)의 중공형 지지샤프트(94)내에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된다. 모울드된 베어링과 와셔(248,254)는 그 안에 형성된 한쌍의 입술형 플랜지(252,254)에 의해 지지부(94)의 내측 단부내에 끼워져 유지된다.
상기 관형 연결 부재(246)은 베어링(248)의 한 측부위에 위치된 어깨부(244)와, 부재(246)에 체결되고 또 그러한 베어링의 반대측부 위에 위치된 적당한 스냅링(256)에 의해 지지 요소(94)상에 끼워져 유지된다. 가요성 구동 샤프트(234)의 내측 단부(256)은 연결기 부재(246)의 전방 단부내의 보완적 형상을 가진 측방향 개구내에 활주가능하게 수용되고, 그것에 의해 샤프트(234)와 연결기 부재(246)을 회전 가능하게 체결한다.
상기 트리머 샤프트(12)의 내측 단부(12a)는 클러치 하우징(32)의 원통형 지지부(94)내에서 키로 끼워지거나 회전 가능하게 체결되어 양자간의 상대적 회전을 저지한다. 제2도에서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트리머 샤프트(12)의 내측 단부(12a)를 탈착 가능하게 수용하는 클러치 하우징(32)의 외측 단부에는 그 중심부를 따라 지점(258)에서 축방향으로 슬릿(slit)이 형성된다.
내측 트리머 샤프트 단부(12a)는 2개의 클램프 나사(260)에 의하여 클러치 하우징(32)의 외측 단부내에 탈착 가능하게 클램프되며, 상기 클램프 나사들은 슬릿(258)의 양측의 클러치 하우징(32)의 상하 전방부(262,264)를 통과하여 트리머 샤프트 단부(12a)의 주위로 상기 상하 전방부를 끌어당긴다.
상기 클러치 조립체(112)는 대체로 종래의 구조를 가진 것이고, 중심 허브부(266) 및 상기 허브(266)을 둘러싸고 또 작동할 수 있도록 마찰요소(268)을 체결하는 클러치 스프링 수단(270)에 의해 제3도에 도시된 방사상으로 안으로 후퇴진 지점으로 통상적으로 바이어스된 한쌍의 마찰 요소(268)을 가지고 있다. 상기 기관(22)이 소정의 회전 속도에 도달할때,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고 또 연결기 부재(246)과 가요성 샤프트 단부(256)간에 체결된 상호접속을 통하여 회전 동력을 상기 기관(22)로부터 가요성 구동 샤프트(234)를 통해 트리머 헤드(214)로 전달하도록 상기 마찰요소(268)은 허브(266)으로부터 클러치 드럼(240)의 내부면과 마찰 체결되도록 원심력으로 외측으로 이동된다. 상기 기관 속도가 이 소정의 수준 이하로 떨어질때, 상기 클러치 스프링 수단(270)은 마찰요소(268)상의 원심력을 극복하여, 클러치 드럼(240)과의 마찰 체결로부터 이탈되고 상기 기관(22)로부터 가요성 구동 샤프트(234)를 이탈시킨다.
이제 독특한 형상의 덮개(24)에 의해 제공되는 여러 이점들에 관해 논의하자면, 캬브레터(46) 및 그 관련 필터와 쵸크판 조립체(120)은 덮개의 수직으로 마주보는 후방부에 의해 한정되는 후방덮개 오목부(76)내에서 용이하게 배치되고 보호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오목부(76)내에 배치되었기 때문에, 이러한 부품들은 이러한 덮개(24)의 외측부에 의해 손상으로부터 매우 잘 보호된다. 그러나 상기 부품들의 수리와 보수를 위한 접근이 매우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앞에서 기술된 대로, 캬브레터(46) 및 필터와 쵸크판 조립체(120)은 덮개의 후방부로부터 쉽게 접근할 수 있는 두개의 나사(166)과 두개의 나사(168, 제4도 및 제8도 참조)를 제거함으로써 간단히 덮개로부터 신속하게 제거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캬브레터(46)이 덮개 오목부(76)내에서 안전하게 보호되는 반면에, 그것의 공전, 고속 및 저속 조정 나사(272,274 및 276, 제5도)는 어느 관련 부품, 커버판 등을 제거할 필요없이 덮개(24)의 측부로부터 스크류 드라이버에 의해 쉽게 맞춰질 수 있다.
제3도에서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24)는 가요성 연료선(170)을 통하여 상기 캬브레터(46)에 공급하기 위한 가솔린을 보유하고 있는 상부 설치된 개스 탱크(278)의 저부를 형성한다. 상부 덮개벽(58)의 주위에는 덮개(24)의 상부(284)에 위치된 아래로 오목한 우물부(282)를 벽(58)로 한정하는 직립 플랜지부(280)이 형성된다. 상부에 설치된 개스 탱크(278)의 밸런스를 우물(282)로 형성하기 위해서, 나사식 개스 캡(288)이 구비된 모울드된 플라스틱 탱크 커버 요소(286)은 그 개방 저 단부(290)가 우물 플랜지부(280)의 상 단부에 진동 용접된다. 상기 가요성 연료 라인(170)은 저부 탱크벽(58)내에 형성된 적당히 밀봉된 개구(도시되지 않음)를 통하여 위로 지나가고, 그 상측 단부에 중량이 부가된 연료 입구 필터 요소(292)를 갖는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동력 헤드 조립체(20)의 독특한 형상의 주 덮개부(24)는 편리한 다기능의 "베이스"를 형성하고, "쌓여진" 하우징부(26,30 및 32)를 포함하는 다른 동력 헤드 조립체 부품을 상기 베이스에 연결되고 지지된다. 이러한 쌓여진 하우징 구조물의 요소는 후술되는 방식으로 덮개상에서 지지되고 또 그 안에 배치되는 기관(22)에 대해 실제적으로 향상된 유지, 보수 및 교체를 위한 접근이 이루어지도록 주 덮개(24)와 독특하게 협력한다.
클러치 조립체(112)에 신속하게 접근하는 것은, 4개의 설비 나사(34, 제2도)를 제거하고 구동 및 커플링 조립체(232)를 동력 헤드 조립체의 밸런스로부터 좌측으로 이탈하도록 잡아당기고, 그에 따라 너트(194)로 용이하게 제 위치에 유지되는 클러치 조립체를 노출시킴으로써 간단하게 달성된다. 그때 상기 클러치의 마찰요소(268)은 필요한 대로 검사되고 또 보수되거나 대체될 수 있다. 동시에, 클러치 드럼(240)도 쉽게 검사될 수 있다. 구동 및 커플링 조립체(232)를 그것이 클램프되어 있는 상기 트리머 샤프트로부터 제거하는 것이 필요하다면, 구동 및 커플링 조립체(232)가 트리머 샤프트 단부(12a)로부터 오른쪽으로 단순히 당겨져 이탈되는 것이 가능하도록 상기 클램핑 나사(260, 제2도)는 간단하게 노슨해질 수 있다.
구동 및 커플링 조립체(232)가 시동기 하우징(30)으로부터 제거될때, 상기 노출된 클러치 조립체(112)는 크랭크 샤프트 상에 시동기 조립체를 유지한다. 조립체(112)의 내부를 검사하는 것이 필요한 경우, 필요한 동작은, 크랭크 샤프트 단부 너트(194)를 제거하고, 상기 클러치 조립체를 크랭크 샤프트로부터 이탈하여 왼쪽으로 활주하게 한 다음, 시동기 조립체(204)를 크랭크 샤프트로부터 이탈하여 왼쪽으로 유사하게 활주하게 하는 것이다.
그 다음에, 전체 플라이휘일(108)과 점화 모듈(114)에 접근하는 것은 나사(28, 제2도)를 제거한 후 팬 하우징(26)를 제거함으로써 간단히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팬 하우징(26)이 이러한 방식으로 제거된 후에, 상기 기관(22)의 전체 구조는 4개의 기관 설치 볼트(134, 제4도)와 스파크 플러그(116)을 제거한 후 탈착된 기관을 상기 덮개(24)의 개방 전방 단부(56)을 통해 바깥쪽으로 잡아당김으로써 간단히 제거될 수 있다. 비슷하게 신속한 방식으로, 상기 캬브레터(46) 및 필터와 쵸크판 조립체(120)도 나사(166과 168, 제4도)를 제거함으로써 제거될 수 있다. 동력 헤드(20)의 재조립은 본질적으로 이러한 단계들을 역순으로 행함으로써 쉽게 달성될 수도 있다.
제6a도와 제6b도를 참조하면, 전술된 시동기 조립체(204)는 시동기 로프(218)의 초기 또는 이후의 수리 설치를 용이하게 하고 또 더 안전하게 하는 독특한 설계이다. 풀리 구동 허브(214)상에 동축적으로 설치된 시동기 로프 풀리(206)는 4개의 원주 방향으로 이격된 모울드된 보스부(298)로부터 반지름 방향에서 안쪽으로 위치된 축방향으로 구부러져 연장되는 안내 모울딩(294,296)에 의해 부분적으로 형성된 원호상의 안내 구조물내에 수용되며, 각각의 상기 보스(298)는 각기 4개의 설치 나사(34, 제2도)들중 하나를 수용하기 위한 축방향 관통 원형 개구(34a)를 갖는다.
반지름 방향에서 바깥쪽으로 도출된 대체로 V형인 그루우브(100)는 안내 모울딩(296)의 좌 단부상에 형성되고, 모울딩(296)의 우 단부는 비틀림 스프링(208)의 반지름 방향으로 가장 멀리 있는 단부를 유지하는데 사용된다. 시동기 하우징(30)의 두꺼운 부분(302, 제3도)은 안내 모울딩(296)의 반지름 방향에서 바깥쪽으로 위치되어 거기에 체결되고, 가늘고 긴 풀리는 작은 나사(304)에 의해 탭 부재(306)를 유지한다. 제6a도 및 제6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탭(306)의 반지름 방향의 내측 단부는 외측 풀리 플랜지(212)의 반지름 방향의 외측 표면부 위에 놓여 있고, 그에 따라 상기 풀리(206)가 구동 허브(214)로부터 축방향으로 빠져나오는 것을 방지한다. 후술될 목적을 위해서, 작은 반원형 노치(308)는 외측 풀리 플랜지(212)의 외측 원주부에 형성된다.
상기 수동 시동기 조립체(204)가 전술된 것처럼 동력 헤드 조립체(20)로부터 제거되면 시동기 로프(218)는 다음의 안전하고, 신속하며 또 편리한 방식으로 교체될 수 있다. 이 절차 설명의 목적을 위해서, 제6a도에서 도시된 시동기 로프(218)는 마모되어 교체될 필요가 있다가 가정될 것이다. 이러한 교체를 위해서, 마모된 로프(218)는 먼저 풀리에서 제거되어 폐기될 것이다. 다음에, 상기 풀리(206)는 비틀림 스프링(208)을 완전히 조이도록 손으로 감겨지고, 그 후 풀리 플랜지 가장자리 노치(308)가 제6b도에 도시된 대로 안내 모울드 V형 그루우브(300)와 정렬되어질 때까지 거의 한바퀴 물러난다. 이렇게 수동으로 풀리(208)를 감는 동안에 그리고 그후에, 탭(306)은 스프링(208)이 비틀림하에 있을때 튀어나가거나 새로운 시동기 로프의 설치자에게 상처를 입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허브(214)상에 풀리(206)를 유지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그루우브(300)와 노치(208)가 제6b도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정렬되어 졌을때, 적당한 핀 요소(310)는 상기 그루우브와 노치(300과 308) 사이의 공간내로 축방향으로 삽입되고, 그에 따라 감겨진 비틀림 스프링(208)에 의해 야기되는 회전에 대항하여 상기 풀리를 고정한다. 상기 핀 요소(310)가 이러한 방식으로 삽입되면, 상기 풀리는 느슨해질 수 있고, 그에 따라 새로운 시동기 로프를 설치할 수 있도록 설치자의 양손이 자유로워진다.
상기 풀리가 일시적으로 이러한 방식으로 체결될때, 상기 풀리 나사 구멍(228)은 고리가 끼워지는 로프 개구(222)와 원주 방향에서 정렬되어진다. 그 다음 새로운 시동기 로프의 외측 단부는 시동기 당김 핸들(224)에 고정되고, 또 로프의 내측 단부는 고리가 끼워진 개구(222)를 안쪽으로 통과해서 풀리 플랜지들 사이의 공간내로 하여 개구(228)를 통과해서 바깥쪽으로 나오는 식으로 꿰어진 후, 제6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 허브(214) 주위에 고정된다. 이러한 꿰어짐과 부착 과정중에 작동자의 양손이 핀 요소(310)의 체결 작용으로 인하여 자유롭게 되고, 또 감겨진 스프링(208)이 탭(306) 유지 작용에 의해서 안전하게 그 이탈이 방지되는 점이 중요하다.
이제 필요한 것은 한 손으로 고리 개구(222)에 인접한 하우징(30)의 일부와 새로운 로프의 일부를 유지하면서, 다른 한 손으로는 핀 요소(310)를 제거하는 것이다. 그 다음 하우징의 바깥으로 배치된 새로운 로프 부분은 손가락을 통하여 미끄러질 수 있게 되며, 비틀림 스프링(208)은 새로운 로프(218)를 풀리(206)상에 자동적으로 되감기를 풀어지고 제6a도에 도시된 것처럼 하우징(30)에 대해 핸들(224)을 뒤로 당긴다. 이러한 개선된 시동기 조립체(204)에서 달성될 수 있는 매우 큰 안전도와 유지도 향상은 본 발명에 의해 저렴한 가격에 제공된다.-즉, 그루우브(300), 노치(308), 나사(304) 및 유지 탭(306)의 제공 비용.
본 발명에 따른 타이머(10)의 다른 특징들은 제7도 내지 제9도에 도시된 상기 필터와 쵸크판 조립체(120)의 구조와 작동에 관한 것이다. 상기 필터 하우징(164)은 신장된 대체로 직사각형의 형상을 갖고 있으며, 개방 전방 단부; 후방벽(312); 일련의 공기 유입 개구(316)를 가진 측벽부(314); 개방 전방 단부와 인접해 있는 주변 전방 돌출 플랜지(318); 및 상기 플랜지(318)에 안쪽으로 인접한 후방 삽입 주변 레지(ledge, 320)를 구비하고 있다. 아크형으로 배치된 일련의 이격 지지핀(322)은 후방벽(312)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고, 상기 핀 주위에 필터 하우징(164)내에 배치된 발포형 공기 필터 재료(324)의 스트립이 구부러져 있다. 하우징(164)의 전방 우측 단부는 그 내부에 노치(326)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노치는 래치(320)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상기 쵸크판(162)은 상기 플랜지(318)내에 꼭맞게 수용되고 나사(168)에 의해 레지(320)와 맞붙게 되고, 판(162)의 단부 텝부(328)는 노치(326)의 전방 측부에 수용된다. 신장된 판형 쵸크 레버(330)의 중심부는 설비 나사(166)중 하나에 의해서 쵸크판(162)의 후방면에 피봇되고 그 결과 레버(330)의 내측 단부(322)는 판(162)을 통과해 형성된 중심 환형 쵸크 개구(334)의 전체 또는 일부분 위로 선택적으로 피봇되어 기관(22)을 선택적으로 쵸크할 수 있게 된다.
쵸크 레버(330)는 판의 단부 탭부(328)를 넘어서 바깥쪽으로 돌출한 외측 단부(336)를 가지고 있고, 그 외측 단부에는 레버(330)를 선택적으로 피봇하도록 손가락에 의해 쉽게 작동될 수 있는 전방으로 구부러진 단부 탭부(338)가 구비된다. 레버(330)의 피봇 운동은 판(162)상의 후방 돌출 멈춤핀부(340과 342)에 의해 제한되며, 적당한 멈춤 홈(344,346과 348)이 판(162)의 후방면내에 형성된다. 이들 멈춤 홈은 외측 쵸크 레버 단부(336)상의 보완적 형상의 멈출 돌출부(350)와 협력하여 용이하게 세개의 선택 쵸크 위치의 하나에서 레버를 유지한다.
상기 쵸크판(162)이 앞에서 서술한 바와 같이 필터 하우징(164)에 견고하게 고정되고, 상기 필터 하우징 노치(326)에 인접한 발포형 필터 스트립(324)의 전방측 가장자리부(324a)는 판(162)의 내측면(162a)에 대해 가압되고 또한 쵸크 레버(330, 제9도 참조)의 외향 돌출 단부(336) 주위로 가압되어 움직여질 수 있는 먼지 밀봉체(352)를 외향 돌출된 쵸크 레버부(336)의 주위에 유지한다. 제9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레버부(336)가 그 실선 위치로부터 그 점선 위치로 아래로 움직여질때, 밀봉체(352)는 레버부와 함께 움직여지고, 그 결과 그 실선 위치에서 레버부(336)에 의해 이전에 눌려진 필터 요소 측면부(324a)의 부분은 판(162)의 내측면(162a)과 함께 체결되도록 뒤로 움직여진다. 발포형 필터 요소(324)와 레버(330) 사이에서의 이러한 방식의 협력에 의해 궁극적으로 캬브레터(46)에 도달하는 여과되지 않은 공기의 양이 줄어든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제10도와 제11도를 참조하여 이제 설명될 어깨띠 커넥터 조립체(52)의 구조와 작동에 있다. 어깨띠(54) 고유의 유연성 때문에 이를 통해 트리머 사용자에게 전달되는 샤프트 진동이 어느 정도 최소화될 것이라고 추측될 수도 있지만, 어깨띠가 샤프트에 어깨띠의 외측 단부를 연결하는 종래의 강성 클램프 부재에 전형적으로 연결되어 있을때 실제적으로는 놀랄만큼 큰 양의 샤프트 진동이 그러한 스트랩(54)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전달된다. 그러나 스트랩(54)을 통하여 전달되는 이러한 귀찮고 때론 피곤한 샤프트 진동의 상당량은 대체로 U형인 모울드 플라스틱 클램프부(354)를 포함하는 탄성 커넥터 조립체(52)에 의해 제거되는데, 상기 플라스틱 클램프부의 종속 아암(356,358)은 트리머 샤프트(12) 아래로 돌출되고, 클램프 부재(354)의 구부러진 토대부(364)를 샤프트(12)에 대해 단단히 죄도록 클램프 나사 및 체결 너트 조립체(360,362)에 의해 함께 죄어진다.
모울드된 플라스틱 커넥터 부재(368)의 돌출 토대부(366)는 반지름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나사(370)에 의해 토대부(364)의 폐쇄 상부에 고정되는데,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나사(370)는 토대부(364와 366)에 형성된 정렬된 구멍을 통하여 위로 연장되고, 토대부(364)의 반지름 방향 내면 오목부(374)에 수용되는 헤드(372)를 가지고 있고, 또 나사(376)의 종방향 중간부를 따라 위치되고 토대부(366)내에 형성된 오목부(378)안에 수용되는 체결 너트(376)내로 끼워진다. 한편으로는, 물론 클램프부(354)와 연결 부재(368)는 필요한 경우에 서로 일체적으로 모울드될 수 있다.
상기 연결기 부재(368)는 중공의 대체로 배럴(barrel) 형상인 진동 분리 부재(384)의 측면 주위에 형성된 환형의 외부면 채널(382)내에 유지되는 반지름 방향의 내측부를 가진 환형 상단부(380)를 가지고 있다. 분리기 부재(384)는 적당한 탄성의 탄성 중합체로 만들어지고, U형의 금속 스냅 커넥터 부재(398)의 저단부(394,396)에 안쪽으로 인접한 대체로 접시형의 분리기 지지 부재(390과 392)에 각각 수용되는 테이퍼된 마주보는 단부(386,388)를 가지고 있다.
부재(398)는, 상기 커넥터 부재 단부(394와 396)와 접시형 부재(390과 392) 및 분리기(384)의 테이퍼된 단부(386과 388)를 통하여 연장되고 또 분리기의 내부를 통하여 측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연결 볼트(400)에 의하여 탄성 분리기 부재(384)에 고정된다. 상기 볼트(400)의 외측 단부는 적당한 유지 너트(402)내로 나사식으로 끼워진다. 볼트(400) 대신에 리벳과 같은 다른 적당한 타입의 체결 부재가 필요한 경우에 활용될 수 있다.
관형 금속 스페이서 부재(404)는 분리기(384)의 내부에 위치되고, 볼트(400)의 종방향 중앙부를 동축적으로 둘러싸고, 또 그 대향 단부들에서 분리기(384)의 외측 단부(386,388)의 내부면에 대향하여 지지되어 있다. 어깨띠(54)의 도시된 루프 형상의 외측 단부는 작은 클립 부재(408)의 직사각형 활주 루프 단부(406)를 통과하게 되고, 상기 클립 부재는 스냅 커넥터 부재(398)상으로 직접 클립되거나 혹은 도시된 바와 같이 부재(398)에 연결되어 있는 분할 링 어댑터 부재(410)상으로 클립될 수 있다.
상기 스냅 커넥터 부재(398)가, 그 중공 형상 때문에 축방향 또는/및 반지름 방향으로 구부러질 수 있는 중공형 진동 분리 부재(384)에 의해, 연결기 부재(368)의 토대부(366)로부터 완전히 분리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그렇지 않았다면 상기 클램프 부재(354)로부터 연결 구조를 통하여 어깨띠(54)로 전달되었을 샤프트 진동의 상당량이 분리기 부재(384)에 의해 흡수되고 감소된다.
전술된 동력 헤드 조립체(20)의 또 다른 실시예(20a)가 제12도에 도시된다. 비교의 편이를 위해서, 조립체(20)에 있는 부품들과 비슷한 조립체(20a)의 부품들에는 아래 첨자("a")를 가진 동일한 참조 번호가 주어진다. 덮개와 하우징 구조(24a,26a,30a및 32a)내에 배치된 기관과 클러치 부품들은 상기 파워 헤드 조립체(20)의 부품들과 동일하고, 상기 기관에는 외부에 설치된 필터 하우징과 쵸크판 조립체(120a)와, 두꺼운 덮개 지지벽부(68a)에 장착된 관련 캬브레터(46a)가 구비된다.
그러나 조립체(20a)에서, 주 덮개(24a) 후방 단부의 보호 오목부(76a)는 상기 덮개 그 자체에 의해서 완전히 형성되는 것은 아니다. 대신에, 덮개(24a)에는, 상기 팬 하우징(26a)의 평평한 최상부 벽부(416)에 바로 인접한 본질적으로 평평하고 전방 배치된 상부벽부(414)와 중간벽(70a)의 내측 단부 사이에서 연장되는, 전방 및 상방으로 경사진 상부 후방벽부(412)+가 구비된다. 부가적으로, 변형된 덮개(24a)는 동력 헤드 조립체의 개스 탱크부의 일부분을 일체적으로 형성하지 않는다. 대신에 개별적으로 모울드된 플라스틱 개스 탱크(418)가 제공되고, 상기 덮개와 팬 하우징 상부벽부(414,416)의 위에 놓여진다. 상기 탱크(418)는 상기 덮개벽(412)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고 또 상기 덮개벽(412)을 따라 아래로 연장되는 후방부(420)를 가지고 있다. 상기 후방 탱크부(420)는 후방 및 상방으로 경사진 후방 바닥벽부(422)를 가지고 있고, 그 벽부(422)는 상기 덮개벽(68a,70a)과 더불어 보호 오목부(76a)를 형성한다. 상기 탱크(418)는 적당한 연결 브래킷 구조(428)에 의해 팬 하우징(26a)의 후방 어깨부(426)에 고정되는 전방측부(424)를 가지고 있다. 상기 후방 탱크부(420)는 필요하다면 적당한 상호 체결 립(lip)수단(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경사진 덮개벽(412)에 부가적으로 체결될 수도 있다.
동력 헤드 조립체(20)의 또 다른 실시예(20b)가 제13도에 도시되어 있다. 동력 헤드 조립체(20b)는 조립체(20)의 직접 구동(즉, 무-클러치의)형이고, 다수의 변형부를 가지고 있다. 덮개(24b)는 제12도와 관련하여 기술된 덮개(24a)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고, "쌓여진"방식으로 덮개에 체결된 탈착 가능한 개개의 팬 하우징, 시동기 하우징 및 클러치 하우징을 가지는 대신에, 덮개(24b)는 전방에서 후방으로 서로 일체적으로 모울드된 커플링, 시동기 및 팬부(432,434 및 436)를 갖는 전방으로 체결된 단일 하우징 구조(430)를 가지고 있다. 단일의 하우징 구조물(430)은 쌓여진 분리 하우징(제12도의 26a,30a및 32a)과 외관상 비슷하지만, 상기 커플링부(432)는 동력 헤드 조립체(20b)에 클러치가 없기 때문에 전후 방향에서 더 짧다.
제14도를 참조하면, 플라이휘일(108b)은 팬부(436)내에 위치되고, 시동기 풀리(206b)와 그 관련 비틀림 스프링(208b)은 단일의 하우징 구조물(430)의 시동기부(434)내에 위치됨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무-클러치형 동력 헤드 조립체에서, 크랭크 샤프트의 외측 단부(180b)는 상당히 짧아지게 되고, 플라이휘일 카운터웨이트(198b)가 배치되는 중앙 플라이휘일 면(200b)으로부터 짧은 거리만큼 밖으로 돌출된다. 상기 크랭크 샤프트 단부(180b)는, 커플링부(432)의 지지샤프트(94b)의 내측 단부로 동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중공의 관형 커플링 부재(438)의 우단부내에 회전할 수 있도록 체결된다. 상기 커플링 부재(438)의 좌단부는 가요성 구동 샤프트(234)의 정방형 단부(256)를 회전될 수 없게 수용하고, 상기 트리머 샤프트(12)는 동력 헤드 조립체(20)의 클러치 하우징(32)과 관련하여 이전에 기술된 바와 같이 커플링부(432)내에 클램프된다. 이러한 동력 헤드 조립체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플라이휘일 카운터웨이트(198b)는 커플링 부재(438)의 우단부에의해 플라이휘일면(200b)에 대하여 끼워져 유지된다.
상기 시동기 풀리(206b)는(제3도와 관련하여 설명된 지지 포스트(88)를 대체하는) 지지 샤프트(94b)의 축소된 지름의 내측 단부(440)상에 설치되고, 또 작은 나사(448)에 의해 두꺼운 하우징 벽부(446)에 고정되는 와셔(444) 또는 다른 적당한 유지 부재에 의해 그 전방 단부를 따라 샤프트(94b)의 어깨부(442)와 접하도록 유지된다. 상기 비틀림 스프링(208b)은 한 측부상에 있는 상기 풀리 플랜지(210b)와 다른 측부상의 어깨부(442) 및 내부 하우징 어깨부(450) 사이에 끼워져 유지된다. 제14도에서 알 수 있듯이, 시동기 조립체, 플라이휘일 및 기관의 밸런스 둘다에 매우 빨리 접근하는 작업은 주 덮개(24b)로부터 단일의 하우징 구조물(430)을 제거함에 의해서 간단히 달성될 수 있다. 시동기 로프의 교체는 제6a도 및 제6b도와 관련하여 이미 기술된 방식으로 쉽고 안전하게 달성될 수 있다.
동력 헤드 조립체(20b)에 대한 또 다른 변형 실시예에서는(조립체(20a)의 경우에서와 같이) 상기 덮개(24b)가 동력 헤드 조립체(20b)의 개스 탱크부를 일체적으로 형성하도록 활용되지 않는다. 대신에 분리 모울드된 플라스틱 개스 탱크(452)가 제공되고, 상기 덮개와 하우징 벽부(414b와 416b)로부터 위로 이격된 L형 작동 핸들(454)의 후방 단부에 적당히 체결된다. 상기 탱크(452)는 적당히 덮개벽부(412b)에 고정되고, 또 필터와 쵸크판 조립체(120b) 및 캬브레터(46b)위에 놓여지고, 그에 따라 그러한 부품들이 수용되는 보호 오목부(76b)를 부분적으로 형성한다. 상기 핸들(454)의 아래로 구부러진 전방 단부(456)는, 하우징 구조물(430)과 일체적으로 모울드되고 또 시동기와 팬부(434와 436)의 상단부에서 그로부터 전방과 상방으로 돌출된 지지웹(460)에 지점(458)에서와 같이 적절히 체결된다. 상기 핸들(454)에는 전방 핸들 단부(456)에 인접하여 피봇적으로 설치된 드로틀 트리거(460)가 제공되고, 상기 트리거(460)는 적당한 케이블 수단을 경유하여 캬브레터 드로틀 아암에(도시되지 않은 방식으로) 작동 가능하게 상호 연결된다. 이 동력 헤드 조립체의 실시예가 활용될때 상기 핸들(454)은 후방 작동자 제어 핸들로서 기능하므로, 이 동력 헤드 조립체 실시예가 트리머(10)와 일체화될때 제1도에 도시된 상기 원통형 손잡이(36)와 관련 드로틀 제어 구조물은 생략될 수 있다.
이전에 기술된 동력 헤드 조립체(20,20a및 20b)를 비교하면 쉽게 알 수 있듯이, 그 각각은 독특한 "모듈"방식으로 구성되는데, 이 방식은 비용적으로 매우 효과적이며 또한 초기 제조 및 조립이 쉽고, 아울러 유지, 점검 및 보수의 목적으로 이후에 부분적 또는 전체적으로 분해하기가 대단히 용이하다. 이러한 독특한 모듈 구조 때문에, 동력 헤드의 내부 부품으로 접근하는 것은 매우 용이해지고, 그 결과 상기 공구 구입자는 훨씬 더 쉽게 보통의 유지, 보수 및 부품 대체 작업의 대부분을 수행할 수 있다.
다시 제3도 및 제4도를 참조하면, 동력 헤드 조립체(20)(그것은 모듈의 관점에서 제12도의 조립체(20a)와 동일하다)의 쉽게 분리 가능한 "모듈"에는 덮개(24)와 거기에 체결된 기관(22)을 포함하는 기관 모듈, 팬 하우징(26)을 포함하는 팬 하우징 모듈, 시동기 조립체(204)에 이해 형성된 시동기 모듈 및 구동 및 커플링 조립체(232)에 의해 형성되는 커플링 모듈이 포함된다.
제13도에 도시된 직접 구동형(20b) 동력 헤드 조립체에서는 두개의 쉽게 분리될 수 있는 모듈이 있다. - 즉, 어느 정도 변형된 덮개(24b)와 거기에 체결된 기관에 의해 형성되는 기관 모듈과, 일체형의 전방 하우징의 구조(430)와 그 안에 유지되고 그것과 함께 탈착 가능한 전술된 시동기와 커플링 구조물에 의해 형성되는 결합된 팬 하우징, 시동기 및 커플링 모듈, 동력 헤드 조립체들(20 및 20b)을 비교하면, 조립체(20)의 팬 하우징, 시동기 및 커플링 모듈들은 클러치 조립체(112)를 수용하도록 제공된 조립체(20b)의 단일의 팬 하우징, 시동기 및 커플링 모듈의 부모듈적인(submodular) 대응부로서 개념적으로 특징될 수 있다.
기술된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본 발명은 구조, 작동, 유지 및 보수의 접근 용이성, 비용 절감 및 전반적인 작동의 편리함 및 안락함과 관련하여 다양한 방법에서 실질적으로 향상된 휴대용 회전 동력 공구를 제공해 준다는 것을 상술한 바로부터 알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원리들이 여기에 기술된 특별한 형태의 동력 공구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매우 넓은 범위의 다른 활용예에 채용될 수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상세한 설명은 단지 예시 및 예로서 주어진 바에 따라 명백히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는 오로지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해서 한정될 것이다.

Claims (26)

  1. 소정의 작업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동 가능한 작업 수단; 동력원으로부터 회전 동력을 받고 또 받은 동력을 상기 작업 수단에 절단하여 상기 작업 수단이 구동되도록 하기 위한 동력 전달 수단; 및 동력 헤드 조립체를 포함하는 내연 기관 구동형 동력 공구에 있어서, 상기 동력 헤드 조립체가, 개방 전방 단부, 상기 개방 전방 단부로부터 후방으로 이격된 기관 지지벽부, 상기 지지벽부를 그 외부면으로부터 내부면으로 통과하여 연장되어 있는 연료-공기 혼합기 통로, 상기 연료-공기 혼합기 통로위에서 상기 지지벽부의 내부면에 작동 가능하게 고정된 리드 밸브 및 상기 지지벽부의 후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덮개 부재의 내부와 연이어 통하며 후방 단부 개구를 가진 체임버를 갖는 덮개 부재; 기관이 부분적으로 상기 덮개 부재에 싸여있고, 또 상기 지지벽부가 크랭크 케이스의 후방 폐쇄벽을 형성하도록 상기 리드 밸브위로 상기 지지벽부에 내부적으로 고정된 개방 후방 단부를 갖는 크랭크 케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기관의 밸런스가 상기 크랭크 케이스로부터 지지되고, 상기 기관이 상기 덮개 부재내의 상기 크랭크 케이스의 측부에 연결된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에 체결되고 또 상기 체임버내에 위치된 머플러와, 상기 지지벽부에 외부에서 체결되고 또 상기 연료-공기 혼합기 통로위로 작동 가능하게 위치된 캬브레터를 추가로 구비하는, 회전 동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내연기관; 상기 덮개의 개방 단부위에서 상기 덮개 부재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는 하우징 수단; 상기 기관을 상기 동력 전달 수단에 회전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상기 하우징내에 위치된 커플링 수단; 상기 기관을 시동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상기 덮개 부재로부터 제거 가능하도록 상기 하우징 수단의 일부에 내측으로 지지되는 수동 작동 시동기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 구동형 동력 공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 부재가 삽입된 외측부를 가지고 있고, 또 상기 동력 공구가 상기 삽입된 외측벽부와 더불어 상기 동력 헤드 조립체의 연료 탱크부를 한정하도록 상기 삽입 외측벽부의 주위에 밀봉되고 체결된 개방 단부를 가진 쉘 부재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 구동형 동력 공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 부재는 상기 덮개 부재내에 상기 캬브레터가 수용되는 외부 오목부를 상기 지지벽부와 더불어 형성하는 한쌍의 이격된 외측벽부를 가지고 있고, 상기 외측벽부가 상기 캬브레터를 손상되지 않도록 보호하면서도 상기 덮개 부재의 외부로부터 상기 캬브레터에 접근 가능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횡방향 후방으로 상기 캬브레터의 위로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 구동형 동력 공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내에서 상기 캬브레터에 의해 유지되며, 상기 캬브레터에 의해 수용되는 공기를 여과하기 위한 공기 필터 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 구동형 동력 공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수단이 단일의 하우징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기관이 상기 단일 하우징 부재내에 배치된 외측단부를 가진 크랭크 샤프트를 가지고 있고, 상기의 단일 하우징 부재가 상기 외측 크랭크 샤프트 단부와 축방향으로 정렬되고 그 전방으로 위치된 관형 지지 샤프트 부를 내부에 가지고 있고, 상기 커플링 수단이 상기 지지 샤프트 부내에 배치되고 상기 외측 크랭크 샤프트 단부와 상기 동력 전달 수단을 회전적으로 접속하는 커플링 부재를 포함하고, 또 상기 시동기 수단이 상기 지지 샤프트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지지 샤프트부 상에 동축 방향으로 유지된 시동기 로드 풀리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 구동형 동력 공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수단은 서로에 대해 또 상기 덮개 부재의 상기 전방 단부에 대해 탈착 가능하게 연결된 제1,제2 및 제3하우징부를 포함하는데, 상기 제1하우징부가 상기 덮개 부재의 상기 전방단부와 전방에서 접촉하고 있고, 상기 제2하우징부가 상기 제1하우징부와 전방에서 접촉하고 있으며, 상기 제3하우징부가 상기 제2하우징부와 전방에서 접촉하고 있고, 상기 기관은, 상기 제1 및 제2하우징부를 통하여 상기 크랭크 샤프트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고 그 외측 단부가 상기 제1하우징부안에 배치되며 또 원심 클러치 조립체가 그 위에 탈착 가능하게 유지되는 크랭크 샤프트와, 상기 크랭크 샤프트상에 회전적으로 체결되고 상기 제1하우징내부에 배치된 플라이휘일을 구비하며, 상기 시동기 수단은 탈착 가능하도록 상기 크랭크 샤프트를 동축적으로 둘러싸고 상기 제2하우징부내에 회전가능하게 유지되는 시동기 로프 폴리를 포함하고, 또 상기 커플링 수단은, 상기 기관의 회전 속도가 소정의 크기에 도달할때 상기 원심 클러치 조립체에 의해 마찰적으로 체결되어 회전적으로 구동되고 또한 제거 가능하도록 상기 제3하우징부내에 회전 가능하게 유지되는 클러치 드럼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 구동형 동력 공구.
  7. 소정의 작업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동 가능한 작업 수단; 동력원으로부터 회전 동력을 받고 또 받은 동력을 상기 작업 수단에 전달하여 상기 작업 수단이 구동되도록 하기 위한 동력 전달 수단; 및 회전 동력을 상기 동력 전달 수단으로 공급하기 위한 모듈러 동력 헤드 수단을 포함하는 내연기관 구동형 동력 공구에 있어서, 상기 모듈러 동력 헤드 수단이, 개방 전방 단부를 갖는 덮개 부재 및 상기 부재의 벽부에 의해 지지 고정된 내연기관을 구비하는 기관 및 모듈로, 상기 기관에는 상기 덮개 부재내에 배치되고 상기 개방 전방 단부를 통해 탈착 가능한 크랭크 케이스 및 실린더부와, 상기 덮개 부재의 개방 전방 단부로부터 전방으로 돌출하는 종방향 전방부를 가지며 또한 외측 단부를 갖는 크랭크 샤프트와, 상기 크랭크 샤프트의 종방향 전방부에 동축적으로 유지되고 회전 가능하게 체결된 플라이휘일이 구비되는 기관 모듈; 상기 덮개 부재의 개방 전방 단부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고 또 상기 플라이휘일과 상기 크랭크 샤프트의 전방 종방향부를 둘러싸는 하우징부; 상기 하우징내에 위치되며, 상기 기관을 상기 동력 전달 수단에 회전가능하게 커플링하기 위한 커플링 수단; 및 상기 덮개 부재로부터 제거 가능하도록 상기 하우징부에 의해 유지되며, 상기 기관을 시동하기 위한 수동 작동 시동기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 구동형 동력 공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 상기 시동기 수단 및 상기 커플링 수단은 협동하여, 상기 덮개 부재의 개방 단부에 탈착 가능하게 체결된 전방에서 후방으로 쌓여진 조립체에서 서로에 대해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팬 하우징, 시동기 및 커플링 모듈을 형성하고, 상기 팬 하우징 모듈은, 상기 덮개 부재의 개방 전방 단부와 전방에서 접촉하고 있고 또 상기 플라이휘일을 둘러싸고 있는 상기 하우징의 제1부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시동기 모듈은, 제거 가능하도록 상기 시동기 수단을 유지하며 상기 제1하우징부와 전방에서 접촉하고 있는 상기 하우징의 제2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플링 모듈은, 상기 클램핑 수단을 제거 가능하도록 내부에 유지하며 상기 제2하우징부와 전방에서 접촉하고 있는 상기 하우징부의 제3부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 구동형 동력 공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기관은 상기 커플링 모듈내에 배치되고 상기 크랭크 샤프트의 외측 단부상에 끼워져 유지되는 원심 클러치 조립체를 가지고 있는데, 상기 클러치 조립체가 상기 덮개 부재상에 상기의 팬 하우징과 시동기 모듈은 유지하고 또 상기 덮개 부재로부터 상기 팬 하우징과 시동기 모듈을 제거 가능하도록 상기 외측 크랭크 샤프트 단부로부터 제거 가능하고, 상기 제3하우징부는 내부에 배치된 관형 지지 샤프트부를 가지고 있는데, 상기 지지 샤프트부가 내부에 동축 방향으로 유지된 베어링 수단을 가지고 있고, 상기 커플링 수단은, 상기 지지 샤프트부내에 유지되고 상기 베어링 수단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또 상기 동력 전달 수단에 회전적으로 접속된 커플링 부재와 함께 회전되도록 상기 커플링 부재에 의해 지지되며 그리고 상기 기관의 회전 속도가 소정 수준에 도달할때 상기 클러치 조립체에 의해서 마찰적으로 체결되고 회전적으로 구동되도록 상기 원심 클러치 조립체를 외부에서 둘러싸는 클러치 드럼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 구동형 동력 공구.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 전달 수단은, 그 양단부가 각기 상기 작업 수단과 상기 동력 헤드 수단에 연결되는 신장된 관형 샤프트와, 상기 관형 샤프트를 통해 연장되고 상기 작업 수단과 상기 커플링 부재를 상호 연결하는 가요성 구동 샤프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 구동형 동력 공구.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샤프트부가 모울드된 재료로 만들어지고, 또 상기 베어링 수단이 상기 지지 샤프트부에 일체로 모울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 구동형 동력 공구.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샤프트부가 한쌍의 축방향으로 이격되고 반지름 방향에서 안쪽으로 향하는 환형 플랜지를 가지고 있고, 또 상기 베어링 수단이 상기 플랜지들 사이에 끼워져 유지되며, 환형 베어링과 환형 베어링 스페이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 구동형 동력 공구.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이휘일은 그 전방 배치부상에 작동 가능하게 설치된 스프링 바이어스 원심 시동기 도그를 가지고 있고, 상기 제2하우징부는, 상기 크랭크 샤프트를 둘러싸는 전방벽과, 상기 크랭크 샤프트를 둘러싸고 또 상기 전방벽의 중심부로부터 후방으로 돌출하는 관형지지 포스트와, 상기 크랭크 샤프트와 상기 지지 포스트를 외측으로 둘러싸고 또 상기 전방벽에서 후방으로 돌출하는 대체로 환형인 지지부를 가지고 있고, 또한 상기 시동기 수단은, 상기 지지부내에서 상기 지지 포스트 상에 동축적으로 회전가능하게 유지되고 또 시동기 로프가 그 사이에서 감길 수 있는 전후방 플랜지를 갖는 시동기 풀리와, 상기 지지 포스트를 둘러싸며 상기 풀리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전방벽과 상기 전방 플랜지 사이에 배치된 비틀림 스프링과, 상기 후방 플랜지로부터 후방으로 돌출하고 또 상기 플라이휘일 시동기 도그를 작동 가능하게 체결하기에 적합한 구동 이를 가지고 있는 구동 허브와, 상기 지지 포스트상에 상기 풀리와 상기 스프링을 유지하는 방식으로 상기 후방 플랜지위에 후방으로 놓여 있고 상기 제2하우징부에 탈착 가능하게 체결된 유지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 구동형 동력 공구.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시동기 수단이 상기 후방 풀리 플랜지의 주변부와 상기 지지부내에 각기 형성되어 있는 정렬 가능한 제1 및 제2홈을 추가로 포함하는데, 상기 홈들이 원주적으로 정렬되어질때 핀 부재 또는 비슷한 것이 상기 풀리를 상기 비틀림 스프링의 바이어스 힘에 대항하여 회전적으로 체결하도록 상기 홈들 사이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풀리상에 시동기 로프를 설치하는 것이 용이해지도록 상기 홈들이 상대적으로 형상화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 구동형 동력 공구.
  15.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는 그 전방 단부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된 내부 관형 지지 샤프트부를 구비하고 있는 단일의 하우징 부재이고, 또 상기 커플링 수단은 상기 지지 샤프트부의 내측 단부로 돌출되고 또 상기 외측 크랭크 샤프트 단부와 상기 동력 전달 수단을 접촉하는 커플링 부재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 구동형 동력 공구.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 전달 수단이, 그 양단부가 각기 상기 작업 수단과 상기 동력 헤드 수단에 연결되는 신장된 관형 샤프트와, 상기 관형 샤프트를 통해 연장되어 있고 상기 작업 수단과 상기 커플링 부재를 상호 연결하는 가요성 구동 샤프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 구동형 동력 공구.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이휘일은 그 전방 배치부상에 작동 가능하게 설치된 스프링 바이어스 원심 시동기 도그를 가지고 있고, 상기 지지 샤프트부는 종방향 중심의 환형인 후방으로 향하는 외측 어깨부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하우징 부재는 상기 지지 샤프트 어깨부로부터 횡방향 외측으로 이격되고 그것과 축방향에서 정렬된 내부 어깨부를 가지고 있고, 상기 시동기 수단은 상기 지지 샤프트부의 후방 단부상에 동축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시동기 풀리와, 상기 지지 샤프트부를 둘러싸며 상기 풀리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또 상기 어깨부와 상기 전방 풀리 플랜지 사이에 유지되는 비틀림 스프링과, 상기 지지 샤프트부상에 상기 풀리와 상기 스프링을 유지하는 방식으로 상기 후방 플랜지위에 후방으로 놓여 있고 또 상기 하우징 부재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된 유지 부재를 포함하는데, 상기 풀리가 시동기 로프가 그 사이에 감겨질 수 있는 전후방 플랜지 및 상기 시동기 도그를 작동 가능하게 체결하기에 적합한 이를 갖고 있는 후방으로 돌출하는 구동 허브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 구동형 동력 공구.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시동기 수단은 상기 하우징 부재내와 상기 후방 풀리 플랜지의 주변부내에 형성된 원주상 정렬 가능한 홈들을 추가로 구비하는데, 상기 홈들이 정렬되면 핀 부재나 이와 유사한 것이 그 사이로 삽입되어 상기 풀리를 상기 스프링의 바이어스 힘에 대항하여 회전적으로 체결함으로써 상기 풀리상에 시동기 로프를 설치하는 것이 용이해지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 구동형 동력 공구.
  1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 부재가 내부에 형성된 후방 단부 오목부를 가지고 있고, 또 상기 기관이 상기 오목부내에 보호될 수 있도록 배치된 외부 설치 캬브레터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 구동형 동력 공구.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기관이 상기 캬브레터에 체결되고 또 상기 오목부내에 배치된 공기 필터 하우징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 구동형 동력 공구.
  2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 부재가 내부에 외부 표면 홈을 가지고 있고, 또 상기 동력 공구가, 상기 홈과 함께 상기 동력 공구의 연료 탱크부를 형성하도록 상기 덮개 부재에 체결된 쉘 부재를 추가로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 구동형 동력 공구.
  2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 부재는 상기 덮개 부재의 상부 후방 벽부에 의해 후방쪽 경계가 지워진 전방 상부와, 상기 상부 후방벽부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는 저부 후방부를 구비하고, 상기 기관은 상기 상부 후방 벽부상에 외부적으로 설치된 캬브레터와, 상기 전방 상부 덮개부 꼭대기에 설치되는데 상기 캬브레터 위에 놓여져 이를 보호하는 후방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 구동형 동력 공구.
  23.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 헤드 수단은 상기 덮개 부재와 상기 하우징부 위에 위치되고 또 그 사이에서 연결되는 작동 핸들 구조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 구동형 동력 공구.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핸들 구조물은 상기 하우징부에 연결된 전방 단부와, 상기 덮개 부재에 체결된 연료 탱크에 의해 한정되는 후방 단부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 구동형 동력 공구.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 부재가, 상기 덮개 부재의 상부 후방 벽부에 의해 후방에서 경계가 지워지는 전방 상부와, 상기 상부 후방 벽부로부터 후방으로 돌출하는 저부 후방부를 가지고 있고, 상기 기관이 상기 상부 후방 벽부상에 외부적으로 설치된 캬브레터를 추가로 포함하고, 또 상기 연료 탱크가 상기 저부 후방 덮개 부재부로부터 위로 이격되고 또 상기 덮개 부재부와 함께 상기 캬브레터가 배치되는 보호 오목부를 한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 구동형 동력 공구.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기관이, 상기 캬브레터의 후방부에 연결되고 또 상기 보호 오목부내에 배치되는 공기 필터 하우징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 구동형 동력 공구.
KR1019880016767A 1987-12-17 1988-12-15 동력 헤드 조립체가 개선된 내연 기관 구동형 동력 공구 KR96000598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3424587A 1987-12-17 1987-12-17
US134,245 1987-12-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9544A KR890009544A (ko) 1989-08-02
KR960005983B1 true KR960005983B1 (ko) 1996-05-06

Family

ID=224624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16767A KR960005983B1 (ko) 1987-12-17 1988-12-15 동력 헤드 조립체가 개선된 내연 기관 구동형 동력 공구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EP (1) EP0320576B1 (ko)
JP (1) JP2714409B2 (ko)
KR (1) KR960005983B1 (ko)
AT (1) ATE83043T1 (ko)
AU (1) AU612709B2 (ko)
CA (1) CA1333160C (ko)
DE (1) DE3876395T2 (ko)
ES (1) ES2037167T3 (ko)
MX (1) MX172007B (ko)
NZ (1) NZ226954A (ko)
ZA (1) ZA88697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215672C2 (de) * 1991-05-14 1996-11-07 Fuji Robin Kk Zweizylinder-Reihen-Zweitaktmotor
US5329896A (en) * 1993-01-06 1994-07-19 Ryobi Outdoor Products, Inc. Replaceable recoil starter
DE4321862C2 (de) * 1993-07-01 1995-06-29 Stihl Maschf Andreas Seilzugstarter für ein Antriebsgerät, insbesondere für ein Freischneidegerät
DE19618669A1 (de) * 1996-05-09 1997-11-13 Stihl Maschf Andreas Handgeführtes Arbeitsgerät, insbesondere Freischneider, Motorkettensäge, Trennschleifer oder dergleichen
US6257179B1 (en) 1999-04-28 2001-07-10 Mitsubishi Heavy Industries, Ltd. Two-stroke cycle engine
JP4052838B2 (ja) 2002-01-18 2008-02-2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エンジン作業機
US6959680B2 (en) * 2002-07-24 2005-11-01 Starting Industrial Co., Ltd. Recoil starter
US7007659B2 (en) * 2004-02-06 2006-03-07 Kohler Co. Mechanism for removably coupling a shaft of a utilitarian device to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5216648B2 (ja) * 2009-03-25 2013-06-19 カーツ株式会社 エンジン及び本機の接続分離構造
CN108990550B (zh) * 2018-08-13 2023-08-25 铜陵汇宇实业有限公司 一种用于农用收割机传动机构的张紧轮支架
BR112020002582B1 (pt) * 2019-03-05 2022-03-03 Honda Motor Co., Ltd Mecanismo de abertura/fechamento do membro de admissão
CN113950241B (zh) * 2019-12-19 2024-06-18 创科无线普通合伙 电动耕耘机
CN114986055B (zh) * 2022-04-25 2023-12-08 杭州叉车钣焊有限公司 一种叉车油箱总成的焊接定位装置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4721A (en) * 1977-06-07 1979-01-13 Yamada Kikai Kogyo Kk Potable type power bush cleaner
US4286675A (en) * 1979-06-25 1981-09-01 Beaird-Poulan Division Of Emerson Electric Co. Narrow profile power handle for line trimmer and the like
DE3004948A1 (de) * 1980-02-09 1981-08-20 Solo Kleinmotoren Gmbh, 7032 Sindelfingen Kombinationsgeraet mit einem arbeitsgeraet und einem verbrennungsmotor
US4391041A (en) * 1981-04-20 1983-07-05 The Toro Company Powered ground care implement
JPS5991430U (ja) * 1983-09-05 1984-06-21 小松ゼノア株式会社 刈払機のエンジン
JPS60182730U (ja) * 1984-05-15 1985-12-04 小松ゼノア株式会社 刈払機におけるフアンの軸封装置
US4727828A (en) * 1985-03-29 1988-03-01 Komatsu Zenoah Company Portable engine uni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ZA886972B (en) 1990-05-30
KR890009544A (ko) 1989-08-02
EP0320576A2 (en) 1989-06-21
ES2037167T3 (es) 1993-06-16
AU612709B2 (en) 1991-07-18
EP0320576A3 (en) 1989-11-23
AU2395688A (en) 1989-06-22
ATE83043T1 (de) 1992-12-15
CA1333160C (en) 1994-11-22
NZ226954A (en) 1991-01-29
MX172007B (es) 1993-11-29
DE3876395D1 (de) 1993-01-14
EP0320576B1 (en) 1992-12-02
JPH01171407A (ja) 1989-07-06
DE3876395T2 (de) 1993-05-27
JP2714409B2 (ja) 1998-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41929A (en) Portable rotary power tool
KR960005983B1 (ko) 동력 헤드 조립체가 개선된 내연 기관 구동형 동력 공구
US5035586A (en) Portable hand-held blower/vacuum unit with resilient engine mounting system
US5345684A (en) Flexible line trimmer having an anti-vibration handle
US5269665A (en) Portable hand-held blower/vacuum unit with resilient engine mounting system
US4674146A (en) Hand held gas engine blower
US7493697B2 (en) Lawn mower
US20060191144A1 (en) A bush cutting machine
JPH0220389B2 (ko)
US4391041A (en) Powered ground care implement
US6918451B2 (en) Brake band and portable trimmer
US6523508B2 (en) Manually guided implement
US5329896A (en) Replaceable recoil starter
JP2009299606A (ja) エンジン工具
US6938587B2 (en) Hand held power tool
CA1338206C (en) Portable rotary power tool
CA2465113C (en) Vertical shaft internal combustion engine with overhead power take-off
US4771603A (en) Chain saw
JP3814060B2 (ja) 船外機
KR850000413Y1 (ko) 라인트리머용 좁은 모양의 동력핸들
JP2003201851A (ja) 点火プラグガード及び内燃エンジン
MANUAL B305 CBS
EP1500803A1 (en) Explosion motor fueled with gasoline mixture particularly for application in powered tools the operational weight of which is borne by the user
JPH0680820U (ja) 空冷エンジンの冷却風案内構造
MANUAL T265 CP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