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5800Y1 - 전삭공구의 칩배출장치 - Google Patents

전삭공구의 칩배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5800Y1
KR960005800Y1 KR2019900003729U KR900003729U KR960005800Y1 KR 960005800 Y1 KR960005800 Y1 KR 960005800Y1 KR 2019900003729 U KR2019900003729 U KR 2019900003729U KR 900003729 U KR900003729 U KR 900003729U KR 960005800 Y1 KR960005800 Y1 KR 96000580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ip
cutter
cutter body
adapter
intermediat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0000372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16497U (ko
Inventor
에이쇼오 사라도리
료오에이 하세가와
가즈오 이이즈카
Original Assignee
미쓰비스 마테리알 가부시기가이샤
후지무라 마사나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스 마테리알 가부시기가이샤, 후지무라 마사나리 filed Critical 미쓰비스 마테리알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to KR2019900003729U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5800Y1/ko
Publication of KR91001649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1649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580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5800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1/00Accessories fitted to machine tools for keeping tools or parts of the machine in good working condition or for cooling work; Safety devices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 B23Q11/0042Devices for removing chips
    • B23Q11/0046Devices for removing chips by suc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1/00Accessories fitted to machine tools for keeping tools or parts of the machine in good working condition or for cooling work; Safety devices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 B23Q11/02Devices for removing scrap from the cutting teeth of circular or non-circular cut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xiliary Devices For Machine Tools (AREA)
  • Milling Processe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전삭공구의 칩배출장치
제1도 내지 제3도는 본 고안의 한가지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제1도는 축방향 단면도.
제2도는 저면도.
제3도는 커터본체의 앞끝외주의 확대도.
제4도 내지 제6도는 종래의 정면밀링커터를 나타내는 도면.
제4도는 축방향 단면도.
제5도는 저면도.
제6도는 커터본체의 앞끝외주부의 확대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3 : 커터본체 14 : 중심구멍
16 : 드로우어웨이팁 16a : 절삭면(cutting face)
20 : 칩흡인기구 21 : 커터체결기구
22 : 칩수납체 23 : 흡인구
24 : 칩안내부재 25 : 어댑터
27 : 칩수납실 30 : 구동키이
31 : 중간부재 32 : 연결부재
40 : 중심구멍의 절결부 41 : 중간부재의 돌출부
42 : 키이홈
본 고안은, 예를 들어 정면밀링커터 등의 주로 평면절삭에 사용되는 전삭공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절삭에 수반하여 생성되는 칩을 순차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전삭공구의 칩배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피삭재의 평면가공에 사용되는 전삭공구의 한가지 예로서, 종래부터 제4도 내지 제6도에 표시하는 정면밀링커터가 알려져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이 정면밀링커터는 대략 원통형상을 이루는 커터본체(1)의 앞끝외주부에, 그 커터본체(1)의 앞끝면 및 외주면을 향하여 개구되는 오목홈(2)이 원주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복수형성되고, 이들 오목홈(2)내에, 드로우어웨이팁(이하, 팁으로 약칭한다) (3)이 클램프나사(4)로 조여지는 쐐기부재(5)에 의하여 착탈자재하게 장착되는 한편, 각 팁(3)의 절삭면(3a)과 마주보는 커터본체(1)의 외주면에, 벽면이 원호형상을 이루는 칩포켓(6)이 형성되고, 또한 커터본체(1)의 중심에 그 커터본체(1)를 축선방향으로 관통하는 중심구멍(7)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정면밀링커터는, 기계본체의 주축(8)에 키이(9)를 개재하여 부착된 아버(10)의 끼워맞춤축(11)에 중심구멍(7)이 끼워맞춤된 다음에 체결볼트(12)에 의하여 체결되어 주축(8)과 일체화되어 있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커터본체(1)가 주축(8)에 의해 축선주위로 회전시키게 됨과 아울러 축선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송되어, 팁(3)이 피삭재를 평면가공해가도록 되어 있으며, 이때 생성되는 칩은, 절삭면(3a)으로부터 칩포켓(6)의 벽면으로 유도되어 둥글게 감겨 넣어진 다음에 커터본체(1)의 원주방향 바깥쪽으로 배출된다.
그런데, 상술한 종래의 정면밀링커터는 생성되는 칩을 단순히 그 원주방향 바깥쪽으로 유도배출할 뿐이므로, 커터본체(1)의 회전에 따라 칩이 기계주위로 넓게 비산되고, 이 결과 작업환경이 악화될 뿐만 아니라, 때로는 작업에 위험성이 발생하며, 또 절삭종료후의 칩처리에도 상당한 시간을 필요로 한다고 하는 결점이 있었다.
또, 절삭을 계속 행함에 따라 칩이 피삭재나 기계의 테이블 등에 서서히 퇴적되어가므로 이들 칩의 열에 의하여 피삭재나 기계에 열변형이 발생하여 가공정도(精度)가 열화되거나, 혹은 팁(3)에 칩이 끼워지게 되어 절삭면의 표면품위가 손상되는 결점도 있었다.
더욱이, 기계의 주위에 비산된 칩이 기계의 미끄럼운동면에 깊숙히 파고 들어가서, 기계자체의 정도열화나 수명저하를 초래할 우려도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배경하에 이루어진 것으로서, 절삭에 따라 생성되는 칩을 주위에 비산시키지 않고 처리할 수 있는 전삭공구의 칩배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커터본체의 외주면 바깥쪽으로, 절삭날팁에서 생성된 칩을 흡인하는 칩흡인기구를 설치하는 한편, 상기한 커터본체에, 그 커터본체를 기계본체에 연결하는 커터체결기구를 배설하여 이루어지는 전삭공구의 칩배출장치이다.
여기서, 상기한 칩흡인기구는, 기계본체 또는 접속부재에 지지되어 커터본체의 외주면을 덮는 대략 원통형상의 칩수납체와, 이 칩수납체의 내주면과 상기한 커터본체의 외주면과의 사이에 형성된 칩수납실과, 상기한 칩수납체의 외표면에 설치되어서 상기한 칩수납실과 연통하는 흡인구와, 상기한 커터본체의 앞끝에 상기한 절삭날팁의 절삭면과 대향해서 설치되어, 그 절삭날팁에서 생성되는 칩을 상기한 칩수납실로 유도하는 칩안내부재로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 상기한 커터체결기구는, 그 앞끝이 상기한 커터본체의 기단(基端)측과 끼워낮춤되는 한편, 그 기단이 상기한 기계본체와 연결되는 어댑터와, 상기한 커터본체의 중심부를 관통하는 중심구멍에 삽입되어, 그 외주에 상기한 중심구멍의 둘레면에 형성된 절결부에 꼭 끼워지는 돌출부가 형성된 중간부재와, 상기한 어댑터와 상기한 중간부재와의 사이에 개재되어 어댑터의 회전을 커터본체에 전달하는 구동키이와, 상기한 중간부재의 중심에 끼워 장착되어서 그 중간부재와 어댑터를 체결하는 연결부재로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한 구성의 전삭공구의 칩배출장치에 의하면, 어댑터와 중간부재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헐겁게 한 상태에서, 커터본체와 중간부재를 상대적으로 회전시켜서, 중간부재의 돌출부와 커터본체의 절결부와의 원주방향의 위치를 겹치지 않도록 어긋나게 하는 것에 의하여, 커터본체가 돌출부와 걸어맞춤되어 그 축방향의 이동이 규제된다. 이후에 연결부재를 체결하는 것에 의하여, 커터본체가 중간부재의 돌출부와 어댑터 앞끝면과의 사이에 끼워져서 기계본체와 연결된다.
커터본체가 어댑터와 연결된 상태에서, 어댑터가 기계본체에 의하여 회전하게되면, 이 회전은 커터본체와 중간부재의 사이에 개재되는 구동키이에 의해 커터본체로 전달되어, 커터본체가 축선주위로 회전하게 된다. 이것에 수반하여 커터본체 앞끝의 절삭날팁이 피삭재를 절삭해 간다.
이때에, 절삭날팁의 절삭면을 따라 생성되는 칩은, 절삭면과 대향하는 칩안내부재에 의하여 칩수납실로 유도배출된다. 이 때문에, 커터본체의 회전에 대하여 칩수납체의 회전을 규제한 다음에, 그 외주면에 형성된 흡인구로부터 칩수납실내의 칩을 순차적으로 흡인하는 것에 의하여, 칩을 기계 주위로 비산시키지 않고 순차적으로 회수할 수 있다. 또한 팁교환 등 때문에 커터본체를 탈착할 필요가 발생하였을 경우에는, 커터체결기구의 연결부재를 헐겁게 한 후에, 커터본체와 중간부재를, 중간부재의 돌출부가 절결부에 끼워지는 위치까지 상대적으로 회전시킨다. 이것에 의하여 커터본체와 중간부재의 걸어맞춤이 해제되므로, 커터본체를 칩수납체의 내부로부터 떼어낼 수 있다.
(실시예)
이하, 제1도 내지 제3도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한가지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1도 내지 제3도에 있어서 부호(13)는 커터본체이다. 이 커터본체(13)는, 그 중심부에 그 커터본체(13)를 축선방향으로 관통하는 중심구멍(14)이 형성됨과 아울러, 그 앞끝부가 확정된 대략 원통체이고, 이 앞끝외주부에는 그 커터본체(13)의 앞끝면 및 외주면을 향해서 개구되는 복수의 오목홈(15)이 원주방향으로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1도 및 제3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상기한 오목홈(15)에는 평면에서 보아 정팔각형상을 이루는 드로우어웨이팁(이하, 팁으로 약칭한다)(16)이 카아트리지(17)를 개재하여 착탈자재하게 장착되어 있고, 각각의 절삭면(16a)의 각 능선부에 형성된 절삭날(18)중의 하나는 커터본체(13)의 앞끝면으로부터 약간 돌출되어 있다. 또, 제2도 및 제3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상기한 오목홈(15)과 연속하는 커터본체(13)의 외주면은, 팁(16)의 절삭면(16a)에 접근함에 따라 점차적으로 커터본체(13)의 지름방향 안쪽으로 경사지는 경사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각 팁(16)의 절삭면(16a)의 앞쪽에 칩포켓(19)이 형성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커터본체(13)의 외주면 바깥쪽에는 팁(16)에서 생성되는 칩을 흡인하는 칩흡인기구(20)가 배설되는 한편, 상기한 중심구멍(14)으로부터 커터본체(13)의 기단측에 걸친 위치에는 그 커터본체(13)를 기계본체의 주축(도시생략)에 장착하기 위한 커터체결기구(21)가 배설되어 있다.
이하, 이들 기구에 대하여 차례로 설명하면,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히는 바와같이, 상기한 칩흡인기구(20)는, 커터본체(13)의 외주면을 덮어 씌우는 대략 원통형상의 칩수납체(22)와, 그 칩수납체(22)의 외주면에 설치된 흡인구(23)와, 커터본체(13)의 앞끝면에 부착된 칩안내부재(24)로 개략 구성되어 있다.
제1도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상기한 칩수납체(22)는, 그 기단부에 형성된 끼워맞춤부(22a)의 내주가, 커터본체(13)의 기단측에 배설되어서 상기한 커터체결기구(21)의 일부를 구성하는 어댑터(25)에 레이디얼베어링(radial bearing)(26)을 개재하여 끼워맞춤되어, 커터본체(13)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자재하게 설치되어있다.
이 칩수납체(22)의 앞끝은, 커터본체(13)의 지름방향 바깥쪽으로 돌출되는 팁(16)의 절삭날(18)을 완전히 덮는 위치까지 연장되고, 그 내경은 상기한 절삭날(18)의 커터본체(13) 축선을 중심으로 하는 선회지름보다 약간 크게 결정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한 앞끝부에 계속되는 중간부의 내경은 앞끝부와 동일하게 결정되고, 그내주면과 커터본체(13)의 기단측 외주면과의 사이에 칠수납실(27)이 형성되도록 되어 있다.
또 상기한 흡인구(23)는 원통형상을 이루는 것으로서 한쪽 끝이 상기한 칩수납체(22)의 중간부에 끼워맞춤되어, 그 내부가 칩수납실(27)과 연통되는 한편, 다른쪽 끝의 외주에는 도시하지 않은 흡인기의 흡인호오스가 끼워지도록 되어 있다.
또 제2도 및 제3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상기한 칩안내부재(24)는 평판형상을 이루는 것으로서 상기한 커터본체(13)의 앞끝 가장자리부에 있어서 상기한 팁(16)의 절삭면(16a)과 대향하는 위치에 2개의 부착나사(28)에 의하여 고정되어, 상기한 칩포켓(19)을 덮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제3도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이들 칩안내부재(24)는, 그 표면이 커터본체(13)의 앞끝으로 돌출하는팁(16)의 절삭날(18)보다도 커터본체(13)의 기단측으로 후퇴하도록 축방향으로 위치결정됨과 아울러, 각각의 절삭면(16a)과 대향하는 끝면(24a)과 상기한 절삭면(16a)과의 사이에 간극(t)이 생기도록 원주반향으로 위치결정되어서 상기한 절삭날(18)로부터 절삭면(16a)을 따라서 생성되는 칩을 칩포켓(19)내로 유도하도록 되어있다.
또, 칩안내부재(24) 이면(裏面)의 칩포켓(19)을 향하는 부분에는, 상기한 끝면(24a)으로부터 칩포켓(19)의 벽면을 향해서 뻗어 있는 홈부(24b)가 형성되어서, 상기한 간극(t)으로 유도된 칩의 막힘을 방지하여, 칩을 순조롭게 칩포켓(19)으로 배출하는 배려가 이루어져 있다.
한편, 상기한 커터체결기구(21)는, 상기한 커터본체(13)의 기단측에 설치된 상기한 어댑터(25)와, 그 어댑터(25)에 부착된 구동키이(30)와 커터본체(13)의 상기한 중심구멍(14)에 삽입된 중간부재(31)와, 그 중간부재(31)의 중심에 삽입된 연결볼트(32)(연결부재)로 개략 구성 되어 있다.
상기한 어댑터(25)는, 그 기단측에, 도시하지 않은 기계본체의 주축 테이퍼구멍에 삽입된 아버(도시생략)의 앞끝부와 끼워맞춤되는 끼워맞춤구멍(33)이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한 주축의 앞끝에 키이홈(도시생략)과 걸이맞춤되는 키이(34)가 끼워맞춤구멍(35)에 설치되어, 복수의 볼트구멍(36)에 삽입되는 연결볼트(도시생략)에 의하여 주축과 일체적으로 연결되도록 되어 있다. 또, 어댑터(25)의 외주에는 플랜지(37)가 형성되고, 그 한쪽끝면은 상기한 칩수납체(22)의 끼워맞춤부(22a)와 약간의 간극을 두고 대향시켜져서, 상기한 칩수납실(27)에 부유하는 먼지 등의 레이디얼베어링(26)으로의 침입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어댑터(25)의 앞끝쪽에는 상기한 커터본체(13)의 중심구멍(14)의 끼워맞춤부(14a)와 끼워맞춤되는환상(環狀)의 돌출부(38)가 형성되고, 이 환상의 돌출부(38)에 상기한 구동키이(30)가 볼트(39)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다.
이 구동키이(30)는 어댑터(25)의 회전을 커터본체(13)에 전달하기 위한 것으로서, 제2도에 의하여 상세하게 도시되는 바와같이, 커터본체(13)의 중심구멍(14)에 형성된 소경부(14b)의 내주면을 향하는 위치에 부착되고, 그 앞끝은 상기한 소경부(14b)를 원주방향으로 등간격으로 절결하여 이루어지는 절결부(40)의 하나에 유동자재하게 끼워 장착되어서, 커터본체(13)의 회전에 수반하여 상기한 절결부(40)의 한쪽 벽면과 걸어맞춤되도록 되어 있다.
또, 제1도에 표시하듯이, 상기한 중간부재(31)는 커터본체(13)의 소경부(14b)의 내주(內周)에 삽입되고, 그 중심에 삽입된 연결볼트(32)에 의하여 어댑터(25)와 연결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제2도에 의하여 상세하게 나타내는 바와같이, 상기한 중간부재(31)의 커터앞끝쪽을 향하는 끝부 둘레가장자리에는, 상기한 소경부(14b)에 형성된 절결부(40)와 같은 수량의 돌출부(41)가 원주방향으로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한 소경부(14b)의 끝면과 걸어맞춤하여 상기한 커터본체(13)의 축방향의 이동을 규제하도록 되어 있다.
또, 상기한 중간부재(31)의 어댑터쪽을 향하는 끝면의 돌출부(41)와 다른 위치에는, 상기한 구동키이(30)와 걸어맞춤되는 키이홈(42)이 형성되어, 이것에 의하여 중간부재(31)에도 어댑터(25)의 회전이 전달되도록 되어있다. 또한 상기한 중간부재(31)의 끝면에는 스프링(43)이 삽입되어 있어서 그 스프링(43)에 의하여 중간부재(31)는 항상 연결볼트(32)의 머리부를 향해서 부세되고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정면밀링커터를 사용하여 절삭가공을 실시하는 데는, 우선 커터체결기구(21)에 의해서 커터본체(13)를 기계본체의 주축에 부착한다. 그리고 이후에 커터본체(13)를 축선주위로 회전시킴에 의하여 피삭재가 절삭되고, 이때에 생성되는 칩은 칩흡인기구(20)에 의하여 순차적으로 처리된다.
이하, 이들 기구의 작용에 의하여 차례로 설명하면, 우선 커터본체(13)를 기계본체의 주축에 부착하는 데는, 어댑터(25)를 볼트구멍(36)에 삽입되는 연결볼트에 의하여 주축에 장착하고, 계속하여 중간부재(31)의 키이홈(42)과 구동키이(30)를 걸어맞춤시키고, 이후 중간부재(31)의 연결볼트(36)를 삽입하여 어댑터(25)에 나사체결한다. 또 이 단계에서의 연결볼트(36)의 나사체결량은, 중간부재(31)의 돌출부(41)와 어댑터(25)의 사이의 간극이, 커터본체(13)의 소경부(14b) 두께보다 작게되지 않을 정도로 한정시켜 둔다.
다음에, 커터본체(13)를 제2도에 2점쇄선으로 나타내는 바와같이 절결부(40)에 중간부재(31)의 돌출부(41)및 구동키이(30)를 대응시킨 뒤에, 어댑터(25)쪽으로 밀어넣고, 끼워맞춤부(14a)를 어댑터(25)의 환상의 돌출부(38)와 끼워맞춤시킨다. 그리고 커터본체(13)를 제2도중 Y1방향으로 절결부(40)의 한쪽 벽면이 구동키이(30)와 걸어맞춤할 때까지 회전시킨다.
이것에 의하여, 커터본체(13)이 소경부(14b)와 중간부재(30)의 돌출부(41)가 걸어맞춤되어 커터본체(13)의 축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되고, 이후 연결볼트(32)를 체결함에 의하여 커터본체(13)가 어댑터(25)와 중간부재(30)의 사이에 강고하게 끼워져서 기계본체의 주축과 연결된다. 또한, 이상과 같이 하여 커터본체(13)를 장착할 때, 칩수납체(22)에 설치된 흡인구(23)에는 도시하지 않은 흡인기의 흡인호오스가 끼워지게 되고, 이것에 의하여 칩수납체(22)는 회전이 저지된다.
커터본체(13)가 기계본체의 주축에 장착되면, 계속하여 기계본체가 작동되어 커터본체(13)가 제2도중 Y1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됨과 아울러 축선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송되고, 이것에 수반하여 커터본체(13)이 앞끝면으로부터 돌출되는 팁(16)의 절삭날(18)이 피삭재를 절삭하여 간다.
이때, 팁(16)의 절삭날(18)로부터 절삭면(16a)을 따라 생성되는 칩은 칩안내부재(24)와 절삭면(16a)과의 사이의 간극(t)을 통과하여 칩포켓(19)에 유도되어, 그 칩포켓(19)에 의하여 둥글게 감겨져 잘려진 뒤에 칩수납실(27)로 배출된다. 그리고 칩수납실(27)내에 배출된 칩은, 흡인구(23)와 연결된 흡인기의 흡인작용에 의하여, 흡인구(23)로부터 배출되어 흡인기로 회수된다.
또, 절삭중에 팁(16)을 교환할 필요가 생겼을 경우는, 커터체결기구(21)의 연결볼트(32)를 헐겁게 하고, 계속하여 커터본체(13)를 제2도 Y1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서 중간부재(31)와 커터본체(13)의 걸어맞춤을 해제하고, 커터본체(13)를 칩수납체(22)의 내부로부터 꺼낸다. 그리고, 커터본체(13)로부터 팁(16)을 떼어내고 새로운 팁과 교환한 후에 커터본체(13)를 상기한 순서에 따라서 다시 어댑터(25)에 연결하면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같이, 본 실시예의 정면밀링커터에 의하여, 절삭시에 생성되는 칩이 칩안내부재(23)에 의하여 칩수납실(27)에 순차적으로 유도되고, 또 흡인구(23)로부터 배출되어 흡인기에 흡인회수되기 때문에, 칩이 기계주위로 비산되지 않아, 작업환경이 대폭 개선됨과 아울러 칩처리에 필요한 시간도 대폭 단축된다고 하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 피삭재나 기계본체의 테이블 등에 칩이 퇴적하는 일도 없으므로, 피삭재나 기계의 열변형에의한 가공정도의 열화나 팁에 칩이 끼워지게 됨에 다른 절삭면 품위의 열화도 발생하지 않으며, 또 기계본체의 미끄럼운동면 등에의 칩의 침입도 없게 되어 기계본체의 정도나 수명의 저하도 방지된다.
그 뿐만 아니라, 본 실시예에서는 단순히 커터본체(13)에 칩흡인기구(20)를 배설하는데 그치지 않고, 커터체결기구(21)도 설치하였으므로 칩흡인기구(20)만을 설치하는 경우에 비하여 팁(16) 교환시의 작업성이 대폭적으로 향상된다고 하는 효과가 얻어진다.
즉, 예를 들어 제4도에 나타내는 아버(10)에 칩수납체를 부착하는 등하여, 가령 종래의 정면밀링커터에 칩흡인기구 만을 부가했다고 하면, 커터본체(1)가 기계주축(11)에 장착된 상태에 있어서는, 팁(3)이 칩수납체에 의해 덮어져 커터본체(1)로부터 직접 떼어내기가 곤란하게 되므로 팁(3)을 교환하는 데는 커터본체(1)를 탈착시키지 않을 수 없게 된다. 그런데, 이 경우에 커터본체(1)의 외주도 칩수납체로 덮어 씌워져 충분하게 보존유지할 수 없게 되므로, 특히 체결볼트(12)의 삽입, 체결시의 작업성이 현저하게 손상될 우려가 있다.
이것에 대하여 본 실시예에 의하면, 중간부재(3l)와 커터본체(13)를 걸어맞춤시킨 상태에서 연결볼트(32)를 조작하는 것만으로서 커터본체(13)를 탈착할 수 있으며, 더욱이 연결볼트(32)를 조작할 때에는 커터본체(13)를 작업자가 떠받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칩흡인기구(20)를 설치하여도 팁교환시의 작업성은 하등 손상되지않아, 팁(16)을 용이하고 또한 신속하게 교환할 수 있다.
또한, 이상의 실시예에서는 칩수납체(22)의 앞끝부 내주면과 커터본체(13)의 외주면 바깥쪽으로 돌출하는팁(16)의 절삭날(18)과의 지름방향의 간극량에 대하여 특별히 규정하고 있지 않지만, 이 간극량이 지나치게 작으면 칩수납체(22)의 편심 등에 의하여 절삭날(l8)이 칩수납체(22)의 내면과 서로 접촉하여 파들어갈 우려가 있으므로, 최소한 0.5mm 이상은 확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반대로 과도하게 크면 칩수납실(27)이 밀폐성이 현저하게 손상되어 흡인효율의 저하를 피할 수 없으므로, 간극은 최대 2mm 이내, 바람직하게는 1mm이내로 규제할 필요가 있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특히 드로우어웨이식 정면밀링커터에 칩흡인기구(20)와 커터체결기구(21)를 배설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의 전삭공구는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팁을 납땜한 정면밀링커터이어도 당연히 적용가능하다.
또, 구동키이(30)의 수량은 하나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보다 큰 구동력을 필요로 할 때에는 2개이상 설치해도 좋다. 더욱이 본 실시예에서는 구동키이(30)에 대응하여 커터본체(13)에 형성해야 하는 키이홈을 생략하고 중간부재(31)의 돌출부(41)가 끼워지게 되는 커터본체(13)의 절결부(40)로 이것을 대용하고 있지만 본고안의 전삭공구는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커터본체(13)의 외주가장자리부 등에 구동키이(30)와 걸어맞춤하는 키이홈을 독립하여 형성해도 좋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칩수납체(22)가 어댑터(25)에 회전자재하게 지지되어 있지만, 본 고안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칩수납체(22)는 기계본체의 주축 주위에 고정된 것이어도 좋다. 결국 커터본체(13)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자재하게 설치되어서 그 흡인구(23)에 흡인호오스를 접속시킬 수 있는 것이라면 좋은 것이다. 따라서 칩수납체(22)의 지지부는, 기계본체, 또는 기계본체 이외로서 커터본체(13)나 중간부재(31) 등을 제외하고 어댑터(25) 등을 포함하는 다른 부재(이것을 접속부재라 한다)이라고 말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절삭흡인기구에 의하여 생성되는 칩을 순차적으로 회수할 수 있다. 따라서 기계주위로 칩이 일체 비산되지 않아, 작업환경이 대폭적으로 개선됨과 아울러 칩처리시간이 대폭단축된다. 더욱이 칩의 퇴적에 의한 열변형이나 칩이 팁에 끼워지게 되는 일이 없게 됨과 아울러 기계의 미끄럼운동면 등으로의 칩의 침입도 근절되어, 이 결과, 가공정도의 열화, 절삭면 품위의 열화 및 기계수멍의 저하가 방지된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커터본체를 장착할 때 작업자가 커터본체를 파지할 필요가 없으므로, 커터본체가 칩수납체로 덮어 씌워져 있음에도 불구하고 극히 용이하고 또한 신속하게 커터본체의 교환이 가능하여 커터본체나 팁교환시의 작업성은 하등 손상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술한 칩흡인기구의 우수한 효과가 보다 유효하게 발휘되어 그 실용가치는 극히 높은 것이다.

Claims (1)

  1. 기단측이 기계본체의 주축부에 연결되어 축선위주로 회전하게 되는 커터본체의 앞끝외주부에, 절삭날팁을 부착하여 이루어지는 전삭공구에 있어서, 상기한 기계본체 또는 접속부재에 지지되어 상기한 커터본체의 외주면을 덮어 씌우는 대략 원통형상의 칩수납체(22)와, 이 칩수납체(22)의 내주면과 상기한 커터본체의 외주면과의 사이에 형성된 칩수납실(27)과, 상기한 칩수납체(22)의 외표면에 설치되어서 상기한 칩수납실(27)과 연통하는 흡인구(23)와, 상기한 커터본체의 앞끝에 상기한 절삭날팁의 절삭면(16a)과 대향해서 설치되어 그 절삭날 팁에의해 생성되는 칩을 상기한 칩수납실(27)로 유도하는 칩안내부재(24)로 이루어져 상기한 커터본체의 외주면 바깥쪽에 배설되어서, 상기한 절삭날팁(16)에 의해 생성된 칩을 흡인하는 칩흡인기구(20)와,
    그 앞끝이 상기한 커터본체의 기단측과 끼워맞춤되는 한편, 그 기단이 상기한 기계본체의 주축부와 연결되는 어댑터(25)와, 상기한 커터본체의 중심부를 관통하는 중심구멍(14)에 삽입되며, 그 외주에 상기한 중심구멍의 둘레면에 형성된 절결부(40)에 끼워지는 돌출부(41)가 형성된 중간부재(31)와, 상기한 어댑터와 상기한 중간부재와의 사이에 기재되어서 어댑터의 회전을 상기한 커터본체에 전달하는 구동키이(30)와, 상기한 중간부재와 상기한 어댑터를 체결하는 연결부재(32)로 이루어져 상기한 커터본체에 배설되어서 상기한 커터본체를 상기한 기계본체의 주축부에 연결하는 커터체결기구(21) 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삭공구의 칩배출장치.
KR2019900003729U 1990-03-30 1990-03-30 전삭공구의 칩배출장치 KR96000580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03729U KR960005800Y1 (ko) 1990-03-30 1990-03-30 전삭공구의 칩배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03729U KR960005800Y1 (ko) 1990-03-30 1990-03-30 전삭공구의 칩배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6497U KR910016497U (ko) 1991-10-26
KR960005800Y1 true KR960005800Y1 (ko) 1996-07-16

Family

ID=192971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00003729U KR960005800Y1 (ko) 1990-03-30 1990-03-30 전삭공구의 칩배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580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6497U (ko) 1991-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609054B2 (ja) シャンク取着構造およびカッター
EP0667209B1 (en) Rotary cutting tool
KR930002209Y1 (ko) 면삭기
JPH078087Y2 (ja) 面取り機
KR960005800Y1 (ko) 전삭공구의 칩배출장치
JP2535964B2 (ja) 転削工具の切り屑排出機構
KR19990068025A (ko) 핀미러커터의 부착기구
JP2547164Y2 (ja) 切屑排出機構付き転削工具
JPH078093Y2 (ja) 転削工具の切屑排出装置
KR960003486Y1 (ko) 전삭공구
KR940008072Y1 (ko) 절삭칩 배출장치가 부착된 평면절삭공구
KR960010552B1 (ko) 전삭공구의 칩 배출기구
JPH05277886A (ja) 切り屑吸引式転削工具
KR960001489Y1 (ko) 전삭공구의 칩 배출장치
KR960002272Y1 (ko) 칩흡입기구가 부착된 전삭공구
KR900006571B1 (ko) 회전절삭공구
JPH077053Y2 (ja) 転削工具の切屑排出装置
JP2803328B2 (ja) 転削工具
KR960010540Y1 (ko) 칩흡인기구가 부착된 전삭공구
JP2516139Y2 (ja) 切屑吸引機構付き転削工具
JPH077054Y2 (ja) 正面フライスの切屑除去装置
JPH07164275A (ja) 転削工具及び転削工具の切屑排出機構
JP2514701Y2 (ja) 転削工具
JPH0751241Y2 (ja) 切屑吸引機構付き転削工具
KR960003488Y1 (ko) 칩배출기구를 구비한 평면절삭공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B701 Decision to gr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62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