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5701B1 - 샤워장치 호스의 물 침입방지기구 - Google Patents

샤워장치 호스의 물 침입방지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5701B1
KR960005701B1 KR1019910020378A KR910020378A KR960005701B1 KR 960005701 B1 KR960005701 B1 KR 960005701B1 KR 1019910020378 A KR1019910020378 A KR 1019910020378A KR 910020378 A KR910020378 A KR 910020378A KR 960005701 B1 KR960005701 B1 KR 9600057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se
water
blocks
block
sh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203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09367A (ko
Inventor
겐지 오까야마
요시히로 야마네
요시끼 오오따
Original Assignee
도오또오기끼 가부시끼가이샤
에조에 시게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오또오기끼 가부시끼가이샤, 에조에 시게루 filed Critical 도오또오기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9200093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93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57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570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3/00Baths; Douche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3/26Bidets without upward spraying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E03C1/0404Constructional or functional features of the spout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6Devices for suspending or supporting the supply pipe or supply hose of a shower-bath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E03C2001/0415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having an extendable water outle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 Massaging Devic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샤워장치 호스의 물 침입방지기구
제 1 도는 본 발명의 물 침입방지기구를 갖춘 수도 개폐장치 본체의 절결측면도.
제 2 도는 주요부확대 종단면도이다.
제 3 도는 제 1 도의 I-I선에서 본 단면도.
제 4 도는 블럭과, 패킹을 조합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제 5 도는 블럭과, 제 1 가이드와의 개략 분해도.
제 6 도는 각도를 바꾸어서 본 블럭과, 제 1 가이드의 분해사시도.
제7(a)도, 제7(b)도 및 제7(c)도는 각각 블럭의 정면도, 우측면도 및 저면도, 제 7(d)도는 제 7(a)도의 II-II선에서 본 도면.
제 8 도는 패킹의 정면도.
제 9 도는 블럭에 패킹을 조립한 것을 나타낸 도면.
제 10 도는 코일스프링의 조립을 나타낸 도면.
제 11 도는 개수대에 수도 개폐장치 본체를 고정시킨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샤워헤드를 수도 개폐장치 본체에서 꺼내어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샤워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꺼낸 호스를 통해 흘러내리는 물이 수도 개폐장치 본체측으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호스의 물침입방지 기구에 관한 것이다.
부엌의 개수대나 세면대등에는 샤워헤드를 수도 개폐장치의 본체에 고정시킨체 사용하거나, 샤워헤드를 본체에서 꺼내어 설거지나 세발할 수 있도록 한 샤워장치가 이용되고 있다.
제 11 도는 개수대에 고정시킨 예를 도시한 것으로, 수도 개폐장치 본체(1)를 개수대 카운터(50)에 고정하고, 이 수도개폐장치 본체(1)에 샤워헤드(2)가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된 상태 또는 손으로 꺼내어 사용할 수 있도록 부착되어 있다. 수도 개폐장치 본체(1)에는 외부로부터의 급수관(3a) 및 급탕관(3b)이 접속되고 싱글레버식의 핸들(4)에 의해 내장된 밸브를 조작한다. 그리고 이 밸브의 하류측과 샤워헤드(2)는 자유자재로 굴곡되도록 호스(5)로 접속되어 있다.
샤워헤드(2)는 수도 개폐장치 본체(1)에서 비스듬히 위로 돌출한 홀더(1a)에 자유자재로 착탈되도록 삽입되며, 샤워헤드(2)를 꺼냈을 때는 호스(5)도 따라서 이 홀더(1a)속을 이동하여 밖으로 나온다. 반대로, 샤워헤드(2)를 홀더(1a)로 되돌릴때, 호스(5)는 홀더(1a)속을 아래로 움직여 도시한 상태로 되돌아간다.
샤워헤드(2)를 수도 개폐장치 본체(1)로부터 꺼내어 사용할때, 토출된 물이 호스(5)까지 전해져 떨어지고, 이것이 홀더(1a)속을 지나 수도 개폐장치 본체(1)속으로 흘러들기 쉽다. 또한 사용한 후에 샤워헤드(2)를 홀더(1a)속으로 되돌릴때에는 호스(5)의 표면에 물이 부착된 채 카운터(50)아래로 늘어뜨려진다. 따라서 호스(5)에 부착된 물방울이 카운터(50) 아래로 떨어지거나 캐비넷속으로 흘러 버린다.
이러한 호스(5) 표면의 물방일이 수도 개폐장치 본체(1)속이나 캐비넷속으로 흘러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홀더(1a)속에 물 침입방지기구를 구비하는 것이 종래로부터 행해지고 있다. 예를들어, 실개소 62-148674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홀더(1a)속으로 호스(5)의 주면(周面)을 잡아당기며 부시(bush)를 물 침입방지용으로 구비하는 등이다.
호스(5)표면에 부착된 물을 제거하는데는 원통상의 부시나 기타 적절한 부재를 이용하면 된다. 그리고 이들 부재를 탄성소재로 해두면 호스(5)의 주면으로의 밀착도도 강해지므로 물 침입방지도 양호하게 행할 수 있다.
그러나, 호스(5)를 수납할때 호스의 움직임이 빠르면 탄송소재의 물침입방지 부재도 호스(5)의 움직이는 방향으로 탄성변형하여, 호스(5)로의 밀착력도 저하된다. 이 때문에 물방울이 완전히 닦이지 않은채 호스(5)가 수납되어 물방울이 캐비넷속으로 흘러떨어질 우려가 있다.
또한 호스(5)가 똑같은 외경을 가진 것이면 그 주면의 요철도 없으므로 물 침입방지부재의 밀착에 지장은 없다. 그런데 호스(5)가 간단히 구부러지도록 주름관모양의 것을 사용한 경우에는 호스(5)의 외경(外涇)이 대소(大小)로 변하므로 물 침입방지부재의 탄성변형으로는 추종할 수 없다.
이와 같이 물 침입방지부재 자체의 탄성을 이용하는 것으로는 호스에 부착된 물을 완전히 제거할 수 없으며 캐비넷속에 물받이 쟁반등을 갖출 필요가 있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해결해야 할 과제는 호스에 부착된 물방울이나 샤워 헤드측에서 전해져 떨어지는 물을 완전히 차단하여 수도 개폐장치측이나 캐비넷측으로의 침입을 방지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샤워헤드와 이에 접속된 호스를 자유자재로 출입가능하며 상기 샤워헤드를 지지하는 홀더와, 이 홀더의 내부에 내장된 물 침입방지기구를 구비한 샤워장치로, 상기 물 침임방지기구는 상기 호스의 축심을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가능케 하여 그 내주부를 호스표면의 실링부로 복수의 블럭과, 이들 블록을 상기 호스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하는 탄성체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홀더 내부에 샤워헤드의 기단부(基端部)의 외주면을 받는 통모양의 가이드를 설치하고, 이 가이드 기단측의 단면에 미끄럼홈을 반경방향으로 절개하며, 복수의 블록의 단면에 이 미끄럼홈에 자유자재로 이동할 수 있게 끼워넣는 미끄럼돌기를 설치하고, 이들 미끄럼돌기와 미끄럼홈에 의한 연접에 의해 각 블럭을 가이드의 축심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다.
각 블럭에는 이들 블럭이 호스주변을 에워싸는 방향의 양단에 축선방향의 벽을 서로 역방향을 향하도록 깎은 연접좌(連接座)를 각각 형성하고 이들 연접좌를 인접하는 블럭의 대응하는 연접좌에 대해 축선방향으로 겹쳐서 마련할 수도 있다.
또한 복수의 블럭과 탄성체 사이에 패킹을 구비할 수도 있으며, 복수 블럭의 각각의 외주면에 주방향(周方向)으로 달리는 홈을 형성하고 패킹을 이 홈속에 끼워 넣도록 해도 된다.
그리고, 패킹을 블럭의 개수와 동일한 복수로 분할하여 이들 패킹을 서로 인접하는 블럭의 이음 부분을 걸쳐서 배치할 수도 있다.
또한 탄성체로서는 환상(環象)의 코일스프링을 이용할 수도 있다.
호스의 주면에 대한 실링부를 가지는 복수의 블럭은 탄성체에 의해 호스측으로 탄성바이어스되어 있으므로 항상 탄성에 의한 기계적인 작용력을 받아 호스 주면을 실링한다. 그리고 호스가 요철을 갖는 것이라도 탄성체에 의해 블럭은 호서의 표면 형상에 따라 반경방향으로 이동하므로 항상 같은 실링압을 가진 호스 표면의 실링이 가능해진다. 이 때문에 호스를 이동시킬때도 탄성력에 의한 실링압이 유지되므로 실링누락이 생기는 일이 없고, 또한 호스를 심하게 흔들어서 사용해도 이 호스의 움직임에 블럭이 추종하므로 물이 새는 일이 없어진다. 따라서 샤워헤드를 사용할때도 호스를 홀더 속에 수납할때도 홀더보다 아래로 물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각 블럭을 홀더속의 가이드에 자유롭게 미끄러지도록 연접함으로써 각각의 블럭이 독립하여 호스 요철에 대해 이동하므로 실링이 똑같이 유지된다. 그리고 블럭의 양단부에 인접하는 블럭과의 사이에서 서로 겹치는 연접좌를 축선방향으로 향하도록 하는 면으로 하여 형성시켜 두면 블럭이 움직일때 서로 축선방향 위치를 서로 구속하여 흐트러지는 일 없이 빠른 움직임이 실현된다.
블럭의 주위에 패킹을 설치함으로써 블럭이 외측으로 이동하여 블럭끼리의 사이에 틈이 생겨도 패킹에 의해 실링된다. 그리고 패킹은 블럭끼리의 이음 부분을 감추도록 하면 되므로 패킹을 분할해 두면 블럭의 이동이 장해가 되는 일도 없다. 또한 블럭의 외주면에 설치된 홈에 패킹을 끼워 넣음으로써 블럭이 움직여도 패킹이 벗어나기 어려워져서 움직임에 장해를 주지 않고 재빠른 동작이 유지되며, 호스를 꺼낼때의 저항도 작아진다.
또한 탄성체로서는 코일스프링을 환상으로 감은 것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구조가 간단해져 조립도 용이해진다.
제 1 도는 본 발명의 물 침입방지기구를 구비한 수도 개폐장치 본체의 요부를 나타낸 절결측면도, 제 2 도는 주요부 종단면도, 제 3 도는 제 1 도의 I-I선에서 본 요부 단면도이다.
수도 개폐장치 본체(1)는 제 11 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예를 들면 개수대의 카운터에 고정되어, 샤워헤드(2)를 착탈하는 홀더(1a)을 돌출시키고, 상단에는 조작용 핸들(4)을 설치하고 있다. 이 핸들(4)에 의해 유로를 개폐하는 밸브 기구부에 급수관(3a) 및 급탕관(3b)이 접속되며, 물 또는 혼합수가 밸브기구부에 접속된 호스(5)에 의해 샤워헤드(2)에 공급된다. 샤워헤드(2)와 호스(5)는 커넥터(2a)에 의해 접속되며, 각각의 내부 유로를 접속하고 있다. 또한 호스(5)는 제 1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면에 요철을 둔 주름관이며, 자유자재로 절곡되는 정도의 두께를 갖는 것이다.
홀더(1a)속에는 커넥터(2a)를 받는 제 1 가이드(6) 및 호스(5)가 움직일때 이를 안내하는 제 2 가이드(7)가 각각 마련된다. 제 1 가이드(6)는 샤워헤드(2)의 기단부와 커넥터(2a)가 꼭 끼워넣는 내경(內徑)을 가지며, 하부에 배수구멍(6a)을 뚫은 것이다. 또한 제 2 가이드(7)는 제 1 가이드(6)의 기단 사이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호스(5)보다도 커다란 내경을 갖는다. 그리고 제 2 가이드(7)의 하면에도 동일한 배수구멍(7a)을 뚫음과 동시에 기단부의 내주면에는 호스(5)의 아래쪽 절반정도의 주면에 이르는 게이트(7b)를 설치하고 있다. 또한 이들 배수구멍(6a)(7a)에 대응하여 홀더(1a)의 하면에는 각각 구멍(1b)(1c)이 뚫려 있다.
제 1 가이드(6)와 제 2 가이드(7)의 사이에는 샤워헤드(2)를 사용한 후에 호스(5)와 함게 수납할때 호스(5) 주면의 물을 닦아내는 물제거링(8)이 마련된다. 이 물제거링(8)은 제 3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4개의 블럭(9)과 탄성체로서 설치된 코일스프링(10) 및 이들 사이에 삽입 장착되는 4개의 패킹(11)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 4 도는 물제거링(8)을 홀더(1a)의 선단측에서 본 정면도, 제 5 도는 제 1 가이드(6)로의 물제거링(8)의 연접구조의 분해 사시도, 제 6 도는 다른 각도에서 본 제 1 가이드(6)와 블럭(9)의 분해 사시도이다.
각 블럭(9)은 합성수지를 소재로 하여 거의 90°인 중심각을 가지는 원호상으로 형성된 것으로, 제 7 도에 상세히 도시한다. 이들 블럭(9)는 제 2 도 및 제 7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호스(5) 또는 커넥터(2a)에 접하는 부분을 끝을 뾰쪽하게 한 삼각형 단면의 실링부(9a)로 하고 있다. 또한 블럭(9)의 외주면에는 U자 모양의 홈(9b)을 설치하고, 이 홈(9b)속에 같은 U자 단면을 가지는 패킹(11)이 장착된다. 그리고 블럭(9)이 제 1 가이드(6)을 향하는 면에는 미끄럼돌기(9c)를 돌출형성하고 제 5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가이드(6)의 단면에는 이 미끄럼돌기(9c)가 끼워져 들어가는 미끄럼홈(6b)을 형성한다. 이들 미끄럼돌기(9c) 및 미끄럼홈(6b)은 도브테일과 도브테일홈과 같이 쐐기모양 단면의 슬라이딩 가능한 구조체이며, 미끄럼 방향은 각 블럭(9)이 만드는 원의 반경 방향, 즉 호스(5) 또는 커넥터(2a)의 반경 방향으로 일치시킨다.
또한 블럭(9)의 주(周) 방향의 양단에는 축선 방향의 벽을 깍은 것과 같이 형성한 한쌍의 연접좌(9e)(9f)를 각각 설치한다. 한쪽 연접좌(9e)는 제 7(c)도에 있어서 상측을 향하는 면으로서 형성되며, 다른쪽 연접좌(9f)는 하측을 향하는 면으로서 형성된 것이다. 그리고 서로 인접하는 블럭(9)을 꼭 접합할때에는 1개의 블럭의 연접좌(9e)가 인접하는 한쪽 블럭의 연접좌(9f)에 겹쳐지며 연접좌(9f)는 인접하는 또 하나의 블럭의 연접좌(9e)에 겹쳐진다. 이 때문에 각 블럭(9)을 조합했을 때에는 이들 연접좌(9e)(9F) 각각의 겹쳐짐에 의해 블럭(9)끼리를 그 축선 방향으로 서로 구속한다. 따라서 각 블럭(9)이 반경방향의 외측으로 움질일때도 이러한 구속력에 의해 각 블럭(9)이 움직임을 신속하게 수행시킬 수 있다.
패킹(11)은 제 4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접한 2개의 블럭(9)에 걸쳐지듯이 조립된다. 이 조립구조 때문에 제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패킹(11)의 일단에는 돌기부(11a)를 중심축으로 향하여 돌출하고, 이 돌기부(11a)가 끼워 넣어지는 끼움부(9d)를 블럭(9)의 미끄럼돌기(9c)의 외주면에 설치한다. 그리고 미끄럼돌기(9c)는 제 7(a)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블럭(9)의 원주방향의 거의 중앙에 위치하고 있어서 패킹(11)의 돌기부(11a)를 설치한 일단측도 블럭(9)의 원주방향의 중앙에 위치하게 되어 제 9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돌기부(11a)를 끼움부(9d)에 끼워 넣었을 때 제 4 도와 같은 블럭(9)과 패킹(11)의 조립구조가 얻어진다.
이 블럭(9)과 패킹(11)을 일체화한 것은 그 외주를 감싸도록 배치하는 코일스프링(10)에 의해 서로 결속된다. 제 10 도에 스프링(10)의 조립 상태의 평면도의 나타낸다. 그리고 코일스프링(10)은 블럭(9)의 외주면을 원주방향으로 감싸므로 각 블럭(9)의 실링부(9a)로 외향력이 작용하면 블럭(9)은 코일스프링(10)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외측으로 이동하고, 작용력이 없어지면 코일스프링(10)의 복원에 의해 블럭(9)은 원래 위치로 되돌아간다(제 3 도). 이와 같은 동작을 할때, 블럭(9)이 넓어질 때에는 블럭(9)끼리의 사이에 틈이 생기는데, 패킹(11)이 인접한 블럭(9)을 걸친듯이 배치되어 있으므로 패킹(11)이 인접한 블럭(9)을 걸친듯이 배치되어 있으므로 패킹(11)이 틈을 막게 되어 블럭(9)과 패킹(11)에 의해 호스(5)의 주면은 실링된 상태가 된다.
이상의 구성에 있어서, 샤워헤드(2)는 제 1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커넥터(2a)부분을 제 1 가이드(6)속에 끼워넣어 고정되며, 수도 개페장치본체(1)에 부착된 채 토수할 수 있다. 이때, 물제거링(8)의 각 블럭(9)의 실링부(9a)는 커넥터(2a)의 기단부 주면에 접촉되어 있다.
샤워헤드(2)를 꺼냈을때, 커넥터(2a)와 호스(5)의 이음부분의 단차나 호스(5) 표면의 요철에 대해 각 블럭(9)은 반경 방향으로 돌출하거나 수축하는 움직임을 보인다. 이 때문에 코일스프링(10)에 의한 체결력으로 실링부(9a)가 호스(5)의 주면을 압착하고 있어도 각 블럭(9)의 움직임에 따라 샤워헤드(2)를 꺼낼때에는 저항을 느끼지 않고 취급할 수 있다.
샤워헤드(2)에서 토수할때 호스(5) 표면을 따라 흐르는 물은 점차 홀더(1a)속으로 흘러든다. 이에 대해 호스(5)의 주면에는 물제거링(8)의 블럭(9)의 실링부(9a)가 접촉하며, 더욱이 그 접촉력은 코일스프링(10)의 탄성력에 의해 기계적을 보강되어 있으므로, 호스(5)를 따라 흐르는 물은 블록(9)에 의해 차단된다. 그리고 블럭(9)에 의해 막힌 물은 제 1 가이드(6)의 배수구멍(6a) 및 슬리이브의 구멍(1b)에서 배출된다. 또한 호스(5)를 따라 흐르는 물이 만약 블럭(9)를 넘어 제 2 가이드(7)측으로 흘러든다해도 이 제 2 가이드(7)의 기단부에는 게이트(7b)를 설치하고 있으므로 물은 이 게이트(7b)에 의해 정지된다. 그리고 게이트(7b)의 바로 앞에는 배수구멍(7a)을 뚫고 있으므로 여기서부터 홀더(1a)의 구멍(1c)를 지나 외부로 배출된다.
이와 같이 샤워헤드(2)를 사용하는 경우에 호스(5)를 따라 흐르는 물은 물제거링(8)에 의해 막혀서 배출된다. 만약 블럭(9)을 넘어 제 2 가이드(7)축으로 들어간다해도 게이트(7b)에 의해 하측으로 흘러드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샤워헤드(2)로 부터의 토수량이 많아서 호스(5)를 따라 흐르는 물이 많은 경우에도 수도 개폐장치 본체(1)내로 물의 침입이 확실하게 방지되어 캐비넷등의 내부를 적시는 일이 없어진다.
그리고 샤워헤드(2)에서 토수된 후에 이것을 홀더(1a)로 되돌릴때에는 호스(5)가 물제거링(8)속을 지나 수도 개폐장치 본체(1) 내측으로 이동한다. 이때 물제거링(8)의 각 블럭(9)은 호스(5)의 요철에 따라 반경방향으로 움직여 항상 실링부(9a)를 호스(5)의 주면에 접촉시킨다.
이 때문에 호스가 아코디온관등과 같이 표면에 요철을 가지는 것이라 할지라도 표면에 부착된 물을 제거할 수 있으며 수도 개폐장치 본체(1)측으로의 물의 침입이 방지되어 물은 배수구멍(6a) 및 구멍(1b)으로 부터 배출된다. 또한 호스(5)의 움직임이 너무 빨라서 블럭(9)이 완전히 물을 제거할 수 없는 일이 있어도 제 2 가이드(7)의 게이트(7b)에 의해 침입이 방지되며 물은 배수구멍(7a) 및 구멍(1c)으로부터 배출된다.
이와같이 물제거링(8)의 4개의 블럭(9)은 코일스프링(10)에 의한 탄성력에 의해 중심향으로 탄성바이어스되고 호스나 커넥터(2a)의 외면을 따라 항상 같은 실링압을 유지하여 이들을 설명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패킹등의 탄성체를 이용하는 경우에 비하면 호스(5)의 움직임이 빠르고도 높은 실링압으로 부착된 물을 제거할 수 있으며, 수도 개페장치 본체(1)속이나 캐비넷 속으로 물이 떨어지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실시예에서는 수도 개폐장치 본체(1)에 샤워헤드(2)용의 홀더(1a)를 링체화한 예를 들었으나, 이 대신에 홀더만을 캐비넷상의 카운터에 설치하도록 해도 된다. 그리고 탄성체로는 코일스프링(10) 대신에 각 블럭(9)을 호스(5)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 할 수 있는 예를 들면 판스프링등으로 해도 된다.
본 발명에서는 복수의 블록의 외주측을 탄성체로 구속하고 이 탄성체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블록의 내주측 실링부를 호스의 표면에 밀착시키고 있다. 이때문에 패킹등의 탄성체를 그대로 호스에 충돌시키는 경우에는 호스의 움직임이 빠를때 패킹로 변형하여 실링압이 낮아짐에 비해 항상 동일한 실링압으로 호스에 밀착시킬 수 있으며, 호스를 따라 흐르는 물을 완전히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호스를 따라 흐르는 물의 양이 많았거나 번번히 호스를 움직여도 캐비넷등의 속으로 물이 흘러드는 일없이 물받이 트레이등을 구비할 필요가 없어진다.
또한 탄성체의 탄성력에 의해 블럭은 반경방향으로 이동하므로 호스가 주품관등과 같이 요철이 있는 것이라도 실링할 수 있으며 사양(仕樣)의 확충도 가능해진다.

Claims (7)

  1. 샤워헤드(2)와 이에 접속된 호스(5)를 자유자재로 출입가능하며 상기 샤워헤드(2)를 지지하는 홀더(1a)와, 이 홀더(1a)의 내부에 내장된 물 침입방지기구를 구비한 샤워장치로, 상기 물 침임방지기구는 상기 호스(5)의 축심을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가능케 하여 그 내주부를 호스(5)표면의 실링부로 복수의 블록(9)과, 이들 블록(9)을 상기 호스(5)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하는 탄성체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워장치 호스의 물침입방지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1a)의 내부에 상기 샤워헤드(2)의 기단부 외주 면을 받는 통모양의 가이드(6)를 설치하고, 이 가이드(6)의 기단측 단면에 미끄럼홈(6b)을 반경 방향으로 절개하며, 상기 복수의 블록(9)단면에 상기 미끄럼홈(6b)에 이동 자유롭게 끼워져 들어가는 미끄럼돌기(9c)를 설치하고, 이들 미끄럼돌기(9c)와 미끄럼홈(6b)에 의한 연접에 의해 각 블럭(9)을 상기 가이드(6)의 축심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워장치 호스의 물 침입방지기구.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블럭(9)은 이 블럭(9)이 호스(5)주위를 에워싸는 방향의 양단에 축선방향의 벽을 서로 반대 방향을 향하도록 깎은 연접좌(9e), (9f)를 구비하고, 이들 연접좌(9e), (9F)를 인접하는 블록(9)의 대응하는 연접좌(9e), (9f)에 대해 축선 방향으로 중첩가능하게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워장치 호스의 물 침입방지기구.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블럭(9)과 상기 탄성체와의 사이에 패킹(11)을 구비하고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샤워장치 호스의 물 침입방지기구.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블럭(9)의 각각의 외주면에 주방향으로 달리는 홈(9b)을 형성하고, 상기 패킹(11)을 이 홈(9b)속에 끼워넣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워장치 호스의 물 침입방지기구.
  6.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패킹(11)을 상기 블록(9)의 개수와 같은 복수로 분할하고, 이를 패킹(11)을 서로 인접하는 블럭(9)의 이음 부분에 걸쳐지는 위치에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워장치 호스의 물 침입방지기구.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는 환상의 코일스프링(10)임을 특징으로 하는 샤워장치 호스의 물 침입방지기구.
KR1019910020378A 1990-11-15 1991-11-15 샤워장치 호스의 물 침입방지기구 KR96000570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0-120355 1990-11-15
JP1990120355U JP2528516Y2 (ja) 1990-11-15 1990-11-15 シャワー装置のホース水切り機構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9367A KR920009367A (ko) 1992-06-25
KR960005701B1 true KR960005701B1 (ko) 1996-05-01

Family

ID=147841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20378A KR960005701B1 (ko) 1990-11-15 1991-11-15 샤워장치 호스의 물 침입방지기구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0486000B1 (ko)
JP (1) JP2528516Y2 (ko)
KR (1) KR960005701B1 (ko)
AT (1) ATE121153T1 (ko)
DE (1) DE69108853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230426Y1 (it) * 1993-09-24 1999-06-07 Teuco Guzzini Srl Dispositivo di sostegno e scorrimento per doccia estraibile
JP3689309B2 (ja) * 2000-04-28 2005-08-31 株式会社Inax ホース収納式水栓
SG103864A1 (en) * 2002-05-30 2004-05-26 Rigel Technology S Pte Ltd A wall mountable shower head
US6845526B2 (en) * 2003-01-14 2005-01-25 Moen Incorporated Pullout spray head docking collar with enhanced retaining force
DE10335652A1 (de) 2003-07-29 2005-02-24 Hansgrohe Ag Halterungsanordnung für eine Brause
DE102012011478B4 (de) * 2012-06-12 2024-01-25 Grohe Ag Armatur mit geführtem ausziehbarem Auslauf
JP6489492B2 (ja) * 2014-05-28 2019-03-27 Toto株式会社 水栓装置及びスパウト
JP6934631B2 (ja) * 2017-11-30 2021-09-15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水栓装置
KR102398559B1 (ko) 2020-05-22 2022-05-16 손영삼 샤워호스용 커넥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339849A1 (de) * 1983-11-04 1985-05-15 Friedrich Grohe Armaturenfabrik Gmbh & Co, 5870 Hemer Halterung fuer handbrausen
DE8715230U1 (ko) * 1987-11-17 1988-01-07 Wella Ag, 6100 Darmstadt, De
DE8716239U1 (ko) * 1987-12-09 1988-01-21 Kludi-Armaturen Paul Scheffer, 5758 Froendenberg, D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477394U (ko) 1992-07-06
EP0486000B1 (en) 1995-04-12
EP0486000A1 (en) 1992-05-20
KR920009367A (ko) 1992-06-25
ATE121153T1 (de) 1995-04-15
JP2528516Y2 (ja) 1997-03-12
DE69108853D1 (de) 1995-05-18
DE69108853T2 (de) 1995-08-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05701B1 (ko) 샤워장치 호스의 물 침입방지기구
US6916007B2 (en) Closure valve apparatus for fluid dispensing
KR0150476B1 (ko) 스풀 밸브
KR101754397B1 (ko) 내진용 무홈 커플링
KR900018577A (ko) 미는식 유체 디스펜서
EA003489B1 (ru) Центральная трубка со встроенной защелкой для автомобильного масляного фильтра
RU2004122589A (ru) Сгибаемая удлинительная труба с шарниром, предназначенная для пылесоса
JP4199832B2 (ja) 特に多気筒の内燃機関のための吸気管装置で使用される切替ローラ
KR100222312B1 (ko) 온냉수혼합장치
CA2342326A1 (en) Filter element
CA2292550A1 (en) Connection together of tubular members
EP2183438A1 (en) Odour trap
JP3694814B2 (ja) 水栓における吐水管の回動規制装置
KR101783443B1 (ko) 주입 및 클리닝 범용 어댑터
KR101999649B1 (ko) 유로 개폐 탄성체가 설치된 엔드 씰을 갖는 리니어 가이드
US7842183B2 (en) Oil filter assembly
KR200218269Y1 (ko) 게이트밸브
KR102021673B1 (ko) 역류방지용 듀얼 체크밸브
JP3931176B2 (ja) 管継手
WO2000053074A1 (en) A telescoping pipe for a vacuum cleaner
KR100216073B1 (ko) 광케이블용 관구마개
JP3742679B2 (ja) 伸縮管
JP3655687B2 (ja) 内視鏡の管路切換装置
KR100391390B1 (ko) 수도미터에 사용하는 지수전
RU2281434C2 (ru) Вставной радиаторный клапан, имеющий радиальное внутреннее уплотнение и радиальное наружное уплотнение, а также подводящий или отводящий штуце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