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91390B1 - 수도미터에 사용하는 지수전 - Google Patents

수도미터에 사용하는 지수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91390B1
KR100391390B1 KR1019940033835A KR19940033835A KR100391390B1 KR 100391390 B1 KR100391390 B1 KR 100391390B1 KR 1019940033835 A KR1019940033835 A KR 1019940033835A KR 19940033835 A KR19940033835 A KR 19940033835A KR 100391390 B1 KR100391390 B1 KR 1003913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water
coupling
flow rate
constant f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338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23961A (ko
Inventor
우에노유우세키
Original Assignee
엔티이씨이코오교오 카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티이씨이코오교오 카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엔티이씨이코오교오 카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199400338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91390B1/ko
Publication of KR9600239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239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13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1390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5/00Plug valves; Taps or cocks comprising only cut-off apparatus having at least one of the sealing faces shaped as a more or less complete surface of a solid of revolution, the opening and closing movement being predominantly rotary
    • F16K5/06Plug valves; Taps or cocks comprising only cut-off apparatus having at least one of the sealing faces shaped as a more or less complete surface of a solid of revolution, the opening and closing movement being predominantly rotary with plugs having spherical surfaces; Packing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7/00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 F16K17/02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 F16K17/04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spring-load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44Mechanical actuating means
    • F16K31/60Han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afety Valves (AREA)
  • Measuring Volume Flow (AREA)
  • Self-Closing Valves And Venting Or Aerating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하면, 정유량 밸브 및 감압밸브를 맞붙이기 위한 공간을 별도로 준비하지 않고, 수도관으로 접속할 수 있고 또한, 접속하기 위한 배관공사를 별도로 필요로 하지 않으며, 지수전을 수도관으로 접속함으로써 그 수도관으로 접속할 수 있도록 한다.
보디(1)에 한쪽 끝에는 입구측 커플링(10)을 설치하고, 다른쪽 끝에는 출구측 커플링(11)을 설치하여, 그 보디(1)의 내부에는 지수밸브기루(17)를 설치하여 그것의 조작용 핸들(19)을 보디(1)의 외면측으로 설치한 지수전(V)에 있어서, 그 보디(1)의 내부에서 지수밸브기구(17)의 하류측으로 정유량 밸브(z)를, 입구측 커플링(10)의 보디(1)내로 유입하는 물 흐름이 그 저유량 밸브(Z)를 거쳐서 출구측 커플링(11)의 측으로 흐르도록 조립한다.

Description

수도미터에 사용하는 지수전
본 발명은 수도미터에 대하여 접속하여 사용하는 지수전을 개량한 것에 관한 것이다.
고층주택을 제외한 일반주택에 있어서, 수도로부터의 급수는 보통 수도관(a)을 각 주택마다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옥외에 매설된 수도의 미터박스(b)내로안내되어, 그곳에 배치된 지수전(V)과 수도미터(M)는 순서대로 접속되어, 상기 수도미터(M)를 거친 급수배관(c)을 주택내의 급수전으로 접속함으로써 실시된다.
그리고, 이 수도미터(M)의 상류측으로 접속하여 수도미터박스(b)내로 설치하는 지수전(V)은, 보통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형상으로 형성된 보디(1)의 일단에 입구측 커플링(10)을 설치하고, 타단에는 보디(1)에 설치한 가이드통(12)의 내주측에 수밀을 유지하여 미끄럼가능하게 끼워 맞추는 미끄럼통(13)을 설치하고, 그것의 외단측에 출구측 커플링(11)을 맞붙이는 것이며, 이 출구측 커플링(11)을 미끄럼통(13)의 미끄럼작동으로 보디(1)에 대하여 신축하는 신축커플링(1a)으로 구성하여 설치하고, 보디(1)내에는 상기 입구측 커플링(10) 및 출구측 커플링(10)의 사이에 밸브실(14)을 설치하여, 이 곳에 보올밸브(15)와 그것의 외주면에 구면형상인 내벽면이 미끄럼 접합하는 밸브시트(16)로 지수밸브기구(17)를 내장하여, 그 보올밸브(15)에 연결하는 밸브축(18)을 보디(1)의 외면측으로 돌출시키고, 그 외단측으로 핸들(19)을 맞붙임으로써 이 핸들(19)의 회전조작에 의하여 유로의 개폐제어가 실시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이것은 보통 상자형상으로 형성하여 옥외로 매설하는 수도미터박스(b)내에 있어서, 수도관(a) 및 급수배관(c)으로 지수전(V)을 통하여 접속하는 수도미터(M)가 7년마다 1회의 교환이 의무적으로 부여되어 있는 점에서 이 교환작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수도미터박스(b)내에 있어서 수도미터(M)의 상류측으로 접속하는 지수전(V)의 출구측 커플링(11)을 신축커플링(1a)으로 구성해 두고 이 신축작동으로 접속방향의 치수조절이 원하는대로 실시되도록 하기 위한 것과, 지수전(V)을 다른 기기의 지수전으로서 사용한 경우도 마찬가지로 기기의 정비의 분해와 조립이 쉽게 실시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수도미터(M)를 거쳐서 실시되는 수도의 급수는 고층주택인 높은 층의 주택에도 직접 안정되게 급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급수압을 높게 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수도미터(M)의 앞에 감압밸브(d)를 접속함으로써 3kgf/cm2정도로 감압하는 것이 필요하게 되어 있다.
또, 고층주택에 있어서, 낮은 층에서 급수전을 많이 개방하여 대량의 물이 사용되면 높은 층에서는 물이 나오지 않게 되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이런 점에서 각 층의 개별적인 주택의 수도급수 배관마다 최대유량을 제한하기 위한 정유량 밸브를 설치하는 것이 요망되고 있다.
그러나, 수도미터를 통하여 급수되는 개별적인 주택의 급수관마다 정유량 밸브나 감압밸브를 접속하는 데는 그들을 접속하기 위한 공간이 필요하게 되고, 또, 그들의 접속 때문에 배관공사가 번거롭게 되는 문제가 생긴다.
본 발명은, 종래의 수단에서 발생하고 있는 상기의 문제를 해소시키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정유량 밸브·감압밸브를 맞붙이기 위한 공간을 별도로 준비하지 않고, 수도관에 접속할 수 있고, 또한, 접속하기 위한 배관공사를 별도로 필요하지 않고 지수전을 수도관으로 접속하는 것으로, 그 수도관으로 접속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수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보디의 일단측에 입구측 커플링을 설치하고, 타단측에는 출구측 커플링을 설치하고, 상기 보디내부에는 지수밸브기구를 설치하여 그 조작용 핸들을 상기 보디의 외면측에 설치한 지수전에 있어서, 상기 지수전의 보디의 내부공간의 지수 밸브기구의 하류측에 통형상의 유지고정구, 고무재에 의하여 링형상으로 형성된 정유량 고무 및 링형상의 누름뚜껑로 이루어지는 정유량 밸브를 입구측 커플링으로부터 보디내로 유입하는 수류가 상기 정유량 밸브를 거쳐서 출구측 커플링측으로 흐르도록 조립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미터에 사용하는 지수전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 이것과 아울러, 보디의 일단측에 입구측 커플링을 설치하고, 타단측에 출구측 커플링을 설치하며, 상기 보디의 내부에는 지수밸브기구를 설치하여 그 조작용 핸들을 상기 보디의 외면측에 설치한 지수전에 있어서, 그 보디의 지수밸브기구의 하류측에 감압반이 받아들이는 2차측의 압력에 의하여 1차측으로 밀어내어지는 통형상밸브, 상기 통형상밸브를 2차측으로 밀어내는 감압용 스프링, 및 상기 통형상밸브의 돌출단에 형성된 밸브부에 대향시켜서 미끄럼통으로 고정하여 설치하는 밸브시트를 포함하는 감압밸브기구 및 통형상인 유지고정구와 고무재에 의하여 링형상으로 형성된 정유량 고무 및 링형상인 누름뚜껑으로 이루어지는 정유량 밸브를 입구측 커플링의 측에서 보디내로 유입하는 수류가 상기 감압밸브기구와 그 정유량 밸브를 지나서 출구용 커플링측으로 향하도록 조립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미터에 사용하는 지수전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 장치는 지수전(V)의 보디(1)내로 그 내부의 공간을 이용하여 정유량 밸브를 설치하도록 하고 있는 점에서, 정유량 밸브를 접속하기 위한 공간을 별도로준비하지 않고, 또한 별도로 접속공사를 필요로 하지 않으며 지수전을 급수배관으로 접속하는 것만으로, 그 급수배관으로 정유량 밸브를 접속시킬 수 있게 된다. 또, 지수전의 보디내부에 정유량 밸브 및 통형상밸브식의 감압밸브기구를 조립할 때에는 정유량 밸브와 감압밸브를 접속하기 위한 공간을 별도로 준비하지 않고, 또한 지수전을 급수배관으로 접속하는 공사만으로 접속하게 된다.
(실시예)
다음에 실시예를 도면에 따라서 상술한다. 또한, 도면부호는 종래수단의 것과 같은 기능의 구성부재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제3도는, 본 발명에 의한 신축형의 지수전(V)의 종단면도이고, 같은 도면에 있어서, (1)은 보디, (z)는 그 보디(1)내로 조립한 정유량 밸브를 표시한다.
지수전(V)은, 통형상으로 형성된 보디(1)의 1차측(X)으로 하는 축방향의 일단측에 입구측 커플링(10)을 설치하고, 2차측(Y)으로 하는 다단측에 출구측 커플링(11)을 설치하지만, 이 출구측 커플링(11)은 보디(1)에 설치한 가이드통(12)의 내주측으로 수밀을 유지하여 미끄럼가능하게 끼워 맞춤하는 미끄럼통(13)을 설치하여, 그 외단측으로 그 출구측 커플링(11)을 맞붙이는 것으로 미끄럼통(13)의 미끄러짐에 의하여 보디(1)에 대해서 신축하는 신축커플링(1a)으로 구성하여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보디(1)의 내부에는 이 신축커플링(1a)과 입구측 커플링(10)의 사이로 밸브실(14)을 설치하여, 이곳에 보올밸브(15)와 그 외주면에 내벽면이 미끄럼 접합하는 밸브시트(16)로 된 지수밸브기구(17)를 내장하며, 그 보올밸브(15)에 연결하는 밸브축(18)의 외단측을 보디(1)의 외면측으로 돌출시켜서 핸들(19)을 연결한다. 그리고, 이로 인하여 핸들(19)의 조작에 의하여 입구측 커플링(10)과 출구측 커플링(11)의 사이의 보디내의 유로개폐 및 유량제어를 실시하도록 한다. 또한, 지수밸브기구(17)는 보올밸브(15)와 그것을 둘러싸는 밸브시트(16)등으로 구성하는 경우에 한정되지 않고, 나비밸브(도시생략)와 이것에 대응하는 밸브시트(도시생략) 등으로 구성하는 등, 적당한 구성을 취할 수 있다. 또, 출구측 커플링(11)은, 예컨대 제4도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가이드통(12)과 미끄럼통(13)이 일체 또는 일체적으로 연속하는 형태로 함으로써 보디(1)에 일체 또는 일체적으로 설치하는 경우가 있다.
그리하여, 신축형의 형태로 형성된 지수전(V)에 있어서는, 그 보디(1)내로 맞붙이는 정유량 밸브(z)는 보디(1)에 설치되어 있는 신축커플링(1a)의 미끄럼통(13)의 내부를 이용하여 그곳에 설치된다.
이 미끄럼통(13)의 내부를 이용하는 정유량 밸브(z)의 맞붙임은,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구측 커플링(11)이 맞붙여지는 미끄럼통(13)의 축경부(130)에서 내단측 확경부(131)의 내부로 통형상으로 형성된 유지고정구(20)와 고무재로 성형한 두꺼운 반체(21a)의 중심부로 수류가 흐르는 투공(21b)을 설치하여 형성되는 링형상인 정유량 고무(21)와 고리형상인 누름뚜껑(22)으로 된 정유량 밸브(z)를 이 미끄럼통(13)의 확경부(131)의 내단측의 개구부에서 끼워 넣어 축경부(130)와 충돌하도록 밀어 넣고, 그 위치로 유지고정부(20)를 보정함으로써 행하여진다.
또한, 제3도에 있어서 23은 확경부(131)의 내단측의 개구부로 끼워 만든 스트레이너이다.
그리고, 이 정유량 밸브(z)의 맞붙임에 의하여 지수전(V)은 그것의 입구측의 커플링(10)을 수도관(a)으로 접속하며, 출구측 커플링(11)을 수도미터(M)로 통하여 급수배관(c)으로 접속함으로써, 지수밸브기구(17)의 개방에 의하여 수도관(a)으로부터 소정의 압력의 수도물이 보디(1)내로 유입되어 출구측 커플링(11)을 통과하여 급수배관(c)으로 흐를 때, 그 수도물의 압력이 높고, 이 때문에, 흐름의 유량이 클 때에는 정유량 밸브(z)의 정유량 고무(21)가, 제3도에 쇄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휘어져서, 중심부의 투공(21b)의 구경은 좁게 교축(紋縮)하여 유량을 저하시켜 유수량을 대략 일정하게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수도관(a)으로부터 공급되는 수도물의 압력이 높고, 또, 그 압력이 고저로 변화하여도, 정유량 밸브(z)의 작동에 의하여 출구측 커플링(11)으로부터 급수배관(c)으로 흐르는 수도물의 유량을 정유량 밸브(z)로 설정된 유량으로 유지시켜서, 급수배관(c)측에 있어서 유량의 조정제어가 용이하게 실시된다.
이 지수전(V)의 보디(1)에 대한 정유량 밸브(z)의 맞붙임이, 보디(1)가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축하지 않는 형태로 만들어지는 경우에는, 같은 제4도와 같이, 미끄럼통(13)을 일체로 연속시킨 형태의 가이드통(12)의 보디(1)의 본체와 나사맞춤하게 되는 내단측의 개구부로부터, 그 가이드통(12)내로 정유량 밸브(z)를 끼워 넣어서 맞붙이도록 하여도 좋다.
다음에 제5도는 다른 실시예를 표시하고 있다. 이 실시예는, 상기 제3도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정유량 밸브(z)를 정유량 고무(21)를 사용하지 않고 기계식의 정유량 밸브로 한 예이다.
즉, 미끄럼통(13)내로 조립하는 정유량 밸브(z)는 미끄럼통(13)의 확경부(131)의 내부로, 외경이 그 확경부(131)의 내경에 대응하는 통체(30)를 수밀로 끼워 넣고, 그 1차측(X)의 개구단측으로 확경부(131)의 내경보다는 어느 정도 소경으로 한 주발형상체(31)를 일체로 연속시켜서 설치하며, 이것의 주벽으로 통수구(32)를 개설하고, 또, 그 주발형상체(31)의 내측에는 통형상인 밸브체(33)를 축방향(제5도에 있어서 좌우방향)으로 미끄러지는 내통형상으로 끼워 넣음과 아울러, 이것과 일체적으로 연결하여 주발형상체(31)의 내주면에 대하여 수밀하게 끼워 맞추는 감압판(34)을 미끄럼가능하게 끼워 넣고, 그것의 축심부위로 제2통수구(340)를 형성하여 상기 통체(30)의 내부에 배치된 스프링(35)에 의하여 1차측(X)을 향해서 밀어 내도록 힘을 가하고, 상기 밸브체(33)의 외주에서 상기 주발형상체(31)의 주벽으로 개설된 통수구(32)와 대응하는 부위에는 각각 고리형상으로 형성된 제1밸브(36)와 제2밸브를 상기 축방향으로 2단으로 병렬하도록 설치하며, 주발형상체(31)의 내주면에서 상기 통수구(32)에서 1차측(X)으로 접근하는 부위에는 제1밸브(36)와 대향하는 제1밸브시트(38)를 고리형상으로 설치하고, 또 상기 통수구(32)의 입구가장자리 중에서 2차측(Y)으로 접근하는 부위에는 제2밸브(37)와 대향하는 제2밸브시트(39)를 고리형상으로 설치한다. 또, 상기 내통형상인 밸브체(33)에는, 통수구(32)로부터 유입하여 상기 제1밸브(36)와 제1밸브시트(38)의 사이를 흐르도록 한 수류를 밸브체(33)의 내부로 도입하는 개구(40)를 그 밸브체(33)의 1차측(X)의 개방구에 의하여 형성시키며, 통수구(32)로부터 유입하여 상기 제2밸브(37)와 제2밸브시트(39)의 사이를 흐르도록 한 수류를 밸브체(33)내로안내하는 개구(41)를 그 밸브체(33)의 주벽에서 제2밸브(39)보다도 2차측(Y)으로 접근하는 부위에 설치하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로 인하여 입구측 커플링(10)으로부터 보디(1)내로 유입하여 통수구(32)를 거쳐서 출구측 커플링(11)으로 향하는 수유량이 클 때에는, 밸브체(33)가 감압판(34)의 작동으로 스프링(35)에 항거하여 2차측(Y)으로 밀어 내어짐으로써, 제1밸브(36) 및 제2밸브(38)의 양쪽의 개도를 좁혀서 유량을 교축(絞縮)하고, 통수구(32)를 흐르도록 하는 수류의 양이 적을 때에는 스프링(35)에 의하여 밸브체가 되밀어 붙여져서, 제1밸브(36) 및 제2밸브(38)의 양쪽의 개도를 확장하여 유량을 증대시켜 보디(1)내를 흐르도록 유량을 대략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된다.
이 기계적인 정유량 밸브(z)를 보디(1)내부로 조립한 지수전(V)이 신축하지 않는 형태로 만들어 질 때에는,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미끄럼통(13)이 일체 또는 일체적으로 연속된 형태의 가이드통(12)의 내부로, 통체(30)와 이것에 연속하는 주발형상체(31), 그 내측으로 미끄럼가능하게 끼워 만든 통형상인 밸브체(33) 및 감압판(34), 이들을 1차측(X)으로 밀어 내는 스프링(35), 주발형상체(31)의 주벽으로 설치하는 통수구(32)와 밸브체(33)의 외주면에 2단으로 병렬하도록 설치하는 제1밸브(36) 및 제2밸브(37), 이것에 대향하도록 상기 통수구(32)의 입구가장자리부에 설치하는 제1밸브시트(38)와 제2밸브시트(39) 및 밸브(33)에 설치하는 개구(40),(41) 등에 의하여 구성되는 정유량 밸브(z)를 상기 제5도에 있어서 실시예의 정유량 밸브(z)와 마찬가지로 끼워 만들어 가이드통(12)의 외단측의 축경부와 충돌하여 그곳에 맞붙도록 하여도 좋다.
다음에 제7도는,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 실시예는, 지수전(V)의 보디(1)내로 정유량 밸브(z)와 감압밸브기구(w)의 양자를 끼워 만들어 넣도록 한 예이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의 지수전(V)은, 보디(1)를 신축형으로 한 형태인 것이다. 그리고, 보디(1)내로 설치한 정유량 밸브(z) 및 감압밸브기구(w)는 보디(1)의 신축커플링(1a)의 미끄럼통(13)의 내부공간을 이용하여, 그곳에 설치하도록 되어 있고, 또, 정유량 밸브(z)는 정유량 고무(21)를 사용한 형태인 것으로 하고 감압밸브기구(w)는 통형상밸브식인 것으로 하고 있다.
즉, 정유량 밸브(z)에 있어서는 유지고정구(20)의 내부로 정유량 고무(21)를 끼워 맞추어 유지시켜 누름뚜껑(22)에 의하여 정착된 정유량 고무를 사용한 형태인 것을 사용하여, 이것을 미끄럼통(13)의 축경부(130)내에 그 축경부(130)의 외단측의 개방구에서 끼워 넣고, 정지륜(24)에 의하여 고정함므로써 이 축경부(130)내와 맞붙게 된다.
또, 감압밸브기구(w)에 있어서는, 미끄럼통(13)의 확경부(131)내로 링형상으로 형성된 감압반(5)을, 수밀유지부재(50)를 통하여 축방향으로 미끄럼 가능하게 장입하며, 이것에 축심을 갖추어서 통형상밸브(6)의 기단측을 일체 또는 일체적으로 연속시켜서 연결하며, 선단측을 1차측(X)으로 향하여 돌출시켜 그 돌출단의 끝가장자리에 밸브부(60)를 형성하여 설치한다.
그리고, 이 통형상밸브(6)의 선단측의 외주에는 고리형상으로 형성된 스프링와셔(7)의 중심구멍부를 수밀유지부재(70)를 통하여 미끄럼가능하게 끼워 넣고, 이스프링와셔(7)의 외주측을 미끄럼통(13)의 확경부(131)의 내주면으로 수밀유지부재(71)를 통하여 수밀로 끼워 맞춤과 동시에, 외주변부의 2차측(Y)의 단면을 확경부(131)의 내주면으로 형성된 층계부와 충돌하여, 그 상태에서 외주변부의 1차측(X)의 단면으로 고리형상으로 형성된 스페이서(72)와 충돌하며, 그 스페이서(72)의 1차측(X)으로 위치하는 확경부(131)의 개구단부에, 주변부로 통수공(80)을 구비하는 원반형상으로 형성된 밸브시트고정구(8)를, 나사맞춤 또는 코오킹하여 또는 정지륜 등에 의하여 고정 상태로 끼워 맞춤하여, 이 밸브시트고정구(8)로 상기 스페이서(72)를 밀어 넣음으로써, 상기 스프링와셔(7)를 전술한 층계부와 충합하는 위치로 고정한다. 이 때, 스페이서(72)는 스프링와셔(7)와 일체로 연속하도록 형성하거나 밸브시트고정구(8)에 일체로 연속하도록 형성하는 경우가 있다.
또, 이 스프링와셔(7)를 끼워 만들기 전에 미리 끼워 두는 감압용 스프링(9)을, 상기 스프링와셔(7)와 상기 감압반(5)의 사이로, 그 감압반(5)을 2차측(Y)으로 향하여 밀어내도록 설치하며, 상기 밸브시트고정구(8)에는 그 2차측(Y)의 끝면으로 상기 통형상밸브(6)의 선단측의 개구단 가장자리에 형설된 밸브부(60)와 대향하는 밸브시트(81)를 설치하며, 또한 상기 감압용 스프링(9)의 압출압력(F)을 감압반(5)의 수압면의 유효면적(S)과 2차측(Y)으로 설정하는 압력의 관계에 있어서 소망으로 설정함으로써, 통형상밸브식의 감압밸브기구(w)가 맞붙게 되는 기구로 되어 있다.
이로 인하여, 지수전(V)의 보디(1)의 입구측 커플링(10)을 수도관(a)으로 접속하고, 출구측 커플링(11)을 수도미터를 통하여 급수배관(c)으로 접속해 둠으로써 지수밸브기구(17)의 개방에 의하여, 수도관(a)으로부터 압력(P1)의 수도물이 밸브시트고정구(8)의 통수공(80)을 통하여 유입되고, 또 밸브시트(81)와 통형상밸브(6)의 밸브부(60)와의 사이의 간격으로부터 통헝상밸브(6)의 내부를 거쳐서 출구측의 커플링(11)으로 향해서 흐르게 되며, 이것이 흐르는 동안에 감압반(5)의 수압면적과 감압용 스프링(9)의 탄압에 의하여 설정된 설정압력으로 유지되도록 된다. 그리고, 이 감압밸브기구(w)를 거친 수도물이 미끄럼통(13)의 축경부(130)내로 조립하는 정유량 밸브(z)를 거쳐서, 일정한 유량으로 제어된 상태로 되어 출구측 커프링(11)으로부터 유출되게 된다.
다음에, 제8도는 상기한 바와 같이 지수전(V)의 보디(1)내로 정유량 밸브(z)와 감압밸브기구(w)의 양자를 조립할 때에, 그 보디(1)가 신축하지 않는 형태인 것으로 만들어진 경우의 실시예를 표시하고 있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보디(1)는, 상기 신축형으로 한 실시예에 있어서, 가이드통(12)에 대하여 미끄럼가능하게 되어 있는 미끄럼통(13)이 가이드통(12)에 일체로 연속되도록 형성된 형태로 되어 있다. 그리고, 정유량 밸브(z)에 있어서는 정유량 고무(21)를 사용한 구조인 것으로서, 가이드통(12)의 외단측으로 연속하는 축경부의 내부로, 제7도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맞붙여져 있고, 또, 감압밸브기구(w)에 있어서는, 상기 실시예와 마찬가지의 구성인 통형상밸브식인 것을 사용하여, 상기 측정부의 내단측으로 연속하는 가이드통(12)의 확경부내로 맞붙여져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수도미터에 사용하는 지수전은 그 보디(1)내로 그 내부의 공간을 이용하여 정유량 밸브를 조립하도록 함으로써, 정유량 밸브를 접속하기 위한 공간을 별도로 준비하지 않고, 또한 별도로 접속공사를 필요로 하지 않으며, 지수전을 급수배관으로 접속하는 것만으로, 그 급수배관으로 정유량 밸브를 접속시킬 수 있게 된다. 또, 지수전의 보디내부로 정유량 밸브와 통형상밸브식의 감압밸브기구 등을 조립할 때는 정유량 밸브와 감압밸브를 접속하기 위한 공간을 별도로 준비하지 않고 또한 지수전을 급수배관으로 접속해 가는 공사만으로 접속하게 된다.
제1도는, 매설된 수도미터박스 및 그 내부에 배치된 지수전과 수도미터의 일부가 파단된 측면도.
제2도는, 종래의 수도미터에 사용하는 지수전의 종단면도.
제3도는, 본 발명을 실시하는 지수전의 종단면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종단면도.
제5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종단면도.
제6도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의 종단면도.
제7도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의 종단면도.
제8도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의 종단면도.

Claims (2)

  1. 보디(1)의 일단측에 입구측 커플링을 설치하고, 타단측에는 출구측 커플링(11)을 설치하고, 상기 보디(1)내부에는 지수밸브기구(17)를 설치하여 그 조작용 핸들(19)을 상기 보디(1)의 외면측에 설치한 지수전(V)에 있어서, 상기 지수전(V)의 보디(1)의 내부공간의 지수밸브기구(17)의 하류측에 통형상의 유지고정구(20), 고무재에 의하여 링형상으로 형성된 정유량 고무(21) 및 링형상의 누름뚜껑(22)로 이루어지는 정유량 밸브(z)를 입구측 커플링(10)으로부터 보디(1)내로 유입하는 수류가 상기 정유량 밸브(z)를 거쳐서 출구측 커플링(11)측으로 흐르도록 조립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미터에 사용하는 지수전.
  2. 보디(1)의 일단측에 입구측 커플링(10)을 설치하고, 타단측에 출구측 커플링(11)을 설치하며, 상기 보디(1)의 내부에는 지수밸브기구(17)를 설치하여 그 조작용 핸들(19)을 상기 보디(1)의 외면측에 설치한 지수전(V)에 있어서, 그 보디(1)내부의 지수밸브기구(17)의 하류측에 감압반(5)이 받아들이는 2차측(Y)의 압력(P2)에 의하여 1차측(X)으로 밀어내어지는 통형상밸브(6), 상기 통형상밸브를 2차측(Y)으로 밀어내는 감압용 스프링(9), 및 상기 통형상밸브(6)의 돌출단에 형성된 밸브부(60)에 대향시켜서 미끄럼통(13)으로 고정하여 설치하는 밸브시트(81)를 포함하는 감압밸브기구(w) 및 통형상인 유지고정구(20)와 고무재에 의하여 링형상으로 형성된 정유량 고무(21) 및 링형상인 누름뚜껑(22)으로 이루어지는 정유량 밸브(z)를 입구측 커플링(10)의 측에서 보디(1)내로 유입하는 수류가 상기 감압밸브기구(w)와 상기 정유량 밸브(z)를 지나서 출구용 커플링(11)측으로 향하도록 조립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미터에 사용하는 지수전.
KR1019940033835A 1994-12-13 1994-12-13 수도미터에 사용하는 지수전 KR1003913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33835A KR100391390B1 (ko) 1994-12-13 1994-12-13 수도미터에 사용하는 지수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33835A KR100391390B1 (ko) 1994-12-13 1994-12-13 수도미터에 사용하는 지수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3961A KR960023961A (ko) 1996-07-20
KR100391390B1 true KR100391390B1 (ko) 2004-03-20

Family

ID=493817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33835A KR100391390B1 (ko) 1994-12-13 1994-12-13 수도미터에 사용하는 지수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9139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7400B1 (ko) 2008-06-24 2008-05-06 김정춘 파이프 연결구를 갖는 수도계량기 및 그 제조방법
US11609112B2 (en) 2020-05-12 2023-03-21 The Ford Meter Box Company, Inc. Meter box having adjustable length meter coupling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5715B1 (ko) * 1998-12-24 2006-07-25 엘지전자 주식회사 급수용 밸브 구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7400B1 (ko) 2008-06-24 2008-05-06 김정춘 파이프 연결구를 갖는 수도계량기 및 그 제조방법
US11609112B2 (en) 2020-05-12 2023-03-21 The Ford Meter Box Company, Inc. Meter box having adjustable length meter coupling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3961A (ko) 1996-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473565A (en) Shock absorber for liquid flow lines
US5806552A (en) Fluid valve
US5743291A (en) Sanitary safety device
US2247363A (en) Valve device
FI66065C (fi) Genomstroemningsventil
RU2326281C2 (ru) Регулирующий клапан с перекатывающейся диафрагмой
US5409042A (en) Constant-rate flow control valve
US6267134B1 (en) Wall mounted mixer valve with pressure balance
KR100391390B1 (ko) 수도미터에 사용하는 지수전
CA2289388C (en) Faucet side spray diverter
JP4319008B2 (ja) 逆流防止装置
WO1991005191A1 (en) Cartridge for a single control lever mixing faucet with connecting pipes reinforced by elastic means
KR100351313B1 (ko) 수도미터에 사용하는 지수전
US6612536B2 (en) Remote shut-off valve
US6626208B2 (en) Check valve for use in a pressure balance faucet
WO1998021419A1 (en) Flow regulator
JP3725501B2 (ja) 水道用定比減圧弁
JP3022751B2 (ja) 減圧弁付きの止水栓
JP2739150B2 (ja) 伸縮型の止水栓
JPH061753U (ja) 推薬弁
IT9019615A1 (it) Valvola a tre vie perfezionata
US3693663A (en) Mixing valve
US20180135768A1 (en) Check valve
JP2003232456A (ja) 逆止弁
JPH0314605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50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