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22312B1 - 온냉수혼합장치 - Google Patents

온냉수혼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22312B1
KR100222312B1 KR1019950703671A KR19950703671A KR100222312B1 KR 100222312 B1 KR100222312 B1 KR 100222312B1 KR 1019950703671 A KR1019950703671 A KR 1019950703671A KR 19950703671 A KR19950703671 A KR 19950703671A KR 100222312 B1 KR100222312 B1 KR 1002223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cold water
passage
inner housing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7036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701325A (ko
Inventor
마사토시 에노키
도시히테 우시타
히데유키 마츠이
다츠오 마츠쿠마
유지 마츠오
미네오 나카시마
히로시 츠티야
사토루 후루타
Original Assignee
시게후치 마사토시
도토기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게후치 마사토시, 도토기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시게후치 마사토시
Publication of KR9607013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7013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223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22312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1/00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 F16K11/02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 F16K11/06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sliding valves, i.e. sliding closure elements
    • F16K11/078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sliding valves, i.e. sliding closure elements with pivoted and linearly movable closure members
    • F16K11/0782Single-lever operated mixing valve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flat sealing fa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1/00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 F16K11/02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 F16K11/06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sliding valves, i.e. sliding closure elements
    • F16K11/065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sliding valves, i.e. sliding closure elements with linearly sliding closure members
    • F16K11/07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sliding valves, i.e. sliding closure elements with linearly sliding closure members with cylindrical sli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1/00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 F16K11/02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 F16K11/06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sliding valves, i.e. sliding closure elements
    • F16K11/065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sliding valves, i.e. sliding closure elements with linearly sliding closure members
    • F16K11/07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sliding valves, i.e. sliding closure elements with linearly sliding closure members with cylindrical slides
    • F16K11/0716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sliding valves, i.e. sliding closure elements with linearly sliding closure members with cylindrical slides with fluid passages through the valve me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4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sliding valves
    • F16K27/044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sliding valves slide valves with flat obturating members
    • F16K27/045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sliding valves slide valves with flat obturating members with pivotal obturating memb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0318Processes
    • Y10T137/0402Cleaning, repairing, or assembling
    • Y10T137/0407Repairing or assembling hydrant [e.g., fireplug, et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598With repair, tapping, assembly, or disassembly means
    • Y10T137/6011Assembling, disassembling, or removing cartridge type valve [e.g., insertable and removable as a unit, etc.]
    • Y10T137/6014Faucet type [e.g., domestic water use, et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6851With casing, support, protector or static constructional installations
    • Y10T137/7036Jacket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8593Systems
    • Y10T137/87249Multiple inlet with multiple outle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8593Systems
    • Y10T137/87571Multiple inlet with single outlet
    • Y10T137/87676With flow control
    • Y10T137/87684Valve in each inl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ltiple-Way Valves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 Sorption Type Refrigeration Machines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온수와 냉수를 혼합해서 혼합수를 토출하는 온냉수 혼합장치, 특히 장치내의 유체통로구성의 방법에 특징으로 가지는 온냉수 혼합장치에 관한 것으로, 온수 공급로(15), 냉수 공급로(16) 및 혼합수 공급로(14)에 각각 연이어 통하는 개방구멍(33, 34, 32)을 가지는 외측 하우징(31)내에 온수 유입구멍(17), 냉수 유입구멍(18), 혼합수 토출구멍(19)이 뚫려 설치된 내측 하우징(11)을 끼워 부착하고 외측 하우징(31)과 내측 하우징(11)과의 사이에 온수 통로(20), 냉수 통로(35), 혼합수 통로(30)를 형성해서 이루어지는 온냉수 혼합장치로서 그 일부가 내측 하우징(11)의 원주방향선과 교차해서 설치된 시일부재(26, 29)에 의해 각각 온수 유입구멍(17), 혼합수 토출구멍(19)을 둘러 싸므로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온냉수혼합장치
[발명의 상세한 설명]
[기술분야]
본 발명은 온수와 냉수를 혼합하여 혼합수를 토출하는 온냉수 혼합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장치내의 유체통로 구성의 방법에 특징을 가진 온냉수 혼합장치에 관한 것이다.
[배경기술]
온냉수 혼합 수도꼭지와 같은 온냉수 혼합장치에 있어서는 온수 공급원 및 냉수 공급원에서 각각 공급된 온수 및 냉수를 적절한 비율로 혼합하고, 일정 온도의 혼합수를 토출시키기 위해 내부에 온수 및 냉수가 통과하는 온수 통로 및 냉수 통로가 형성됨과 동시에 유입된 온수 및 냉수를 혼합하는 혼합실 및 혼합수를 토출하는 혼합수 통로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유체 통로는 종래에는 주물제의 수도꼭지 본체(케이싱)내에 칸막이 벽을 일체성형에 의해 설치함으로서 형성되어 있다(예를 들면 일본국 특허 공고 제83-40060호 공보). 주물제의 본체 케이싱은 내부의 유체 통로를 비교적 자유로운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는 이점은 있지만 전체적으로 외형이 커짐과 동시에 중량도 크다는 문제가 있다.
그래서 주물제의 본체 케이싱 대신에 이 본체 케이싱을 중공형상의 금속관으로 구성하고, 이 관내에 중공형상의 내측 케이싱을 삽입하여 장착하고, 관과 내측 케이싱 사이의 빈 공간내에 유체 통로를 형성한 온냉수 혼합장치가 개발되어 있다(미국 특허 출원 제4,610,393호 공보).
이 관과 이것에 삽입 장착된 내측 케이싱을 이용한 온냉수 혼합장치에 있어서는 관에 온수 공급로, 냉수 공급로 및 혼합수 토출로에 각각 연이어 통하는 구멍이 뚫려 있고, 또 내측 케이싱에도 온수 공급로, 냉수 공급로 및 혼합수 토출로에 각각 연이어 통하는 물이 통과하는 구멍이 뚫려 있다. 그리고 관의 구멍과 내측 케이싱의 물이 통과하는 구멍과는 각각 온수 공급로, 냉수 공급로 및 혼합수 토출로에 대응하는 것끼리 근접하여 배치되고, 각각의 구멍, 물이 통과하는 구멍 사이에 시일 부재(O 링)를 원주상에 설치함으로서 관의 축선방향으로 온수 통로, 혼합수 통로 및 냉수 통로가 분할 형성되어 진다.
이 온냉수 혼합장치에 있어서는 내측 케이싱내에 혼합수의 토출량을 조정하는 개폐밸브 및 온수와 냉수의 혼합비를 설정 온도에 대응시켜서 자동적으로 조정하기 위한 자동 온도 조절 기능을 구비한 믹싱 밸브가 조립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온수 공급로에 연이어 통하는 구멍, 물이 통과하는 구멍을 통하여 내측 케이싱내에 유입한 온수와, 냉수 공급로에 연이어 통하는 구멍, 물이 통과하는 구멍을 통하여 내측 케이싱내에 유입한 냉수와는 믹싱 밸브를 경유하여 적절한 혼합비로 혼합되며, 개폐 밸브의 조작에 의해 혼합수 토출로에서 토출된다.
이 관과 내측 케이싱을 이용한 온냉수 혼합장치는 주물제의 본체 케이싱을 이용한 것과 비교하여 외형 길이가 소형화됨과 동시에 중량도 경감되는 이점이 있다.
그런데 복수의 O 링을 내측 케이싱의 외주면에 장착하여 내측 케이싱의 한 쪽의 말단에서 다른 쪽의 말단을 향해서 온수 통로, 혼합수 통로 및 냉수 통로를 분할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온냉수 혼합장치가 고온부분, 적절 온도 부분 및 저온 부분의 3가지 온도 분포로 분단된 상태가 된다.
이것은 온냉수 혼합장치 전체의 열적 밸런스를 잃게 하여 열팽창 차이에 의한 변형왜곡, 고온부의 악화, 정밀도 불량 등을 방지시킨다. 또한 고온의 온수가 수도꼭지 본체의 한쪽 말단에서는 전체 원주상에 걸쳐 유입하기 때문에 조작자측의 관 표면의 일부가 고온이 된다. 이것은 특히 욕실 등에서 사용하는 경우는 특히 위험하다.
그래서 관을 본체 케이싱으로 사용하는 이점을 살리면서 상기한 바와 같은 온냉수 혼합장치 전체의 열적 밸런스의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제안되고 있다. (미국 특허 제4,381,073호 공보).
이 제안에 의하면 온수 공급로에서 관내에 공급된 온수를 관의 원주방향으로 흐르게 하는 일이 없이 내측 케이싱내에 바로 유입시킴과 동시에 냉수 공급로에서 공급된 냉수를 일단 내측 케이싱내에 유입시킨 후 다시 한번 관과 내측 케이싱 사이에 의 빈 공간에 유출시키고, 내측 케이싱의 외주면의 대부분을 냉수로 덮음으로서 관의 외표면의 극히 일부분에 열이 발생하여 위험이 생기거나, 온냉수 혼합장치 전체걸쳐서 현저한 열적 언밸런스가 발생하거나 하는 일이 없도록 되어 있다.
상기한 미국 특허 제4,381,073호 공보에 기재된 온냉수 혼합장치는 관을 본체 케이싱에 사용하는 이점을 살림과 동시에 열적 밸런스의 문제를 해결한 것이지만 내측 케이싱의 구조가 매우 복잡하게 됨과 동시에 관의 구멍과 내측 케이싱의 물이 통과하는 구멍과의 심 어긋남 조정이 어려워지고 구성부분의 가공 정밀도 및 조립 정밀도가 엄격하게 요구되는 문제가 있다.
즉 미국 특허 제4,381,073호 공보의 제1도에 기재된 온냉수 혼합장치에 있어서는 온수 통로 및 냉수 통로가 내측 케이싱의 외주면에 장착된 복수의 O 링에 의해 형성되며, 혼합수 통로가 내측 케이싱의 내주위측에 장착된 2개의 O 링에 의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냉수 공급원에서 공급된 냉수는 일단 내측 케이싱내에 유입된 후 O 링의 안쪽측을 축선 방향으로 이동하여 다시한번 반경 외부방향을 향해서 관과 내측 케이싱의 빈 공간내에 유출하는 복잡한 유로를 흐르게 된다.
이 때문에 냉수의 유로 구성 부분이 많아짐과 동시에 이 부품의 조립구조도 매우 복잡하게 된다. 또한 혼합수 통로를 구성하기 위해서 내측 케이싱의 내부에 또 하나의 중공형상의 케이싱을 설치할 필요가 있다. 또한 온수가 부분적이라고는 해도 관의 전체주위에 걸쳐서 유입하기 때문에 화상의 위험이 있는 문제는 해결되지 못한다.
상기 미국 특허 제4,381,073호 공보의 제2도에 기재된 온냉수 혼합장치에 있어서는 온수 통로가 관의 전체 주위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상기 한 화상의 위험성에 대한 문제는 해결되고 있다. 그러나 냉수 통로는 상기한 바와 같이 복잡하고 혼합장치를 구성하는 부품개수도 많다.
이 때문에 각 구성부품의 가공 정밀도, 조립 정밀도가 엄격하게 요구되며, 온냉수 혼합장치의 가공, 조립이 곤란한 문제가 있다.
또한 관의 구멍과 내측케이싱의 물 통과구멍과의 심 어긋남을 조정하기 위해 물 통과구멍을 크게 형성할 필요가 있어서 내측 케이싱의 강도를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유체통로가 복잡하기 때문에 혼합수 통로에 접속되는 수도꼭지, 샤워용 호스 등의 설치위치가 한정되고 용도에 따라 그 위치를 변경하는 것이 곤란하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다수의 원주방향 시일(O링)의 조합에 의해 유체통로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시일의 편입작업이 불편하고 곤란함과 동시에 워터해머(water hammer) 등이 발생했을 때 시일의 누설이 발생하기 쉽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고려해서 만들어진 것으로, 전체의 열적밸런스가 좋고 또한 구조가 간단하고 가공 조립이 용이한 온냉수 혼합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수도꼭지, 샤워용 호스 등의 배치위치를 용도, 상황에 따라 비교적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는 온냉수 혼합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내측 하우징과 외측 하우징의 각각에 뚫려 있는 구멍의 중심 어긋남의 조정이 용이한 온냉수 혼합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발명의 개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온수 공급로, 냉수 공급로 및 혼합수 토출로에 각각 연이어 통하는 구멍을 가지는 외측 하우징과, 외측 하우징내에 공간을 가지고 끼워 부착되고 온수 공급로, 냉수 공급로에 각각 연이어 통하는 2개의 1차측 물 통과구멍과, 혼합수 토출로에 연이어 통하는 2차측 물 통과구멍이 외표면측에서부터 관통 형성되어 있는 중공형상의 내측 하우징과, 외측 하우징과 내측 하우징과의 사이에 2개의 1차측 물통과구멍중에 적어도 온수 공급로에 연이어 통하는 물 통과구멍 및 2차측 물 통과구멍을 각각 둘러 쌈과 동시에 그 일부가 내측 하우징의 주위 방향선과 교차하는 방향을 향해 설치되어 있는 상기 공간내에 유체통로를 형성하기 위한 격리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더욱 바람직한 형태로서, 물 통과구멍이 비원형 형상으로 형성된 격리부재에 의해 둘러 싸여져 있다.
본 발명은 더욱 바람직한 형태로서, 격리부재가 상호 직교하는 좌우, 상하방향의 치수가 다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은 더욱 바람직한 형태로서 격리부재가 적어도 일부에 직선부를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은 더욱 바람직한 형태로서, 직선부가 내측 하우징의 축선방향과 거의 평행하게 뻗어있다.
본 발명은 더욱 바람직한 형태로서 물 통과구멍이 비원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은 더욱 바람직한 형태로서 물 통과구멍이 상호 직교하는 좌우, 상하방향의 구멍치수가 다른 형상을 하고 있다.
본 발명은 더욱 바람직한 형태로서 물 통과구멍이 적어도 일부에 직선부를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은 더욱 바람직한 형태로서 격리부재가 탄력성을 가지는 시일부재로 이루어져 있다.
본 발명은 더욱 바람직한 형태로서 각각의 격리용 부재가 내측 하우징의 축선에 직교하는 단면에 있어서 한쪽의 격리부재에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서 어긋난 위치에 다른쪽의 격리부재가 배치되도록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더욱 바람직한 형태로서 격리부재가 내측 하우징의 외표면측에 장착되어 있다.
본 발명은 더욱 바람직한 형태로서 내측 하우징내에는 내측 하우징의 각각을 물 통과구멍을 통해 유입, 유출하는 유체를 제어하는 수단이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은 더욱 바람직한 형태로서 제어수단은 카트리지구조를 하고 있다.
본 발명은 더욱 바람직한 형태로서 외측 하우징에는 내측 하우징을 외부쪽에서 삽입배치하기 위한 삽입용 구멍이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은 더욱 바람직한 형태로서 외측 하우징의 삽입용 구멍이 유체 제어수단을 조작하는 조작부의 연락 구멍을 겸하고 있다.
본 발명은 더욱 바람직한 형태로서 외측 하우징이 파이프재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은 더욱 바람직한 형태로서 외측 하우징은 단조에 의해 형성된 관형상 부재로 이루어져 있다.
본 발명은 더욱 바람직한 형태로서 내측 하우징에 물 통과구멍으로서 온수 유입 구멍, 냉수 유입 구멍, 혼합수 토출구멍이 뚫려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은 더욱 바람직한 형태로서 격리부재가 온수 통로를 형성하도록 온수 유입구멍을 둘러싸 설치된 온수 격리용 부재와, 혼합수 통로를 형성하도록 혼합수 토출구멍을 둘러싸 설치된 혼합수 격리용 부재로 이루어져 있다.
본 발명은 더욱 바람직한 형태로서 격리부재가 온수 통로를 형성하도록 온수 유입구멍을 둘러싸 설치된 온수 격리용 부재와, 냉수 통로를 형성하도록 냉수 유입 구멍을 둘러싸아 설치된 냉수 격리용 부재와, 혼합수 통로를 형성하도록 혼합수 토출구멍을 둘러싸아 설치한 혼합수 격리용 부재로 이루어져 있다.
본 발명은 더욱 바람직한 형태로서 혼합수 토출구멍이 상호 독립해서 설치된 제1혼합수 토출구멍과 제2혼합수 토출구멍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더욱 바람직한 형태로서 온수 유입구멍 및 제1, 제2혼합수 토출구멍이 각각 격리부재에 의해 둘러싸여져 있다.
본 발명은 더욱 바람직한 형태로서 격리부재가 제1 및 제2혼합수 토출구멍을 각각 둘러싸는 경우 어느 한쪽의 격리부재가 다른쪽의 격리부재를 둘러싸도록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은 더욱 바람직한 형태로서 제2혼합수 통로는 외측 하우징내를 관통해서 삽입된 샤워엘보우(elbow)를 통해 샤워호스에 접속되고 이 샤워엘보우의 선단부는 제2혼합수 통로에 부착, 분리자유롭게 장착되어 있다.
본 발명은 더욱 바람직한 형태로서 샤워엘보우의 선단부에는 반경방향으로 돌출하는 돌출부가 설치되고 제2혼합수 통로의 주위 가장자리부에는 샤워엘보우의 돌출부가 미끄럼운동 자유롭게 맞닿음과 동시에 상기 돌출부가 축선방향으로 통과 가능한 절개부가 형성된 원주 플랜지가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은 더욱 바람직한 형태로서 샤워엘보우의 선단부에는 반경방향으로 돌출하는 돌출부가 설치되고 제2혼합수 통로에는 샤워엘보우의 돌출부가 미끄럼운동 자유롭게 맞닿게 되어 있고 상기 돌출부가 축선방향으로 통과 가능한 절개부가 형성된 원주 플랜지부를 구비한 푸쉬부재(push)가 부착, 탈착자유롭게 장착되어 있다.
본 발명은 더욱 바람직한 형태로서 제2혼합수 통로는 온수 유입구멍과 냉수 유입구멍과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은 더욱 바람직한 형태로서 내측 하우징에 온수 유입구멍, 냉수 유입구멍, 온수 토출구멍 및 냉수 토출구멍이 뚫려져 있다.
본 발명은 더욱 바람직한 형태로서 격리부재가 온수통로를 형성하도록 온수 유입구멍을 둘러싸아 설치된 온수 격리용 부재와, 혼합수 통로를 형성하도록 온수 토출구멍 및 냉수 토출구멍을 함께 둘러싸아 설치된 혼합수 격리용 부재로 이루어져 있다.
본 발명은 더욱 바람직한 형태로서 격리부재가 온수 통로를 형성하도록 온수 유입구멍을 둘러싸아 설치된 온수 격리용 부재와, 냉수 통로를 형성하도록 냉수 유입구멍을 둘러싸아 설치된 냉수 격리용 부재와, 혼합수 통로를 형성하도록 온수 토출구멍 및 냉수 토출구멍을 함께 둘러싸아 설치된 혼합수 격리용 부재로 이루어져 있다.
본 발명은 더욱 바람직한 형태로서 혼합수 격리용 부재는 적어도 온수 격리용 부재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은 더욱 바람직한 형태로서 내측 하우징의 양단부에 외측 하우징과의 공간을 시일하는 시일부재가 장착되어 있다.
본 발명은 더욱 바람직한 형태로서 밀폐부재는 온수 격리용 부재 및 혼합수 격리용 부재의 적어도 한쪽의 격리용 부재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은 더욱 바람직한 형태로서 시일부재는 내측 하우징의 외표면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은 더욱 바람직한 형태로서 혼합수 격리용 부재가 내측 하우징의 외측 반원주보다 작은 범위내에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은 더욱 바람직한 형태로서 내측 하우징이 합성수지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은 더욱 바람직한 형태로서 내측 하우징의 외표면측에 격리부재 장착용의 오목홈을 가지는 지지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은 더욱 바람직한 형태로서 내측 하우징의 외표면측에서 돌출되어 설치된 격리부재 장착용 지지부의 측면에 경사부를 가지는 리브가 축선방향과 평행하게 연이어 접해서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은 더욱 바람직한 형태로서 내측 하우징내에 제어수단 수납부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중공형상의 내측 하우징에 온수 공급로, 냉수 공급로에 각각 연이어 통하는 2개의 1차측 물 통과구멍과, 혼합수 토출로에 연이어 통하는 2차측 물 통과구멍을 외표면측에서 관통 형성하고 2개의 1차측 물 통과구멍중에 적어도 온수 공급로에 연이어 통하는 물 통과구멍 및 2차측 물 통과구멍을 그 일부가 내측 하우징의 주위방향선과 교차하는 방향을 향해 설치된 격리부재를 사용해서 둘러싸고, 내측 하우징을 온수 공급로, 냉수 공급로 및 혼합수 토출로에 각각 연이어 통하는 구멍을 가지는 중공형상의 외측 하우징에 끼워 부착하고 내측 하우징과 외측 하우징의 공간내에 유체통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더욱 바람직한 형태로서 물 통과구멍을 격리부재에 의해 비원형 형상으로 둘러싸 유체통로를 형성한다.
본 발명은 더욱 바람직한 형태로서 물 통과구멍을 내측 하우징의 축선과 대략 평행하게 뻗어있는 직선부를 가지는 격리부재에 의해 둘러싸므로서 유체통로를 형성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내측 하우징에 관통형성된 2개의 1차측 물 통과구멍 중의 적어도 온수 공급로에 연이어 통하는 물통과 구멍 및 2차측 물 통과구멍을, 그 일부가 내측 하우징의 주위방향선과 교차하는 방향을 향해 설치된 격리부재를 사용해서 둘러싸고, 내측 하우징을 외측 하우징에 끼워 부착하므로서 내측 하우징과 외측 하우징의 공간내에 유체통로가 형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온수 공급로에서 공급된 온수는 격리부재에 의해 소정의 영역내에서만 흐르도록 격리된 상태로 내측 하우징내에 이송된다. 또한 이 격리부재는 일부가 내측 하우징의 주위 방향선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향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냉수 공급로로부터 공급된 물을 이 격리부재의 외측 가장자리를 따라 내측 하우징의 주위방향선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흐를 수 있게한다.
또는 냉수 공급로에 연이어 통하는 내측 하우징의 1차측 물 통과구멍도 격리부재로 둘러싸인 경우는 내측 하우징과 외측 하우징의 공간내에는 공기 혹은 단열부재가 존재하게 되지만 이 공간은 격리부재의 외측 가장자리를 따라 내측 하우징의 주위방향선과 교차하는 방향으로도 형성된다.
이렇게 해서 물 또는 공기 등의 단열재를 내측 하우징내에 특별한 통로를 형성해서 격리부재의 반직경 내측 방향을 우회시키지 않아도 격리부재를 따라 내측 하우징의 주위방향선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송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온수를 소정의 예를들면 좁은 영역내에 격리해서 외측 하우징이 고온이 되는 것을 방지하고 물 또는 공기 등의 단열재를 내측 하우징의 외주위를 둘러 싸도록 넓은 범위에 걸쳐 배치할 수 있음과 동시에 이러한 구성을 내측 하우징내에 특별한 통로를 형성하지 않고 간단하게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혼합수 토출로에 연이어 통하는 2차측 물 통과구멍이 그 일부가 내측 하우징의 주위방향선과 교차하는 방향을 향해 설치된 격리부재에 의해 둘러 싸여져 있기 때문에 2차측 물 통과구멍의 둘러 싸인 영역을 내측 하우징의 축선방향으로 크게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이 둘러 싸인 영역에 접속되는 수도꼭지, 샤워용 호스 등의 배치위치를 축선방향으로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격리부재에 의해 둘러싸인 영역을 내측 하우징의 축선방향으로 크게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내측 하우징과 외측 하우징의 각각에 설치된 구멍의 심어긋남의 조정을 비교적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격리부재의 배치장소, 그 배치형태, 물 통과구멍의 설치 형상 등을 변경함으로서 사용용도, 사용상황에 따라 최적 온냉수 혼합장치를 간단하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제1 및 제2혼합수 토출구멍을 각각 둘러싸는 격리부재는 어느 한쪽의 격리부재가 다른쪽의 격리부재를 둘러싸도록 설치되기 때문에 제1 및 제2혼합수 토출구멍의 배치간격을 짧게 하므로서 온냉수 혼합장치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제2혼합수 통로에 샤워엘보우의 선단부가 부착, 분리 자유롭게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샤워호스의 접속이 용이함과 동시에 내측 하우징의 탈착고정을 간단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격리부재 장착용 지지부의 측면에 경사부를 가지는 리브가 축선방향과 평행하게 연이어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탄성 격리부재가 장착된 내측 하우징을 외측 하우징에 대해 원활하게 삽입할 수 있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외관 사시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변형예를 나타낸 외관 사시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외관 사시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나타낸 외관 사시도.
제5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변형예를 나타낸 외관 사시도.
제6도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를 나타낸 길이방향 단면도.
제7도는 제6도의 VII - VII선 단면도.
제8도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의한 내측 하우징을 나타낸 정면도.
제9도는 제8도에 나타낸 내측 하우징을 평면에 전개해서 나타낸 전개도.
제10도는 제8도의 X - X선 단면도.
제11도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를 나타낸 외관 사시도.
제12도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의 변형예를 나타낸 외관 사시도.
제13도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를 나타낸 외관 사시도.
제14도는 본 발명의 제7실시예를 나타낸 외관 사시도.
제15도는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의한 내측 하우징을 나타낸 저면도.
제16도는 제15도에 나타낸 내측 하우징의 배면도.
제17도는 제15도의 화살표 XVII방향에서 본 측면도.
제18도는 제15도에 나타낸 내측 하우징을 시일부재를 장착한 상태에서 평면으로 전개해서 나타낸 전개도.
제19도는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의한 온냉수 혼합장치의 횡단면도.
제20도는 샤워엘보우를 나타낸 정면도.
제21도는 샤워엘보우 장착용 푸쉬부재를 나타낸 정면도.
제22도 내지 제31도는 본 발명에 의한 온냉수 혼합장치의 조립방법을 나타낸 도면으로,
제22도는 온냉수 혼합장치의 분해 설명도.
제23도는 시일부재를 장착한 내측 하우징의 외형도.
제24도는 내측 하우징을 고정지그내에 배치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제25도는 내측 하우징을 고정지그내에 배치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제26도는 내측 하우징을 고정지그로 조인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제27도는 내측 하우징을 고정지그로 조인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제28도는 내측 하우징을 고정지그와 함께 액체질소중에 침지시킨 상태를 나타낸 설명도.
제29도는 동결되어 있는 내측 하우징을 고정지그에서 꺼낸 상태를 나타낸 설명도.
제30도는 시일부재가 동결되어 있는 상태에서 내측 하우징을 외측 하우징에 삽입한 상태를 나타낸 설명도.
제31도는 그 후 시일부재를 해동한 상태로 나타낸 설명도.
제32도는 본 발명에 의한 온냉수 혼합장치의 다른 조립방법의 예를 나타낸 단면도.
제33도는 제32도에 나타낸 예의 측면도.
제34도는 시일부재에 맞는 돌기의 상태를 나타낸 설명도.
제35도는 본 발명에 의한 온냉수 혼합장치의 다른 조립방법의 예를 나타낸 단면도.
제36도는 제35도에 나타낸 지그본체를 떼고 붙일 수 있는 기구로 조여져 있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제37도는 본 발명에 의한 온냉수 혼합장치의 다른 조립방법의 예를 나타낸 단면도.
제38도는 본 발명에 의한 온냉수 혼합장치의 또 다른 조립방법의 예를나타낸 단면도.
제39도 내지 제41도는 본 발명에 의한 온냉수 혼합장치의 다른 조립방법을 나타낸 설명도로서,
제39도는 조립전의 상태를 나타낸 외관도.
제40도는 내측 하우징의 시일부재를 압축하는 상태를 나타낸 외관도.
제41도는 시일부재를 압축한 상태로 동격하는 방법을 나타낸 단면도.
제42도 내지 제46도는 본 발명에 의한 온냉수 혼합장치의 조립방법의 상기한 방법과는 다른 방법의 예를 나타낸 도면으로,
제42도는 그 분해설명도.
제43도는 내측 하우징을 외측 하우징내에 편입한 상태를 나타낸 외측 사시도.
제44도는 외측 하우징내에 액상 시일재를 주입하는 상태를 나타낸 제43도의 A부 확대단면도.
제45도는 내측 하우징의 오목홈내에 액상 시일재가 주입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 설명도.
제46도는 내측 하우징의 오목홈내에 액상 시일재가 주입된 상태를 나타낸 부분 확대단면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이하 도면을 참조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온냉수 혼합장치(10)를 나타낸 외관사시도이고, 도면중 부호 "11"은 수도꼭지 하우징의 내측 하우징을 나타내고 있다.
내측 하우징(11)은 중공형상, 바람직하게는 중공 원통형상을 이루고 내부에 유체의 흐름을 제어하는 제어수단, 예를들면 개폐밸브가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는 제1도에 있어서 내측 하우징(11)의 좌측 끝에서 냉수용 개폐밸브(도시하지 않았음), 우측 끝에서 온수용 개폐밸브(도시하지 않았음)가 각각 삽입 설치되고 내측 하우징(11)의 외부에 부착된 냉수용 핸들(12) 및 온수용 핸들(13)에 의해 개폐 제어되도록 되어 있다.
내측 하우징(11)에는 온수 공급로(15)에 연이어 통하는 온수 유입구멍(17), 냉수 공급로(16)에 연이어 통하는 냉수 유입구멍(18) 및 혼합수 토출로(14)에 연이어 통하는 혼합수 토출구멍(19)이 각각 외표면측에 관통형성되어 있다.
온수 유입구멍(17) 및 냉수 유입구멍(18)은 온수 공급로(15) 및 냉수 공급로(16)의 위치에 대응해서, 예를들면 내측 하우징(11)의 배면측에 형성되고 혼합수 토출구멍(19)은 온냉수 혼합장치 사용자의 하측, 예를들면 내측 하우징(11)의 하면측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온수 유입구멍(17) 및 냉수 유입구멍(18)은 비원형 형상, 예를들면 축선방향 및 이것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뻗어있는 직선부에 의해 둘러싸인 4각 형상으로 형성되고 혼합수 토출구멍(19)은 대략 원형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들 유입구멍, 토출구멍으로 이루어지는 물 통과구멍의 형상은 적절하게 변경할 수 있고 온수 유입구멍(17), 냉수 유입구멍(18)의 어느 한쪽 혹은 전부를 원형형상, 4각형 이외의 비원형 형상으로 할 수 있고 또한 혼합수 토출구멍(19)을 비원형 형상, 예를들면 4각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온수 유입구멍(17)의 외부둘레에는 온수 유입구멍(17)을 둘러 싸도록 반경 외부 방향으로 돌출한 시일지지부(21)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내측 하우징(11)의 양단 위치에도 원주방향으로 시일지지부(22, 23)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의 시일지지부(21, 22, 23)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내측 하우징(11)을 외측 하우징(31)내에 삽입했을 때 외측 하우징(31)의 내벽면에 미소한 간격을 두고 접하도록 외측 하우징(31)의 내벽면 형상에 대응해서 예를들면 단면 원호형상(시일지지부(22, 23)의 경우는 단면원형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혼합수 토출구멍(19)의 외주위에는 혼합수 토출구멍(19)을 둘러 싸는 원형 형상의 시일 지지부(24)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이 시일 지지부(24)도 외측 하우징(31)의 내벽면 형상에 대응해서 예를들면 축선에 직교하는 원호형상의 단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온수 유입구멍(17)을 둘러 싸는 시일 지지부(21)에는 온수 유입구멍(17)을 둘러싸도록 연속된 오목홈(25)이 형성되고 이 오목홈(25)내에 탄성력을 가지는 부재, 예를들면 고무재 또는 합성수지로 만들어진 시일부재(26)가 닫힌 폐루프를 형성하며 끼워 부착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시일부재(26)는 비원형 형상 예를들면 일부가 축선방향과 평행으로 뻗어있는 직선부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시일부재(26)의 외부반경치수는 외측 하우징(31)의 내벽면 치수보다 약간 크게 형성되고 내측 하우징(11)을 외측 하우징(31)내에 끼워 부착했을 때 시일부재(26)가 탄성 변형해서 외측 하우징(31)의 내벽면에 맞닿아 온수 유입구멍(17)을 시일지지부(21)의 외부둘레 가장자리 위치에서 확실하게 시일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내측 하우징(11)의 양끝의 시일 지지부(22, 23)에는 원형방향으로 오목홈(22a, 23a)이 형성되고 이 오목홈(22a, 23a)내에 탄력성을 가지는 시일 부재(27, 28)(예를들면 고무제로 만들어진 O링)가 장착되어 있다.
또한 혼합수 토출구멍(19)을 둘러싸는 시일지지부(24)의 단면에는 혼합수 토출구멍(19)을 둘러싸도록 대략 원형의 오목홈(24a)이 형성되고 이 오목홈(24a)내에 탄력성을 가지는 시일부재(29)가 상기 시일부재(26)와 같은 조건을 가지고 장착되어 있다.
이와같이 외표면측에 시일부재(26, 27, 28, 29)가 장착된 내측 하우징(11)은 중공형상, 예를들면 중공 원통형상을 가지는 외측 하우징(31)내에 삽입고정된다.
외측 하우징(31)에는 온수 공급원(도시하지 않았음)에 접속되는 온수 공급로(15), 냉수 공급원(도시하지 않았음)에 접속되는 냉수 공급로(16) 및 수도꼭지(도시하지 않았음)에 접속되는 혼합수 토출로(14)에 각각 대응해서 온수 입구 구멍(33), 냉수 입구 구멍(34) 및 혼합수 출구 구멍(32)이 설치되어 있다.
이 외측 하우징(31)으로서는 중공 원통형상의 금속제 관형상 부재를 사용할 수 있다. 이 관형상 부재는 파이프재에 의해 형성한 것 이외에 예를들면 단조에 의해 형성한 관형상 부재, 주조에 의해 형성한 관형상 부재 등도 사용할 수 있다. 파이프재, 단조에 의해 형성한 관형상 부재를 사용함으로써 종래의 주물제조 하우징과 비교해 하우징 내벽면의 표면거침이 현격하게 작게 되기 때문에 시일부재의 접촉부의 표면 다듬질 작업이 용이하게 된다.
이 외측 하우징(31)이 시일부재(26, 27, 28, 29)가 장착된 내측 하우징(11)을 삽입하고 소정위치로 고정함으로써 외측 하우징(31)과 내측 하우징(11)과의 공간 사이에 공간내에 소정의 유체통로가 형성된다.
즉 시일부재(26)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내에는 온수통로(20)가 형성되고 이 온수통로는 각각 외측 하우징(31)의 온수 입구 구멍(33) 내측 하우징(11)의 온수 유입 구멍(17)에 연이어 통하고 있다.
또한 시일부재(29)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내에는 혼합수 통로(30)가 형성되고 이 혼합수 통로는 각각 외측 하우징(31)의 혼합수 출구 구멍(32), 내측 하우징(11)의 혼합수 토출구멍(19)에 연이어 통하고 있다.
또한 시일부재(27, 28) 사이의 공간에 있어 시일부재(26, 29)에 의해 둘러 싸인 영역외의 공간내에는 냉수 통로(35)가 형성되고 이 냉수 통로(35)는 각각 외측 하우징(31)의 냉수 입구구멍(34), 내측 하우징(11)의 물 유입구멍(18)에 연이어 통해져 있다.
제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냉수 통로(35)는 비교적 좁은 영역에 한정된 온수통로(20), 혼합수 통로(30)를 제외한 축선을 따라 원주방향으로 걸쳐 넓은 공간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냉수입구 구멍(34)으로부터 유입한 물은 외측 하우징(31)과 내측 하우징(11) 사이에 형성된 공간내의 넓은 부분에 걸쳐 충만하다.
이렇게 해서 온냉수 혼합장치(10)의 외표면이 고온이 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혼합장치(10)전체의 열적밸런스를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온수 공급로(15)로부터 공급된 온수는 온수 입구 구멍(33), 온수통로(20), 온수 유입구멍(17)을 통해 내측 하우징(11)내에 유입되고 온수용 핸들(13)을 조작해서 온수용 개폐밸브를 개방함으로써 내측 하우징(11)내에 형성되어 있는 혼합실(도시하지 않았음)로 흐른다. 한편 냉수 공급로(16)로부터 공급된 냉수는 냉수 입구 구멍(34), 냉수통로(35), 냉수 유입구멍(18)을 통해 내측 하우징(11)내에 유입하고 냉수용 핸들(12)을 조작해서 냉수용 구멍 밸브를 개방함으로써 혼합실로 흐른다.
혼합실내에서 혼합된 온수 혼합수는 혼합수 토출구멍(19), 혼합수 통로(30), 혼합수 출구 구멍(32)을 통해 혼합수 토출로(14)로부터 유출한다. 혼합수의 온도는 온수용 핸들(13), 냉수용 핸들(12)을 조작하여 온수, 냉수의 혼합비율을 조정함으로써 조정할 수 있다.
이와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온수통로(20) 및 혼합수 통로(30)가 내측 하우징(11)의 원주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에 걸쳐 설치된 시일부재(26, 29)에 의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외측 하우징(31)과 내측 하우징(11)과의 공간내에 축선방향으로 한쪽 끝에서 다른쪽 끝에 걸쳐 또는 원주방향의 넓은 영역에 걸친 냉수통로(35)를 내측 하우징(11)내에 특별한 통로를 형성하지 않고 간단하고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축선방향에 직선형상으로 뻗어있는 부분을 가지는 시일부재(26)로 온수통로를 형성했기 때문에 온수통로(20)의 축선방향의 치수를 반경의 치수를 크게하지 않고도 크게 취할 수 있다. 따라서 외측 하우징(31)의 온수 입구 구멍(33)과 온수통로(20)와의 축선방향의 위치맞춤이 용이해 지고 외측 하우징(31)과 내측 하우징(11)의 가공, 조립작업이 용이해진다. 또한, 반경방향의 치수를 크게 하지 않은 것은 온수통로(20)를 혼합장치(10)의 배면측(통상은 부착용 벽측)에 한정할 수 있어 조작자의 화상을 방지하는 데에도 효과가 있다.
또한 내측 하우징(11)을 내열성의 합성수지, 예를들면 PPS 등의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등으로 형성하면 종래의 주물재 하우징과 비교해 경량이고 제조비용을 대폭으로 절감시킬 수 있다. 또한 구성부품을 복수로 분할하지 않고 단일 부재 그대로 시일지지부(21, 22, 23, 24)의 위치, 형상을 비교적 자유롭게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시일부재 장착용의 홈가공도 용이하다.
제2도는 제1도에 나타낸 실시예의 변형예를 나타낸 외관사시도이다.
이 변형예에서는 온수통로(20)형성용의 시일부재(260)와 단부 밀폐용 시일부재(280)가 상호 연속해서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혼합수 통로(30)를 형성하는 시일지지부(240)는 축방향으로 가늘고 긴 형상을 하고 있고 이 시일지지부(240)에 가늘고 긴형상의 오목홈(240a)이 형성되고, 이 오목홈(240a)내에 시일부재(290)가 장착되어 있다.
또한 혼합수 토출구멍(190)도 축방향으로 가늘고 긴 형상을 하고 있다.
이 변형예에 의하면 시일부재(260, 280)가 일체로 성형되어 있기 때문에 시일부재(260)의 성형이 용이하다. 또한 혼합수 통로(30)가 축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수도꼭지의 접속위치를 축방향으로 보다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다.
제3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온수 혼합장치(40)를 나타낸 외관사시도이다. 이 제2실시예는 상기한 제1실시예에 의한 온냉수 혼합장치(10)의 변형예이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 동일한 부호를 달아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내측 하우징(41)에 설치된 혼합수 토출구멍이 상호 독립해서 설치된 제1혼합수 토출구멍 및 제2혼합수 토출구멍으로 이루어지고 또한 외측 하우징(51)에 설치된 혼합수 출구 구멍이 상호 독립해서 설치된 제1혼합수 출구 구멍 및 제2혼합수 출구 구멍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즉, 제1혼합수 토출구멍(19) 및 제1혼합수 출구 구멍(32)은 상기한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수도꼭지에 접속되는 수도꼭지용 혼합수 토출로(42)에 연이어 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2혼합수 토출구멍(43) 및 제2혼합수 출구구멍(45)은 수도꼭지와는 별도의 혼합수 토출기구, 예를들면 수도꼭지에 접속되는 샤워용 혼합수 토출로(46)에 연이어 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1혼합수 토출구멍(19)의 외부둘레는 시일지지부(24)에 의해 둘러싸이고 이 시일지지부(24)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시일부재(29)가 장착되어 있다.
또한 제2혼합수 토출구멍(43)의 외주위는 내측 하우징(41)의 외표면에서 반경의 바깥쪽으로 돌출해서 형성된 시일지지부(47)에 의해 둘러싸이고 이 시일지지부(47)에는 제2혼합수 토출구멍(43)을 연속해서 둘러싸도록 시일부재(48)가 장착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냉수 유입구멍(18)은 온수 유입구멍(17)에 인접한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혼합수의 토출구를 수도꼭지와 샤워로 전환함과 동시에 토출량의 조정을 실시하기 위한 개폐 전환밸브(도시하지 않았음)가 내측 하우징(41)내의 제1, 제2혼합수 토출구멍(19, 43)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되고 이 개폐전환밸브를 조작하는 개폐 전환용 핸들(52)이 혼합장치(40)의 혼합수 토출로(42, 46)방향의 측단(제3도에서는 좌측 끝)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내측 하우징(41)내의 온수 유입구멍(17), 냉수 유입구멍(18)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온수와 냉수를 소정 비율로 혼합하는 온냉수 혼합밸브(도시하지 않았음)가 설치되고 이 온냉수 혼합밸브를 조작하는 온도 조정용 핸들(53)이 혼합장치(40)의 다른측의 끝(제3도에서는 우측 끝)에 부착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온도조절용 핸들(53)을 조작해서 혼합수 원하는 온도에 대응하는 온수, 냉수의 혼합비율을 결정하고 개폐 전환용 핸들(52)을 조작해서 수도꼭지 혹은 샤워중 어느 한쪽에서 원하는 온도의 혼합수를 토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한 제1실시예의 작용 효과와 더불어 수도꼭지와 샤워중 어느 한쪽에 혼합수를 토출하기 위한 혼합수 통로를 간단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혼합밸브를 자동온도 조절기능을 가지는 밸브를 사용해서 구성하면 항상 소정온도의 혼합수를 얻을 수 있다.
제4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온냉수 혼합장치(60)를 나타낸 외관사시도이다. 이 제3실시예는 상기한 제2실시예의 변형예이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달아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내측 하우징(55)에 돌출설치된 수도꼭지용 제1혼합수 토출구멍(62) 및 샤워용 제2혼합수 토출구멍(63)의 외부둘레가 각각 축선방향으로 가늘고 길게 뻗어있는 시일지지부(56) 및 이 시일지지부(56)를 제1, 제2혼합수 토출구멍(62, 63) 사이에서 가로지르는 원주방향의 시일지지부(57)로 둘러싸고 있다.
이들의 시일지지부(56, 57)에는 상기한 사실과 마찬가지로 시일부재(58, 59)가 장착되고 이 시일부재(58, 59)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내에 각각 제1혼합수 통로(64), 제2혼합수 통로(65)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들의 시일부재(58, 59)는 내측 하우징(55)의 외측 반원주보다 작은 범위내로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1혼합수 토출구멍(62) 및 제2혼합수 토출구멍(63)은 비원형 형상, 예를들면 대략 장방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한 제2실시예의 작용, 효과에 더불어 제1혼합수 통로(64), 제2혼합수 통로(65)를 축선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할 수 있다. 이렇게 해서 수도꼭지용 혼합수 토출로(42), 샤워용 혼합수 토출로(46)의 접속위치를 혼합장치(60)의 축선방향을 따라 그 사용용도, 디자인, 사용환경 등에 따라 비교적 자유롭게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외측 하우징(51)에 설치된 혼합수 출구 구멍과의 축선방향의 위치맞춤이 간단하고 내측 하우징(55), 외측 하우징(51)의 가공, 조립작업이 용이하다.
또한 제1, 제2혼합수 토출구멍(62, 63)을 비원형의 대략 장방형상으로 형성했기 때문에 이들에 대응하는 개폐전환밸브의 구멍(도시하지 않았음)을 마찬가지로 비원형의 장방형상으로 형성하면 유량에 따른 최적 구멍 면적을 원형의 구멍에 비해 보다 무리없이 얻을 수 있다.
또한 시일부재(58, 59)가 내측 하우징(55)의 외측 반원주보다 작은 범위내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1차측 수압(냉수 공급로(16)로부터의 수압)이 클 경우 혹은 워터해머가 발생한 경우에는 내측 하우징(55)의 전체가 이들의 시일부재(58, 59) 방향으로 이동하여 시일부재(58, 59)를 더욱 외측 하우징(51)의 내벽으로 밀어 붙이도록 작용한다. 이렇게해서 시일부재(58, 59)에 의한 시일성이 더욱 강화되어 고압수가 혼합수 토출로부터 누출하지 않게 한다.
제5도는 제4도에 나타낸 실시예의 변형예를 나타낸 외관사시도이다.
이 변형예에서는 온수통로(20) 형성용 시일부재(260), 제1, 제2혼합수 통로(64, 65) 형성용 시일부재(58, 59)및 단부 밀폐용 시일부재(270, 280)가 상호 연이어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이 경우에는 시일부재를 최초는 용융상태로 한 곳에서 유입시키고 굳게 함으로써 소정위치에서 소정의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고 시일부재를 내측 하우징에 의해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다.
제6도 부터 제10도까지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예는 제3실시예에 나타낸 온냉수 혼합장치(60)를 더욱 변형함과 동시에 보다 구체적인 구조로 나타낸 것이다.
제6도 및 제7도는 본 실시예에 의한 온냉수 혼합장치(70)를 나타낸 길이방향의 단면도이다. 온냉수 혼합장치(70)는 주요한 구성으로서, 중공 원통형상의 외측 하우징(71), 이 외측 하우징(71)내에 수납 설치된 중공형상의 내측 하우징(80), 내측 하우징(80)의 한쪽측 끝에 부착된 수도꼭지ㆍ샤워 전환밸브(91), 내측 하우징(80)의 다른측 끝에 부착된 싱글레버 밸브 유니트(92)를 구비하고 있다.
외측 하우징(71)은 예를들면 금속제 파이프와 같은 금속제 관형 부재에 의해 형성되고 그 외측면에 냉수 공급로(72)에 연이어 통하는 냉수 입구 구멍(73), 온수 공급로(74)에 연이어 통하는 온수 입구 구멍(75), 수도꼭지(76)에 연이어 통하는 제1혼합수 출구 구멍(77), 샤워호스(78)에 연이어 통하는 제2혼합수 출구 구멍(79)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냉수 입구 구멍(73), 온수 입구 구멍(75)은 통상 혼합장치(70)의 부착 벽면측에 설치되고 제1, 제2혼합수 출구 구멍(77, 79)은 상기 구멍(73, 75)로부터 약 90° 편위한 위치(부착시에 아래방향을 향한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냉수 입구 구멍(73), 온수 입구 구멍(75)은 혼합장치(70)의 벽면으로의 부착 지지구조로부터 통상은 외측 하우징(71)의 좌ㆍ우 양단측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되고 수도꼭지(76)에 연이어 통하는 제1혼합수 출구 구멍(77)은 수도꼭지(76)의 취급용이성을 위해서 외측 하우징(71)의 대략 중앙부에 형성되고 샤워호스(78)에 연이어 통하는 제2혼합수 출구 구멍(79)은 수도꼭지ㆍ샤워 전환밸브(91)측에 형성되어 있다.
외측 하우징(71)에는 또한, 적어도 그 일단에 내측 하우징(80)을 바깥쪽에서 삽입 배치하기 위한 삽입용 구멍(71a)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외측 하우징(71)의 다른쪽끝에도 구멍(71b)이 설치되고 이 구멍(71b)을 통해 후술하는 싱글레버 밸브 유니트(92)를 조작하는 레버핸들(111)이 바깥쪽으로 돌출해 있다.
또한 삽입용 구멍(71a)를 통해 수도꼭지ㆍ샤워 전환밸브(91)를 조작하기 위한 전환밸브 조작핸들(110)이 수도꼭지ㆍ샤워 전환밸브(91)에 접속되어 있다.
이와 같이 외측 하우징(71)에 설치된 삽입용 구멍(71a, 71b)을 내측 하우징(80)내의 제어조작 핸들(110, 111)의 연락구멍과 겸용시킴으로써 외측 하우징(71)에 별도의 조작핸들용 연락구멍을 설치할 필요가 없어 외측 하우징(71)의 구조를 한층 간단하게 할 수 있다.
제8도 내지 제10도는 내측 하우징(80)을 보다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고 제8도는 그 정면도, 제9도는 제8도에 나타낸 내측 하우징(80)을 평면에서 전개한 도면, 제10도는 제8도의 X - X선 단면도이다.
내측 하우징(80)은 대략 원통형상을 하고 있고 외표면측에 외측 하우징(71)과의 사이에 유체통로를 형성하는 영역이 설치되고 내부에 수도꼭지ㆍ샤워 전환밸브(91) 및 싱글레버 밸브 유니트(92)가 끼워 부착되는 공간(81, 82)(제6도, 제7도 참조)이 형성됨과 동시에 이들의 공간(81, 82)은 내측 하우징(80)내에 설치된 연통로(112)(제7도 참조)에 의해 연이어 통해져 있다. 이들 수도꼭지ㆍ샤워 전환밸브(91) 및 싱글레버 밸브 유니트(92)는 카트리지 구조를 하고 있어 내측 하우징(80)내로의 삽입 부착이 용이하도록 되어 있다.
내측 하우징(80)의 외표면측에는 원주방향으로 세로길이의 장방형 온수 유입구멍(83), 냉수 유입구멍(84), 수도꼭지용 혼합수 토출구멍(85) 및 원형의 샤워용 혼합 토출구멍(86)이 뚫려 설치되어 있다. 온수 유입구멍(83)의 외주위는 제9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일 지지부(93)에 의해 둘러 싸이고 이 시일지지부(93)에 축선 L의 좌측 방향으로 뻗어있는 직선부(94a), 여기에 연속하는 원호형상부(94b), 축선 L을 경사방향으로 가로지르는 직선부(94c) 및 원주방향으로 뻗어있는 직선부(94d)로 이루어지는 시일부재 장착용 오목홈(94)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수도꼭지용 혼합수 토출구멍(85)의 외주위도 시일지지부(96)에 의해 둘러 싸이고 이 시일지지부(96)에 축선(L)의 우측방향으로 뻗어 있는 직선부(95a), 원주방향으로 뻗어 있는 직선부(95b), 다시 축선 L의 좌측방향으로 뻗어 있는 직선부(95c), 원주방향으로 뻗어 있는 직선부(95d), 축선 L의 좌측 방향으로 뻗어 있는 직선부(95e) 및 원주방향으로 뻗어 있는 직선부(95f)로 이루어지는 시일부재 장착용 오목홈(95)이 연속해서 형성되어 있다.
샤워용 혼합수 토출구멍(86)은 샤워호스(78)로의 접속을 용이하게 하기 때문에 내측 하우징(80)의 외표면측에서 반경 바깥쪽 방향으로 돌출해서 설치된 원통형상 호스부(87)에 관통 형성되어 있다.
또한 내측 하우징(80)의 좌ㆍ우 양단측에는 원주방향으로 연속하는 시일지지부(97, 98)가 형성되고 이 시일지지부(97, 98)에 내측 하우징(80)의 좌ㆍ우 양단측을 시일하기 위한 시일부재 장착용 오목홈(99, 101)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들의 시일지지부(93, 96, 97, 98)는 바람직하게는 내측 하우징(80)의 외표면측에 내측 하우징(80)과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제7도, 제8도에 있어서 좌측끝에 형성된 오목홈(99)은 일부 원통형상 호스부(87)를 우회해서 원주방향으로 연속하고 있음과 동시에 우측 끝에 형성된 오목홈(101)은 시일부재로서 O링이 장착 가능한 원주 홈으로 이루어져 있다.
내측 하우징(80)의 이들 오목홈(94, 95, 99, 101)내에 시일부재를 장착하고 또한 이 내측 하우징(80)을 외측 하우징(71)내에 삽입 고정함으로써 각각의 시일부재에 의해 둘러 싸인 영역에 필요한 유체통로가 형성된다.
즉, 오목홈(94)내에 장착된 시일부재(102)에 의해 온수 통로(103)가 형성되고 오목홈(95)내에 장착된 시일부재(104)에 의해 수도꼭지용 혼합수 통로(105)가 형성된다. 또한 오목홈(99, 101)내에 장착된 시일부재(106, 107)에 의해 생겨난 공간내에 있고, 상기 시일부재(102, 104)의 외측에 있는 영역에는 냉수통로(108)가 형성된다.
이 냉수통로(108)는 도면에서도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내측 하우징(80)의 축선 L방향을 따라 원주방향으로 넓은 범위에 걸쳐 형성되고 이 냉수 통로(108)내에 냉수가 유입됨으로써 상기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혼합장치(70)의 열적 밸런스가 양호하게 유지된다.
제9도에 있어서 2점 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내측 하우징(80)을 외측 하우징(71)내에 끼워 부착했을 때 외측 하우징(71)에 설치되어 있는 온수 입구 구멍(73)은 온수 통로(103)내의 시일부재 원호형상부(94b)로 둘려 싸여진 부근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온수 입구 구멍(75)은 이 냉수 입구 구멍(73)과 동일 축선상에서 냉수 입구 구멍(73)과 일정 거리 떨어진 반대측 끝 근방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수도꼭지용 혼합수 출구 구멍(77)은 냉수, 온수 입구 구멍(73, 75)의 위치에서 90° 편위한 위치인 혼합장치(70)의 축선방향의 대략 중앙부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샤워호스(78)에 접속되는 원통형상 호스부(87)는 외측 하우징(71)으로부터 반경 바깥으로 돌출해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한 실시예에 의한 효과에 더불어 혼합장치(70)의 벽면부착위치, 사용상태 등으로 결정되는 외측 하우징(71)의 냉수 입구 구멍(73), 온수 입구 구멍(75), 혼합수 출구 구멍(77)의 위치와는 떨어진 내측 하우징(80)의 외표면 위치에 각각 온수 유입구멍(83), 냉수 유입구멍(84), 수도꼭지용 혼합수 토출구멍(85)을 설치할 수 있다. 이렇게 해서 온수 유입구멍(83), 냉수 유입구멍(84), 수도꼭지용 혼합수 토출구멍(85)을 내측 하우징(80)의 내부에 끼워 부착되는 수도꼭지ㆍ샤워 전환밸브(91), 싱글레버 밸브 유니트(92) 등의 구조에 대응하는 최적 위치 또는 최적 형상치수를 가지도록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유체통로의 형상을 축선방향의 긴 형상으로 함으로써 조작측에 고온부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면서 넓은 면적의 유체통로를 얻을 수 있다. 이것은 유체통로내의 유속을 저하시키고 난류, 압력 손실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수도꼭지ㆍ샤워 전환밸브(91), 싱글레버 밸브 유니트(92)는 공지한 것을 사용할 수 있고 각각 이들에 연속된 전환밸브 조작핸들(110), 레버핸들(111)에 의해 조작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온수 공급로(72)로부터 공급된 온수는 냉수 입구 구멍(73), 온수 통로(103), 온수 유입구멍(83)을 지나고 내측 하우징(80)내에 온수 유입구멍(83)과 형성되어 있는 온수 유입로(83a)에 흐르고 또한 싱글레버 밸브 유니트(92)내에 유입된다.
또한 냉수 공급로(74)로부터 공급된 냉수는 온수 입구 구멍(75), 냉수 통로(108), 냉수 유입구멍(84)과 연이어 통해 형성되어 있는 냉수 유입로(84a)에 흐르고 또한 싱글레버 밸브 유니트(92)내에 유입한다.
레버핸들(111)을 조작함으로써 밸브 유니트(92)내에서 온수와 냉수는 원하는 혼합수 온도에 대응하는 혼합비로 혼합되고 연통로(112)를 통해 수도꼭지ㆍ샤워 전환밸브(91)로 보내진다. 그리고 조작 핸들(110)을 조작함으로써 수도꼭지(76) 또는 샤워호스(78)로부터 온냉수 혼합수가 토출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온수통로(103), 혼합수 통로(105)를 형성하는 시일부재(102, 104)로서 축선방향으로 뻗어 있는 직선부를 가지는 시일부재를 사용했지만 이 시일부재(102, 104)의 형상은 형성해야 할 유체통로(103, 105)의 형상에 따라 적절하게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혼합수 통로(105)를 형성하는 시일부재(104)가 내측 하우징(80)의 외측 반원주보다 작은 범위내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냉수 통로(108)내에 워터해머 등에 의해 큰 압력이 발생해도 내측 하우징(80)이 혼합수 통로(105)방향으로 반경 이동하여 시일부재(104)가 외측 하우징(71)의 내벽면에 강하게 밀착된다. 이렇게해서 냉수 통로(108)내의 냉수가 혼합수 통로(105)측으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의하면 온수통로(103)형성용 시일부재(102)와, 혼합수 통로(105) 형성용 시일부재(104)와는 상호 대략 90° 어긋난 위치로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내측 하우징(80)을 외측 하우징(71)에 끼워 부착했을 때 시일부재(102, 104)를 손상시키지 않고 정확하게 위치 결정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즉 만약 이 시일부재(102, 104)가 축선 L에 직교하는 단면에 있어서 상호 180° 편위한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내측 하우징(80)을 외측 하우징(71)내에 삽입함에 있어서 온수통로 형성용 시일부재(102)가 혼합수 통로 형성용 시일부재(104)에 의해 반경 방향으로 밀착되고 그 일부가 외측 하우징(71)의 냉수 입구 구멍(73) 혹은 온수 입구 구멍(75)에 끼워져 이 상태에서 내측 하우징(80)을 축선방향으로 외측 하우징(71)내에 이동시킨 경우 시일부재(102)가 파손될 우려가 있다.
제11도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를 나타낸 외관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의한 온냉수 혼합장치(120)는 제1도에 나타낸 제1실시예에 있어서 냉수 유입구멍(18)의 외주위도 시일지지부(121)를 설치하고 이 시일 지지부(121)에 냉수 유입구멍(18)을 둘러 싸도록 시일부재(122)를 장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제1도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달아 그 설명을 생략한다.
시일지지부(121)는 내측 하우징(123)의 외표면 일단측에 설치된 냉수 유입구멍(18)을 대략 장방형 형상으로 둘러 싸고 축선방향을 따라 원주방향으로 뻗어 있는 직선부에 의해 형성되고 이들의 직선부에 따라 시일부재 장착용 오목홈(124)이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오목홈(124)내에 시일부재(122)를 장착한 내측 하우징(123)을 외측 하우징(31)내에 삽입 고정함으로써 시일부재(122)가 둘러싸는 안측 영역에 냉수 통로(125)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온수통로(20), 냉수통로(125), 혼합수 통로(30)는 모든 시일부재(26, 122, 29)에 의해 둘러 싸여진 영역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1도에 나타낸 제1실시예와는 다르고 이들의 통로 영역 이외의 내측 하우징(123)과 외측 하우징(31)과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126)에는 냉수 이외의 물질, 예를들면 공기, 내열부재 등이 충전되게 된다.
또한 이 공간(126)내에는 1차측 냉수가 공급되지 않기 때문에 내측 하우징(123)의 양단부에 제1도와 같이 냉수 누설방지용의 시일부재를 장착하지 않아도 좋다.
본 실시예는 제1도에 나타낸 제1실시예와 거의 동일한 작용, 효과를 가진다.
단 냉수 통로(125)가 시일부재(122)에 의해 둘러싸인 영역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제1실시예와 같이 냉수를 혼합장치의 축선방향을 따라 원주방향으로의 넓은 영역에 걸쳐 흐르게 하거나, 고온부에서의 격리, 열적밸런스의 조정작용은 할 수 없지만 이것과 동등한 작용을 공간(126)내에 충전된 공기 혹은 내열부재 등에 의해 실현할 수 있다.
제12도는 제11도에 나타낸 실시예의 변형예를 나타낸 외관사시도이다.
이 변형예에 있어서는 온수통로 형성용 시일부재(260), 냉수통로 형성용 시일부재(222) 및 혼합수 통로(30) 형성용 시일부재(290)가 서로 연결되어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또한 혼합수 통로(30)를 형성하는 시일지지부(240)는 축방향으로 가늘고 긴 장방형 형상을 띠고 있고 이 시일지지부(204)에 장착되는 시일부재(290)도 장방형상을 띠고 있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시일부재의 성형장착이 용이하게 되고 혼합수 통로(30)에 대한 수도꼭지의 접속위치의 조정이 용이하게 된다.
제13도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를 나타낸 외관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의한 온냉수 혼합장치(130)는 상기한 제1실시예와 비교해서 내측 하우징(131)에 혼합수 토출구멍 대신에 온수 토출구멍(132), 냉수 토출구멍(133)이 각각 설치되어 있는 점이 상이하다. 제1실시예와 공통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달아 그 설명을 생략한다.
온수 토출구멍(132), 냉수 토출구멍(133)은 각각 온수 유입구멍(17), 냉수 유입구멍(18)측에 설치되고 내측 하우징(131)내에 설치된 온수용 핸들(13)로 개폐제어되는 온수용 개폐밸브(도시하지 않았음) 및 냉수용 핸들(12)로 개폐 제어되는 냉수용 개폐밸브(도시하지 않았음)를 통해 상호 연이어 통하게 되어 있다.
온수 토출구멍(132) 및 냉수 토출구멍(133)은 축선방향으로 뻗어있는 직선부를 가지는 시일지지부(135)에 의해 그 양방향을 모두 둘러싸고 있다. 시일지지부(135)에는 시일부재 장착용 오목홈(135a)이 형성되고 이 오목홈(135a)내에 시일부재(136)가 연속적으로 장착되어 있다.
시일부재(25, 27, 28, 136)가 장착된 내측 하우징(131)을 외측 하우징(31)내에 삽입 고정함으로써 시일부재(136)에 둘러 싸인 공간영역에 혼합실을 겸한 혼합수 통로(137)가 형성된다.
또한 외측 하우징(31)에 설치된 혼합수 출구 구멍(32)은 혼합수 통로(137)에 연이어 통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온수 토출구멍(132), 냉수 토출구멍(133)으로부터 각각 토출된 온수 및 냉수가 혼합수 통로(137)내에서 혼합되고 혼합수 출구 구멍(32)을 통해 혼합수 토출로(14)로부터 토출된다. 또한 냉수 입구 구멍(34)으로부터 유입된 물은 온수통로(20) 및 혼합수 통로(137)이외의 공간영역에 형성된 냉수통로내를 축선방향을 따라 원주방향으로 넓은 범위에 걸쳐 충전되고 상기한 바와 같이 혼합장치(130)의 화상 등에 대한 안전성, 열적밸런스를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혼합수 통로(137)가 축선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 혼합수 통로(137)에 연이어 통하는 혼합수 출구 구멍(32)의 위치를 축선방향의 넓은 범위에 걸쳐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다.
또한 혼합수 통로(137)를 형성하는 시일부재(136)가 내측 하우징(131)의 외측 반원주보다 작은 범위내로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냉수 통로내에 워터해머 등에 의해 큰 압력이 발생해도 내측 하우징(131)이 혼합수 통로(137)방향으로 반경방향으로 이동하여 시일부재(136)가 외측 하우징(31)의 내벽면에 강하게 밀착되어 냉수 통로내의 냉온 혼합수 통로(137)측으로 누설되지는 않는다.
제14도는 본 발명의 제7실시예를 나타낸 외관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의한 온냉수 혼합장치(140)는 제13도에 나타낸 제6실시예의 변형예이고 내측 하우징(141)의 냉수 유입구멍(18)의 외부둘레가 온수 유입구멍(17)과 동일하게 시일지지부(142) 및 시일지지부(142)에 장착된 시일부재(143)에 의해 둘러싸여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 밖의 제6실시예와 공통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달아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시일부재(143)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영역에 냉수통로(144)가 형성되고 냉수통로(144), 온수통로(20), 혼합수 통로(137)이외의 공간영역(145)내에는 공기 혹은 내열부재가 충전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냉수통로(144)가 시일부재(143)에 의해 둘러싸여 있기 때문에 제6실시예와 같이 내측 하우징(141)의 좌우 양단측에 시일부재(예를 들면 O링)를 장착할 필요는 없다.
제15도 내지 제19도는 본 발명의 제8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내측 하우징(151)에 온수 유입구멍(17), 냉수 유입구멍(18) 이외에 제1혼합수 토출구멍(152) 및 제2혼합수 토출구멍(153)이 설치되어 있다.
온수 유입구멍(17)은 오목홈(155a)을 가지는 대략 4각형상으로 설치된 시일지지부(155)에 의해 둘러 싸이고 이 시일지지부(155)내에 온수통로(20)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냉수 유입구멍(18)은 내측 하우징(151)의 양단에 설치된 오목홈(22a, 23a)을 가지는 시일지지부(22, 23), 온수통로(20)를 형성하는 시일지지부(155) 및 제1혼합수 토출구멍(152)을 둘러싸는 시일지지부(157)에 의해 구획 형성된 냉수통로(154)(제18도 참조)에 연이어 통하고 있다.
제2혼합수 토출구멍(153)은 온수 유입구멍(17)과 동일 축선상에 형성되고, 대략 4각형상의 시일지지부(161)에 의해 둘러싸여 있다. 이 시일지지부(161)에는 시일지지부(161)를 따라 오목홈(161a)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제18도에 명확하게 나타낸 바와 같이 제1혼합수 토출구멍(152)을 둘러싸는 시일지지부(157)는 제2혼합수 토출구멍(153)을 둘러싸는 지지부(161)를 다시 둘러 싸도록 연장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시일지지부(157)와 시일지지부(161)에 의해 구획되는 영역에 제1혼합수 토출구멍(152)과 연이어 통하는 제1혼합수 통로(159)가 형성되고 시일지지부(161)에 의해 둘러 싸인 영역에 제2혼합수 토출구멍(153)과 연이어 통하는 제2혼합수 통로(163)가 형성되어 있다.
내측 하우징(151)의 양단에 설치된 시일지지부(22, 23)에는 각각의 오목홈(22a, 23a)을 사용해서 원형의 단부 밀폐용 시일부재(27, 28)가 장착되어 있다.
또한 상기한 각 시일지지부(155, 157, 161)의 오목홈(155a, 157a, 161a)에서도 마찬가지로 각각 직선부를 가지는 시일부재(156, 158, 162)가 장착되어 있다. 이들 시일부재에 의해 외측 하우징(171)에 내측 하우징(151)이 끼워졌을 때 상기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온수통로, 냉수통로 및 제1, 제2혼합수 통로가 형성된다.
이와같이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제1혼합수 토출구멍(152)을 둘러싸는 지지부(157) 및 시일부재(158)가 제2혼합수 토출구멍(153)을 둘러싸는 시일지지부(161) 및 시일부재(162)를 다시 둘러 싸도록 설치했기 때문에 각각을 별개로 독립적으로 설치했을 경우와 비교해 제1 및 제2혼합수 토출구멍(152, 153)의 설치 간격을 짧게 할 수 있다. 이와같이 해서 내측 하우징(151)의 직경을 작게할 수 있고 냉수 혼합장치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또한 제19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혼합수 통로(159)가 수도꼭지(164)에 연이어 통해지고 제2혼합수 토출구멍(153)이 샤워엘보우(165)를 통해 샤워호스(166)에 연이어 통해져 있다. 샤워엘보우(165)는 L자형을 한 중공관이며, 그 선단부(165)에는 제20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반경방향으로 돌출하는 한쌍의 돌출부(167)가 설치되어 있다.
이 샤워엘보우(165)의 선단부(165a)는 외측 하우징(171)을 끼움으로써 제2혼합수 통로(163)내에 부착, 탈착 자유롭게 장착되어 있다. 이 샤워엘보우(165)의 선단부(165a)의 장착은 제2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은 장착용 푸쉬부재(168)를 사용해서 실시되고 있다.
즉 장착용 푸쉬부재(168)는 시일지지부(161)에 의해 구획된 제2혼합수 통로(163)에 밀접하게 결합하는 대략 4각형상을 띠고 있고 그 중앙부분에 관통구멍(168a)이 형성되어 있다. 이 관통구멍(168a)의 내부둘레 가장자리를 따라 안쪽으로 돌출하는 원주 플랜지(169)가 형성되고 이 원주 플랜지(169)에는 샤워엘보우(165) 선단부(165a)의 돌출부(167)가 축선방향으로 통과 가능한 형상치수를 가지는 한쌍의 절개부(169a)가 형성되어 있다.
이 장착용 푸쉬부재(168)는 제15도, 제16도 및 제19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혼합수 통로(163)내에 밀착해서 장착되고 이 상태에서 내측 하우징(151)을 외측 하우징(171)내에 편입한 후 샤워엘보우(165)의 선단부(165a)가 부착된다.
즉, 샤워엘보우(165)는 외측 하우징(171)의 바깥쪽에서 제2혼합수 토출구 구멍(171a)을 통해 삽입되고 또한 그 선단부(165a)가 한쌍의 돌출부(164)를 장착용 푸쉬부재(168)의 한쌍의 절개부(169a)를 통과시킴으로써 제2혼합수 통로(163)내에 삽입되고 계속해서 샤워엘보우(165)를 회전운동해서 한쌍의 돌출부(167)를 원주 플랜지(169)에 맞닿게 함으로써 이탈을 방지시킬수 있다. 또한 제19도에 있어서 부호 "165b"는 시일용 O링이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여 샤워호스 접속용의 샤워엘보우(165)를 부착, 탈착자유롭고 간단,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다. 또한 이 샤워엘보우(165)를 장착함으로써 내측 하우징(151)과 외측 하우징(171)의 축선방향의 위치결정이 이루어지고 샤워엘보우(165)를 내측 하우징(151)의 빠짐방지부재로서 겸용할 수 있다. 또한 샤워엘보우(165)를 장착한 후 다른쪽에 샤워호스(166)를 접속하면 이 샤워호스(166)가 외측 하우징(171)의 뒷측부에 샤워엘보우(165)를 사이에 두고 좌우의 위치에 부착된 온수 공급로(15) 및 냉수 공급로(도시하지 않았음)에 맞닿아서 샤워엘보우(165)의 회전운동이 제한되고 샤워엘보우(165)가 장착용 푸쉬부재(168)로부터 빠져 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가공을 용이하게 하기위해 장착용 푸쉬부재(168)를 내측 하우징(151)과는 별도의 부재로 구성하는 예를 나타냈지만 내측 하우징(151)의 제2혼합수 통로(163)내에 장착용 푸쉬부재(168)에 설치된 절개부(169a)를 가지는 원주 플랜지(169)를 일체로 성형해도 좋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또한 제15도 및 제18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일 지지부(157, 23)의 측면에 경사부를 가지는 리브(173)가 축선방향과 평행하게 연이어 접해져 있다.
이 리브(173)는 시일부재(27, 28, 156, 158, 162)를 장착한 후 내측 하우징(151)을 외측 하우징(171)내에 삽입하는 작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시일부재(156, 158, 162)가 온수통로(20), 제1, 제2혼합수 통로(159, 163)를 둘러 싸도록 설치되어 있지만 내측 하우징(151)의 외표면에 촉대칭 위치에 설치되어 있지는 않다. 따라서 내측 하우징(151)을 외측 하우징(171)내에 삽입할 때 시일부재(156, 158, 162)의 탄성력에 의해 내측 하우징(151)이 외측 하우징(171)에 대해 비스듬히 진입하는 상태가 된다. 이 때문에 시일지지부(157)의 단부가 외측 하우징(171)의 내벽면에 접촉해서 내측 하우징(151)의 조립이 곤란해 지는 일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경사리브(173)를 외측 하우징(171)의 내벽면에 접촉할 가능성이 있는 시일지지부(157) 위치부근 및 시일지지부(23)의 측부에 축선방향과 평행하게 연이어 접속시킴으로써 내측 하우징(151)이 외측 하우징(171)에 대해 비스듬이 진입해도 내측 하우징(151)을 리브(173)의 경사부를 따라 원활하게 진행시키고 외측 하우징(171)내에 용이하고 시일부재(27, 28, 156, 158, 162)를 손상되지 않고도 삽입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또한 내측 하우징(151)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회전방지용 돌출부(175)가 내측 하우징(151)의 일단부 외주면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외측 하우징(171)의 끝부분에는 이 돌출부(175)에 걸어 맞춤형태의 절개부(도시하지 않았음)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돌기부(175)는 제17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측 하우징(171)의 외주면보다 더욱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높이를 가지고 그 양측면에 외측 하우징(171)의 절개부가 삽입가능하도록 한 홈부(176)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같이 함으로써 외측 하우징(171)의 절개부가 확실하게 돌출부(175)에 걸어맞춤과 동시에 절개부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제22도 내지 제31도는 본 발명에 의한 온냉수 혼합장치의 조립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에 있어서 부호 "201"은 원통형상을 이루는 외측 하우징, 부호 "202"는 외측 하우징(201)내에 삽입되는 원통형상의 내측 하우징이다. 내측 하우징(202)의 축방향 양단부 및 외주부에는 외측 플랜지형상을 이루는 칸막이벽(시일지지부)(203) 및 직선 시일지지부(도시하지 않았음)가 각각 설치되고 이들 각 칸막이 벽(203)의 외주면에는 링홈 형상을 이루는 시일장착부(204)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O링, U패킹(packing), X패킹 등의 시일부재(205)는 시일장착부(204)에 각각 장착된 후 그 외면이 칸막이벽(203)의 외주면과 일치되도록 압축 변형되고 이 상태에서 동결된다.
내측 하우징(202)은 시일부재(205)가 동결한 상태에서 외측 하우징(201)에 삽입 조립되고 시일부재(205)는 그 후 해동된다.
그리고 내측 하우징(202)의 외측 하우징(201)으로의 삽입에 의해 내측 하우징(202)의 내부에 냉수통로(206)가 형성됨과 동시에 외측 하우징(201)과 내측 하우징(202)과의 사이에서도 양단이 양 칸막이벽(203)으로 구획된 냉수통로(207)가 형성된다.
다음으로 본 실시예에 관련된 온냉수 혼합장치의 조립방법의 구체예를 제23도 내지 제31도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우선 제2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측 하우징(202)의 시일장착부(204)에 시일부재(205)를 장착하고 이어서 제24도 및 제25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일부재(205)를 고정지그(211)에 의해 변형시킨다.
이 고정지그(211)는 둘레방향으로 3분할되고 원통형상을 이루는 분할형의 지그본체(211a)와, 이 지그본체(211a)를 밀착시키는 고정기구(211b)로 구성된다.
시일부재(205)는 이 고정지그(211)에 의해 밀착됨으로써 제26도, 제27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외면이 시일장착부(204)의 외면과 일치되는 상태까지 압축변형된다.
다음으로 제28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측 하우징(202)을 고정지그(211)에 장착한 상태로, 즉 시일부재(205)를 압축 변형한 상태로 액체질소(212)중에 침지함으로써 시일부재(205)를 압축 변형상태로 동결시킨다.
다음으로 제29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측 하우징(202)을 액체질소(212)중에서 빼내 고정지그(211)를 제거한다. 그리고 제30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일부재(205)가 동결된 상태에서 내측 하우징(202)을 외측 하우징(201)에 삽입한다.
이어서 제3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일부재(205)의 동결을 해제하고 시일부재(205)를 원래의 형상으로 복귀시킨다.
따라서 내측 하우징(202)을 외측 하우징(201)에 삽입할 때에는 시일부재(205)는 외측 하우징(201)에 거의 접촉하지 않고 마찰저항이 극히 작기 때문에 삽입조립작업이 용이함과 동시에 시일부재(205)의 손상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조립작업중에 시일부재(205)가 마찰저항으로 시일장착부(204)로부터 뽑혀지는 일도 없다.
제32도, 제33도는 다른 조립방법의 예를 나타낸 것으로 지그본체(211a)와 시일부재(205)의 사이에 대발 형상으로 감은 얇은판(213)을 넣어 만들도록 한 것이다.
즉, 지그본체(211a)에서 직접 시일부재(205)를 조여 부착한 경우에는 제34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일부재(205)의 지그본체(211a) 분할위치에 돌기(214)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와 같이 지그본체(211a)와 시일부재(205)와의 사이에 얇은판(213)을 넣어 만들면 지그본체(211a)의 직경방향으로의 이동에 의해 얇은판(213)의 직경이 확대, 축소되어 상기 돌기(214)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제35도 및 제36도는 또한 그 밖의 조립방법의 예를 나타낸 것으로 지그본체(211a)의 내주면에 시일부재(205)에 대응하는 돌기부재(215)를 설치하고 시일부재(205)를 압축 변형시켰을 때 시일부재(205)의 외면이 시일장착부(204)의 외면의 높이보다 작게 되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내측 하우징(202)을 외측 하우징(201)에 삽입했을 때에 시일부재가 외측 하우징(201)에 접촉하는 것을 완전하게 방지할 수 있다.
제37도는 그 밖의 조립방법의 예를 나타낸 것으로 시일부재(205)를 동결시킬 때에 내측 하우징(202)을 액체질소(212)내에 침지시키는 것이 아니고 액체질소(212)를 불어 넣도록 한 것이다.
이와같이 해도 침지의 경우와 동일하게 시일부재(205)를 동결시킬 수 있으며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38도는 또한 그 밖의 조립방법의 예를 나타낸 것으로 시일부재(205)를 동결시켰을 때에 내측 하우징(202)을 액체질소(212)내에 침지하는 것이 아니고 지그본체(211a)에 설치된 통로(216)에 액체질소(212)를 통하도록 한 것이다.
이와같이 해도 침지의 경우와 같이 시일부재(205)를 동결시킬 수 있으며 또한 동일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실시예에 있어서는 시일부재(205)의 외면을 시일장착부(204)의 높이와 동일 또는 그보다 작게 압축 변형시킬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외측 하우징(201)의 내부직경 이하이면 그 압축변형의 정도에는 특별히 제한이 없다.
또한 상기 각 실시예에서는 특별하게 설명하지는 않았지만 시일부재(205)의 동결후, 내측 하우징(202)으로부터 분리한 고정지그(211)는 상당한 온도까지 냉각되어 있기 때문에 공기중의 수분이 동결해서 고정지그(211)의 표면에 서리가 부착하는 경우가 있다. 이 때문에 다른 내측 하우징(202)에 장착해서 시일부재(205)를 압축변형시키기 전에 고정지그(211)를 해동, 건조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혹은 작업실 전체를 빙점하에서 공기를 건조상태로 하던가 건조 공기를 이용해서 에어카텐 방식 등으로 고정지그(211)에 서리가 부착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39도 내지 제41도는 액체질소를 사용한 다른 조립방법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내측 하우징(202)의 외주부에 장착된 시일부재(205)를 압축변형시키는 고정지그로서 스테인레스제의 엷은판 부재(241)가 사용되고 있다.
즉 제39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판형상 파지부(242)에 일단이 고정부착된 엷은 판 부재(241)의 타단부를 감아서 내측 하우징(202)이 삽입가능하도록 중공원통부(243)를 형성한다.
다음으로 이 중공원통부(243)에 시일부재(205)가 장착된 내측 하우징(202)을 삽입하고 판형상 파지부(242)를 끌어당김으로써 얇은판 부재(241)의 타단부의 중공 원통부(243)의 직경을 축소시킨다(제40도). 이렇게 해서 시일부재(205)의 직경은 내측 하우징(202)의 외부직경에 거의 동일한 치수로 압축된다.
이 상태에서 엷은판 부재(241)와 함께 액체질소(212)중에 침지시켜 시일부재(205)를 동결시킨다(제41도). 이 방법에 의하면 간단한 장치로서 시일부재(205)를 압축동결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사용하는 액체질소(212)의 양을 줄일 수 있다.
제42도 내지 제46도는 본 발명에 의한 온냉수 혼합장치의 다른 조립방법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외측 하우징(225)의 양단부 근방의 관벽에 시일지지부(227)의 연속된 오목홈(230)에 연이어 통한다.
각각 1개의 주입구(232, 233)가 뚫려져 있다. 각각 1개의 주입구(232, 233)는 온수 공급배관(222) 및 냉수 공급배관(223)의 접속위치와 동일축선, 즉 온냉수 혼합장치의 부착시에 뒷면이 되는 각 부위에 위치한다. 또한 내측 하우징(226)의 외면에는 연속한 오목홈(230)을 가지는 시일지지부(227)가 뚫려 설치되어 있지만 조립시에 있어서는 오목홈(230)내에 패킹은 끼워져 있지 않다.
조립시는 제4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우선 작업자 혹은 조립장치가 외측 하우징(225)에 내측 하우징(226)을 삽입ㆍ끼워맞춤으로써 위치결정을 실시한다.
이때 시일부재는 장착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작업은 극히 용이하게 실시된다. 다음으로 제44도(제43도중의 A부 확대 단면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측 하우징(225)의 한쪽 주입구(232)에 액상 시일재 주입장치의 노즐(234)을 맞춰서, 가열 경화형의 액체 시일재(235)(예를들면 액형상 고무, 접착제 등)(235)를 주입한다. 주입된 액상 시일재(235)는 시일지지부(227)의 오목홈(230)이 연속해 있기 때문에 제45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체에 두루 걸친 후에 다른쪽의 주입구(233)에 이른다.
액체상 시일재료(235)가 주입구(233)로부터 누출하게 되면 항온조에 온냉수 혼합장치를 반입해서 일정시간 가열한다. 이와같이 해서 액상 시일재(235)가 고무 형상으로 경화되고 냉수통로(228, 229)가 확실하게 시일된다. 또한 제46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액상 시일재(235)는 외측 하우징(225)의 내면과 시일지지부(235)의 사이에도 침입하기 때문에 종래의 고정형 패킹에 비해 넓은 범위의 시일이 가능하며, 따라서 수압에 의한 온수나 냉수의 누설이 없는 확실한 시일이 가능하게 된다. 이때 액상 시일(235)로서는 온수에 접한 경우에도 가수분해를 일으키기 힘든 실리콘계가 바람직하다.
[산업상이용가능성]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내측 하우징에 관통형성된 2개의 1차측 냉수통과 구멍중 적어도 온수 공급로에 연이어 통하는 물 통과구멍 및 2차 냉수통과 구멍을 그 일부가 내측 하우징의 둘레방향선을 교차하는 방향을 향해 설치된 격리부재를 사용해서 둘러싸음으로써 내측 하우징과 외측 하우징과의 사이의 공간내에 소정의 유체통로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온수를 소정의 예를들면 좁은 영역내에 격리해서 내측 하우징이 고온이 되는 것을 방지하고 냉수 또는 공기 등의 단열재를 내측 하우징의 외주위를 둘러싸도록 넓은 범위에 걸쳐 배치할 수 있음과 동시에 이러한 구성을 내측 하우징내에 특별한 통로를 형성하지 않고 간단한 구성을 통해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혼합수 토출로에 연이어 통하는 2차측 물 통과구멍이 그 일부가 내측 하우징의 둘레방향선과 교차하는 방향을 향해 설치된 격리부재에 의해 둘러싸여 있기 때문에 2차측 물 통과구멍의 둘레영역을 따라 내측 하우징의 축선방향으로 크게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이 둘레영역에 접속되는 수도꼭지, 샤워용 호스 등의 배치위치를 축선방향을 따라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격리부재에 의해 둘러싸인 영역을 내측 하우징의 축선방향으로 크게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내측 하우징과 외측 하우징의 각각에 설치된 구멍의 중심 어긋남의 조정을 비교적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격리부재의 배치위치, 그 배치형태, 물 통과구멍의 갯수, 그 설치 형상 등을 변경함으로써 사용용도, 사용상황에 따라 최적의 온냉수 혼합장치를 간단하게 구성할 수 있다.

Claims (49)

  1. 온수 공급로, 냉수 공급로 및 혼합수 토출로에 각각 연이어 통하는 구멍을 가지는 외측 하우징; 외측 하우징내에 공간을 두고 끼워 부착되고 온수 공급로, 냉수 공급로에 각각 연이어 통하는 2개의 1차측 물 통과구멍과 상기 혼합수 토출로에 연이어 통하는 2차측 물 통과구멍이 외표면측으로부터 관통 형성되어 있는 중공형상의 내측 하우징; 및 상기 외측 하우징과 내측 하우징과의 사이에 상기 2개의 1차측 통과구멍중의 적어도 온수 공급로에 연이어 통하는 물 통과구멍 및 2차측 물 통과구멍을 각각 둘러쌈과 동시에 그 일부가 내측 하우징의 주위 방향선과 교차하는 방향을 향해 설치되어 있는 상기 공간내에 유체통로를 형성하기 위한 격리부재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냉수 혼합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 통과구멍이 비원형 형상으로 형성된 격리부재에 의해 둘러 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냉수 혼합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격리부재는 상호 직교하는 좌우, 상하방향의 치수가 다르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냉수 혼합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격리부재가 적어도 일부에서 직선부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냉수 혼합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직선부가 내측 하우징의 축선방향과 거의 평행하게 뻗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냉수 혼합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 통과구멍이 비원형상으로 관통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냉수 혼합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물 통과구멍의 상호 직교하는 좌우. 상하방향의 개구의 치수가 다른 형상을 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냉수 혼합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물 통과구멍의 적어도 일부가 직선부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냉수 혼합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격리부재가 탄력성을 가진 시일부재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냉수 혼합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격리부재가 내측 하우징의 축선에 직교하는 단면에 있어서 한쪽의 격리부재와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서 편위한 위치에 다른쪽의 격리부재가 배치되도록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냉수 혼합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격리부재가 내측 하우징의 외표면측에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냉수 혼합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하우징내에 내측 하우징의 각각의 물 통과구멍을 통해 유입, 유출되는 유체를 제어하는 수단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냉수 혼합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이 카트리지구조를 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냉수 혼합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외측 하우징에 내측 하우징을 외부쪽으로 삽입배치하기 위한 삽입용 구멍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냉수 혼합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하우징의 삽입용 구멍이 유체제어수단을 조작하는 조작부와의 연락 구멍을 겸용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냉수 혼합장치.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하우징이 파이프재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냉수 혼합장치.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하우징이 단조에 의해 형성된 관형상 부재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냉수 혼합장치.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하우징에 물 통과구멍으로서 온수 유입구멍, 냉수 유입구멍, 혼합수 토출구멍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냉수 혼합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격리부재가 온수 통로를 형성하기 위해 온수 유입구멍을 둘러 싸도록 설치된 온수 격리용 부재; 및 혼합수 통로를 형성하기 위해 혼합수 토출구멍을 둘러싸도록 설치된 혼합수 격리용 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냉수 혼합장치.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격리부재가 온수 통로를 형성하기 위해 온수 유입구멍을 둘러싸도록 설치된 온수 격리용 부재; 냉수 통로를 형성하기 위해 냉수 유입구멍을 둘러싸도록 설치된 냉수 격리용 부재; 및 혼합수 통로를 형성하기 위해 혼합수 토출구멍을 둘러싸도록 설치된 혼합수 격리용 부재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냉수 혼합장치.
  21.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수 토출구멍이 상호 독립적으로 설치된 제1혼합수 토출구멍과 제2혼합수 토출구멍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냉수 혼합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온수 유입구멍 및 상기 제1, 제2혼합수 토출구멍이 각각 격리부재에 의해 둘러싸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냉수 혼합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혼합수 토출구멍을 각각 둘러싸는 격리부재는 어느 한쪽의 격리부재가 다른쪽의 격리부재를 둘러싸도록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냉수 혼합장치.
  24.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혼합수 토출구멍에 연이어 통하는 제2혼합수 통로가 외측 하우징내를 관통해서 삽입된 샤워엘보우(elbow)를 통해 샤워호스에 접속되고 이 샤워엘보우의 선단부는 제2혼합수 통로에 부착, 분리자유롭게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냉수 혼합장치.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샤워엘보우의 선단부에는 반경방향으로 돌출하는 돌출부가 설치되고 제2혼합수 통로의 주위 가장자리부에는 상기 샤워엘보우의 돌출부가 미끄럼운동 자유롭게 맞닿음과 동시에 상기 돌출부가 축선방향으로 통과 가능한 절개부가 형성된 원주 플랜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냉수 혼합장치.
  26.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샤워엘보우의 선단부에는 반경 방향으로 돌출하는 돌출부가 설치되고 제2혼합수 통로에는 샤워엘보우의 돌출부가 미끄럼운동 자유롭게 맞닿게 되어 있고 상기 돌출부가 축선방향으로 통과 가능한 절개부가 형성된 원주 플랜지부를 구비한 푸쉬부재(push)가 부착, 탈착자유롭게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냉수 혼합장치.
  27.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제2혼합수 통로가 온수 유입구멍과 냉수 유입구멍과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냉수 혼합장치.
  2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하우징에 온수 유입구멍, 냉수 유입구멍, 온수 토출구멍 및 냉수 토출구멍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냉수 혼합장치.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격리부재가 온수통로를 형성하기 위해 온수 유입구멍을 둘러싸도록 설치된 온수 격리용 부재; 및 혼합수 통로를 형성하기 위해 온수 토출구멍 및 냉수 토출구멍을 함께 둘러싸도록 설치된 혼합수 격리용 부재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냉수 혼합장치.
  30.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격리부재는 온수 통로를 형성하기 위해 온수 유입구멍을 둘러싸도록 설치된 온수 격리용 부재; 냉수 통로를 형성하기 위해 냉수 유입구멍을 둘러싸도록 설치된 냉수 격리용 부재; 및 혼합수 통로를 형성하기 위해 온수 토출구멍 및 냉수 토출구멍을 함께 둘러싸도록 설치된 혼합수 격리용 부재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냉수 혼합장치.
  31. 제19항, 제20항, 제29항 또는 제3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수 격리용 부재가 적어도 온수 격리용 부재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냉수 혼합장치.
  32. 제19항 또는 제29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하우징의 양단부에 외측 하우징과의 공간을 밀봉하는 밀폐부재가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냉수 혼합장치.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부재가 온수 격리용 부재 및 혼합수 격리용 부재의 적어도 한쪽의 격리용 부재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냉수 혼합장치.
  34.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부재가 내측 하우징의 외표면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냉수 혼합장치.
  35. 제19항 또는 제29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수 격리용 부재가 내측 하우징의 외측 반원주보다 작은 범위내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냉수 혼합장치.
  3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하우징이 합성수지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냉수 혼합장치.
  3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하우징의 외표면측에 격리부재 장착용의 오목홈을 가지는 지지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냉수 혼합장치.
  38.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격리부재 장착용 지지부는 내측 하우징의 외표면측으로부터 돌출되어 설치되고 그 지지부의 측면에는 경사부를 가지는 리브가 축선방향과 평행하게 연이어 접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냉수 혼합장치.
  39.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하우징내에 제어수단 수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냉수 혼합장치.
  40. 중공형상의 내측 하우징에 온수 공급로, 냉수 공급로에 각각 연이어 통하는 2개의 1차측 물 통과구멍 및 혼합수 토출로에 연이어 통하는 2차측 물 통과구멍을 외표면측에 관통 형성하는 단계; 상기 2개의 1차측 물 통과구멍중 적어도 온수 공급로에 연이어 통하는 물 통과구멍 및 2차측 물 통과구멍을 그 일부가 내측 하우징의 주위방향선과 교차하는 방향을 향해 설치된 격리부재를 사용해서 둘러싸는 단계; 상기 내측 하우징을 온수 공급로, 냉수 공급로 및 혼합수 토출로에 각각 연이어 통하는 구멍을 가지는 중공형상의 외측 하우징에 끼워 부착하는 단계; 및 상기 내측 하우징과 외측 하우징의 공간내에 유체통로를 형성하는 단계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냉수 혼합장치의 유체통로 형성방법.
  41.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물 통과구멍을 격리부재에 의해 비원형 형상으로 둘러싸 유체통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냉수 혼합장치의 유체통로 형성방법.
  42.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물 통과구멍을 내측 하우징의 축선과 거의 평행하게 뻗어있는 직선부를 가진 격리부재에 의해 둘러싸 유체통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냉수 혼합장치의 유체통로 형성방법.
  43. 내측 하우징의 시일장착부에 시일부재를 장착한 후, 이 내측 하우징을 외측 하우징내에 삽입해서 온냉수 혼합장치를 조립하는 방법에 있어서, 시일 장착부에 장착되어 있는 시일부재의 외면을 외측 하우징의 내주면과 동일 또는 그 보다 작게 되도록 압축 변형시키는 동시에 그 변형상태대로 시일부재를 동결시키고 시일부재가 동결된 상태에서 내측 하우징을 외측 하우징에 삽입하고 그 후 시일부재를 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냉수 혼합장치의 조립방법.
  44. 내측 하우징의 시일장착부에 시일부재를 장착한 후 이 내측 하우징을 외측 하우징내에 삽입해서 온냉수 혼합장치를 조립하는 방법에 있어서, 시일장착부에 장착되어 있는 시일부재의 외면을 시일 장착부에 외주면의 높이와 동일 또는 이것보다 작게 되도록 압축 변형시킴과 동시에 이 변형상태대로 시일부재를 동결시키고 시일부재가 동결한 상태에서 내측 하우징을 외측 하우징내에 삽입하고 그 후 시일부재를 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냉수 혼합장치의 조립방법.
  45. 제43항에 있어서, 시일부재를 고정지그에 의해 압축변형시킴과 동시에 액체질소에 의해 시일부재를 동결시키고 동결후에 고정지그를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냉수 혼합장치의 조립방법.
  46. 제4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지그는 둘레방향으로 복수로 분할되고 전체로서 원통형상을 이루는 지그본체 및 이 지그본체를 조여 부착하는 고정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지그본체와 시일부재와의 사이에는 지그본체의 직경방향으로의 이동에 의해 직경을 확대축소시키는 대발형상으로 감은 얇은 판을 끼워 장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냉수 혼합장치의 조립방법.
  47. 온냉수 혼합장치를 구성하는 외측 하우징과 내측 하우징과의 사이의 공간을 내측 하우징의 외면에 돌출 설치된 격리부재로 구획함으로써 형성된 냉수 통로를 시일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외측 하우징에 상기 내측 하우징을 삽입한 후 상기 내측 하우징의 격리부재 장착용 지지부에 설치한 오목홈에 연이어 통하는 위치에서 상기 외측 하우징의 관벽에 구멍이 뚫린 액상 시일재의 주입구로부터 상기 오목홈 내에 액상 시일재를 주입하고 이 액상 시일재를 경화시켜 상기 냉수 통과구멍의 시일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냉수 혼합장치의 물 통로의 시일방법.
  48. 제44항에 있어서, 시일부재를 고정지그에 의해 압축변형시킴과 동시에 액체질소에 의해 시일부재를 동결시키고 동결후에 고정지그를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냉수 혼합장치의 조립방법.
  49. 제48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지그는 둘레방향으로 복수로 분할되고 전체로서 원통형상을 이루는 지그본체 및 이 지그본체를 조여 부착하는 고정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지그본체와 시일부재와의 사이에는 지그본체의 직경방향으로의 이동에 의해 직경을 확대축소시키는 대발형상으로 감은 얇은 판이 끼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냉수 혼합장치의 조립방법.
KR1019950703671A 1993-12-28 1994-11-08 온냉수혼합장치 KR10022231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5344693 1993-12-28
JP93-353446 1993-12-28
PCT/JP1994/001879 WO1995018324A1 (fr) 1993-12-28 1994-11-08 Melangeur d'eau chaude et d'eau froid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701325A KR960701325A (ko) 1996-02-24
KR100222312B1 true KR100222312B1 (ko) 1999-10-01

Family

ID=184309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703671A KR100222312B1 (ko) 1993-12-28 1994-11-08 온냉수혼합장치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5730167A (ko)
EP (1) EP0688985B1 (ko)
JP (1) JP3443830B2 (ko)
KR (1) KR100222312B1 (ko)
CN (1) CN1047828C (ko)
AT (1) ATE233874T1 (ko)
CA (1) CA2157046A1 (ko)
DE (1) DE69432216T2 (ko)
DK (1) DK0688985T3 (ko)
TW (1) TW280855B (ko)
WO (1) WO199501832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706436A1 (en) 2007-11-20 2009-09-03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Environmental sampling articles and methods
GB201018074D0 (en) 2010-10-26 2010-12-08 Kohler Mira Ltd Tap mounting
US9340958B2 (en) 2012-06-22 2016-05-17 Kohler Mira Limited Mixing valve
WO2014018564A1 (en) 2012-07-23 2014-01-30 Zieger Claus Dieter Multiple proportion delivery systems and methods
CN103047443B (zh) * 2013-01-12 2014-11-19 江苏金晟元特种阀门股份有限公司 直管式冷热水阀
CN103090075A (zh) * 2013-01-29 2013-05-08 辉煌水暖集团有限公司 一种防烫淋浴龙头及其壳体
DE112014001311T5 (de) * 2013-03-12 2015-12-24 Reliance Worldwide Corporation (Aust.) Pty.Ltd. Wassertemperaturregelventil
CN105962788B (zh) * 2016-07-21 2020-06-05 佛山市顺德区美的饮水机制造有限公司 阀门组件和饮水机
US10711903B2 (en) * 2017-06-08 2020-07-14 Hamilton Sundstrand Corporation Transfer valves
GB2568271B (en) 2017-11-09 2020-04-22 Kohler Mira Ltd A plumbing component for controlling the mixture of two supplies of water
JP7113252B2 (ja) * 2017-11-29 2022-08-05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水栓
WO2019222420A1 (en) 2018-05-16 2019-11-21 Bradley Fixtures Corporation Housing for multiple valves
USD886236S1 (en) 2018-05-16 2020-06-02 Bradley Fixtures Corporation Housing for multiple valves
US20190390782A1 (en) * 2018-06-26 2019-12-26 John R. Goetzinger Slide Valve for Controlling Fluid Flow
JP7353207B2 (ja) 2020-02-13 2023-09-29 日本サーモスタット株式会社 湯水混合水栓
CN114321445A (zh) * 2020-09-29 2022-04-12 Toto株式会社 水龙头阀门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284574B (de) * 1967-02-23 1970-09-25 Grohe Armaturen Friedrich Steuerkolben in Flüssigkeitsarmaturen
DE2340790A1 (de) * 1973-08-11 1975-03-13 Grohe Armaturen Friedrich Thermostatisch gesteuertes mischventil
JPS5923104Y2 (ja) * 1975-12-31 1984-07-10 忠男 加藤 シヤワ−ケンヨウキユウスイキ
JPS5371745A (en) * 1976-12-06 1978-06-26 Toyota Motor Corp Seal structure
JPS5443324A (en) * 1977-08-19 1979-04-05 Robertshaw Controls Co Tubular housing apparatus for inversible valve
CH647585A5 (de) * 1980-05-20 1985-01-31 Anton J Willi Thermostatgeregelte mischbatterie fuer kalt- und warmwasser.
JPS5840060A (ja) * 1981-08-31 1983-03-08 Q P Corp 油炒め香味野菜の製造方法
CH655556B (ko) * 1984-03-16 1986-04-30
JPH01106680U (ko) * 1988-01-11 1989-07-18
DE3834818C1 (ko) * 1988-10-13 1989-11-09 Teroson Gmbh, 6900 Heidelberg, De
JPH03153974A (ja) * 1989-11-08 1991-07-01 Moon Star Co バルブシール部にシールリングを嵌合する方法
TW286346B (ko) * 1993-04-05 1996-09-21 Toto Ltd
DE9309418U1 (de) * 1993-06-24 1993-08-19 Kwc Ag Hebelmischarmatur
US5467795A (en) * 1994-02-08 1995-11-21 Insertec Systems, Inc. Methods of sealing annular space between inner and outer gas mains for tie-ove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80855B (ko) 1996-07-11
EP0688985B1 (en) 2003-03-05
CA2157046A1 (en) 1995-07-06
KR960701325A (ko) 1996-02-24
EP0688985A4 (en) 1998-10-14
CN1047828C (zh) 1999-12-29
DK0688985T3 (da) 2003-06-23
JP3443830B2 (ja) 2003-09-08
CN1118619A (zh) 1996-03-13
DE69432216D1 (de) 2003-04-10
US5730167A (en) 1998-03-24
WO1995018324A1 (fr) 1995-07-06
ATE233874T1 (de) 2003-03-15
EP0688985A1 (en) 1995-12-27
DE69432216T2 (de) 2003-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22312B1 (ko) 온냉수혼합장치
JP3450494B2 (ja) 混合水栓
RU2091653C1 (ru) Смесительный клапан
US5299593A (en) Mixer valve for hot and cold water incorporating a pressure balancer
CA2160948A1 (en) Vacuum breaker for faucets
RU2465507C2 (ru) Узел клапана и узел штока клапана
RU2000129145A (ru) Газовый клапан и способ подачи газового импулльса
USRE25920E (en) Balanced mixing valve cartridge
KR0157658B1 (ko) 온냉수 혼합장치
KR830002827B1 (ko) 혼합밸브
JPH0630988A (ja) 熱交換器を保持するためのマウンティングアセンブリおよびそれらのコンビネーション装置
KR950033207A (ko) 자동혼합수전
CA1239071A (en) Air relief device for liquid flow pipe
EP0421713B1 (en) Flow path switching apparatus in automatic regulating valve
WO1991005191A1 (en) Cartridge for a single control lever mixing faucet with connecting pipes reinforced by elastic means
US6591807B1 (en) Combination comprising a main unit and at least one add-on functional unit
CA1313520C (en) Solenoid valve assembly
JP2751019B2 (ja) 自動混合水栓
US20040178382A1 (en) Ball valve
US10337412B2 (en) Liquid fuel control valve for gas turbine engine and method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 fuel to engine
KR100391390B1 (ko) 수도미터에 사용하는 지수전
FI84651B (fi) Engreppsblandventil med en patron, som aer foersedd med ett inloppsomvaendningsorgan.
JP3156451B2 (ja) 水栓ケーシングとその通水路のシール方法
KR200192373Y1 (ko) 분수용 공압밸브장치
WO2022193228A1 (en) Water heater dip tub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61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