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5530B1 - 전기차용 기어복스 매달음장치 - Google Patents

전기차용 기어복스 매달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5530B1
KR960005530B1 KR1019920005844A KR920005844A KR960005530B1 KR 960005530 B1 KR960005530 B1 KR 960005530B1 KR 1019920005844 A KR1019920005844 A KR 1019920005844A KR 920005844 A KR920005844 A KR 920005844A KR 960005530 B1 KR960005530 B1 KR 9600055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ging
gearbox
seat
bogie
reduction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058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00305A (ko
Inventor
하루히사 후지타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가부시키가이샤
시키모리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가부시키가이샤, 시키모리야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9300003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03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55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553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CLOCOMOTIVES; MOTOR RAILCARS
    • B61C9/00Locomotives or motor railca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transmission system used;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locomotives or motor railcars
    • B61C9/38Transmission systems in or for locomotives or motor railcars with electric motor propulsion
    • B61C9/48Transmission systems in or for locomotives or motor railcars with electric motor propulsion with motors supported on vehicle frames and driving axles, e.g. axle or nose suspension
    • B61C9/50Transmission systems in or for locomotives or motor railcars with electric motor propulsion with motors supported on vehicle frames and driving axles, e.g. axle or nose suspension in bog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CLOCOMOTIVES; MOTOR RAILCARS
    • B61C9/00Locomotives or motor railca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transmission system used;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locomotives or motor railcars
    • B61C9/38Transmission systems in or for locomotives or motor railcars with electric motor propulsion
    • B61C9/48Transmission systems in or for locomotives or motor railcars with electric motor propulsion with motors supported on vehicle frames and driving axles, e.g. axle or nose suspen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Details Of Gearings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 Connection Of Motors, Electrical Generators, Mechanical Device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기차용 기어복스 매달음장치
제 1 도는 이 발명의 한 실시예를 표시하는 단면도.
제 2 도는 이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표시하는 단면도.
제 3 도는 종래의 매다는 자리를 표시하는 평면도.
제 4 도는 종래의 매다는 자리를 표시하는 평면도.
제 5 도는 종래의 매달음장치를 표시하는 단면도.
제 6 도는 종래의 사용한 심(Shim)의 평면도.
제 7 도는 차량간이 측면도.
제 8 도는 기어 커프링의 휘어지는 각-토크선도.
제 9 도는 전동기대차(台車)장착식 평행가요(可撓)구동장치의 평면 외형도.
제10도는 종래의 감속기어장치의 정면 외형도.
제11도는 가요축연결부의 동작, 형상, 구조예를 표시하는 개념도.
제12도는 장원형 구멍의 개념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A : 대차프레임 1a : 나사구멍
6A : 매다는 자리 7A : 매다는 암
18 : 부착볼트 19 : 장원형 구멍
20 : 부착자리 20a : 나사구멍
21 : 널(Knurl) 22 : 중간자리
22a : 구멍 23 : 볼트
이 발명은 전기차용 기어복스매달음장치에 관한 것이다.
제 5 도는, 예를들면 일본국실개소 51-109508호 공보에 표시된 종래의 전기차용 전동기의 감속기어복스매달음장치의 대차와의 접속구분의 종단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7은 매다는 암(Arm), 6은 이 암을 매다는 대차(台車)(1)측의 매다는 자리, 13은 매다는 자리(6)에 대해 상하로 끼워부쳐진 방진(防振)고무, 14는 방진고무(13)에 맞대여지는 와셔(washer), 15는 상기 와셔(4)상에 설치되는 심(Shim), 16은 심(15)을 와셔(14)와 함께 누르기 위한 와셔, 17은 매다는 자리(6)에 대해 상기 전 부품을 조이기 위한 넛(Nut)이다.
다음에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제 9 도는 대차프레임(1)에 차축(2)과 평행으로 부착된 전동기(3)로부터 차축(2)에 베어링을 통해서 직접 부착된 감속기어장치(4)이 가요축(可凹軸)연결부(5)를 경유하여 회전력을 전달하는 소위 전동기대차장착식 평행가요구동장치의 평면 외형도이다.
본 구동장치에 있어서, 축 스프링의 휘는량 D와 가요축연결부의 휘는량 C와 기어중심거리 A와 기어북스 부착중심거리 B사이에는 다음과 같은 식(1)이 성립한다.
수 1
C1=[(B-A)/B]×D
위 식에서 아는 바와 같이 축 스프링의 휘어짐 D에 대해 가요축연결부(이하, 휘어짐연결부)의 휘는 량 C를 충분히 작게 하기 위해서는 B를 A에 접근시키면 되나 이것에는 후에 기술하는 바와 같은 장해가 있다.
여기서, 가요축연결부는 감속기어장치(4)로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하여 전동기의 감속기어장치 사이에 설치된 연결부이다.
가요축연결부의 동작, 외형치수, 구조에 대한 한예를 제11도에 표시한다.
제10도는 감속기어장의 정면 외형도이다. 기어복스(4a)는 큰 기어(8)쪽에서 베어링을 통해서 차축(2)에 부착되고, 회전반력(反力)을 지지하기 위해 작은 기어(9)쪽에서 매다는 암(Arm)(7)을 거쳐서 대차프레임(1)에 부착되어 있다. 제 7 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대차(1)에 차체를 올려 놓았을때, 차체의 중량으로 축 스프링(11)이 압축되어서 휘게 된다. 전동기는 대차프레임에 직접 고정되어 있으며, 축스프링의 휘는량과 꼭 같은 량만큼 대차프레임과 함께 아래쪽으로 이동한다. 가요축연결부는 전동기와 연결되어 있으므로, 제10도에 표시하는 작은 기어중심(7)은 매다는 암에서 차측까지의 길이와의 비, 즉 1식에 표시하는 가요축연결부의 휘는 량 C만큼 전동기에 대하여 이동한다.
마찬가지로 승객의 승하차, 전차주행중의 진동에 의해서도 전동기축과 작은 기어중심은 (1)식에서 표시하는 관계로해서 상대변위를 일으킨다.
이 때문에 대차에 전동기와 구동장치를 부착했을 때 미리 전동기축 중심을 작은 기어축의 중심 보다도 높게 해 놓고, 약정원(約定員)의 승객수일때에 이들 축중심이 일치하도록 매다는 암의 길이를 조절해둔다.
이것은 제 8 도에 표시하는 것과 같이 휘어짐연결부에 기어 커프링을 사용했을 때의 에로 설명하면, 허용토크전달용 량은 연결부의 휘어지는 각 θ가 적을 수록 크게 되기 때문이다.
제 5 도는 종래의 전기차용 전동기의 기어복수매달음장치의 대차로의 접속부분의 종단면도이다. 매다는 암(7)는 제10도에 표시하는 기어복수(4a)에 아래쪽에서 구면(球面)베어링에 의해 연결되어 있고, 제10도에서의 좌우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매다는 암(7)의 상부 와셔(14), (16), 심(Shim)(15), 방진고무(13)를 통해 매다는 자리(6)에 매다는 암(7) 선단 나사부를 넛(17)으로 조임으로써 부착되어 있다.
방진고무(13)는 넛(17)에 의해 미리 압축되어서 조립되어, 제10도에 표시하는 기어복수(4a)의 진동이 제 9 도에 표시하는 대차(1)에 전달되지 않게 하는 동시에, 매다는 암(7)이 매단자리(6)를 중심으로 약간은 회동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14,16은 와셔, 15는 제 6 도에 표시하는 바와같은 말발굽형 심(간격조정용 스페이서)로 박판(薄板)을 적층해서 되어 있다.
이와같이 해서 구성된 것에서, 매다는 암의 길이의 조정를 하려면 제 5 도에서의 아래쪽 심을 넣었다 빼었다 해서 가감하면 된다. 구체적으로는 방진고무(13)이 무압축상태가 될때까지 넛(17)을 풀어서 아래쪽의 심(15)을 넣었다 빼었다 해서 조정을 한다. 이렇게 하는 심은 미리 준비된 위쪽 심(15)중에서 조달한다. 매다는 자리(6)는 제 9 도에 표시하는 대차프레임(1), 제10도에 표시하는 대차프레임(1)로부터의 돌기물이고, 제10도에 표시하는 기어복수(4a)를 지지하기 위한 기계적인 강도를 유지하기 위해 제 3 도 및 제 4 도에 표시하는 보강리브(rib)(6a)가 매다는 자리(6)와 일체가 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즉 제 5 도에 표시하는 매다는 자리 리브(6a)이다.
또, 먼저 말한 매다는 암 길이의 조절은 제 9 도와 같이 대창의 상태, 때로는 대차에 차체를 올려놓는 상태, 즉 차량으로서의 상태에서 시행한다.
종래의 전기차용 기어복스매달음장치는 이상과 같이 구성되어 있으므로 매다는 암의 길이의 조정에 있어서, 예를들면 차체밑바닥의 점검창이 없을 때 아래로부터 상향작업이 되기 때문에 조여붙임 넛(17)이 보이지 않아 푸는 작업이 더듬는 작업이 되어 버리고, 또 심(15)이 제 5 도와 같은 형상을 하고 있기 때문에 개구부의 위치를 찾기 어렵고 많은 수의 심중에서 소수의 심을 넣었다 뺐다 하기는 곤란한 작업이라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매다는 암의 길이 조정을 위한 심을 생략할 수 있는 동시에 상향작업을 가능케하는 전기차용기어복스매달음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발명에 관한 전기차용 기어복스매달음장치는 매다는 암 측의 심을 생략하고 대차쪽의 매다는 자리를 대차프레임에서 분리시킴과 동시에 매다는 위치를 매다는 자리의 네귀퉁이에 장원(長圓)형 구멍을 뚫음으로 해서 상하방향으로 조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 동일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매다는 자리의 부착면에는 수평방향에 널(Knurl)가공을 해서 대차프레임과 상기 매다는 자리의 널에 대향하도록 널가공을 한 중간자리를 부착한다.
이 발명에 있어서의 매다는 자리는 대차프레임으로부터 분리형으로 함으로써 이 매다는 자리의 네귀퉁이의 장원형구멍을 이용해서 상하방향으로 위치가 변경될 수 있고 매다는 암의 길이를 조정할 수가 있다.
또 매다는 자리 및 중간자리의 대향면에 시공한 널가공에 의해 이 널의 표면의 결합위치를 상하로 이동시켜줌으로 해서 위치를 바꿀수 있고, 매다는 암의 길이가 조정된다. 또 널에 의해 상하방향의 하중에 대해 견디는 힘을 갖게 된다.
[실시예 1]
제 1 도는 이 발명의 한 실시예를 표시하는 단면도이고, (13), (16), (17)은 상기 종래의 장치와 꼭 같은 것이다. 1a는 대차프레임(1A)상에 설치된 매다는 자리(6A)를 부착하기 위한 나사구멍, 6A는 매다는 자리이고, 부착면의 네모퉁이에는 상하방향으로 장원형구멍(19)을 갖고 있다. 18은 상기 매다는 자리(6A)를 대차프레임(1a)에 부착시키기 위한 볼트이다. 또 매다는 암(7A)는 제 5 도에 표시한 것보다도 심 및 와셔가 생략된만큼 두께가 얇게 되어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전기차용 기어복스매달음장치에 있어서는 매다는 자리(6A)의 부착볼트(18)에서의 조여붙인 힘을 해제함으로써 배단자리(6A)이 네귀퉁이에 설치되어 상하방향으로 매단자리의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는 장원형 구멍(19)에 의해 매다는 암(7A)의 길이를 조정할 수가 있다. 장원형 구멍(19)에 의한 작용을 이해할 수 있도록 그 개념도를 제12도에 표시한다.
또, 매다는 자리 부착볼트(18)가 아래쪽으로 보이는 곳에 있기 때문에 조정작업에 있어서도 상향작업이라도 쉽게 할 수가 있다.
[실시예 2]
제 2 도는 이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표시하는 단면도이고, (20)는 대차프레임(1A)상에 고착되어 아래쪽에 턱부분을 갖는 부착자리이고 네모퉁이에는 나사구멍(20a)이 존비되어 있다. 6A는 매다는 자리이고 부착면에는 수평방향으로 종래의 장치에 있는 심의 두께에 상당하는 피치로 널(21)가공이 되어 있고 네모퉁이에는 상하방향으로 장원형 구멍(19)을 갖고 있다. (22)는 상기 부착자리(20)와 매다는 자리(6A) 사이에 배치되는 중간자리이고 매다는 자리(6A)에 대향한 면에 매다는 자리(6A)와 같은 널가공이 되어 있으며 네모퉁이에는 원형구멍(22a)을 갖고 있다. (23) 및 (18)은 중간자리(22), 매다는 자리(6A)를 각각 부착하기 위한 볼트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전기차용 기어복스매달음장치에 있어서는 매다는 자리(6A)의 부착볼트(18)에서의 조여 부치는 힘을 해제함으로써 매다는 자리(6A)를 상하에 널의 공를 가이드로 해서 매다는 자리(6A)의 위치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장원형 구멍(19)에 의해 매다는 암(7A)의 길이를 조정할 수가 있다.
또, 매다는 자리 부착볼트(18)가 밑에서 보이는 위치에 있기 때문에 조정작업에 따라 상향작업에서도 쉽게 할 수가 있다.
[실시예 3]
또, 상기 실시예에서는 매다는 암의 아래쪽이 구면(球面)베어링으로 기어복스에 연결되어 있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으나, 매다는 암의 아래쪽이 위쪽과 같이 방진(防振)고무를 통해 연결되어 있는 매다는 암이라도 좋고, 상기 실시예와 같은 효과를 나타낸다.
이상과 같이 이 발명에 의하면, 전기차용 기어복스매달음장치의 매다는 자리를 대차프레임으로 부터 분리형으로해서 구성하고 매다는 자리에 상햐방향을 긴 장원형 구멍을 뚫어 이 장원형 구멍에 따라 매다는 자리를 이동하도록 하였으므로 종래의 심에 의한 것과 비교해 매다는 암의 길이의 조정이 쉽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 널을 비치한 것에서는 매다는 자리의 유지가 보다 확실하게 된다.

Claims (2)

  1. 전기차의 대차에 장치된 전기차동전동기의 회전력을 차축에 부착된 감속기어장치에 가요축(可凹軸)연결부를 거쳐 원활하게 전달시키기 위해 대차에 감속기어장치의 기어복스를 지지함과 동시에, 전동기 축심과 감속기어장치의 작은 기어축심의 축심차(差)를 조정하기 위해 감속기어장치 기어복스에 설치된 매달음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어복스를 매다는 암을 지지하는 매다는 자리를 상기 대차로부터 분리해서 상기 매다는 자리에 상하방향으로 긴 장원형 구멍을 만들어 이 장원형 구멍에 볼트를 꽂아 대차에 볼트 조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용 기어복스매달음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매다는 자리에 대차폭의 부착면에 "널(Knurl)"을 만든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용 기어복스매달음장치.
KR1019920005844A 1991-06-24 1992-04-08 전기차용 기어복스 매달음장치 KR96000553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180186A JP2701233B2 (ja) 1991-06-24 1991-06-24 電気車用歯車箱吊り下げ装置
JP91-180186 1991-06-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0305A KR930000305A (ko) 1993-01-15
KR960005530B1 true KR960005530B1 (ko) 1996-04-26

Family

ID=160788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05844A KR960005530B1 (ko) 1991-06-24 1992-04-08 전기차용 기어복스 매달음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JP (1) JP2701233B2 (ko)
KR (1) KR960005530B1 (ko)
AU (1) AU646959B2 (ko)
ES (1) ES2060508B1 (ko)
GB (1) GB2257101B (ko)
HK (1) HK149195A (ko)
MX (1) MX9203157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504766C2 (de) * 1995-02-04 1997-10-23 Abb Daimler Benz Transp Teilabgefederter Antrieb, insbesondere für elektrische Triebfahrzeuge
JP3236190B2 (ja) * 1995-05-29 2001-12-10 キヤノン株式会社 文字処理装置及びその方法
JP2007308042A (ja) * 2006-05-19 2007-11-29 West Japan Railway Co 鉄道車両の防振ゴム支持構造およびその防振ゴムのばね定数の設定方法
CN102991523B (zh) * 2011-09-14 2016-02-24 南车戚墅堰机车车辆工艺研究所有限公司 齿轮箱用吊挂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41228A (en) * 1973-11-20 1974-10-15 Westinghouse Electric Corp Traction drive suspension system for a rail vehicle
US4228739A (en) * 1977-07-01 1980-10-21 The Garrett Corporation Motorized railway truck articulated shaft housing
FR2577501B1 (fr) * 1985-02-15 1988-10-07 Schneider Jeumont Rail Sa Ensemble de protection et de maintien pour moteur electrique de traction ferroviaire suspendu par le nez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060508R (ko) 1996-11-01
GB2257101B (en) 1995-01-04
MX9203157A (es) 1993-04-01
KR930000305A (ko) 1993-01-15
GB9212528D0 (en) 1992-07-22
AU1849492A (en) 1993-01-14
JPH0640328A (ja) 1994-02-15
GB2257101A (en) 1993-01-06
HK149195A (en) 1995-09-29
AU646959B2 (en) 1994-03-10
ES2060508B1 (es) 1997-04-01
JP2701233B2 (ja) 1998-01-21
ES2060508A2 (es) 1994-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83759A (en) Upper suspension arm support structure
EP0160951A2 (en) Improvement of screw tightening apparatus
KR960005530B1 (ko) 전기차용 기어복스 매달음장치
US4666361A (en) Arm driving apparatus
CN104955710A (zh) 转向柱装置
JPS626958B2 (ko)
WO2022121689A1 (zh) 轻量级桌面机械臂底座及轻量级桌面机械臂
KR100295840B1 (ko) 스티어링 기어박스와 파워 트레인의 일체형 마운팅 구조
KR20000076186A (ko) 차륜 현가 장치
CA2225329A1 (en) Hydraulic torque restraint system
US6622853B2 (en) Pivoting mounting block for motorized conveyor pulleys
KR930006596B1 (ko) 무한궤도차량용 구동시스템
CN214492929U (zh) 一种电机械踏面制动装置
CN210502930U (zh) 一种消防机器人的减震行走机构
JP2713740B2 (ja) 鉄道車両用動力伝達装置
CN220281043U (zh) 带轮边减速碟刹驱动前桥
CN216805318U (zh) 一种无人驾驶车辆用车载信息采集装置
CN111976447B (zh) 牵引车及其转向架、悬挂装置
CN216969789U (zh) 一种转向中间轴固定机构
CN220198970U (zh) 一种工程机械驱动桥主传动托架
JPH0339630Y2 (ko)
CN220096660U (zh) 一种无人机遥感测绘装置
CN217475330U (zh) 一种装配岛底盘及发动机装配岛
JPS5845922Y2 (ja) フオ−クリフトの駆動軸管取付け装置
JPS5844074Y2 (ja) 洋上受給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041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