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5232B1 - Cu-al계 합금조성물 - Google Patents

Cu-al계 합금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5232B1
KR960005232B1 KR1019930022184A KR930022184A KR960005232B1 KR 960005232 B1 KR960005232 B1 KR 960005232B1 KR 1019930022184 A KR1019930022184 A KR 1019930022184A KR 930022184 A KR930022184 A KR 930022184A KR 960005232 B1 KR960005232 B1 KR 9600052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loy
copper
aluminum
composition
cas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221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11628A (ko
Inventor
동창림
Original Assignee
동창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창림 filed Critical 동창림
Priority to KR10199300221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5232B1/ko
Publication of KR9500116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16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52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5232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9/00Alloys based on copper
    • C22C9/01Alloys based on copper with aluminium as the next major constituen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dornments (AREA)
  • Conductive Material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CU-AL계 합금조성물
본 발명은 각종 산업기계부품이나 주방용품 등에 이용할 수 있도록 한 CU-AL계 합금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도 Al:8-18중량%,V:0.05-3%, 잔부 Cu로 되는 동기기능합금, 또는 Al:2-18%,V:0.05-3%,Fe,Co,Ni,Si,Sn,Ag,Mg,Mn,Sb,Ga,Ge,In 등의 1종이상을 합금이 β상 구조를 가질 수 있는 범위내에서 함유하고, 나머지 Cu로 되는 동기기능합금.
이 합금은 V의 소량첨가에 따라 Cu-Al합금의 변태온도역을 거의 변동시키는 것이 없고, 주재조의 결정입을 미세화하여 다시 균질화, 열간가공, β화처위함의 가열공정시의 동기기능합금(銅基機能合金)이 일본 특개소 58-181838호로 공지되어 있고, 또한 중량%로서, Cu:54-66%,Al:1.0-5.0%,Mn:1.0-5.0%,Si:0.2-1.5%,Ni:0.5-4.0%,Fe:0.2-2.0%,Pb:0.2-1.5%, 잔부가 Zn로 되는 합금을 조제하고, 특히 동합금성분에 Pb를 첨가하는 것에 따라 쾌삭성(快削性)을 부여할 수 있도록함을 특징으로 하는 내마모성동합금이 일본특개소 56-163231호로 공지되어 있으나, 이의 합금조성물은 우수한 내식성과 고강도를 가지고 있으나, 주로 용해하여 사형 또는 금형주조하여 주물형태로 제조하여 사용해야 함으로 그 사용범위가 제한적이고, 특히 이를 열간가공시 α+γ2상에 의하여 석출량이 증대되어 압연이 불가능하므로 산업전반에 걸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본 발명을 Cu-Al계의 합금이 갖는 우수한 내식성과 고강도 및 미려한 고광택을 손상시키지않고 냉간가공성과 성형성이 뛰어나며, 특히 미려한 황금색을 가진 고강도 및 고광택을 발휘시킬 수 있는 CU-AL계의 합금조성물을 발명하게 된 것이다.
본 발명의 합금조성비율은, Al:5-10%, Ni:0.5-3%, Fe:0.5-3%, Mn:0.1-3%, Sn:0.01-2.5%, Mg:0.001-1%,Sn:0.01-2% 나머지 Cu와 불가피한 불순물로 이루어지는 조성을 가지고 있다.
주조된 상태에서 응고후 950℃ 이상의 온도에서 열간 및 냉간가공하여 열처리를 행한 결과, 종래 합금의 특성을 유지하며, 가공성과 성형성이 매우 우수함을 알게 되었다.
상기 합금에서 조성의 수치한정이유는 다음과 같다.
알루미늄(Al):Al은 응용금속의 유동성과 합금의 강도 및 산화에 의한 내식성을 향상시키는 작용과 황금색의 색상을 띄게하는 작용은 있지만, 그 함량이 5%미만이면 전기한 효과를 기대할 수가 없고, 10%이상이 되면 열간 및 냉간압연성이 저하하기 때문에 그 조성의 량을 5-10%로 정하였다.
니켈(Ni):Ni은 Al과 같은 성질을 가지고 있으며, 석출경화현상의 발생으로 강도를 향상시키는 작용이 있으나, 그 함유량이 0.5%미만이면 전기한 효과를 기대할 수 없고, 3%가 넘으면 가공성의 저하로 그 조성의 량을 0.5-3%로 할 때에는 Al에서 갖는 노란색을 좀더 미려한 황금색의 색감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철(Fe):Fe는 합금의 강도를 향상시키는 작용을 하나 그 량이 많을 경우에는 석출량이 증대로 인하여 인성이 떨어지며, Ni과 Fe의 비를 일정수준을 유지시켜 조성할때에는 Ni의 석출경화현상이 압면에 미치는 영향을 억제시켜 성형성을 향상시키는 작용이 있으나. 그 함유량이 0.5%미만이면 전기한 효과를 기대할 수 없고, 3%가 넘으면 가공성의 저하로 그 조성의 량을 0.5-3%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망간(Mn):Mn은 조직안정제 및 탈산작용이 있으며, 강도와 내식성을 향상시키는 작용이 있으나, 그 함유량이 0.1%미만이면 전기한 효과를 기대할 수 없고, 3%가 넘으면 주조성이 저하하기 때문에 그 함유량을 0.1-3%로 정할때에는 합금에 미려한 황색을 나타나게 된다.
주석(Sn):Sn는 합금의 내후성 및 냉간가공성을 향상시키는 작용이 있으나, 그 함유량 0.01%미만이면 전기한 효과를 기대할 수 없고, 2.5%를 넘으면 가공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그 함유량을 0.01-2.5%로 정하였다.
마그네슘과 규소(Mg과Si):Mg과Si은 Cu-Al계 합금시 Mg의 조성비를 0.001-1% 또는 Si의 조성비를 0.001-2%로 조성할 때 합금의 인성이 양호하게 되고, 강한 가공에 좋으면 Mg,Si중 1종 또는 2종을 함유하여야 한다.
[실시예]
상기의 재료와 조성비율로하여 조성과정을 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가니를 사용하여 각각의 조성을 갖인 용량을 준비하고, 위와 같이 용해된 용량을 금형에 주조하여 두께 40mm,폭 215mm,길이 320mm 의 주괴를 만들어 냉각한후에 표면을 면삭한다.
면삭된 주괴를 900℃이상의 온도로 가열하여 1시간 유지시킨다음, 압연을 실시하여 두께 5.5mm,폭 340mm, 길이 1330mm의 중간재를 만들어 이것을 800℃-650℃에서 서냉하여 얻은 소재를 냉간가공하여 성형 가공할 수 있는 소재를 생산한다.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상기의 조정과정으로 주물, 열간가공 및 냉간가공 및 열처리하여된 본 발명품의 질을 알아보기 위해 기계적성질시험을 한국공업규격(KS)에 따라 실시하였다.
경도시험은 KSB-0811규정에 따라 비커스경도계(MATSUZAWA MODEL VK-M)로 행하였으며, 이때 시험조건은 하중 5Kg, 하중유지시간 30초로 하였다.
인장시험은 KSB-0802 인장시험방법에 의하여 실시하였으며, 시험조건은 상온에서 하중부하속도 2mm/mm로 하였다.
시험에 사용된 시험편은 KSBO801에 규정되어 있는 5호시험편으로 하였고, 시험기는 KSB5521규정에 만족되는 만능인장시험기(INSTRON MODEL 1137)로써 시험하였다.
성분조성과 시험결과는 다음과 같다.
[표 1]
성분조성(중량%)
[표 2]
기계적성질
상기와 같이 본 발명품은 우수한 내식성과 고강도를 보유하고 있고, 미려한 황금색의 고광택을 지니며 압연성과 가공성 및 성형성이 매우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이에 따라 질이 우수한 자동차부품,유압부품,각종밸브류나 식기,냄비,양식기,수저,모조귀금속류와 장식품,악세사리용품,건축내,외장재를 제조,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장기간에 걸쳐서 아름다운 황금색을 유지하므로 산업사회의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합금의 조성이 Al5-10%,Ni:0.5-3%,Fe0.5-3%,Mn0.1-3%,Sn0.01-2.5%,Mg0.001-1%,Si0.01-2%와 나머지의 잔여량이 구리 및 불가피한 불순물로 혼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CU-AL계합금조성물.
KR1019930022184A 1993-10-22 1993-10-22 Cu-al계 합금조성물 KR9600052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22184A KR960005232B1 (ko) 1993-10-22 1993-10-22 Cu-al계 합금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22184A KR960005232B1 (ko) 1993-10-22 1993-10-22 Cu-al계 합금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1628A KR950011628A (ko) 1995-05-15
KR960005232B1 true KR960005232B1 (ko) 1996-04-23

Family

ID=193664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22184A KR960005232B1 (ko) 1993-10-22 1993-10-22 Cu-al계 합금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523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3335B1 (ko) * 2008-07-09 2009-02-12 (주)태성알로이 장신구용 고내식성의 동합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1628A (ko) 1995-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199362B1 (ko) 다이 캐스팅용 알루미늄 합금 및 그를 사용한 볼 조인트
CA1119921A (en) Method for making fine-grained cu-ni-sn alloys
EP0480402B1 (en) Process for manufacturing aluminium alloy material with excellent formability, shape fixability and bake hardenability
JPH111735A (ja) プレス打抜き加工性に優れた耐食性高強度Cu合金
CN110747369A (zh) 一种无铅易切削硅镁钙黄铜合金及其制备方法
JPH01177327A (ja) 銀白色を呈する快削性銅基合金
KR101301290B1 (ko) 내식성과 소성가공성 및 형상기억성이 향상된 무연쾌삭 황동합금
US3972712A (en) Copper base alloys
JPS6128739B2 (ko)
KR960005232B1 (ko) Cu-al계 합금조성물
JPS6383251A (ja) 高力高弾性アルミニウム合金の製造法
US7128792B2 (en) Sterling silver manganese alloy compositions
JP3769646B2 (ja) Al−Zn−Si系合金の加工方法
JPH055147A (ja) 耐摩耗性に優れた低熱膨張アルミニウム合金
US2290026A (en) Aluminum alloy
JPH0557346B2 (ko)
KR810002048B1 (ko) 다이케스트용 내식성 Al 합금
JPH05345939A (ja) 白色銅合金
JP3099911B2 (ja) 制振合金
JPH05271850A (ja) 快削性白色合金
JPS60245759A (ja) 鋳物用アルミニウム合金
JPH04210438A (ja) 高強度Cu 合金製連続鋳造鋳型材
JPH07197163A (ja) 冷間鍛造用アルミニウム合金
JPH06264166A (ja) 耐食性、切削性及び加工性が優れた銅基合金
JPS62170447A (ja) 切削性及び加工性に優れた耐摩耗性アルミニウム合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