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5199Y1 - 봉상물 조출구 - Google Patents

봉상물 조출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5199Y1
KR960005199Y1 KR2019960002082U KR19960002082U KR960005199Y1 KR 960005199 Y1 KR960005199 Y1 KR 960005199Y1 KR 2019960002082 U KR2019960002082 U KR 2019960002082U KR 19960002082 U KR19960002082 U KR 19960002082U KR 960005199 Y1 KR960005199 Y1 KR 96000519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d
holder
slider
inner cylinder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0208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데헤이 가게야마
쇼우지 야스니시
요시히데 미츠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고도부키
가게야마 도시히코
주식회사 수한양행
윤휘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고도부키, 가게야마 도시히코, 주식회사 수한양행, 윤휘정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고도부키
Priority to KR2019960002082U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519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519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5199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4/00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 B43K24/02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locking a single writing unit in only fully projected or retracted positions
    • B43K24/06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locking a single writing unit in only fully projected or retracted positions operated by turn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4/00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 B43K24/02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locking a single writing unit in only fully projected or retracted positions
    • B43K24/026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locking a single writing unit in only fully projected or retracted positions with a sleeve sliding on the forward end of the lead

Landscapes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봉상물 조출구
제1도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봉상물조출구의 일부를 생략해서 도시한 분해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봉상물조출구의 단면도로서, 호울더와 슬라이더의 각각 앞쪽부위 및 뒷쪽부위에 위치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제3도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봉상물조출구의 동작설명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봉상물조출구의 일부를 생략해서 도시한 분해사시도.
제5도는 본 고안 제2실시예에 따른 봉상물조출구의 단면도로서, 호울더와 슬라이더가 각각 앞쪽부위 및 뒷쪽부위에 각각 위치한 상태를 나타낸 것.
제6도는 봉상물조출구의 내통의 정면도.
제7도는 봉상물조출구의 호울더의 단면도.
제8도는 제7도의 A-A선 단면도.
제9도는 제4도에 도시된 봉상물조출구의 슬라이더의 정면도.
제10도는 제9도에 도시된 슬라이더의 좌측면도.
제11도는 제9도의 B-B선 단면도.
제12도는 제9도의 C-C선 단면도.
제13도는 본 고안 제2실시예에 따른 봉상물조출구의 작동설명도.
제14도는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봉상물조출구의 내통 앞쪽부위의 정면도.
제15도는 본 고안 제3실시예에 따른 봉상물조출구의 선단캡의 단면도.
제16도는 본 고안 제3실시예에 따른 봉상물조출구의 슬라이더의 정면도와 D-D선 단면도.
제17도는 제16도에 도시된 슬라이더의 부분단면도와 그 E-E선 단면도.
제18도는 제16도에 도시된 슬라이더가 과대필기압을 받고 변형된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제19도는 종래의 색연필심조출구의 일부를 생략해서 도시한 설명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6 : 외통 7 : 나선홈
8 : 내통 10 : 회전조작부
12 : 안내슬릿 13 : 유도부
15 : 호울더 16 : 곡선부
17 : 안내홈 19 : 슬릿걸림돌기
20 : 슬라이더 24 : 나선홈걸림돌기
본 고안은 흑색연필심이나 색연필심, 크레용심, 지우개고무, 립스틱, 눈섭화장용 필심과 같이, 사용함에 따라 점차 소모되는 봉상물을 필요한 만큼씩 조출할 수 있음과 더불어 남겨진 잔여필심이 자동적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된 봉상물조출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이와 같은 봉상물조출구로서는, 예컨대 제19도에 도시된 것과 같은 색연필의 필심조출구를 들 수 있는 바, 이 색연필필심조출구는, 회전조작부(2)의 앞쪽부위에 부착된 나선형상철사(3)와 이 나선형상철사(3)내에 장착시켜진 색연필심호울더(4)로 이루어진 조출기구를 외통(1)내에다 자유로이 회전할 수 있도록 장착시킨 구조로 되어 있다. 도면중 참조부호 5는 외통(1)의 앞쪽부위 내주면에 형성된 나선홈(1a)나사결합되는 선구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색연필심조출구는, 회전조작부(2)를 한쪽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나선형상철사(3)도 함께 회전하게 되나, 이 나선형상철사(3)에 삽입된 색연필심호울더(4)의 회전저지돌기(4a)가 외통(1)의 내벽에 축방향으로 형성된 안내홈(1b)에 걸려지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색연필심호울더(4)의 회전이 저지되게 된다.
그러나 이 색연핀심호울더(4)가 이 색연필심호울더(4)에 갖춰진 3개의 걸림부재(4b)를 매개로 나선형상철사(3)에 끼워지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색연필심호울더(4)가 이 나선형상철사(3)를 따라 축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그 결과 색연필심호울더(4)의 앞쪽부위에 부착된 색연필심이 외통(1)의 선구(5) 앞끝에 형성된 개구로부터 조금씩 조출시켜지게 된다. 또한 회전조작부(2)를 상기와는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퇴몰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봉상물조출구는, 색연필심호울더(4)의 회전저지용 돌기(4a)가 걸려지도록 하기 위해 축방향으로 형성된 안내홈(1b)과, 선구(5)가 나사결합되도록 하기 위한 나사홈(1a) 및 회전조작부(2)의 환상돌조(2a)가 외통(1)에 대해 자유로이 회전할 수 있게 걸려지도록 하기 위한 환상홈(1c)이 외통(1)의 내주면에 각각 형성되어야만 하기 때문에 구조가 복잡해져 조립에 품이 많이 들게 되고, 더구나 나선형상철사(3)를 쓰기 때문에 나선핏치사이에 오차가 생기기 쉽게 되는 등 필심조작성이 좋지 않았다. 그리고 필심이 소모되어 잔여필심이 됨으로써 새로운 필심으로 갈아 끼워야 할 때 이 잔여필심이 색연필심호울더(4)내에 끼어 있어서 끄집어내기가 어렵다고 하는 결점도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봉상물조출구가 갖고 있는 결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구조가 간단하고, 조립하기도 극히 쉬우며, 조출조작성도 좋고, 호울더내에 남아 있는 잔여필심도 쉽게 배출시킬 수 있는 봉상물조출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양끝에 개구를 갖고서 내부에 나선안내수단이 형성된 외통과, 이 외통내에 자유로이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되고서 그 앞쪽부위에 유도부가 형성된 축방향안내슬릿을 가진 내통, 이 내통의 앞끝에 설치되어 상기 안내슬릿과 걸어맞춰지는 슬릿걸림돌기를 외주부에 갖춘 중공의 호울더, 상기 외통의 나선홈에 걸어맞춰지는 나선홈걸림돌기를 외주부에 갖춘 슬라이더, 이 슬라이더와 상기 호울더를 걸려지도록 하는 걸림수단 및 걸림해제위치에서 상기 호울더와 상기 슬라이더의 걸림을 해제시키는 걸림해제수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뒷쪽부위에 있는 회전조작부를 한쪽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내통이 회전함과 더불어 내통내에 끼워진 슬라이더의 돌기가 외통의 내벽부에 형성된 나선홈을 따라 안내되게 되는바, 즉 이 슬라이더와 이 슬라이더가 그 내부에 걸려지도록 된 중공의 봉상물호울더가 함께 내통내를 미끄럼이동해서 앞쪽으로 이동하게 됨으로써 봉상물이 앞쪽으로 조금씩 밀려나게 된다.
또, 이들 슬라이더와 호울더가 전진해서 걸림해제위치에 도달하게 되면 슬라이더와 호울더의 걸림이 해제되어져 슬라이더가 상기 호울더내를 전진해서 이 호울더내에 남아있는 잔여필심을 돌출시켜 배출시키게 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제1도 내지 제3도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외통(6)의 양끝에는 각각 개구가 형성됨과 더불어 내주면에는 나선홈(7)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외통(6)의 뒷끝개구로부터 내통(8)이 자유로이 회전할 수 있도록 삽입되고서, 숫나사부(9)가 형성되어 있는 내통(8)의 앞끝부위가 외통(6)의 앞끝개구로 돌출하도록 되어 있다. 또 내통(8)의 머리부위에는 회전조작부(10)가 일체로 형성되고서, 이 회전조작부(10)의 일부가 외통(6)의 앞쪽을 향해 연장되어 클립(11)을 형성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 내통(8)에는 축방향으로 안내슬릿(12)이 형성되면서, 이 안내슬릿(12)의 앞쪽부위가 휘어져 유도부(13)를 이루도록 되어 있는바, 이 유도부(13)의 앞끝이 절결되어 분할홈(14)을 이루도록 되어 있다.
한편 상기 내통(8)내에는 축방향으로 형성된 슬릿(12)를 따라 봉상물을 보유지지하기 위해 중공(中空)구조를 한 호울더(15)가 축방향으로 안내되어 자유로이 이동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는 바,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 호울더(15)는 축방향으로 배치되면서 그 뒷쪽부위가 경사방향으로 휘어진 곡선부(16)를 이루는 안내홈(17)이 형성되어 있고, 또 이 호울더(15)의 외면에는 상기 내통(8)에 형성된 슬릿(12)이 걸려지도록 슬릿걸림돌기(19)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이 안내홈(17)에는 슬라이더(20)의 슬라이더걸림돌기(21)가 쉽게 미끄럼왕복이동하도록 걸어맞춰지도록 되어 있는 바, 이 슬라이더(20)는 앞쪽의 로드부(22)와 뒷쪽의 슬라이더본체(23)로 이루어지고, 이 슬라이더본체(23)의 외주부에 상기 외통(6)의 내주에 형성된 나선홈(7)과 걸어맞춰지는 나선홈걸림돌기(24)가 형성되어 있다.
도면중 참조부호 25는 앞에서 설명된 내통(8)의 앞끝에 형성된 숫나사부(9)에 나사결합되도록 안쪽에 암나사부(26)가 형성되어 있는 선구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 봉상물조출구는 다음과 같은 순서로 쉽게 조립할 수 있게 된다. 즉, 먼저 호울더(15)의 안내홈(17) 뒷끝의 개방단부(18)를 벌려 슬라이더(20)의 로드부(22)를 이 로드부(22)에 형성된 슬라이더걸림돌기(21)를 통과시켜 호울더(15)내에다 조립해 넣은 다음, 이들 호울더(15)와 슬라이더(20)를 내통(8)의이 분할홈(14)을 벌려 슬라이더몸체부(23)의 나선홈걸림돌기(24)와 호울더(15)의 슬림걸림돌기(19)를 통과시켜 안내슬릿(12)에 들어갈 때까지 밀어넣어 삽입한다. 이어, 이들 슬라이더(20) + 호울더(15) + 내통(8)의 조립체를 외통(6)의 뒷부위 개구로 삽입해서 외통(6)의 앞끝개루로부터 돌출시켜진 내통(8)의 앞끝에 형성된 숫나사부(9)에다 선구(25)의 암나사부(26)를 나사결합하면 조립이 끝나게 된다.
다음에는 본 제1실시예에 따른 봉상물조출구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사용하기 위해 봉상물을 조출시킬려면, 내통(8)의 뒷끝에 설치된 회전조작부(10) 또는 클립(11)을 쥐고 한쪽방향으로 돌리면, 내통(8)이 회전함에 따라 슬라이더(20)의 슬라이더몸체(23)에 형성된 나선홈걸림돌기(24)가 외통(6)의 내벽에 형성된 나선홈(7)에 안내됨과 더불어 이 슬라이더(20)의 로드부(22)에 형성된 슬라이더걸림돌기(21)가 호울더(15)의 안내홈(17)의 곡선부(16)에 걸려진 상태로, 호울더(15)가 돌기(19)에 의해 내통(8)에 형성된 슬릿(12)내를 축방향으로 미끄럼이동해서 앞쪽으로 이동하게 되어, 그에 보유지지된 봉상물을 앞쪽으로 조금씩 진행하도록 한다. 또 사용한 후 상기와 반대방향으로 회전조작부(10) 또는 클립(11)을 회전시키면, 상기와는 역동작이 이루어져 봉상물이 퇴몰하게 되어 외통(6)내로 수납되게 된다.
다음에는 본 고안의 특징중 하나인 잔여필심 배출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제3도(a)는 호울더(15)와 슬라이더(20)가 최상위치점에 있을 때 즉 내통(8)내의 슬릿(12) 상단부에 슬라이더(20)가 위치해 있는 경우를 나타낸 것으로, 이 때에는 슬라이더(20)의 안내홈걸림돌기(21)가 호울더(15)의 안내홈(17)중 곡선부(16)에 있게 되어, 슬라이더(20)가 호울더(15)와 걸림관계를 유지하게 된다.
이어 계속 회전조작부(10)가 회전되어져 이들 슬라이더(20)와 호울더(15)가 전진해서 제3도(b)에 도시된 걸림해제위치에 도달하면, 슬라이더(20)의 안내홈걸림돌기(21)가 호울더(15)의 안내홈(17)중 곡선부(16)를 벗어나 안내홈(17)의 직선부로 들어가 걸림이 해제시켜기게 된다. 이때 호울더(15)의 슬릿걸림돌기(19)는 외통(8)의 직선형상 안내슬릿(12)의 앞쪽부위에 형성된 곡선형상 유도부(13)로 이동해서, 슬라이더(20)가 호울더(15)내를 전진하기 시작한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제3도(c)에 도시된 최하위치점에 도달하게 되면, 슬라이더(20)의 로드부(22)가 호울더(15)을 관통하기 때문에 호울더(15)에 지지되어진 봉상물이 완전히 배출되어 낙하하게 된다.
제4도 내지 제13도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이 실시예에서는 선구(25)가 내통(8)과 일체로 성형되어 있는 한편 내통(8)의 뒷끝이 개방되고서, 이 개방단에 뒤에 설명되는 것과 같은 형상의 회전조작부(101)가 끼워져 결합되도록 되어 있다. 즉, 안내슬릿(12)이 내통(8)의 축방향으로 형성되고서 이 안내슬릿(12)의 선구(25)쪽 앞쪽부위가 곡선형상을 한 유도부(13)로 되어 있는 바, 상기 안내슬릿(12)의 개방단에는 조작부(101)의 각부(102)가 끼워져 내통(8)의 뒷끝을 보강하도록 되어 있다.
또 상기 내통(8)의 안내슬릿(12)에는 슬릿걸림돌기(191)를 가진 중공의 호울더(151)가 이 슬릿걸림돌기(191)에 의해 내통(8)에 자유로이 미끄럼이동할 수 있도록 걸어맞춰지는 한편, 이 호울더(151)내에는 제7도 및 제8도에 도시된 것과 같이 양끝에서 조금 떨어진 위치에 정육각형의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바, 이 정육각형 구멍을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직경방향에서 보아 육각형의 각이 외주부분에 형성된 슬릿걸림돌기(191)의 중앙에 위치하도록 방향성을 갖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이 호울더(151)내에는 슬라이더(201)가 자유로이 미끄럼왕복이동할 수 있도록 삽입되어 있는 바, 이 슬라이더(201)는 앞쪽부위인 로드부(221)와 뒷쪽부위인 나선홈걸림돌기(241)을 가진 슬라이더본체(231)로 이루어져, 상기 나선홈걸림돌기(241)가 외통(6)의 내부에 형성된 나선홈(7)에 걸려지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슬라이더(201)도 또한 축방향으로 자유로이 왕복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이 슬라이더(201)는 제9도 및 제12도에 도시된 것과 같이 앞쪽부위인 로드부(221)가 단면이 육각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바, 즉 직경방향에서 보아 육각형의 변이 슬라이더(201)의 외주부분에 형성된 돌기(241)에 대응해서 위치하도록 방향성을 가지도록, 다시말해 호울더(151)의 육각형구멍과 방위를 달리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제2실시예 봉상물조출구는 다음과 같은 순서로 쉽게 조립될 수 있게 된다.
먼저 호울더(151)내의 축방향전체에 걸쳐 형성된 분할홈(152)을 벌려 슬라이더(201)의 앞쪽부위인 육각형 로드부(221)를 호울더 뒷쪽부위에 있는 구멍에다 삽입한다. 그렇게 되면, 이 호울더(151)의 양끝에서 조금 떨어진 위치에, 앞에서 설명된 것과 같이 로드부(221)의 육각형변과 각의 방위가 다른 단면 육각형상의 구멍(153)이 형성되어 있어서, 로드부(221)의 앞끝이 이 호울더부(151)의 육각형상구멍(153)과 일치하지 않기 때문에 이 육각형상구멍(153)의 주위에 닿게 되어, 그 이상 중공의 호울더(151)내를 전진하지 못하고 그곳에서 양자는 그 상태로 조립되게 된다.
다음, 이들 호울더(151)와 슬라이더(201)를 내통(8)의 뒷끝개구로 삽입한 다음, 외통(6)의 뒷끝에서 회전조작부(101)의 각부를 내통(8)의 슬릿(12)의 개방단에다 맞춰 끼워 밀어 넣어 회전조작부(101)를 부착시키려면 조립이 끝나게 된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봉상물을 호울더(151)에다 장전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호울더(151)에 분할홈(152)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봉상물의 외부형상에 약간의 오차가 있다 하더라도, 미리 호울더(151)의 내경을 조금 작게 해놓으면 분할홈(152)이 벌려져 쉽고 확실하게 봉상물이 봉상물호울더(151)에 장전될 수가 있게 된다.
다음에는 이 제2실시예의 동작을 제13도로 도시된 동작설명도에 의거 설명한다.
먼저, 미리 봉상물이 장전된 봉상물조출구 뒷끝의 조잡부(101)를 회전시키면, 슬라이더(201)과 호울더(151) 및 봉상물이 슬라이더(201)의 돌기(241)가 외통(6)의 내주부에 형성된 나선홈(7)을 따라 이동하게 되고, 이동에 따라 호울더(151)의 돌기(191)가 내통(8)에 형성된 안내슬릿(12)를 전진시키기 때문에 제13도(a)에 도시된 것과 같이 봉상물도 전진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 안내슬릿(12)은 상기와 같이 그 앞쪽부위에 곡선형상의 유도부(13)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호울더(151)의 돌기(191)가 이 유도부(13)에 도달하게 되면 호울더(151)가 회전하게 되어, 제13도(b)에 도시된 것과 호울더(151)의 육각형상구멍(153)과 슬라이더(201)의 육각형상을 한 로드부(221)가 일치시켜지게 되고, 그렇게 되면 지금까지 같이 호울더(151)에 걸려져 있던 슬라이더(201)의 걸림이 해제되어 슬라이더(201)의 로드부(221)가 호울더(151)를 관통하기 때문에 호울더(151)에 지지되어 있던 봉상물이 배출되게 된다.
제14도 내지 제18도는 본 고안의 제3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이 제3실시예가 상기 제2실시예와 다른 점은 선단캡(251)과 내통(8)이 별개체로 형성되어 있다는 점이다. 따라서 본 제3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에서의 나사결합구조를 취하지 않고 뒤에 설명되듯이 선단캡(215)의 구조가 특수한 간단한 끼움구조를 채용하고 있다.
즉, 제14도에서 알 수 있듯이, 내통(8)에 축방향으로 형성된 안내슬릿(12)의 폭이 앞쪽부위에서 한쪽이 넓혀져 넓은 폭유도부(131)를 이루도록 되어 있다.
제15도는 선단캡(251)의 단면도로서, 이 선단캡(251)의 뒷쪽부위 내주에는 내통(8)의 돌조(81)와 끼워맞춰지기 위한 환상홈(252)이 형성되어 있고, 또 이 선단캡(251)은 내통(8)의 안내슬릿(12)와 끼워맞춰지는 각부(253)을 갖추고 있어서, 이 각부(253)가 내통(8)의 안내슬릿(12)앞끝의 개방단에 걸어 맞춰짐으로써 이 부분의 구조를 보강함과 더불어 안내슬릿(12)의 곡선부를 형성하도록 되어 있다.
제16도 및 제17도는 슬라이더(202)를 도시한 것으로, 이 슬라이더(202)의 뒷쪽부위인 슬라이더본체(232)에는 절결된 탄성변형부(232)가 형성되어, 이 부분이 사용시 봉상물에 과대필압이 걸리게 되면 압축되어 변형시켜지게 되고, 그렇게 되면 슬라이더(232)가 구조상 가늘고 긴 로드부(221)와 폭이 넓은 슬라이더본체(232)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내통(8)에서 변형되어져 제18도에 점선으로 나타내어진 것과 같이 편위되어져, 슬라이더본체(232) 뒷끝의 모퉁이가 내벽면에 닿아 스토퍼기능을 하게 된다.
한편 본 제3실시예에서의 필심배출동작의 기본적동작으로 제2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상기 모든 실시에에 있어서, 내통(8)에 형성된 안내슬릿(12)의 숫자는 예컨대 내통(8)에 마주보도록 2개를 형성시켜 놓고, 또 이들 슬릿(12)은 모두 그 축방향 양끝이 폐쇄되게 되면 강도의 면에서 우수한 효과가 있게 되는 바, 이 경우 제1실시예에서는 분할홈(14)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호울더(15)와 슬라이더(20)가 내통(8)의 앞끝쪽으로부터 끼워지는 대신 안내슬릿(12)이 여러개 형성된 내통(8)의 옆쪽으로부터 안내슬릿(12)를 벌려 끼워넣으면 된다.
이상의 설명과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구조가 간단하고 조립하기가 극히 쉬우며, 조출조작성이 좋을 뿐만 아니라, 잔여필심이 자동적으로 배출되게 되는 봉상물조출구가 제공될 수 있게 된다

Claims (11)

  1. 내벽면에 나선홈(7)이 형성된 외통(6)의 내부에 뒷끝에 앞끝에 각각 회전조작부(10)와 선구(25,251)를 갖춤과 더불어 벽체에 축방향 안내슬릿(12)을 가진 내통(8)이 설치되고서, 이 내통(8)내에는 봉상물을 보유지지하는 호울더(15,151)와 이 호울더(15,151)를 상기 내통(8)에 형성된 안내슬릿(12)을 따라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외통(6)의 나선홈(7)에 걸어맞춰지는 나선홈걸림돌기(24,241)를 가진 슬라이더(20,201,202)를 구비하여 이루어진 봉상물조출구에 있어서, 상기 내통(8)에 형성된 안내슬릿(12)의 앞쪽부위가 경사방향으로 휘어진 유도부(13)로 형성되고, 상기 호울더(15,151)는 내부가 관통된 원통형상을 하고서 그 외주에 상기 내통(8)의 안내슬릿(12)에 걸어맞춰지는 슬릿걸림돌기(19)가 구비되며, 이 호울더(15,151)에 그 뒷부위가 경사방향으로 휘어진 곡선부(16)를 이루는 축방향으로 뻗은 안내홈(17)이 형성되는 한편 상기 슬라이더(20,201,202)에 상기 안내홈(17)에 걸어맞춰지는 안내홈걸림돌기(21)가 형성되어, 이를 안내홈(17)과 안내홈걸림돌기(21)가 걸림 및 걸림해제수단을 이루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상물조출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슬릿(12)의 유도부(13)의 앞끝이 절결되어 분할홈(14)을 이룸과 더불어, 상기 호울더(15)의 안내홈(17)의 곡선부(18)뒷끝도 절결되어 개방된(18)을 이루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상물조출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20)가, 앞쪽끝부위인 로드부(22)와 뒤쪽부위인 슬라이더본체(23)로 이루어지면서, 상기 안내홈걸림돌기(21)가 상기 로드부(22)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상물조출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구(25)가 상기 내통(8)의 앞끝에 일체적으로 형성되면서 상기 회전조작부(101)가 상기 내통(8)의 뒤끝에 끼워지고, 상기 중공의 호울더(151)내에 뒤끝에서 조금 떨어진 위치에 형성된 다각형상구멍(153)과 상기 슬라이더(201)에 이 호울더(151)의 다각형상구멍(153)과 같은 형상의 단면을 가진 로드부(221)에 의해, 상기 슬라이더(201)가 상기 호울더(151)에 조립될 때에는 상기 호울더(151)의 다각형상구멍(153)과 상기 슬라이더(201)의 로드부(221)의 다각형상단면이 각 다각형변과 모서리의 범위가 일치하지 않을 때에는 걸림수단으로 작용하여 슬라이더(201)가 호울더(151)에 걸려져 있다가, 상기 호울더(151)의 슬릿걸림돌기(191)가 상기 내통(8)의 안내슬릿(12)의 유도부(13)에 이르면 상기 호울더(151)가 회전해서 양 다각형의 변과 모서리가 걸림이 해제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상물조출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내통(8)의 안내슬릿(12) 뒷끝이 개방시켜진 개방단을 갖추고, 상기 회전조작부(101)에는 이 개방단에 끼워지는 각부(102)가 갖춰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상물조출구.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호울더(151)에 상기 슬라이더(20)가 삽입되기 위한 분할홈(15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상물조출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조작부(101)가 상기 내통(8)의 뒷끝에 일체적으로 설치되고, 상기 중공의 호울더(151)내의 뒷끝으로부터 약간 떨어진 위치에 다각형상구멍(153), 상기 슬라이더(20,202)에 이 다각형상구멍(153)과 마찬가지 단면을 한 로드부(221)가 갖춰지고서, 상기 슬라이더(202)가 상기 호울더(151)에 조립될때 상기 호울더(151)의 다각형상구멍(153)과 상기 슬라이더(202)의 다각형상로드부(221)의 각 다각형상단면이 각 다각형상변과 모서리부 일치하지 않는 방위를 이루도록 된 걸림수단에 의해 상기 슬라이더(202)가 호울더(151)에 걸려져 있다가, 상기 호울더(151)의 슬릿걸림돌기(191)가 상기 내통(8)의 안내슬릿(12)의 유도부(131)에 이르게 되면 상기 호울더(15)가 회전해서 양 다각형변과 모서리가 일치되어진 걸림해제수단에 의해 상기 슬라이더(202)와 호울더(151)의 걸림이 해제시켜지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상물조출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슬릿(12)의 유도부(131)가 한쪽이 넓혀진 넓은 폭부위를 갖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상물조출구.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선단캡(251)이 그 뒷끝에서부터 뒷쪽으로 연장시켜진 슬릿보강용 각부(253)를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상물조출구.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202)의 뒷쪽부위에 뒷쪽으로의 과대필압에 대해서 변형시켜지게 되는 변형부(233)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상물조출구.
  11. 제1항, 제4항 및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통(8)의 안내슬릿(12)이 복수개 형성되면서 이들 안내슬릿(12) 모두의 축방향 양끝이 폐쇄시켜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상물조출구.
KR2019960002082U 1993-09-14 1996-02-10 봉상물 조출구 KR96000519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02082U KR960005199Y1 (ko) 1993-09-14 1996-02-10 봉상물 조출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18403A KR950008167A (ko) 1993-09-14 1993-09-14 봉상물조출구
KR2019960002082U KR960005199Y1 (ko) 1993-09-14 1996-02-10 봉상물 조출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18403U Division KR950009637U (ko) 1993-09-14 1993-09-14 시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5199Y1 true KR960005199Y1 (ko) 1996-06-24

Family

ID=6682391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18403A KR950008167A (ko) 1993-09-14 1993-09-14 봉상물조출구
KR2019960002082U KR960005199Y1 (ko) 1993-09-14 1996-02-10 봉상물 조출구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18403A KR950008167A (ko) 1993-09-14 1993-09-14 봉상물조출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95000816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0368U (ko) * 2018-08-07 2020-02-17 송민교 색심 인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색연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0368U (ko) * 2018-08-07 2020-02-17 송민교 색심 인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색연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8167A (ko) 1995-04-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1664B1 (ko) 조출 펜슬
KR100339817B1 (ko) 회전식 봉상물 조출구
US6517271B1 (en) Double-chuck mechanical pencil
KR970003363Y1 (ko) 복합필기구
KR960005199Y1 (ko) 봉상물 조출구
KR100442761B1 (ko) 봉상물 조출구
KR910003018Y1 (ko) 액상체 필기 및 도포기구
US6543952B1 (en) Cosmetic material vessel and cosmetic material vessel cartridge
KR960005195Y1 (ko) 봉상물 조출구
US20040161284A1 (en) Stick type cosmetic material feeding container
EP0617905B1 (en) Stick-shaped piece drive container and stick-shaped piece supplying cassette
US20100061792A1 (en) Writing implement comprising elastic lamellae to prevent against twisting
US3196838A (en) Writing instrument
US5890827A (en) Bar extruding implement with ejector
US6557563B2 (en) Stick type cosmetic material feeding container
KR970003360Y1 (ko) 봉상물조출구
US2704532A (en) musser
US2624313A (en) Mechanical pencil and collet therefor
JP7068694B2 (ja) 回転式繰り出し機構
US5816727A (en) Cosmetics container
JP2007222422A (ja) 歯ブラシ
JP2001231628A (ja) 棒状化粧料繰り出し容器
KR900007188B1 (ko) 샤아프펜슬
JPS6222396Y2 (ko)
JP3221783B2 (ja) 棒状物繰り出し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