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5151Y1 - 절첩식 상자 - Google Patents

절첩식 상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5151Y1
KR960005151Y1 KR2019930024297U KR930024297U KR960005151Y1 KR 960005151 Y1 KR960005151 Y1 KR 960005151Y1 KR 2019930024297 U KR2019930024297 U KR 2019930024297U KR 930024297 U KR930024297 U KR 930024297U KR 960005151 Y1 KR960005151 Y1 KR 96000515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plates
fixed
support
b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2429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14187U (ko
Inventor
하옥자
Original Assignee
하옥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옥자 filed Critical 하옥자
Priority to KR2019930024297U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5151Y1/ko
Publication of KR95001418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418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515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5151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2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to form a container body, e.g. of tray-like form
    • B65D5/2085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to form a container body, e.g. of tray-like form the central panel having incisions defining foldable flaps hinged to its e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ing Frangible Articles (AREA)
  • Carton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절첩식 상자
제1도는 본 고안 실시예의 전개도.
제2도는 동 절첩상태를 보인 사시도.
제3도는 동 단면도.
제4도는 동 사용상태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저면판 11, 11' :전, 후면판
12, 12' : 양측면판 13, 13' : 고정판
14, 14' : 15, 15' : 지지판 30, 30' : 31, 31' ; 32, 32' ; 고정공
40, 40' : 41, 41' : 받침편 50, 50' ; 51, 51' : 52, 52' : 고정편
60, 60' : 61, 61' : 고정홈 70, 70' : 제1받침편
71, 71' : 제2받침판
본 고안은 절첩식 상자에 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포도나 딸기등과 같은 과실류를 소량으로 포장하여 운반 및 판재하는데 적함하며 상부가 개방되게 함으로써 개봉하지 않고도 내용물의 품질상태를 판별할 수 있게 한 절첩식 상자에 대한 것이다.
종래의 이러한 과실류 포장상자는 접착테이프나 스테이플을 사용하여 각면판들을 부착 고정시켜 육면체 형태가 유지되게 상자를 형성하였다.
따라서, 그 부피가 크기 때문에 보관이나 운반시 많은 공간을 점유하게 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이런점에 의해 보관 및 취급하기가 매우 불편하고 번거로운 폐단도 있었다.
본 고안은, 종래의 이와 같은 점들을 감안하여 고안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좁은 공간에도 많은 양의 상자를 보관 및 운반할 수 있게 하여주는 접접식 상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사용시에는 누구나 즉석에서 간단히 절첩하여 상자를 형성할 수 있게 되는 절첩식 상자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이러한 목적들은 보관 및 운반시에는 전개 상태로 두며, 사용시에는 즉석에서 각 부분을 절첩하여 결합시켜 주기만 하면 간단히 육면체의 상자가 형성되게 한 절첩식 상자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되는데, 이 절첩식 상자는 저면판과 그 4주면에 수직으로 상향 절곡토록 연결된 정, 배면판 및 양측면판들을 갖추고 있다.
또한, 정, 배면판의 양측단부에는 지지판들이 전후 단부에는 고정판들이 각각 내측으로 절곡시킬 수 있게 연결되어 있고, 양측면판의 외단부에는 받침판들이 2단으로 절곡시킬 수 있게 연결되어 있다.
또, 저면판의 4주면에는 고정공들이 구비되어 있고, 각 지지판들과 고정판들에는 고정공에 끼워 고정하는 고정편들이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을 위한 절첩시에는 저면판을 평면으로 하여, 점, 배면과 양측면판들을 수직으로 세워준 다음 지지판과 고정판들을 순차적으로 절곡시켜 줌과 동시에, 각 고정편들을 고정공에 끼워 고정시켜주면 견고한 상태의 직육면체 상자가 형성되며, 또 받침판들을 2단으로 절곡시켜 주면 상부 양쪽에 받침대가 설치되는 상자를 얻게 되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고안 실시예에 의한 절첩식 상자의 전개 상태를 보인 것이다.
도면중 (10)은 저면판이며, 이 저면판의 4주면에는 저, 후면판(11)(11')과 양측면판(12)(12')들이 각각의 절곡선(20)(20'), (21)(21')들을 이용하여 수직으로 상향 절곡토록 연결되며, 절곡선(20)(20')의 안쪽위치 중간에는 고정공(30)(30')들이 설치되고, 절곡선(21)(21')의 안쪽위치 전, 후측에는 고정공(31)(31'), (32)(32')들이 설치된다.
전, 후면판(11)(11')들의 외단부 중간 위치에는 고정판(13)(13')들이 2열로 배선된 각각의 절곡선(22)(22')들을 이용하여 안쪽으로 180° 절곡토록 연결되며, 양측위치에는 받침편(40)(40'), (41)(41')들이 각각의 절곡선(23)(23'), (24)(24')들을 이용하여 절곡토록 연결된다.
또, 고정판(13)(13')들의 외단에는 고정공(30)(30')에 끼워 고정하는 고정편(50)(50')들이 설치된다.
또한, 전, 후면판(11)(11')들의 양쪽 단부에는 지지판(14)(14'), (15)(15')들이 각각의 절곡선(25)(25'), (26)(26')들을 이용하여 안쪽으로 절곡토록 연결된다.
이들 지지판의 내단에는 고정공(31)(31'), (32)(32')에 끼워 고정하는 고정편(51)(51'), (52)(52')들이 설치되며, 외단의 외측으로는 고정홈(60)(60'), (61)(61')들이 설치된다.
한편, 양측면판(12)(12')들의 외단부에는 제1받치판(70)(70')들이 절곡선(27)(27')을 이용하여 수평절곡토록 연결되며, 이들 제1받침편의 외단부에는 제2받침판(71)(71')들이 각기 2열로 배선된 절곡선(28)(28')을 이용하여 180° 절곡토록 연결된다.
이들 제2받침판의 외단에는 고정홈(60)(60'), (61)(61')에 걸어지는 고정편(53)(53')들이 설치된다.
제2도는 본 고안 실시예에 의한 절첩식 상자의 절첩과정을 보인 사시도이다.
사용을 위한 절첩시에는 저면판(10)을 평면으로 하여 전, 후면판(11)(11')들을 수직으로 상향 절곡하면서, 그 양측의 지지판(14)(14'), (15)(15')들을 각기 안쪽으로 90° 절곡시켜 내단의 각 고정편(51)(51'), (52)(52')들을 각각의 고정공(31)(31'), (32)(32')에 끼워 고정한다.
다음 각 고정판(13)(13')을 안쪽으로 180° 절곡시켜 그 외단에 설치된 고정편(50)(50')을 각기 고정공(30)(30')에 끼워 고정한다. (제3b도 참조)
이렇게하면, 전, 후면판(11)(11')과 지지판(14)(14'), (15)(15')들은 저면판(10)을 평면으로 하여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고정되며, 동시에 고정홈(60)(60')과 고정홈(61)(61')들은 각각 하나로 연결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받침편(40)(40'), (41)(41')들을 각기 수평으로 절곡하고 양측면판(12)(12')을 수직으로 상향 절곡하여 이들 양측면판이 지지판(14)(14'), (15)(15')들을 외측에서 감싸주게한 다음 제1받침판(70)(70')들은 수평절곡하고, 제2받침판(71)(71')들은 180° 절곡시켜 이들 제1, 2받침판이 받침편(40)(40'), (41)(41')들의 상, 하면을 감싸주게 함과 동시에 고정편(53)(53')들을 하나로 연결된 각각의 고정홈(60)(60'), (61)(61')에 끼워 걸어 고정시켜 준다 (제3a도 참조).
이와 같은 방법으로 절첩하는 본 고안 실시예에 의한 절첩식 상자는 고정판(13)(13')의 고정편(50)(50')과 지지판(14)(14'), (15)(15')들의 고정편(51)(51'), (52)(52')들에 의해 전,후면판(11)(11')은 세워진 상태에서 단단히 고정되고, 또 받침편(40)(40'), (41)(41')들을 제1, 2받침판(70)(70'), (71)(71')들이 감싸주게됨과 동시에 제2받침판에 설치된 고정편(53)953')이 고정홈(60)(60'), (61)(61')에 걸어 고정됨으로써 각 부분이 서로 완강히 결합 고정되기 때문에 접착테이프나 스테이플을 사용하지 않고도 단단한 상자(B)을 얻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제4도는 이와 같이 절첩 형성된 상자(B)의 상용상태를 보인 것으로서, 사용시에는 포도(g) 등과 같은 과실류를 소량씩 담아 큰 상자(B')에 여러개를 넣어 포장하여 보관 및 운반하면 된다. 이때, 상자(B) 위에 다른 상자를 얹게 되면 이들 상자의 상면 양측에는 제1, 2받침판(70)(70'), (71)(71')이 상하로 걸쳐지게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이들에 의해 상자(B)가 눌려지는 것이 방지되어 포장물풀이 안전하게 된다. 한편, 판매시에는 상자(B)를 하나씩 꺼내 그대로 판매할 수도 있게 되므로 별도로 포장할 필요가 없어 매우 편리하다.
이와 같이 사용되는 본 고안 절첩식 상자는 전개상태로 보관 및 운반하므로 보관 및 취급이 매우 편리하며, 사용시에는 누구나 즉석에서 절첩하면 접착 테이프나 스테이플을 사용하지 않고도 간단히 견고한 상자를 얻게 되는 등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1)

  1. 저면판(10)과, 이 저면판의 4주면에 상향 절곡토록 연결된 전, 후 및 양측면판(11)(11'), (12)(12')들, 전, 후면판(11)(11')의 외단부 중간위치에 안쪽으로 180° 절곡토록 연결된 고정판(13)(13')들과 이들 고정판의 양쪽에 위치되게 외단부 양측에 수평으로 절곡토록 연결된 받침편(40)(40'), (41)(41')들, 전, 후면판(11)(11')의 양쪽단부에 안쪽으로 절곡토록 연결된 지지판(14)(14'), (15)(15')들 및 양측면판(12)(12')들이 외단부에 수평으로 절곡토록 연결된 제1받침판(70)(70')들과, 이들 제1받침판의 외단부에 연결되어 안쪽으로 180°절곡토록 된 제2받침판(71)(71')들, 저면판(10)의 4주면 전, 후측 중간위치에 설치된 고정공(30)(30')과 양측의 전, 후 위치에 설치된 고정공(31)(31'), (32)(32')들 및 고정공(30)(30')에 끼워 고정토록 고정판(13)(13')의 외단에 설치된 고정편(50)(50')과 고정공(31)(31'), (32)(32')에 끼워 고정토록 지지판(14)(14'), (15)(15')의 각 내단에 설치된 고정편(51)(51'), (52)(52')들, 지지판(14)914'), (15)(15')의 각 외단 외측에 설치된 고정홈(60)(60'), (61)(61')과 이들 고정홈에 끼워 고정토록 제2받침판(71)(71')의 외단에 설치된 고정편(53)(53')들을 구비하여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상자.
KR2019930024297U 1993-11-18 1993-11-18 절첩식 상자 KR96000515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24297U KR960005151Y1 (ko) 1993-11-18 1993-11-18 절첩식 상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24297U KR960005151Y1 (ko) 1993-11-18 1993-11-18 절첩식 상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4187U KR950014187U (ko) 1995-06-16
KR960005151Y1 true KR960005151Y1 (ko) 1996-06-22

Family

ID=193681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24297U KR960005151Y1 (ko) 1993-11-18 1993-11-18 절첩식 상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515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86940B1 (ko) * 1997-12-30 2001-04-16 김순택 능동발광형액정표시소자의백라이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8986B1 (ko) * 2000-08-11 2003-09-26 노영환 상품 진열용 박스의 조립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86940B1 (ko) * 1997-12-30 2001-04-16 김순택 능동발광형액정표시소자의백라이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4187U (ko) 1995-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54652A (en) Dual voting booth package
KR960005151Y1 (ko) 절첩식 상자
US3467245A (en) Shock absorbing package and display member
US20060131371A1 (en) Exhibiting package with minimum amount of material
KR20090000631U (ko) 과일상자.
JP3406901B2 (ja) 包装容器
JPH05254536A (ja) 果物の輸送・展示用箱
JP3059067U (ja) 瓶用蓋付組立紙箱
JP3045756U (ja) アイアンクラブセット用箱
KR970003258Y1 (ko) 포장용 상자
KR200159372Y1 (ko) 포장용 상자
KR950000629Y1 (ko) 절첩식 상자
JPS641221Y2 (ko)
JPS581473Y2 (ja) 陳列台兼用移送保管箱
JP2000103426A (ja) 吊り手付包装箱
JPS6240899Y2 (ko)
KR200235873Y1 (ko) 과일 포장상자
KR200345027Y1 (ko) 수납박스의 트레이형 포장구조
JP3107369U (ja) アイアンクラブセット用箱
JPH0513923U (ja) 果物の展示及び搬送箱
WO2008120969A1 (en) A collapsible carton
JP2566422Y2 (ja) 切花用ケース
KR200345026Y1 (ko) 수납박스의 트레이형 포장구조
JPS5940263Y2 (ja) 展示兼用包装函
JPS5845225Y2 (ja) デイスプレ−兼用商品収納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