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5026Y1 - 수납박스의 트레이형 포장구조 - Google Patents

수납박스의 트레이형 포장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5026Y1
KR200345026Y1 KR20-2003-0039096U KR20030039096U KR200345026Y1 KR 200345026 Y1 KR200345026 Y1 KR 200345026Y1 KR 20030039096 U KR20030039096 U KR 20030039096U KR 200345026 Y1 KR200345026 Y1 KR 20034502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box body
storage box
plate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909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혜 숙 김
Original Assignee
혜 숙 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혜 숙 김 filed Critical 혜 숙 김
Priority to KR20-2003-003909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502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502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5026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36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specially constructed to allow collapsing and re-erecting without disengagement of side or bottom connections
    • B65D5/3607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specially constructed to allow collapsing and re-erecting without disengagement of side or bottom connection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a single blan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4Integral, inserted or attached portions forming internal or external fittings
    • B65D5/46Handles
    • B65D5/46008Handles formed separately from the container bod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4Integral, inserted or attached portions forming internal or external fittings
    • B65D5/52External stands or display elements for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64Lids
    • B65D5/68Telescope flanged l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t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수납박스의 트레이(Tray) 포장 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수납박스의 덮개를 사전에 접어서 조립한 상태에서 그 조립된 덮개의 내부에 박스본체를 수납하여 포장함으로서, 매장 디스플레이에 있어서 깨끗하고 정돈되고 적은 공간에 많은 수의 수납박스를 보관하고 관리할 수 있는 전시 효과와 운반 및 관리에 있어서 편의성을 항상 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수납박스의 트레이형 포장 구조는, 물건을 넣어서 보관할 수 있는 사각의 공간을 형성하고 양측면상에 손잡이 구멍이 형성되며 바닥판과 측면판 그리고 전후면판을 구비하는 박스본체판재와, 상기 박스본체판재의 상부에 안착되어 덮개를 형성하는 덮개판재와, 상기 박스본체판재에 조립되는 손잡이를 포장지로 포장하는 포장구조에 있어서, 상기 덮개판재를 수납박스의 덮개가 될 수 있도록 조립하여 수납박스의 덮개를 구성하고, 상기 덮개의 안쪽면에 박스본체판재의 바닥판을 중심으로 전후면판을 각각 접고, 상기 측면판을 바닥판의 중심을 향하여 각각 안쪽으로 접어서 상기 조립된 덮개의 빈 공간에 손잡이와 함께 넣어 덮개를 트레이로 하여 포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수납박스의 트레이형 포장구조 {Tray Packing Type Collection Box}
본 고안은 수납박스의 트레이(Tray) 포장 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수납박스의 덮개를 사전에 접어서 조립한 상태에서 그 조립된 덮개의 내부에 박스본체를 수납하여 포장함으로서, 매장 디스플레이에 있어서 깨끗하고 정돈되고 적은 공간에 많은 수의 수납박스를 보관하고 관리할 수 있는 전시 효과와 운반 및 관리에 있어서 편의성을 항상 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의류나 완구 및 기타 잡기류 등을 실내에서 보관하기 위해 사용되는 가장 일반적인 수납박스(10)는 도 1과 같이, 물건을 넣어 보관할 수 있는 일정 부피의 공간(11)을 갖는 사각형상의 박스본체(12)와, 박스본체(12)의 상부에 결합되어 박스본체(12)의 상부를 개폐하는 사각형상의 덮개(13)의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박스본체(12)를 손으로 잡을 수 있게 양쪽에는 손잡이(14)를 구비한다.
도 1과 같은 수납박스(10)의 사용법은 먼저, 박스본체(12)에 마련된 빈 공간(11)에 보관대상 물건을 넣고 덮개(13)를 박스본체(12)의 상부에 덮어 씌워 물건을 수납박스(10)에 담아서 보관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육면체의 사각박스로 된 수납박스(10)로 조립하기 전의 상태 즉, 종이로 된 조립전 부품의 전개 상태는 도 2의 (a)(b)(c)와 같다.
주요부분은, 물건을 넣어서 보관할 수 있는 사각의 공간을 형성하고 양측면부에 손잡이 구멍(15)이 형성된 박스본체판재(12a)와, 상기 박스본체판재(12a)의 상부에 안착되어 덮개를 형성하는 덮개판재(13a)와, 상기 박스본체판재(12a)에 조립되는 손잡이(14)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조립전 상태는 이와 같이박스본체판재(12a), 덮개판재(13a) 그리고 손잡이(14)로 구분되는 세 가지의 부품상태를 이루며, 포장상태는 도 3과 같이 너비와 폭이 가장 길고 넓은 박스본체판재(12a)를 하부에 놓은 뒤 그 위에 덮개판재(13a)를 올려 놓고 손잡이(14) 부품을 적당한 위치에 놓아 비닐필름 등의 포장지(16)로 포장 하거나 끈 등으로 묶어서 포장한다.
이 같은 수납박스(10)는 보통 종이재로 제작되어 펼쳐진 채로 포장되어 매장에서 판매되고, 구입한 최종 소비자가 조립하여 사용하도록 되어 있으며, 보통 정리함이라는 품목으로 판매되고 있다.
수납박스(10)를 펼쳐진 채로 포장 판매하는 이유는 여러 가지를 들 수 있으나 가장 큰 이유는 사각박스 형태로 접어서 판매될 경우 또는, 제조자가 수납박스를 사각박스로 완성하여 공급할 경우, 그 부피가 크고 관리하기도 어려울뿐더러 그에 따른 다른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수납박스의 조립은 소비자가 하게 하면서 가능하면, 조립을 쉽고 간편하게 하고 견고한 조립이 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다양한 기술들이 소개되어 있다.
그러나, 제조자가 판매처 또는 소비자에게 공급하는 조립전 수납박스는, 도 2와 같이 두 부분(part) 또는 그 이상의 개수의 판상형 조각(piece)들로 공급됨으로서, 관리가 어렵고 조립도 불편할뿐더러 조립전 분실의 문제도 있었다.
특히, 매장의 판매대에 보관되는 매장 디스플레이 보관에서는 그 포장 상태가 부피가 지나치게 크고 또한 여러장을 겹치고 묶은 형태이므로, 전시가 불편하여 매장 관리를 어렵게 하고 공간을 많이 차지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또한 혼잡한포장에 의해 포장을 뜯어 조립할 때도 조립을 어렵게 하는 문제점이 있었고, 손잡이 등의 작은 부품의 분실도 잦은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매장에서 간편하게 보관할 수 있는 수납박스의 트레이형 포장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수납박스를 쉽고 간편하게 조립할 수 있게 하는 수납박스의 트레이형 포장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수납박스를 덮개의 공간상에 수납된 형태로 보관하도록 함으로서 조립 부품의 분실을 방지할 수 있는 트레이형 포장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수납박스의 트레이형 포장 구조는, 물건을 넣어서 보관할 수 있는 사각의 공간을 형성하고 양측면상에 손잡이 구멍이 형성되며 바닥판과 측면판 그리고 전후면판을 구비하는 박스본체판재와, 상기 박스본체판재의 상부에 안착되어 덮개를 형성하는 덮개판재와, 상기 박스본체판재에 조립되는 손잡이를 포장지로 포장하는 포장구조에 있어서,
상기 덮개판재를 수납박스의 덮개가 될 수 있도록 덮개판재를 덮개로 사전 조립하여 덮개를 구성하고,
상기 덮개의 안쪽면에 박스본체판재의 바닥판을 중심으로 전후면판을 각각 접고, 상기 측면판을 바닥판의 중심을 향하여 각각 안쪽으로 접어서 상기 조립된 덮개의 빈 공간에 손잡이와 함께 넣어서 덮개를 트레이로 하여 포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렇게 조립전 수납박스의 포장을 덮개를 통한 트레이형식으로 포장하면, 제조자가 판매처 또는 소비자에게 공급하는 몇 개의 판재들을 모두 덮개에 수납한 상태로 공급할 수 있으므로 조립도 쉬워지고 판재나 손잡이등의 조립전 분실 가능성도 없으며, 매장의 판매대에 보관되는 매장 디스플레이 보관에서는 포장 상태가 적은 부피를 유지하여 공간 이용도나 전시 미관을 저해시키지 않는 등 매장 관리에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덮개형 수납박스 분해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덮개형 수납박스의 단품도로서 (a)는 덮개판재 전개도 (b)는 박스본체판재 전개도 (c)는 손잡이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종래의 수납박스 포장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수납박스의 포장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수납박스의 포장 상태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수납박스 포장 상태의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수납박스 31:손잡이구멍
32:바닥판 33:양측면판
34:전후면판 35:박스본체판재
36:덮개판재 37:손잡이
38:덮개 39:포장지
40:공간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를 도면을 참고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수납박스의 트레이형 포장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포장순서의 참고도 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수납박스의 트레이형 포장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수납박스의 트레이형 포장구조의 참고 단면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수납박스의 트레이형 포장 구조는, 도 4 내지 도 6과 같이, 물건을 넣어서 보관할 수 있는 사각의 공간을 형성하고 양측면상에 손잡이 구멍(31)이 형성되며 바닥판(32)과 양측면판(33) 그리고 전후면판(34)을 구비하는 박스본체판재(35)와, 상기 박스본체판재(35)의 상부에 안착되어 덮개를 형성하는 덮개판재(36)와, 상기 박스본체판재(35)에 조립되는 손잡이(37)를 함께 정렬하여 포장지(39)로 포장하는 포장구조로 이루어진다.
더 구체적으로는, 덮개판재(36)를 수납박스(30)의 덮개가 될 수 있도록 덮개판재(36)를 조립하여 덮개(38)를 구성하고, 그 덮개(38)의 안쪽면에 박스본체판재(35)의 바닥판(32)을 중심으로 전후면판(34)을 각각 접고, 그 위에 양측면판(33)을 바닥판(32)의 중심을 향하여 각각 안쪽으로 접어서 조립된 덮개(38)의 빈 공간(40)에 손잡이(37)와 함께 넣어서 덮개(38)를 트레이로 하여 포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덮개(38)에 수납되어 포장되는 박스본체판재(36)의 바닥판(32)이 덮개(38)의 개방면에 놓이도록 상부에 위치하고, 양측면판(33)은 좌우 대칭으로 덮개(38)의 빈 공간(40)에 안착되며, 그 사이에 손잡이(37)를 안착시킨 포장 구조로 할 수 있다.
또한, 위와 같이 박스본체판재(36)의 바닥판(32)이 덮개(38)에 안착되고 그 이면이 되는 양측면판(33)이 상부에 위치하며, 박스본체판재(35)의 바닥판(32)과 양측면판(33) 사이에 손잡이(37)를 안착시킨 포장 구조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수납박스의 트레이형 포장구조는, 제조자가 수납박스의 포장을 덮개를 통한 트레이형식으로 포장할 수 있으므로, 제조자가 판매처 또는 소비자에게 공급하는 몇 개의 판재들을 모두 덮개에 수납한 상태로 공급할 수 있으므로, 조립할 때 덮개로부터 판재를 꺼내서 조립 할 수 있고, 덮개가 조립된 상태이므로, 조립도 쉬워지고 판재나 손잡이 등의 조립전 분실 가능성도 없으며, 매장의 판매대에 보관되는 매장 디스플레이 보관에서는 포장 상태가 미려하면서도 작아져 공간 이용도나 전시 미관을 저해시키지 않는 등 판매처에서의 매장 관리도 쉬워 지는데, 그 포장 구조 및 순서를 도 4 내지 도 6을 참고로 설명하면 다음과같다.
본 고안에 따른 수납박스의 트레이형 포장 구조는, 도 4 내지 도 6과 같이, 물건을 넣어서 보관할 수 있는 사각의 공간을 형성하고 양측면상에 손잡이 구멍(31)이 형성되며 바닥판(32)과 양측면판(33) 그리고 전후면판(34)을 구비하는 박스본체판재(35)와, 상기 박스본체판재(35)의 상부에 안착되어 덮개를 형성하는 덮개판재(36)와, 상기 박스본체판재(35)에 조립되는 손잡이(37)를 함께 정렬하여 포장지(39)로 포장하는 포장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도 4는 포장상태 전개도 이고, 도 5 및 도 6은 덮개(38)의 빈 공간(40)에 안착된 박스본체판재(35)의 바닥판(32)이 상부로 향한 상태의 포장상태이다. 여기서 손잡이(37)는 바닥판(32)과 전후면판(34) 및 양측면판(33)의 사이에 수납되어 있다.
이와 같은 포장 구조는, 도 4와 같이 먼저 덮개(38)를 조립하고 난 뒤, 박스본체판재(35)의 전후면판(34)을 먼저 접고 다시 양측면판(33)을 안쪽으로 접어넣고 이와 동시에 손잡이(37)를 양측면판(33)의 안쪽으로 넣어 덮개(38)에 마련된 빈 공간(40)에 안착시키고 비닐필름과 같은 포장지(39)로 둘러쌓으면 포장이 완료된다. 도 4를 기준으로 하는 포장 상태는 덮개(38)로부터 양측면판(33)이 상부에 위치한다.
이에 대하여 도 5는 덮개(38)의 상부쪽으로 박스본체판재(35)의 바닥판(32)이 상부로 보이는 상태이다. 도 6은 도 5의 단면도로서, 이와 같이 덮개(38)의 상부쪽으로 바닥판(32)이 보이도록 하고 그 안쪽으로 양측면판(33)이 위치하며 손잡이(37)를 넣어서 포장지(39)로 포장한 상태를 나타낸다.
어느 것이나 잘 정돈된 상태를 나타낸다. 즉 전체 길이나 너비는 전체 덮개(38)의 길이와 너비를 벗어나지 않고 모두 덮개(36)에 수납된 상태를 보임으로서, 이때 덮개는 포장을 위한 트레이의 기능을 한다.
덮개(38) 내부에 수납된 상태로 접혀져서 포장되는 박스본체판재(35)와 부속품에 해당하는 손잡이(37)는 외부 전체를 포장지(39)로 감쌓아 포장함으로서 분실이나 이탈이 방지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조립전 수납박스의 포장을 덮개를 통해 포장함으로서, 제조자가 판매처 또는 소비자에게 공급하는 몇 개의 판재들을 모두 덮개에 수납한 상태로 공급할 수 있으므로 조립도 쉬워지고 판재나 손잡이등의 조립전 분실 가능성도 없으며, 매장의 판매대에 보관되는 매장 디스플레이 보관에서는 포장 상태가 적은 부피를 유지하여 공간 이용도나 전시 미관을 저해시키지 않는 등 매장 관리에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Claims (2)

  1. 물건을 넣어서 보관할 수 있는 사각의 공간을 형성하고 양측면상에 손잡이 구멍이 형성되며 바닥판과 측면판 그리고 전후면판을 구비하는 박스본체판재와, 상기 박스본체판재의 상부에 안착되어 덮개를 형성하는 덮개판재와, 상기 박스본체판재에 조립되는 손잡이를 포장지로 포장하는 포장구조에 있어서,
    상기 덮개판재를 수납박스의 덮개가 될 수 있도록 조립하여 수납박스의 덮개를 구성하고,
    상기 덮개의 안쪽면에 박스본체판재의 바닥판을 중심으로 전후면판을 각각 접고, 상기 측면판을 바닥판의 중심을 향하여 각각 안쪽으로 접어서 상기 조립된 덮개의 빈 공간에 손잡이와 함께 넣어 덮개를 트레이로 하여 포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박스의 트레이형 포장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에 수납되어 포장되는 박스본체판재의 바닥판이 덮개의 개방면에 놓이도록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양측면판은 좌우 대칭으로 덮개의 빈 공간에 안착되며, 그 사이에 손잡이를 안착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박스의 트레이형 포장 구조.
KR20-2003-0039096U 2003-12-15 2003-12-15 수납박스의 트레이형 포장구조 KR20034502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9096U KR200345026Y1 (ko) 2003-12-15 2003-12-15 수납박스의 트레이형 포장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9096U KR200345026Y1 (ko) 2003-12-15 2003-12-15 수납박스의 트레이형 포장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5026Y1 true KR200345026Y1 (ko) 2004-03-18

Family

ID=494267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9096U KR200345026Y1 (ko) 2003-12-15 2003-12-15 수납박스의 트레이형 포장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502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94256B1 (ko) 서랍형 포장박스
RU2373815C2 (ru) Раздаточные устройства для съедобных изделий и способы их получения и использования
US20070193922A1 (en) Clear window packaging
JP2013525210A (ja) 履物のための搬送用及び/または販売用ボックスとバッグとを備えるシステム
JP2018535152A (ja) 消費財用のパック
JP2002326623A (ja) 包装箱
KR20080006060A (ko) 손잡이를 구비하는 포장용 상자
KR200345026Y1 (ko) 수납박스의 트레이형 포장구조
KR101521454B1 (ko) 적층 및 진열이 용이한 포장박스
KR200345027Y1 (ko) 수납박스의 트레이형 포장구조
JP2007302324A (ja) 手提げ包装容器
KR200381438Y1 (ko) 식품포장용 종이상자
JP3121163U (ja) 鏡餅用包装箱及びそれを用いた鏡餅包装体
US20070158235A1 (en) Packaging device
JPS5933806Y2 (ja) 複数トレ−付容器
KR20140019180A (ko) 포장용 상자
JP3575246B2 (ja) 乾電池集積包装体
JP4419277B2 (ja) 紙製包装用箱
JPH0635939Y2 (ja) 包装箱
KR200185914Y1 (ko) 다목적 종이상자
JP2008150118A (ja) 梱包装置
KR200298699Y1 (ko) 초콜릿스틱바용 진열 및 판매 랙
JP3188022U (ja) 包装箱
AU2006202240A1 (en) Enclosure assembly and method
JPH0610121U (ja) 展示用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071210

Effective date: 20080627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071205

Effective date: 20080731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71109

Effective date: 20080731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INVALIDATION

Free format text: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080905

Effective date: 20090122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80905

Effective date: 2009012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