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4870B1 - 1,1,1,2-테트라플루오로에탄의 정제방법 - Google Patents

1,1,1,2-테트라플루오로에탄의 정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4870B1
KR960004870B1 KR1019930015199A KR930015199A KR960004870B1 KR 960004870 B1 KR960004870 B1 KR 960004870B1 KR 1019930015199 A KR1019930015199 A KR 1019930015199A KR 930015199 A KR930015199 A KR 930015199A KR 960004870 B1 KR960004870 B1 KR 9600048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talyst
crude
seconds
tetrafluoroethane
contact ti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151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03902A (ko
Inventor
슈미날 베르나르
랑쯔 앙드레
Original Assignee
엘프 아토켐 에스.에이.
쟝 르블랑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프 아토켐 에스.에이., 쟝 르블랑제 filed Critical 엘프 아토켐 에스.에이.
Publication of KR9400039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39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48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4870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17/00Preparation of halogenated hydrocarbons
    • C07C17/38Separation; Purification; Stabilisation; Use of additives
    • C07C17/395Separation; Purification; Stabilisation; Use of additives by treatment giving rise to a chemical modification of at least one compound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17/00Preparation of halogenated hydrocarbons
    • C07C17/093Preparation of halogenated hydrocarbons by replacement by halogens
    • C07C17/20Preparation of halogenated hydrocarbons by replacement by halogens of halogen atoms by other halogen atoms
    • C07C17/202Preparation of halogenated hydrocarbons by replacement by halogens of halogen atoms by other halogen atoms two or more compounds being involved in the reaction
    • C07C17/206Preparation of halogenated hydrocarbons by replacement by halogens of halogen atoms by other halogen atoms two or more compounds being involved in the reaction the other compound being HX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19/00Acyclic saturated compounds containing halogen atoms
    • C07C19/08Acyclic saturated compounds containing halogen atoms containing fluorine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523/00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7C2521/00
    • C07C2523/16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7C2521/00 of arsenic, antimony, bismuth, vanadium, niobium, tantalum, polonium, chromium, molybdenum, tungsten, manganese, technetium or rhenium
    • C07C2523/24Chromium, molybdenum or tungsten
    • C07C2523/26Chromium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Catalysts (AREA)
  • Low-Molecular Organic Synthesis Reactions Using Catalys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1,1,1,2-테트라플루오로에탄의 정제방법
본 발명은 플루오르화 탄화수소의 분야에 관한 것이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1,1,1,2-테트라플루오로에탄의 정제에 관한 것이다.
당분야에 F134a라는 이름으로 공지된 이 화합물은, 특히 현재 냉동유체로서 사용되나 성층권의 오존층을 고갈시키는 것으로 예상되는 디클로로디플루오로메탄(F12)을 대체할 것으로 의도되고 있다. 이를 실행하기 위하여, F134a는 클로로플루오르화 올레핀과 같은 주요 독성 불순물의 존재에 대한 품질기준을 만족시켜야만 한다. 이들은 특히 비점이 -17.7℃ 이어서 단순한 증류에 의해서, 특히 가압하에서, F134a(비점=-26.5℃)로부터 완전히 제거하기가 아려운 것으로 증명된 1-클로로-2,2-디플루오로에틸렌(F1122)을 포함한다.
현재, F134a의 공업적 합성 방법의 하나는 데히드로플루오르화 부반응에 의해 부생성물로서 F1122를 가변적인 양으로 항상 생성시키는, 1-클로로-2,2,2-트리플루오로에탄(F133a)의 기체상 촉매 플루오르화로 구성된다.
이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다양한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 즉, 미합중국 특허 제4,158,675호는 주반응 : F133a+HFF134a+HCl로부터 생성되는 기체를 주반응의 반응기 온도보다 낮은 온도로 유지되는 두번째 반응기내에서 반응시키는 것으로 구성되는 인-라인(in-line) 처리 방법을 기술한다. 160℃에서의 인-라인 처리는 유기 화합물에 대한 그의 F1122 함량이 5300vpm(volume per million)인 기체 혼합물로부터, 7vpm의 F1122값을 유도한다. 이 방법의 주요한 단점은 상당한 기체 유량을 처리해야할 필요성으로 인하여 반응 부피가 커지게 되어 바람직하지 못한 투자와 유지 비용을 야기시킨다는 것이다. 또한, 촉매(벌크 산화 크로뮴)의 라이프 타임이 언급되어 있지 않아서, 촉매 활성의 손실을 보충하기 위하여, HCl과의 반응에 의한 F134a의 F133a로의 부분적 열화라는 갑작스런 결과를 야기할 수 있는 점진적인 온도의 증가가 필수적인 것으로 입증될 수 있다. 또한, 기체내 HCl의 존재는 또한 부식 문제를 야기할 수 있는 위험을 갖는다.
특허 출원 EP 0,467,531은 HF/F134a/F1122 공비 혼합물을 증류하기 위한 방법을 기술한다. 이 방법의 복잡성과 요구되는 고에너지 소비로 이것은 별로 이로운 방법이 못된다.
특허 출원 EP 0,446,869호에 기재된 또다른 방법은 일렬로 배열된 두개의 반응기 내에서 기체상인 트리클로로에틸렌 및 HF로부터의 F134a의 합성을 실행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먼저, F133a는 고온에서 F1122을 수반하는 F134a로 전환되고 ; 첫번째 반응기를 떠나는 이 유체에 트리클로로에틸렌이 첨가되고, 이 유체는 트리클로로에틸렌 및 F1122를 F133a로 전환시키기 위해 저온에서 두번째 촉매 반응기를 통과하게 된다. 그러한 방법의 주요 단점은 한편으로는, 반응에 의해 생성되는 열을 제거해야 하는 것과, 다른 한편으로는, 매우 낮은 F1122값을 달성하기 위하여 긴 접촉시간동안 반응을 강제로 실행해야 하는 것에 의해 제한되는 두번째 반응기의 낮은 생산성에 있다. 이 기술의 또 다른 단점은 온도가 높게 상승되자마자 HCl 존재하에 F134a가 F133a로 열화될 수 있는 위험이 있다는 것이다. 온도를 완전하게 조정하기 위한 강제 실행은, 평형 반응 : F133aHF+F1122가 HF/F1122몰비에만 의존하는 것이 아니라 온도 및 압력에도 또한 의존하기 때문에 비전환 F1122의 출현 위험을 야기한다. 이런 점에 있어서, HF의 (클로로)플루오르화 올레핀으로의, 특히 순수 F1122로의 촉매적 첨가(실시예 4)와 관련된, 특허 EP 36123을 언급할 수 있으며, 3의 조절된 온도(120 내지 131℃)에서의 플루오르화는 비전환 F1122가 반응기 출구에 잔류하게 한다.
올레핀을 제거하기 위한 또다른 방법으로서, 하기를 언급할 수 있다 :
-촉매적 수소화(특허 출원 WO 90/08750) : 이 방법은 값비싼 촉매(귀금속)을 필요로하며 연속적으로 분리되어야 할 F133a 이외의 수소화 포화 화합물을 유도하고 , 또한, 수소는 항상 소량의 F134a를 증기압에 의해 포집한다.
-망간 및 구리 산화물 혼합물(hopcalite)에의 물리적 흡착 : 특허 출원 EP 370,688에 기재된 이 방법의 주요 단점은 사용후 이 고체 흡착제의 주기적인 재생을 필요로 한다는데 있으며 ; 이는 다소간의 선택적 흡착으로 인한 F134a의 손실과 재생 사이클시 올레핀의 높은 농도를 야기한다.
-적절한 용매(트리클로로에틸렌, 퍼클로로에틸렌등)를 사용하는 F134a/F1122 혼합물의 추출 증류(특허출원 EP 472,391) : 이 기술의 주요 단점은 장치의 복잡성(정제 용매를 재순환시키기 위한 추가의 증류 컬럼)과 높은 에너지 비용(연속 증발) 및 낮은 가공 효율에 있다.
상기 기술의 단점을 피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불포화 불순물을 함유하는 조 F134a를 정제하기 위한 매우 효율적이고 경제적인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HF/F134a 몰비가 0.05 내지 0.5인 조 F134a 및 HF의 기체상 혼합물을 기체상으로 염산 부재하에, 200 내지 380℃의 온도에서, 대기압 내지 2.5MPa의 압력에서, 플루오르화 촉매의 존재하에 처리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이 처리시, 플루오르화수소산은 F1122, 1,2,2-트리플루오로에틸렌(F1123) 및 1,1,1,4,4,4-헥사플루오로부텐(CF3CH=CHCF3)와 같은 (클로로)플루오르화 올레핀에 첨가되어 이들을 증류에 의해 분리 및/또는 재순환시키기 쉬운 포화 화합물로 전환시킨다.
조 F134a내에서, 올레핀계 불순물의 양은 F134A에 대하여 100 내지 10,000ppm(0.01 내지 1%)일 수 있고, 주로 500 내지 5,000ppm(0.05 내지 0.5%)이다. (클로로)플루오르화 올레핀 외에, 조 F134a는 또한 다양한 양의 기타 화합물, 예컨대 예를들면, F133a(0 내지 7%), 1,1,1-트리플루오로에탄(F143a) 및 펜탄플루오로에탄(F125)를 함유할 수 있다. 이들 불포화 불순물의 존재는 본 발명의 방법의 효율에 어떤 방법으로도 해를 미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기체상내 촉매 처리는 225 내지 325℃의 온도 및 바람직하게는 대기압 내지 1.5MPa의 가압하에서 이롭게 실행된다.
접촉 시간은 5 내지 100초 일 수 있으나, 25 내지 75초의 접촉시간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HF/F134a 몰비는 0.05 내지 0.5일 수 있다. 그러나, HF/F134a 몰비를 0.125 내지 0.200으로 조절하는 것이, 보다 구체적으로는 HF/F134 공비 혼합물에 상응하는 몰비(0.15)와 근접하게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처리의 결과, 기체 유동은 더이상 올레핀계 불순물을 함유하지 않거나 미량의 올레핀계 불순물만을 함유함으로 비전환 HF 및 F134a 이외의 포화 화합물을 분리하기 위하여 통상적인 조작(분리, 증류, 수세, 중화등)을 실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해 사용되는 플루오르화 촉매는 덩어리 촉매 또는 담지 촉매일 수 있으며, 담지 촉매의 담체는 반응 매질내에서 안정한 것인데, 예를들면 활성탄소, 플루오르화 알루미늄 또는 인산 알루미늄이다.
덩어리 촉매중에서, 특히 당분야 숙련인에게 공지된 임의의 방법(졸/겔 방법, 크로뮴 염으로부터의 수산화물의 침전, 크로뮴 무수물의 환원등)에 의해 제조된 산화 크로뮴을 언급할 수 있다. 니켈, 철, 망간 또는 코발트와 같은 금속의 유도체도 또한 적절할 수 있는데, 단독으로 또는 크로뮴과 함께, 벌크 촉매 또는 담지 촉매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담지 촉매는 구형, 압출물, 펠릿 또는 평면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고, 조작이 고정층으로 실행된다면, 단편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벌크 촉매로서는, 펠릿형 또는 구형이 일반적으로 바람직하다. 조작이 유동층으로 실행될때, 구형 또는 압출물 형태의 촉매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촉매의 비제한적예로서, 하기와 같은 것들을 언급할 수 있다.
-특허 FR 2,501,062에 기재된 바와 같은 졸/겔 방법에 의해 수득된 산화 크로뮴의 마이크로비이드,
-활성탄소(특허 US 4,474,895), 인산 알루미늄(특허 EP 55,958), 또는 플루오르화 알루미늄(특허 US 4,579,974 및 4,579,976)에 침착된 산화 크로뮴의 촉매,
-플루오르화 알루미늄에 침착된 산화 크로뮴 및 플루오르화 니켈의 혼합 촉매(특허 출원 EP 0,486,333).
본 명세서에 참고로 통합된 내용인 상기 특허는 이들 촉매의 제조방법을 광범위하게 기술하나 또한 활성화 방법, 즉 불활성 화합물(질소) 또는 비-불활성 화합물(공기 또는 1,1,2-트리클로로-1,2,2-트리플루오로에탄)에 의해 희석된 기체상 HF를 사용한 플루오르화에 의해 촉매를 안정한 활성종으로 미리 전환시키는 것을 기술한다. 이러한 활성화 도중 활성 물질로서 작용하는(예를들면 산화크로뮴), 또는 지지체로서 작용하는(예를들면, 알루미나), 산화금속은 상응하는 플루오라이드로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전환될 수 있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제한함이 없이 설명한다.
[실시예 1]
특허 FR 2,501,062의 실시예 3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제조된 덩어리 산화 크로뮴의 마이크로비이드로 구성된 촉매 50ml를 내경 28mm이고, 용적 200ml인 Inconel 600으로 제조된 관형 반응기에 놓는다. 고정층으로서 작동되는 이 촉매 반응기에 HF/F134a 몰비가 0.25인 조 F134a 및 HF로 구성된 기체 상태 혼합물을 공급한다.
조 F134a는 하기 중량 조성을 갖는다.
● F134a : 97%
● F1122 : 0.08%
● F133a : 0.45%
● F125+F143a : 2%
반응기의 온도는 225℃로 고정되어 있고 그의 절대압력은 1.5MPa이다. 조 F134a+HF 혼합물의 공급 유속(d)은 접촉시간(t)가 11 내지 55초이도록 조정되며, d 및 t는 하기와 같은 관계를 갖는다 :
상기 식에서, t=접촉시간(초)
d=유속(몰/시간)
V=벌트 촉매 부피(ℓ)
T=반응기내 온도(℃)이다.
유기 생성물내 F1122 양의 증가를 측정하기 위하여 과량의 HF로부터 제거된 기체상 샘플을 반응기 출구에서 증기상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분석한다. F1122의 제거 수율(R)은 하기 관계로 정의된다 :
상기식에서, Ci는 반응기로 공급되는 유기 반응물내 F1122의 최초 농도이고 Cf는 반응기 출구에서의 유기 생성물내 F1122의 최종농도이며, 이들 농도는 vpm으로 표시된다.
하기 표 I는 접촉 시간 및 촉매 시효의 함수로서 동일한 촉매 충진량에서 수득된 결과를 대조한다.
[표 I]
1
(*) 시험의 마지막
(**) 250℃에서 실행되는 시험
225℃에서의 이들 시험 결과는 대략 30초의 접촉시간으로 F1122가 실질적으로 완전히 제거되고 촉매의 누적 시효가 124.5시간에 달할때, F1122의 제거수율이 적당하다는 것을 보여준다(시험 1-E 내지 1-H).
동일한 촉매 충진량에서 온도가 225에서 250℃로 상승되면 (시험 1-I 및 1-J), 다시 대략 30초의 접촉시간 동안 실질적으로 완전한 제거도가 달성된다(시험 1-I). 11초의 접촉시간(시험 1-J)으로는, 제거 수율은 96%로 떨어진다.
[실시예 2]
플루오르화 알루미늄에 침착된 플루오르화 니켈 및 산화 크로뮴을 기재로하는 100ml의 촉매를 실시예 1과 동일한 반응기내로 도입한다. 특허 출원 EP 0,486,333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조되고 고정층내에서 질소/HF 혼합물에 의해 활성화된 이 촉매의 물리 화학적 특성은 하기와 같다 :
-화학적 조성(중량) :
● 불소 : 58.6%
● 알루미늄 : 25.9%
● 니켈 : 6.4%
● 크로뮴 : 6.0%
-물리적 특성 :
● 겉보기 밀도(벌크) : 0.85g/cm³
● BET면적 : 23m²/g
● 40Å 내지 63㎛ 반경의 기공의 부피 : 0.4cm²/g
● 40Å 이상 반경의 기공의 면적 : 23m²/g
25 내지 250℃에서 기체상 HF/F133a(몰비 : 0.4) 혼합물을 사용하는 촉매의 최종 "제자리"활성화후에, 반응기에는 HF 및 조 F134a가 HF/F134a몰비가 0.18인 비율로, 즉 공비혼합물 조성에 가까운 비율로 구성된 기체상 혼합물이 공급된다.
사용되는 조 F134a는 하기 물조성을 갖는다 :
● F134a : 95.9%
● F1122 : 0.24%
● F133a : 3.8%
● Fl25 : 0.02%
● F143a : 0.04%
1.0MPa의 절대 압력, 대략 50초의 접촉시간 및 여러온도(250,300 및 235℃)에서 작업하여 수득한 결과를 하기 표 II에서 대조한다.
[표 II]
(*) 시험의 마지막
수득된 결과들은 동일한 촉매 충진량에서 고온에서 조차도 매우 의미가 있다. 시험 2-I 및 2-J는 촉매의 활성과 그의 온도 변화에 대한 내성을 완전하게 확인해 준다.
[실시예 3]
38mm의 내경 및 400ml의 가용용적의 Inconel 600으로 제조된 관형 반응기를 사용하고, 여기에 4.8×4.8cm 펠릿 형태이고, 질소/HF 혼합물을 사용하여 고정층내에서 미리 활성화 벌크 산화 크로뮴의 상업적 촉매 200ml를 놓는다.
이 촉매의 활성화후의 물리화학적 특성은 하기와 같다 :
-화학적 조성(중량) :
● 불소 : 20.0%
● 크로뮴 : 56.3%
● 탄소 : 3.5%
● 산소 : 20.2%
-물리적 특성 :
● 겉보기 밀도(벌크) : 1.21g/cm³
● BET면적 : 124m²/g
● 40Å 내지 63㎛ 반경의 기공의 부피 : 0.14cm²/g
● 40Å 이상 반경의 기공의 면적 : 42.3m²/g
350℃에서, 대기압하에서, 기체상 HF/F133a(몰비 : 4) 혼합물을 사용하여 4초의 접촉시간으로 촉매를 최종 "제자리"활성화한 후에, 반응기에 HF 및 조 F134a가 HF/F134a 몰비가 0.18인 비율로, 즉 공비 혼합물 조성에 가까운 비율로 구성된 기체상 혼합물이 공급된다.
사용되는 조 F134a는 하기 몰 조성을 갖는다 :
● F134a : 95.6%
● F1122 : 0.19%
● F133a : 3.0%
● F125 : 0.05%
● F143a : 0.05%
1.0MPa의 절 대 압력, 25내지 100초의 접촉시간 및 여러온도(225 내지 250℃, 그 다음 200℃ 및 다시 225℃)에서 작업하여 수득된 결과를 하기 표 III에 대조한다.
[표 III]
(*) 시험의 마지막
시험 결과는 200℃의 온도에서, 특히 대략 26초의 접촉시간으로 (시험 3-D 및 3-E), F1122의 실질적인 완전한 제거를 얻을 수 없음을 보여준다.
225℃에서 49초의 접촉시간으로 다시 실행된 비교용 시험 3-F는 30vpm의 비전환 F1122(시험 3-A의 5vpm 이하 대신에)을 결과하는데, 이는 145초의 연속 조작후에 촉매의 활성이 약간 떨어지는 것을 나타낸다.
[실시예 4]
활성 탄소(3mm) 상의 크로뮴 촉매 100ml를 실시예 1과 같은 동일한 반응기내로 도입한다. 활성화후의 상기 촉매의 물리-화학적 특성은 하기와 같다 :
● 크로뮴함량 : 20.3중량%
● 불소함량 : 13.6중량%
● BET면적 : 204m²/g
● 40Å 이상 반경의 기공의 면적 : 15.4m²/g
● 40Å 내지 63㎛ 반경의 기공의 부피 : 0.43cm³/g
고정층으로서 조작되는 이 촉매 반응기에 하기 물조성을 갖는 기체상 혼합물을 공급하고 250℃에서, 1MPa의 절대압력하에서 대략 70초의 접촉시간으로 조작을 실행한다.
● F134a : 81.9%
● F1122 : 0.11%
● F133a : 2.6%
● HF : 15.4%
이들 조작 조건하에서 작업함으로써, 반응기 출구에서의 유기 생성물내 F1122의 농도(CF)는 2vpm 이하이고 ; 이는 99.9% 이상의 제거수율에 상응한다. 이들 성능은 매우 안정하여 ; 740시간의 조작시간 동안 수득된다.

Claims (8)

  1. 플루오르화수소산(HF)/조 1,1,1,2-테트라플루오로에탄(F134a)의 몰비가 0.05 내지 0.5인 조 1,1,1,2-테트라플루오로에탄 및 플루오르화수소산의 기체상 혼합물을 기체상으로, 염산부재하에, 200 내지 380℃의 온도 및 대기압 내지 2.5MPa의 압력하에서, 플루오르화 촉매 존재하에서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포화 불순물을 함유하는 조 1,1,1,2-테트라플루오로에탄의 정제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기체상의 촉매 처리가 225 내지 325℃의 온도에서 실행되는 방법.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조작을 대기압 내지 1.5MPa의 압력하에서 실행하는 방법.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접촉시간이 5 내지 100초인 방법.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HF/F134a 몰비가 0.125 내지 0.200인 방법.
  6.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플루오르화 촉매가 크로뮴, 니켈, 철, 망간 및 코발트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기재로 하는 벌크 또는 담지 촉매인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촉매가 마이크로비이드 또는 활성탄소, 인산 알루미늄 또는 플루오르화 알루미늄에 담지된 형태인 산화크로뮴, 또는 플루오르화 알루미늄의 담체 위에 침착된 플루오르화 니켈 및 산화 크로뮴의 혼합물인 방법.
  8. 제 4항에 있어서, 접촉시간이 25 내지 75초인 방법.
KR1019930015199A 1992-08-05 1993-08-05 1,1,1,2-테트라플루오로에탄의 정제방법 KR96000487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9209700A FR2694556B1 (fr) 1992-08-05 1992-08-05 Procédé de purification du 1,1,1,2-tétrafluoroéthane.
FR9209700 1992-08-0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3902A KR940003902A (ko) 1994-03-14
KR960004870B1 true KR960004870B1 (ko) 1996-04-16

Family

ID=94326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15199A KR960004870B1 (ko) 1992-08-05 1993-08-05 1,1,1,2-테트라플루오로에탄의 정제방법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6395941B1 (ko)
EP (1) EP0582494B1 (ko)
JP (1) JP2509142B2 (ko)
KR (1) KR960004870B1 (ko)
CN (1) CN1033636C (ko)
AU (1) AU666958B2 (ko)
CA (1) CA2100594C (ko)
DE (1) DE69300901T2 (ko)
ES (1) ES2080595T3 (ko)
FR (1) FR2694556B1 (ko)
GR (1) GR3018814T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592711B1 (en) * 1990-08-13 1997-02-05 Showa Denko Kabushiki Kaisha Method for the purification of 1,1,1,2-tetrafluoroethane
DE69405185T2 (de) * 1993-10-13 1998-02-05 Atochem Elf Sa Verfahren zur Reinigung von 1,1,1,2-Tetrafluorethan
FR2812871A1 (fr) * 2000-08-10 2002-02-15 Solvay Procede d'obtention d'un hydrofluoroalcane epure
CA2418856C (en) 2000-08-10 2011-12-13 Solvay (Societe Anonyme) Process for obtaining a purified hydrofluoroalkane
JP4738035B2 (ja) * 2004-03-29 2011-08-03 昭和電工株式会社 1,1,1,2−テトラフルオロエタンおよび/またはペンタフルオロエタン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用途
CN1325451C (zh) * 2006-03-23 2007-07-11 山东东岳化工有限公司 1,1,1,2-四氟乙烷精馏工艺
US7608574B2 (en) * 2006-08-17 2009-10-27 Honeywell International Inc. Azeotropic or azeotropic-like compositions of 1,1,1-trifuoroethane and 1-chloro-2,2,2-trifluoroethane
JP2010533678A (ja) * 2007-07-20 2010-10-28 ゾルファイ フルーオル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精製ヒドロフルオロアルカンを得るための方法
US20100064942A1 (en) * 2008-09-15 2010-03-18 Ferro Corporation Corundum Crystal Structure Pigments With Reduced Soluble Chromium Content
KR101035569B1 (ko) * 2009-09-29 2011-05-19 이생테크노팩 주식회사 압공성형을 이용한 합성수지 포장용기의 플랜지부 성형불량방지 및 오버랩 방지구조를 갖는 압공성형장치
CN112174774A (zh) * 2020-11-06 2021-01-05 福建省清流县东莹化工有限公司 一种五氟乙烷的净化工艺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518050B2 (en) * 1977-02-17 1981-09-10 Imperial Chemical Industries Limited Manufacture of 1,1,1,2-tetrafluoro ethane & method of reducing amount of 1,1,difluord-chldro ethlene impurity
GB2004539B (en) * 1977-09-20 1982-02-10 Ici Ltd Process for the manufacture of halogenated hydrocarbons
US4158675A (en) * 1977-09-23 1979-06-19 Imperial Chemical Industries Limited Manufacture of halogenated compounds
JPS5638131A (en) 1979-09-06 1981-04-13 Kawasaki Heavy Ind Ltd Contact method betweeen solid and liquid
DE3009760A1 (de) * 1980-03-14 1981-09-24 Hoechst Ag, 6000 Frankfurt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hochreinen teilfluorierten aethanen
ES8607817A1 (es) 1985-05-17 1986-06-16 Pons Rovira Juan Procedimiento de soldadura por ultrasonidos de tejido de poliamida
AU645063B2 (en) 1990-03-13 1994-01-06 Daikin Industries, Ltd. Process for preparing 1,1,1,2-tetrafluoroethane
GB9007029D0 (en) 1990-03-29 1990-05-30 Ici Plc Chemical process
DE69104426T2 (de) * 1990-07-04 1995-02-16 Ici Plc Prozess zur Abtrennung von 1,1,1,2-Tetrafluorethan aus Gemischen desselben mit Fluorwasserstoff und/oder 1-Chlor-2,2-difluorethylen.
JP2897454B2 (ja) * 1991-04-19 1999-05-31 昭和電工株式会社 1,1,1,2−テトラフルオロエタンの精製法
IT1252658B (it) 1991-12-23 1995-06-20 Ausimont Spa Procedimento per la depurazione dell'1,1,1-trifluoro-2-fluoroetano
DE69405185T2 (de) * 1993-10-13 1998-02-05 Atochem Elf Sa Verfahren zur Reinigung von 1,1,1,2-Tetrafluorethan
FR2711648B1 (fr) * 1993-10-26 1996-01-05 Atochem Elf Sa Procédé de purification du 1,1,1,2-tétrafluoroétha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509142B2 (ja) 1996-06-19
ES2080595T3 (es) 1996-02-01
US6395941B1 (en) 2002-05-28
CA2100594C (fr) 1998-12-29
KR940003902A (ko) 1994-03-14
FR2694556B1 (fr) 1994-09-23
AU4445893A (en) 1994-02-10
FR2694556A1 (fr) 1994-02-11
DE69300901D1 (de) 1996-01-11
JPH06184015A (ja) 1994-07-05
EP0582494A1 (fr) 1994-02-09
GR3018814T3 (en) 1996-04-30
CA2100594A1 (fr) 1994-02-06
CN1085537A (zh) 1994-04-20
AU666958B2 (en) 1996-02-29
DE69300901T2 (de) 1996-08-01
CN1033636C (zh) 1996-12-25
EP0582494B1 (fr) 1995-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1966C (zh) 饱和卤化碳的纯化方法
US7208644B2 (en) Production and use of hexafluoroethane
KR960004870B1 (ko) 1,1,1,2-테트라플루오로에탄의 정제방법
JPH06256234A (ja) ペンタフルオロエタンの精製
CA2004709A1 (en) Process for purifying 1,1,1,2-tetrafluoroethane
EP0651733A1 (en) Purification of pentafluoroethane
RU2089534C1 (ru) Способ удаления 1,1,2-трифтор-1,2-дихлорэтана из смеси с 1,1,1-трифтор-2,2-дихлорэтаном
KR100839063B1 (ko) 1,1-디플루오로에탄의 정제방법
US5430205A (en) Process for the purification of 1,1,1,2-tetrafluoroethane
KR100854983B1 (ko) 1,1-디클로로에탄의 정제방법 및 그 방법을 사용한1,1-디플루오로에탄의 제조방법
KR100643674B1 (ko) 하이드로플루오로카본의 제조방법, 그 제품 및 그 용도
US5705718A (en) Process for the purification of 1,1,1,2-tetrafluoroethane
US5679876A (en) Purification of pentafluoroethane
JP4953819B2 (ja) 塩化エチルの精製方法およびそれを用いるフルオロエタンの製造方法
US5672790A (en) Process for the hydrogenolysis of chlorofluorocarbons and of chlorofluorohydrocarb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1

Year of fee payment: 1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