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4574B1 - 조리장치 - Google Patents

조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4574B1
KR960004574B1 KR1019930019523A KR930019523A KR960004574B1 KR 960004574 B1 KR960004574 B1 KR 960004574B1 KR 1019930019523 A KR1019930019523 A KR 1019930019523A KR 930019523 A KR930019523 A KR 930019523A KR 960004574 B1 KR960004574 B1 KR 9600045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me
boiling
liquid
timer
measur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195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08638A (ko
Inventor
세이지 모리구찌
다다오 야마시다
Original Assignee
린나이코리아주식회사
최창선
린나이 가부시기가이샤
나이또 스스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4273228A external-priority patent/JP2543296B2/ja
Application filed by 린나이코리아주식회사, 최창선, 린나이 가부시기가이샤, 나이또 스스무 filed Critical 린나이코리아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9400086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86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45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457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조리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관한 가스테이블의 구조설명도.
제2도는 상기 가스테이블의 제어유니트에 내장된 마이크로 컴퓨터의 작동을 나타내는 플로챠트.
제3도는 상기 가스테이블에 있어서의 경과시간-검출온도(Th) 특성의 일예를 나타내는 그래픽.
제4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관한 가스테이블의 제어유니트에 내장된 마이크로 컴퓨터의 작동을 나타내는 플로챠트.
제5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관한 가스테이블의 제어유니트에 내장된 마이크로 컴퓨터의 작동을 나타내는 플로챠트.
제6도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관한 가스테이블의 제어유니트에 내장된 마이크로 컴퓨터의 작동을 나타내는 플로챠트.
제7도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관한 가스테이블의 제어유니트에 내장된 마이크로 컴퓨터의 작동을 나타내는 플로챠트.
제8도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관한 가스테이블의 제어유니트에 내장된 마이크로 컴퓨터의 작동을 나타내는 플로챠트.
제9도는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관한 가스테이블의 제어유니트에 내장된 마이크로 컴퓨터의 작동을 나타내는 플로챠트.
제10도는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관한 가스테이블의 제어유니트에 내장된 마이크로 컴퓨터의 작동을 나타내는 플로챠트.
제11도는 본 발명의 제9실시예에 관한 가스테이블의 제어유니트에 내장된 마이크로 컴퓨터의 작동을 나타내는 플로챠트.
제12도는 본 발명의 제10실시예에 관한 가스테이블의 제어유니트에 내장된 마이크로 컴퓨터의 작동을 나타내는 플로챠트.
제13도는 본 발명의 제11실시예에 관한 가스테이블의 제어유니트에 내장된 마이크로 컴퓨터의 작동을 나타내는 플로챠트.
제14도는 본 발명의 제12실시예에 관한 가스테이블의 제어유니트에 내장된 마이크로 컴퓨터의 작동을 나타내는 플로챠트.
제15도는 본 발명의 제13실시예에 관한 가스테이블의 제어유니트에 내장된 마이크로 컴퓨터의 작동을 나타내는 플로챠트.
제16도는 본 발명의 제14실시예에 관한 가스테이블의 제어유니트에 내장된 마이크로 컴퓨터의 작동을 나타내는 플로챠트.
제17도는 본 발명의 제15실시예에 관한 가스테이블의 제어유니트에 내장된 마이크로 컴퓨터의 작동을 나타내는 플로챠트.
제18도는 본 발명의 제16실시예에 관한 가스테이블의 제어유니트에 내장된 마이크로 컴퓨터의 작동을 나타내는 플로챠트.
제19도는 본 발명의 제17실시예에 관한 가스테이블의 제어유니트에 내장된 마이크로 컴퓨터의 작동을 나타내는 플로챠트.
제20도는 본 발명의 제18실시예에 관한 가스테이블의 제어유니트에 내장된 마이크로 컴퓨터의 작동을 나타내는 플로챠트.
제21도는 본 발명의 제19실시예에 관한 가스테이블의 제어유니트에 내장된 마이크로 컴퓨터의 작동을 나타내는 플로챠트.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M버너(가열원) 2 : 서미스터(온도센서)
30 : 비등검지회로(비등검지수단) 11 : 남비(조리용기)
111 : 물(피가열액체) A : 가스테이블(조리장치)
Ta : 타이머 Th : 검출온도
△t : 소요시간 ta : 소요시간
ta' : n-1번째의 소요시간(ta) tk : 변수(기준시간)
tb : 계측시간
본 발명은 조리용기내의 피가열액체의 비등(沸騰)을 검지할 수 있는 조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조리를 하기 위해서는 미리 조리용기내의 물을 비등시켜 둘 필요가 있는데, 종래에는 사용자가 조리용기 내에 있는 피가 열액체(물)의 비등상태를 직적 눈으로 감시함으로써 그 비등상태를 인지하였다.
따라서, 비등상태를 감시하여야만 하고 또 비등상태를 인지하지 못하고 장시간 비등상태로 두었을 때에는 가스등을 헛되게 소비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여기서, 발명자들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서미스터에 의하여 검출되는 검출온도(Th)가 1℃마다 상승하는데 소요되는데 소요시간(ta)을 타이머(ta)로 계측하고, 소요시간(ta)이 「ta≥기준시간」을 만족하고 검출온도(Th)의 온도가 거의 상승하지 않는다고 검지되면, 가스버너에 의하여 가열되는 남비내의 물이 비등상태에 있다고 판정하는 조리장치를 만들어 실험하였다.
그러나, 상기 조리장치에서는, 소요시간(ta)을 계측하는 도중에 조리용기로 바람이 불었을 때에는 가스버너의 열이 직접 서미스터에 작용하게 되어 검출온도(Th)가 일시적으로 상승하고(실제로는 남비내에 담겨진 물의 온도가 검출온도(Th)에 도달하지 않았음), 바람이 그치면 검출온도(Th)가 급강하함으로써 1℃ 상승하는데 소요되는 소요시간(ta)이 기준시간 이상으로 길어지기 때문에, 비등을 오검지(誤檢知)한다는 결점을 발견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바람의 영향에 의한 비등의 오검지를 방지할 수 있는 조리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구성을 채용한다.
(1) 피가열액체가 담겨진 조리용기를 가열하는 가열원과; 상기 조리용기에 접촉되도록 배치되는 온도센서와; 상기 온도센서가 검지하는 검출온도(Th)에 의거하여 피가열액체의 비등을 검지하는 비등검출수단을 구비한 조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비등검출수단은, 상기 검출온도(Th)가 단위온도(X℃)마다 상승하는데 소요되는 소요시간(ta)을 계측하는 타이머(Ta)를 구비함과 아울러, 소요시간(ta)의 계측결과, 「ta≥기준시간」을 만족하면 상기 피가열액체가 비등상태에 있다고 판정하고, 상기 판정에 있어서, n번째의 소용시간(ta)의 판정시에 있어서의 상기 기준시간을, n-1번째의 소요시간(ta)(=ta')이 작을 때에는 보정하여 크게한다.
(2) 피가열액체가 담겨진 조리용기를 가열하는 가열원과; 상기 조리용기에 접촉되도록 배치되는 온도센서와; 상기 온도센서가 검지하는 검출온도(Th)에 의거하여 피가열액체의 비등을 검지하는 비등검출수단을 구비한 조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비등검출수단은, 상기 검출온도(Th)가 단위온도(X℃)마다 상승하는데 소요되는 소요시간(ta)을 계측하는 타이머(ta)를 구비함과 아울러, 소요시간(ta)의 계측결과, 「ta≥기준시간」을 만족하면 상기 피가열액체가 비등상태에 있다고 판정하고, 상기 판정에 있어서, n번째의 소요시간(ta)을, n-1번째의 소요시간(ta)(=ta')이 작을 때에는 보정하여 작게 한다.
(3) 피가열액체가 담겨진 조리용기를 가열하는 가열원과; 상기 조리용기에 접촉되도록 배치되는 온도센서와; 상기 온도센서가 검지하는 검출온도(Th)에 의거하여 피가열액체의 비등을 검지하는 비등검출수단을 구비한 조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비등검출수단은, 상기 검출온도(Th)가 단위온도(X℃)마다 상승하는데 소요되는 소요시간(ta)을 계측하는 타이머(Ta)를 구비함과 아울러, 소요시간(ta)의 계측결과, 「ta≥기준시간」을 만족하면 상기 피가열액체가 비등상태에 있다고 판정하고, 상기 판정에 있어서, n-1번째의 소요시간(ta)(=ta')이 작을 때에는 n번째의 소요시간(ta)의 계측결과를 상기 비등상태의 판정에 사용하지 않는다.
(4) 피가열액체가 담겨진 조리용기를 가열하는 가열원과; 상기 조리용기에 접촉되도록 배치되는 온도센서와; 상기 온도센서가 검지하는 검출온도(Th)에 의거하여 피가열액체의 비등을 검지하는 비등검출수단을 구비한 조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비등검출수단은, 상기 검출온도(Th)가 단위온도(X℃)마다 상승하는데 소요되는 소요시간(ta)을 계측하는 타이머(Ta)를 구비함과 아울러, 상기 타이머(Ta)에 의한 소요시간(ta)의 계측중에, 「계측신간(tb)≥기준시간」을 만족하면 상기 피가열액체가 비등상태에 있다고 판정하고, 상기 판정에 있어서, n번째의 비등판정에 사용하는 기준시간을, n-1번째의 소요시간(ta)의 계측결과가 작을 때에는 보정하여 크게 한다.
(5) 피가열액체가 담겨진 조리용기를 가열하는 가열원과; 상기 조리용기에 접촉되도록 배치되는 온도센서와; 상기 온도센서가 검지하는 검출온도(Th)에 의거하여 피가열액체의 비등을 검지하는 비등검출수단을 구비한 조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비등검출수단은, 상기 검출온도(Th)가 단위온도(X℃)마다 상승하는데 소요되는 소요시간(ta)을 계측하는 타이머(ta)을 구비함과 아울러, 상기 타이머(ta)에 의한 소요시간(ta)의 계측중에, 「계측시간(tb)≥기준시간」을 만족하면 상기 피가열액체가 비등상태에 있다고 판정하고, 상기 판정에 있어서, n번째의 비등판정에 사용하는 계측시간(tb)을, n-1번째의 소요시간(ta)의 계측결과가 작을 때에는 보정하여 작게 한다.
(6) 피가열액체가 담겨진 조리용기를 가열하는 가열원과; 상기 조리용기에 접촉되도록 배치되는 온도센서와; 상기 온도센서가 검지하는 검출온도(Th)에 의거하여 피가열액체의 비등을 검지하는 비등검출수단을 구비한 조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비등검출수단은, 상기 검출온도(Th)가 단위온도(X℃)마다 상승하는데 소요되는 소요시간(ta)을 계측하는 타이머(Ta)를 구비함과 아울러, 상기 타이머(Ta)에 의한 소요시간(ta)의 계측중에, 「계측시간(tb)≥기준시간」을 만족하면 상기 피가열액체가 비등상태에 있다고 판정하고, 상기 판정에 있어서, n-1번째의 소요시간(ta)의 계측결과가 작을 때에는 n번째의 계측시간(tb)을 비등판정에 사용하지 않는다.
(7) 상기 (4), (5) 또는 (6)의 구성을 가지며, 피가열액체가 담겨진 조리용기를 가열하는 가열원과; 상기 조리용기에 접촉되도록 배치되는 온도센서와; 상기 온도센서가 검지하는 검출온도(Th)에 의거하여 피가열 액체의 비등을 검지하는 비등검출수단을 구비한 조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비등검출수단은, 상기 검출온도(Th)가 단위온도(X℃)마다 상승하는데 소요되는 소요시간(ta)을 계측하는 타이머(ta)를 구비함과 아울러, 소요시간(ta)의 계측결과,「계측시간(tb)≥기준시간」을 만족하면 상기 피가열액체가 비등상태에 있다고 판정하고, 상기 타이머(Ta)에 의한 소요시간(ta)의 계측중에, 「계측시간(tb)≥기준시간」을 만족하면 상기 피가열액체가 비등상태에 있다고 판정한다.
상기한 구성으로 된 조리장치는 다음과 같이 작용한다.
[청구항 1에 대한 작용]
타이머(Ta)는 검출온도(Th)가 단위온도(X℃) 상승할때마다 소요되는 소요시간(ta)을 매회 계측한다.
비등검지수단은 소요시간(ta)의 계측결과, 「소요시간(ta)≥기준시간」을 만족하면 피가열액체가 비등상태에 있다고 판정한다.
그리고, 상기 판정에 있어서, n번째의 소요시간(ta)의 판정시에 있어서의 기준시간은, n-1번째의 소요시간(ta)(=ta')이 작을 때에는 보정하여 크게 한다.
[청구항 2에 대한 작용]
타이머(Ta)는 검출온도(Th)가 단위온도(X℃) 상승할때마다 소요되는 소요시간(ta)을 매회 계측한다.
비등검지수단은 소요시간(ta)의 계측결과,「소요시간(ta)≥기준시간」을 만족하면 피가열액체가 비등상태에 있다고 판정한다.
그리고, 상기 판정에 있어서, n번째의 소요시간(ta)을, n-1번째의 소요시간(ta)(=ta')이 작을 때에는 보정하여 작게 한다.
[청구항 3에 대한 작용]
타이머(Ta)는 검출온도(Ta)가 단위온도(X℃) 상승할때마다 소요되는 소요시간(ta)을 매회 계측한다.
비등검지수단은 소요시간(ta)의 계측결과, 「소요시간(ta)≥기준시간」을 만족하면 피가열액체가 비등상태에 있다고 판정한다.
단, 상기 판정에 있어서, n-1번째의 소요시간(ta)(=ta')이 작을 때에는, n번째의 소요시간(ta)의 게측 결과를 상기 비등상태의 판정에 사용하지 않는다.
[청구항 4에 대한 작용]
타이머(Ta)는 검출온도(Th)가 단위온도(X℃) 상승할때마다 소요되는 소요시간(ta)을 매회 계측한다.
비등검지수단은 소요시간(ta)의 계측중에, 「계측시간(tb)≥기준시간」을 만족하면 피가열액체가 비등상태에 있다고 판정한다.
그리고, 상기 판정에 있어서, n-1번째의 소요시간(ta)의 계측결과가 작을 때에는, n번째의 비등판정에 사용하는 기준시간을 보정하여 크게 한다.
[청구항 5에 대한 작용]
타이머(Ta)는 검출온도(Th)가 단위온도(X℃) 상승할때마다 소요되는 소요시간(ta)을 매회 계측한다.
비등검지수단은 소요시간(ta)의 계측중에, 「계측시간(tb)≥기준시간」을 만족하면 피가열액체가 비등상태가 있다고 판정한다.
그리고, 상기 판정에 있어서, n-1번째의 소요시간(ta)의 계측결과가 작을 때에는, n번째의 비등판정에 사용하는 계측시간(tb)을 보정하여 작게 한다.
[청구항 6에 대한 작용]
타이머(Ta)는 검출온도(Th)가 단위온도(X℃) 상승할때마다 소요되는 소요시간(ta)을 매회 계측한다.
비등검지수단은 소요시간(ta)의 계측중에, 「계측시간(tb)≥기준시간」을 만족하면 피가열액체가 비등상태가 있다고 판정한다.
그리고, 상기 판정에 있어서, n-1번째의 소요시간(ta)의 계측결과가 작을 때에는, n번째의 계측시간(tb)을 비등판정에 사용하지 않는다.
[청구항 7에 대한 작용]
타이머(Ta)는 검출온도(Th)가 단위온도(X℃) 상승할때마다 소요되는 소요시간(ta)을 매회 계측한다.
비등검지수단은 소요시간(ta)의 계측결과, 「소요시간(ta)≥기준시간」을 만족하면 피가열액체가 비등상태에 있다고 판정하고, 또 소요시간(ta)의 계측중에,「계측시간(tb)≥기준시간」을 만족하면 상기 피가열액체가 비등상태에 있다고 판정한다.
그리고, 「소요시간(ta)≥기준시간」의 판정 및 「계측시간(tb)≥기준시간」의 판정에는, 다음의 ①~③중 어느 하나의 조건이 부가된다.
① n번째의 비등판정에 사용되는 기준시간을, n-1번째의 소요시간(ta)의 계측결과가 작을 때에는 보정하여 크게 한다.
② n번째의 비등판정에 사용되는 소요시간(ta) 및 계측시간(tb)을 n-1번째의 소요시간(ta)의 계측결과가 작을 대에는 보정하여 작게 한다.
③ n-1번째의 소요시간(ta)의 계측결과가 작을 때에는, n번째의 소요시간(ta) 및 계측시간(tb)을 비등판정에 사용하지 않는다.
따라서,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따라서, 바람의 영향에 의한 비등의 오검지를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1에 대한 효과]
n-1번째의 소요시간(ta)(=ta')의 계측중에 조리장치로 바람이 불어 가열원의 열이 직접 온도센서에 작용함으로써, 검출온도(Th)가 급상승하여 n-1번째의 소요시간(ta)(=ta')이 짧게 측정된 경우, 길게 측정되는 n번째의 소요시간(ta)의 판정시에 있어서의 기준시간이 보정되어 크게 된다.
따라서, n번째의 소요시간(ta)이 길게 측정된다 하더라도, 기준시간도 큰 값으로 보정되기 때문에, ta≥기준시간을 만족하지 않으므로 비등을 오검지하지 않는다.
따라서, 바람의 영향에 의한 비등의 오검지를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2에 대한 효과]
n-1번째의 소요시간(ta)(=ta')의 계측중에 조리장치로 바람이 불어 가열원의 열이 직접 온도센서에 작용함으로써, 검출온도(Th)가 급상승하여 n-1번째의 소요시간(ta)(=ta')이 짧게 측정된 경우, 길게 측정되는 n번째의 소요시간(ta)이 보정되어 작게 되기 때문에, ta≥기준시간을 만족하지 않으므로 비등을 오검지하지 않는다.
따라서, 바람의 영향에 의한 비등의 오검지를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3에 대한 효과]
n-1번째의 소요시간(ta)(=ta')의 계측중에 조리장치로 바람이 불어 가열원의 열이 직접 온도센서에 작용함으로써, 검출온도(Th)가 급상승하여 n-1번째의 소요시간(ta)(=ta')이 짧게 측정된 경우, n번째의 소요시간(ta)의 계측결과를 비등상태의 판정에 사용하지 않는다.
따라서, n번째의 소요시간(ta)이 길게 측정된다 하더라도, 비등상태로 판정되지 않기 때문에, 비등을 오검지하지 않는다.
따라서, 바람의 영향에 의한 비등의 오검지를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4에 대한 효과]
비등검지수단은 타이머(Ta)에 의한 소요시간(ta)의 계측중에,「계측시간(tb)≥기준시간」을 만족하면 피가열액체가 비등상태에 있다고 판정하고 있다. 따라서, 검출온도(Th)가 평행하여, 다음의 단위온도(X℃)분 상승하지 않았더라도(비등직전등) 피가열액체의 비등을 검지할 수 있다.
또한, n번째의 비등판정에 사용하는 기준시간을, n-1번째의 소요시간(ta)의 계측결과 작을 때에는 보정하여 크게 하고 있기 때문에, 바람의 영향에 의한 비등의 오검지를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5에 대한 효과]
비등검지수단은 타이머(Ta)에 의한 소요시간(ta)의 계측중에,「계측시간(tb)≥기준시간」을 만족하면 피가열액체가 비등상태에 있다고 판정하고 있다. 따라서, 검출온도(Th)가 평형하여, 다음의 단위온도(X℃)분 상승하지 않았더라도(비등직전등) 피가열액체의 비등을 검지할 수 있다.
또한, n번째의 비등판정에 사용하는 계측시간(tb)을, n-1번째의 소요시간(ta)의 계측결과 작을 때에는 보정하여 작게하고 있기 때문에, 바람의 영향에 의한 비등의 오검지를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6에 대한 효과]
비등검지수단은 타이머(Ta)에 의한 소요시간(ta)의 계측중에,「계측시간(tb)≥기준시간」을 만족하면 피가열액체가 비등상태에 있다고 판정하고 있다. 따라서, 검출온도(Th)가 평행하여, 다음의 단위온도(X℃)분 상승하지 않았더라도(비등직전등) 피가열액체의 비등을 검지할 수 있다.
또한, n-1번째의 소요시간(ta)의 계측결과 작을 때에는 n번째의 계측시간(tb)을 비등판정에 사용하지 않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바람의 영향에 의한 비등의 오검지를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7에 대한 효과]
비등검지수단은 타이머(Ta)에 의한 소요시간(ta)의 계측결과,「소요시간(ta)≥기준시간」을 만족하면 피가열액체가 비등상태에 있다고 판정하고, 소요시간(ta)의 계측중에 「계측시간(tb)≥기준시간」을 만족하면 피가열액체가 비등상태에 있다고 판정하고 있다. 또, 「소요시간(ta)≥기준시간」의 판정 및 「계측시간(tb)≥기준시간」의 판정에 보정을 부가하고 있다.
소요시간(Ta)의 계측중에 타이머(Ta)의 계측시간(tb)과 계측후의 소요시간(ta)의 값에 의하여 피가열액체의 비등판정을 하고 있기 때문에, 비등상태를 확실하게 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청구항 1에 대응)를 제1도~제3도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제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스테이블(A)은 물(111)(최초에는 상온)이 담겨진 남비(11)를 가열하는 M버너(1)와, 남비 바닥과 누름접촉되도록 배치된 서미스터(2)와, 서미스터(2)의 출력신호가 입력되는 제어유니트(3)을 가지고 있다.
제어유니트(3)는, 비등을 검지하면, 온도조절용 전자밸브(12)를 열어 M버너(1)의 연소불꽃(10)을 작은 불꽃으로 하여 비등상태를 유지하고, 비등검지로부터 5분후에 밸브(13)로의 통전을 정지하여 밸브를 닫음으로써 M버너(1)를 자동소화한다. 또한, 상기 1밸브(13)는 M버너(1)가 실화(失火)하였을 때에도 통전을 정지하여 밸브를 닫음으로써 가스의 유출을 방지하는 안전밸브로서의 역할도 한다.
제어유니트(3)내에 있어서의 마이크로 컴퓨터를 구비한 비등검지회로(30)는, 서미스터(2)의 출력신호에 의거하여 파악되는 검출온도(Th)가 85℃로 되었을 때에 스타트하고 95℃로 되었을 때에 스톱하며, 검출온도(Th)가 85℃→95℃로 상승할 때까지의 소요시간(Δt)을 계측하는 타이머(T)와, 검출온도(Th)가 95에서 1℃마다 상승하는데 소요되는 소요시간(ta)을 계측하는 타이머(Ta)를 구비하여, 제2도에 나타내는 플로챠트의 수순을 따라 비등상태를 판정한다.
이하, 비등검지회로(30)의 마이크로 컴퓨터의 작동을 제2동에 나타내는 플로챠트 및 제3도의 경과시간-검출온도(Th) 특성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스탭 S1에서 「Th=85℃」인가를 판단하고, Yes(Th=85℃)인 경우에는 스탭 S2로 진행한다.
스탭 S2에서 타이머(T)를 스타트시키고, 스탭 S3으로 진행한다.
스탭 S3에서 「Th=95℃」인가를 판단하고, Yes(Th=95℃)인 경우에는 스탭 S4로 진행한다.
스탭 S4에서, 타이머(T)를 스톱시키고, 타이머(T)에 의한 계측시간(t)을 소요시간(Δt)으로 하고, Δt를 3으로 나눈 값을 변수(tk)에 대입하고, 타이머(Ta)를 스타트시키고, 스탭 S5으로 진행한다. 단, 변수(tk)의 값은 최대 60, 최소 5로 하고, 제일 큰 계산값 혹은 제일 작은 계산값은 사용하지 않는다. 또한, 변수(tk)의 값은 기술적 수단에 기재한 기준시간에 상당한다.
스텝 S5에서 「Th=95℃」를 판단하고, Yes(Th=95℃)인 경우 에는 스텝 S6 으로 진행한다.
스텝 S6에서 타이머(ta)를 스타트시키고, 스텝 S7로 진행한다.
스탭 S7에서 타이머(ta)에서 계측한 소요시간(ta)과 변수(tk)를 비교하여,「ta≥tk」인 경우(Yes)에는 비등상태에 있다고 판정하고, 「ta≥tk」인 경우(No)에는 스탭 S8로 진행한다.
스탭 S8에서 소요시간 ta의 값을 ta'(변수)에 대입하고, 타이머(ta)를 제로에서 스타트시키고, 스탭 S9로 진행한다.
스탭 S9에서 검출온도(Th)가 1℃ 상승하였는가 아닌가를 판단하고, Yes(Th=Th+1℃)인 경우에는 스탭 S10으로 진행한다.
스탭 S10에서 타이머(Ta)를 스톱시키고 스탭 S11로 진행한다.
스탭 S11에서, 검출온도(Th)가 95℃에서 1℃마다 상승하는 데 소요되는 소요시간(ta)의 n번째(단, n≥2)의 계측에 있어서의 소요시간(ta)의 판정에 대하여, 변수(tk)를 나누고서 n-1번째의 소요시간(ta)의 값(=ta')을 빼어 보정값(α)을 구한다.
스탭 S12에서, 보정값(α)이 정(正)인가 아닌가를 판단하고, 정인 경우(Yes)에는 스텝 S14로 진행하고, 부(負)인 경우(No)에는 스탭 S13에서 「α=0」로 설정하고, 스탭 S14로 진행한다.
스탭 S14에서 상기 n번째의 소요시간(ta)과 변수(tk)에 보정값(α)을 더하여 보정한 보정기준시간을 비교한다. 「ta≥tk+α」를 만족할 경우(Yes)에는 비등상태에 있다고 판정하고, No인 경우에는 스탭 S8로 되돌아간다.
이하, 본 실시예의 이점을 설명한다.
(가) 보정값(α)을 구하는 식이 「α=(tk/2)-ta'」이므로, ta'가 작아짐에 따라 보정값(α)은 커진다.
바람의 영향에 의하여 검출온도(Th)의 상승정도가 커서 n-1번째의 소요시간(ta)(=ta')이 짧게(작게) 측정될수록 다음의 n번째의 소요시간(ta)이 길어지게(크게) 측정되기 때문에, 소요시간(ta)이 클수록 보정값(α)이 커지게 되는 것을 의미함으로 「ta≥tk+α」를 만족하기 어렵게 된다. 따라서, 보다 확실하게 비등의 오검지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바람이 그치게 되며, 검출온도(Th)의 경과시간에 대한 상승곡선을 바람이 발생하기 않았던 경우와 같은 궤적으로 되돌아오는 경향이 있는 것이 실험에 의해서 확인되었다.
(나) 검출온도(Th)가 95℃에서 1℃마다 상승하는데 소요되는 소요시간(ta)의 계측에 있어서, n-1번째 (단,n≥2)의 소요시간(ta)(=ta')의 계측중에 바람이 가스테이블(A)의 M버너(1)로 불어 연소불꽃(10)이 서미스터(2)를 직접 가열함으로써 검출온도(Th)가 급상승하여 n-1번째의 소요시간(ta)(=ta')이 짧게 계측되면, 다음의 n번째의 소요시간(ta)의 판정시에 있어서의 기준시간이, 보정값 α(=tk/2-ta')가 정(正)의 값이 되어 tk의 값에 가산되므로, 판정조건의 우변이 「tk+(tk/2-ta')」로서 커지게 된다.
여기서, 물(111)의 온도는 실제로는 그 상승한 검출온도(Th)에 도달하지 않았기 때문에, 그후 바람이 그치면 검출온도(Th)는 강하함으로써 다음회의 n번째의 소요시간(ta)이 길어지게 된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판정조건의 우변에 있는 기준시간은 보정값(α)이 가산되어 시간보정되어 있기 때문에, 비동상태로 판정하지 않으므로 비등의 오검지는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가스테이블(A)은 바람의 영향에 의한 비등의 오검지를 방지할 수 있다.
(다) 검출온도(Th)가 85℃→95℃로 상승하는데 소요시간(Δt)에 의거하여 기준시간을 결정하고 있기 때문에(tk=Δt/3), 물등의 피가열액체의 양 및 조리남비의 재질이나 크기의 변경에 대응시킬 수 있다. 즉, 물의 양이 많아 천천히 상승하는 것에서는 Δt가 크게 측정되나, 기준시간(tk+α)도 큰 값이 되기 때문에, 피가열액체의 비등상태를 정확하게 판정할 수 있다.
(라) 물(111)이 비등한 경우, M버너(1)의 연소불꽃(10)이 작은 불꽃으로 되어 비등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비등상태로 된 물을 손쉽게 사용할 수 있음과 아울러 가스를 절약할 수 있으며, 물(111)이 남비(11)에서 넘쳐흐르지 않는다. 또, 5분후에 M버너(1)가 자동소화되기 때문에 안전하다.
이어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청구항 1에 대응)를 설명한다.
상기 제1실시예에서는, 제2도의 플로챠트의 스텝 S11~스텝 S13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n번째의 기준시간을 n-1번째의 Ta'의 값을 이용하여 구한 보정값(α)을 항시 가산하여 결정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4도의 플로챠트에 나타낸 바와 같이, n번째의 소요시간(ta)이 보정전의 기준시간(tk)보다 크게 되어 「ta≥tk」를 만족하여 비등상태로 판정되는 경우(스텝 S15에서 Yes)에만, n-1번째의 ta'를 이용한 보정값(α)을 구하여 가산함으로써, n번째의 소요시간(ta)의 판정에 있어서의 기준시간을 보정(스탭 S14)하고 있다.
따라서, 제1실시예에 준하는 이점 이외에, 비등을 오검지하는 일이 없는 보정 불필요인 경우에는 보정을 하지 않기 때문에 합리적이라는 이점을 가진다.
이어서, 본 발명의 제3, 제4실시예(모두 청구항 2에 대응)를 설명한다.
제1실시예에서는 n-1번째의 소요시간(ta)(=ta')이 작은때, n번째의 소요시간(ta)의 판정에 사용하는 기준시간을 보정하여 크게 하고 있다.
제3, 제4실시예에서는, 제5도 및 제6도의 플로챠트에 나타낸 바와 같이, n-1번째의 소요시간(ta)(=ta')에서 ta'를 이용한 보정값(α)을 감산하여 작게 되도록 보정(ta-α)하고, 기준시간(tk)(제3, 제4실시예에서는 일정값)과의 비교(ta-α≥tk)를 스텝 S16에서 하고 있다.
제3, 제4실시예에서도 제1실시예에 준한 이점을 가진다.
이어서, 본 발명의 제5실시예(청구항 1에 대응) 및 제6실시예(청구항 2에 대응)를 설명한다.
제1, 제2실시예에서는 보정값(α)을 가산(tk+α)하였으나, 승산, 제산(除算)등의 연산을 실시하여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제5실시예에서는 제7도의 플로챠트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정값(α)을 n-1번째의 ta'를 이용하여 스탭 S17에서「α=(tk)/(b×ta')」로 하고(b는 정수), 보정값(α)이 1이상인 경우(스탭 S18에서 Yes)에는 기준시간(tk)에 보정값(α)을 승산(스탭 S20)하여 기준시간(tk)이 크게 되도록 보정하고 있다. 또한, 보정값(α)이 α<1인 경우(스탭 S18에서 No)에는 α=1로 한후(스텝 S19) 스텝 S20으로 진행한다.
또, 제6실시예에서는, 제8도의 플로챠트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정값(α)이 1이상인 경우(스탭 S18에서 Yes)에는 소요시간(ta)을 보정값(α)에서 제산(스탭 S21)하여 소요시간(ta)이 작아지도록 보정하고 있다.
제5, 제6실시예도 제1실시예에 준한 이점을 가진다.
이어서, 본 발명의 제7실시예(청구항 3에 대응)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9도의 플로챠트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스탭 S22에 있어서, n-1번째의 소요시간(ta)(=ta')이 작을 {(tk/2)>ta'}때 (Yes)에는 스탭 S23에 있어서의 비등검지의 판정을 중지하고 있다.
본 발명에서도 제1실시예에 준한 이점을 가진다.
이어서, 본 발명의 제8실시예(청구항 1에 대응)를 설명한다.
제1, 제2실시예에서는, n-1번째의 소요시간(ta)(=ta')이 작다라는 판단을 소정값(tk/2)보다 작은 경우로 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0도의 플로챠트에 나타낸 바와 같이, n-2번째의 소요시간(ta")보다 ta'가 작게 되었을 때, n-1번째의 소요시간(ta)(=ta')이 작다라고 판단하고 있다. 또한 보정값(α)은 「α=ta"-ta'」에서 구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타이머(ta)를 스타트한 후인 초기에 소정시간(ta)이 소정값보다 작을 때까지(바람의 영향이 없음)이 기준시간(tk)이 보정되는 일이 없으므로 합리적이다. 또한, 제3실시예~제7실시예에 대해서도 상기한 바와 마찬가지로 n-1번째의 소요시간(ta)(=ta')이 작다라고 판단하는 경우를, n-1번째의 소요시간(ta)(=ta')이 n-2번째의 소요시간(ta)(=ta")보다 작게 되었을 때로 하여도 된다. 이 경우도 제6실시예에 준한 이점을 가진다.
이어서, 본 발명의 제9실시예(청구항 4에 대응)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비등검출회로(30)의 마이크로 컴퓨터의 동작을 제11도의 플로챠트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스탭 S1에서 「Th=85℃」를 판단하고, Yes(Th=85℃)인 경우에는 스탭 S2로 진행한다.
스탭 S2에서 타이머(T)를 스타트시키고, 스탭 S3으로 진행한다.
스탭 S3에서 「Th=95℃」를 판단하고, Yes(Th=95℃)인 경우에는 스탭 S4로 진행한다.
스탭 S4에서, 타이머(T)를 스톱시키고, 타이머(T)에 의한 계측시간(t)을 소요시간(Δt)으로 하고, Δt를 3으로 나눈 값을 변수(tk)에 대입하고, 타이머(Ta)를 스타트시키고, 스탭 S5으로 진행한다. 단, tk의 값은 최대 60, 최소 5로 하고, 제일 큰 계산값 혹은 제일 작은 계산값은 사용하지 않는다. 또한 변수(tk)의 값은 기술적 수단에 기재한 기준시간에 상당한다.
스탭 S5에서 「Th=96℃」를 판단하고, No인 경우(Th가 96℃가 아닌 경우)에는 스탭 S6으로 진행하고, Yes인 경우 (Th=96℃)에는 스텝 S7로 진행한다.
스텝 S6에서 타이머(ta)의 계측시간이 tb≥tk인 경우(Yes)인가 아닌가(No)를 판단하고, Yes인 경우에는 물(111)이 비등상태에 있다라고 판단하고, No인 경우에는 스텝 S5로 되돌아간다.
스텝 S7에서 타이머(Ta)를 스타트시키고, 스텝 S8로 진행한다.
스텝 S8에서, 검출온도(Th)가 95℃에서 1℃마다 상승하는데 소요되는 소요시간(ta)의 n번째의 계측중에 있어서의 타이머(ta)의 계측시간(tb)의 판정에 대하여, 변수(tk)를 2로 나누고, n-1번째의 소요시간(ta)의 값을 뺀 보정값(α)을 구한다.
스텝 S9에서 보정값(α)이 정(正)인가 아닌가를 판단하고, 정인 경우(Yes)에는 스텝 S11로 진행하고, 부인 경우(No)에는 스텝 S10에서「α=0」로 설정하고, 스텝 S14로 진행한다.
스텝 S11에서 타이머(Ta)를 스타트시키고, 스텝 S12에서 검출온도(Th)가 1℃ 상승하였는가 아닌가를 판단하고, Yes인 경우(Th=Th+1℃)에는 스텝 S7로 되돌아가고, No인 경우에는 스텝 S13으로 진행한다.
스텝 S13에서, 상기 n번째의 소요시간(ta)의 계측 도중에 있어서의 타이머(ta)의 계측시간이 「계측시간(tb)≥변수(tk)+보정값(α)」인가 아닌가를 판단하고, Yes인 경우{타이머(Ta)의 계측시간(tb)≥tk+α}에는 물(111)이 비등상태에 있다라고 판단하고, No인 경우에는 스텝 S12로 되돌아간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에 있어서의 (가)~(라)에 준한 이점을 가지는 것 이외에, 다음과 같은 이점도 가진다.
(가) 본 실시예에서는, 검출온도(Th)가 95℃→96℃에 있어서의 소요시간(ta)의 계측중에 「타이머(Ta)의 계측시간(tb)≥tk」로 된 경우 및 검출온도(Th)=96℃ 이상에 있어서의 소요시간(ta)의 계측중에「타이머(ta)의 계측시간(tb)≥tk+α」로 된 경우에 비등검지회로(30)는 물(111)이 비등상태에 있다라고 판단하고 있다. 따라서, 비등직전등에 있어서, 검출온도(Th)가 평형상태로 되고, 1℃분 상승하지 않았더라도 타이머(ta)의 계측시간(tb)에 의하여 판정되기 때문에, 물(111)의 비등을 확실하게 검지할 수 있다.
이어서, 본 발명의 제10실시예(청구항 5에 대응)를 설명한다.
제10실시예에서는 제12도의 플로챠트에 나타낸 바와 같이, n번째의 비등판정에 사용하는 계측시간(tb)을 n-1번째의 소요시간(ta)의 계측결과가 작을 때(스텝 S9에서 Yes)에는 스텝 S15의 (tb-α)로 나타낸 바와 같이 보정하여 작게 하고 있다.
제10실시예는 제9실시예에 준한 이점을 가진다.
이어서, 본 발명의 제11실시예(청구항 4에 대응) 및 제12실시예(청구항 5에 대응)를 설명한다.
제11실시예에서는, 제13도의 플로챠트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정값(α)을 스텝 S16에서 구하고, n번째의 비등판정에 사용하는 기준시간을 n-1번째의 소요시간(ta)의 계측결과가 작을 때(스텝 S17에서 Yes)에는, 스텝 S19의 (tk×α)로 나타낸 바와 같이, 기준값(tk)에 보정값(α)을 승산하는 보정을 하여 크게 하고 있다. 또한, 보정값(α)<1이 될 때(스텝 S17에서 No)는 α=1(스텝 S18)로 한후, 스텝 S11로 진행한다.
제12도에서는, 제14도의 플로챠트에 나타낸 바와 같이, n번째의 비등판정에 사용하는 계측시간(tb)을 n-1번째의 소요시간(ta)의 계측결과가 작을 때(스텝 S17에서 Yes)에는 스텝 S20의 (tb/α)로 나타낸 바와 같이, 계측시간(tb)을 보정값(α)으로 제산하는 보정을 하여 작게 하고 있다.
제11실시예 및 제12실시예도 제9실시예에 준한 이점을 가진다.
이어서, 본 발명의 제13실시예(청구항 6에 대응)를 제15도의 플로챠트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n-1번째의 소요시간(ta')의 계측결과가 작을 때(스텝 S21에서 Yes)에는 스텝 S22를 실행하지 않게 하여, 비등판정을 하지 않도록 하고 있다.
본 실시예도 제9실시예에 준한 이점을 가진다.
이어서, 본 발명의 제14실시예(청구항 4에 대응)를 설명한다.
제9실시예에서는 n-1번째의 소요시간(ta)이 작다라는 판단을 소정값(tk/2)보다 작은 경우로 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6도의 스텝 S2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정값(α)을 (ta-전회의 ta)로 하여 구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8실시예 및 제9실시예에 준한 이점을 가진다.
이어서, 본 발명의 제15실시예~제19실시예(모두 청구항 7에 대응)를 설명한다.
제15실시예~제19실시예의 가스테이블의 제어유니트는 제17도~제21도의 플로챠트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작동한다.
그리고, 이들 실시예에 있어서, 비등검지회로(30)는 타이머(Ta)에 의한 소요시간(ta) 및 계측시간(tb)에 의거하여 물(111)이 비등상태에 있는가 아닌가를, 보정을 부가한 후에 판정하고 있다.
이들 실시예에 있어서, 소요시간(ta)의 계측중의 타이머(Ta)의 계측시간(tb)과 계측후의 소요시간(ta)의 값에 의하여 물(111)의 비등판정을 하고 있기 때문에, 비등상태를 확실하게 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 이외에 다음과 같은 실시태양을 포함한다.
a. 피가열액체는, 물에 소량의 건더기, 간장, 조미료, 술등이 혼합되어 있어도 된다.
b. 타이머(T)에 의해서 소요시간(△t)을 계측하는 개시온도 및 종료온도가 피가열액체의 비등온도를 어느정도 하회한다면, 다른 온도이어도 되며, 단위온도(X℃)는 1℃ 전후로 적절히 결정하면 된다.
c. 비등검지개시시에 타이머(T)에 의하여 소요시간(△t)을 계측하는 개시온도(85℃) 이상인 경우의 헛(hot)스타트시의 동작은 검지개시시의 검출온도(Th)에 의거하여, 소요시간(△t)의 계측온도범위, 변수(tk)의 산출식 및 타이머(Ta)의 스타트온도를 적절히 변경하면 된다.
d. 변수(tk)의 계산식, 보정값(α)의 산출식, 소요시간(△t) 측정온도범위, 타이머(ta)의 스타트온도는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Claims (7)

  1. 피가열액체가 담겨진 조리용기를 가열하는 가열원과; 상기 조리용기에 접촉되도록 배치되는 온도센서와; 상기 온도센서가 검지하는 검출온도(Th)에 의거하여 피가열액체의 비등을 검지하는 비등검출수단을 구비한 조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비등검출수단은, 상기 검출온도(Th)가 단위온도(X℃)마다 상승하는데 소요되는 소요시간(ta)을 계측하는 타이머(Ta)를 구히마과 아울러, 소요시간(ta)의 계측결과 『ta≥기준시간』을 만족하면 상기 피가열액체가 비등상태에 있다고 판정하고, 상기 판정에 있어서, n번째의 소요시간(ta)의 판정시에 있어서의 상기 기준시간을 n-1번째의 소요시간(ta)(=ta')이 작을 때에는 보정하여 크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장치.
  2. 피가열액체가 담겨진 조리용기를 가열하는 가열원과; 상기 조리용기에 접촉되도록 배치되는 온도센서와; 상기 온도센서가 검지하는 검출온도(Th)에 의거하여 피가열액체의 비등을 검지하는 비등검출수단을 구비한 조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비등검출수단은, 상기 검출온도(Th)가 단위온도(X℃)마다 상승하는데 소요되는 소요시간(ta)을 계측하는 타이머(Ta)를 구비함과 아울러, 소요시간(ta)의 계측결과,『taα기준시간』을 만족하면 상기 피가열액체가 비등상태에 있다고 판정하고, 상기 판정에 있어서, n번째의 소요시간(ta)을, n-1번째의 소요시간(ta)(=ta')이 작을 때에는 보정하여 작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장치.
  3. 피가열액체가 담겨진 조리용기를 가열하는 가열원과; 상기 조리용기에 접촉되도록 배치되는 온도센서와; 상기 온도센서가 검지하는 검출온도(Th)에 의거하여 피가열액체의 비등을 검지하는 비등검출수단을 구비한 조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비등검출수단은, 상기 검출온도(Th)가 단위온도(X℃)마다 상승하는데 소요되는 소요시간(ta)을 계측하는 타이머(ta)를 구비함과 아울러, 소요시간(ta)의 계측결과,『taα기준시간』을 만족하면 상기 피가열액체가 비등상태에 있다고 판정하고, 상기 판정에 있어서, n-1번째의 소요시간(ta)(=ta')이 작을 때에는 n번째의 소요시간(ta)의 계측결과를 상기 비등상태의 판정에 사용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장치.
  4. 피가열액체가 담겨진 조리용기를 가열하는 가열원과, 상기 조리용기에 접촉되도록 배치되는 온도센서와; 상기 온도센서가 검지하는 검출온도(Th)에 의거하여 피가열액체의 비등을 검지하는 비등검출수단을 구비한 조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비등검출수단은, 상기 검출온도(Th)가 단위온도(X℃)마다 상승하는데 소요되는 소요시간(ta)을 계측하는 타이머(ta)를 구비함과 아울러, 상기 타이머(Ta)에 의한 소요시간(ta)의 계측중에, 『계측시간(tb)≥기준시간』을 만족하면 상기 피가열액체가 비등상태에 있다고 판정하고, 상기 판정에 있어서, n번째의 비등판정에 사용하는 기준시간을, n-1번째의 소요시간(ta)의 계측결과가 작을 때에는 보정하여 크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장치.
  5. 피가열액체가 담겨진 조리용기를 가열하는 가열원과; 상기 조리용기에 접촉되도록 배치되는 온도센서와; 상기 온도센서가 검지하는 검출온도(Th)에 의거하여 피가열액체의 비등을 검지하는 비등검출수단을 구비한 조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비등검출수단은, 상기 검출온도(Th)가 단위온도(X℃)마다 상승하는데 소요되는 소요시간(ta)을 계측하는 타이머(ta)을 구비함과 아울러, 상기 타이머(Ta)에 의한 소요시간(ta)의 계측중에, 『계측시간(tb)≥기준시간』을 만족하면 상기 피가열액체가 비동상태에 있다고 판정하고, 상기 판정에 있어서, n번째의 비등판정에 사용하는 계측시간(tb)을, n-1번째의 소요시간(ta)의 계측결과가 작을때에는 보정하여 작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장치.
  6. 피가열액체가 담겨진 조리용기를 가열하는 가열원과; 상기 조리용기에 접촉되도록 배치되는 온도센서와; 상기 온도센서가 검지하는 검출온도(Th)에 의거하여 피가열액체의 비등을 검지하는 비등검출수단을 구비한 조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비등검출수단은, 상기 검출온도(Th)가 단위온도(X℃)마다 상승하는데 소요되는 소요시간(ta)을 계측하는 타이머(ta)을 구비함과 아울러, 상기 타이머(ta)에 의한 소요시간(ta)을 계측하는 타이머(ta)를 구비함과 아울러, 상기 타이머(ta)에 소요시간(ta)의 계측중에, 「계측시간(tb)≥기준시간」을 만족하면 상기 피가열액체가 비동상태에 있다고 판정하고, 상기 판정에 있어서, n-1번째의 소요시간(ta)의 계측결과가 작을 때에는, n번째의 계측시간(tb)을 비등판정에 사용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장치.
  7. 제4항 내지 제6항에 있어서, 피가열액체가 담겨진 조리용기를 가열하는 가열원과; 상기 조리용기에 접촉되도록 배치되는 온도센서와; 상기 온도센서가 검지하는 검출온도(Th)에 의거하여 피가열액체의 비등을 검지하는 비등검출수단을 구비한 조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비등검출수단은, 상기 검출온도(Th)가 단위온도(X℃)마다 상승하는데 소요시간(ta)을 계측하는 타이머(ta)를 구비함과 아울러, 소요시간(ta)의 계측결과, 「소요시간(ta)≥기준시간」을 만족하면 상기 피가열액체가 비등상태에 있다고 판정하고, 상기 타이머(ta)에 의한 소요시간(ta)의 계측중에, 「계측시간(tb)≥기준시간」을 만족하면 상기 피가열액체가 비동상태에 있다고 판정하는 조리장치.
KR1019930019523A 1992-10-12 1993-09-23 조리장치 KR96000457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4273228A JP2543296B2 (ja) 1992-02-28 1992-10-12 調理装置
JP92-273228 1992-10-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8638A KR940008638A (ko) 1994-05-16
KR960004574B1 true KR960004574B1 (ko) 1996-04-09

Family

ID=175249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19523A KR960004574B1 (ko) 1992-10-12 1993-09-23 조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457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9687B1 (ko) * 2015-01-14 2022-04-22 현대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건설기계의 제어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8638A (ko) 1994-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089247B1 (en) Cooking temperature control system
US7102109B2 (en) Induction cooking heater
US4465228A (en) Cooker with heating control system
KR940009596A (ko) 가열조리기
KR910018735A (ko) 가열 조리장치
WO2014028359A1 (en) Device and method for cooktop fire mitigation
JP2000240949A (ja) 調理ユニットのガラスセラミック調理面上に置かれた調理具のボイルドライ状態を検出する方法及び装置
US8217321B2 (en) Method for generating, processing and analysing a signal correlated to temperature and corresponding device
KR101102217B1 (ko) 가스레인지용 안전 장치
SE8704817L (sv) Anordning for att paverka tillagnings- eller koktiden vid ett kokkerl
KR960004574B1 (ko) 조리장치
US6888110B2 (en) Method and device for detecting heating processes
JPH04109914A (ja) 炊飯器
KR20070110744A (ko) 조리기구의 과열방지장치 및 그 방법
JP2543296B2 (ja) 調理装置
KR960000242B1 (ko) 조리장치
JPH0257412B2 (ko)
JPH077873Y2 (ja) 揚げ物調理器
JPH0137923B2 (ko)
KR20200064797A (ko) 조리기기의 안전에 따른 화력제어 표시방법
CN111984043B (zh) 烹饪器具加热控制方法、装置、设备及烹饪系统
KR100429417B1 (ko) 가스레인지의비등점검지장치및그방법
KR102431458B1 (ko) 알람쿡 가스레인지
JP2722428B2 (ja) 調理装置
JPS58123026A (ja) 調理用温度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329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