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4521Y1 - 에어백이 장착된 스티어링휠의 혼스위치 - Google Patents

에어백이 장착된 스티어링휠의 혼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4521Y1
KR960004521Y1 KR2019940019109U KR19940019109U KR960004521Y1 KR 960004521 Y1 KR960004521 Y1 KR 960004521Y1 KR 2019940019109 U KR2019940019109 U KR 2019940019109U KR 19940019109 U KR19940019109 U KR 19940019109U KR 960004521 Y1 KR960004521 Y1 KR 96000452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ring wheel
airbag module
horn
guide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1910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04854U (ko
Inventor
전중근
Original Assignee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김태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김태구 filed Critical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40019109U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4521Y1/ko
Publication of KR96000485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485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452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4521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5Electro-mechanical devices, e.g. switch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03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steering wheels or steering colum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 Bags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에어백이 장착된 스티어링휠의 혼스위치
제1도는 종래의 스티어링휠을 보인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설치상태 사시도.
제3a도, 3b도는 본 고안의 작동상태를 보인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스티어링휠 1a : 관통공
2 : 에어백 모듈 2a : 돌부
3 : 지지판 3a : 굴곡부
4 : 스프링 5 : 가이드
5a : 삽입공 6 : 접점나사
7 : 접점단자 8 : 나사
본 고안은 에어백이 장착된 스티어링휠의 혼스위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스티어링휠 중앙에 장착된 에어백모듈을 눌러주는 것만으로 혼스위치를 작동시킬 수 있게 한 것이다.
종래에는 충돌사고시 운전자를 보호하기 위하여 스티어링휠(a)의 중앙에 에어백 모듈(b)을 장착한 자동차에 있어서는 혼스위치(c)를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백 모듈(b)의 양측에 별도로 설치하여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스티어링휠(a)은 혼스위치(c)가 양측에 별도로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혼스위치(c)를 작동시키기 위해서는 별도로 구비된 혼스위치(c)를 찾는데 시간이 걸릴 수 밖에 없어 급박한 상황에서 혼스위치(c)를 작동시키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렇게 운전자가 급박한 상황에서 혼스위치(c)를 찾기 위해 시간이 지연된다는 것은 곧바로 사고로 직결되게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혼 배선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접점나사로 가이드와 지지판을 눌림부가 스프링에 의해 탄력지지되게 스티어링휠에 결합하고, 에어백 모듈의 하부에는 접점단자를 갖는 돌부를 돌설하며, 상기 돌부가 가이드에 삽입되게 눌림부를 나사로 에어백 모듈에 결합한 혼스위치를 제공하여 스티어링휠 중앙의 에어백 모듈을 눌러주게 되면 혼스위치가 온되게 함으로써 혼 작동시마다 혼스위치를 찾아야 되는 번거로움을 일소하고, 운전자가 급박한 상황에 직면해서도 에어백 모듈을 눌러주는 것만으로 혼을 작동시킬 수 있게 하여 사고의 위험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스티어링휠(1)의 중앙에 에어백 모듈(2)이 장착된 것에 있어서, 상기 스티어링휠(1)의 외측 하부에 천공된 관통공(1a)과; 상기 스티어링휠(1)의 내부에 타측의 굴곡부(3a)가 스프링(4)에 의해 탄력지지되고, 일측이 가이드(5)와 함께 혼 배선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접점나사(6)로 결합된 지지판(3)과; 상기 가이드(5)의 상부에 형성된 삽입공(5a)과; 상기 에어백 모듈(2)의 저면에 접점단자(7)를 갖게 돌설된 돌부(2a)와; 상기 돌부(2a)가 가이드(5)의 삽입공(5a)에 삽입되게 관통공(1a)을 통해 굴곡부(3a)를 에어백 모듈(2)에 체결하는 나사(8)로 구성된 것이다.
이와 같이 된 본 고안은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티어링휠(1)의 중앙에 에어백 모듈(2)이 장착되어 있으며, 별도로 혼스위치를 설치할 필요가 없다.
즉, 스티어링휠(1)의 전체에 에어백 모듈(2)을 보다 넓게 장착하여 자동차 충돌사고시 에어백에 의한 충격흡수효과를 증대시키고, 에어백 모듈(2)의 장착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운전자가 혼을 작동시키려고 할 경우에는 스티어링휠(1)의 전면을 차지하고 있는 에어백 모듈(2)을 눌러주면된다. 에어백 모듈(2)을 눌러주게 되면 돌부(2a)가 가이드(5)의 삽입공(5a)에서 하향으로 내려가고, 이에 따라 돌부(2a)의 접점단자(7)가 접점나사(6)에 제3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속되게 되고 혼이 작동하게 되는 것으로, 이때 지지판(3) 타측의 누름부(3a)는 에어백 모듈(2)에 의해 눌려지고 이에 따라 스프링(4)은 압축된다.
이렇게 에어백 모듈(2)을 눌러주는 것은 종래 별도로 마련된 혼스위치를 온시킨 것과 마찬가지로서 접점단자(7)가 접점나사(6)에 닿아있는 동안에는 혼에 전원이 인가되어 경적을 발하게 되는 것이다.
에어백 모듈(2)을 누르고 있던 힘을 제거하게 되면 압축된 스프링(4)과 누름부(3a)의 복원력이 에어백 모듈(2)에 작용하여 돌부(2a)가 가이드(5)의 삽입공(5a)에서 상승하게 되고, 이에 따라 돌부(2a)의 접점단자(7)가 접점나사(6)에서 제3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떨어지게 되어 혼이 오프되게 된다. 이렇게 에어백 모듈(2)에서 손을 떼어 접속단자(7)가 접점나사(6)에서 떨어지는 것은 종래 별도로 마련된 혼스위치를 오프시킨 것과 동일한 것이다.
즉, 본 고안은, 운전자는 혼 작동시마다 별도로 마련된 혼스위치를 찾을 필요없이 스티어링휠(1) 중앙의 에어백 모듈(2)을 눌러주는 것만으로 혼을 작동시킬 수 있기 때문에 편리할 뿐만 아니라 급박한 상황에서도 혼을 용이하게 작동시킬 수 있어 사고의 위험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한편, 에어백 모듈(2)에 의해 작동되는 본 고안의 혼스위치를 정비하려고 할 경우에는 스티어링휠(1)의 관통공(1a)을 통해 나사(8)을 풀러낸 후 에어백 모듈(2)을 분해하면 되는 것으로, 접점나사(6)를 스티어링휠(1)에서 풀러내면 가이드(5)와 지지판(3)을 교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혼 배선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접점나사(6)로 가이드(5)와 지지판(3)을 눌림부(3a)가 스프링(4)에 의해 탄력지지되게 스티어링휠(1)에 결합하고, 에어백 모듈(2)이 하부에는 접점단자(7)를 갖는 돌부(2a)를 돌설하며, 상기 돌부(2a)가 가이드(5)에 삽입되게 눌림부(3a)를 나사(8)로 에어백 모듈(2)에 체결한 혼스위치를 제공하여 스티어링휠(1)에 장착된 에어백 모듈(2)을 눌러주는 것만으로 혼이 작동되게 함으로써 급박한 상황에서도 운전자가 혼을 편리하게 작동시킬 수 있게 하여 사고의 위험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한 것이다.

Claims (1)

  1. 스티어링휠(1)의 중앙에 에어백 모듈(2)이 장착된 것에 있어서, 상기 스티어링휠(1)의 외측 하부에 천공된 관통공(1a)과; 상기 스티어링휠(1)의 내부에 타측의 굴곡부(3a)가 스프링(4)에 의해 탄력지지되고, 일측이 가이드(5)와 함께 혼배선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접점나사(6)로 결합된 지지판(3)과; 상기 가이드(5)의 상부에 형성된 삽입공(5a)과; 상기 에어백 모듈(2)의 저면에 접점단자(7)를 갖게 돌설된 돌부(2a)와; 상기 돌부(2a)가 가이드(5)의 삽입공(5a)에 삽입되게 관통공(1a)을 통해 굴곡부(3a)를 에어백 모듈(2)에 체결하는 나사(8)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이 장착된 스티어링휠이 혼스위치.
KR2019940019109U 1994-07-29 1994-07-29 에어백이 장착된 스티어링휠의 혼스위치 KR96000452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19109U KR960004521Y1 (ko) 1994-07-29 1994-07-29 에어백이 장착된 스티어링휠의 혼스위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19109U KR960004521Y1 (ko) 1994-07-29 1994-07-29 에어백이 장착된 스티어링휠의 혼스위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4854U KR960004854U (ko) 1996-02-16
KR960004521Y1 true KR960004521Y1 (ko) 1996-06-03

Family

ID=193897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19109U KR960004521Y1 (ko) 1994-07-29 1994-07-29 에어백이 장착된 스티어링휠의 혼스위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4521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4854U (ko) 1996-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02451B2 (en) Airbag frame apparatus
JP3033304U (ja) 小さい変位で作動し、保守の容易な運転者側エアバッグ・モジュール内のクラクション吹鳴用センタ・スイッチ
EP0360167B1 (en) Vehicle deceleration warning piezo-sensor
US8939466B2 (en) Airbag frame apparatus
JP3040525U (ja) 車両の膨張型乗員拘束モジュールのハウジングを車両の操舵ハンドル支持体に装着するための装着装置、車両の膨張型乗員拘束モジュールと該モジュールを操舵ハンドル支持体に装着するための装着装置との組み合わせ、及び車両の膨張型乗員拘束モジュールのハウジングを車両の操舵ハンドル支持体に装着するための弾性圧縮可能な部材
US20040004344A1 (en) Horn switch integrated with airbag module
KR960004521Y1 (ko) 에어백이 장착된 스티어링휠의 혼스위치
KR20030031219A (ko) 자동차의 에어벤트 조절용 노브 어셈블리
JPH06270816A (ja) 各種スイッチを備えた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
JP4018846B2 (ja) 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
JPH0528778U (ja) 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
KR101372551B1 (ko) 제어판 체결장치.
KR19980028341U (ko) 스티어링 휠의 혼 스위치 구조
KR200174347Y1 (ko) 자동차의 보조 브레이크등
KR0132821Y1 (ko) 자동차의 에어 백 코넥터 취부구조
JPH09142252A (ja) 側突緩衝パッドの取付構造
KR0157393B1 (ko) 자동차용 콤비네이션 스위치 장착구조
KR100542590B1 (ko) 자동차의 경음기
KR100543248B1 (ko) 차량의 전장품용 인쇄회로기판의 단락방지 구조
KR100597502B1 (ko) 자동차의 전동파워스티어링용 제어유닛의 구조
US20020195325A1 (en) Membrane switch for floater modules
KR19980040455U (ko) 에어백 하우징 고정장치
KR0134002Y1 (ko) 스티어링 휠의 혼스위치
KR19990058778A (ko) 스페어타이어 이탈경고장치
KR0180313B1 (ko) 에어백 차량의 혼 스위치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