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4350B1 - 열가소성폴리머에 대전방지특성을 주는 대전방지제 및 그 대전방지제를 포함한 열가소성폴리머 조성물 - Google Patents

열가소성폴리머에 대전방지특성을 주는 대전방지제 및 그 대전방지제를 포함한 열가소성폴리머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4350B1
KR960004350B1 KR1019870011320A KR870011320A KR960004350B1 KR 960004350 B1 KR960004350 B1 KR 960004350B1 KR 1019870011320 A KR1019870011320 A KR 1019870011320A KR 870011320 A KR870011320 A KR 870011320A KR 960004350 B1 KR960004350 B1 KR 9600043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mixture
antistatic
fatty acid
thermoplastic poly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113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05182A (ko
Inventor
아르. 해븐스 마르빈
Original Assignee
더블유. 아르. 그레이스 앤드 캄파니-콘
로날드 에이. 볼리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더블유. 아르. 그레이스 앤드 캄파니-콘, 로날드 에이. 볼리커 filed Critical 더블유. 아르. 그레이스 앤드 캄파니-콘
Publication of KR8800051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51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43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4350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06Ethers; Acetals; Ketals; Ortho-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0Esters; Ether-esters
    • C08K5/101Esters; Ether-esters of monocarboxylic acids
    • C08K5/103Esters; Ether-esters of monocarboxylic acids with polyalcoho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6Poly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07Copolymers of ethene with unsaturated hydrocarbons only containing more than three carbon atoms
    • C08L23/0815Copolymers of ethene with aliphatic 1-olef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46Copolymers of ethene with unsaturated hydrocarbons containing other atoms than carbon or hydrogen atoms
    • C08L23/0853Vinylacet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2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23/02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 treatment
    • C08J23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J2323/06Poly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1/00Compositions of polyeth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1/02Polyalkylene oxid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S428/91Product with molecular orient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S428/922Static electricity metal bleed-off metallic stock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479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including variation in thickness
    • Y10T428/24612Composite web or shee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628Nonplanar uniform thickness material
    • Y10T428/24661Forming, or cooperating to form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9921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 Y10T428/249953Composite having voids in a component [e.g., porous, cellular, etc.]
    • Y10T428/249971Preformed hollow element-containing
    • Y10T428/249972Resin or rubber ele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9921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 Y10T428/249953Composite having voids in a component [e.g., porous, cellular, etc.]
    • Y10T428/249978Voids specified as micro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9921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 Y10T428/249953Composite having voids in a component [e.g., porous, cellular, etc.]
    • Y10T428/249978Voids specified as micro
    • Y10T428/249979Specified thickness of void-containing component [absolute or relative] or numerical cell dimens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9921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 Y10T428/249953Composite having voids in a component [e.g., porous, cellular, etc.]
    • Y10T428/249978Voids specified as micro
    • Y10T428/24998Composite has more than two lay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855Of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s
    • Y10T428/31909Next to second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s
    • Y10T428/31913Monoolefin polym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Wrapper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열가소성폴리머에 대전방지특성을 주는 대전방지제 및 그 대전방지제를 포함한 열가소성폴리머 조성물
본 발명은 열가소성폴리머에 첨가할 때 대전방지특성을 주는 대전방지제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대전방지제 폴리머는 예로서 정전기에 예민한 전기장치의 포장을 하는데 유용하다.
두면을 서로 접촉할 때 전자의 이동이 발생하여 두면을 분리할 경우 잔류정전기 전하가 얻어진다.
이와 같은 현상은 마찰전기(triboelectricity)로 알려졌다.
그 표면이 하나의 전도체인 재질로 구성될 경우, 그 전자는 신속하게 분산됨으로써 과잉의 전하를 제거한다.
반면에, 그 표면이 절연체(유전체:dielectric)인 재질로 구성될 경우 그 표면전하는 분산시키는데 너무 장시간이 걸린다.
그러나, 열가소성폴리머는 대표적으로 우수한 절연체로서, 그 절연체는 1014ohms/평방 이상의 상당히 높은 표면저항을 가진다.
따라서, 그 절연체는 방전특성을 필요로 하는 용도에 대해서는 불충분하다.
그 폴리머가 비도전성(noncondiretive)인 경우, 이들의 폴리머는 먼지와 오물의 흡인을 증가시키는 높은 전하를 쌓이게 하여, 접촉하는 낮은 전위체로 방전시킬 수 있다.
폴리머가 방전특성을 갖도록 개질(改質, modify)시키기 위해서는 폴리머의 저항성을 저하시켜야 한다.
즉, 정적소실(static dissipation) 속도를 증가시키는 도전성(conductivity)을 증가시킨다.
종래에는 대전방지제를 사용하여 도전성 향상을 달성하게 되었는바, 표면의 정전하감쇄(decay)를 촉진시킴으로써 밀착효과(clinging effect)를 감소시키며 스파크방전(spark disckarge)을 제거하고 분진(dust)의 축적을 방지한다.
정전하는 대기중의 수분함량을 증가시킴으로써 감소시킬 수 있다는 것은 널리 알려진 사실이다.
따라서, 종래의 해결방법은 대전방지제를 사용하였는 바, 그 대전방지제는 폴리머를 화학적으로 개질시켜 그 폴리머에 친수성을 주어 수분을 흡수하는 작용기(functional group)를 제공한다.
예로서, 종래의 코팅방법에 의해 폴리머에 외부 대전방지제를 첨가시키는 것은 공지된 사실이다.
또 폴리머에 양적으로(volume) 분산시키는 내부 대전방지제를 첨가하는 것도 공지된 사실이다.
즉, 모울딩 또는 필름-형성작업을 하기전에 또는 하는 동안에 배합(compounding) 또는 압출에 의해 그 폴리머에 결합하게 되는 것이다.
이들의 대전방지제는 그 폴리머표면으로 이행(移行 : migration)됨으로써 작용한다.
이와같이 이행은 폴리머 화학기술에서 "블루밍(blooming)" 효과라 한다.
그 대전방지제가 양적으로 분산되지 않으나, 그 대신 그 표면으로 블루밍(blooming)을 할때 그 수분흡수 메카니즘은 그 외부 대전방지제와 동일하게 작용한다.
그 대기중의 수분은 정전하의 감쇄로 인하여 흡수된다. 따라서, 높은 블루밍율(high rate of blooming)을 필요로 한다.
다음의 공지된 대전방지제는 위에서 설명한 방법으로 작용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외부 대전방지제의 예는 미국특허 제3,223,545(Gallaugher)에 기재되어 있는바, 고형폴리머의 표면에 사용한 휘발성용액에 분산시킨 다음 일반식의 디알카놀아미드에 대해서 기술되고 있다.
Figure kpo00001
여기서 R은 C6-C16알킬기, n은 2-4의 정수 또다른 외부 대전방지제는 미국특허 제4,268,583호(1981)(Hendy)에 기재되어 있는바, 클로린클로리드 등의 4급 암모늄화합물(a), 글리세롤 등 적어도 2개의 자유 히드록실기를 포함하는 유기폴리올(b), 글리세릴모노스테아레이트 등 장쇄지방산(long chain fatty acid)의 글리세리드(c) 및선택적으로 에톡실레이티드 탤로우 아민술페이트(ethoxylated tallow amine sulphate)등 에톡실레이트 아민염(d)으로 조성된 대전방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히드시일링(heat-sealing)을 할 수 있는 폴리머표면층과 폴리프로필렌기층을 가진 대전방지필름에 관한 것이다.
상기 조성물은 폴리머 엑스트루데이트(extrudate)(압출된 용융재료) 표면에 직접 사용하는 것이 편리하며, 이 엑스트루데이트는 그 다음 연신시켜 연신(drawing)필름(oriented film)을 얻는다.
그러나, 적어도 그 글리세리드를 예비혼합(preblend)시켜 필름-형성폴리머를 형성한다.
내부 대전방지제의 한가지 예가 미국특허 제3,220,985호(breslow)에 기술되어 있는바, 여기서 일반식 RSO2N3[R은 개질반응에 불활성인 유기래디컬(organic radical)이다]의 모노술폰아지드로 히드로카본 폴리머를 개질시키는 것에 대해서 기재되어 있다.
예로서, 파라-톨루엔 술폰아지드를 미세한 폴리프로필렌의 아세톤슬러리에 첨가시킨다음 실온에서 교반시켜 아세톤솔벤트를 증발시켰다.
그 다음 그 결과 얻어진 물질을 2시간 160℃에서 가열하였다.
또다른 내부 대전방지제는 미국특허 제3,164,481호(shibe)에 기재되어 있는바, 여기서는 4급 암모늄벤조 설프이미드(sulfimide)를 플라스틱과 결합시켜 구성하는 기술에 대해서 기술되어 있다(더 명백히하면, 벤조 설프이미드가 삭카린으로 알려진 것이다).
예로서, 발명자 시이브(shibe)를 도데실 벤질 트리메틸 암모늄벤조설프이미드와 함께 용융시킨 이폴렌이(Epolene E)(미국 Tennessee 주 Kingsport 시 Eastman Chemical Products, INC.에서 제공하는 폴리에틸렌)에 대해서 기술되어 있다.
내부 대전방지제는 또 미국특허 제3,576,649호(Brazier)에 기재되어 있다.
이 특허는 전기적으로 비도전성인 분말재포장에 관한 것이다.
이 포장은 가열에 의해 봉할 수 있는 에틸렌폴리머 내부층(inner layer)을 가지며 지방산 아미드를 상기 에틸렌폴리에 포장되는 분말재가 열에 의해 밀봉되어 완전한 포장을 형성하는 필름영역에 흡인되지 않는 양으로 첨가하여, 예로서 그 포장이 형성되는 필름이 폼(form) 및 필(fill) 타입의 포장기계를 통과할 때 정전기전하가 발생하면 분말재의 흡인이 발생할 수도 있다.
또, 미국특허 제3,441,552호(Rombusch 등)에서도 내부 대전방지제에 대해서 기술되어 있는바, 이 특허에서는 다음식의 알콕시프로필아민과 폴리올레핀의 결합에 대해서 기술되어 있다.
Figure kpo00002
위 식에서, R1은 알킬, 알케닐, 알킬시클로알킬, 아릴, 알킬아릴, 또는 알케닐아릴기(알킬 또는 알케닐기의 탄소수는 6-25, 바람직하게는 8-18이고, 시클로알킬의 탄소수는 4-18, 바람직하게는 6-12이며, 아릴의 탄소수는 6-14, 바람직하게는 6-10임), R2및 R3는 각각 수소원자 또는 탄소수 1-5의 알킬 또는 알케닐기이다.
예로서, 옥타레실톡시-프로필-N, N-디메틸아민을 폴리프로필렌 10Kg으로 블렌더(blender) 내에서 균질화한다.
그 결과 얻어진 물질을 입자상으로 하며, 그 조립화(gramulation)에 의해 사출성형판이 얻어진다.
또다른 내부 대전제는 미국특허 제4,554,210호(1985)(Long 등)에 기술되어 있다.
여기서는 포장재내에 채운 정전기 감수성재로 포장하고 오염을 방지하여 적층할 수 있고, 대전방지되고 열에 융착시킬 수 있는 포장재에 있어서 표면저장이 적어도 1×1016옴/평방인 열봉착할 수 있고 반전도성 폴리에틸렌의 제1외층(first outer layer)와, 표면저장이 적어도 1×1016옴/평방인 열봉착할 수 있고 반전도성 폴리에틸렌의 제2외층(second outer layer)와, 용량저항(volume resistivity) 1×103옴/cm 이하의 중간층을 구성한 제거가능한 전도성재로 침지한 열봉착폴리에틸렌의 중간층을 구성하여 상기 중간층이 상기 제1외층과 제2외층 사이에서 샌드위치식으로 결합할 수 있게 간삽되어 상기 정전기 감수성재가 상기 포장재에 열봉착할 수 있게 포장될 때 정전기감수성재를 오염시키는 상기 중간층을 상기 전도성재가 제거되지 못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에 대해서 청구되어 있다.
또한, 내부 대전방지제는 미국특허 제4,600,743호(1986)(shizuhi 등)에 기술되어 있다.
여기서, 폴리옥시알킬렌-글리콜과 그 유도체중 적어도 하나가 0.5wt% 이하의 양을 포함하는 섬유-형성용 열가소성폴리머의 용융방사(melt spinning)에 의해 얻어진 대전방지섬유에 있어서, 중량감소제와 처리하기 전후에 걸쳐 전하누전의 반감시간이 150초 이하이고, 중량감소제와 처리할 때 표면의 길이방향에서 평행하게 배열한 다스의 스트릭(streaks)을 제공하는데 그 특징이 있음을 기술하고 있다.
내부 대전방지제는 또 미국특허 제4,117,193호(1978)(Tsuchiya 등)에 기재되어 있는바, 여기서는 폴리머 혼합조성물을 적층시켜 용융압출에 의해 얻어진 새로운 복합필름에 있어서 에틸렌-부텐코폴리머의 저결정 성수지(low-crytalline resin)와, 일축연신 폴리프로필렌필름의 일면 또는 양면에 윤활제와 앤티-블록킹제(ant-blocking agent)를 조합한 폴리올레핀수지를 구성시켜 상기 폴리올레핀을 연신시키는 방향에 수직 방향으로 적층 필름을 연신시키고, 그 얻어진 필름에 코로나방전처리를 선택적함을 특징으로 하는 기술구성이다.
본 발명에 유용한 대전방지제는 거의 비흡습성(non-hygroscopic)이고, 거의 비이행성(non-migratable)이다.
이와 같이, 위에서 열거한 대전방지제 폴리머조성물과는 달리 본 발명의 대전방지제 폴리머조성물의 대전 특성을 상대습도와 거의 관련성이 없으며 그 대전방지제는 거의 그 폴리머에 분산시킨 용량을 가진다.
따라서, 정적감지장치(static sensitive device)와 앞서 설명한 대전방지제 폴리머조성물과 접촉할 때 표면오염과 부식에 대한 문제를 제거하였다.
예로서, 그 대전방지제를 포함한 본 발명의 폴리머에 의해 단일 및/또는 다수겹 필름을 만들수 있다.
이와 같은 필름은 정전하를 분산시키는 경향이 크다.
예로서, 필름을 만들기 위하여 폴리에틸렌, 예로서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 또는 선상 저밀도 폴리(LLDPE) 등의 강도로 알려진 폴리머와 함께 그 조성물을 혼가 및/또는 압출을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필름은 정전기에 감응되는 전자기계에 있어서 오우버랩(over-wrap) 또는 백(bag) 등의 포장을 만드는데 유용하다.
이와 같은 필름은 또 회로기판을 쿠셔닝(cushioning)후 포장(baggingor wrapping)을 하는 버블 캡포장(bubble cap packaging)을 얻기 위한 미국특허 제4,576,669호(caputo) 및 제4,579,516호(caputo)에 기재된 바와 같은 버블캡(에어쿠셔닝:air cushioning)으로 알려졌음) 기계를 사용함으로써 쿠셔닝 특징을 같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쿠셔닝 버블캡 재료는 역시 미국특허 제4,494,651호(1985)(Malcolm)에 기재된 간편한 작동장치(portable work station) 등 정전기 감응장치의 저장 및 운반에 사용되는 간편한 작동장치를 배열하는데 유용하다.
이와 같은 필름은 역시 쿠션형상으로 할 수도 있고 하지 않을 수도 있으며 가연성산소 및/또는 에테르가 존재하며 정전기를 보호해야 하는 의료용수술실의 기계를 포장하는데 유용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그 대전방지제가 거의 비이행성이고(non-migratable) 그 폴리머내에서 분산된 용량이 거의 그대로 존재하는 대전방지제 폴리머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정전감응장치를 포장하는데 유용한 단일겹 또는 여러겹 필름의 대전방지제 폴리머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더 나아가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정전하를 분산시키는 경향이 큰 상기 필름을 제공하는데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대전특성(antistatic characteristics)을 가지며, 대전방지제를 가진 첨가물에 열가소성 폴리머를 조성한 열가소성폴리머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폴리머조성물은 본 발명의 대전방지제를 포함하지 아니한 동일한 폴리머와 비교할 때 실제로 더 전도성이다.
본 발명의 폴리머가 20wt%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15wt% 이하로 포함되게 그 대전방지제가 그 폴리머와 조합될 때 그 대전방지제는 크기의 정도에 따라 수배 정도까지 폴리머의 전도율을 점차로 증가시킨다.
그 대전방지제를 그 폴리머와 조합시키는데 필요한 특정방법은 없다.
위 발명의 배경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공지의 용매에 의해 "습식"(wet)블렌딩(blending), 용융블렌딩, 또는 건식 블렌딩 방법중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이 증가전도율은 또 그 대전방지제를 포함하는 폴리머의 힘율(abilirty)를 나타내어 정전하감쇄(static charge decay)를 촉진시킨다.
즉, 정전하를 분산시킨다.
그 폴리머단독은 정전하를 분산시키지 않으나, 그 대전방지제를 포함하는 폴리머는 짧은시간, 즉 20초 이하, 좀더 바람직하게는 5초 이내, 가장 바람직하게는 2초 이내(2000밀리초)에서 ±5000볼트직류의 인가정전하의 90%를 분산시킬 수 있다.
국방부(DOD)와 전자공업협회(EIA)는 다음과 같은 옴/평방의 재질의 표면저항(Suface resistivity)에서 독자적인 표준을 각각 가진다.
표면저항범위(suface resistivity Ranges)
Figure kpo00003
위 표에서와 같이, 2가지의 주요한 차이가 있다.
하나는 EIA가 절연성에 있어서 약 1013옴/평방 이상인데 반하여 DOD는 약 1014옴/평방 이상이다.
다른 하나는 EIA가 대전방지성에 있어서 약 1013-105옴/평방의 범위를 가져 결과적으로 대전방지성은 정전분산성과 동일하게 된다.
반면에, DOD는 대전방지성에 있어 약 1014-약 109옴/평방으로 분활되고 정전분상성에 있어 약 109내지 105옴/평방으로 분할할 수 있다.
문헌, 특히 고문헌(older literature)에서는 정전기에 대한 기술에 있어 정전분산성과 대전방지성을 인용하고 있다.
이와 같이, 여기서 사용되는 "대전방지성"이란 용어는 표면저항이 약 109-1014옴/평방(국방부 표준)인 재료 및/또는 짧은시간, 바람직하게는 약20초 이하, 좀더 바람직하게는 약5초 이하,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2초 이하(연방시험방법 101 C, Method 4046.1, "재료정전특성")에서 ±5000볼트직류의 인가정전하를 99% 분산시킬 수 있는 재료 및/또는 약 105-1013옴/평방(전자공업협회의 대체기준)의 표면저항을 가진 재료를 말한다.
필름이 제조는 아래와 같이하여 얻어진다.
예로서, 수축필름의 제조는 일반적으로 압출 또는 코엑스트루숀(coextrusion) 다이(die)에서 "상기 흐름이나 용융점까지 관형상(tubular) 또는 평면상(sheet)으로 가열시키는 열가소성수지재를 압출(단층필름) 또는 코엑스트루숀(다층필름)시킴으로써 얻을 수 있다.
포스트엑스트루숀(post extrusion) 냉각을 시킨후 비교적 두터운 "테이프(tape)" 엑스트루데이트(압출된 용융재료)(extrudate)를 연신온도범위내의 온도까지 다시 가열시키고 연신하여 그 재료의 미결정 및/또는 분자를 연신 또는 배열시킨다.
주어진 재료의 연신온도범위는 그 재료를 구성하는 서로 다른 수지상폴리머 및/또는 그 블렌드에 따라 다르다.
그러나, 주어진 열가소성수지재의 연신온도범위는 일반적으로 그 재료의 결정성 용융점 이하라고 말할 수 있으나, 2차 전이온도(글라스 전이점, glass transition point) 이상이라고도 말할 수 있다.
이 온도범위내에서, 그 재료는 효과적으로 연신시킬 수 있다.
용어 "연신(orientetion)" 또는 "연신시킴"(oriented)이라는 말은 여기서 수지상 열가소성폴리머 재료를 연신시킨 후 즉시 냉각시킴으로써 얻어진 생성물특성과 처리공정을 기술하는데 사용되며, 이 수지상 열가소성폴리머 재료는 필름의 기계적특성, 예로서 수축장력과 연신이탈응력(release stress)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그 재료의 결정성 및 또는 분자의 물리적배열에 의해 그 재료의 분자내구조를 개정(rivised)하도록 그 연신 온도범위내에서의 온도로 가열시킨다.
이들의 두 기계적특성은 ASTM D 2838-81에 따라 측정할 수 있다.
그 연신력을 일방향으로 가할 때 단축연신이 얻어진다.
그 연신력이 동시에 두 방향으로 가하여질 때 2축 연신이 얻어진다.
"연신"(oriented)이라는 말은 또 연신시키고 냉각시키면서 그 연신크기를 거의 그대로 유지시킴으로써 고정시키는 재료로서 "열수축"(heat-shrinkasle)이라는 용어와 서로 바꾸어 사용된다.
연신(oriented)(즉 열수축)재료는 알맞은 고온으로 가열할 때 원래의 무연신(늘어나지 아니함) 크기로 되돌아 가려는 경향이 있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필름을 제조하는 기본적인 방법에 의해 일단 압출(또는 다층필름일 경우 공압출)시켜 초기에 냉각시킨 필름을 그 연신온도범위내에서 다시 가열시켜 신장에 의해 연신됨을 알 수 있다.
연신하기 위한 그 신장은 예로서 "트램피드버블"(trapped bubble) 기술이나 "텐터 프레밍(tenter framing)"에 의해 달성할 수 있다.
이들의 방법은 통상적으로 잘 알려진 것으로 연신공정이기 때문에 그 재료는 횡 또는 종방향(TD)으로 및/또는 길이 또는 기계방향(machine direction)(MD)으로 신장된다.
신장시킨 후, 그 필름은 신속하게 급냉시키면서 동시에 그 신장크기를 유지하고, 그 필름을 신속하게 냉각시킨다음 그 연신분자구조를 고정(set or lock-in)한다.
물론, 연신이 없는 필름을 필요할 때, 즉 무연신(non-oriented) 또는 비-열수축(non-heat shrinkable) 필름을 필요로 할때, 그 필름은 무연신재에서 형성시킬 수 있고, 또 연신재로부터 얻을경우 "핫블로운(hot blown)" 기술로 알려진 "트랩피드 버블(trapped bubble)" 기술을 사용하여 튜브에서 필름을 형성할 수 있다.
핫블로운 필름(hot blown film)을 형성할 때, 그 튜브는 압출 또는 공압출후 초기에 냉각을 하지 않으나, 압출 후 즉시 핫블로운 버블(hot blown bubble)에 의해 처음으로 신장시키면서 그 튜브가 그 재료의 연신온도범위 이상의 고온에 있도록 한다.
그 다음, 그 필름을 공지의 방법으로 냉각시킨다.
이와 같은 통상의 기술은 이 방법에서 잘 알려진 것으로 그 결과 얻어진 필름은 거의 무연신특성을 가진다.
무연신필름을 형성시키는 다른 방법은 공지되어 있다. 캐스트압출(cast extrusion) 또는 캐스트공압출 방법은 동일하게 잘 알려진 대표적 방법이다.
필름이 어떤 구조로 형성되어도(무연신분자구조 또는 신장-연신분자구조) 그 필름은 롤(roll)에 공급할 수 있고 광범위한 여러가지 제품을 포장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그 재료가 "트랩피드 버블(trapped bubble)" 기술에 의해 제조되면 그 재료는 관상형상(tubular form)으로 형성시킬 수 있고, 또 슬릿팅(sliting)시켜 개방하여(open up) 필름재시이트를 형성한다.
이점에 대해서, 포장되는 생성물은 파우치(pouch) 또는 백을 형성하기에 필요하고 적합한 그 필름을 열시일링(heat sealing)을 한다음 생성물을 넣어 둠으로써 그 재료로 우선 포위시켜 포장할 수 있다.
또, 그 재료의 시이트를 사용하여 그 생성물을 오우버 랩핑(over-wrapping)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포장방법은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공지되어 있다.
그 재료가 열수축형인 경우, 포장(wrapping)을 한후 그 포장제품을 고온으로 처리할 수 있다.
예로서, 그 포장제품을 열공기터널(hot air tunnel)에 관통시켜 처리할 수 있다.
이 방법에 의해 그 포장된 열수축필름이 그 제품의 주위에서 수축됨으로써 그 제품의 형상구조에 밀접하게 일치하는 기밀한 포장(tight wrapping)이 얻어진다.
위에서와 같이, 그 필름시이트 또는 튜브가 백 또는 파우치로 형성된 다음 생성물을 포장하는데 이용된다.
이 경우, 그 필름이 튜브로 형성될 경우 우선 그 관상필름을 슬릿팅시켜 필름시이트를 형성한다음 그 시이트를 백이나 파우치로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백이나 파우치형성 방법은 동일하게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지되어 있다.
필름재료에 대한 상기의 일반적 방법은 상기 방법이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지되어 있기 때문에 모두 종래방법에 포함되어 있다는 말은 아니다.
예로서, 미국특허 제4,274,000호; 제4,229,241호; 제4,194,039호; 제4,188,443호; 제4,048,428호; 제3,821,182호 및 제3,022,543호를 참조할 수 있다.
이들 특허의 명세서에는 상기 방법을 일반적으로 나타내며 여기에 참고로 예시한다.
이 타입의 필름을 제조하는 방법은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공지되어 있다.
하나의 이 공지 방법은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압출 또는 공압출방법보다 오히려 압출피복(extrusion coating)에 의해 다층필름을 형성하는 방법이다.
압출피복에 있어서 1차 관상층을 압출시킨다음 추가층 또는 여러층을 차례로 1차 관상층이나 연속층의 표면에 코팅을 한다.
이 방법의 예로는 미국특허 제3,741,253호가 있다.
이 특허는 일반적으로 압출피복방법을 나타내며, 여기서 참고로 나타낸다.
필름을 형성하는 여러가지 방법은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공지되어 있다.
예로서, 통상의 열형성(thermoforming) 또는 적층기술을 사용한다.
그 예로서 다층(multiple layers)을 우선 공압출시킨다음 추가층을 압출피복시키거나 적층시키며, 또 2층 튜브를 공압출시킨다음 그 튜브의 하나를 압출피복하거나 적층시킨다.
아래에서 다층구조를 포함하는 실시예에서, 그 다층필름은 관상공압출(tubular coextrusion)로 알려진 종래의 제조방법에 의해 얻어지며 핫블로운 버블(hot blown bubble) 기술에 의해 무연신(비가열수축) 필름이 얻어진다.
횡방향의 내압(internal pressure)을 사용하고, 종방향의 서로다른 속도로 핀치롤(pinch roll)을 사용하여 필름의 1차 공축튜브가 그 축방향으로 신장되는 관상프로세스를 사용하였다.
그 신장버블(stretched bubble)을 냉각시켜 충돌시킨다음 그 필름을 평편하게 하고 봉함이 없는(seamless) 관상필름으로 감아 백, 버블캡(bubble cap)등을 만드는데 사용되었다.
필름을 인플레이션법(inflation process)으로 만들때 다층필름의 모든층(layer)을 층간 강도향상을 위하여 직접 용융결합시키는데 있어 공압축이 유리하므로 그 튜브러필름을 충분히 공압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몇가지 실시예에서, 튜브를 길이방향으로 슬릿팅(sliting)하여 양분된 2개의 구조를 같이 적층시켜 실시예 Ⅶ에서와 같은 평형필름구조(balanced film structure)를 얻는다.
또, 몇가지 실시예에서 그 다음 그 필름구조를 이온화 조사영역(ionizing radiation field)에 안내된다.
예로서, 전자가속기(electron accelerator)의 빔(beam)을 통해 안내되어 약 12메가래드(MR)까지의 범위의 방사선 조사량을 받는다.
총괄 다층필름구조(overall multi-layer film structure)를 조사함으로써 흑사저항(abuse resistance), 인장강도, 및/또는 파괴저항(puncture resistance) 등에 의해 측정되는 바와 같이 구조적으로 일체성(integruty)을 향상시킨다.
그 조사는 적층박리저항(delamination resistance)을 향상시킨다.
열수축필름(heat shrinkable film)을 필요로 할 경우 압출 및 냉각을 한다음 조사(또는 조사함이 없이)한 튜브를 가열시켜 연화하고 그 다음 그 연화튜브를 핀치롤(pinch rolls)에 통과시켜 위에서 설명한 트랩피드 블라운 버블(trapped blown bubble)기술에 의해 신장시켜 연신한다.
본 발명에 의한 필름은 또 투시특성(see-through properties)이 우수하며, 그 필름으로 포장한 제품에 예비인쇄(preprint)한 코드넘버(code number)를 판독하는데 유리하다.
본 발명에 유용한 대전방지제는 거의 비흡습성(non-hygroscopic)이며, 또 거의 비이행성(non-migratable)이다.
적당한 대전방지제는 폴리-히드록시알코올의 지방산 에스테르(a), 폴리에틸렌옥시드, 폴리프로필렌옥시드, 폴리부틸렌옥시드, 폴리테트라메틸렌옥시드 등의 폴리알콕실레이티드 화합물(즉, 폴리에테르)(b), 폴리알콕실레이트와 지방산의 반응생성물, 폴리알콕실레이트와 지방산 알코올의 반응생성물, 폴리알콕실레이트와 폴리-히드록실알코올의 지방산 에스테르의 반응생성물(예로서, 지방산, 지방산 글리콜, 지방산 소르비톨, 지방산 소르비탄 및 지방산 알코올의 폴리알콕실레이트 반응생성물), 또는 그 혼합물, 또는 그 혼합물, 또는 상기(a)와 (b)의 혼합물에서 선택할 수 있다.
상기 (a) 또는 (b)중 어느 하나의 적당한 지방산 기체인(chain)은 약 C8에서 약 C20까지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적당한 폴리알콕실레이티드 화합물의 폴리에테르체인은 일반식(-OCxH2x-)n이다.
여기서 x는 2-약 8이고, 알킬기는 직쇄 또는 측쇄이며 n은 2 내지 약 1000이다.
각 처리제(agent)는 상기 대전방지조성물이 우수한 정점감쇄시간(sitatic decay times)을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폴리머조성물내에서 스스로 작용한다.
폴리머조성물내에서의 처리제(a)와 (b)의 조합은 대전방지조성물이 더 짧은 정전감쇄시간을 나타내는 것과 같이 더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지방산 에스테르 치환 폴리히드록시 알코올에는 에틸렌글리콜, 1,3-프로필렌글리콜, 1,2-프로필렌글리콜, 1,2,3,4,5,-펜타비펜톨, 소르비탄, 또는 소르비톨 등의 C2-C6알코올에서 선택한 폴리히드록시 알코올이 있는나, 여기에 한정되어 있는 것은 아니며, 여기서 그 폴리히드록시 알코올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지방산 에스테르기로 치환한다.
가장 바람직한 지방산 에스테르 치환 폴리히드록시 알코올은 글리세롤 모노 스테아레이트이다.
바람직한 폴리에테르는 상표 "polyox"로 유니온 카바이드 회사에서 시판하는 폴리히드록시 알코올이며, 또 상표 "Tetrathane"으로 듀몽 회사에서 시판되는 폴리테트라메틸렌옥시드이다.
가장 바람직한 지방산 알코올의 폴리알콕실레이트는 폴리에톡실레이티드세틸알코올이며, 일반식C16H33-O(-C2H4-O-)nH로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n은 2 내지 약 50이다.
대전방지제는 어떠한 폴리머와도 결합할 수 있다.
특별하게 설명되고 정의되거나 한정되지 않으며 여기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폴리머"(polymer) 또는 "폴리머 수지"(polyer resin)에는 호모폴리머, 코폴리머 예로서 블록, 그라프트, 랜덤 및 교호(alternating) 코폴리머, 테르폴리머(terpolymers) 등 및 그 블렌드(blends)와 변형물이 있으며 여기에 한정되어 있는 것은 아니다.
또,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으면 "폴리머" 또는 "폴리머 수지"에는 그 재료의 가능한 모든 대칭구조를 포함하며, 이들의 구조에는 아이소택틱(is
Figure kpo00004
tactic), 신디오택틱(syndiotactic) 및 랜덤(random) 대칭이 있으며 여기에 한정되어 있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유용하며 적당한 역가소성폴리머는 "폴리에틸렌"이다.
여기서 사용되는 "폴리에틸렌"이라는 용어는 가스에틸렌, C2H4을 중합시켜 얻어진 수지(resins) 즉 (families)이다.
코모노머(comonomers), 촉매 및 중합방법을 변화시켜 밀도, 용융지수, 결정화도(crystallinity), 분기및 가교도(degree of branch and vcross-linking), 분자량 및 분자량분포 등 특성을 광범위하게 조정할 수 있다.
또, 변형은 다른방법, 즉 할로겐화(Halogenation) 및 배합첨가제(compounding additives)에 의해 얻어진다.
에틸렌의 저분자량폴리머는 윤활제(lubricants)로 사용되는 유체이고; 중분자량폴리머는 파라핀과 혼합할 수 있는 왁스이며; 고분자량폴리머는 플라스틱공업에서 일반적으로 쓰이는 레진이다.
밀도범위 약 0.900g/cc-약 0.928g/cc의 폴리에틸렌을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이라 하고, 밀도범위 약0.929g/cc-약 0.940g/cc의 폴리에틸렌을 중밀도 폴리에틸렌(MDPE)이라 하며, 밀도범위 약 0.941g/cc-약 0.965g/cc의 폴리에틸렌을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이라 한다.
폴리에틸렌의 고전적 저밀도 타입은 고압력 및 온도에서 통상적으로 중합한 것이나 그 고밀도 타입은 비교적 저온도와 압력에서 통상적으로 중합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폴리에틸렌 타입에 대하여 여기서 사용된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은 에틸렌과, 부텐-1, 펜텐-1, 헥센-1, 옥텐-1 등의 C4-C10알파올레핀에서 선택한 하나 이상의 코모노머의 더 새로운 코폴리머이며, 여기서 그 분자는 저압중합에 의해 얻어진 측쇄분기 또는 가교구조가 거의 없는 긴 체인(long chain)으로 구성되어 있다.
존재한 그 측쇄분기는 비선형 폴리에틸렌과 비교할때 짧다.
선상폴리머의 분자체인은 서로 얽히게 할 수 있으나, 분자를 서로 같이 유지하려는 힘은 화학적 힘보다는 오히려 물리적 힘이다.
따라서, 열형태로 가한 에너지에 의해 약화(弱化)된다.
선상저밀도 폴리에틸렌(linear low density polyethlene)은 필름제조용으로 밀도의 범위 약 0.912g/cc-약 0.928g/cc를 가진다.
선상저밀도 폴리에틸렌의 용융 흐름지수(melt flow index)는 일반적으로 약 0.1-약 10gr/10분이며, 바람직하게는 약 0.5-약 3gr/10분이다.
이 타입의 선상저밀도 폴리에틸렌수지는 상용되고 있으며 전이금속촉매(transition metal catalysts)를 사용하는 저압증기상(vapor phase) 및 액상법으로 제조된다. LLDPE는 그 구조강도 및 응력구열방지특성(antistress cracking properties)에 대해서 공지되어 있다. 따라서, LLDPE는 대표적으로 돌출이 현저한 전자부품을 포장하는 재료주위를 잘 포장한다.
또, 그 LLDPE는 열수축프로세스에 있어서 바람직한 특성에 대해서도 공지되어 있어 앞서 설명한 열수축 필름을 얻고저 할 경우 대단히 적합하다.
더 나아가서, 대단히 낮은 밀도의 선상 폴리에틸렌(VLDPE)을 사용할 수 있고 밀도를 약 0.910g/cc-약 0.860g/cc 또는 더 낮게 주로 가질 수 있다.
폴리에틸렌의 한가지 타입에 대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코폴리머"(EVA)는 에틸렌과 비닐 아세테이트 모노머에서 얻어진 코폴리머이며, 여기서 그 코폴리머중의 에틸렌 유도단위가 소량으로 존재한다.
EVA는 또 LLDPE와 같이 구조적인 강도를 갖고 있는 것으로 공지되어 있다.
EVA, VLDPE 및 LLDPE의 블렌드 등 폴리에틸렌의 모든 패미리(families)의 블렌드를 또 사용하는 것이 유리하다. 폴리머와 대전방지제의 혼합물에는 또 앤티블록(antiblock) 소량의 약 10wt%, 바람직하게는 약 7wt%를 포함하고 있어 점착성(tackiness)를 경감시키는데 협조한다.
적당한 앤티블록은 테크노아펙스(Tekncr Apex)에 의해 공급한 EPE 8/60이다.
"연신"(oriented) 또는 "열수축"(heat shrinkable)재료는 실온 이상의 적당한 온도(예 : 96℃)로 가열할때 적어도 하나의 선상방향에서 자연수축 5% 또는 그 이상을 가진 재료를 말한다.
재료
트리콜(Trycol)(TM) 5984는 에머리 인더스트리(Emery Industries)에 의해 공급되는 폴리에톡실레이티드 세틸 알코올이다.
푸우드 그레이드 글리세릴 모노스테아레이트(Food grade glyceryl monostearate) CPH-53-N은 시.피.홀(C.P.Hall)에 의해 공급된다.
이발(EVAL)(TM)은 이발(EVAL)회사에 의해 공급된 EVOH(에틸렌 비닐 알코올 폴리머)이다.
알라톤(Alathon) F-3445는 3.5% 비닐 아세테이트를 가진 EVA이다.
이것은 듀퐁(Du pont)회사에 의해 공급된다.
EAA PE 202 CS-287(전에는 PE 202 CS-284 및 XO-757)은 엘파소(Elpaso)회사에 의해 공급되는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코폴리머이다.
EVA LD-318.92는 엑손회사(Exxon)에 의해 공급되는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코폴리머이다.
EVA 32.89는 엑손회사(Exxon)에 의해 공급되는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코폴리머이다.
다우랙스(Dowlex)(TM)는 Dowlex 2045로, 미국 미시간, 미드랜드의 다우케미컬 컴파니에 의해 공급되는 선상저밀도 폴리에틸렌이다.
에스코린(Escorene)(TM)는 에스코린 LL 3001.63으로, 엑손회사(Exxon)에 의해 공급되는 선상저밀도 폴리에틸렌이다.
컴플렉스(chemplex) 3405는 미국 일리노이즈 롤링 미다우스(Rolling meadows)의 컴플렉스 컴파니에 의해 공급되는 LDPE이다.
EPE 8160은 농축물 앤티블록으로 테크노아펙스(Teknor Apex)에 의해 공급되는 미크론크기의 실리카이다.
[실시예]
다음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으로, 여기에 한정되어 있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은 정전하의 분산을 증가시킨다. 아래의 실시예에서, 정전하를 분산시키기 위하여 그 대전방지제를 포함하는 시료의 각 특성을 미연방 시험 방법기준 101C, 방법 4046.1, "재료의 전기-정전특성"(1982. 10. 8자 변경공고)에 기재한 공정을 사용하여 정전감쇄미터(stantic decay meter)로 측정하였다. 이와 같은 미터는 시판되고 있으며, 일렉트로테크 시스템 인코포레이티드(Electrotech systems, INC.)에 의해 공급되는 406C 정전감쇄미터 등이 사용된다.
차이점을 나타낸것 이외에 시료를 약24시간 동안 상대습도 약15% 이하에서 약 실온으로 하여 조절하였다. 조절한다음 각각 정전감쇄미터기 내에서 온도를 22-23℃(72-73℉)로 하여 상대습도 약 15% 이하에서 직류전압 ±5000VDC(volts direet current)로 충전하였다. 그다음 충전량의 99%가 분산되는 시간을 측정하였다.
[실시예 1]
관상 코엑스트루숀(tubular coextrusion)방법을 사용하여 위에서 설명한 무연신필름을 제조하기 위하여 버블(bubble)을 핫블로잉(hot blowing)시켜 단일층 필름을 제조하였는바, 그 조성물은 아래와 같다 : 트키로 5984 1wt%와 글리세릴 모노스테아레이트 CPH-53-N 0.5wt%를 가진 에스코렌(Escorene) LL 3001.63으로 아래에서는 F1(필름 넘버 1)으로 정한다.
시료를 약 7.9×19cm(약 3-1/8×7-½인치)의 크기로 절단하였다.
그 시료를 1시간(24시간 대신) 동안 22℃(72℉)에서 상대습도 15% 이하로 조절시킨다음 그 정전감쇄시간을 측정한 결과 130미리초 이었다.
그 시료를 또 4일후에 테스트하여 그 정전감쇄시간을 측정한 결과 77미리초 이었다.
[실시예 2]
실시예 1에서와 같이하여 단일층 필름을 얻었으며, F1(film number 1)과 5wt%의 EPE 8160으로 구성되었다.
[실시예 3]
실시예 1의 F1의 크기 약 7.9×19cm(3-⅛×7-½인치)로 4개의 추가시료를 절단하여, 모두 1시간 동안(24시간 대신) 22℃(72℉)에서 상대습도 15% 이하로 하여 조절하였다.
그 다음 4개의 시료 각각을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88시간 서로다른 예비처리로 하고, 다시 1시간 동안 72℉(22℃)에서 상대습도 15% 이하로 조절하였다. 그다음 정전감쇄에 대해서 다시 측정하였다.
Figure kpo00005
위 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가열, 습도 및 진공의 가속처리(abusive treaturent)를 한후라도 그 필름시료는 요구되는 2000밀리초범위내에서 우수한 정전감쇄시간을 가졌다.
[실시예 4]
폴리에틸렌 에스코렌 LL 300.63 대신 다음의 폴리에틸렌을 사용하는것 이외에 실시예 1에서와 같이하여 단일층 필름 F2, F3 및 F4를 제조하였다 : F2는 1wt% 트리콜(trycol) 5984와 0.5wt% 글리세릴 모노스테아레이트 CPH-53-N을 가진 알라톤(Alathon) F-3445 EVA이었고; F3는 1wt% 트리콜 5984와 0.5wt% 글리세릴 모노스테아레이트 CPH-55-N을 가진 엘박스(Elvax) 3130 EVA이었으며; F4는 1wt% 트리콜 5984와 0.5wt% 글리세릴 모노스테아레이트를 가진 컴플렉스(chemplex) 3405 LDPE이었다.
시료를 테스트용으로 약 7.9-19cm(약 3-½×7-½인치)의 크기로 절단하였다.
각각을 1시간(24시간 대신) 동안에 상대습도 15% 이하에서 72℉(22℃)로 조절한 다음 정전감쇄를 첵크하였다. 그결과 성적을 표 2에 나타낸다.
Figure kpo00006
[실시예 5]
위 실시예 1에서와 같이 트리콜(Trycol) 5984와 글리세릴 모노스테아레이트를 조합하여 사용함으로써 더 낮은 정전감쇄시간의 효과를 나타나게 하기 위하여, 2개의 단일층 실시예 1에서와 같이하여 제조하였다.
그러나, 이들 필름중 하나, F1(a)은 글리세릴 모노스테아레이트 없이 제조하였고, 다른 F1(b)는 트리콜 5984없이 제조하였다.
F1(a)는 1wt% 트리콜 5984를 가진 에스코렌 LL3001.63 LLDPE이었고, F1(b)는 0.5wt% 글리세릴 모노스테아레이트를 가진 에스코렌 LL 3001.63 LLDPE이었다. 시료를 테스트용으로 약 7.9-19cm(약 3-½×7-½인치)의 크기로 절단하였다.
각각을 1시간 동안(24시간 대신) 상대습도 15% 이하에서 72℉(22℃)로 조절시킨다음 정전감쇄를 측정하였다. 그결과, 표 3에서와 같은 성적을 나타낸다.
Figure kpo00007
위에서 본 바와 같이, 실시예 1에서 77밀리초의 정전감쇄시간은 표 3의 정전감쇄기간보다 상당히 작다.
[실시예 6]
관상 코엑스트루숀방법을 사용하여 위에서와 같이 무연신 필름을 제조하기 위하여 버블을 핫블로잉함으로써 다음 구조의 다수층필름을 얻었다.
여기서 그 구조 F1은 1wt% 트리콜 5984와 0.5wt% 글리세릴 모노스테아레이트 CPH-53-N을 가진 에스코렌 LL 3001.63 LLDPE이었다.
Figure kpo00008
시료를 약 7.9×19cm(약 3-⅛×7-½인치)의 크기로 절단하여 약 88시간 동안 실온상태로 방치시킨 다음 1시간 동안(24시간 대신) 72℉(22℃)에서 상대습도 15% 이하로 조절하고 정전감쇄시간을 테스트하였다. 그 감쇄시간은 측정한 결과 101초 이었다.
[실시예 7]
코엑스트루숀을 하고 버블(bubble)을 핫블로잉(hot blowing)을 한다음 그 필름을 4.3MR로 조사하는 것 이외에 실시예 6에서와 같이하여 필름을 얻었다. 그 얻어진 필름을 측정한 결과 구조적인 일체성(integrity)을 개량하였다.
약 7.9×19cm(3-½×7-½인치)크기의 시료를 약 88시간 동안 실온상태에서 방치시킨다음 1시간(24시간대신) 동안 22℃(72℉)에서 상대습도 15% 이하를 조절하여 정전감쇄시간을 측정한 결과 53미리초이었다.
그 필름을 테스트용으로 약 7.9×19cm(3-⅛×7-½인치)크기의 시료로 절단하였다.
이 시료를 1시간 동안(24시간 대신) 22℃(72℉)에서 상대습도 15% 이하로 조절하였다.
그다음 이들 시료를 표면저항과 정전감쇄에 대하여 테스트하였다.
각각의 시료를 다음 표 4에서와 같이 88시간 동안 서로 다른 예비처리를 하고, 또다시 1시간 동안 22℃에서 상대습도 15% 이하로 조절시켜 표면저항과 정전감쇄에 대하여 측정하였다.
Figure kpo00009
위 표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각 예비처리전후의 표면저항은 약 109-1014의 바람직한 대전방지범위에 아직도 있으며, 동일하게 각 예비처리(24시간 샤우어제외)전후에도 정전감쇄시간은 바람직한 2000밀리초(MS) 미만이었다.
[실시예 8]
실시예 6의 조사하지 아니한 필름시료를 약 7.9×19cm의 크기로 절단하여 그 시료를 위 실시예 3에서와 같이 서로다른 88시간 예비처리를 한다음 1시간(24시간 대신) 동안에 22℃에서 상대습도 15%이하로 조절하여 정전감쇄를 측정하였다. 그결과 성적은 다음표 5와 같다.
Figure kpo00010
위 표 5에서와 같이, 가열, 습도 및 진공처리를 한후에도 그 필름시료는 아직도 요구되는 2000밀리초 미만의 우수한 정전감쇄시간을 가졌다.
[실시예 9]
실시예 7의 조사필름(irradiated film) 약 7.9×19cm의 크기로 절단한 시료를 상기 실시예 3에서와 같이 서로다른 88시간 예비처리를 한다음 1시간(24시간 대신) 동안에 22℃에서 상대습도 15% 이하로 조정한 다음 정전감쇄를 측정하였다. 그결과 성적을 표 6에 나타낸다.
Figure kpo00011
위 표에서와 같이, 가열, 습도 및 진공처리후라도 그 필름시료는 아직도 요구하는 2000밀리초 미만의 우수한 정전감쇄시간을 가졌다.
[실시예 10]
미국특허 제4,576,669호(caputo) 및 제4,579,516호(caputo)에 기술되어 있는 것과 같은 버블캡머신(bublle cap machine)을 사용하여 실시예 6의 필름을 상기 버블캡머신에 넣어 버블캡을 제조하였다. 그 필름의 제1롤(frist roll)을 약 115°-127℃에서 상기 버블캡머신에 넣어 0.95cm 직경의 버블을 형성하였다.
반면에 그 필름의 제2롤(second roll)을 상기 버블캡머신에 약 177℃로 공급하여 제1롤을 시일링(sealing)함으로써 그 버블내의 공기를 인트랩핑(entrapping)하였다.
전자회로기판을 그결과 얻어진 버블캡 필름으로 포장하였다.
이 필름은 대단히 강인(tough)하고 우수한 쿠숀닝(cushioning)을 주었다.
또, 그 포장기판의 부식은 저장시에 나타나지 않았다. 미국특허 제4,494,651호에 의한 것과 같은 간편한 작동장치는 그 버블캡과 일열로 배열되었다.
[실시예 11]
버블캡을 실시예 10에서와 같이 제조하였다. 그러나, 실시예 6의 조사하지 아니한 필름 대신 실시예 7의 조사필름을 사용하였다.
전자회로기판을 그 얻어진 버블캡 필름으로 포장하였다. 그 필름은 대단히 강인하고 우수한 쿠션닝(cushioning)을 주었다.
또 그 포장기관의 부식은 저장시에 관찰되지 않았다. 미국특허 제4,494,651호에 의한 것과 같은 간편한 작동장치를 그 얻어진 버블캡으로 배열하였다.

Claims (38)

  1. 열가소성폴리머를 대전방지제를 가진 혼합물(admixture)에 구성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대전방지특성을 가진 열가소성폴리머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전방지제는 약 20wt% 미만의 양으로 상기 조성물에 조성시킴을 특징으로 한 상기 열가소성폴리머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대전방지제는 약 15wt% 미만의 양으로 상기 조성물에 조성시킴을 특징으로 한 상기 열가소성폴리머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전방지제는 폴리히드록시알코올의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알콕실레이티드 화합물 또는 그 혼합물임을 특징으로 한 상기 열가소성폴리머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알콕실레이티드 화합물은 폴리에틸렌옥시드, 폴리프로필렌옥시드, 폴리부틸렌옥시드, 폴리테트라메틸렌옥시드, 폴리알콕실레이트와 지방산의 반응생성물, 폴리알콕실레이트와 지방산 알코올의 반응생성물, 폴리알콕실레이트와 폴리히드록실알코올의 지방산 에스테르의 반응생성물 또는 그 혼합물에서 선택함을 특징으로 한 상기 열가소성폴리머 조성물.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알콕실레이티드 화합물은 지방산 화합물이고, 폴리히드록시알코올의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알콕실레이티드 화합물 또는 그 혼합물에서 각각 지방산기 체인은 약 C8-약 C20의 탄소체인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 상기 열가소성폴리머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대전방지제는 폴리에톡실레이티드 세틸알코올, 글리세릴 모노스테아레이트, 또는 그 혼합물임을 특징으로 한 상기 열가소성폴리머 조성물.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머는 폴리에틸렌임을 특징으로 한 상기 열가소성폴리머 조성물.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틸렌은 LDPE, MDPE, HDPE, LLDPE, VLDPE, EVA 또는 그 혼합물임을 특징으로 한 상기 열가소성폴리머 조성물.
  10. 제1항에 있어서, 앤티블록 약 10wt%를 포함시킴을 특징으로 한 상기 열가소성폴리머 조성물.
  11.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층을 가진 대전방지필름(antistatic film)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층이 대전방지제(antistatic agent)를 가진 혼합물(admixture)에 열가소성폴리머를 조성한 조성물을 구성시킴을 특징으로 한 상기 대전방지필름.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은 단층필름(monolayer film)임을 특징으로 한 상기 대전방지필름.
  13. 제11항에 있어서, 적어도 2층을 형성한 대전방지필름에서 상기의 적어도 2층중 하나 이상이 대전방지제를 가진 혼합물에 열가소성폴리머를 조성시킨 조성물을 구성시킴을 특징으로 한 상기 대전방지필름.
  14. 제13항에 있어서, 대전방지제를 가진 혼합물에 열가소성폴리머를 조성한 상기 조성물이 폴리히드록시알코올의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알콕실레이티드 또는 그 혼합물을 가진 혼합물에 폴리에틸렌을 구성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대층필름.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대전방지필름을 약 12MR까지의 방사선량으로 조사시킴을 특징으로 한 상기 대전방지필름.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대전방지필름을 연신시킴을 특징으로 한 상기 대전방지필름.
  17. 대전방지특성을 가진 필름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열가소성폴리머를 대전방지제와 혼합(admix)시켜, 그 혼합물을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층을 가진 적어도 하나의 필름층으로 구성시킴을 특징으로 한 상기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대전방지제가 약 20wt% 미만의 량으로 상기 혼합물에 조성시킴을 특징으로한 상기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대전방지제는 약 15wt% 미만의 양으로 그 혼합물에 조성시킴을 특징으로 한 상기 방법.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대전방지제는 폴리히드록시알코올의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알콕실레이티드 화합물 또는 그 혼합물임을 특징으로 한 상기 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알콕실레이티드 화합물은 폴리에틸렌옥시드, 폴리프로필렌옥시드, 폴리부틸렌옥시드, 폴리테트라메틸렌옥시드, 폴리알콕실레이트와 지방산의 반응생성물, 폴리알콕실레이트와 지방산 알코올의 반응생성물, 폴리알콕실레이트와 폴리히드록실알코올의 지방산 에스테르의 반응생성물 또는 그 혼합물에서 선택함을 특징으로 한 상기 방법.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알콕실레이티드 화합물은 지방산 화합물이고, 폴리히드록시알코올의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알콕실레이티드 화합물 또는 그 혼합물에서 각각 지방산기 체인(chain)은 약 C8-약 C20의 탄소체인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 상기 방법.
  23.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물에는 앤티블록(antiblock)을 약 10wt% 정도 조성시킴을 특징으로 한 상기 방법.
  24.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폴리머는 폴리에틸렌임을 특징으로 한 상기 방법.
  25.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은 단층필름을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 상기 방법.
  26.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은 적어도 2층을 가진 필름을 구성하며, 상기 2층을 가진 필름중 적어도 1층이 폴리히드록시알코올의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알콕실레이티드 화합물 또는 그 혼합물을 가진 혼합물에 폴리에틸렌을 조성시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 상기 방법.
  27.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을 약 12MR까지의 방사선량으로 조사시킴을 특징으로 한 상기 방법.
  2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을 연신시킴을 특징으로 한 상기 방법.
  29. 포장한 정전감응장치의 정전하를 보호하는 방법에 있어서, (a)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층을 가진 대전 방지필름을 구성하며, 적어도 하나의 층이 대전방지제를 가진 혼합물에 열가소성폴리머를 조성한 조성물을 구성한 포장을 가지며, (b) 상기 포장이 선택장치의 주위에 일치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 상기 방법.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대전방지제는 그 혼합물중에서 약 20wt% 미만의 양으로 조성시킴을 특징으로 한 상기 방법.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대전방지제는 그 혼합물중에서 약 15wt% 미만의 양으로 조성시킴을 특징으로 한 상기 방법.
  32.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대전방지제는 폴리히드록시알코올의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알콕실레이티드 화합물 또는 그 혼합물임을 특징으로 한 상기 방법.
  33.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물중에는 앤티블록이 약 10% 미만의 양으로 포함시킴을 특징으로 한 상기 방법.
  34.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머는 폴리에틸렌임을 특징으로 한 상기 방법.
  35.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은 단층필름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 상기 방법.
  36.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은 적어도 2층을 가진 필름을 구성하며, 상기 2층중 적어도 1층은 폴리드록시알코올의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알콕실레이티드 화합물, 또는 그 혼합물을 가진 혼합물에 폴리에틸렌을 조성시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 상기 방법.
  37.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을 연신시킴을 특징으로 한 상기 방법.
  38. 대전방지특성을 가진 다층에어쿠션필름(multiply air cushion film)에 있어서, 적어도 다층구조, 폴리에틸렌/폴리에틸렌을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 상기 다층에어쿠션필름.
KR1019870011320A 1986-10-14 1987-10-13 열가소성폴리머에 대전방지특성을 주는 대전방지제 및 그 대전방지제를 포함한 열가소성폴리머 조성물 KR96000435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918,754 1986-10-14
US06/918,754 US4800115A (en) 1986-10-14 1986-10-14 Agent for imparting antistatic characteristics to a thermoplastic polymer and a thermoplastic polymer composition containing the agent
US918,754 1986-10-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5182A KR880005182A (ko) 1988-06-28
KR960004350B1 true KR960004350B1 (ko) 1996-04-02

Family

ID=254409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11320A KR960004350B1 (ko) 1986-10-14 1987-10-13 열가소성폴리머에 대전방지특성을 주는 대전방지제 및 그 대전방지제를 포함한 열가소성폴리머 조성물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4800115A (ko)
EP (1) EP0264270A3 (ko)
JP (1) JPS63105061A (ko)
KR (1) KR960004350B1 (ko)
AU (1) AU607160B2 (ko)
BR (1) BR8705424A (ko)
CA (1) CA1314648C (ko)
NZ (1) NZ221721A (ko)
ZA (1) ZA87678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04647A (en) * 1986-03-21 1991-04-02 W. R. Grace & Co.-Conn. Oxygen barrier biaxially oriented film
KR960015106B1 (ko) * 1986-11-25 1996-10-28 가부시기가이샤 히다찌세이사꾸쇼 면실장형 반도체패키지 포장체
US5279883A (en) * 1988-08-17 1994-01-18 Norsolor Thermoformed poly (methyl methacrylate) sheets with protective film
US5275866A (en) * 1988-08-17 1994-01-04 Atochem Puteaux Thermoformed poly (methyl methacrylate) sheets with protective film and adhesion layer
NZ241024A (en) * 1991-01-10 1995-05-26 Grace W R & Co Permanently anti-static air cushion (bubble) laminate comprising a forming web and a non-forming web, one of which comprises an olefin-ethylenically unsaturated carboxylic acid copolymer
DE9207044U1 (de) * 1992-05-25 1992-08-13 Tricon Veredlungs GmbH, 79111 Freiburg Durchsichtige antistatische Verbundfolie
BR9707809A (pt) * 1996-03-01 1999-07-27 Ici Plc Composição de um ionômero e/ou um copolímero de uma olefina e um ácido etilenicamente insaturado
EP1464677B2 (en) 1996-10-24 2016-10-12 Corning Incorporated Method for producing low binding surfaces
US6346210B1 (en) * 1997-02-14 2002-02-12 The Rockport Company, Llc Method of shaping susceptor-based polymeric materials
US6027802A (en) * 1997-10-23 2000-02-22 Four Piliars Enterprise Co., Ltd. Cover tape for packaging
GB9803982D0 (en) 1998-02-25 1998-04-22 Danisco Composition
AU2436599A (en) * 1998-02-25 1999-09-15 Danisco A/S Anti-static composition
US6576080B1 (en) 1999-10-20 2003-06-10 Xyron, Inc. Adhesive transfer device
DK1152027T3 (da) 2000-05-04 2004-11-15 Ciba Sc Holding Ag Polyolefinfilmsammensætninger med permanente antidugegenskaber
US6703142B2 (en) * 2000-06-02 2004-03-09 The Rockport Company, Llc Moldable article, method of making and composition for making moldable articles
WO2003008193A1 (en) 2001-07-20 2003-01-30 Xyron, Inc.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US20050238867A1 (en) * 2003-10-31 2005-10-27 Toshio Nakano Antistatic film, antistatic foam sheet and antistatic bubble sheet
EP1541367A1 (en) * 2003-12-04 2005-06-15 Thomas E. Hopkins High modulus thermoplastic films and their use as cash register tapes
US20060105166A1 (en) * 2004-11-17 2006-05-18 Lischefski Andrew J Breathable packaging film having enhanced thermoformability
WO2015115338A1 (ja) 2014-01-29 2015-08-06 住友ベークライト株式会社 電子部品包装用カバーテープ
EP3384326B1 (en) * 2015-12-04 2022-02-02 Essilor International Structured film laminate with antistatic compositions embedded therein

Family Cites Families (3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E536623A (ko) * 1954-03-19
US3022543A (en) * 1958-02-07 1962-02-27 Grace W R & Co Method of producing film having improved shrink energy
US3164481A (en) * 1961-08-18 1965-01-05 Hollichem Corp Antistatic agents
FR1343888A (fr) * 1961-11-17 1963-11-22 Huels Chemische Werke Ag Procédé pour rendre le polyéthylène anti-électrostatique
US3821182A (en) * 1961-12-05 1974-06-28 Grace W R & Co Method for preparing of film of a vinylidene chloride polymer
US4048428A (en) * 1961-12-05 1977-09-13 W. R. Grace & Co. Method for preparing a film of vinylidene chloride polymer
US3220985A (en) * 1962-10-15 1965-11-30 Hercules Powder Co Ltd Modifying hydrocarbon polymers
US3425981A (en) * 1965-02-12 1969-02-04 Union Carbide Corp Olefin polymer compositions containing ethylene oxide polymers having a molecular weight of from 100,000 to 10 million
DE1228056B (de) * 1965-02-13 1966-11-03 Huels Chemische Werke Ag Thermoplastische Massen zur Herstellung von antielektrostatischen Formkoerpern oder Beschichtungen
US3576649A (en) * 1969-02-25 1971-04-27 Milprint Inc Plastic package for electrically non-conductive material
US3741253A (en) * 1971-03-30 1973-06-26 Grace W R & Co Laminates of ethylene vinyl acetate polymers and polymers of vinylidene chloride
US3937758A (en) * 1973-03-26 1976-02-10 Dart Industries Inc.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high impact compositions of polyethylene and polypropylene block copolymers
JPS5318064B2 (ko) * 1973-09-12 1978-06-13
JPS5312971A (en) * 1976-07-22 1978-02-06 Honshu Paper Co Ltd Polypropylene composite film having antistatic and low temperature heat seal property and its production
JPS6057461B2 (ja) * 1977-09-26 1985-12-14 三井化学株式会社 帯電防止性の改良されたポリプロピレン二軸延伸フイルムの製造方法
DE2960381D1 (en) * 1978-03-15 1981-09-03 Ici Plc Antistatic films
US4194039A (en) * 1978-04-17 1980-03-18 W. R. Grace & Co. Multi-layer polyolefin shrink film
US4188443A (en) * 1978-08-30 1980-02-12 W. R. Grace & Co. Multi-layer polyester/polyolefin shrink film
US4274900A (en) * 1978-08-30 1981-06-23 W. R. Grace & Co. Multi-layer polyester/polyolefin shrink film
US4229241A (en) * 1978-12-04 1980-10-21 W. R. Grace & Co. Process for making a multi layer polyolefin shrink film
JPS56139555A (en) * 1980-04-02 1981-10-31 Nippon Carbide Ind Co Ltd Preparation of antifogging synthetic resin film and antifogging agent
US4486552A (en) * 1983-02-28 1984-12-04 The Dow Chemical Company Fog-resistant olefin polymer films
KR870001132B1 (ko) * 1983-04-14 1987-06-09 도오요오 보오세끼 가부시끼가이샤 제전성섬유 및 그 제조방법
US4494651A (en) * 1983-04-19 1985-01-22 W. R. Grace & Co., Cryovac Div. Electrically conductive anti-static work station
JPS6044536A (ja) * 1983-08-22 1985-03-09 Kohjin Co Ltd 帯電防止性熱可塑性樹脂組成物
JPS6094432A (ja) * 1983-10-29 1985-05-27 Takemoto Oil & Fat Co Ltd 合成高分子材料用帯電防止剤
JPS60127345A (ja) * 1983-12-13 1985-07-08 Mitsubishi Rayon Co Ltd メタクリル樹脂組成物
JPS60161454A (ja) * 1984-01-31 1985-08-23 Polyplastics Co ポリアセタ−ル樹脂組成物及びその成形品
US4554210A (en) * 1984-04-09 1985-11-19 General Dynamics Pomona Division Laminated anti-static skin-packaging material
US4551380A (en) * 1984-05-10 1985-11-05 W. R. Grace & Co., Cryovac Div. Oriented heat-sealable multilayer packaging film
JPS6128537A (ja) * 1984-07-18 1986-02-08 Kao Corp ポリオレフイン樹脂用帯電防止剤
JPS6160775A (ja) * 1984-08-31 1986-03-28 Lion Corp プラスチツク用帯電防止剤組成物
US4576669A (en) * 1984-11-09 1986-03-18 Caputo Garry L "On demand" apparatus and method for producing air-cushioning product
JPS61120840A (ja) * 1984-11-16 1986-06-07 Honshu Paper Co Ltd 帯電防止性を有するポリオレフイン系フイルム
JPS61157558A (ja) * 1984-12-28 1986-07-17 Riken Vitamin Co Ltd 熱可塑性樹脂組成物
JPS61213231A (ja) * 1985-03-18 1986-09-22 Shiraishi Chuo Kenkyusho:Kk 帯電防止重合体組成物
US4579516A (en) * 1985-07-15 1986-04-01 Caputo Garry L Forming roller for producing air-cushioning produc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1314648C (en) 1993-03-16
AU7973987A (en) 1988-04-21
NZ221721A (en) 1990-03-27
BR8705424A (pt) 1988-05-24
EP0264270A2 (en) 1988-04-20
ZA876786B (en) 1988-03-16
US4800115A (en) 1989-01-24
JPS63105061A (ja) 1988-05-10
EP0264270A3 (en) 1990-03-14
KR880005182A (ko) 1988-06-28
AU607160B2 (en) 1991-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04350B1 (ko) 열가소성폴리머에 대전방지특성을 주는 대전방지제 및 그 대전방지제를 포함한 열가소성폴리머 조성물
AU614005B2 (en) Oriented polymeric films and process for enhanced orientation of polymeric films
US4636340A (en) Method of producing crosslinked polyethylene stretched film
KR101488784B1 (ko) 방충 열수축 필름
US4899521A (en) Antistatic thermoplastic/polyamide-polyether compositions and antistatic polymeric films made therefrom
US5001015A (en) Antistatic polyolefin compositions and antistatic polyolefin films made therefrom, including oriented films
AU746233B2 (en) Uniaxially shrinkable biaxially oriented polypropylene film and method for use as tobacco pack overwrap
US4882894A (en) Agent for imparting antistatic characteristics to a thermoplastic polymer and a thermoplastic polymer composition containing the agent
US5106545A (en) Oriented polymeric films and process for enhanced orientation of polymeric films
US5025922A (en) Agent for imparting antistatic characteristics to a thermoplastic polymer and a thermoplastic polymer composition containing the agent
US5033253A (en) Process for skin packaging electostatically sensitive items
US5024792A (en) Antistatic thermoplastic/polyamide-polyether compositions and antistatic polymeric films made therefrom
KR100317008B1 (ko) 폴리올레핀계열수축성적층필름
US5171641A (en) Permanent antistatic acid copolymer/quaternary amine polymeric films
US4898771A (en) Agent for imparting antistatic characteristics to a thermoplastic polymer and a thermoplastic polymer composition containing the agent
US4547413A (en) Shrinkable film for poultry bags
JPH0458789B2 (ko)
JPH04229699A (ja) 押出し可能な電磁干渉遮断フイルム
EP0397185A1 (en) Permanently antistatic polymeric rigid containers
AU614571B2 (en) Permanent antistatic acid copolymer/quaternary amine mixtures and permanent antistatic polymeric films made therefrom
US4999252A (en) Permanent antistatic acid copolymer/quaternary amine mixtures films
JP3097874B2 (ja) 架橋熱収縮性積層フィルム
US5153075A (en) Permanent antistatic acid copolymer/quaternary amine polymeric films
JPH01168426A (ja) シユリンクラベル用フイルム
JPH0247334B2 (ja) Enshinhoriechirenfuirumu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