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8784B1 - 방충 열수축 필름 - Google Patents

방충 열수축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8784B1
KR101488784B1 KR20150001141A KR20150001141A KR101488784B1 KR 101488784 B1 KR101488784 B1 KR 101488784B1 KR 20150001141 A KR20150001141 A KR 20150001141A KR 20150001141 A KR20150001141 A KR 20150001141A KR 101488784 B1 KR101488784 B1 KR 1014887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density polyethylene
low density
linear 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500011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호열
Original Assignee
호명화학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호명화학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호명화학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500011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878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87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87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00Layered products having a non-planar shape
    • B32B1/08Tubular produ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vinyl acetate or vinyl alcohol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033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24All layers being polyme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64Insect repellen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방충 열수축 필름은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EVA) 3~15중량부, 폴리올레핀엘라스토머(POE) 2~8중량부, 폴리프로필렌(PP) 2~5중량부, 저밀도폴리에틸렌(LDPE) 20~66중량부,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LLDPE) 21~37중량부, 메탈로센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mLLDPE) 5~30중량부, 블로킹방지제(ab) 0.5~1.5중량부, 대전방지제(as) 0.5~1.5중량부를 포함하는 표면층으로 구성되고; 상기 표면층 하부에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EVA) 3~15중량부, 폴리올레핀엘라스토머(POE) 2~15중량부, 폴리프로필렌(PP) 2~5중량부, 저밀도폴리에틸렌(LDPE) 8~40중량부,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LLDPE) 12~74중량부, 메탈로센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mLLDPE) 7~35중량부, 마스터 배치(MB)된 방충제 4~7중량부를 포함하는 중간층으로 구성되고; 상기 중간층 하부에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EVA) 3~15중량부, 폴리올레핀엘라스토머(POE) 2~15중량부, 폴리프로필렌(PP) 2~5중량부, 저밀도폴리에틸렌(LDPE) 10~41중량부,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LLDPE) 20~74중량부, 메탈로센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mLLDPE) 5~25중량부, 중밀도폴리에틸렌(MDPE) 3~20중량부, 블로킹방지제(ab) 0.5~1.5중량부, 대전방지제(as) 0.5~1.5중량부를 포함하는 내면층이 더 구성되어; 방충 효과가 있고, 방충제의 분산성이 우수한 등의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방충 열수축 필름 {Heat shrinkable film for mothproof}
본 발명은 방충 열수축 필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층별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EVA), 폴리올레핀엘라스토머(POE),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PE)의 조성비를 특정화하고 중간층에 방충제를 혼합하여 포장물 시에 내열성이 강하고 방충 효과가 있는 방충 열수축 필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열수축 필름은 일정한 온도의 열에 의해 필름의 한 방향 또는 양방향의 수축을 유도하여 제품의 포장에 이용되는 필름을 말하며, 가열에 의해서 수축되는 수축성 필름의 성질을 이용하여 PET 음료병, 유리용기, 음료 및 주류캔(CAN) 등의 각종 용기를 대상으로 수축 포장용, 수축 라벨용, 캡씰(cap-seal)용, 건전지 포장용 등의 여러 개를 집적 포장하여 묶음 포장 시 개별 제품의 보호, 적재 제품 내용의 식별용이, 수동 및 자동 이송의 편리함을 위하여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열수축 필름은 블로운 필름 성형 방식으로 제조되며 필름 제조 시 종방향 즉, 기계방향(MD: Machine Direction)과 횡방향(TD: Transverse Direction)으로 연신되어 응력을 지닌 채로 냉각되어 제조되고 수축 포장 공정에 이용되어 포장하고자 하는 제품을 포장한 후 열처리를 통하여 응력완화를 유도하여 그 결과로 수축이 일어나게 된다.
종래 기술의 열수축 필름은 폴리염화비닐(PVC: polyvinyl chloride)계, 폴리스티렌(PS: polystyrene)계, 폴리에틸렌(PE: polyethylene)계, 폴리에스테르(PET: polyester)계 등을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기술의 열수축 필름의 특성을 살펴보면,
상기 폴리염화비닐(PVC)계 필름은 소각 시 염소가스와 다이옥신 발생 등의 문제로 환경친화력이 매우 열악한 문제점이 있다.
상기 폴리스티렌(PS)계 열수축 필름은 수축 후의 마무리 외관성이 양호한 점은 평가할 수 있지만 내용제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인쇄 시에 특수한 조성의 잉크를 사용하여야 할 뿐만 아니라, 자연수축율이 커서 보관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상기 폴리에틸렌(PE: polyethylene)계 열수축 필름을 살펴보면,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17856호(2013. 10. 14.)의 3중 폴리에틸렌계 열수축성 필름은 표면층, 중간층 및 내면층으로 구성되는 3중 수축 필름에 있어서, 상기 표면층은 저밀도폴리에틸렌(LDPE) 수지가 7~55중량부,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LLDPE) 수지가 15~87중량부, 메탈로센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mLLDPE) 수지가 3~45중량부, 고밀도폴리에틸렌(HDPE) 수지가 2~12중량부, 블로킹방지제(ab)가 0.5~1.5중량부, 대전방지제(as)가 0.5~1.5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중간층은 저밀도폴리에틸렌(LDPE) 수지가 5~45중량부,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LLDPE) 수지가 20~89중량부, 메탈로센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mLLDPE) 수지가 3~40중량부, 고밀도폴리에틸렌(HDPE) 수지가 3~7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내면층은 저밀도폴리에틸렌(LDPE) 수지가 7~45중량부,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LLDPE) 수지가 20~83중량부, 메탈로센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mLLDPE) 수지가 3~33중량부,중밀도폴리에틸렌(MDPE) 수지가 3~30중량부, 고밀도폴리에틸렌(HDPE) 수지가 3~12중량부, 블로킹방지제(ab)가 0.5~1.5중량부, 대전방지제(as)가 0.5~1.5중량부를 포함하여; 종방향의 수축률이 67~82%이고, 횡방향의 수축률이 4~5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중 폴리에틸렌계 열수축성 필름이 개시되었다.
상기 종래기술의 3중 폴리에틸렌계 열수축성 필름은 필름 내부에 방충 물질이 구비되지 아니하여 각종 용기를 수축 포장하여 적치 보관하면 여름 또는 가을에 열수축 필름과 포장된 용기 사이에서 자연사한 곤충이 쌓이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종래기술의 3중 폴리에틸렌계 열수축성 필름은 폴리에틸렌(PE)만으로 조성되어 내열성이 부족한 문제점이 있다.
특히, 상기 폴리에스테르(PET)계의 열수축 필름을 살펴보면,
한국 공개특허공보 특2001-0098502호(2001. 11. 08.)의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은 파장 380 nm의 광선 투과율이 0 ∼ 13%, 또한 파장 400 nm의 광선 투과율이 0.5 ∼ 52%, 또한 필름 헤이즈가 15% 이하이고,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이 적어도 2층의 적층 필름으로 이루어지며, 표면으로 나오지 않는 내층 중 적어도 1층에 자외선 흡수제가 첨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면서 주수축 방향의 온탕 수축률이 온도 70℃에서 10초 처리 후에 10% 이상이고, 온도 85℃에서 5초 처리 후에 30% 이상이며, 주수축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의 온탕 수축률이 온도 85℃에서 5초 처리 후에 1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이 개시되었다.
그러나, 종래기술의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은 수축 균일성은 어느 정도 개선될 수 있지만, 여름철 고온다습한 조건에서 장기간 보관 시 필름의 수축율, 강도, 신도 등 필름의 중요 물성이 경시변화가 일어나 제품의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기술의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은 고분자의 사슬이 한 방향으로만 배향이 되어 있어 열 수축 및 열이력 과정을 거치면서 마찰이나 충격, 외력 등에 의해 갈라짐이나 상처가 발생하기 쉬워 제품의 상품가치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기술의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은 필름 내부에 방충 물질이 구비되지 아니하여 각종 용기를 수축 포장하여 적치 보관하면 여름 또는 가을에 열수축 필름과 포장된 용기 사이에서 자연사한 곤충이 쌓이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표면층 및 중간층의 2중 열수축 필름 또는 표면층, 중간층 및 내면층의 3중 열수축 필름으로 하되 층별로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EVA), 폴리올레핀엘라스토머(POE),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PE)을 혼합 사용하되 조성물의 단점이 상호 보완되게 조성비를 특정하고 마스터 배치(MB: master batch)된 방충제를 중간층에 혼합하여 방충제가 서서히 방출되면서 방충 효과가 있고 방충제의 냄새 발생이 적으면서 방충제의 분산성이 우수하고 열수축필름에 포장된 상태에서 포장용기를 장기간 보관할 수 있는 방충 열수축 필름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방충 열수축 필름에 있어서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EVA) 3~15중량부, 폴리올레핀엘라스토머(POE) 2~8중량부, 폴리프로필렌(PP) 2~5중량부, 저밀도폴리에틸렌(LDPE) 20~66중량부,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LLDPE) 21~37중량부, 메탈로센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mLLDPE) 5~30중량부, 블로킹방지제(ab) 0.5~1.5중량부, 대전방지제(as) 0.5~1.5중량부를 포함하는 표면층으로 구성되고; 상기 표면층 하부에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EVA) 3~15중량부, 폴리올레핀엘라스토머(POE) 2~15중량부, 폴리프로필렌(PP) 2~5중량부, 저밀도폴리에틸렌(LDPE) 8~40중량부,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LLDPE) 12~74중량부, 메탈로센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mLLDPE) 7~35중량부, 마스터 배치(MB)된 방충제 4~7중량부를 포함하는 중간층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중간층 하부에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EVA) 3~15중량부, 폴리올레핀엘라스토머(POE) 2~15중량부, 폴리프로필렌(PP) 2~5중량부, 저밀도폴리에틸렌(LDPE) 10~41중량부,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LLDPE) 20~74중량부, 메탈로센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mLLDPE) 5~25중량부, 중밀도폴리에틸렌(MDPE) 3~20중량부, 블로킹방지제(ab) 0.5~1.5중량부, 대전방지제(as) 0.5~1.5중량부를 포함하는 내면층이 더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표면층이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EVA) 3~15중량부, 폴리올레핀엘라스토머(POE) 2~8중량부, 폴리프로필렌(PP) 2~5중량부, 저밀도폴리에틸렌(LDPE) 40~66중량부,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LLDPE) 21~34중량부, 메탈로센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mLLDPE) 5~12중량부, 블로킹방지제(ab) 0.5~1.5중량부, 대전방지제(as) 0.5~1.5중량부로 혼합되고; 상기 중간층이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EVA) 3~8중량부, 폴리올레핀엘라스토머(POE) 2~7중량부, 폴리프로필렌(PP) 2~5중량부, 저밀도폴리에틸렌(LDPE) 22~40중량부,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LLDPE) 30~60중량부, 메탈로센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mLLDPE) 7~20중량부, 마스터 배치(MB)된 방충제 4~7중량부로 혼합되고; 상기 내면층이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EVA) 3~8중량부, 폴리올레핀엘라스토머(POE) 2~7중량부, 폴리프로필렌(PP) 2~5중량부, 저밀도폴리에틸렌(LDPE) 22~41중량부,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LLDPE) 30~60중량부, 메탈로센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mLLDPE) 7~20중량부, 중밀도폴리에틸렌(MDPE) 3~7중량부, 블로킹방지제(ab) 0.5~1.5중량부, 대전방지제(as) 0.5~1.5중량부로 혼합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표면층이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EVA) 3~15중량부, 폴리올레핀엘라스토머(POE) 2~8중량부, 폴리프로필렌(PP) 2~5중량부, 저밀도폴리에틸렌(LDPE) 30~56중량부,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LLDPE) 21~34중량부, 메탈로센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mLLDPE) 15~20중량부, 블로킹방지제(ab) 0.5~1.5중량부, 대전방지제(as) 0.5~1.5중량부로 혼합되고; 상기 중간층이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EVA) 3~12중량부, 폴리올레핀엘라스토머(POE) 2~8중량부, 폴리프로필렌(PP) 2~5중량부, 저밀도폴리에틸렌(LDPE) 8~30중량부,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LLDPE) 35~74중량부, 메탈로센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mLLDPE) 7~20중량부, 마스터 배치(MB)된 방충제 4~7중량부로 혼합되고; 상기 내면층이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EVA) 3~10중량부, 폴리올레핀엘라스토머(POE) 2~10중량부, 폴리프로필렌(PP) 2~5중량부, 저밀도폴리에틸렌(LDPE) 10~30중량부,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LLDPE) 40~74중량부, 메탈로센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mLLDPE) 5~15중량부, 중밀도폴리에틸렌(MDPE) 3~7중량부, 블로킹방지제(ab) 0.5~1.5중량부, 대전방지제(as) 0.5~1.5중량부로 혼합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표면층이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EVA) 3~15중량부, 폴리올레핀엘라스토머(POE) 2~8중량부, 폴리프로필렌(PP) 2~5중량부, 저밀도폴리에틸렌(LDPE) 25~50중량부,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LLDPE) 25~37중량부, 메탈로센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mLLDPE) 17~25중량부, 블로킹방지제(ab) 0.5~1.5중량부, 대전방지제(as) 0.5~1.5중량부로 혼합되고; 상기 중간층이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EVA) 3~12중량부, 폴리올레핀엘라스토머(POE) 3~9중량부, 폴리프로필렌(PP) 2~5중량부, 저밀도폴리에틸렌(LDPE) 10~25중량부,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LLDPE) 34~68중량부, 메탈로센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mLLDPE) 10~25중량부, 마스터 배치(MB)된 방충제 4~7중량부로 혼합되고; 상기 내면층이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EVA) 3~10중량부, 폴리올레핀엘라스토머(POE) 5~12중량부, 폴리프로필렌(PP) 2~5중량부, 저밀도폴리에틸렌(LDPE) 12~32중량부,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LLDPE) 35~66중량부, 메탈로센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mLLDPE) 8~20중량부, 중밀도폴리에틸렌(MDPE) 3~7중량부, 블로킹방지제(ab) 0.5~1.5중량부, 대전방지제(as) 0.5~1.5중량부로 혼합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표면층이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EVA) 3~15중량부, 폴리올레핀엘라스토머(POE) 2~8중량부, 폴리프로필렌(PP) 2~5중량부, 저밀도폴리에틸렌(LDPE) 32~54중량부,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LLDPE) 21~30중량부, 메탈로센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mLLDPE) 17~25중량부, 블로킹방지제(ab) 0.5~1.5중량부, 대전방지제(as) 0.5~1.5중량부로 혼합되고; 상기 중간층이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EVA) 6~15중량부, 폴리올레핀엘라스토머(POE) 6~15중량부, 폴리프로필렌(PP) 2~5중량부, 저밀도폴리에틸렌(LDPE) 8~20중량부,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LLDPE) 25~58중량부, 메탈로센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mLLDPE) 16~30중량부, 마스터 배치(MB)된 방충제 4~7중량부로 혼합되고; 상기 내면층이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EVA) 3~8중량부, 폴리올레핀엘라스토머(POE) 2~10중량부, 폴리프로필렌(PP) 2~5중량부, 저밀도폴리에틸렌(LDPE) 20~32중량부,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LLDPE) 25~55중량부, 메탈로센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mLLDPE) 10~20중량부, 중밀도폴리에틸렌(MDPE) 7~15중량부, 블로킹방지제(ab) 0.5~1.5중량부, 대전방지제(as) 0.5~1.5중량부로 혼합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표면층이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EVA) 3~15중량부, 폴리올레핀엘라스토머(POE) 2~8중량부, 폴리프로필렌(PP) 2~5중량부, 저밀도폴리에틸렌(LDPE) 32~54중량부,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LLDPE) 21~30중량부, 메탈로센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mLLDPE) 17~25중량부, 블로킹방지제(ab) 0.5~1.5중량부, 대전방지제(as) 0.5~1.5중량부로 혼합되고; 상기 중간층이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EVA) 6~15중량부, 폴리올레핀엘라스토머(POE) 6~15중량부, 폴리프로필렌(PP) 2~5중량부, 저밀도폴리에틸렌(LDPE) 16~33중량부,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LLDPE) 12~50중량부, 메탈로센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mLLDPE) 16~30중량부, 마스터 배치(MB)된 방충제 4~7중량부로 혼합되고; 상기 내면층이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EVA) 4~13중량부, 폴리올레핀엘라스토머(POE) 6~13중량부, 폴리프로필렌(PP) 2~5중량부, 저밀도폴리에틸렌(LDPE) 11~30중량부,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LLDPE) 20~48중량부, 메탈로센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mLLDPE) 17~25중량부, 중밀도폴리에틸렌(MDPE) 11~20중량부, 블로킹방지제(ab) 0.5~1.5중량부, 대전방지제(as) 0.5~1.5중량부로 혼합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표면층이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EVA) 3~15중량부, 폴리올레핀엘라스토머(POE) 2~8중량부, 폴리프로필렌(PP) 2~5중량부, 저밀도폴리에틸렌(LDPE) 20~48중량부,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LLDPE) 23~34중량부, 메탈로센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mLLDPE) 21~30중량부, 블로킹방지제(ab) 0.5~1.5중량부, 대전방지제(as) 0.5~1.5중량부로 혼합되고; 상기 중간층이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EVA) 6~15중량부, 폴리올레핀엘라스토머(POE) 6~15중량부, 폴리프로필렌(PP) 2~5중량부, 저밀도폴리에틸렌(LDPE) 9~25중량부,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LLDPE) 15~52중량부, 메탈로센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mLLDPE) 21~35중량부, 마스터 배치(MB)된 방충제 4~7중량부로 혼합되고; 상기 내면층이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EVA) 5~15중량부, 폴리올레핀엘라스토머(POE) 6~15중량부, 폴리프로필렌(PP) 2~5중량부, 저밀도폴리에틸렌(LDPE) 10~25중량부,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LLDPE) 20~48중량부, 메탈로센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mLLDPE) 17~25중량부, 중밀도폴리에틸렌(MDPE) 11~20중량부, 블로킹방지제(ab) 0.5~1.5중량부, 대전방지제(as) 0.5~1.5중량부로 혼합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방충제가 크로르피리포스, 디크로르보스, 싸이퍼메스린, 알파메스린, 트랜스플루트린2,3,5,6-테트라플루오로벤질, (1R)-트랜스-3-(2,2-디클로로비닐)-2,2-디에틸시클로프로판카르복실레이트, 디에틸톨루아미드(N,N-diethyl-m-toluamide), 벤질벤조에이트, 엔뷰틸아세트아마이드, 다이메틸프탈레이트, 다이에틸톨루아마이드, 베타-사이플루트린, 퍼메트린, 벤디오카브, 클로티아니딘, 이미다클로프리드, 티아클로프리드, 에티프롤, 피프로닐, 리녹사피르, 클로르페나피르, 알레트린, 피레트린, 바이오레스메트린, 테트라메트린, 디클로르보스, 페니트로치온, 클로르피리포스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마스터 배치(MB)는 다공성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EVA) 또는 다공성 폴리올레핀의 기공 내에 방충제가 담지된 것이다.
본 발명은 마스터 배치(MB)된 방충제가 서서히 방출되어 PET음료병, 유리용기, 음료 및 주류캔(CAN) 등의 각종 용기의 열수축 포장적치 시에 해충이 침입하지 아니하여 방충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방충제가 마스터 배치(MB)의 미세공에 안착되어 방충제에 의한 냄새 발생이 적고 방충제의 분산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방충제가 마스터 배치(MB)의 미세공으로부터 서서히 방출 즉 서방형(sustained release formulations)이 되어 장기간 방충이 지속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EVA), 폴리올레핀엘라스토머(POE),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PE)의 조성비가 특정화되어 내열성이 강하되어 포장물의 크기, 무게 및 종류에 구애받지 아니하고 포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EVA), 폴리올레핀엘라스토머(POE),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PE)의 조성비가 특정화되어 포장 시에 균일한 수축이 발생하고 필름의 주름이 발생하지 아니하면서 포장 후 포장물의 운반 또는 보관 시에 외부충격이나 운반과정에서 상처 등의 손상이 발생하지 아니하는 효과가 있다.
도 1: 본 발명 방충 열수축 필름의 단면도.
도 2: 본 발명 방충 열수축 필름의 단면 상태도.
도 3: 본 발명의 마스터 배치의 단면도.
본 발명은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EVA: ethylene-vinyl acetate copolymer), 폴리올레핀엘라스토머(POE: polyolefin elastomers), 폴리프로필렌(PP: polypropylene)를 적정 조성비로 혼합한 열수축 필름를 형성하고 기지 내에마스터 배치(MB; master batch, 20)된 방충제(22)가 혼합된 방충 열수축 필름(10)에 관한 것이다.
상기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EVA)는 에틸렌(ethylene)과 초산 비닐 모노머(vinyl monomer)를 공중합시켜 얻어지는 중합체로서 초산 비닐의 함유량이 증가함에 따라 밀도가 증가하지만 결정화도는 저하하여 유연성은 늘어난다.
상기 폴리올레핀엘라스토머(POE)는 올레핀(olefin)계 수지(폴리프로필렌: PP, 폴리에틸렌: PE)에 올레핀계고무(EPDM: Ethylene, Prophlene, None-conjugated Diene 등으로 이루어진 합성고무)을 미분산 즉 가교시킨 "엘라스토머"로서 비중이 작고 유동성이 뛰어나 성형이 용이하고 내후성이 우수하다.
상기 폴리프로필렌(PP)은 프로펜(propene)을 지글러-나타 촉매(zeigier-natta catalyst)로 중합시켜 중합체로서 내열성을 가지며 내마모성이 뛰어나고 상온에서 내충격성이 있다.
상기 폴리에틸렌(PE)은 석유의 원유를 분류(分溜)하여 나프타 부분(100∼200℃ 유출부분)을 분리시키고 이것을 분해시켜 약 25%를 분취(分取)한 에틸렌을 중합시켜 만들며 다음과 같은 분자구조식으로 이루어지며 측쇄(側鎖: 곁가지: side chaine)가 있는 경우도 있으며 이 측쇄가 적을수록 밀도가 높아지고 밀도가 높기 때문에 강도가 강하게 된다.
CH2=CH2→…-CH2-CH2-CH2-CH2-…
일반적으로 폴리에틸렌(PE)은 중합방법에 따라 밀도에 차이가 발생하며 플라스틱 밀도에 따라 초저밀도폴리에틸렌(VLDPE: Very Low Density Polyethylene), 저밀도폴리에틸렌(LDPE: Low Density Polyethylene),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LLDPE: Linear Low Density Polyethylene), 중밀도폴리에틸렌(MDPE: Medium Density Polyethylene), 고밀도폴리에틸렌(HDPE: High Density Polyethylene), 메탈로센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mLLDPE: Metallocene-catalyzed Linear Low Density Polyethylene), 가교폴리에틸렌(XLPE: Cross Linking Polyethylene) 등으로 분류된다.
상기 저밀도폴리에틸렌(LDPE)은 중합이 높은 압력하에서 이루어지는데 비하여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LLDPE) 및 고밀도폴리에틸렌(HDPE)의 중합은 촉매를 사용하여 보다 낮은 압력하에서 중합이 이루어 지기 때문에 저압법 폴리에틸렌이라고도 불리며 저밀도폴리에틸렌(LDPE)에 비하여 강성이 높아 경질 폴리에틸렌이라고도 불린다.
상기 저밀도폴리에틸렌(LDPE)은 105~115℃의 낮은 융점(Tm: Melting point)을 가짐으로 인해 강인하지만 인장강도가 강하지 않아 가공성과 유연성, 투명성이 우수하고 vicat 연화점이 80~90℃로 나타나기 때문에 비교적 높은 온도에서는 물성을 유지하지 못하며 가교방법을 통해 취약한 내열성을 보완하기도 한다.
이에 반해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LLDPE)은 110~125℃, 고밀도폴리에틸렌(HDPE)은 130~135℃의 상대적으로 높은 융점을 보임으로써 저밀도폴리에틸렌(LDPE)과는 다른 결정화 거동을 나타내기 때문에 저밀도폴리에틸렌(LDPE) 보다 강한 물성을 가질 뿐만 아니라 저밀도폴리에틸렌(LDPE)과는 상용성을 갖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LLDPE)의 경우는 융점및 결정화온도가 큰 차이가 나지 않아 냉각속도를 빨리할 경우 고체상태에서도 서로 상분리되지 않는다.
상기 저밀도폴리에틸렌(LDPE)이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LLDPE)나 고밀도폴리에틸렌(HDPE)에 비해 갖는 장점 중의 하나는 용융상태에서의 점성거동과 높은 용융장력(Melt tension)과 저밀도폴리에틸렌(LDPE)은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LLDPE)에 비해 낮은 전단속도에서 높은 점도를 나타낸다.
또한, 상기 저밀도폴리에틸렌(LDPE)은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LLDPE)이나 고밀도폴리에틸렌(HDPE)에 비해 많은 장쇄분지를 갖기 때문에 용융 장력이 상대적으로 높아 블로운 필름 압출시 버블의 안정성을 갖게 되며 활성화 에너지가 커서 온도변화에 따른 점도변화가 크다.
상기 저밀도폴리에틸렌(LDPE)과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LLDPE)은 모두 측쇄가 많아 저밀도이나 분자구조가 저밀도폴리에틸렌(LDPE)은 망상구조임에 비해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LLDPE)은 고밀도폴리에틸렌(HDPE)처럼 선형이며 고밀도폴리에틸렌(HDPE)은 폴리머중에서 분자구조에서 측쇄가 적어 밀도가 높아 높은 강성과 인장강도 및 경도를 갖으며 충격강도가 적다.
상기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LLDPE)은 곁가지가 저밀도폴리에틸렌(LDPE)처럼 많지 않지만 강도면에서 고밀도폴리에틸렌(HDPE)보다는 낮고 저밀도폴리에틸렌(LDPE)보다는 높으나 신장율이 저밀도폴리에틸렌(LDPE)보다 30% 정도 높고 다른 특성은 저밀도폴리에틸렌(LDPE)과 비슷하다.
본 발명은 상기의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EVA), 폴리올레핀엘라스토머(POE),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PE)의 특성을 이용하여 내열성이 강하고 방충제(22)에 의하여 해충이 침입이 방지되게 하기 위하여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EVA), 폴리올레핀엘라스토머(POE), 폴리프로필렌(PP), 저밀도폴리에틸렌(LDPE),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LLDPE), 중밀도폴리에틸렌(MDPE) 및 메탈로센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mLLDPE)으로 각 층별로 적정한 중량%로 혼합하고 중간층(12)에 마스터 배치(MB, 20)된 방충제(22)를 적정한 중량%로 혼합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EVA), 폴리올레핀엘라스토머(POE), 폴리프로필렌(PP) 및 폴리에틸렌(PE) 수지의 용융수지 및 밀도 현황
수지명 용융지수
(MI: g/10min)
밀 도
(g/㎤)
비 고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EVA) 0.6 ∼ 1.0 0.925 ∼ 0.935
폴리올레핀엘라스토머(POE) 0.5 ∼ 1.2 0.890 ∼ 0.905
폴리프로필렌(PP) 5.0 ∼ 6.0 0.900 ∼ 0.910
저밀도폴리에틸렌(LDPE) 0.3 ~ 0.8 0.910 ~ 0.925
메탈로센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mLLDPE) 0.3 ~ 1.0 0.910 ~ 0.925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LLDPE) 0.7 ~ 1.0 0.910 ~ 0.925
중밀도폴리에틸렌(MDPE) 1.0 ~ 1.5 0.926 ~ 0.940
상기 용융지수는 ASTM D1238의 조건하에서 190 ℃ 및 2.16 kg에서 측정하였고, 밀도는 ASTM D1505 방법에 의해 Density Gradient Column에서 측정하였다.
참고로 자체조사 결과 상기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EVA)은 밀도가 0.925∼0.935g/㎠일 경우에 0.007~0.012mm/mm로 성형수축되고, 폴리올레핀엘라스토머(POE)은 밀도가 0.890∼0.905g/㎠일 경우에 0.014~0.017mm/mm로 성형수축되고, 폴리프로필렌(PP)은 밀도가 0.900∼0.910g/㎠일 경우에 0.008~0.012mm/mm로 성형수축되고, 저밀도폴리에틸렌(LDPE)은 밀도가 0.910~0.925g/㎠일 경우에 0.020~0.050mm/mm로 성형수축되고, 중밀도폴리에틸렌(MDPE)은 밀도가 0.926g/㎠일 경우에 성형수축이 0.015~0.040mm/mm로 수축되었는데 이러한 성형수축을 이용하여 폴리에틸렌(PE)의 수지별로 다양하고 적절하게 혼합하여 본 발명의 방충 열수축 필름(10)을 특정화하는 것이다.
상기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EVA)의 용융지수는 0.3∼2.0g/10분인 것이 바람직하며 용융지수가 0.3g/10분 이하이면 압출부하가 크게 상승하고 연신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게 되고 2.0g/10분 이상이면 연신율이 필요 이상으로 향상되고,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EVA)의 밀도는 0.925∼0.935g/㎤인 것이 바람직하며 밀도가 0.925g/㎤ 이하이면 지나친 신축으로 가공 상에 문제가 발생하고 0.935g/㎤ 이상이면 신축성이 저하된다.
상기 폴리올레핀엘라스토머(POE)의 용융지수는 8.0∼15.0g/10분인 것이 바람직하며 용융지수가 8.0g/10분 이하이면 인장강도가 향상되나 열수축성이 저하되고 15.0g/10분 이상이면 인장강도가 다소 떨어 지지만 열수축성이 향상되고, 폴리올레핀엘라스토머(POE)의 밀도는 0.890~0.905g/㎤인 것이 바람직하며 밀도가 0.890g/㎤ 이하이면 가공 상에 문제가 발생하고 0.905g/㎤ 이상이면 신축성이 저하된다.
상기 폴리프로필렌(PP)의 용융지수는 0.5g∼10.0g/10분인 것이 바람직하며 용융지수가 0.5g/10분 이하이면 가공이 다소 어렵지만 인장강도가 향상되고 10.0g/10분 이상이면 내충격성은 다소 떨어 지지만 투명성이 향상되고, 폴리프로필렌(PP)의 밀도는 0.900~0.910g/㎤인 것이 바람직하며 밀도가 0.900g/㎤ 이하이면 지나친 신축으로 가공 상에 문제가 발생하고 0.910g/㎤ 이상이면 신축성이 저하된다.
상기 저밀도폴리에틸렌(LDPE)의 용융지수는 0.3~0.8g/10분인 것이 바람직하며 용융지수가 0.3g/10분 이하이면 가공이 다소 어렵지만 인장강도가 향상되고 0.8g/10분 이상이면 내충격성은 다소 떨어 지지만 투명성이 향상되고, 저밀도폴리에틸렌(LDPE)의 밀도는 0.910~0.925g/㎤인 것이 바람직하며 밀도가 0.910g/㎤ 이하이면 지나친 신축으로 가공 상에 문제가 발생하고 0.925g/㎤ 이상이면 신축성이 저하된다.
상기 메탈로센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mLLDPE)의 용융지수는 0.3~1.0g/10분인 것이 바람직하며 용융지수가 0.3 g/10분 이하이면 가공이 어려워지고 1.0g/10분 이상이면 가공 상의 문제뿐만 아니라 물성 저하가 발생하고, 메탈로센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mLLDPE)의 밀도는 0.910~0.925g/㎤인 것이 바람직하며 밀도가 0.910g/㎤ 이하이면 지나친 신축으로 가공 상에 문제가 발생하고 0.925g/㎤ 이상이면 신축성과 투명성이 저하된다.
상기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LLDPE)의 용융지수는 0.7~1.0g/10분인 것이 바람직하며 용융지수가 0.7g/10분 이하이면 균일한 수축성을 얻을 수 없고 1.0g/10분 이상이면 블렌딩 시에 높은 온도가 필요하고,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LLDPE)의 밀도는 0.910~0.925g/㎤인 것이 바람직하며 밀도가 0.910g/㎤ 이하이면 지나친 신축으로 가공 상에 문제가 발생하고 0.925g/㎤ 이상이면 신축성이 저하된다.
상기 중밀도폴리에틸렌(MDPE)의 용융지수는 1.0~1.5g/10분인 것이 바람직하며 용융지수가 1.0 g/10분 이하이면 다른 폴리에틸렌(PE)과의 가교화가 어려워지고 1.5g/10분 이상이면 가교화는 양호하나 블렌딩 시에 높은 온도가 필요하고, 중밀도폴리에틸렌(MDPE)의 밀도는 0.926~0.940g/㎤인 것이 바람직하며 밀도가 0.926g/㎤ 이하이면 신축성은 양호 하나 가공 상에 문제가 발생하고 0.940g/㎤ 이상이면 신축성이 저하된다.
상기 메탈로센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mLLDPE) 수지는 장쇄분지 함유가 높아 이를 이용하여 수축필름의 수축특성을 개선되게 저밀도폴리에틸렌(LDPE) 또는 중밀도폴리에틸렌(MDPE)과 혼합하여 열수축 필름의 기계적 물성을 개선시키면서 수축 필름의 횡방향(TD)의 팽창을 방지하고 균일한 수축율을 이루게 된다.
본 발명은 중간층(12)에 마스터 배치(MB, 20)된 방충제(22)를 혼합하여 바퀴벌레, 파리 또는 모기 등의 방충효과를 부여하며, 중간층(12)을 구성하는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방충제(22)는 4~7중량부로 구성되며 방충제(22)가 4중량부 미만일 경우에는 방충효과가 미미하며 효과가 없고 7중량부를 초과하면 마스터 배치(MB, 20)의 제조 과정에서 포함된 미량의 용제에 의하여 중간층(12)에 핀홀(pin hole) 또는 피쉬아이(fish eye) 등이 발생하거나 방충제(22)의 냄새가 나기도 한다.
상기 방충제(22)는 크로르피리포스, 디크로르보스, 싸이퍼메스린, 알파메스린, 트랜스플루트린2,3,5,6-테트라플루오로벤질, (1R)-트랜스-3-(2,2-디클로로비닐)-2,2-디에틸시클로프로판카르복실레이트, 디에틸톨루아미드(N,N-diethyl-m-toluamide), 벤질벤조에이트, 엔뷰틸아세트아마이드, 다이메틸프탈레이트, 다이에틸톨루아마이드, 베타-사이플루트린, 퍼메트린, 벤디오카브, 클로티아니딘,
이미다클로프리드, 티아클로프리드, 에티프롤, 피프로닐, 리녹사피르, 클로르페나피르, 알레트린, 피레트린, 바이오레스메트린, 테트라메트린, 디클로르보스, 페니트로치온, 클로르피리포스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으로 사용한다.
상기 마스터 배치(MB, 20)는 방충제(22)를 용제에 용해시킨 후 용제가 용해된 방충제 용액을 다공성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EVA), 다공성 폴리올레핀(polyolefine) 중에서 어느 하나의 수지 중에서 어느 하나의 수지의 1~50μm 입자 분말과 교반 혼합한 다음 건조시켜 용제를 휘발시켜 다공성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EVA) 또는 폴리올레핀의 기공 내에 방충제(22)를 담지시켜 방충제(22)가 1~50μm 입자의 다공성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EVA) 또는 폴리올레핀의 기공 내에 담침된 것이다.
상기 용제는 휘발성이 크고 방충제(22)보다 기화 온도가 낮고 방충제(22)에 대한 용해도가 커서 방충제(22)를 완전히 녹일 수 있고 기지층의 수지에 대한 용해도가 적어서 기지층의 구조를 유지시킬 수 있으면서 방충제(22)를 분해시킬 수 있는 아세톤(aceton), 헥산(hexane), 디에틸에테르(ether). 아세톤, 헥산 케톤류 노난, 데칸, 도데칸, 데카린, p-크실렌, 유동파라핀 등의 지방족, 환상의 탄화수소 등으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마스터뱃치(MB, 20)의 제조는 용제에 방충제(22)를 완전히 용해시켜 얻어진 방충제 용액과 1~50μm 입자의 다공성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EVA) 또는 다공성 폴리올레핀의 분말(powder)을 반응기(reactor), 회전교반기(rotary evaporate), 텀블러혼합기(tumbler mixer), 수퍼혼합기(super mixer), 헨셀혼합기(hensxhel mixer) 등의 교반 혼합장치에 투입하여 일정시간 동안 교반하면 방충제 용액이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EVA) 또는 다공성 폴리올레핀 분말의 미세공(21)으로 침투시킨 후 건조시킨다.
이때, 상기 건조는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EVA) 또는 다공성 폴리올레핀의 1~50μm 입자 분말의 미세공(21) 내에 존재하는 용제를 완전하게 제거될 수 있도록 낮은 온도에서 진공건조방법으로 장시간 용제를 휘발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며 방충제(22)보다 기화 온도가 낮고 휘발성이 큰 용제는 휘발되고 방충제(22)는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EVA) 또는 다공성 폴리올레핀 분말의 미세공(21)에 안착하게 되어 다공성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EVA) 또는 다공성 폴리올레핀의 미세공(21) 내에 방충제(22)가 담지된 마스터뱃치(MB)가 된다.
상기 방충제(22)가 마스터뱃치(MB)의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EVA) 또는 다공성 폴리올레핀 1~50μm 분말의 미세공(21)을 통하여 소량씩 고르게 분포되므로 방충제(22)의 혼화도가 높고 기계적 물성도 양호하게 유지되게 되면서 미세한 기공에 의하여 방충제(22)의 용출이 거의 없는 양호한 마스터뱃치(MB)가 된다.
상기 마스터 배치(MB, 20)된 방충제(22)가 서서히 방출되어 각종 용기의 열수축 포장적치 시에 해충이 침입하지 아니하고 마스터 배치(MB, 20)의 미세공(21)에 안착되어 방충제(22)에 의한 냄새 발생이 적고 방충제(22)의 분산성이 우수하고 각종용기가 열수축필름에 포장된 상태에서 장기간 보관할 수 있게 된다.
일반적으로 필름은 높은 마찰계수나 필름 성형시 닙롤(Nip-Roll)에서 필름 내면이 서로 달라붙는 블로킹(blocking)에 의하여 때때로 표면끼리 달라붙어 작업상 지장을 주는 경우가 있으며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방충 열수축 필름(10)의 표면층(11) 및 내면층(13)에 블로킹 방지제(antiblocking agent)를 첨가시켜 블로킹성을 감소시킨다.
상기 폴리에틸렌(PE)계 열수축 필름의 성형 가중 중 또는 사용 중에 표면끼리 고착되어 작업에 지장을 초래하는 경우가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블로킹 방지제(ab)를 표면층(11) 및 내면층(13)의 조성물에 첨가한다.
상기 블로킹 방지제(ab)는 표면층(11) 또는 내면층(13)을 구성하는 수지의 혼합 총 100중량부에 대하여 0.5~1.5중량부를 로 구성되며 블로킹 방지제(ab)가 0.5중량부 미만일 경우에는 안티 블로킹성을 확보하기 어렵고 1.5중량부를 초과하면 합지 후 필름 표면에 형성되는 돌기 형태가 불균일하게 되어 양호한 슬립성을 얻기 어렵다.
상기 블로킹 방지제(ab)는 탄산칼슘, 무정형 실리카, 규조토, 카올린, 탈크, 활석, 탄산마그네슘, 탄산바륨, 황산칼슘, 황산바륨, 인산리튬, 인산칼슘, 인산마그네슘, 산화알루미늄, 불화리튬, 디카르복시산의칼슘, 바륨, 아연 또는 망간 염, 카본블랙, 이산화티탄, 카올린, 가교된 폴리스틸렌 입자, 가교된 아크릴레이트 입자, 실리콘 비드 또는 테프론 비드 중에서 어느 하나로 구성된다.
일반적으로 플라스틱은 공기 중의 수분 흡수력이 거의 없고, 절연저항이 매우 높기 때문에 발생된 정전기를 흘려버리지 못하고 축적하는 성질을 가지고 있어서 정전기 장해를 일으키게 된다.
본 발명은 정전기에 예민한 전자장치를 포장 시에 열수축 필름에서 발생하는 전기 저항을 감소시켜 정전기 발생을 줄이기 위하여 대전방지제(antistatic agent)를 표면층(11) 또는 내면층(13)의 조성물에 첨가한다.
상기 대전방지제(as)는 표면층(11) 또는 내면층(13)을 구성하는 수지의 혼합 총 100중량부에 대하여 0.5~1.5중량부를 로 구성된다.
상기 대전방지제(as)가 0.5중량부 미만일 경우에는 대전방지성의 개선효과가 작고 1.5중량부를 초과하면 대전방지성은 양호하나 필름의 활성과 투명성이 저하된다.
상기 대전방지제(as)는 제4급암모늄염, 제4급암모늄수지형, 알킬아민설페이트, 글리세린모노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알킬아민, 알킬베타인형, 알킬이미다조린형, 지방산다가알코올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부가물, 베타인염, 알라닌염, 포스페이트염 또는 설폰산염 중에서 어느 하나로 구성된다.
상기 대전방지제(as)는 방충 열수축 필름(10)의 대전특성을 부여하기 위해 표면층(11) 또는 내면층(13)의 수지에 첨가하며 대전방지제는 중합체(polymer)로서 두 표면을 서로 접촉할 때 전자이동이 발생하고 두 표면을 분리시킬 때 잔류 정전하가 얻어진다.
상기 대전방지제(as)는 열수축 필름으로 포장되는 포장물의 표면이 도전체인 경우에는 전자가 신속하게 분산됨으로써 과잉전하를 제거시키며 그 표면이 절연체(유연체)인 경우에는 그 표면 전하가 분산되는데 상당히 장시간 소요되는데 이때 대전방지제가 상당히 높은 표면 저항율을 갖는 절연체이므로 먼지와 오물의 인력을 촉진하는 높은 전하를 축적하여 접촉하고 있는 낮은 전위체에 방전시키게 된다.
즉, 상기 대전방지제(as)가 대전방지특성을 갖도록 변질시키기 위하여 전도율을 증가시켜 정전분산율을 증가시켜 열수축 필름 표면의 정전하 붕괴를 촉진시킴으로써 접착효과를 감소시키고, 스파크 방전을 제거하며 먼지의 누적을 방지한다.
상기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EVA), 폴리올레핀엘라스토머(POE), 폴리프로필렌(PP), 저밀도폴리에틸렌(LDPE),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LLDPE), 메탈로센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mLLDPE), 블로킹방지제(ab), 대전방지제(as)를 적당량으로 혼합하여 제1압출기의 호퍼에 투입하여 용융, 압출하여 제1용융수지가 되게 한다.
상기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EVA), 폴리올레핀엘라스토머(POE), 폴리프로필렌(PP), 저밀도폴리에틸렌(LDPE),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LLDPE), 메탈로센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mLLDPE), 마스터 배치(MB, 20)된 방충제(22)를 적당량으로 혼합하여 제2압출기의 호퍼에 투입하여 용융, 압출하여 제2용융수지가 되게 한다.
상기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EVA), 폴리올레핀엘라스토머(POE), 폴리프로필렌(PP), 저밀도폴리에틸렌(LDPE),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LLDPE), 메탈로센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mLLDPE), 중밀도폴리에틸렌(MDPE), 블로킹방지제(ab), 대전방지제(as)를 적당량으로 혼합하여 제3압출기의 호퍼에 투입하여 용융, 압출하여 제3용융수지가 되게 한다.
상기 제1,2압출기에서 용융된 제1,2용융수지가 각각 2중 필름 성형장치의 분리된 융융수지로에 유입되어 유동되면서 하나로 합지되어 2층 즉 2중 방충 열수축 필름으로 성형되어 2중 필름 성형장치의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상기 제1용융수지는 방충 열수축 필름(10)의 표면층(11)으로 되고, 제2용융수지는 방충 열수축 필름(10)의 중간층(12)으로 구성되는 2중 방충 열수축 필름이 된다.
또한, 상기 제1,2,3압출기에서 용융된 제1,2,3용융수지가 각각 3중 필름 성형장치의 분리된 융융수지로에 유입되어 유동되면서 하나로 합지되어 3층 즉 3중 방충 열수축 필름(10)으로 성형되어 3중 필름 성형장치의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상기 제1용융수지는 방충 열수축 필름(10)의 표면층(11)으로 되고, 제2용융수지는 방충 열수축 필름(10)의 중간층(12)으로 되고, 제3용융수지는 방충 열수축 필름(10)의 내면층(13)으로 구성되는 3중 방충 열수축 필름이 된다.
본 발명의 방충 열수축 필름은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EVA) 3~15중량부, 폴리올레핀엘라스토머(POE) 2~8중량부, 폴리프로필렌(PP) 2~5중량부, 저밀도폴리에틸렌(LDPE) 20~66중량부,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LLDPE) 21~37중량부, 메탈로센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mLLDPE) 5~30중량부, 블로킹방지제(ab) 0.5~1.5중량부, 대전방지제(as) 0.5~1.5중량부를 포함하는 표면층(11)으로 구성된다.
상기 표면층(11) 하부에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EVA) 3~15중량부, 폴리올레핀엘라스토머(POE) 2~15중량부, 폴리프로필렌(PP) 2~5중량부, 저밀도폴리에틸렌(LDPE) 8~40중량부,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LLDPE) 12~74중량부, 메탈로센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mLLDPE) 7~35중량부, 마스터 배치(MB, 20)된 방충제(22) 4~7중량부를 포함하는 중간층(12)으로 구성된다.
상기 중간층(12) 하부에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EVA) 3~15중량부, 폴리올레핀엘라스토머(POE) 2~15중량부, 폴리프로필렌(PP) 2~5중량부, 저밀도폴리에틸렌(LDPE) 10~41중량부,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LLDPE) 20~74중량부, 메탈로센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mLLDPE) 5~25중량부, 중밀도폴리에틸렌(MDPE) 3~20중량부, 블로킹방지제(ab) 0.5~1.5중량부, 대전방지제(as) 0.5~1.5중량부를 포함하는 내면층(13)이 더 구성된다.
즉, 본 발명은 표면층(11) 및 중간층(12)으로 구성되는 2중 방충 열수축 필름으로 구성되거나 중간층(12) 하부에 내면층(13)이 더 구성되는 3중 방충 열수축 필름으로 구성된다.
상기 2중 방충 열수축 필름 또는 3중 방충 열수축 필름 수지의 혼합시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EVA), 폴리올레핀엘라스토머(POE), 폴리프로필렌(PP), 저밀도폴리에틸렌(LDPE),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LLDPE), 메탈로센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mLLDPE), 중밀도폴리에틸렌(MDPE)가 상기 범위를 초과하거나 미달하게 되면 2중 방충 열수축 필름 또는 3중 방충 열수축 필름의 방충 열수축 필름(10)의 수축 특성 및 균일성이 부족하게 되고 경시 자연 수축이 발생하여 필름의 외관이 불량하게 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EVA)가 상기 범위를 초과하면 필름의 강성(stiffness)이 저하하고 밀봉 강도가 저하하며 끈적이는 현상이 높아지고 상기 범위를 미달하면 투명이 떨어진다.
상기 폴리올레핀엘라스토머(POE)가 상기 범위를 초과하면 용융상태에서의 강도가 강하여 압출부하, 압출 토크가 크게 상승하고 상기 범위를 미달하면 내후성이 떨어진다.
상기 폴리프로필렌(PP)이 상기 범위를 초과하면 열수축 필름 성형시 고온에 견디나 투명성이 떨어지고 상기 범위를 미달하면 자외선이 내광성이 떨어져서 자외선에의 분해가 용이하게 된다.
상기 폴리에틸렌(PE) 수지의 혼합시 상기 범위를 초과하거나 미달하게 되면 필름의 수축특성 및 균일성이 부족하게 되고 경시 자연 수축이 발생하여 필름의 외관이 불량하게 되고, 블로킹방지제(ab)가 상기 범위를 초과하거나 미달하게 되면 필름의 슬립성과 탁도가 불량하게 되고, 대전방지제가 범위를 초과하거나 미달하게 되면 대전방지성 또는 활성이 저하된다.
상기 방충제(22)가 상기 범위를 초과하거나 미달하게 되면 2중 열수축 필름 또는 3중 열수축 필름의 방충 효과가 불량하게 되거나 방충제(22) 냄새가 발생하거나 방충제(22)의 분산성이 저하되거나 각종용기의 장기 포장 보관이 곤란하게 된다.
상기 블로킹방지제(ab)가 상기 범위를 초과하거나 미달하게 되면 필름의 슬립성과 탁도가 불량하게 되고, 대전방지제(as)가 범위를 초과하거나 미달하게 되면 대전방지성 또는 활성이 저하된다.
상기 조성비로 인하여 물성이 상이한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EVA), 폴리올레핀엘라스토머(POE),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PE)을 사용함으로써 수지의 단점을 상호 보완하게 되어 수축이 균일하고 갈라짐, 상처 등이 발생하지 아니하고, 다양한 수축율에 의하여 1.5L PET병 등과 같은 무거운 물건의 열수축 필름으로 포장을 할 수 있고, 작은 수축율이 요구되는 건전지 등의 열수축 필름으로 포장을 할 수 있고, 마스터 배치(MB, 20)된 방충제(22)가 미세공(21)으로부터 서서히 방출되어 각종 용기의 열수축 포장적치 시에 해충이 침입하지 아니하고 장기간 방충이 지속되는 등의 효과가 있다.
(실시예1)
상기 표면층(11)은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EVA) 3~15중량부, 폴리올레핀엘라스토머(POE) 2~8중량부, 폴리프로필렌(PP) 2~5중량부, 저밀도폴리에틸렌(LDPE) 40~66중량부,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LLDPE) 21~34중량부, 메탈로센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mLLDPE) 5~12중량부, 블로킹방지제(ab) 0.5~1.5중량부, 대전방지제(as) 0.5~1.5중량부를 포함하고; 중간층(12)은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EVA) 3~8중량부, 폴리올레핀엘라스토머(POE) 2~7중량부, 폴리프로필렌(PP) 2~5중량부, 저밀도폴리에틸렌(LDPE) 22~40중량부,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LLDPE) 30~60중량부, 메탈로센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mLLDPE) 7~20중량부, 마스터 배치(MB, 20)된 방충제(22) 4~7중량부를 포함하고; 내면층(13)은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EVA) 3~8중량부, 폴리올레핀엘라스토머(POE) 2~7중량부, 폴리프로필렌(PP) 2~5중량부, 저밀도폴리에틸렌(LDPE) 22~41중량부,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LLDPE) 30~60중량부, 메탈로센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mLLDPE) 7~20중량부, 중밀도폴리에틸렌(MDPE) 3~7중량부, 블로킹방지제(ab) 0.5~1.5중량부, 대전방지제(as) 0.5~1.5중량부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얻고 물성을 측정하여 평가하였다.
(실시예2)
상기 표면층(11)은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EVA) 3~15중량부, 폴리올레핀엘라스토머(POE) 2~8중량부, 폴리프로필렌(PP) 2~5중량부, 저밀도폴리에틸렌(LDPE) 30~56중량부,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LLDPE) 21~34중량부, 메탈로센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mLLDPE) 15~20중량부, 블로킹방지제(ab) 0.5~1.5중량부, 대전방지제(as) 0.5~1.5중량부를 포함하고; 중간층(12)은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EVA) 3~12중량부, 폴리올레핀엘라스토머(POE) 2~8중량부, 폴리프로필렌(PP) 2~5중량부, 저밀도폴리에틸렌(LDPE) 8~30중량부,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LLDPE) 35~74중량부, 메탈로센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mLLDPE) 7~20중량부, 마스터 배치(MB, 20)된 방충제(22) 4~7중량부를 포함하고; 내면층(13)은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EVA) 3~10중량부, 폴리올레핀엘라스토머(POE) 2~10중량부, 폴리프로필렌(PP) 2~5중량부, 저밀도폴리에틸렌(LDPE) 10~30중량부,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LLDPE) 40~74중량부, 메탈로센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mLLDPE) 5~15중량부, 중밀도폴리에틸렌(MDPE) 3~7중량부, 블로킹방지제(ab) 0.5~1.5중량부, 대전방지제(as) 0.5~1.5중량부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얻고 물성을 측정하여 평가하였다.
(실시예3)
상기 표면층(11)은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EVA) 3~15중량부, 폴리올레핀엘라스토머(POE) 2~8중량부, 폴리프로필렌(PP) 2~5중량부, 저밀도폴리에틸렌(LDPE) 25~50중량부,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LLDPE) 25~37중량부, 메탈로센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mLLDPE) 17~25중량부, 블로킹방지제(ab) 0.5~1.5중량부, 대전방지제(as) 0.5~1.5중량부를 포함하고; 중간층(12)은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EVA) 3~12중량부, 폴리올레핀엘라스토머(POE) 3~9중량부, 폴리프로필렌(PP) 2~5중량부, 저밀도폴리에틸렌(LDPE) 10~25중량부,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LLDPE) 34~68중량부, 메탈로센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mLLDPE) 10~25중량부, 마스터 배치(MB, 20)된 방충제(22) 4~7중량부를 포함하고; 내면층(13)은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EVA) 3~10중량부, 폴리올레핀엘라스토머(POE) 5~12중량부, 폴리프로필렌(PP) 2~5중량부, 저밀도폴리에틸렌(LDPE) 12~32중량부,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LLDPE) 35~66중량부, 메탈로센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mLLDPE) 8~20중량부, 중밀도폴리에틸렌(MDPE) 3~7중량부, 블로킹방지제(ab) 0.5~1.5중량부, 대전방지제(as) 0.5~1.5중량부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얻고 물성을 측정하여 평가하였다.
(실시예4)
상기 표면층(11)은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EVA) 3~15중량부, 폴리올레핀엘라스토머(POE) 2~8중량부, 폴리프로필렌(PP) 2~5중량부, 저밀도폴리에틸렌(LDPE) 32~54중량부,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LLDPE) 21~30중량부, 메탈로센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mLLDPE) 17~25중량부, 블로킹방지제(ab) 0.5~1.5중량부, 대전방지제(as) 0.5~1.5중량부를 포함하고; 중간층(12)은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EVA) 6~15중량부, 폴리올레핀엘라스토머(POE) 6~15중량부, 폴리프로필렌(PP) 2~5중량부, 저밀도폴리에틸렌(LDPE) 8~20중량부,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LLDPE) 25~58중량부, 메탈로센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mLLDPE) 16~30중량부, 마스터 배치(MB, 20)된 방충제(22) 4~7중량부를 포함하고; 내면층(13)은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EVA) 3~8중량부, 폴리올레핀엘라스토머(POE) 2~10중량부, 폴리프로필렌(PP) 2~5중량부, 저밀도폴리에틸렌(LDPE) 20~32중량부,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LLDPE) 25~55중량부, 메탈로센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mLLDPE) 10~20중량부, 중밀도폴리에틸렌(MDPE) 7~15중량부, 블로킹방지제(ab) 0.5~1.5중량부, 대전방지제(as) 0.5~1.5중량부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얻고 물성을 측정하여 평가하였다.
(실시예5)
상기 표면층(11)은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EVA) 3~15중량부, 폴리올레핀엘라스토머(POE) 2~8중량부, 폴리프로필렌(PP) 2~5중량부, 저밀도폴리에틸렌(LDPE) 32~54중량부,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LLDPE) 21~30중량부, 메탈로센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mLLDPE) 17~25중량부, 블로킹방지제(ab) 0.5~1.5중량부, 대전방지제(as) 0.5~1.5중량부를 포함하고; 중간층(12)은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EVA) 6~15중량부, 폴리올레핀엘라스토머(POE) 6~15중량부, 폴리프로필렌(PP) 2~5중량부, 저밀도폴리에틸렌(LDPE) 16~33중량부,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LLDPE) 12~50중량부, 메탈로센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mLLDPE) 16~30중량부, 마스터 배치(MB, 20)된 방충제(22) 4~7중량부를 포함하고; 내면층(13)은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EVA) 4~13중량부, 폴리올레핀엘라스토머(POE) 6~13중량부, 폴리프로필렌(PP) 2~5중량부, 저밀도폴리에틸렌(LDPE) 11~30중량부,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LLDPE) 20~48중량부, 메탈로센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mLLDPE) 17~25중량부, 중밀도폴리에틸렌(MDPE) 11~20중량부, 블로킹방지제(ab) 0.5~1.5중량부, 대전방지제(as) 0.5~1.5중량부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얻고 물성을 측정하여 평가하였다.
(실시예6)
상기 표면층(11)은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EVA) 3~15중량부, 폴리올레핀엘라스토머(POE) 2~8중량부, 폴리프로필렌(PP) 2~5중량부, 저밀도폴리에틸렌(LDPE) 20~48중량부,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LLDPE) 23~34중량부, 메탈로센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mLLDPE) 21~30중량부, 블로킹방지제(ab) 0.5~1.5중량부, 대전방지제(as) 0.5~1.5중량부를 포함하고; 중간층(12)은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EVA) 6~15중량부, 폴리올레핀엘라스토머(POE) 6~15중량부, 폴리프로필렌(PP) 2~5중량부, 저밀도폴리에틸렌(LDPE) 9~25중량부,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LLDPE) 15~52중량부, 메탈로센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mLLDPE) 21~35중량부, 마스터 배치(MB, 20)된 방충제(22) 4~7중량부를 포함하고; 내면층(13)은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EVA) 5~15중량부, 폴리올레핀엘라스토머(POE) 6~15중량부, 폴리프로필렌(PP) 2~5중량부, 저밀도폴리에틸렌(LDPE) 10~25중량부,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LLDPE) 20~48중량부, 메탈로센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mLLDPE) 17~25중량부, 중밀도폴리에틸렌(MDPE) 11~20중량부, 블로킹방지제(ab) 0.5~1.5중량부, 대전방지제(as) 0.5~1.5중량부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얻고 물성을 측정하여 평가하였다.
본 발명에 있어서 방충 열수축 필름(10)의 실시예에 대한 물성을 아래 방법으로 평가하였다.
(1) 수축율 측정
KS A1511 수축 포장용 필름에 정한 시험 방법에 의하여 수행하였으며 제조된 방충 열수축 필름(10)에서 한 변이 필름의 세로방향에 평행한 100mm*100mm의 정사각형 시료를 채취하여 120℃의 항온욕조의 에틸렌글리콜용액의 욕조에 20초 담근 후 인출하여 상온에 5초 냉각하여 종방향(MD) 및 횡방향(TD)의 길이를 측정하였고 수축율은 아래와 식에 의하여 계산하였다.
수축율(%) = 100-(Lo-Lt)/Lo
Lo: 수축 전 길이.
Lt: 수축 후 길이.
(2) 방충성
방충성은 표준화된 방법이 없기 때문에 모기 및 바퀴벌레들 대상으로 발명자가 관능 평가에 의하여 정성적으로 평가하였으며 모기 및 바퀴벌레를 용기가 포장된 열수축 필름 내에 투입하여 모기 및 바퀴벌레의 회피 반응 즉 모기 및 바퀴벌레가 포장물로부터 탈출하는 정도에 따라 회피 정도가 클 경우에는 우수, 회피 반응을 조금 보일 경우에는 보통, 회피 반응이 보이지 않을 경우에는 불량으로 표현하였다.
(3) 동마찰계수
ASTM D 1904 방법으로 필름면의 동마찰계수를 측정하였다.
(4) 탁도(Haze: 헤이즈)
ASTM D 1004 방법으로 필름의 탁도(Haze: 헤이즈)를 측정하였다.
(5) 필름 외관
필름 외관은 발명자가 관능 평가에 의하여 정성적으로 평가하였으며 필름 외관이 매끈하면 우수, 필름 외관에 돌출부가 없지만 표면이 매끈하지 아니하는 경우에는 보통, 필름 외관에 약간 돌출부가 있을 경우에는 불량으로 표현하였다.
이와 같이 제조된 본 발명의 3중 방충 열수축성 필름(10)은 종방향의 수축률이 67~83%이고, 횡방향(TD)의 수축률이 7~53%이고, 동마찰계수가 0.41 이하이고, 필름의 탁도는 11.5 이하이다.
본 발명의 방충 열수축 필름(10)에 대한 조성물은 다음 표 2와 같다.
조성물 현황
구 분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14 실시예5 실시예6



표면층



EVA 5 5 5 5 5 5
POE 3 3 5 5 5 5
PP 3 3 3 3 3 3
LDPE 49 39 33 40 40 30
LLDPE 30 30 32 25 25 30
mLLDPE 8 18 20 20 20 25
ab 1 1 1 1 1 1
as 1 1 1 1 1 1



중간층


EVA 5 7 7 10 10 10
POE 3 5 6 10 10 10
PP 3 3 3 3 3 3
LDPE 40 45 44 35 20 22
LLDPE 34 25 20 12 27 20
mLLDPE 10 10 15 25 25 30
방충제 5 5 5 5 5 5




내면층



EVA 5 7 7 5 8 10
POE 3 5 7 5 8 10
PP 3 3 3 3 3 3
LDPE 32 20 21 30 19 15
LLDPE 40 50 45 30 25 25
mLLDPE 10 8 10 15 20 20
MDPE 5 5 5 10 15 15
ab 1 1 1 1 1 1
as 1 1 1 1 1 1
실시예1 내지 실시예6에 의한 조성물을 혼합하여 용융하여 필름으로 압출하여 압출된 방충 열수축 필름에 대해서 상기 KS A1511, ASTM D 1904 및 ASTM D 1004의 방법으로 수축율 측정, 동마찰계수 및 탁도 등을 평가한 결과 다음 표3과 같다.
필름 물성 평가결과
구 분
수축율(%) 방충성
동마찰계수
탁 도
필름 외관
종방향 횡방향
실시예1 70 10~15 양호 0.34 11.1 양호
실시예2 70 15~20 양호 0.32 11.5 양호
실시예3 75 21~25 양호 0.35 9.0 양호
실시예4 75 26~30 양호 0.41 10.9 양호
실시예5 75 31~40 양호 0.37 10.7 양호
실시예6 75~80 41~50 양호 0.36 10.2 양호
이와 같이, 본원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원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원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 방충 열수축 필름 11: 표면층
12: 중간층 13: 내면층
20: 마스터 배치 21: 미세공
22: 방충제

Claims (10)

  1. 방충 열수축 필름에 있어서,
    상기 방충 열수축 필름은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EVA) 3~15중량부, 폴리올레핀엘라스토머(POE) 2~8중량부, 폴리프로필렌(PP) 2~5중량부, 저밀도폴리에틸렌(LDPE) 20~66중량부,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LLDPE) 21~37중량부, 메탈로센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mLLDPE) 5~30중량부, 블로킹방지제(ab) 0.5~1.5중량부, 대전방지제(as) 0.5~1.5중량부를 포함하는 표면층으로 구성되고;
    상기 표면층 하부에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EVA) 3~15중량부, 폴리올레핀엘라스토머(POE) 2~15중량부, 폴리프로필렌(PP) 2~5중량부, 저밀도폴리에틸렌(LDPE) 8~40중량부,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LLDPE) 12~74중량부, 메탈로센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mLLDPE) 7~35중량부, 마스터 배치(MB)된 방충제 4~7중량부를 포함하는 중간층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충 열수축 필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층 하부에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EVA) 3~15중량부, 폴리올레핀엘라스토머(POE) 2~15중량부, 폴리프로필렌(PP) 2~5중량부, 저밀도폴리에틸렌(LDPE) 10~41중량부,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LLDPE) 20~74중량부, 메탈로센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mLLDPE) 5~25중량부, 중밀도폴리에틸렌(MDPE) 3~20중량부, 블로킹방지제(ab) 0.5~1.5중량부, 대전방지제(as) 0.5~1.5중량부를 포함하는 내면층이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충 열수축 필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층은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EVA) 3~15중량부, 폴리올레핀엘라스토머(POE) 2~8중량부, 폴리프로필렌(PP) 2~5중량부, 저밀도폴리에틸렌(LDPE) 40~66중량부,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LLDPE) 21~34중량부, 메탈로센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mLLDPE) 5~12중량부, 블로킹방지제(ab) 0.5~1.5중량부, 대전방지제(as) 0.5~1.5중량부로 혼합되고;
    상기 중간층은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EVA) 3~8중량부, 폴리올레핀엘라스토머(POE) 2~7중량부, 폴리프로필렌(PP) 2~5중량부, 저밀도폴리에틸렌(LDPE) 22~40중량부,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LLDPE) 30~60중량부, 메탈로센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mLLDPE) 7~20중량부, 마스터 배치(MB)된 방충제 4~7중량부로 혼합되고;
    상기 내면층은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EVA) 3~8중량부, 폴리올레핀엘라스토머(POE) 2~7중량부, 폴리프로필렌(PP) 2~5중량부, 저밀도폴리에틸렌(LDPE) 22~41중량부,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LLDPE) 30~60중량부, 메탈로센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mLLDPE) 7~20중량부, 중밀도폴리에틸렌(MDPE) 3~7중량부, 블로킹방지제(ab) 0.5~1.5중량부, 대전방지제(as) 0.5~1.5중량부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충 열수축 필름.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층은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EVA) 3~15중량부, 폴리올레핀엘라스토머(POE) 2~8중량부, 폴리프로필렌(PP) 2~5중량부, 저밀도폴리에틸렌(LDPE) 30~56중량부,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LLDPE) 21~34중량부, 메탈로센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mLLDPE) 15~20중량부, 블로킹방지제(ab) 0.5~1.5중량부, 대전방지제(as) 0.5~1.5중량부로 혼합되고;
    상기 중간층은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EVA) 3~12중량부, 폴리올레핀엘라스토머(POE) 2~8중량부, 폴리프로필렌(PP) 2~5중량부, 저밀도폴리에틸렌(LDPE) 8~30중량부,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LLDPE) 35~74중량부, 메탈로센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mLLDPE) 7~20중량부, 마스터 배치(MB)된 방충제 4~7중량부로 혼합되고;
    상기 내면층은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EVA) 3~10중량부, 폴리올레핀엘라스토머(POE) 2~10중량부, 폴리프로필렌(PP) 2~5중량부, 저밀도폴리에틸렌(LDPE) 10~30중량부,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LLDPE) 40~74중량부, 메탈로센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mLLDPE) 5~15중량부, 중밀도폴리에틸렌(MDPE) 3~7중량부, 블로킹방지제(ab) 0.5~1.5중량부, 대전방지제(as) 0.5~1.5중량부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충 열수축 필름.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층은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EVA) 3~15중량부, 폴리올레핀엘라스토머(POE) 2~8중량부, 폴리프로필렌(PP) 2~5중량부, 저밀도폴리에틸렌(LDPE) 25~50중량부,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LLDPE) 25~37중량부, 메탈로센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mLLDPE) 17~25중량부, 블로킹방지제(ab) 0.5~1.5중량부, 대전방지제(as) 0.5~1.5중량부로 혼합되고;
    상기 중간층은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EVA) 3~12중량부, 폴리올레핀엘라스토머(POE) 3~9중량부, 폴리프로필렌(PP) 2~5중량부, 저밀도폴리에틸렌(LDPE) 10~25중량부,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LLDPE) 34~68중량부, 메탈로센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mLLDPE) 10~25중량부, 마스터 배치(MB)된 방충제 4~7중량부로 혼합되고;
    상기 내면층은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EVA) 3~10중량부, 폴리올레핀엘라스토머(POE) 5~12중량부, 폴리프로필렌(PP) 2~5중량부, 저밀도폴리에틸렌(LDPE) 12~32중량부,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LLDPE) 35~66중량부, 메탈로센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mLLDPE) 8~20중량부, 중밀도폴리에틸렌(MDPE) 3~7중량부, 블로킹방지제(ab) 0.5~1.5중량부, 대전방지제(as) 0.5~1.5중량부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충 열수축 필름.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층은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EVA) 3~15중량부, 폴리올레핀엘라스토머(POE) 2~8중량부, 폴리프로필렌(PP) 2~5중량부, 저밀도폴리에틸렌(LDPE) 32~54중량부,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LLDPE) 21~30중량부, 메탈로센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mLLDPE) 17~25중량부, 블로킹방지제(ab) 0.5~1.5중량부, 대전방지제(as) 0.5~1.5중량부로 혼합되고;
    상기 중간층은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EVA) 6~15중량부, 폴리올레핀엘라스토머(POE) 6~15중량부, 폴리프로필렌(PP) 2~5중량부, 저밀도폴리에틸렌(LDPE) 8~20중량부,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LLDPE) 25~58중량부, 메탈로센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mLLDPE) 16~30중량부, 마스터 배치(MB)된 방충제 4~7중량부로 혼합되고;
    상기 내면층은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EVA) 3~8중량부, 폴리올레핀엘라스토머(POE) 2~10중량부, 폴리프로필렌(PP) 2~5중량부, 저밀도폴리에틸렌(LDPE) 20~32중량부,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LLDPE) 25~55중량부, 메탈로센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mLLDPE) 10~20중량부, 중밀도폴리에틸렌(MDPE) 7~15중량부, 블로킹방지제(ab) 0.5~1.5중량부, 대전방지제(as) 0.5~1.5중량부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충 열수축 필름.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층은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EVA) 3~15중량부, 폴리올레핀엘라스토머(POE) 2~8중량부, 폴리프로필렌(PP) 2~5중량부, 저밀도폴리에틸렌(LDPE) 32~54중량부,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LLDPE) 21~30중량부, 메탈로센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mLLDPE) 17~25중량부, 블로킹방지제(ab) 0.5~1.5중량부, 대전방지제(as) 0.5~1.5중량부로 혼합되고;
    상기 중간층은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EVA) 6~15중량부, 폴리올레핀엘라스토머(POE) 6~15중량부, 폴리프로필렌(PP) 2~5중량부, 저밀도폴리에틸렌(LDPE) 16~33중량부,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LLDPE) 12~50중량부, 메탈로센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mLLDPE) 16~30중량부, 마스터 배치(MB)된 방충제 4~7중량부로 혼합되고;
    상기 내면층은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EVA) 4~13중량부, 폴리올레핀엘라스토머(POE) 6~13중량부, 폴리프로필렌(PP) 2~5중량부, 저밀도폴리에틸렌(LDPE) 11~30중량부,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LLDPE) 20~48중량부, 메탈로센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mLLDPE) 17~25중량부, 중밀도폴리에틸렌(MDPE) 11~20중량부, 블로킹방지제(ab) 0.5~1.5중량부, 대전방지제(as) 0.5~1.5중량부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충 열수축 필름.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층은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EVA) 3~15중량부, 폴리올레핀엘라스토머(POE) 2~8중량부, 폴리프로필렌(PP) 2~5중량부, 저밀도폴리에틸렌(LDPE) 20~48중량부,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LLDPE) 23~34중량부, 메탈로센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mLLDPE) 21~30중량부, 블로킹방지제(ab) 0.5~1.5중량부, 대전방지제(as) 0.5~1.5중량부로 혼합되고;
    상기 중간층은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EVA) 6~15중량부, 폴리올레핀엘라스토머(POE) 6~15중량부, 폴리프로필렌(PP) 2~5중량부, 저밀도폴리에틸렌(LDPE) 9~25중량부,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LLDPE) 15~52중량부, 메탈로센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mLLDPE) 21~35중량부, 마스터 배치(MB)된 방충제 4~7중량부로 혼합되고;
    상기 내면층은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EVA) 5~15중량부, 폴리올레핀엘라스토머(POE) 6~15중량부, 폴리프로필렌(PP) 2~5중량부, 저밀도폴리에틸렌(LDPE) 10~25중량부,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LLDPE) 20~48중량부, 메탈로센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mLLDPE) 17~25중량부, 중밀도폴리에틸렌(MDPE) 11~20중량부, 블로킹방지제(ab) 0.5~1.5중량부, 대전방지제(as) 0.5~1.5중량부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충 열수축 필름.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충제는 크로르피리포스, 디크로르보스, 싸이퍼메스린, 알파메스린, 트랜스플루트린2,3,5,6-테트라플루오로벤질, (1R)-트랜스-3-(2,2-디클로로비닐)-2,2-디에틸시클로프로판카르복실레이트, 디에틸톨루아미드(N,N-diethyl-m-toluamide), 벤질벤조에이트, 엔뷰틸아세트아마이드, 다이메틸프탈레이트, 다이에틸톨루아마이드, 베타-사이플루트린, 퍼메트린, 벤디오카브, 클로티아니딘,
    이미다클로프리드, 티아클로프리드, 에티프롤, 피프로닐, 리녹사피르, 클로르페나피르, 알레트린, 피레트린, 바이오레스메트린, 테트라메트린, 디클로르보스, 페니트로치온, 클로르피리포스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충 열수축 필름.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배치(MB)는 다공성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EVA) 또는 다공성 폴리올레핀의 기공 내에 방충제가 담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충 열수축 필름.





KR20150001141A 2015-01-06 2015-01-06 방충 열수축 필름 KR1014887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50001141A KR101488784B1 (ko) 2015-01-06 2015-01-06 방충 열수축 필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50001141A KR101488784B1 (ko) 2015-01-06 2015-01-06 방충 열수축 필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88784B1 true KR101488784B1 (ko) 2015-02-11

Family

ID=525912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50001141A KR101488784B1 (ko) 2015-01-06 2015-01-06 방충 열수축 필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8784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175868A (zh) * 2015-05-14 2015-12-23 欧宝聚合物江苏有限公司 一种低吸水性高绝缘低烟无卤电缆料及其制备方法
KR101606575B1 (ko) 2015-11-09 2016-03-25 고영화 손목 밴딩 위생장갑 및 그 제조방법
KR101886020B1 (ko) * 2018-04-04 2018-08-07 송석경 항충 비닐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항충 비닐
WO2019132213A1 (ko) * 2017-12-29 2019-07-04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열수축 튜브용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열수축 튜브
CN111138986A (zh) * 2019-12-27 2020-05-12 无锡达美新材料有限公司 耐高温静电膜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2778644A (zh) * 2021-01-06 2021-05-11 宁波杰立化妆品包装用品有限公司 化妆笔用高透明pp复合材料及制备方法
CN114261165A (zh) * 2022-01-04 2022-04-01 新乐华宝医疗器械有限公司 一种无胶垫压膜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2482024B1 (ko) * 2021-07-02 2022-12-28 홍성민 인장강도 및 인열강도가 향상된 쓰레기봉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70327A (ja) 2001-06-19 2002-12-24 Okura Ind Co Ltd ポリエチレン系多層熱収縮性フィルム
KR20050046865A (ko) * 2003-11-14 2005-05-19 주식회사 한진피앤씨 탄성과 통기성과 방수성을 내재시킨 통기성 필름
KR101317856B1 (ko) 2013-01-29 2013-10-14 호명화학공업 주식회사 3중 폴리에틸렌계 열수축성 필름
KR20140094866A (ko) * 2013-01-23 2014-07-31 주식회사 에이유 식품포장용 친환경 저탄소 바이오매스 소재를 활용한 서방성 다층방충필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70327A (ja) 2001-06-19 2002-12-24 Okura Ind Co Ltd ポリエチレン系多層熱収縮性フィルム
KR20050046865A (ko) * 2003-11-14 2005-05-19 주식회사 한진피앤씨 탄성과 통기성과 방수성을 내재시킨 통기성 필름
KR20140094866A (ko) * 2013-01-23 2014-07-31 주식회사 에이유 식품포장용 친환경 저탄소 바이오매스 소재를 활용한 서방성 다층방충필름
KR101317856B1 (ko) 2013-01-29 2013-10-14 호명화학공업 주식회사 3중 폴리에틸렌계 열수축성 필름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175868B (zh) * 2015-05-14 2018-02-02 欧宝聚合物江苏有限公司 一种低吸水性高绝缘低烟无卤电缆料及其制备方法
CN105175868A (zh) * 2015-05-14 2015-12-23 欧宝聚合物江苏有限公司 一种低吸水性高绝缘低烟无卤电缆料及其制备方法
KR101606575B1 (ko) 2015-11-09 2016-03-25 고영화 손목 밴딩 위생장갑 및 그 제조방법
WO2017082614A1 (ko) * 2015-11-09 2017-05-18 고영화 손목 밴딩 위생장갑 및 그 제조방법
US11242454B2 (en) 2017-12-29 2022-02-08 Ls Cable & System Ltd. Composition for heat-shrinkable tube and heat-shrinkable tube manufactured therefrom
WO2019132213A1 (ko) * 2017-12-29 2019-07-04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열수축 튜브용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열수축 튜브
KR101886020B1 (ko) * 2018-04-04 2018-08-07 송석경 항충 비닐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항충 비닐
CN111138986A (zh) * 2019-12-27 2020-05-12 无锡达美新材料有限公司 耐高温静电膜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1138986B (zh) * 2019-12-27 2022-04-19 无锡达美新材料有限公司 耐高温静电膜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2778644A (zh) * 2021-01-06 2021-05-11 宁波杰立化妆品包装用品有限公司 化妆笔用高透明pp复合材料及制备方法
KR102482024B1 (ko) * 2021-07-02 2022-12-28 홍성민 인장강도 및 인열강도가 향상된 쓰레기봉투
CN114261165A (zh) * 2022-01-04 2022-04-01 新乐华宝医疗器械有限公司 一种无胶垫压膜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4261165B (zh) * 2022-01-04 2023-09-08 新乐华宝医疗器械有限公司 一种无胶垫压膜及其制备方法和应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88784B1 (ko) 방충 열수축 필름
JP2958363B2 (ja) 酸素透過性の改善された延伸/収縮フィルム
KR101317856B1 (ko) 3중 폴리에틸렌계 열수축성 필름
KR960004350B1 (ko) 열가소성폴리머에 대전방지특성을 주는 대전방지제 및 그 대전방지제를 포함한 열가소성폴리머 조성물
EP2805814B1 (en) High-slip stretch film
US20020192412A1 (en) Heat shrinkable polyolefin film
ES2220741T3 (es) Laminas multicapa sellables termorretractiles.
EP3284775B1 (en) Stretchable film and product including same
US4899521A (en) Antistatic thermoplastic/polyamide-polyether compositions and antistatic polymeric films made therefrom
CN105837891A (zh) 一种永久性防静电保护膜
DE102018218053A1 (de) Mehrschichtige Haftfolie
US5001015A (en) Antistatic polyolefin compositions and antistatic polyolefin films made therefrom, including oriented films
JP3410219B2 (ja) ラミネート用多層シーラントフィルム
DE69820627T2 (de) Kondensationsbeständiger verpackungsfilm
WO2021100672A1 (ja) 包装体の製造方法、包装材用フィルム並びにこれを備える積層フィルム及び包装材
WO2008137285A1 (en) Batch inclusion packages
DE102011107946A1 (de) Eine Mehrschichtfolie mit hoher Weiterreißfestigkeit und geringem Schrumpf
US5024792A (en) Antistatic thermoplastic/polyamide-polyether compositions and antistatic polymeric films made therefrom
KR101871072B1 (ko) 이지필 필름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KR20160133833A (ko) 내구성이 향상되고 수명이 연장된 포장용 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101681614B1 (ko) 열차단 수축필름
JP2008036844A (ja) 多層ポリオレフィン系熱収縮フィルム
KR102551304B1 (ko) 투명성, 연질성 및 내충격성이 우수한 의료용 필름
US20100203309A1 (en) Stretch hooder film and method thereof
JP6604835B2 (ja) ポリオレフィン系熱収縮性フィル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