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4284B1 - 내연기관의 전자제어장치 - Google Patents

내연기관의 전자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4284B1
KR960004284B1 KR1019920026790A KR920026790A KR960004284B1 KR 960004284 B1 KR960004284 B1 KR 960004284B1 KR 1019920026790 A KR1019920026790 A KR 1019920026790A KR 920026790 A KR920026790 A KR 920026790A KR 960004284 B1 KR960004284 B1 KR 9600042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refractive index
oxygen
engine
m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267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16646A (ko
Inventor
히로요시 스즈키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가부시키가이샤
기타오카 다카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가부시키가이샤, 기타오카 다카시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9300166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66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42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4284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19/00Controlling engines characterised by their use of non-liquid fuels, pluralities of fuels, or non-fuel substances added to the combustible mixtures
    • F02D19/06Controlling engines characterised by their use of non-liquid fuels, pluralities of fuels, or non-fuel substances added to the combustible mixtures peculiar to engines working with pluralities of fuels, e.g. alternatively with light and heavy fuel oil, other than engines indifferent to the fuel consumed
    • F02D19/08Controlling engines characterised by their use of non-liquid fuels, pluralities of fuels, or non-fuel substances added to the combustible mixtures peculiar to engines working with pluralities of fuels, e.g. alternatively with light and heavy fuel oil, other than engines indifferent to the fuel consumed simultaneously using pluralities of fuels
    • F02D19/082Premixed fuels, i.e. emulsions or blends
    • F02D19/085Control based on the fuel type or composition
    • F02D19/087Control based on the fuel type or composition with determination of densities, viscosities, composition, concentration or mixture ratios of fu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3/00Conjoint electrical control of two or more functions, e.g. ignition, fuel-air mixture, recirculation, supercharging or exhaust-gas treat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19/00Controlling engines characterised by their use of non-liquid fuels, pluralities of fuels, or non-fuel substances added to the combustible mixtures
    • F02D19/06Controlling engines characterised by their use of non-liquid fuels, pluralities of fuels, or non-fuel substances added to the combustible mixtures peculiar to engines working with pluralities of fuels, e.g. alternatively with light and heavy fuel oil, other than engines indifferent to the fuel consumed
    • F02D19/08Controlling engines characterised by their use of non-liquid fuels, pluralities of fuels, or non-fuel substances added to the combustible mixtures peculiar to engines working with pluralities of fuels, e.g. alternatively with light and heavy fuel oil, other than engines indifferent to the fuel consumed simultaneously using pluralities of fuels
    • F02D19/082Premixed fuels, i.e. emulsions or blends
    • F02D19/084Blends of gasoline and alcohols, e.g. E85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025Controlling engines characterised by use of non-liquid fuels, pluralities of fuels, or non-fuel substances added to the combustible mixtur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26Oils; Viscous liquids; Paints; Inks
    • G01N33/28Oils, i.e. hydrocarbon liquids
    • G01N33/2835Specific substances contained in the oils or fuels
    • G01N33/2852Alcohol in fue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30Use of alternative fuels, e.g. biofu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Combined Controls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 Electrical Control Of Air Or Fuel Supplied To Internal-Combustion Engine (AREA)
  • Output Control And Ontrol Of Special Type Engine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Optical Mean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내연기관의 전자제어장치
제1도는 이 발명 장치의 실시예1에 의한 기본구성도.
제2도는 이 발명 장치의 실시예1에 의한 구체적 구성도.
제3도는 이 발명의 실시예1에 의한 전자제어부의 구성도.
제4도는 이 발명의 실시예1에 의한 유전율센서 및 굴절율센서의 구성도.
제5도는 이 발명 장치의 실시예1에 의한 동작을 표시하는 플로차트.
제6도는 이 발명 장치의 실시예1에 의한 유전율, 굴절율과 메탄올 함유율과의 관계를 표시하는 도면.
제7도는 이 발명 장치의 개솔린의 굴절율과 유출온도와의 관계도.
제8도는 이 발명 장치의 실시예2에 의한 기본 구성도.
제9도는 이 발명 장치의 실시예2에 의한 구체적 구성도.
제10도는 이 발명의 장치의 실시예2에 의한 전자제어부의 구성도.
제11도는 이 발명의 장치의 실시예2에 의한 굴절율 센서의 구성도.
제12도는 이 발명 장치의 실시예2에 의한 동작을 표시하는 플로차트.
제 13도는 이 발명 장치의 실시예2에 의한 굴절율과 메탄올 함유율과의 관계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운전상태 검출수단 2 : 유전율 검출수단
3 : 굴절율 검출수단 4,32 : 메탄올 함유율 산출수단
5,33 : 유출특성추정수단 6 : 기본제어량 결정수단
7 : 제1의 보정량 결정수단 8 : 제2의 보정량 결정수단
9,34,35 : 송신수단 10 : 전자제어부
11 : 내연기관 36 : 목표공연비 설정수단
37 : 공연비 검출수단 38 : 감산수단
이 발명은, 메탄올, 에탄올, MTBE(메틸터셔리부틸에텔)등의 함산소 화합물과, 휘발유등의 석유정제 연료를 혼합해서 사용가능한 내연기관에서, 연료제어, 점화시기 제어등을 하는 내연기관의 전자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년, 미국이나 구라파의 각국에서 석유의 소비량의 저감과, 자동차 배기개스에 의한 대기오염의 저감을 도모하기 위해, 휘발유중에 알콜 에텔등의 함산소 화합물을 혼합한 연료가 자동차용으로 되입되기 시작했다. 그러나, 이와같은 함산소 화합물 혼합연료를 휘발유 연료에 매칭된 내연기관에 그대로 사용하게되면, 예를들면 메탄올 혼합연료에서는 이론공연비가 메탄올과 휘발유에서는 약 6대 15로 전연 다르고, 옥탄가도 메탄올 쪽이 크고, 또 유출특성도 메탄올의 함유율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내연기관이 정상적으로 작동시키지 못하고 드라이버벌리티나 배기유체성분의 배기량의 점에서 문제가 컸었다. 따라서 메탄올 혼합연료중의 메탄올 함유율을 검출하고 이 검출치에 따라 기관의 작동상태를 제어할 필요가 있었다.
종래 함산소 화합물 혼합연료로서, 알코올 혼합연료를 사용한 내연기관의 전자제어 장치로서는, 일본국 특개소 56-98540호 공보나 일본국 특개소 57-51920호 공보등에 실린것이 있었다. 그런 장치에서는, 기관에 공급되는 알콜혼합연료의 연료배관도중에 알코올 함유율 센서를 두고, 이 센서를 통과하는 알코올 혼합연료의 유전율(일본국 특개소 56-98540호 공보)나 굴절율(일본국 특개소 57-51920호공보)를 검지함으로서, 알코올 혼합연료중의 알코올 함유율을 검출하고, 이런 검출치에 따라, 연료공급량의 보정에 의해 공연비를 제어하고, 점화진각을 보정해서 점화시기를 제어하고 있었다.
즉 알코올 함유율에 비례해서 연료분사량을 증가시켜서 공연비를 적정하게 유지하는 동시에, 알코올의 연소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알코올 함유율에 비례해서 점화 시기를 일반적으로 늦추고 있었다. 또 알코올 혼합연료에서는, 알코올의 휘발성이 휘발유에 비해서 나쁨으로, 일반적으로, 기관의 온도가 중저온도 영역에 있을때의 기관의 시동성이 나쁘고, 이런 온도영역에 있을때의 시동시나, 시동직후이 기관운전시에는 특히 유의해서 알코올 함유율에 따른 제어가 되었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내연기관의 전자제어 장치에서는 알코올 함유율에만 기준해 기관의 작동상태를 제어하고 있으므로, 알코올이 혼합되는 휘발율의 성상이 변화했을때는, 드라이버빌리티나 배기유해 성분의 배출량이 악화된다는 과제가 있었다. 즉 기관의 시동성을 좌우하는 알코올 혼합연료의 휘발성은, 그 알코올 함유율에 의해 다를뿐 아니라, 휘발유의 휘발성에 의해서도 다르다.
이 휘발유의 휘발성은 그 유출성상에 의해 다르고, 휘발성이 나쁜 중질 휘발유를 사용했을때의 기관의 중저온 영역에서의 시동성은 휘발성이 좋은 경질 휘발유를 사용했을때의 시동성에 비해 나쁘게 된다. 그러나, 알코올 혼합연료의 유전율은 알코올 함유율에 의해 변화하나, 휘발유의 중경질의 차에 의해 거의 변화하지 않고, 굴절율은 반대로 알코올 함유율과 휘발유 성상의 어느것에 의해서도 변화하고, 어느 경우에도, 휘발유의 중경질의 차를 검출할 수가 있고, 휘발성이 나쁜 중질 휘발유나 이것에 알코올을 혼합한 혼합연료에서는, 기관의 중저온 영역에서의 드라이버빌리티나 배기유해 성분의 배출량이 악화한다는 과제가 있고, 최악의 경우에는 기관이 시동하지 않는 우려도 있었다. 이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된 것으로, 알코올 혼합연료등의 함산소 화합물 혼합연료중의 함산소 연료 함유율이나 휘발유 성상이 변화해도, 중저온 영역에서 안정하고, 또 적정하게 기관이 작동하도록 제어할 수가 있는 내연기관의 전자제어 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발명에 관한 내연기관의 전자제어 장치는, 함산소연료 혼합연료의 유전율을 검출하는 유전율 검출수단과, 함산소 화합물 혼합연료의 굴절율 검출수단과, 이 유전율로부터 함산소 화합물 혼합연료의 함산소 화합물 함유율을 산출하는 함산소 화합물 함유율 산출수단과, 함산소 화합물 함유율과 굴절율로부터 함산소 화합물 혼합연료중의 석유정제 연료의 유출특성을 추정하는 유출특성 측정수단과 함산소 화합물 함유율에 의해 결정된 제1의 보정량과 유출특성으로부터 결정된 제2의 보정량에 의해 기본제어량을 보정하는 수단을 설치한 것이다.
또, 발명에 관한 내연기관의 전자제어 장치는, 혼합연료의 굴절율을 검출하는 굴절율 검추수단과, 이 굴절율로부터 알코올 함유율을 산출하는 알코올 함유율 산출수단과, 공연비가 목표공연비가 되도록 제어하는 수단과, 공연비의 편차에 따라 알코올 함유율을 보정하는 수단과, 보정된 알코올 함유율로부터 혼합연료중의 석유정제 연료의 유출특성을 추정하는 유출특성 추정수단과, 알코올 함유율로부터 결정된 제1의 보정량과, 유출특성으로부터 결정된 제2의 보정량에 의해 기본제어량을 보정하는 수단을 설치한다.
이 발명에서는, 알코올 혼합연료의 유전율 및 굴절율이 검출되고, 이 유전율로부터 알코올 함유율이 산출되는 동시에 알코올 함유율과 굴절율로부터 알코올 혼합연료중의 석유정제 연료의 유출특성이 추정되고, 알코올 함유율로부터 결정된 제1의 보정량과 유출특성에서 결정된 제2의 보정량에 의해 기본제어량이 보정된다. 또 이 발명에 있어서는, 혼합연료의 굴절율이 검출되고, 이 굴절율로부터 알코올 함유율이 산출된다. 또 공연비가 목표공연비가 되도록 제어되고, 검출공연비와 목표공연비의 편차에 따라 알코올 함유율이 보정된다. 또 보정된 알코올 함유율로부터 혼합연료중의 석유정제 연료의 유출특성이 추정되고, 알코올 함유율로부터 결정된 제1의 보정량과 유출특성으로부터 결정된 제2의 보정량에 의해 기본제어량이 보정된다.
실시예 1
이하, 이 발명의 실시예를 함산소 화합물로 메탄올을 사용한 메탄올 혼합연료의 경우에 대해 도면과 함께 설명한다. 제1도는 실시예1에 의한 내연기관의 전자제어 장치의 기본구성도이고, 1은 메탄올과 석유정제연료를 혼합해서 사용가능한 내연기관의 운전상태를 검출하는 운전상태 검출수단, 2는 내연기관에 공급되는 알코올 혼합연료의 유전율을 검출하는 유전율 검출수단, 3은 메탄올 혼합연료의 굴절율을 검출하는 굴절율 검출수단, 4는 유전율 검출수단(2)의 검출치로부터 혼합연료중의 메탄올 함유율을 산출하는 메탄올 함유율 산출수단, 5는 굴절율 검출수단(3)의 검출치와, 메탄올 함유율 산출수단(4)의 산출치로부터 혼합연료중의 석유정제 연료의 유출특성을 추정하는 유출특성 추정수단이다. 6은 운전상태 검출수단(1)에 의해 검출된 운전상태에 따라 기관의 기본제어량을 결정하는 기본제어량 결정수단, 7은 메탄올 함유율 산출수단(4)의 산출치로부터 제1의 보정량을 결정하는 제1의 보정량 결정수단, 8은 유출특성 추정수단 (5)의 추정치로부터 제2의 보정량을 결정하는 제2의 보정량 결정수단, 9는 기본연료량 결정수단(6)으로부터 기본연료량에 제1 및 제2의 보정량을 승산하는 승산수단이다. 제2도는 실시예1에 의한 내연기관의 전자제어 장치의 구체적 구성도를 표시하고, 11은 내연기관 12는 내연기관(11)의 회전수를 검출하는 회전수센서, 13은 내연기관(11)의 흡기유량을 검출하는 흡기유량센서, 14는 드로틀밸브(22)에 부착된 드로틀개도센서, 15는 배기관(23)에 부착된 공연비센서, 16은 유전율센서, 17은 굴절율센서이다. 각 센서(16),(17)은 연료의 고압배관(27)에서 고압필터(28)의 하류측에 설치되어 있다. 또 18은 연료분사변이고, 각 센서(16), (17)의 하류의 연료분배관(29)에 설치되어 있다. 19는 점화플러그, 10은 전자제어부, 21은 기관(11)의 냉각수온세서 24는 에어클리너, 25는 연료탱크, 26은 연료펌프, 20은 연압레규레이터, 30은 흡기관, 31은 리턴 배관이다.
제3도는 전자제어부(10)의 구성을 표시하고, 101은 입력 인터페이스이고, 각 센서(12~19), (21)의 출력이 입력된다. 102는 CPU, 103은 ROM, 104은 인터페이스이고, 출력 인터페이스(104)는 연료분사변(18) 및 점화플러그(19)를 구동한다. 105는 RAM이다. 다음에 제1도~제3도에 표시한 전자제어 장치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기관(1)이 시동하면 연료탱크(25)내의 메탄올 혼합연료는 연료펌프(26)에 의히 가압되고 고압배관(27) 및 고압필터(28)를 통해서 연료분배관(29)에 보내진다. 이동안에 유전율센서(16) 및 굴절율센서(17)는 각각 연료의 유전율 5 및 굴절율 ND를 검출해서 전자제어부(10)의 입력 인터페이스(101)에 송출한다. 연료의 압력은 연압 레규레이터(20)에 의해 연료분사변(18)의 분사량에 불구하고 일정하게 되도록 제어되고 나머지 연료는 저압의 리턴배관(31)을 통해서 연료탱크(25)에 되돌려진다. 한편 기관(11)의 운전상태는, 회전수센서(12)에 의해 회전수 Ne가, 흡기유량센서(13)에 의해 흡기유량 Ωa가, 드로틀개도센서(14)에 의해 가감속 상태를 표시하는 드로틀개도 θ가, 공연비센서(15)에 의해 배기개스의 과농, 과박(過搏)상태가 λ가, 냉각수온센서(21)에 의해 냉각수온 TW가 각각 검출하고, 검출결과는 전자제어부(10)의 입력 인터페이스(101)에 송출된다. CPU(102)는 ROM(103)내에 기억된 제어프로그램에 따라, 입력 인터페이스(101)를 제어해서 기관(1)의 운전상태량과 연료의 유전율 ε, 굴절율을 ND를 판독해, 이런 운전상태량으로부터 연료분사밸브(18)의 연료분사량과, 점화플러그(19)의 점화시기의 기본제어량을 산출하고, 유전율 ε 및 굴절율 ND로부터 2개의 보정량을 산출해서 기본제어량을 보정하고 이 보정 제어량으로부터 출력 인터페이스(104)를 제어해서 연료분사밸브(18) 및 점화플러그(19)를 구동한다. RAM(105)는 계산상의 일시적인 데이터의 보관에 사용된다.
제4도는 유전율센서(16) 및 굴절율센서(17)의 구성을 표시하고, 유전율센서(16)는 고압배관(27)의 도중에 끼워진 관상용기(67)의 연료유로내에 두개의 전극(61a),(61b)을 대향배치해서 콘덴서를 형성하고, 전극(61a),(61b)간을 흐르는 메탄올 혼합연료중의 메탄올 함유율 M가 증가하면 유전율 ε는 제6도에 표시하는 바와같이 크게되고, 콘덴서의 용량C도 크게된다. 따라서 이 용량 C를 LC 발진회로 또는 RC 발진회로등으로 구성된 용량검출회로(62)에 의해 검출되고, 연료의 유전율 ε에 상당하는 신호를 외부로 출력한다.
한편, 굴절율센서(17)는 관산용기(67)의 연료유로내에서 일단측을 입사광축에 대해 비스듬히 컷해서 연료와의 접액면을 형성한 주(柱)상 프리즘(72)과 이 접액면에 대향한 반사경(73)을 설치하는 동시에, 주상프리즘(72)이 타단측에 LED(71)집속렌즈(74) 및 광위치 검지소자(75)를 설치하고 있다. LED(71)로부터 주상프리즘(72)에 빛을 입사시키면, 입사광을 주상프리즘(72)의 접액면에서 연료의 굴절율 ND에 따른 굴절각도로 굴절하고, 반사경(73)에서 반사되어, 다시 접액면에서 똑같이 굴절해서 주상프리즘(72)중을 투과해서 집광렌즈(74)에서 광위치 검지소자(75)상에 집광된다. 연료의 굴절율 ND가 변화하면, 주상프리즘(72)의 접액면에서의 굴절각이 변화해, 집속렌즈(74)에의 광로가 변화하기 때문에, 광위치 검지소자(75)에서의 집광위치가 변화한다. 따라서, 이 집광위치를 광위치 검출회로(76)에 의해 검출하고, 연료의 굴절율 ND에 상당하는 신호를 외부로 출력한다. 연료의 굴절율 ND는 제6도애 표시한 바와같이 메탄올 함유율 M뿐아니라, 메탄올이 혼합되는 휘발유의 성상에 의해서도 변화한다. 제5도는 전자제어부(10)의 동작을 표시하는 플로차트이고, 우선 기관(11)이 시동하게 되면 CPU(102)는 스텝 S1에서 연료의 유전율 εf를 판독해 스텝 S2에서 연료의 굴절율 NDf를 판독한다. 스텝 S3에서는 ROM(103)에 기억된 제6도에 표시하는 유전율 ε와 메탄올 함유율 M와의 관계로부터 메탄올 함유율 Mf를 산출하고, 스텝 S4에서는 메탄올 함유율 Mf에 대한 연료분사량과 점화시기의 각각의 제1의 보정량(CF1),(CI1)을 산출한다.
다음에, 스텝 S5에서는 ROM(103)에 기억된 메탄올의 굴절율 NDm과, 산출된 함유율 Mf와 검출된 굴절율 NDf로부터 메탄올 함유율 M가 0일때의 굴절율 NDO
NDO=NDm-100*(NDf-NDm) / (Mf-100) …………………… (1)
로 산출하고, ROM(103)에 기억된 제7도에 표시하는 굴절율 ND에 대한 유출온도 TD의 추정치의 관계로 부터, NDO에 대한 휘발유의 유출온도 TDO를 추정한다. 스텝 S6에서는, 유출온도 TDO에 따라, 연료분사량과 점화시기의 각각의 제2위 보정량 CF2, CI2를 산출한다. 휘발유 유출온도 TD로는 기관의 중저온 영역의 드라이버빌리티에 가장 관계가 된다고 생각되고 있는 50%의 유출온도를 사용하는 것이 굴절율 ND와의 상관되는 면에서도 좋고, 제7도에 표시하는 바와같이 50% 유출온도는 굴절율 ND에 거의 정비례하는 상관을 표시하는 것이 확인되어 있다.
계속해서, 스텝 S7에서는 각 운전상태 센서(12~15), (21)에서 운전상태량 D(Ne,Ωa,θ,λ,Tω)가 판독되고, 운전상태량 D의 값으로부터 스텝 S8에서는 연료 분사량 및 점화시기의 각각의 기본제어량 BF0, BI0가 산출된다. 최후로, 스텝 S9에서는 기관(11)의 운전상태가 저온시동 또는 저온가속인지 그 이외인지가 운전상태 D로부터 판정되고, 저온시동 또는 저온가속의 운전상태의 경우에는, 스텝 S10에서 기본제어량에 제1 및 제2의 보정량을 승산한 값에 의해 연료분사밸브(18)의 연료분사량과 점화플러그(19)의 점화시기를 제어하고, 이 이외의 운전상태일때는 스텝 S11에서 기본제어량에 제1의 보정량만을 승산한 값에 의해 제어를 한다. 실시예1에 의하면, 메탄올 혼합연료를 사용한 내연기관의 운전상태가 휘발유의 휘발성에 가장 좌우되는 저온시동 또는 저온가속의 경우에는, 연료분사밸브(18)의 연료분사량과 점화플러그(19)의 점화시기를 메탄올 함유율 뿐 아니라, 휘발유의 유출온도 즉 휘발성으로 보정해서 제어를 하고, 운전상태가 휘발유의 휘발성에 거의 영향을 주지않는 다른 영역에서는 메탄올 함유율 만으로 보정해서 제어를 하기위해, 기재의 휘발유와 성상여하에 관계없이 항상 안정하고 적당한 운전상태를 유지할 수가 있고, 드라이버빌리티와 배기유해 성분의 배출량을 가진 함수가 있다. 또 실시예1에서는 휘발유에 메탄올을 혼합한 연료를 사용했을때를 기술했으나, 일반적으로 석유정제 연료에 다른 알코올이나, MTBE등의 함산소 화합물을 혼합한 연료의 경우나 석유정제 연료만의 경우도 같게 적용할 수 있다. 또 유전율센서(6)와 굴절율센서(7)를 고압필터(28)하류의 고압배관(27)의 도중에 끼워 넣었으나, 연료탱크(25)내에 설치해도 된다.
실시예 2
제8도는 실시예2에 의한 내연기관의 전자제어 장치의 기본 구성도이고, 32는 굴절율 검출수단(3)의 검출치로부터 메탄올 혼합연료중의 메탄올 함유율을 산출하는 메탄올 함유율 산출수단, 33은 메탄올 함유율 산출수단의 산출치로부터 메탄올 혼합연료중의 석유 정제연료의 유출특성을 추정하는 유출특성 추정수단, 34는 기본제어량에 제1의 보정량을 승산하는 승산수단, 35는 승산수단(34)의 출력에 제2의 보정량을 승산하는 승산수단, 36은 목표공연비를 설정하는 목표공연비 설정수단,37은 공연비 검출수단, 38은 목표공연비와 실제의 공연비의 편차를 출력하고, 이 편차에 의해 메탄올 함유율 산출수단(32)을 보정하는 감산수단이다. 다른 구성은 제1도와 같다. 제9도는 실시예2에 의한 내연기관의 전자제어 장치의 구체적 구성도를 표시하고, 제2도와 비교하면 유전율 센서916)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점이 다르다. 또 전자제어부(10)의 구성은 제10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종래것과 같다. 다음으로 제8도~제10도에 표시한 전자제어 장치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기관(11)이 시동하게 되면, 연료탱크(25)내의 메탄올 혼합연료는 연료펌프(26)에 의해 가압되어 고압배관(27), 및 고압필터(28)를 통해서 연료분배관(29)에 보내진다. 이동안에, 굴절율센서(17)는 연료의 굴절율 ND를 검출하고, 전자제어부(10)의 입력 인터페이스(101)에 송출한다.
연료의 압력은 연압레규레이터(20)에 의해 연료분사밸브(18)의 분사량에 관계없이 일정하게 되도록 제어하고, 나머지 연료는 저압의 리턴배관(31)을 통해서 연료탱크(25)로 되돌려 진다. 기관(11)의 운전상태는 각 센서(12~15),(21)에 의해 회전수 Ne, 흡기유량 θa, 드로틀개도 θ, 공연비 λ, 냉각수온 TW가 검출되고, 검출결과는 전자제어부(10)의 입력 인터페이스(101)에 입력된다. CPU(102)는 ROM(103)내에 기억된 제어프로그램에 따라, 입력 인터페이스(101)를 제어해서 기관(11)의 운전상태량과 공연비 신호 λ와 굴절율 ND를 판독해 이런 운전상태량으로부터 연료분사밸브(18)의 연료분사량과 점화플러그(19)의 점화시기의 기본제어량을 산출하고, 공연비 신호 λ와 굴절율 ND로부터 메탄올 함유율을 산출해서 제1의 보정량을 구하는 동시에 메탄올 함유율로부터 휘발유의 유출특성을 추정해서 제2의 보정량을 구하고 기본제어량을 제1 및 제2의 보정량으로 보정하고, 이 보정 제어량을 출력 인터페이스(104)에 송출해서 연료분사밸브(18)의 연료분사량과 점화플러그(19)의 점화시기를 제어한다.
제11도는 굴절율 센서(17)의 구성을 표시하고 제4도에서 유전율 센서(16)의 부분을 제거한 것과 같고, 동작도 같다. 연료의 굴절율 ND는 제13도에 표시하는 바와같이 메탄올 함유율 M뿐 아니라, 휘발유의 성상에 따라서도 다르다.
제12도는 전자제어부(10)의 동작을 표시하는 플로차트이고, 우선 스텝 S1에서는 CPU(102)는 입력 인터페이스(101)를 제어하고, 각 센서(12~14),(21)로부터 기관(11)의 운전상태량 D(Ne,Ωa,θ,TW)를 판독하고, 스텝S2에서는 운전상태량 D로부터 연료분사량과 점화시기의 각각의 기본제어량 BF0,BI0를 산출한다.
다음에, 스텝 S3에서는 굴절율 센서(17)로부터 연료의 굴절율 NDf를 판독하고, 스텝 S4에서 미리 ROM(103)내에 기억되고, 제13도에 보정전직선 mb로 표시한 소정성상을 갖는 휘발유와 메탄올의 혼합에서의 굴절율 대 메탄올 함유율의 관계(NDF-Mf직선)을 사용해서, 검출한 NDf로부터 메탄올 함유율 Mf를 산출한다. 스텝 S5에서는 메탄올 함유율 Mf에 대한 연료분사량과 점화시기의 각각의 제1의 보정량 CF1, CI1을 산출하고, 스텝 S6에서는 기본제어량 BF0, BI0에 제1의 보정량 CF1,CI1을 승산해서 보정하고, 각각 BF, BI로 한다.
다음에, 스텝 S7에서는 공연비 피드백모드인지 아닌지를 운전상태량 D로부터 판정하고, 공연비 피드백모드이면, 스텝 S8에서 보정 제어량 BF에 다시 피브백 계수 CFB를 승산해서 연료제어량 DF를 얻고, 이 DF에 따라 연료제어밸브(18)의 개변시간을 결정하고, 연료분사량을 제어한다. 여기서, 계수 CFB는 초기 상태에서는 1에 세트되어 있는 것이 된다.
지금 연료의 휘발유 기재의 실제의 성상이 ROM(103)에 기억되어 있는 보정전 직선 mb에 대응한 휘발유 성상으로부터, 중질, 즉 휘발유의 굴절율의 클때를 예로해서 설명한다. 이경우, ROM(103)내에 기억된 보정전 직선 mb를 사용해서 검출굴절율 NDf에서 구한 메탄올 함유율 Mfb는 실제의 함유율 Mf보다 작고, Mfb에 의해 보정한 값으로 연료분사를 했을때, 메탄올 쪽이 공연비를 이론 공연비로 하는 요구 연료량은 휘발유와 비교해서 많기 때문에, 분사연료량이 부족해서 공연비는 과박상태가 된다. 그래서, 스텝 S9에서 공연비 센서(15)의 신호를 판독하고, 스텝S10에서 공연비 λ가 이론공연비 λ=1인지 아닌지를 판정하고, λ=1이 아닌때는 스텝 S11에서 계수 CFB를 변경해서 스텝 S1로 되돌아 간다. 즉 이 경우에는 검출공연비가 과박하므로, 공연비 λ=1에 근접하도록 점차로 CPU를 대로해서 연료분사량을 증가시킨다. 따라서, 공연비 λ가 이론공연비 λ=1이 되었을때의 계수 CFB는 실제의 메탄올 함유율 Mf와 가정의 함유율 Mfb의 비에 상당하는 값을 표시하고 있고, 스텝 S12에서 NDf-Mf직선을 계수 CFB로 보정한 실제의 메탄올 함유율 Mf로 갱신하고, 보정후 직선 ma로서 ROM(103)에 재기억한다. 계수 CFB는 스텝 S13에서 리세트해 둔다. 즉, 스텝 S1-S13에 의해 실제의 휘발유 기재와 메탄올의 혼합상태를 표시하는 NDf-Mf직선이 다시 갱신되고, 실제의 메탄올 함유율 Mf가 구해진다.
다음에, 스텝 S7에서 공연비 피드백모드가 아니면 스텝 S14로 진행하고, 운전상태량 D로부터 기관(11)이 저온시동상태 또는 저온가속상태 인지 그 이외인지가 판정되고, 전자의 경우에는 스텝 S15에서 갱신되어 ROM(103)에 기억된 NDf-Mf직선 ma로부터 제13도와 같이 메탄올 함유율 M가 0일때의 굴절율 즉 기재의 휘발유의 굴절율 ND0를 산출해서 ND0로부터 ROM(103)에 기억된 제7도에 표시한 굴절율 ND에 대한 유출온도 TD의 추정치의 곤계를 사용해서 휘발유 기재의 유출온도 TDO를 추정하고, 이 추정치에 따라 스텝 S16에서 휘발유의 유출온도 TDO에 대한 연료분사량과 점화시기의 각각의 제2의 보정량 CF2, CI2를 산출하고, 스텝 S17에서 기본제어량을 메탄올 함유율에 대응하는 제1의 보정량으로 보정된 값 BF, BI를 휘발유 성상에 대응하는 제2의 보정량으로 보정하고, 연료분사밸브(18) 및 점화플러그(19)를 구동제어한다.
유출온도 TD로는, 기관(11)의 중저온 영역의 드라이버빌리티에 가장 관계된다고 생각되는 50% 유출온도를 사용하는 것이 굴절율 ND와의 상관의 면에서도 좋고, 제7도에 표시하는 바와같이 50% 유출온도는 굴절율 ND에 거의 정비례의 상관을 표시하는 것이 확인되어 있다. 기관(11)의 운전상태가 저온시동 또는 저온가속 상태가 아닌 경우에는, 스텝 S18에서 기본제어량에 메탄올 함유율에 대응하는 제1의 보정량 CF1, CI1만을 승산한 값에 의해 제어를 한다. 실시예2에 의하면, 메탄올 혼합연료에서의 내연기관의 운전상태가 휘발유의 휘발성에 가장 좌우되는 저온시동 또는 저온 가속의 경우에는, 연료분사밸브(18)의 연료분사량과, 점화플러그(19)의 점화시기를 메탄올 함유율 뿐아니라, 휘발유의 유출온도 즉 휘발성에 의해서도 보정해서 제어를 하고, 운전상태가 휘발유의 휘발성에 거의 영향받지 않는 다른 영역에서는 메탄올 함유율만으로 보정해서 제어를 하기 때문에, 기체인 휘발유의 성상 여하에 불구하고 항상 안정하고도 적정한 운전상태를 유지할 수가 있고, 드라이버빌리티와 배기유해 성분의 배출량을 개선할 수가 있다.
또 실시예2에서는 공연비센서(15)로 이론공연비 센서를 사용했으나, 공연비를 넓은 범위에서 검출할 수 있는 광역 공연비 센서를 사용해서 공연비 피드백을 하면 굴절율대 메탄올 함유율 직선의 갱신을 하는 기회가 많아져, 보정정도를 향상 시킬 수가 있다. 또 실시예1과 같이, 굴절율센서(17)를 연료탱크(25)내에 설치해도 되고, 연료로는 석유정제 연료에 다른 알코올이나 MTBE등의 함산소 화합물을 혼합한 것도 좋고, 석유정제 연료만이라도 좋다. 이상과 같이 이 발명에 의하면, 기관의 운전상태에 따라 기관의 기본제어량을 결정하는 동시에, 기관에 공급되는 함산소 화합물 혼합연료의 유전율 검출치로부터 산출된 함산소 화합물함유율에 따라 제1의 보정량을 결정하고, 또 함산소 화합물 함유율과 굴절율 검출치로부터 추정한 유출특성으로부터 제2의 보정량을 결정하고, 기본제어량을 제1 및 제2의 보정량에 의해 보정하고 있고, 함산소 화합물 함유율이나 휘발유 성상이 변화해도 중저온도 영역에서 안정하고 적정하게 기관이 작동하도록 제어 할 수가 있고, 드라이버빌리티와 배기유해 성분의 배출량을 개선할 수가 있다. 또 이 발명에 의하면, 기관의 운전상태에 따라 기관의 기본제어량을 결정하는 동시에 기관에 공급되는 알코올 혼합연료의 굴절율 검출치로부터 산출된 알코올 함유율로부터 제1의 보정량을 결정하고, 기본제어량을 제1의 보정량에 의해 보정해서 기관의 공연비가 목표공연비가 되도록 제어하고, 검출공연비와 목표공연비의 편차에 따라 알코올 함유율을 보정하는 동시에, 기관의 소정 모드시에 보정된 알코올 함유율로부터 혼합연료중의 석유정제 연료의 유출특성을 추정해서 제2의 보정량을 결정하고, 기본제어량을 제1 및 제2의 보정량에 의해 보정하도록 되어 있고, 알코올 함유율이나 휘발유 성상이 변화에도, 중저온도 영역에서 안정하고 적정하게 기관이 작동하도록 제어할 수가 있고, 드라이버빌리티와 배기유해 성분의 배출량을 개선할 수가 있다.

Claims (2)

  1. 함산소 화합물과 석유정제 연료를 혼합한 혼합연료를 사용가능한 내연기관의 운전상태를 검출하는 운전상태 검출수단(1)(S7)과, 혼합연료의 유전율을 검출하는 유전율 검출수단(2)(S1)와, 휘발유의 굴절율을 검출하는 굴절율 검출수단(3)(S2)과 유전율 검출수단(2)의 검출치로부터 혼합연료중의 함산소 화합물 함유율을 산출하는 함산소 화합물 함유율 산출수단(4)(S3)과 굴절율 검출수단의 검출치와 함산소 화합물 함유율 산출수단의 산출치로부터 혼합연료중의 석유정제 연료의 유출특성을 추정하는 유출특성 추정수단(5)(S5)과 운전상태 검출수단(1)의 검출치에 따라 기관의 기본제어량을 결정하는 수단(6)(S8)과, 함산소화합물 함유율 산출수단의 산출치로부터 제1의 보정량을 결정하는 수단(7)(S4)과, 유출특성 추정수단의 추정치로부터 제2의 보정량을 결정하는 수단(8)(S6)과, 기본제어량을 제1 및 제2의 보정량에 의해 보정하는 수단(9)(S10)(S11)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의 전자제어 장치.
  2. 함산소 화합물과 석유정제 연료를 혼합한 혼합연료를 사용가능한 내연기관의 운전상태를 검출하는 운전상태 검출수단(1)(S1)과, 혼합연료의 굴절율을 검출하는 굴절율 검출수단(3)(S3)과, 상기 굴절율로부터 혼합연료중의 함산소 화합물 함유율을 산출하는 함산소 화합물 함유율 산출수단(32)(S4)과, 상기 운전상태로부터 기관의 기본제어량을 결정하는 수단(6)(S2)과, 상기 함산소 화합물 함유율로부터 제1의 보정량을 결정하는 수단(2)(S5)과 기본제어량을 제1의 보정량에 의해 보정하는 제1의 보정수단(34)(S6)과, 기관의 공연비를 검출하는 공연비 검출수단(37)(S9)과, 제1의 보정수단(34)의 출력에 따라 기관의 공연비가 목표 공연비가 되도록 제어하는 수단(S8)과 목표공연비와 검출공연비의 편차에 따라, 상기 함산소 화합물 함유율을 보정하는 제2의 보정수단(38)(S11)과, 보정된 함산소 화합물 함유율(32)로부터 혼합연료중의 석유정제 연료의 유출특성을 추정하는 유출특성 추정수단(33)(S15)과, 이 유출특성으로부터 제2의 보정량을 결정하는 수단(8)(S16)과, 제1의 보정량에 의해 보정된 기본제어량을 제2의 보정량에 의해 보정하는 수단(35)(S17)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의 전자제어 장치.
KR1019920026790A 1992-01-22 1992-12-30 내연기관의 전자제어장치 KR96000428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2-009238 1992-01-22
JP4009238A JPH05195839A (ja) 1992-01-22 1992-01-22 内燃機関の電子制御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6646A KR930016646A (ko) 1993-08-26
KR960004284B1 true KR960004284B1 (ko) 1996-03-30

Family

ID=117148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26790A KR960004284B1 (ko) 1992-01-22 1992-12-30 내연기관의 전자제어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5515280A (ko)
JP (1) JPH05195839A (ko)
KR (1) KR960004284B1 (ko)
DE (1) DE4301580C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31789B2 (ja) * 1994-11-29 2002-10-0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内燃機関の点火時期制御装置
US5697987A (en) * 1996-05-10 1997-12-16 The Trustees Of Princeton University Alternative fuel
JPH11117787A (ja) * 1997-10-14 1999-04-27 Mitsubishi Electric Corp 内燃機関制御装置
US6016796A (en) * 1998-02-20 2000-01-25 Ford Global Technologies, Inc. Fuel blending ratio inferring method
US6321721B1 (en) 1999-01-29 2001-11-27 Denso Corporation Apparatus for detecting the fuel property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20040054881A (ko) * 2002-12-18 2004-06-2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엘피아이 엔진의 연료공급시스템
US8003934B2 (en) * 2004-02-23 2011-08-23 Andreas Hieke Methods and apparatus for ion sources, ion control and ion measurement for macromolecules
US7117862B2 (en) * 2004-05-06 2006-10-10 Dresser, Inc. Adaptive engine control
FR2883602B1 (fr) 2005-03-22 2010-04-16 Alain Lunati Procede d'optimisation des parametres de fonctionnement d'un moteur a combustion
US8132555B2 (en) 2005-11-30 2012-03-1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Event based engine control system and method
US8434431B2 (en) 2005-11-30 2013-05-0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Control for alcohol/water/gasoline injection
JP2007198308A (ja) * 2006-01-27 2007-08-09 Toyota Motor Corp 内燃機関の始動制御装置
US7581528B2 (en) * 2006-03-17 2009-09-0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Control strategy for engine employng multiple injection types
US7533651B2 (en) * 2006-03-17 2009-05-19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ystem and method for reducing knock and preignition in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7909019B2 (en) 2006-08-11 2011-03-22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Direct injection alcohol engine with boost and spark control
FR2910075B1 (fr) * 2006-12-14 2012-03-23 Sp3H Reglage de l'avance de l'allumage
JP4501950B2 (ja) * 2007-03-27 2010-07-14 日産自動車株式会社 内燃機関の燃焼制御装置
JP4906583B2 (ja) * 2007-05-15 2012-03-28 株式会社日本自動車部品総合研究所 燃料性状検出装置
DE102007027181A1 (de) * 2007-06-13 2008-12-18 Robert Bosch Gmbh Verfahren zur Bestimmung der Zusammensetzung eines Kraftstoffgemischs
JP2009036022A (ja) * 2007-07-31 2009-02-19 Denso Corp 内燃機関の異種燃料混入判定装置
US7971567B2 (en) 2007-10-12 2011-07-0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Directly injected internal combustion engine system
US8118009B2 (en) 2007-12-12 2012-02-2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On-board fuel vapor separation for multi-fuel vehicle
US8550058B2 (en) 2007-12-21 2013-10-08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Fuel rail assembly including fuel separation membrane
JP4936138B2 (ja) * 2007-12-21 2012-05-2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混合燃料の性状判定方法および装置ならびに内燃機関の運転制御方法および装置
US7845315B2 (en) 2008-05-08 2010-12-0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On-board water addition for fuel separation system
JP5035207B2 (ja) * 2008-10-07 2012-09-2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バイオ混合燃料金属成分検知装置
BRPI0823119A2 (pt) * 2008-10-29 2015-06-16 Mitsubishi Electric Corp Sistema de controle de combustível
JPWO2010100729A1 (ja) * 2009-03-04 2012-09-06 三菱電機株式会社 内燃機関の制御装置
US8108128B2 (en) * 2009-03-31 2012-01-31 Dresser, Inc. Controlling exhaust gas recirculation
US8813690B2 (en) 2009-10-30 2014-08-26 Cummins Inc. Engine control techniques to account for fuel effects
JP4920077B2 (ja) * 2009-12-24 2012-04-1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内燃機関の制御装置
US7987840B2 (en) * 2010-04-14 2011-08-02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Delay compensated air/fuel control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of a vehicle
US8442744B2 (en) * 2010-07-20 2013-05-1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Compensation for oxygenated fuel use in a diesel engine
US8046153B2 (en) * 2010-07-20 2011-10-2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Compensation for oxygenated fuels in a diesel engine
JP5333383B2 (ja) * 2010-08-31 2013-11-06 株式会社デンソー センサ制御装置
US20130073190A1 (en) * 2011-09-21 2013-03-21 Honda Motor Co., Ltd. Engine Start Up Control For A Motor Vehicle
JP2013209962A (ja) * 2012-03-30 2013-10-10 Aisan Industry Co Ltd 燃料特性測定システム
MX353054B (es) * 2013-01-09 2017-12-15 Joseph Mac Donald John Sistema y metodo para mejorar el funcionamiento de motores de combustion que emplean combustibles primarios y secundarios.
US9453466B2 (en) * 2013-02-21 2016-09-2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Methods and systems for a fuel system
JP2015132513A (ja) * 2014-01-10 2015-07-23 愛三工業株式会社 燃料性状判定装置
CN104458832B (zh) * 2014-11-27 2018-12-25 长安大学 一种甲醇汽油中甲醇含量在线测量装置及测量方法
ES2698380T3 (es) * 2015-12-11 2019-02-04 Airbus Operations Sl Sistema de control de combustible para un motor de turbina de gas de una aeronave
JP6384500B2 (ja) * 2016-02-12 2018-09-05 株式会社デンソー 燃料ポンプ、燃料供給装置及び燃料供給制御システム
DE102016215116B3 (de) 2016-08-12 2017-06-08 Continental Automotive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Starten einer Brennkraftmaschine mit hohem Alkoholanteil im Kraftstoff
US10895205B1 (en) * 2019-10-08 2021-01-19 FlowCore Systems, LLC Multi-port injection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136038A (en) * 1975-05-17 1976-11-25 Yamaha Motor Co Ltd Internal combustion engine
NL191373C (nl) * 1980-07-15 1995-06-16 Tno Inrichting voor het sturen van de brandstoftoevoer aan een verbrandingsmotor.
US4703732A (en) * 1986-02-07 1987-11-03 Ford Motor Company Spark timing control of multiple fuel engine
US4706629A (en) * 1986-02-07 1987-11-17 Ford Motor Company Control system for engine operation using two fuels of different volumetric energy content
US4706630A (en) * 1986-02-07 1987-11-17 Ford Motor Company Control system for engine operation using two fuels of different volatility
US4942848A (en) * 1987-04-30 1990-07-24 Nissan Motor Co., Ltd. Air-fuel ratio control system for automotive internal combustion engine or the like with fuel type discrimination capabilities
US4945863A (en) * 1988-03-30 1990-08-07 Fev Motorentechnik Gmbh & Co. Kg Process for operating a fuel-burning engine
US5015091A (en) * 1988-04-13 1991-05-14 Mitsubishi Denki K.K. Device for detecting alcoholic content
US4971015A (en) * 1988-11-08 1990-11-20 General Motors Corporation Combustion engine with multi-fuel capability
US4915084A (en) * 1988-11-08 1990-04-10 General Motors Corporation Combustion engine with multi-fuel capability
DE4112574C2 (de) * 1990-04-17 1994-06-09 Hitachi Ltd Kraftstoff-Zuführsysteme für Brennkraftmaschinen
JP2861377B2 (ja) * 1990-11-20 1999-02-24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多種燃料内燃エンジンの空燃比フィードバック制御方法
US5170763A (en) * 1990-12-28 1992-12-15 Honda Giken Kogyo Kabushiki Kaisha Air-fuel ratio control system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JPH04301152A (ja) * 1991-03-28 1992-10-23 Honda Motor Co Ltd 空燃比制御装置
JP2860719B2 (ja) * 1991-04-02 1999-02-2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空燃比制御装置
US5239860A (en) * 1991-05-13 1993-08-31 General Motors Corporation Sensor for measuring alcohol content of alcohol/gasoline fuel mixtures
US5146882A (en) * 1991-08-27 1992-09-15 General Motor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cold starting a spark ignited internal combustion engine fueled with an alcohol-based fuel mixt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515280A (en) 1996-05-07
DE4301580C2 (de) 1997-03-13
KR930016646A (ko) 1993-08-26
JPH05195839A (ja) 1993-08-03
DE4301580A1 (en) 1993-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04284B1 (ko) 내연기관의 전자제어장치
US4706630A (en) Control system for engine operation using two fuels of different volatility
CA1269000A (en) Control system for engine operation using two fuels of different volumetric energy content
US7210455B2 (en) Engine control with fuel quality sensor
US6298838B1 (en) Ethanol content learning based on engine roughness
KR0123561B1 (ko) 학습제어를 사용하는 엔진제어시스템
US4703732A (en) Spark timing control of multiple fuel engine
JP2704808B2 (ja) 燃料の性状判別装置
KR20020068333A (ko) 가솔린 직접 분사 내연 기관에서 혼합물 어댑션 방법
EP1801394A1 (en) Method for the onboard determination of the volatility of a fuel
JP2887056B2 (ja) 内燃機関の燃料性状判定装置
US5191869A (en) Gasoline nature sensing system
US688039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an approximation for fuel volatility on-board a vehicle
WO2015079898A1 (ja) 燃料性状推定装置
JPH05106498A (ja) エンジン制御システム
KR960000441B1 (ko) 연료 브렌드율 검출 방법
CN101358563A (zh) 用于内燃机的其它类型燃料污染确定装置
WO2009122829A1 (ja) 多種燃料エンジンの燃料噴射制御装置
JP5249345B2 (ja) 燃料制御システム
JPH06100149B2 (ja) 内燃機関の制御装置
JPS6366436A (ja) 機関の制御装置
JPH041438A (ja) 内燃機関制御装置
KR20030081711A (ko) 엘피지 연료 성분비 산출 방법
JPH0720047A (ja) ガソリン性状判別装置およびガソリン性状判別方法
JP2011052624A (ja) 燃料噴射制御装置の燃料性状識別手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326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