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4253B1 - 액화천연가스를 기화시키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액화천연가스를 기화시키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4253B1
KR960004253B1 KR1019910013619A KR910013619A KR960004253B1 KR 960004253 B1 KR960004253 B1 KR 960004253B1 KR 1019910013619 A KR1019910013619 A KR 1019910013619A KR 910013619 A KR910013619 A KR 910013619A KR 960004253 B1 KR960004253 B1 KR 9600042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lation system
fluid
heat exchange
liquefied natural
g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136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04764A (ko
Inventor
슈미트 한스
Original Assignee
린데 악티엔게젤샤프트
1996년03월28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린데 악티엔게젤샤프트, 1996년03월28일 filed Critical 린데 악티엔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9200047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47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42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4253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9/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charging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rom vessels not under pressure
    • F17C9/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charging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rom vessels not under pressure with change of state, e.g. vaporisation
    • F17C9/04Recovery of thermal energ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9/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charging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rom vessels not under pressure
    • F17C9/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charging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rom vessels not under pressure with change of state, e.g. vaporis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KSTEAM ENGINE PLANTS; STEAM ACCUMULATORS; ENGINE 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NGINES USING SPECIAL WORKING FLUIDS OR CYCLES
    • F01K25/00Plants or engines characterised by use of special working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lants operating in closed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1K25/08Plants or engines characterised by use of special working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lants operating in closed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special vapours
    • F01K25/10Plants or engines characterised by use of special working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lants operating in closed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special vapours the vapours being cold, e.g. ammonia, carbon dioxide, eth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65/00Effects achieved by gas storage or gas handling
    • F17C2265/05Regasif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And Apparatus (AREA)
  • Exhaust Gas After Treatment (AREA)
  • Separation By Low-Temperature Treatments (AREA)
  • Vaporization, Distillation, Condensation, Sublimation, And Cold Trap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액화천연가스를 기화시키는 방법 및 장치
제 1 도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개략적인 회로도이다.
제 2 도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개략적인 회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1,E2,E1A,E1BE2A,E2B,H3A,H3B,H3C,H3D,H3D,H3E,H3F : 열교환기
X1A,X1B,X2A,X2B,X3,X4 : 팽창기관
P1,P2,P3,P1A,P1B,P2A,P2B : 펌프
1,2a,2b,2b′,2c,3a,3b,3c,4,5,6,6a,6b,7,8,9 : 파이프
본 발명은 액화천연가스가 서로 다른 순환계를 각각 순환하는 다른 유체들과의 여러 단계의 열교환에 의하여 가열 및 기화되는 방식으로 에너지회수와 함께 가압된 액화천연가스를 기화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제 1 순환계의 유체를 통해서 상온에서 가열된 액화천연가스의 일부가 분기가스로 분기되는 단계와, 상기 분기가스가 일을 수행하면서 팽창되는 단계와, 상기 분기가스가 액체천연가스와의 제 1열교환에 의해서 응축되는 단계와, 상기 분기가스가 액체천연가스의 압력으로 펌핑되는 단계와, 그리고 상기 제 1 열교환기의 상류에서 상기 분기가스가 액화천연가스와 다시 혼합되는 단계를 포함하고 있는 액화천연가스를 기화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와같은 방식으로 액화천연가스를 기화시키는 방법은 독일특허출원 제 38 36 061 호에 공지되어 있다. 여기에 개시된 바에 따르면, 제 1 순환계의 유체로서 기화된, 상온에서 가열된 가스가 사용된다. 게다가, 가스의 일부라인이 효율성 있게 감압되고 유체가스와의 열교환으로 응축되고 가스라인의 압력레벨에서 응축한후 새로이 기화하기 위해 유체가스에 다시 공급된다. 적어도 한 개의 다른, 분리된 순환계에 유체가 유도되어 흐르는데, 이유체는 가열매체와의 열교환으로 기화되고 효율성 있게 감압되며 가열할 가스에 대해 응축되고 새로이 기화되기전에 상승압에서 응축된다.
공지의 방법에서 서로다른 압력의 가스라인이 처리되고 공급되어야 한다면, 바람직한 각각의 압력레벨에 대해 분리된 장치를 사용해야 했다. 그 때문에 사용할 장치구조의 전체수가 증가되었고, 이는 필연적으로 투자설비의 비용을 상승시켰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방법에서와 같은 에너지회수 또는 그보다 양호한 에너지회수가 이루어지면서도 보다 적은 투자설비의 비용이 보장되도록 앞에서 개시된 유형의 방법을 보다 개선시키려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서 제 1 순환계의 유체가 팽창단계 및 응축단계 이후에 2 개의 분기유동으로 분기되는 단계와, 2 개의 분기유동중에서 어느 하나의 분기유동이 상기 액화천연가스으 압력으로 압축되고 나서 상기 액화천연가스와 재혼합되는 단계와, 상기 다른 하나의 분기유동은 모든 열교환단계를 통과하면서 상기 액화천연가스와 분리된 상태로 병렬로 유동하며 가열 및 기화되어서 저압가스제품으로 배출되는 단계를 포함함으로써 달성된다.
제 1 순환계의 유체, 즉 상온에서 가열된 가스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서 바람직한 공급압력 레벨에서 감압되고 가열할 액화천연가스에 대해 응축된다. 어느 한 개의 유체가스라인은 공지의 방법에서 처럼 유체가스라인의 압력에서 응축되고 그것과 다시 혼합된다. 이에 반해, 다른 한 개의 유체가스라인은 가스라인의 통로에 대해 병렬로 유동하면서 기화되고 가열됨으로써 분리된 완성품 가스라인으로 배출된다. 상기 완성품 가스라인의 비출은 유체의 응축후에 이루어지는데, 이는 작동조건의 유동성으로 인해 완성품라인의 조성이 장치로 공급되는 유체가스의 조성과 동일하기 때문이다.
기화된 가스라인으로부터 분기된 유체의 유랑은 완성품 가스의 유량에 따라서 다르며, 이러한 가스량은 유체가스 삽입라인보다 적은 압력레벨에서 공급되었다.
서로 다른 유입압력을 가지는 유체가스라인 역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의해 처리되고 공통의 높은 압력으로 가압되며 다수의 순환계 유체와의 열교환으로 기화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선행기술에 비해 상기 방법에 관련되는 장치의 구성요소의 수를 증가시키지 않고서도, 서로 다른 압력을 가지는 완성품 가스라인이 한 장치에서 바람직하게 생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성예에서는 다수의 완성품 가스라인이 서로 다른 압력에서 생산될 수 있으며, 제 1 순환계의 유체는 효율성 있게 다단계적으로 감압된다. 다단계적인 효율성 있는 감압은 일렬로 접속된 팽창기관을 통해 이루어질 수도 있고, 병렬로 구등되는 집합장치(set)를 통해서 실시될 수도 있다. 팽창기관이 일렬로 접속되면, 이미 감압된 유체의 최소한 한 개 라인이 더 감압된다. 팽창기관이 병렬로 접속된다면, 유체는 분기된다. 분기된 라인은 다른 압력레벨에서 스스로 감압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서 팽창기관의 병렬 및 직렬 작동방식이 상호 조합되어 있다.
특히 바람직한 방법의 변형예에서 다단계적인 효율적인 감압이 실시되고, 제 1 순환계의 유체는 효율성 있는 감압전에 분기라인으로 갈라지고, 상기 분기라인 각각은 효율성 있게 스스로 감압되고 서로다른 응축단에서 응축되며, 일부라인이 분기되고 가열할 가스의 통로에 대해 병렬로 가열되고 도출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약간 바꿀 때, 효율성 있게 감압된 모든 분기라인으로부터 일부라인이 분리될 필요성은 없으며, 오히려 일부라인 각각의 응축단 뒤에서 분기되는 것이 아니라 기화할 가스에 대해 병렬로 기화디고 가열되고 공급된다. 제 1 순환계의 유체를 효율성 있게 2 단계로 감압한다면, 1개 또는 2개의 일부라인의 생산이 보다 낮은 압력레벨에서 가능할 것이다. 단지 1개 라인의 생산은, 제 2 분기라인이 응축후에 기화할 가스에 완전히 다시 혼합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언급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서로 다른 압력의 다수의 가스라인을 한 장치에 의해 생산하는 장점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장 간단한 경우 보다 많은 팽창기관이 사용되지만, 방법의 효율성은 단계적인 열전달과 증대된 에너지회수를 통해 높아진다. 본 발명의 기본원리에 비해 제 1 유체의 분기라인을 형성하며 분리적으로 효율성 있게 감압하는 다른 구성이 제시되어 있다. 이 경우에, 감압은 서로 다른 압력레벨에서 이루어지며, 라인 각각의 응축을 위해 서로 다른 응축단, 즉 열교환단이 필요하다. 상기 방법에서는, 기화할 유체가스라인이 방법상 유리한 단계적인 간접적인 열교환을 통해 가열되고 기화된다.
본 발명의 다른 구성에서 제 1 순환계의 유체가 효율성 있게 1단계로 감압된다.
다단계 감압의 특별한 경우로서 상기 방법은 유리한 생각을 포함한다. 제 1 순환계의 효율성 있게 감압된 유체의 다른 방법이 선택되고 부분라인으로 분기된 분기라인으로 떨어지는 반면, 응축후 완전히 기화할 가스에 다시 혼합하는 분기라인이 유지된다.
서술한 방법은 특히 다단계 감압의 바람직한 특수 경우를 보여주고 있다. 병렬의 효율성 있는 감압에서 얻은 분기라인과 같은 방법으로 직렬의 작동모드로 만들어진 분기라인에 의해 처리될 수 있는데, 본 발명은 효율성있게 다단계로 감압된 모든 유체라인을 사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제 1 유체순환계에 대해 병렬로 제 2 순환계에 유체가 유도되고, 이 유체는 가열후 상온에서 에너지를 얻기 위해 효율성 있게 1단계로 감압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실시예 역시 제 2 순환계에 유체가 유도됨으로써 약간 바뀐다. 상기 유체는 가열후 상온에서 일부라인으로 갈라지고, 이 일부라인은 에너지를 얻기 위해 효율성 있게 감압된다.
혼합 순환계의 사용이 특히 유리하다. 제 2 순환계의 유체로서 C1/C2/C3-탄화수소 혼합물 또는 C1/C2-탄화수소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나아가서, 제 2 순환계의 유체로서 C1-내지 C6-탄화수소로 이루어진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특히 유리하며, C2-탄화수소의 비율은 90Mol% 이하이다. C1- 내지 C6- 표시는 1 내지 6개의 탄소원자를 가진 탄화수소를 나타낸다.
제 2 순환계에서 열교환하는 유체의 선택은, 라인간의 서로의 열접촉을 효과적으로 구성하며 효율성있는 감압을 위해 큰 에너지를 사용하도록, 기화할 가스라인의 조성물을 표준으로 한다.
나아가서, 제 2 순환계의 유체로서 순수물을 사용할 수도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라 암모니아, 프로판 또는 플루오르클로르탄화수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 나아가서, 후자의 경우에는 유체를 위해 다른 플루오르클로르탄화수소를 혼합할 수 있다.
이미 언급한 바처럼, 열전달이 점점 잘 이루어지면 질수록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효율성 역시 좋아진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라 제 1 순환계와 제 2 순환계 사이에 또 다른 제 3 순환계를 사용하는 것이 개시되었고, 이러한 제 3 순환계의 유체로서 에탄 또는 증기압 그래프와 유사한 다른 물질이 사용된다.
제 3 순환계의 유체는 1단계로 감압되거나 또는 다단계로 감압되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에너지를 얻을 때 유체가스를 기화하기 위한 각각의 방법 즉, 필요로 하는 에너지를 열의 형태로 빼니기 위해 최고의 온도레벨에서 열교환에 관여하는 가열 매체에 상기 원리는 근거를 두고 있다. 순환계의 유체의 가열이 상온에서 마지막 열교환단에서 글리콜-물-용액과의 열교환에 의해 이루어지면, 이는 본 발명을 위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가장 간단한 경우에 서로 분리된 순환계의 수는 제 1 순환계 및 가열매체의 순환계에 국한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다른 구성은, 제 2 및/또는 3순환계의 유체를 가열할 가스에 대한 상기 유체의 응축 및 상승압에서 전체 또는 일부를 펌핑한 후 각 압력레벨에 상승하는 응축단으로 유도하고 그 다음으로 높은 열교환단에서 열전달에 관여하는 것으로 나타나 있다.
상온에서 가열된 가스의 에너지 성분을 효과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상기 가열된 가스의 일부를 공급전에 효율적으로 감압하고 상온에서 다시 가열하는 것이 제공된다.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해 사용한 장치는, 서로 다른 온도레벨에서 기화할 가스와 순환계 유체의 열교환을 위한 열교환/응축단과, 최고의 제조온도에서 가열매체에 대한 순환계 유체 및 가스가 가열되는 적어도 1개의 가열단과, 효율적인 감압을 위한 팽창기관 및, 열교환시 응축된 유체의 새로운 압축을 위한 펌프로 구성되어 있다.
다수의 파이프통로 및 다발을 구비한 직선홍 파이트 열교환기 또는 다수의 파이프통로를 구비한 곡선형 파이프 열교환기로서 열교환/응축단을 구성하는 것은 사용 및 방법조건과 일치할 때 특히 바람직하다. 단지 1개의 파이프통로를 가진 직선형 파이프 열교환기의 사용을 선택할 수 있다. 이 경우 각각의 열교환/응축단에 대해 상기 열교환기의 다수가 병렬로 접속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이 제 1 도와 제 2 도를 참조하여 실례적으로 설명된다.
제 1 도는 가열순환계 및 제 1 순환계외에도 제 2 순환계가 사용되고 있는 본 발명의 방법의 실시예를 개시한다. 압력하에 있는 액화천연가스(1)가 파이프 (2b)로 부터온 응축가스에 대하여 열교환기(E1)에서 약간 가열된다. 여기에 도시된 바처럼, 상기 액화천연가스는 공통적으로 고압상태에 있는 개별의 가스라인으로 이루어져 있다. 파이프(3a,3b 및 3c)의 순환계에서 유도된 제 2 순환계의 유체에 대해 기화되는 가스라인의 또 다른 가열 열교환기(E2)에서 이루어진다. 가스라인의 최종 가열은 열교환기(H2A)에서 파이트(4)로부터 냉각성 열매체와 반대방향으로 이루어진다. 가스 상태의 대기상에서 가열된 가스라인(1)으로 부터 그의 공급전에 스텁케이블(stubcable)(2a)을 경유하여 일부가 도입되며, 팽차기관(X1)에서 감압되고 열교환기/응축단(E1)에서 응축된다. 응축후에 공급하기 위한 일정한 일부라인(2c)이 분기되며 가스통로에 병렬로 열교환기(E1,E2 및 H3B)에서 가열되고 기화된다. 상기 일부라인(2c)은 저압가스 완성품을 만든다. 파이프(2b)의 응축된 잔여가스는 공지방법에서 처럼 펌프(P1)를 사용하여 응축되며 기화할 액화천연가스라인에 혼합된다. 제 2 순환계의 유체는 효율성과 가스가열을 위해 파이프(4)에 마련된 가열매체로부터 에너지를 도출한다.
열교환기(H3C)를 통과한 후 제 2 순환계의 유체는 기화되며 파이트(3a)를 통해 팽창기관(X2)에 공급되고 효율성 있게 감압된다. 감압된 라인(3b)은 열교환기(E2)에서 제 2 순환계의 응축된 고압유체, 파이프(1)에서 가열된 가스라인 및 가열된 저압가스 완성품에 대해 응축되고 펌프(P2)를 사용하여 다시 고압이 된다. 유체를 가열하기 위해 최고의 제조온도로 된 매체는 파이프(4)를 경유하여 유도되고 병렬접속된 열교환기(H3A)(고압으로 기화할 가스와 열접촉),(H3B)(가열할 저압완성품과 열접촉)과 (H3C)(제 2 순환계의 기화할 유체와 열접촉)를 통해 유도되고 열흡수후에 파이프(5)를 경유하여 도출된다.
서로 다른 압력의 2개 가스라인이 공급되어 있다는 단점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앞에서 언급된 독일 특허출원 제 38 36 061 호의 가장 간단한 방법변형과 비교하여 중요한 장점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이 기화장치에 의해 그런대로 실시된 반면, 선행기술에 따른 방법에서는 분리된 2개의 장치가 사용되어야 했다. 기계에 대한 설비의 비용면에서, 본 발명을 사용하면 절반으로 절감된다.
제 2 도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구성을 보여준다. 제 2 도에 도시된 방법에서 2개의 순환유체는 효율성 있게 다단계적으로 감압된다. 서로 다른 압력을 가지는 가스라인은 공통의 상승압으로 되며, 공통의 파이프(1)에서 가스기화장치에 공급된다. 상기 공통의 라인은 순환계 각각의 열교환유체와 단계적으로 열접촉하여 가열되고 기화된다. 만들어진 고압완성품의 일부는 파이프(2c)로부터 도출되는 반면, 나머지 일부는 팽창기관(X4)에서 효율성 있게 감압된다. 파이프(2b)의 감압된 완성품은 상온에서 가열유체에 대하여 열교환기(H3E)에서 가열된다. 상기 완성품의 일부는 파이프(2b')를 사용하여 도출되는 반면, 파이프(2a)를 경유하여 유도되는 부분은 제 1 순환계의 유체를 형성한다. 유체라인(2a)은 에너지를 얻기 위해 분기라인(3a 와 3b)으로 분배되고, 상기 라인(3a 와 3b)은 팽창기관(X1A 와 X1B)에서 서로 다른 압력레벨에서 효율적으로 감압된다. 감압된 분기라인(3a)은 파이프(1)의 가열할 유체가스에 대한 열교환기(E1A)에서 응축된다, 응축후 감압된 상태의 라인이 도출되고 다른 가스통로에 대해 병렬로 가열되어 기화되고 완성품으로서 파이프(4)를 통해 도출된다. 응축된 다른 라인은 펌프(P1A)를 사용하여 압축되며, 제 1 열교환기를 통과하기 전에 유체가 스와 다시 혼합된다. 감압된 분기라인(3b)는 상기와 유사한 방법으로 처리되고, 열교환 및 응축은 열교환기(E1B)에서 높은온도/열교환 레벨에서 이루어진다. 이는 유체의 열교환/응축단이 각각의 압력레벨에 상응한다는데 근거한다. 그러므로, 유체를 응축하기 위해 최저의 압력은 최저의 온도에서 열교환단으로 도출되어야 하는 반면, 상승압력은 높은온도 레벨에서 응축/열교환단에 보내질 수 있다. 제 2 순환계의 유체 역시 2단계로 효율성 있게 감압되고, 가열단(H3D)를 떠난 기화된 유체라인(6)은 분기라인(6a 와 6b)으로 갈라진다. 이라인(6a 와 6b)은 팽창기관(X2A 와 X2B)을 사용하여 서로 다른 압력이 되고 각각의 압력레벨에 상응하여 가열할 가스와 유체에 대한 응축단(E2A 와 P2B)에서 응축되고, 응축 후에는 공통의 압력으로 펌프(P2A 와 P2B)에서 다시 혼합된다. 제 3 순환계(7)의 유체는 가열단(H3F)에서 기화한후 팽창기관(X3)을 사용하여 1단계로 효율성 있게 감압되고 서로 다른 압력의 가스에 대한 응축단(E3)에서 응축된다. 펌프(P3)에 서유출압력으로 응축되어 열교환단(E3 와 H3F)의 통과후 순환계는 완결된다. 2개의 제 1 순환계와 유사하게 제 3 순환계의 유체 역시 다단계로 감압된다.
에너지의 회수와 가스의 기화를 위해 필요한 열은 파이프(8과9)를 통해 이루어진 가열순환계에서 유출된다. 따뜻한 가열매체(8)는 가열단(H3A부터 H3F 까지)에 분배되고, 서로 다른 압력의 기화가스 완성품라인 및 제 1 내지 제 3 순환계의 유체에 열을 공급한다. 냉각된 가열매체는 파이프(9)를 사용하여 도출된다.

Claims (22)

  1. 액화천연가스가 서로 다른 순환계를 각각 순환하는 다른 유체들과의 여러 단계의 열교환에 의하여 가열 및 기화되는 방식으로 에너지의 회수와 함께 가압된 액화천연가스를 기화시키는 방법으로서, 제 1 순환계의 유체를 통해서 상온으로 가열된 액화천연가스의 일부가 분기가스로 분기되는 단계와, 상기 분기가스가 일을 수행하면서 팽창되는 팽창단계(X1)와, 상기 분기가스가 상기 액화천연가스와의 제 1 열교환에 의해서 응축되는 응축단계(E1)와, 상기 분기가스가 상기 액화천연가스의 압력으로 펌핑되는 펌핑단계(P1)와, 그리고 상기 제 1 열교환기의 상류에서 상기 분기가스가 가열될 상기 액화천연가스와 재혼합하는 재혼합단계를 포합하고 있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팽창단계(X1) 및 상기 응축단계(E1)의 이후에 상기 제 1 순환계의 유체(2a)가 2개의 분기유동으로 분기되는 분기단계와, 상기 2개의 분기유동 중에서 어느 하나의 분기유동이 상기 액화천연가스(1)의 압력으로 압축되는 단계(P1)와, 상기 어느 하나의 분기유동이 상기 액화천연가스(1)와 재혼합되는 단계와, 상기 2개의 분기유동 중에서 다른 하나의 분기유동(2a)이 모든 열교환단계(E1,E2…)를 통과하면서 상기 액화천연가스(1)와 분리된 상태로 별렬로 유동하여 가열 및 기화되는 단계와, 그리고 상기 다른 하나의 분기유동(2c)이 저압가스제품으로 배출되는 배출단계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순환계의 유체(2a)가 상기 팽창단계(X1)의 이전에 상기 2개의 분기유동의 사이로 분포되고, 상기 2개의 분기유동이 서로 다른 압력으로 응축되기 전에 적어도 하나의 분기유동이 일을 수행하면서 팽창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분기유동이 상기 액화천연가스(1)의 경로에 대해서 병렬로 배열되어 가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분기유동이 상기 열교환단계(E1,E2,…) 이후에서는 분기되지 않고 상기 액화천연가스에 대해서 병렬로 기화되며 가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순환계의 유체(2a)가 하나의 단계(X1)에서 일을 수행하면서 팽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제 2 순환계내에서 제 2 순환계의 유체(3,6)가 순환되며, 상기 제 2 순환계의 유체(3,6)가 상온에서 가열되는 단계(H3C, H3D)와, 그리고 상기 제 2 순환계의 유체(3,6)가 에너지의 회수를 위해서 하나의 단계(X2,X2A,X2B)에서 일을 수행하면서 팽창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순환계내에서 제 2 순환계의 유체(3,6)가 순환되며, 상기 제 2 순환계의 유체(3,6)가 상온에서 가열되는 단계(H3C,H3D)와, 상기 제 2 순환계의 유체(3,6)가 2개의 분기유동(6a,6b)으로 분기되는 단계와, 그리고 상기 분기유동(6a,6b)이 에너지의 희수를 위해서 각각 일을 수행하면서 팽창되는 단계(X2A,X2B)를 더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순환계의 유체로서, C1-내지C6-탄화수소로 이루어진 혼합물이 사용되며, C2-탄화수소의 구성비율이 90mol%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순환계의 유체로서 C1/C2/C3-탄화수소 혼합물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순환계의 유체로서 C1/C2-탄화수소 혼합물 또는 C2/C3-탄화수소 혼합물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순환계의 유체로서 프로판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 5 항 또는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순환계의 유체로서 암모니아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순환계의 유체로서 플루오르클로르 탄화수소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순환계의 유체로서 플루오르크로르 탄화수소로 이루어진 혼합물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순환계와 제 2 순환계의 사이에 제 3 순환계가 제공되어 있고, 상기 제 3 순환계의 유체로서 에탄 또는 에탄과 유사한 증기압 선도를 갖는 물질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순환계의 유체가 하나의 단계(X3)에서 일을 수행하면서 팽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순환계의 유체가 여러 단계에서 일을 수행하면서 팽창되는 것을 특지으로 하는 방법.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순환계의 유체가 상온으로 가열되는 상기 단계가 최종의 열교환단계(H3A,H3B,…)에서 글리콜-물 용액과의 열교환을 통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8. 제 14 항에 있어서, 가열되어 고압으로 펌핑될 상기 액화천연가스의 존재하에 응축단계가 수행된 이후에, 상기 제 2 순환계 또는 상기 제 3 순환계의 유체가 상기 응축단계에서는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순환되지만 다음의 열교환단계까지는 직접적으로 열전달에 참여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단계의 이전에 상온에서 가열된 상기 액화천연가스의 적어도 일부가 일을 수행하면서 팽창되고 다시 재가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0. 순환계의 유체(2a,3a,6,…)의 열교환을 위한 열교환단(E1,E2,…)과, 상기 순환계의 유체와 가열매체의 열교환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가열단(H3A,H3B,…)과, 팽창기관9X1,X2,…)과, 그리고 펌프(P1,P2,…)를 포함하고 있는, 상기 제 1 항에 따른 액화천연가스를 기화시키는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순환계의 유체의 열교환단(E1,E2,…)이 다수의 관형 체널 및 조립체를 포함하고 있는 직선의 관형 열교환기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1. 순환계의 유체(2a,3a,6,…)의 열교환을 위한 열교환단(E1,E2,…)과, 상기 순환계의 유체와 가열매체의 열교환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가열단(H3A,H3B,…)과, 팽창기관(X1,X2,…)과, 그리고 펌프(P1,P2,…)를 포함하고 있는, 상기 제 1 항에 따른 액화천연가스를 기화시키는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순환계의 유체의 열교환단(E1,E2,…)이 다수의 관형채널을 포함하고 있는 곡선의 관형 열교환기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2. 순환계의 유체(2a,3a,6,…)의 열교환을 위한 열교환단(E1,E2,…)과, 상기 순환계의 유체와 열매체의 열교환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가열단(H3A,H3B,…)과, 팽창기관(X1,X2,…)과, 그리고 펌프(P1,P2,…)를 포함하고 있는, 상기 제 1 항에 따른 액화천연가스를 기화시키는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순환계의 유체의 열교환단(E1,E2,…)이 다수의 관형채널을 포함하고 있는 직선의 관형 열교환기의 형태로 구성되어 있으며, 다수의 상기 열교환기가 각각의 상기 열교환단(E1,E2,…)에 대해서 병렬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19910013619A 1990-08-07 1991-08-07 액화천연가스를 기화시키는 방법 및 장치 KR96000425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P4025023.7 1990-08-07
DE4025023A DE4025023A1 (de) 1990-08-07 1990-08-07 Verfahren zum verdampfen von fluessigem erdga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4764A KR920004764A (ko) 1992-03-28
KR960004253B1 true KR960004253B1 (ko) 1996-03-28

Family

ID=64117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13619A KR960004253B1 (ko) 1990-08-07 1991-08-07 액화천연가스를 기화시키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EP (1) EP0470532B1 (ko)
JP (1) JPH0747748B2 (ko)
KR (1) KR960004253B1 (ko)
DE (2) DE4025023A1 (ko)
ES (1) ES2051058T3 (ko)
PT (1) PT98585B (ko)
TW (1) TW20436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03258212B2 (en) * 2003-06-05 2009-03-19 Fluor Technologies Corporation Liquefied natural gas regasification configuration and method
DE10358311A1 (de) * 2003-12-11 2005-07-14 Bayerische Motoren Werke Ag System und Verfahren zur Verdampfung eines kryogen gespeicherten Kraftstoffs
FR2879720B1 (fr) 2004-12-17 2007-04-06 Snecma Moteurs Sa Systeme de compression-evaporation pour gaz liquefie
CA2686850A1 (en) * 2007-05-30 2008-12-11 Fluor Technologies Corporation Lng regasification and power generation
JP5970349B2 (ja) 2012-11-16 2016-08-17 日本発條株式会社 ストラット形懸架装置と、懸架装置用圧縮コイルばね
EP3527869A1 (de) * 2018-02-16 2019-08-21 Siemens Aktiengesellschaft Lng wiedervergasung
JP2023149895A (ja) * 2022-03-31 2023-10-16 住友精密工業株式会社 熱交換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79350A (en) * 1981-03-06 1984-10-30 Air Products And Chemicals, Inc. Recovery of power from vaporization of liquefied natural gas
DE3836061A1 (de) * 1987-12-21 1989-06-29 Linde Ag Verfahren zum verdampfen von fluessigem erdga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6279773A (ja) 1994-10-04
PT98585B (pt) 1999-01-29
TW204365B (ko) 1993-04-21
EP0470532A1 (de) 1992-02-12
ES2051058T3 (es) 1994-06-01
JPH0747748B2 (ja) 1995-05-24
EP0470532B1 (de) 1994-01-19
KR920004764A (ko) 1992-03-28
PT98585A (pt) 1994-01-31
DE59100889D1 (de) 1994-03-03
DE4025023A1 (de) 1992-0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26588B2 (ja) Lng再ガス化および発電
RU2395764C2 (ru) Установка и способ для сжижения природного газа
JP3559283B2 (ja) 流体を冷却する,とくに天然ガスを液化する方法及び装置
US4339253A (en) Method of and system for liquefying a gas with low boiling temperature
KR880002380B1 (ko) 액화천연가스의 증발로부터 에너지를 회수하는 방법과 장치
US5533338A (en) Cryogenic vapor recovery process and system
JP6882322B2 (ja) 低温液体の蒸発から生じるガスを処理し、ガスエンジンに加圧ガスを供給するシステム
TW201200829A (en) Integrated pre-cooled mixed refrigerant system and method
JP4233619B2 (ja) 天然ガス液化のための冷却プロセスおよび装置
RU2005118106A (ru) Усовершенствованная система мгновенного испарения метана для снижения природного газа
HU220018B (hu) Eljárás és berendezés levegő lebontására
CN107606875A (zh) 通过低温分离空气产生压缩氮和液氮的方法和设备
KR960004253B1 (ko) 액화천연가스를 기화시키는 방법 및 장치
JP2022504522A (ja) 混合冷媒冷却を伴う脱水素分離装置
KR101839781B1 (ko) 열 회수 장치
JPH07167554A (ja) ガス圧縮方法及びその設備
JP3006692B2 (ja) 混合冷媒を用いる冷却方法及び冷却設備
US8826677B2 (en) Refrigeration process and system for recovering cold from methane by refrigerants
JP3303101B2 (ja) 超臨界ガスの液化方法及び装置
CA3212384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ecooling in hydrogen or helium liquefaction processing
US2008018472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 refrigeration circuit
KR920006410B1 (ko) 액화 천연가스를 기화하는 방법
HU220322B (hu) Eljárás és berendezés termékek hűtésére cseppfolyósított gáz felhasználásával
US3343374A (en) Liquid nitrogen production
JP7080911B2 (ja) 超臨界ガスの液化装置、及び超臨界ガスの液化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