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3464Y1 - C-형 비임을 사용한 조향축비임 - Google Patents

C-형 비임을 사용한 조향축비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3464Y1
KR960003464Y1 KR2019930024003U KR930024003U KR960003464Y1 KR 960003464 Y1 KR960003464 Y1 KR 960003464Y1 KR 2019930024003 U KR2019930024003 U KR 2019930024003U KR 930024003 U KR930024003 U KR 930024003U KR 960003464 Y1 KR960003464 Y1 KR 96000346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ring shaft
main
guide
steering column
beam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2400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14073U (ko
Inventor
윤용문
Original Assignee
대우중공업 주식회사
석진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중공업 주식회사, 석진철 filed Critical 대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30024003U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3464Y1/ko
Publication of KR95001407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407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346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3464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5Fork lift trucks, Industrial tru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C-형 비임을 사용한 조향축비임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조향축비임의 개략적인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선 A-A에 따른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조향축비임 12 : 주 C-형 비임
14 : 보조 C-형 비임 16 : 안내부
18 : 4각 바아
본 고안은 조향축을 지지 및 안내하는 조향축비임에 관한 것이며, 특히 C-형 비임, 적합하게는 지게차의 마스트를 사용하여 간단하고 단순한 구조로 제작할 수 있는 조향축비임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조향축빔이으로는 다수개의 부품을 용접에 의하여 연결하는 용접식 비임과, 필요한 형태로 주물제작하는 형태가 사용되어 왔다. 용접식 비임의 경우에는 여러부품을 제조하여 상호 용접으로 연결하여 필요한 입체구조의 비임을 형성하는데, 이러한 방법은 필요한 규격 및 형태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설계변경의 폭이 크고, 또한 특징 조건에 적합하게 필요에 따라 제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용접식으로 비임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다수의 부품들을 용접을 하여야 하고 또한 용접부분의 강도는 장기간 경과후에는 완전히 신뢰할 수 없는 경우도 발생되므로 만족스러운 방법이 되지 못하였다.
종래의 조향축비임을 형성하는 또다른 방법으로 주물로서 일체로 제작하는 방법이다. 이러한 방법을 사용하면 강도면에서는 만족할 만한 비임을 얻을 수 있으나, 주물작업이 번거롭고 또한 그 형태 및 규격이 고정되어 있어 설계 변경의 폭이 제한될 뿐만 아니라 필요시에 필요한 수량을 적기에 공급하는 것이 곤란하게 된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선행기술에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에서는 C-형 비임, 적합하게는 지게차의 마스트용의 C-형 비임을 사용하여 조향축비임을 제작함으로써 용이하고 신속하게 안정성있는 조향축비임을 제공하게 되는바,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하여 본 고안의 적합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조향축비임(10)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며, 제2도는 제1도의 선A-A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면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비임(10)은 비교적 긴 길이의 주 C-형 비임(12)와, 조향축이 통과하는 부분에서 상기 주 C-형 비임에 결합되어 조향축 안내부를 반송하게 되는 보조 C-형 비임(14)로 구성된다. 보조 C-형 비임(14)의 길이는 주 C-형 비임(12)의 길이와 동일하게 할 필요는 없는데, 이는 상기 보조 C-형 비임(14)는 조향축 안내부(16)을 반송할 수 있으면 족하기 때문이다.
주 C-형 비임(12)의 양단부에는 4각 바아(18)이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되어, 조향축 비임(10)을 차대에 고정될 수 있게 한다.
조향축 안내부(16)은 주 C-형 비임(12)와 보조 C-형 비임(14)의 주평면, 즉 양측면부를 갖는 중앙의 면을 통하여 연장되어, 조향축이 통과될 수 있도록 한다. 조향축 안내부(16)은 예컨대 양 C-형 비임(12) 및 (14)를 천공한 후 안내부(16)을 용접등으로 고정하는 등의 공지된 방식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보조 C-형 비임(14)는 용접등에 의해 대칭형태, 즉 측면과 측면이 맞닿는 상태로 주 C-형 비임(12)에 고정하는 것이 적합하며, 필요에 따라서는 안내부(16)을 형성한 후 고정할 수도 있다.
주 C-형 비임(12) 및 보조 C-형 비임(14)는 모두 지게차의 마스트에 사용되는 C-형 비임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원자재의 별도의 공급없이도 기존의 설비 및 재료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으며, 또한 그 제작과정도 용이하고 간편하며, 그에 의해 제조된 비임의 강도도 만족할 만한 수준이 되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라 단순한 구조이면서도 만족할 만한 강도를 가지며, 특히 작업이 용이한 조향축 비임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Claims (1)

  1. 양 단부에 차대에 고정되는데 사용될 수 있는 4각 바아(18)들이 마련되는 적합하게는 지게차의 마스트인 주 C-형 비임, 상기 주 C-형 비임에 조향축이 통과하는 위치에서 대칭상태로 결합되는 적합하게는 지게차의 마스트인 보조 C-형 비임, 및 상기 주 C-형 비임 및 상기 보조 C-형 비임을 통과하여 연장되는 조향축을 안내부(16)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향축 비임.
KR2019930024003U 1993-11-16 1993-11-16 C-형 비임을 사용한 조향축비임 KR96000346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24003U KR960003464Y1 (ko) 1993-11-16 1993-11-16 C-형 비임을 사용한 조향축비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24003U KR960003464Y1 (ko) 1993-11-16 1993-11-16 C-형 비임을 사용한 조향축비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4073U KR950014073U (ko) 1995-06-16
KR960003464Y1 true KR960003464Y1 (ko) 1996-04-24

Family

ID=193679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24003U KR960003464Y1 (ko) 1993-11-16 1993-11-16 C-형 비임을 사용한 조향축비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3464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4073U (ko) 1995-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58473A (en) Frame, angle member for use in the frame and method of making joint portion of the angel member
DE20007782U1 (de) Wägeaufnehmer
DE2518022B1 (de) Elektromagnetisch kompensierende, balkenlose kraftmess- oder waegevorrichtung
US4453487A (en) Device for fastening two hulls to each other
KR960003464Y1 (ko) C-형 비임을 사용한 조향축비임
DE3871124D1 (de) Verbindungsstruktur fuer die verbindung einer abgefederten achsaufhaengung mit einem fahrzeugrahmen.
US4557622A (en) Adjustable torque rod
IT1140902B (it) Gru a carroponte con travi di testata previste alle estremita' di una trave a ponte
CA2007292A1 (en) Stiffening element for a lattice girder
FR2647372B1 (ko)
DE68900603D1 (de) Konstruktionssystem.
JPH02112212A (ja) 駆動軸用絶縁材製軸受を備えた負荷時タップ切換変圧器のための円筒状タップ選択器
WO1993005249A3 (de) Dübelleiste
CN211548096U (zh) 箱型钢柱与混凝土基础梁的连接结构
DE19730395C1 (de) Hohlträgeranordnung mit zwei T-förmig miteinander verbindbaren Hohlträgern
SU844444A2 (ru) Рама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CN210024061U (zh) 一种固定型埋弧焊接设备
EP0315729B1 (de) Rahmenartige Flächen- und Raumgebilde, insbesondere für Möbel und Innenausbauten, sowie zugehöriger Bauteilsatz mit Tragkörper und Zubehör
EP0333827A1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trägern mit durchbrochenem einfachen oder mehrfachen steg, sowie träger mit durchbrochenem steg
KR200202328Y1 (ko) 도로표지용 구조물
DE3369959D1 (en) Lifting device
SU1250628A1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 облегченных металлических балок
DE2720574C2 (de) Kran mit rohrförmigem Turm
JPS62236943A (ja) トラスの斜材の補強構造
JPS6337434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