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3065Y1 - 전자기기의 볼륨노브 체결장치 - Google Patents

전자기기의 볼륨노브 체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3065Y1
KR960003065Y1 KR2019930029566U KR930029566U KR960003065Y1 KR 960003065 Y1 KR960003065 Y1 KR 960003065Y1 KR 2019930029566 U KR2019930029566 U KR 2019930029566U KR 930029566 U KR930029566 U KR 930029566U KR 960003065 Y1 KR960003065 Y1 KR 96000306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ume
knob
rotating shaft
fastening
faste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2956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20545U (ko
Inventor
임윤제
Original Assignee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김주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김주용 filed Critical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30029566U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3065Y1/ko
Publication of KR95002054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2054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306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3065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00Controlling members, e.g. knobs or handles; Assemblies or arrangements thereof; Indicating position of controlling members
    • G05G1/08Controlling members for hand actuation by rotary movement, e.g. hand wheels
    • G05G1/10Details, e.g. of discs, knobs, wheels or hand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9/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which is rotatable about a longitudinal axis thereof and which is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xternal to the switch, e.g. by a hand
    • H01H19/02Details
    • H01H19/10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9/14Operating parts, e.g. turn knob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자기기의 볼륨노브 체결장치
제1도는 종래의 볼륨노브 체결구조를 보인 단면구성도.
제2도는 제1도의 A-A선 단면구성도.
제3도는 본 고안에 관한 볼륨노브의 체결구조를 보인 분리사시도.
제4도는 본 고안의 구성을 단면하여 보인 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노브 10 : 체결관
11 : 너트 12 : 고정홈
200 : 볼륨회전축 20 : 나사산
21 : 고정돌기
본 고안은 각종 전자기기의 볼륨을 조절하는 볼륨노브에 있어서, 상기 볼륨노브를 체결하는 전자기기의 볼륨노브 체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볼륨노브의 체결구성을 간단히 하여 제조성을 향상시킴은 물론 이의 체결 및 분해작업에 따른 작업성을 향상시키고, 또한 체결된 볼륨노브의 체결력을 향상시키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카오디오, 전축등과 같은 각종 음량전자기기의 볼륨을 조절하는 볼륨노브는 음량전자기기에 있어서는 기기의 본체 전면에 체결되는 필수부품으로서 이러한 볼륨노브는 그 구성이나 작동방법에 따라 대체적으로 터치식과 회전식등으로 구분되어져 사용되어지고 있는 것이었다.
상기와 같은 음량기기의 볼륨노브중에서도 사용자가 수동작으로 회전작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회전식 볼륨노브는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어지고 있는 것으로서, 이러한 회전식 노브는 사용자가 이의 볼륨노브를 좌회전 또는 우회전 시킴으로서 그 음량의 볼륨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었다.
즉, 상기와 같은 회전식 볼륨노브의 종래 구성을 일예를 들어 살펴보면 이는 도면의 제1도에서도 보는 바와 같이 원형으로 구비되는 노브(1)와, 이의 노브(1)의 내측에 일체형으로 구비되고 볼륨회전축(2)에 삽입체결되는 원통형의 체결관(3)과, 이의 체결관(3)의 내측에 볼륨회전축(2)과 동일회전력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노브(1)를 고정시키는 회전가이드보스(4)로 구성되어 있는것이었고, 또한 상기 볼륨회전축(2)의 전단에는 내측으로 절개되어 상기한 회전가이드보스(4)가 삽입체결될 수 있는 체결홈(5)을 갖추어 구성되어 있으며, 그리고 상기 노브(1)가 체결될시 이의 체결관(3)과 볼륨회전축(2)의 사이에는 유동공차를 없애기 위해 스프링(6)이 삽입 체결되어 있는 것이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볼륨노브를 체결시에는 노브(1)의 체결관(3)내에 스프링(6)을 삽입시킨 상태에서 이의 체결관(3)을 음량기기의 전면으로 일정길이만큼 돌출구비되는 볼륨회전축(2)에 억지끼움으로 삽입체결하게되면, 원통형으로 구비되는 체결관(2)이 볼륨회전축(2)에 감싸는 식으로 체결됨과 동시에 이의 내부에 구비되는 회전가이드보스(4)가 볼륨회전축(2)의 체결홈(5)에 억지 끼움되어 노브(1)와 볼륨회전축(2)이 일체형으로 체결되어 지는 것이고, 이에 따라 사용자가 노브(1)를 회전작동 시킴에 따라 볼륨회전축(2)이 회전작동되어져 음량기기의 볼륨을 조절할 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볼륨노브 체결구성은 노브(1)의 체결관(3)을 볼륨회전축(2)에 단순히 끼워맞춤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기때문에 노브(1)의 체결관(3)에 구비되는 회전가이드보스(4)와 볼륨회전축(2)의 체결홈(5)과의 끼워맞춤하는 작업이 까다롭고 어려운 문제점이 야기되었을 뿐아니라 노브(1)를 회전축(2)에 체결시 체결관(3)과 회전축(2)과의 유동공차를 없애기 위하여 별도의 부품으로 구비되는 스프링(6)이 필연적으로 요구됨에 따라 이에 따른 제조비 및 자재비등의 상승요인이 되는 문제점이 야기되었던 것이었다.
또한 이러한 문제점외에도 노브(1)를 회전축(2)에 너무 꽉끼게 체결하게되면 그 체결력은 좋으나 고장수리등을 목적으로 분해하고자 할 시에는 노브(1)가 분해되지 않아 부품을 망가트리게 되는 등의 문제점도 야기되었던 것이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사정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노브의 체결구성을 간단히하여 제조성은 물론 이를 분해 및 체결하는데 따른 작업성을 향상시키면서도 그 체결력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전자기기의 볼륨노브 체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목적은 볼륨노브를 나사식으로 체결하도록 함으로써 달성되는데, 즉 상기 볼륨노브의 체결관내경에는 너트를 구비함과 동시에 이의 체결관이 체결되는 볼륨회전축의 외연에는 나사산을 구비하여 이들을 나사식으로 체결되도록 하는 것이고, 또한 이들이 체결이 완료되면 회전축에 구비되는 고정돌기가 노브의 체결관에 구비되는 고정홈에 삽입되어 일정한 힘이 가해지지 않는 한 노브가 회전축으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그 체결력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것이 특징인 것이다.
계속해서 본 고안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의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전체구성을 분리하여 보인 사시도이고, 또한 첨부도면의 제4도는 본 고안의 단면하여 보인 단면구성도로서, 도면중 부호 100은 본 고안에 따른 볼륨노브를 표시하고 있고, 또한 부호 200은 상기 볼륨노브(100)가 체결되는 볼륨회전축을 표시하고 있다.
상기 볼륨회전축(200)은 통상에서와 같이 음량기기내의 볼륨조절장치와 연결되면서 그 전단이 전면으로 일정길이만큼 노출된채로 구비되어 있다.
이의 볼륨회전축(200)은 그 전단의 외주연에 나사산(20)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나사산(20)이 끝나는 위치에는 볼륨회전축(200)과는 직각방향으로 고정돌기(21)가 일체로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볼륨회전축(200)에 체결되는 노브(100)는 원통형으로 구비되면서 그 후단의 중심축으로 체결관(10)이 구비되어 있고, 이의 체결관(10)의 내경으로는 전술한 볼륨회전축(200)의 나사산(20)과 나사체결되는 너트(11)가 구비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너트(1)의 끝단에는 볼륨회전축(200)의 고정돌기(21)가 삽입체결되어 고정되는 고정홈(12)이 구비되어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도면의 제3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음향기기의 전면에서 노브(100)의 체결관(10)을 볼륨회전축(200)에 나사체결하게 되면, 상기 체결관(10)의 내경에 구비된 너트(11)가 볼륨회전축(200)의 나사산(20)에 나사체결됨으로서 노브(100)가 볼륨회전축(200)에 체결되는 것이고, 계속해서 노브(100)를 완전히 조여주면 상기 볼륨회전축(200)에 일체로 구비된 고정돌기(21)가 노브(100)의 체결관(10)에 구비된 고정홈(12)에 억지끼움식으로 체결고정됨으로서 노브(100)와 볼륨회전축(200)은 일체형으로 체결이 완료되어 지는 것이다.
따라서 노브(100)를 좌회전, 또는 우회전 작동시키게 되면 이의 회전력만큼 볼륨회전축(200)이 동일하게 회전작동되어 통상에서와 같이 음량기기의 볼륨을 조절할 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구성은 음량기기의 볼륨노브에 국한 하였지만 이는 하나의 실시예에 지나지 않는 것이며, 그 어떠한 전자기기, 또는 기타 기기의 회전식 노브에 적용하여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음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그러므로 이와 같이된 본 고안은 그 구성이 지극히 간단해 지므로서 제조에 따른 경비를 대폭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게 되는 것이고, 또한 노브를 분해 및 조립시 노브를 나사식으로 조여주거나 풀어주기만 하면 손쉽게 분해 및 조립이 가능하게 되어 이에 다른 작업성도 월등히 향상되어지는 효과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효과외에도 노브가 나사식으로 체결고정됨에따라 노브를 잡고 당기거나 돌리더라도 일정한 힘 이상이 가해지지 않는 한 노브가 분리되지 않는등 그 체결력도 향상되어지는 효과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

Claims (1)

  1. 각종전자기기의 볼륨을 조절하기 위하여 전자기기의 전면에 구비되는 노브의 체결구조에 있어서, 상기 노브의 체결수단은 그 전단의 외주연에 나사산과, 이의 나사산의 내측 끝단에 일체로 구비되는 고정돌기를 갖춘 볼륨회전축을 구비하고 상기 볼륨회전축에 체결되고 원통형으로 구비되면서 그 후단 중심부에 일체로 구비되는 체결관과, 이의 체결관의 내경에 회전축에 나사체결되는 너트와, 이의 너트의 끝단에 볼륨회전축의 고정돌기가 삽입고정되는 고정홈을 갖는 노브를 구성하여 이의 노브를 볼륨회전축에 나사식으로 체결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볼륨노브 체결장치.
KR2019930029566U 1993-12-24 1993-12-24 전자기기의 볼륨노브 체결장치 KR96000306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29566U KR960003065Y1 (ko) 1993-12-24 1993-12-24 전자기기의 볼륨노브 체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29566U KR960003065Y1 (ko) 1993-12-24 1993-12-24 전자기기의 볼륨노브 체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0545U KR950020545U (ko) 1995-07-26
KR960003065Y1 true KR960003065Y1 (ko) 1996-04-13

Family

ID=193726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29566U KR960003065Y1 (ko) 1993-12-24 1993-12-24 전자기기의 볼륨노브 체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3065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0545U (ko) 1995-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07976B2 (en) Damper device
US5865582A (en) One-direction captive screw fastener
US6615688B2 (en) Integrated twist-grip switch
JP3814310B2 (ja) 磁気記録再生装置
US2658395A (en) Differential knob device
KR960003065Y1 (ko) 전자기기의 볼륨노브 체결장치
JP2003050639A (ja) 手動入力装置
US20020026864A1 (en) Ukelele tuning machine
JPS58110336A (ja) スイツチボツクスの取付構造
US2836989A (en) Control device
US4433218A (en) Electrical instrument with removable calibrating knob
US5031275A (en) Structure of the simple pivot
US5103708A (en) Gearless tuner
KR100632299B1 (ko) 무선주파수 여파기용 너트렌치 및 스크류조정부 일체형튜닝 도구
US5695140A (en) Fishing reel
US6826802B2 (en) Pivot bearing mechanism
SE525070C2 (sv) Ställdon innefattande en roterbart anordnad motor
US3175421A (en) Adjustable cam mechanism
JPS6242489Y2 (ko)
JP3377158B2 (ja) ロータリー式可変抵抗器
JP3132360B2 (ja) 操作ツマミの取付構造
JP2000100269A (ja) 電子部品用つまみ
KR930001730Y1 (ko) 축수 보유 장치
CN108032013B (zh) 焊接电源面板
KR100478273B1 (ko) 레버 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022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