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1730Y1 - 축수 보유 장치 - Google Patents

축수 보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1730Y1
KR930001730Y1 KR2019880000014U KR880000014U KR930001730Y1 KR 930001730 Y1 KR930001730 Y1 KR 930001730Y1 KR 2019880000014 U KR2019880000014 U KR 2019880000014U KR 880000014 U KR880000014 U KR 880000014U KR 930001730 Y1 KR930001730 Y1 KR 93000173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aring member
fitting hole
bearing
shaft support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8000001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16454U (ko
Inventor
다까시 야마나까
Original Assignee
다나신덴기 가부시끼가이샤
다나까 신사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나신덴기 가부시끼가이샤, 다나까 신사꾸 filed Critical 다나신덴기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to KR2019880000014U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01730Y1/ko
Publication of KR89001645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1645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173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1730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1/00Pivots; Pivotal connections
    • F16C11/04Pivotal connections
    • F16C11/12Pivotal connections incorporating flexible connections, e.g. leaf sp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liding-Contact Bearing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축수 보유 장치
제1도 내지 제5도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를 표시한 것으로써, 제1도는 축소 보유 장치의 조립 사시도.
제2도는 동 분해 사시도.
제3도는 동 축수 부분의 측면도.
제4도는 제3도의 IV-IV선에 따른 단면도.
제5도는 취부 작업의 과정을 나타낸 단면도.
제6도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를 표시한 제4도와 같은 상태도.
제7도는 종래의 축수 보유 장치의 일부를 분해한 사시도.
제8도는 동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 : 평판상의 축 지지체 22 : 감합공
23 : 일측연부 24 : 개구부
25 : 축수부재 26,27 : 차양
28 : 절결부 29 : 계합부
30 : 피계합부
본 고안은 합성수지제 축수부재를 축 지지체에 간단하게 취부하게 한 축수 보유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축수 보유 장치는 제7도 및 제8도에서와 같이 구성되어 있었다.
즉, 축 지지체 1이 서로 대향해서 설치된 지지판 2,2에 원형의 감합공 3과 나사구멍 4,4를 각각 설치함과 함께 상기 감합공 3에 감합되는 원통상의 축수부재 5의 축선방향 대략 중간부외주에 차양 6을 일체로 형성하고 이 차양 6에 상기 삼통공 7,7을 설치한다.
그리고서는, 상기 축수부재 5를 지지판 2의 감합공 3에 감합하고 차양 6의 나사 삽통공 7,7을 통해서 지지판 2의 나사구멍 4,4에 나사 8,8을 나장해서 죄므로서 5를 지지판 2에 회전 불가능하게 취부했다.
이와 같은 종래의 축수 보유장치에서는, 축수부재 5를 지지판 2에 취부하기 위해서 나사 8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나사구멍 4의 축선방향으로 드라이버가 들어갈수 있는 공간이 필요하며 좁은 장소에서 설치하는 것에는 적당치 못했다.
또, 지지판에서 축수부재가 위로 떠오르지 못하게 확실하게 고정하기 위해서는 적어도 2개 이상의 나사 8이 필요하며 다시 나사 8에는 헐거워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고화제등의 도포가 필요하여 취부작업의 성가심이라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의 사정을 감안해서 이루어진 것으로서 드라이버등의 공구나 나사등을 사용함이 없이 축수부재를 평판상의 축 지지체에 취부할수가 있으며 취부작업도 용이하고 좋은 장소에서도 원활히 설치할수가 있게 한 축수 보유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고안의 축수 보유 장치는 원형의 감합공을 설치한 평판상의 축 지지체에 그 일측연부와 상기 감합공 주연 일부와의 사이에 걸쳐서 이 감합공의 직경보다 작은 개구폭의 개구부를 설치하고 축수부재는 합성수지제로 하며 그 양단 외주에 상기 감합공의 주연부를 끼운 한쌍의 차양을 설치함과 함께 상기 축수부재의 외주에 절결부를 설치하고 이 축수부재를 이 절결부와 상기 개구부를 일치시킨 상태에서만 이 개구부를 통해서 상기 감합공에 대해서 삽탈할 수 있게 하며 상기 한쪽의 차양에 계합부, 상기 축 지지체 피 계합부를 각각 설치하여 상기 축수부재를 상기 감합공에 감합시킨후 축수부재를 특정 회동 위치까지 회동시켜서 상기 차양의 탄성변형에 의해 상기 계합부를 상기 피 계합에 계합시키므로서 상기 축수부재를 축 지지체에 대해서 회전 정지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축수부재를 소정방향을 향해서 개구부를 통해서 축지지체의 감합공에 삽입한후 축수부재를 감합공내에서 회동시켜서 한쪽의 차양을 탄성 변형시키므로서 그 계합부를 축 지지체의 피계합부에 계합시키므로서 축수부재가 축 지지체에 취부된다.
아래에 본 고안의 각 실시예를 제1도 내지 제6도에 따라서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의 축수 유지 장치의 조립 사시도, 제2도는 동 분해사시도인데 양 도면중 20은 금속판으로서 되는 평판상의 축 지지체이다. 이 축 지지체 20은 그 양단에 서로 평행한 지지판 21,21이 설치되어 있다. 이들 지지판 21에는 원형모양의 감합공 22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각 지지판 21에는 그 일측연부 23과 상기 감합공 22의 주연부일부와의 사이에 걸쳐서 상기 감합공 22의 직경보다 작은 개구폭 L1의 개구구 2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각 감합공 22에 감합되는 축수 부재 25는 탄성합성 수지제로 제3도 및 제4도에서와 같이 원통 모양을 하고 있다. 이 축수부재 25의 축수방향 양단 외주에는 차양 26,27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한쪽의 차양 26은 돌출단축이 소경인 타원형으로 되며 또한 다른쪽의 차양 27은 진원형으로 되어 있다.
이들 차양 26,27은 상기 감합공 22의 주연부를 끼도록 지지판 21의 판 두께에 상당하는 간격을 두고서 설치되어 있다.
상기 축수부재 25의 외주에는 직선상의 절결부 23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축수부재 25의 절결부 28에 직교하는 방향의 폭의칫수 L는 상기 개구부 24의 개구폭 L1보다 약간 작게 설정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축수부재 25를 그 절결부 28이 개구부 24의 일측연와 평행해지도록 소정방향으로 향하게 하므로서 이 축수부재 25가 개구부 24를 통해서 감합공 22에 대해서 삽탈할 수 있다.
상기의 한쪽의 차양 26의 돌출단측에는 원형소공으로서 되는 계합부 29가 설치되어 있다.
또 상기 지지판 21의 외면 소정위치에는 원형돌기로서 되는 피계합부 30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축수부재 25는 개구부 24를 통해서 감합공 22내에 감합한후 제5도에서와 같이 차양 26의 돌출단부를 지지판 21에서 떼어 놓은 방향으로 휘게 하면서 특정의 회동 장치, 즉 계합부 29가 피 계합부 30에 일치하는 위치까지 회동 시켜서 차양 26을 탄성 복귀 시키므로서 계합부 29와 피계합부 30를 계합 시킬수가 있으며 이로서 축수부재 25가 지지판 21를 대해서 회전 정지되게 된다.
이와 같이 해서 취부된 양 축수부재 25,25의 중심공 31,31내에 축 32가 회전 자재하게 감장된다.
다음에, 제1도에서와 같이 양 지지판 21에 축수부재 25를 취부하는 조작을 설명한다.
축수부재 25를 그 절결부 28이 개구부 24의 일측연과 평행해지도록 제2도에서와 같이 소정방향으로 향하게 한다.
이 상태에서 축수부재 25는 개구부 24를 통해서 감합공 22에 삽입한 후 이 축수부재 22내에 회동시켜 한쪽의 차양 26의 계합부 29를 지지판 21의 피계합부 30에 계합시키므로서 제1도에서와 같이 양 지지판 21에서 축수부재 25가 외전 불가능이 되어 각각 유지된다.
그리고 ,이들 양 축수부재 25의 중심공 31내에 축 32를 감삽하므로서 이 축 32가 양 축수부재 25에 지지된다.
그리고 ,상기 실시예에서는 축수부재 25의 외주의 1개소에만 절결부 28를 설치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예컨대 제6도에서와 같이 축수부재 25의 중심부를 끼고서 양측 대칭 위치에 서로 평행되게 해서 직선상의 절결부 28를 설치하더라도 본 고안은 실시 가능하다.
또, 상기 계합부 29를 돌기로 하고 피 계합부 30을 구멍으로 하여도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축수 보유 장치는 원형의 감합공을 설치한 평판상의 축 지지체에 그 일측연부와 상기 감합공 주연과의 사이에 걸쳐서 이 감합공의 직경보다 작은 개구폭의 개구부를 설치하여 축수부재는 합성 수지재로 하고 그 양단 외주에 상기 감합공의 주연부를 낀 한 쌍의 차양을 설치함과 함께 상기 축수부재의 외주에 절결부를 설치하여 이 축수부재를 이 절결부와 상기 개구부를 일치시킨 상태에서만이 개구부를 통해서 상기 감합공에 대해서 삽탈할 수 있게 하며 상기 한쪽의 차양에 계합부, 상기 축 지지체에 피 계합부를 각각 설치하여 상기 축수 부재를 상기 감합공에 감합시킨후 축수부재를 특정 회동 위치까지 회동 시켜서 상기 차양의 탄성 변형에 의해 상기 계합부를 피계합부에 계합시키므로서 상기 축수부재를 축 지지체에 대해서 회전정지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나사 및 드라이버등을 사용함이 없이 축수부재를 지지체에 취부할수가 있으므로 취부 작업이 용이하며 또한 좁은 장소에서도 원활히 설치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Claims (1)

  1. 평판상의 축 지지체에 설치된 원형감합공에 회전축을 축지하는 원통상의 합성수지체 축수부재를 감합보유시킨 축수 보유 장치에 있어서, 상기 축 지지체에 그 일측연부와 상기 감합공 주연 일부와의 사이에 걸쳐서 이 감합공의 직경보다 작은 개구폭의 개구부를 설치하며 상기 축수부재의 양단외주에 상기 감합공의 주연부를 끼운 한쌍의 차양을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축수부재를 회전 방향에서와 소정 방향으로 향하게 한 위치에 있을 때만 이 축수부재가 상기 개구부를 통과할 수 있게끔 이 축수부재의 외주에 절결부를 설치하며 상기 한쪽의 차양에 계합부를 설치하고 상기 축 지지체에 상기 감합공에 감합된 축수부재가 상기 소정방향으로 향한 위치 이외의 특정 회동위치에 있을때 상기 한쪽의 차양의 탄성 변형에 의해 상기 계합부와 계합하여 상기 축수부재를 축 지지체에 대해서 회전 정지시키는 피 계합부를 설치해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수 보유 장치.
KR2019880000014U 1988-01-05 1988-01-05 축수 보유 장치 KR93000173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00014U KR930001730Y1 (ko) 1988-01-05 1988-01-05 축수 보유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00014U KR930001730Y1 (ko) 1988-01-05 1988-01-05 축수 보유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6454U KR890016454U (ko) 1989-08-19
KR930001730Y1 true KR930001730Y1 (ko) 1993-04-12

Family

ID=192714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80000014U KR930001730Y1 (ko) 1988-01-05 1988-01-05 축수 보유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0173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6454U (ko) 1989-08-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07976B2 (en) Damper device
US5618143A (en) Spindle nut and locking device
US4863326A (en) Captive fastener
US4386812A (en) Bearing lock for a dynamoelectric machine
EP0465433A1 (en) Support for roll-up curtains
WO1999066216A1 (en) Jack-out captivated screw
US4486134A (en) Adjustable connector assembly
GB2201724A (en) Vertical access adjustable latching mechanism
US4798408A (en) Adjustable latching mechanism
US4542947A (en) Locking assembly for fluorescent lamps
US5411303A (en) Guide ring for a door knob assembly
KR930001730Y1 (ko) 축수 보유 장치
JPS63308209A (ja) ナットー保持器組立体
GB2136077A (en) Nut and bolt locking arrangement
US20050011329A1 (en) Circular saw blade mounting assembly
US4389007A (en) Manually assemblable and disassemblable sheet-feed tractor employing improved clamp assembly
US6485141B2 (en) Lens-installing apparatus for rimless eyeglasses
EP0147372A2 (en) Device for attaching a bearing in a bearing holder
JPH029590Y2 (ko)
JPS61241516A (ja) ロ−ラ軸の取付構造
JPS5935013Y2 (ja) 電気部品の取付構造
KR102252152B1 (ko) 방사형 클러치의 피치 세분화를 이용한 경사체홀더 회전각 조절장치
JPH0525509Y2 (ko)
JPH0713189Y2 (ja) 電球用ソケットハウジング
JPS6122549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6020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