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78273B1 - 레버 록 - Google Patents

레버 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78273B1
KR100478273B1 KR10-2002-0086439A KR20020086439A KR100478273B1 KR 100478273 B1 KR100478273 B1 KR 100478273B1 KR 20020086439 A KR20020086439 A KR 20020086439A KR 100478273 B1 KR100478273 B1 KR 1004782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hole
circumferential surface
coupled
cylindrical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864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59933A (ko
Inventor
이예민
Original Assignee
(주)베스트메탈라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베스트메탈라인 filed Critical (주)베스트메탈라인
Priority to KR10-2002-00864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78273B1/ko
Publication of KR200400599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599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82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8273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3/00Fastening knobs or handles to lock or latch parts
    • E05B3/06Fastening knobs or handles to lock or latch parts by means arranged in or on the rose or escutche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손잡이 레버를 회전관체인 고정유닛과 보다 편리하게 결합되게 하여 작업자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게 하는 한편, 고정유닛과 보다 안정된 상태로 견고하게 결합되게 하여 레버가 고정유닛으로부터 쉽게 분리 및 이탈됨이 방지되게 함으로써, 제품의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레버 록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레버 록{STRUCTURE OF LEVER LOCK}
본 발명은 레버 록의 개량 발명에 관한 것으로, 특히, 손잡이 레버를 회전관체인 고정유닛과 보다 편리하게 결합되게 하여 작업자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게 하는 한편, 고정유닛과 보다 안정된 상태로 견고하게 결합되게 하여 레버가 고정유닛으로부터 쉽게 분리 및 이탈됨이 방지되게 함으로써, 제품의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레버 록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레버 록은 손잡이인 레버의 볼트부를 회전관체의 내부에서 스톱링으로 고정 결합되게 하고 있었다. 그런데 이러한 경우 오랜 사용으로 스톱링이 마모되거나 레버의 볼트부의 표면이 마모되어 레버와 회전관체가 헐거운 상태로 결합 상태가 유지되는데, 레버가 심하게 흔들리게 되고, 더욱이 레버가 회전관체로부터 분리되는 등 제품의 신뢰도가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레버와 회전관체의 결합시 회전관체 내의 좁은 공간에서 스톱링이 조립되게 하는 작업이 불편하여 작업성 저하되는 등의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사정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레버와 고정유닛이 보다 편리하게 결합되게 하여 작업자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게 하고, 고정유닛과 보다 안정된 상태로 견고하게 결합되게 하여 레버가 고정유닛으로부터 쉽게 분리 및 이탈됨이 방지되게 함으로써, 제품의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레버 록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선단부에 관통된 홀을 갖는 나사원통이 형성되고, 그 외주면에 나사부가 형성되는 레버에 있어서, 원통체로, 내주면에 나사부가 형성되고, 레버의 나사원통을 향하는 면에 홀이 형성되며, 나사원통이 홀을 통해 그 내부에 위치하게 되는 고정유닛과; 원통체로, 내주면에 나사부가 형성되고, 나사원통의 나사부에 조임 되어 결합되는 제2픽싱볼트와; 낮은 높이를 이루는 원통체로, 일 측면이 개방되는 한편, 반대편 면이 막혀지게 되고, 이 면의 정중앙에 홀이 형성되며, 고정유닛의 전면에 위치하게 되는 하우징케이스와; 하우징케이스보다는 작은 직경을 이루는 한편, 동일한 형상을 이루면서 형성되고, 일 측면의 정중앙에는 수평으로 홀이 형성되며, 이 홀에 걸림턱이 동일중심을 이루면서 형성되는 한편, 하우징케이스에 내삽 되어 설치되는 스프링어셈블리하우징과; 원통체로, 앞쪽에는 스프링어셈블리하우징의 걸림턱과 대응하게 되는 걸림돌기가 형성되고, 그 후방 측의 외주면에는 나사부가 형성되어, 고정유닛의 나사부에 조임 되어 결합되는 제1픽싱볼트로 구성되는 레버 록을 제공함에 있다.
다음 본 발명을 도면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다.
도 1 및 도 2 에는 본 발명에 따른 레버 록이 도시되어 있는데, 이 레버 록 본체(100)는 레버(110)와, 고정유닛(120)과, 하우징케이스(130)와, 스프링어셈블리하우징(140)과, 제1 및 제2픽싱볼트(150)(160)로 구성된다.
상기 레버 록은 도어(도시 없음)의 안쪽(IN)에 설치되는 것과, 바깥쪽(OUT)에 설치되는 것이 있는데, 양쪽 모두 스프링어셈블리(170)가 설치되고, 스프링어셈블리(170)의 중심에는 레버스프링(도시 없음)이 설치되는 한편, 그 전방에는 스핀들(171)이 설치되며, 바깥쪽(OUT)에는 두 개 한 쌍을 이루게 되는 브래킷샤프트(172)가 설치된다. 상기 레버스프링은 후술하게 되는 레버(110)의 홀(113)의 내삽 되고, 그 전방에 상기 스핀들(171)이 설치된다.
상기 레버(110)는 "ㄱ"자의 형상을 이루는 한편, 손으로 잡기 좋은 형상을 이루면서 형성되고, 절곡된 부분의 선단부에는 관통된 홀(113)을 갖는 나사원통(111)이 형성되며, 그 외주면에는 나사부(112)가 형성된다.
상기 고정유닛(120)은 원통체로 형성되고, 내주면에는 나사부(121)가 형성되며, 레버(110)의 나사원통(111)을 향하는 면에는 도 5 도시와 같이 홀(122)이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케이스(130)는 낮은 높이를 이루는 한편, 넓은 직경을 이루게 되는 원통체로 형성되고, 일 측면이 개방되며, 고정유닛(120)을 향하게 되는 면이 막혀지게 형성된다. 상기 막혀진 면의 정중앙에는 수평으로 관통되는 홀(131)이 형성된다.
상기 스프링어셈블리하우징(140)은 상기 하우징케이스(130)보다는 작은 직경을 이루면서 형성되는 한편, 낮은 높이를 이루면서 형성되고, 일 측면이 개방되며, 하우징케이스(130)를 향하는 면이 막혀지게 형성된다. 상기 막혀진 면의 정중앙에는 수평으로 홀(141)이 형성되는데, 이 홀(141)에는 다단계의 걸림턱(142)이 동일중심을 이루면서 형성되고, 그 외주면에는 나사구멍들이 형성된다.
상기 다단계의 걸림턱(142)은 적어도 2단의 걸림턱(142)으로 형성되는데, 앞쪽에 있는 걸림턱은 뒤쪽에 있는 걸림턱보다는 더 큰 직경을 이루면서 형성되고, 앞쪽과 뒤쪽의 걸림턱은 동일중심을 이루면서 형성된다.
상기 제1픽싱볼트(150)는 수평의 홀(153)을 갖는 원형의 통체로 형성되는데, 앞쪽에는 상기 스프링어셈블리하우징(140)의 다단계 걸림턱(142)과 대응하게 되는 다단계의 걸림돌기(152)가 도 4 도시와 같이 형성되고, 그 후방 측에는 외주면에 나사부(151)가 형성된다.
상기 다단계의 걸림돌기(152)는 나사부(151)가 형성된 부분보다는 더 큰 직경을 이루면서 형성되는데, 적어도 2단을 이루면서 형성되고, 앞쪽에 있는 걸림돌기는 뒤쪽에 있는 걸림돌기보다는 더 큰 직경을 이루면서 형성되며, 앞쪽과 뒤쪽의 걸림돌기(142)는 동일중심을 이루면서 형성된다.
즉, 상기 걸림턱(142)과 걸림돌기(152)들은 각각 원형을 이루면서 형성되고, 앞쪽에 위치하게 되는 걸림돌기가 앞쪽에 위치하게 되는 걸림턱에 안착되어 걸림 되고, 뒤쪽에 위치하게 되는 걸림돌기가 뒤쪽에 위치하게 되는 걸림턱에 안착되어 결합된다.
따라서 제1픽싱볼트(150)의 나사부(151)는 스프링어셈블리하우징(140)의 홀(141)을 관통하여 위치하게 되고, 걸림돌기(152)가 걸림턱(142)에 걸림된 상태로 위치하게 되어 제1픽싱볼트(150)가 스프링어셈블리하우징(140)의 정중앙에 직교한 상태로 위치하게 된다.
상기 제2픽싱볼트(160)는 원통체로 형성되고, 내주면에는 도 3 도시와 같이 나사부(161)가 형성된다.
이렇게 구성되는 본 발명은 도 6 도시와 같이,
a)레버(110)의 나사원통(111)을 고정유닛(120)의 홀(122)을 통해 그 내부에 위치되게 하고,
b)레버(110)의 나사원통(111) 외주면에 제2픽싱볼트(160)가 결합되게 하되, 나사원통(111)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부(112)에 제2픽싱볼트(160)의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부(161)가 조임 되어 결합되게 한다.
c)이어서, 스프링어셈블리하우징(140)이 하우징케이스(130)에 중첩된 상태로 결합되게 하고, 상기 고정유닛(120)의 전면에 위치되게 하며, 제1픽싱볼트(150)를 조임 하면 1차적인 조립이 완료되는데,
d)상기 제1픽싱볼트(150)의 나사부(151)를 스프링어셈블리하우징(140)의 홀(141) 및 하우징케이스(130)의 홀(131)을 통해 고정유닛(120)의 나사부(121)에 조임 되게 하면서,
e)제1픽싱볼트(150)의 걸림돌기(152)가 스프링어셈블리하우징(140)의 걸림턱(142)에 안착되어 결합될 때까지 조임 하여 결합되게 하면 되는 것이다.
f)이러한 상태에서 상기한 스프링어셈블리(170)와 레버스프링 및 스핀들(171)이 결합되게 하면, 안쪽(IN)에 사용할 수 있는 레버록이 되고, 여기에 브래킷샤프트(172)를 더 결합하게 되면, 바깥쪽(OUT)에 사용할 수 있는 레버록이 되는 것이다.
따라서, 레버(110)는 고정유닛(120)의 내부에서 1차적으로 제2픽싱볼트(160)에 의해 고정 결합되고, 2차적으로 제1픽싱볼트(150)에 의해 결합되는 한편, 제1픽싱볼트(150)의 걸림돌기(152)가 스프링어셈블리하우징(140)의 걸림턱(142)에 안착되어 결합됨으로써, 보다 안정된 상태로 견고하게 결합되어 레버(110)가 고정유닛(120)으로부터 쉽게 분리 및 이탈됨지 방지되게 할 수 있고, 보다 편리하게 결합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첫째, 레버가 고정유닛과 보다 안정된 상태로 견고하게 결합되어 쉽게 분리 및 이탈됨이 방지되게 함으로써, 제품의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둘째, 레버를 고정유닛과 보다 편리하게 결합되게 하여 작업자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레버 록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레버 록 본체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2픽싱볼트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1픽싱볼트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유닛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주요분 단면도이다.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
100 ... 본체 110 ... 레버
111 ... 나사원통 112,121,151,161 ... 나사부
113,122, 131,141,153 ... 홀
120 ... 고정유닛 130 ... 하우징케이스
140 ... 스프링어셈블리 142 ... 걸림턱
150 ... 제1픽싱볼트 152 ... 걸림돌기
160 ... 제2픽싱볼트

Claims (2)

  1. 선단부에 관통된 홀(113)을 갖는 나사원통(111)이 형성되고, 그 외주면에 나사부(112)가 형성되는 레버(110)에 있어서,
    원통체로, 내주면에 나사부(121)가 형성되고, 레버(110)의 나사원통(111)을 향하는 면에 홀(122)이 형성되며, 나사원통(111)이 홀(122)을 통해 그 내부에 위치하게 되는 고정유닛(120)과; 원통체로, 내주면에 나사부(161)가 형성되고, 나사원통(111)의 나사부(112)에 조임 되어 결합되는 제2픽싱볼트(160)와; 낮은 높이를 이루는 원통체로, 일 측면이 개방되는 한편, 반대편 면이 막혀지게 되고, 이 면의 정중앙에 홀(131)이 형성되며, 고정유닛(120)의 전면에 위치하게 되는 하우징케이스(130)와; 하우징케이스(130)보다는 작은 직경을 이루는 한편, 동일한 형상을 이루면서 형성되고, 일 측면의 정중앙에는 수평으로 홀(141)이 형성되며, 이 홀(141)에 걸림턱(142)이 동일중심을 이루면서 형성되는 한편, 하우징케이스(130)에 내삽 되어 설치되는 스프링어셈블리하우징(140)과; 원통체로, 앞쪽에는 스프링어셈블리하우징(140)의 걸림턱(142)과 대응하게 되는 걸림돌기(152)가 형성되고, 그 후방 측의 외주면에는 나사부(151)가 형성되어, 고정유닛(120)의 나사부(121)에 조임 되어 결합되는 제1픽싱볼트(15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 록.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턱(142)과 걸림돌기(152)는 동일중심을 이루게 되는 2단계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 록.
KR10-2002-0086439A 2002-12-30 2002-12-30 레버 록 KR1004782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6439A KR100478273B1 (ko) 2002-12-30 2002-12-30 레버 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6439A KR100478273B1 (ko) 2002-12-30 2002-12-30 레버 록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8871U Division KR200308781Y1 (ko) 2002-12-30 2002-12-30 레버 록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9933A KR20040059933A (ko) 2004-07-06
KR100478273B1 true KR100478273B1 (ko) 2005-03-28

Family

ID=373518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86439A KR100478273B1 (ko) 2002-12-30 2002-12-30 레버 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7827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7996B1 (ko) 2019-04-26 2020-08-26 (주) 국영메탈 안정된 결합상태를 유지하는 도어 손잡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21210229A1 (de) * 2021-09-15 2023-03-16 Karcher Gmbh Türschließsyste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7996B1 (ko) 2019-04-26 2020-08-26 (주) 국영메탈 안정된 결합상태를 유지하는 도어 손잡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9933A (ko) 2004-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79360B1 (en) Cylindrical lock with simpler positioning assembly
US8047586B2 (en) Lock device
JP2018529892A (ja) 特に家具の側壁にシェルフを結合するための結合装置
JPH07293053A (ja) ドア錠
US5236235A (en) Concealed screw rose mounting system
US20140159392A1 (en) Concealed fastener lockset
US6979029B2 (en) Lock with increased torque-resisting capacity
KR100478273B1 (ko) 레버 록
US3930390A (en) Espagnolette lock
KR200308781Y1 (ko) 레버 록
US20040100105A1 (en) Cylindrical lock with improved resistance to torque
JP4507214B2 (ja) ドア用ハンドルの取り付け構造体
KR20070020205A (ko) 핸들 조립체 및 이 핸들 조립체를 포함하는 로크 또는 래크
JP2002242921A (ja) ボルト及びボルトとナットの組合せ
US5761937A (en) Auxiliary lock
JP3761103B2 (ja) シリンダ錠における化粧リングの交換装置
JP2012087912A (ja) 盗難防止用ボルト
US6729167B2 (en) Key safekeeping device
KR200439288Y1 (ko) 도어록의 레바 어셈블리
US6886871B1 (en) Fireproof cover for a tubular lock
EP1367198B1 (en) Lock
JP6770770B1 (ja) ドアハンドルセット
KR100534427B1 (ko) 도어록의 회전 방지 구조
JP2905197B1 (ja) 扉の施錠装置
JP3154670B2 (ja) 施錠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31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