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2290Y1 - 나선파형관용 관연결구 - Google Patents

나선파형관용 관연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2290Y1
KR960002290Y1 KR2019910000702U KR910000702U KR960002290Y1 KR 960002290 Y1 KR960002290 Y1 KR 960002290Y1 KR 2019910000702 U KR2019910000702 U KR 2019910000702U KR 910000702 U KR910000702 U KR 910000702U KR 960002290 Y1 KR960002290 Y1 KR 96000229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spiral
tube
spiral wave
circumferential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1000070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18515U (ko
Inventor
시로오 가나오
Original Assignee
시로오 가나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로오 가나오 filed Critical 시로오 가나오
Publication of KR91001851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1851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229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2290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5/00Constructive types of pipe joi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16L13/00 - F16L23/00 ; Details of pipe joi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electrically conducting or insulating means
    • F16L25/0036Joints for corrugated pipes
    • F16L25/0063Joints for corrugated pipes with two corrugated pipes being directly connected to each other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나선파형관용 관연결구
제1도는 본 고안의 분해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관연결구의 중앙 종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중앙종단면도
제4도는 및 제5도는 제3도의 IV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단면도
제6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중앙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2 : 양단부분 1a, 2a : 주면
3 : 중앙부 8 : 수밀성 실(seal)
9 : 섬유체 10 : 흡수팽창성 수지분말
A : 관연결구본체 Kl,K2: 접속하고자 하는 나선파형관
본 고안은 관연결구를 접속하는 접합면이 나선파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나선파형관의 접속에 사용되는 관연결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수밀성실(seal)을 갖는 구조로 된 관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접속하고자 하는 나선파형관과 관연결구 사이를 밀봉하는 종래의 수단으로는 여러수단이 강구되어 왔으나 그 대부분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경화하는 퍼티(putty)등의 유동성 실런트(sealant)를 관과 관연결구 사이의 접촉면에 도포 또는 개재시키거나 혹은 테이프형 밀착밀봉재를 접촉면의 외주부에 돌려감는 수단이 일반적이었다.
그러나 이들 종래의 일반적인 밀봉수단으로는 내압성이 불충분하여 밀봉효과가 불확실할 뿐 아니라 접속조작에 장시간을 필요로 하는 문제를 지녔다.
본 고안의 목적은 이들 종래의 관연결구가 지녔던 문제점을 해결하는 겻을 목적으로 하여, 수밀성이 우수하며 또한 나선관들의 접속작업을 간단용이하게 할 수 있고 접속조작 시간을 대폭 단축할 수 있는 수밀성실의 확실한 관연결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 접속대상 나선관의 종류나 나선파형관의 현상자체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종래의 수밀성 실로는 특히 곤란했던 나선파형관의 접속에 우수한 특성을 갖는 관연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성을 제1도 내지 제6도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나선파형관용 관연결구는 접속하고자 하는 2개의 나선파형관(Kl)(K2)의 관말단들을 접속하는데 사용하는 관연결구로서, 관연결구 본체(A)의 전길이 전체에 혹은 중앙부(3)를 제외한 양단부분(1)(2)에 나선파형 형상으로 형성되며, 이 연결구 본체(A)의 전길이 전체에 흑은 나선파형 형상으로 된 양단부분(1)(2)의 내주면(la)(2a)이나 외주면에 섬유제 시트소재를 구성하는 섬유체(9)에 흡수팽창성 수지분말(10)을 골고루 분포시킨 상태로 부착시킨 수밀성 실(8)을 주면(la)(2a)에 형성시킨 구성으로 한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나선파형관용 관연결구는 상술한 바와같은 구성으로 된 것이기 때문에 나선상으로 형성된 관끼워맞춤용 단부에 접속하고자 하는 관의 단부를 나사식을 돌려서 삽입하거나 관끼워맞춤용 단부가 접속하고자하는 관의 외부에 덮히도록 끼워넣으면 된다.
이와같이 하여, 예를들면 지중에 관을 매설했을 경우 접속부 근처의 지하수등을 흡수하여 팽창하는 성질을 갖는 수지분말이 수분을 흡수하여 그 용적을 수십배 내지 수백배까지 증대시켜 접속부분 사이의 작은 간격을 완전히 메꾸게 되어 수밀성을 발휘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중 제1도 내지 제5도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이 실시예에 도시한 관연결구 본체(A)는 접속하고자 하는 나선파형관(Kl)(K2)의 관단부가 끼워지는 형식의 관연결구로서, 중앙부(3)를 형성하는단통(短筒)과 좌우양단부분(1)(2)을 형성하는 관단부를 각각 합성수지재료로 형성한 후 이들을 둘레방향으로 회전하지만 축선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연결하여 일련의 통체로 형성한 것이며, 이들이 내 양단부분(1)(2)의 단관의 중앙부(3)와 연결부분을 제외한 그 나머지 부분의 내주면(la)(2a)의 형상을 접속하고자 하는 나선파형관(Kl)(K2)의 외주 나선파형과 같은 형태로 형성하고 있으며, 한쪽 단관부분(1)은 단면이 사다리꼴 모양의 나선요철 돌기를 구비한 형상으로 하고 있으며, 다른쪽 단관부분(2)은 단면이 반원형인 나선요철돌기를 구비한 형상으로 하고 있다. 그리고, 이들 각각의 중앙부(3)측 단부에는 각각 단면이 톱니형인 플랜지형의 외향돌조(4)를 2개씩 형성하고 이것이 중앙부(3)의 내주면에 형성한 단면이 같은 톱니형인 좌우 2개씩의 환상요입부(5)에 탄발적이며 사실상 거의 벗겨지지 않은 상태로 결합된 구조로 하고 있다.
또 이들 양단부분(1)(2)의 일단부로 부터 도려내어 형성한 축선방향의 홈(slit.6)은 상술한 탄발적으로 끼우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이며, 양자간의 미끄럼 접촉면에는 돌조(4)와 나선파형부와의 사이에 환상요홈(7)이 형성되고, 그 홈내에 0링이 끼워넣어져 밀봉되는 구조로 하고 있다.
이와같은 구조로 한 관연결구본체(A)의 중요한 구성요건은, 본 실시예에서는 제1도에 도시한 폴리아미드 단섬유(polyamide)로 되는 부직포를 구성하는 섬유체(9)가 수밀성 실(8)의 주체로 구성되어 양단부분(1)(2)의 내주면(la)(2a)에 점착되어 있는 점에 있다. 이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실(8)은 해당 섬유체(9)의 표면 및 각섬유의 간격에 물을 흡수하여 팽창하는 성질을 갖는 수지분말(10)을 부착하여 유지시키며, 예를들면 장방형으로 절단한 후 제1도에 도시한 화살표(Y)(Y') 방향으로 감아서 2점쇄선(S)과 같이 원통형으로 하고 그 외면이나 혹은 양단부분(1)(2)의 내주면(la)(2a)에 적절한 접착제를 도포한 후 이들 단관부(1)(2)의 내부로 화살표(T) 방향으로 삽입하여 이들 단관부(1)(2) 내주면의 둘레방향으로 전 둘레에 걸쳐 접착시킨 구조로 하고 있다.
여기서 말한 gmq수 팽창성 수지분말(1)은 비닐알콜, 알킬산공중합체를 주성분으로 한 고흡수성 폴리머(polymer)(예를들면, 스미카겔 S-50, 등륵상표. 일본국 스미토모화학공업주식회사 제품)를 사용한다. 이 폴리머는 수분을 흡수하는 것에 의해 직경이 약 8배로 팽창되며, 용적이 약 500배로 비가역적으로 팽창하는 성질을 갖는 것이다.
이 흡수팽창성 수지분말(1O)의 예로서는 그밖의 초산비닐이나(무수) 말레산(malelcacid)등을 코모노머(co-monomer)로한 코폴리머(co-polymer)를 들수 있으며, 이들이 자중의 수십배 내지 수백배, 경우에 따라서는 수천배에 달하는 양의 물을 흡수하여 그 흡수량에 따른 배율로 팽창할 수 있는 것이며, 일단 흡수팽창하면 배수가 되지않고 흡수팽창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다.
이들 섬유체(9) 및 수지분말(10)은 공기중 및 땅속에 서식하는 세균의 침입을 받지않는 성질의 것으로 하는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섬유체(9)로서는 부직포, 직포, 편물 등 어느것이라도 괜찮으며, 부직포의 경우에는 gnpf트(feIt)등과 같이 단섬유 부직포나 혹은 스판본드등으로 일컬어지는 장섬유 부직포나 어떤 겻이든 개의치 않으며, 내수성이 있는 섬유이며 또한 상기 흡수팽창 수지분말(10)을 잘 유지할 수 있고, 이 수지분말(10)이 흡수팽창에 따라 외관의 두께가 충분히 증대할 수 있는 느슨한 조직의 것이 바람직하다.
제2도 및 제3도는 상기와 같이 수밀성 실(8)을 점착한 본 고안의 관연결구 본체(A)의 단면을 도시한 것으로서, 단면이 사다리꼴형의 나선요철돌기를 갖는 좌측나선파형관(Kl)의 단부를 좌측단부분(1)내로, 그리고 단면이 원호형인 단부를 우측단부분 (2)내로 양단부분(1)(2)을 각각 회전시켜서 끼운 상태를 도시한다. 이 수밀성실(8)은 강하고 견고하게 각 단부분(1)(2)의 내주면(la)(2a)에 점착되어 있기 때문에 끼움조작시 마찰력에 의해서 박리되거나 위치가 어긋나지 않는다. 또 수지분말(10)도 섬유체(9)에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마찰면에 직접 접촉하는 부분을 제외하고는 탈락하거나 이동하는 일은 없다.
그리고 제3도의 IV부분을 확대하면 제4도와 같으며 수지분말(10)을 유지한 다수의 섬유체(9)..... 사이에는 상당한 간격을 두고 있다. 이 상태는 관(Kl)(K2)을 접속한 상태이며, 이 상태는 연결구 본체(A)와 관(Kl)(K2)의 접속이 완료된 때에도 유지된다 . 그리고 예를들면 이 상태로 관을 지중에 매설하면 관연결구 근처에 존재하는 땅속의 수분이 제3도에 도시한 화살표 W1와 같이 관(Kl)(K2)의 외주면과 관연결구 본체(A)의 양단부 사이의 경계면에 침입한다. 관내로 침수된 때에는 관내의 물이 화살표 W2와 같이 해당 경계면으로 침입하고 침입한 물은 제5도와 같이 흡수팽창성 수지분말(10)에 의해 흡수되고 분말(10)은 흡수(吸水)하여 수십배또는 수백배로 팽윤(澎潤) 팽창한다.
이와같이 하여 흡수팽창한 수지분말(10)은 제5도에서와 같이 분명하게 연결구의 양단부분(1)(2)의 내주면(la)(2a)과 접속되는 나선파형관(Kl)(K2)의 외주면 사이에 형성된 간격에 가득 팽창하여 충만되고 그 이후에는 이 간격으로 물 혹은 다른 액체가 침투하여 통과하고자 하더라도 그것을 저지하여 완전한 수밀실 상태를 유지한다. 측정결과에 따르면, 관내의 수압이 4㎏/㎠까지 물의 누출은 일어나지 않았다. 종래의 경우에 내압성이1.5㎏/㎠정도 이었던 것과 대비하면 지나치리만치 충분한 차수성이 얻어진다.
이 상태에서는 섬유가 이 간격의 두께 방향전체로 동일하게 분산되어 일종의 FRP힝상의 조직을 나타내고 있으므로 팽창하여 서로 점착된 수지분말 입자가 섬유군에 의해 보강된 상태로 되며, 이 접속부위에 가해지는 진동등에 의해서도 이 수밀실은 쉽게 파괴되지 않는다.
본 고안에서 설명한 관연결구의 수밀성 실(8)이 형성되는 주면은 내주면일 경우도 있고 외주면일 경우도 있다. 그것은 관연결구의 관말단 끼움용 양단부분(la)(2a)이 상기 실시예와 같이 접속하고자 하는 관의 외주면바깥으로 씌워지는 구조이거나 혹은 접속하고자 하는 관속으로 삽입되는 구조중 어느 구조냐에 따라서 결정될 사항이다.
제6도에 도시한 실시예는 후자의 경우인 관연결구의 외주면에 수밀성 실(8)이 형성되어 있는 실시예에 대해서 도시한 것으로서, 관연결구 본체(A)의 구조는 상기 제1실시예에 나타낸 중앙부(3)를 한쪽(도면에서 좌측)단부(1)와 일체화한 구조로 하고, 이 중앙부(3)와 다른쪽 단관부(2)를 상기 제1실시예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상대적인 회전만을 자유롭게 하여 연결한 구조로 한 것이다.
그리고 좌우 양단부분(1)(2)의 파형부분 외주면에 수밀성 실(8)을 그 둘레방향으로 전둘레에 걸쳐 점착 형성하고 있는 구조로한 것이다.
이상 설명한 본 고안에 의한 관연결구의 실시에 있어서는 여러가지로 개량 또는 변형을 제한하지 않는다. 예를들면 관연결구 본체(A)를 중앙부(3)와 양단부분(1)(2)를 제작할때부터 일련의 단일 나선파형체로 실시하여도 좋고, 대구경의 나선파형관과 소구경의 나선파형관을 연결하기 위해 나선파형 형상으로된 양단부분(1)(2)의 내경 또는 외경을 크고 작게 서로 다른 직경의 것으로 형성하여도 좋으며, 또 2방향 연결구 대신에 T자형의 3방향 연결구로 하거나 +자형의 4방향 연결구로 하여 실시할 수도 있다. 그리고 수밀성 실(8)을 어느 한쪽은 내주면에 형성하고, 다른쪽은 외주면에 형성하거나 또는 관연결구 본체(A)나 나선파형관(Kl)(K2)을 형성하는나선파형의 정상부 및 요입부 2곳에 또는 정상부나 요입부의 어느 한곳에 수밀성 실(8)을 형성하여도 좋다.
본 고안에서 설명한 실시예는 본 고안의 구조적인 구성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본 고안에서 언급한 구성요건을 구비하며 또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여 다음에 설명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범위내에서 적절히 개조변경하여 실시할 수가 있는 것이다.
이상의 설명에서 분명하게 알 수 있듯이 본 고안의 나선파형관용 관연결구는 특히 종래의 수밀성 실 작업이 어려우며 완전한 실상태를 보증하기 곤란한 나선파형관에 있어서도 그 관말단을 나사식으로 돌려서 끼우는 아주간단하고 신속한 작업만으로 확실하며 거의 자동적으로 내압성이 우수한 관의 수밀성 실 접속을 시행할 수가 있고 관 접속조작의 능률향상과 작업의 용이화를 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물을 흡수하여 팽창된 수밀성 실을거쳐 연결구의 양단부가 피접속관을 바싹 얽어묶기 때문에 사용중의 진동이나 충격등에 의해서 접속부분의 나사식 결합이 풀릴 우려가 없이 장기간에 걸쳐 확실한 수밀효과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Claims (1)

  1. (2회정정) 접속하고자 하는 2개의 나선파형관(Kl)(K2)의 관말단들을 접속하는데 사용하는 관연결구에 있어서, 연결구 본체(A)의 양단부분(1)(2)이 나선파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이 연결구 본체(A)의 전길이 혹은 나선파형 형상으로 형성된 양단부분(1)(2)의 내주면(la)(2a)이나 외주면에 섬유제 시트소재를 구성하는 섬유체(9)에 흡수팽창성 수지분말(10)을 골고루 분포시킨 상태로 부착시킨 시트형 수밀성 실(8)이 상기 주면(1a)(2a)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선파형관용 관연결구.
KR2019910000702U 1990-04-25 1991-01-18 나선파형관용 관연결구 KR960002290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90044716U JPH089510Y2 (ja) 1990-04-25 1990-04-25 螺旋波形管用の管継手
JP2-44716 1990-04-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8515U KR910018515U (ko) 1991-11-29
KR960002290Y1 true KR960002290Y1 (ko) 1996-03-19

Family

ID=126991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10000702U KR960002290Y1 (ko) 1990-04-25 1991-01-18 나선파형관용 관연결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H089510Y2 (ko)
KR (1) KR960002290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98448A (ja) * 2006-01-25 2007-08-09 Furukawa Electric Co Ltd:The らせん波付き管用管継手
JP2009168213A (ja) * 2008-01-18 2009-07-30 Furukawa Electric Co Ltd:The 継手
JP6134252B2 (ja) * 2013-11-06 2017-05-24 タイガースポリマー株式会社 管継手およ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47789U (ko) * 1986-03-13 1987-09-18
JPH01303395A (ja) * 1988-06-01 1989-12-07 Sekisui Chem Co Ltd リブ付管と管継手との接続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43189U (ko) 1992-01-13
JPH089510Y2 (ja) 1996-03-21
KR910018515U (ko) 1991-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28310B1 (en) Method of preventing water leakage with waterproof seal
KR960002290Y1 (ko) 나선파형관용 관연결구
US4946206A (en) Bidirectional corrugated pipe-rib seal
US3179445A (en) Pipe joint spacer member
JP2001221390A (ja) コルゲート管の接続構造
KR102632634B1 (ko) 파이프 연결용 고정 캡 조립체 및 이음관
JP4413554B2 (ja) 配管ボックスにおける管体接続構造
JPH0444589U (ko)
KR0140708Y1 (ko) 파형관용 관연결구
JPS6136840Y2 (ko)
CN112145832B (zh) 管道表面能防渗接口结构
JPH1060413A (ja) パッキンおよびそれを用いた止水方法
JP4785086B2 (ja) 配管ボックスにおける管体接続方法
JP4234404B2 (ja) 管継手および管継手による接続方法
JPH0225036Y2 (ko)
KR0140139Y1 (ko) 흄관연결용 패킹
JPS5828313A (ja) ヒユ−ム管の接続方法
JP2004332895A (ja) 管継手
KR0126258Y1 (ko) 흄관 연결용 패킹
JP2000074278A (ja) コルゲート管の水密接続構造
JPH02154886A (ja) 複合管接続用パッキン
JPS626392Y2 (ko)
JPS6244443A (ja) 可撓性膜材製起伏堰
JPH09241619A (ja) 止水、漏水防止テープ
JPS6231465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