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2133B1 - 통합 몰드된 케이블 종단 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통합 몰드된 케이블 종단 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2133B1
KR960002133B1 KR1019870009307A KR870009307A KR960002133B1 KR 960002133 B1 KR960002133 B1 KR 960002133B1 KR 1019870009307 A KR1019870009307 A KR 1019870009307A KR 870009307 A KR870009307 A KR 870009307A KR 960002133 B1 KR960002133 B1 KR 9600021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cable
electrical
contactor
cable termin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093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03456A (ko
Inventor
앨런 프리첼 데이비드
Original Assignee
미네소타 마이닝 앤드 매뉴팩츄어링 컴패니
도날드 밀러 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네소타 마이닝 앤드 매뉴팩츄어링 컴패니, 도날드 밀러 셀 filed Critical 미네소타 마이닝 앤드 매뉴팩츄어링 컴패니
Publication of KR8800034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34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21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21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01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connecting unstripped conductors to contact members having insulation cutting edg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9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65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
    • H01R12/67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 insulation penetrating terminals
    • H01R12/675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 insulation penetrating terminals with contacts having at least a slotted plate for penetration of cable insulation, e.g. insulation displacement contacts for round conductor flat cab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ulti-Conductor Connections (AREA)
  • Manufacturing Of Electrical Connectors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통합 몰드된 케이블 종단 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종단 조립체의 측면도.
제2도 및 3도는 각기 제1도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본 케이블 종단 조립체의 평면도 및 저면도.
제4도는 제1도의 화살표 4-4의 방향으로 본 단부단면도.
제5도는 제1도의 화살표 5-5의 방향으로 본 접촉자가 생략된 제1도의 케이블 종단 조립체의 단면도.
제6도는 제2도의 화살표 6-6의 방향으로 본 부분측단면도.
제7도는 케이블 종단 조립체의 카바의 단부도.
제8도는 도면의 우측부분이 절개된 케이블 종단 조립체의 카바의 측면도.
제9도 및 10도는 각기 각각의 화살표 방향으로 본 제8도의 카바의 평면도 및 저면도.
제11도는 제9도의 화살표 11-11의 방향으로 본 카바의 단부도.
제12도는 제8도의 화살표 12-12의 방향으로 본 카바의 단부도.
제13도는 본 발명의 케이블 종단 조립체에서 사용하기 위하여, 전기접촉자가 분리 캐리어 스트립에서 지지되도록 도시되어 있는 전기접촉자의 정면도.
제14도 및 15도는 각기 각각의 화살표 방향으로 본 제13도의 접촉자의 좌측 및 우측 단부도.
제16도 및 17도는 각기 각각의 화살표 방향으로 본 제13도의 접촉자의 평면도 및 저면도.
제18도는 제13도의 접촉자의 배면도.
제19도는 제9도의 도시와 유사할 뿐만 아니라 장착된 전기접촉자의 상부 단면도를 도시하는 카바의 확대부분 평면도.
제20도는 장착된 접촉자중 하나가 삽입된 핀접촉자에 의해 탄성변형되는 카바의 확대단면도.
제21도 및 22도는 각기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종단 조립체들을 제조하기 위한 몰딩장치의 부분 개략 정면도 및 단부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케이블 종단 조립체 11 : 케이블 종단부
12 : 평판형 리본 케이블 13 : 전기도선
14 : 케이블 절연체 15 : 전기접촉자
16 : 캡 17 : 변형 경감 본체
21 : 접합부 24 : 각도지시기
27 : 접촉영역 30 : 위치설정영역
31 : 랜드지지부 40 : IDC 단자부분
44 : 캔티레버 접촉부분 45 : 캐리어 스트립
70 : 몰딩장치 80 : 핀접촉자
본 발명은 상호 전기접속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통합 몰딩을 이용한 전기접속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특히 대량 종단 접속기 분야에 적합하다.
케이블 등에 대한 전기접속기 혹은 상호 전기접속장치 분야에 있어서, 케이블 종단부란 용어는 통상 다른 접속기, 케이블 종단부, 프린트회로기판 따위와 같은 단일 외부부재나 혹은 복수의 외부부재에 그 단일도선이나 혹은 복수의 도선을 접속시키기 위하여 케이블의 단부 또는 중간부분에서 사용되거나 혹은 사용될 수 있는 접속기를 의미한다. 이러한 외부부재는 보통 다른 전기장치, 회로 등의 일부분이거나 혹은 적어도 그 일부분에 접속될 수 있는데, 그 목적은 각각의 회로, 라인, 도선 등을 전기적으로 상호 접속시키는 것이다. 케이블 종단 조립체는 통상 케이블 종단부와 전기케이블의 조합부로서 지칭된다. 때때로, 케이블 종단부와 케이블 종단 조립체란 용어는 경우에 따라 등가적으로 상호 변경된다.
본 발명은 하기에서 다중도선 케이블 종단 조립체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이와같은 케이블 종단 조립체는 다중 도선 케이블, 예컨대 평판 리본형 다중도선 케이블(또는 다른 전기케이블)을 상술한 외부부재에 접속하는데 사용된다. 실제케이블 종단부는 소켓이나 혹은 암 접속기형 구조체, 카드 에지 접속기의 구성과, 그리고 이미 잘 알려진 다른 구성 뿐만 아니라 앞으로 개발될 수 있는 구성을 취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원리는 단일도선만을 가진 케이블이나 혹은 하나 이상의 도선을 가진 케이블 조립체에도 사용될 수 있다.
다중도선 전기케이블 종단 조립체들은 종단부 및 케이블의 여러가지 부품들을 적절히 고정시키기 위한 종단부의 기계적 클램핑을 포함하는 기계적 조립을 필요로 하는 비조립된 구성으로 상용화되고 있으며, 또한 미리 조립되어 몰드된 통합 구조 조합부로서도 사용화되고 있다. 이러한 케이블 종단 조립체들의 실례들이 각기 미합중국 특허 제3,444,506호 및 제4,030,799호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특허들에 개시된 기술에 있어서, 케이블의 각 도선들과 더불어 접촉자의 접합부 또는 접속부는 각각의 도선과 맞물리도록 케이블 절연체를 관통하는 접촉자의 일부분에 의해 형성된다. 이러한 접속부는 절연변위 접속부(IDC)로서 지칭된다.
불행하게도 먼지, 부식 따위에 기인한 IDC 접합부의 오염은 접합부에 고임피던스, 개방 회로 등을 초래하여 좋지 못한 영향을 미친다. 기계적으로 조립된 유형의 종래 케이블 종단부는 특히 그러한 결과에 많은 영향을 받는다. 그리고 직접 몰드된 케이블 종단 조립체는 케이블 도선 및 접촉자의 몰드된 용접 밀폐부나 혹은 그 접합부를 둘러싼 주변 용접 밀폐부 때문에 오염에 대한 영향을 덜 받는다. 이와같은 직접 몰드된 케이블 종단 조립체들의 실례들은 상기한 미합중국 특허 제4,030,799호에 개시되어 있다.
기계적으로 조립된 케이블 종단 조립체와 직접 몰드된 케이블 종단 조립체 양자의 공통적인 특징은 요구되는 단일 조립단계나 혹은 복수의 조립단계와 그리고 분리 부분의 조립이다. 이들은 노력과 시간소모가 크므로 비교적 값비싸다. 예컨대 기계적으로 조립되는 장치들은 그것의 조립단계에 뒤따르는 여러가지 부품의 개별적 몰딩을 필요로 한다. 상술한 미합중국 특허 제4,030,799호의 직접 몰드식 장치에서도, 거기에 도시된 소켓 접속기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개별적으로 몰드되는 카바를 제공하여, 그것을 접촉자상에 장착한 다음, 초음파 용접에 의해 몰드된 베이스에 고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와같은 기계식 조립체 및 용접단계들과 그리고 부수적인 비용을 최소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중 용접단계들을 제거하는 것은 용접부가 저강도의 영역이기 때문에 가장 바람직한데, 용접의 확실한 성공을 돕기 위해서는 대개 비교적 값비싼 순수 플라스틱 물질로 접속기의 여러 부분을 제조하는 것이 필요하다.
수접촉자 및 암접촉자와 같은 몇가지 유형의 전기 접촉자들은 전기 접속기에 유용하게 사용된다.
수접촉자나 암접촉자를 사용한 접속기나 혹은 케이블 종단부는 각기 수접속기 혹은 암접속기의 범주에 속한다. 통상의 수접촉자의 일례는 핀접촉자로서 알려진 것이다. 상기 핀접촉자는 보통 암접촉자에 비해 꾸불꾸불하지 않은 비교적 경질의 곧은 부재이다. 핀접촉자는 종종 전기 접속부를 형성하기 위하여 암접촉자내에 삽입되며, 때때로 프린트 회로 기판내의 호올에 삽입되어 기판상의 프린트 회로와 접속하게끔 적소에서 납땜된다. 수접촉자의 다른 실례는 에지보오드 접속기 따위가 접속될 수 있는 프린트회로상의 프린트회로트레이스 또는 부분이다. 암접촉자는 캔티레버형, 포오크형, 박스형, 탄성와이핑형, 활꼴형 등으로 될 수 있다. 보편적으로 암접촉자는 비교적 탄력적이며 수접촉자에 비해 비교적 꾸불꾸불하다. 수접촉자 및 암접촉자가 서로를 향해 이동되거나 서로에 대해 삽입될때는 대개 수접촉자와의 맞물림에 따라서 암접촉자의 어떤 변형이 초래되며, 종종 그들간에 전기접속부를 형성하게끔 이동될때 서로에 대한 접촉자들의 와이핑(wiping)이 있다.
상술한 미합중국 특허 제4,030,799호에는 때때로 삽입 몰딩으로서 지칭되는 몰딩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이와 같은 삽입 몰딩 방법의 경우에는, 전기접촉자들이 몰드부내에 배치되며, 다중도선 케이블이 접촉자 및 몰드부에 대응해서 배치되고, 그 몰드부는 케이블 도선들과 접촉자들의 IDC 접속부를 형성하고 몰드공동을 폐쇄시키기 위해서 폐쇄되며, 그 다음에는 몰딩 물질이 상기 몰드부내로 주입된다. 상술된 포오크 접촉자는 일반적으로 그 주요범위가 2가지 방향 또는 크기(높이 및 폭)이내에 있고 그 두께가 비교적 적은 평판형 접촉자인데, 이러한 특성은 삽입 몰딩에 특히 유용한 포오크 접촉자를 형성한다.
다른 유형의 전기접촉자는 3차원 접촉자로서 지칭된다.
그 일례는 미네소타 마이닝 앤드 매뉴팩츄어링 컴패니에 의해 양도된 때때로 Hi-Rel형 접촉자로서 지칭되는 몇가지 접속기내에서 사용되는 접촉자이다. 이러한 접촉자는 역전식 U자 형상을 갖는다. U자 형상의 한쪽 렉(leg)은 접촉자의 기저부분에 접속되고, 이 기저부분은 IDC 부분에 접속된다. U자 형상의 다른쪽 렉은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한 캔티레버 접촉부분을 형성하게끔 제1렉과 기저부 바깥으로 구부러진다. 상기 접촉자는 대개 핀접촉자가 캔티레버 아암 또는 접촉부분과 맞물리도록 삽입될 수 있는 소켓, 셀 또는 쳄버쪽에 배치된다. 이러한 3차원 접촉자에는 여러가지 장점이 있는데, 예를 들자면 삽입된 핀접촉자를 맞물리게 할 수 있는 비교적 큰 표면과 그리고 초과응력이 없이도 캔티레버 접촉부분의 큰 사행(bend)능력을 허용하는 비교적 큰 컴플라이언스(compliance) 인자를 포함한다는 것이다.
본 발명은 삽입몰딩 기술, 케이블 종단부 및 조립체들의 장점, 특징 및 구성을, 기계적 조립된 종단부 및 조립체의 장점, 특징 및 구성과, 특히 3차원 접촉자와 병합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케이블 종단 접촉자 및 케이블 도선간의 다중도선 케이블 종단 조립체 접합부와, 상기 접촉자를 적어도 초기적으로 지지하는 하우징 카바 또는 캡(때때로 지지본체로서 약칭됨)과, 그리고 적어도 케이블, 접촉자, 그 접합부 및 카바의 일부분에 직접 몰드된 변형 경감 본체가 구비된다.
상기한 병합은 접촉자의 작동(접촉)부분이 배치된 카바내 셀을 차단시키도록 케이블 종단 조립체의 접촉자와 카바 또는 캡 사이의 협동관계를 이용함으로써 가능해진다. 이러한 차단기능은 변형 경감 본체가 카바, 접촉자, 접합부 및 케이블에 직접 몰드될 수 있게 한다.
이와같은 케이블 종단 조립체의 접합부는 몰드된 변형 경감부가 접촉자 및 케이블이 비교적 고정된 위치내에 유지되는 것을 보장하므로 고정적이며 ; 상기 접촉자 및 케이블 도선의 접합부는 접속부의 효율성 또는 전도성을 손상시킬 수 있는 오염을 방지시키기 위해 변형 경감 본체내에서 용접밀폐된다. 이 변형 경감본체는 케이블, 접촉자 및 카바를 강한 케이블 종단 조립체를 제공하는 통합 구조체로서 단단하게 유지시킨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케이블 종단 조립체를 제조하는 방법은 카바 또는 하우징내에 하나 이상의 접촉자들을 초기 지지하는 단계와, 상기 접촉자들과 각 케이블 도선들간에 접합접속을 실시하는 단계와, 적어도 케이블, 접촉자 및 카바 또는 하우징 부분에 변형 경감부를 직접 몰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중요하게는 상기 접촉자들은 몰딩 공정동안 몰딩물질이 적어도 카바의 일부분내에 인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차단기능을 제공하기 위하여 카바와 협동하는 부분을 갖는다. 이러한 차단 특징은 접촉자의 몰드-인 단부를 작동 또는 접촉단부로부터 격리시킨다.
아울러, 접촉자는 다수의 개선점을 포함하는데, 예를 들자면 핀접촉자의 케이블 종단 조립체내로의 초과삽입을 방지하는 것과 그리고 접촉자 및 케이블 도선의 접합부에 인가되는 응력을 최소화하도록 힘을 분산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여러가지 특징들은 전기접속기, 주로 케이블 종단부 또는 케이블 종단 조립체에서는 물론 다른 전기접속부에서도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은 단일도선 케이블의 도선을 외부 부재에 상호 접속하거나 혹은 다중도선 케이블 또는 케이블 조립체의 다수의 도선을 각각의 외부부재에 접속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원래 여기에 기술된 바와같은 암접촉자, 소켓 접속기, 카드에지 접속기에 유용하다 ; 그러나, 본 발명의 원리는 암접촉자 이외의 다른 접촉자는 물론 다른 접속기에도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특징은 적어도 하나의 전기접촉자와, 이 접촉자를 적어도 초기적으로 지지하는 지지본체와, 통합 구조체를 형성하기 위하여 접촉자 및 지지본체의 적어도 일부분에 직접 몰드된 변형 경감 본체를 포함하는 전기접속기에 관한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의 이러한 특징과 부합하는 다른 특징은 케이블 종단 조립체를 형성하기 위해 접속기를 갖는 전기케이블의 사용을 포함하는데, 변형 경감 본체는 접촉자, 케이블, 및 지지본체의 적어도 일부분에 직접 몰드된다.
본 발명의 제2특징은 전기접속기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이러한 방법은 접속기의 지지본체 부분내에 전기접촉자를 배치하는 단계와, 변형 경감 본체를 적어도 접촉자 및 지지본체의 일부분에 직접 몰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데, 상기 몰딩단계는 또한 지지본체에 대하여 차단기능을 제공하도록 접촉자의 적어도 일부분을 사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와같은 차단기능은 바람직하게 접촉자 및 지지본체의 협동관계에 의해 달성된다. 아울러, 이러한 특징과 부합하는 추가의 특징은 접촉자부분과 전기케이블 사이에 IDC 접속을 실시하는 단계와, 또한 접촉자 및 케이블 도선의 접합부를 포함하는 케이블의 적어도 일부분 둘레에 몰딩물질을 둘러싸는 몰딩단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3특징은 IDC 부분, 접촉부분 및 이들 부분간의 지지 오프셋부를 가진 적어도 하나의 전기접촉자와, 이 접촉자를 적어도 초기적으로 지지하고, IDC 부분의 도선에 대한 IDC 접속동안과 또한 바람직하게는 지지본체, 케이블 및 접촉자에 대한 변형 경감 본체의 몰딩동안에도 상기 지지 오프셋부를 양호하게 지지하도록 지지 오프셋부와 협동하기 위한 랜드를 가진 상기 지지본체를 포함하는 케이블 종단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4특징은 케이블 종단 조립체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이러한 방법은 IDC 부분, 접촉부분 및 이러한 부분사이에 지지 오프셋부를 가진 전기접촉자를 조립체의 지지본체 부분내에 배치하는 단계와, 전기도선과 IDC 부분의 IDC 접속을 실시하는 동안 지지본체 부분의 일부분에 의해 지지 오프셋부를 지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전 2개 절의 특징들과 관련된 제5특징은 조립체의 접촉자, 접합부 및 지지본체 부분에 변형 경감 본체를 직접 몰딩하여 통합 구조체를 형성하고 또한 바람직하게는 접합부 둘레에 용접 밀폐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6특징에 따르면, 전기접촉자는 그것과 맞물리도록 배치된 외부부재와 비교적 비영구적으로 전기접속하기 위한 접촉부분과, 외부부재와 전기도선이 접촉자를 통해 전기적으로 상호 접속될 수 있게끔 전기도선과 비교적 영구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단자부분과, 그들의 결합을 위한 접촉부분과 단자부분간의 오프셋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7특징에 따르면, 상기 오프셋부분은 케이블 도선에 대한 IDC 접속동안 또다른 랜드에 대해 접촉자를 지지하는 지지기능과 ; 접촉자에 대한 변형 경감 본체의 몰딩동안 차단면을 제공하는 기능과 ; 접촉단자 부분과 전기도선의 전기접합부에 인가된 응력을 최소화하기 위해 힘을 분산시키는 기능과 ; 그리고 본 발명의 접촉자를 사용하는 케이블 종단 조립체내에서 맞물리게 핀접촉자 등이 너무 깊이 삽입되는 것을 저지하는 기능을 포함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전술한 목적 및 다른 목적들과, 그 장점 및 특징들에 대해 보다 더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제1도 내지 제7도에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종단 조립체(10)가 도시되어 있는데, 여기서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부분을 나타낸다. 케이블 종단 조립체는, 예를 들면 종래 유형의 케이블 종단부(11) 및 다중도선의 평판형 리본 케이블(12)을 포함한다. 이러한 케이블(12)은 일반적으로 평판형태이며 이격되어 병렬 연장 배열로 이루어지며, 케이블 절연체(14)에 의해 상호간에 유지되는 복수의 전기도선을 포함한다. 이 도선은 구리, 알루미늄, 또는 다른 전도물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절연체(14)는 폴리비닐클로라이드(PVC)나 혹은 요구되는 전기절연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다른 물질로 이루어진다. 케이블이 다중도선 케이블로 도시되어 있지만, 본 발명의 원리는 단일도선 케이블에도 사용할 수 있다. 아울러, 다중 도선 케이블이 바람직하게는 평판형 리본 케이블의 구성으로 되어 있지만, 이러한 케이블 구성은 다른 스타일로도 될 수 있는데, 실제로 다중도선 케이블은 함께 조립되는 복수의 단일도선 케이블로도 구성될 수 있다.
케이블 종단 조립체(10)는 다중도선 케이블(12)내의 복수의 도선(13)에 대해 대량 종단기능을 실시할 수 있다.
케이블 종단 조립체(10)는 케이블 종단부(11) 및 케이블(13)을 포함하며, 상기 케이블 종단부(11)는 복수의 전기접촉자(15), 캡(16) 및 변형 경감부(17)를 포함한다. 캡(16)은 변형 경감 본체(17)의 몰딩 이전에 접촉자(15)에 대한 초기 지지부로서 역할한다. 상기 캡(16)은 또한 각각의 접촉자(15)와 결합하기 위한 핀접촉자 등을 안내하고 그러한 결합을 위해 전기접촉자(15)의 지지를 도와주는 복수의 셀(20)을 제공한다. 전기접촉자(15)는 각각의 절연변위 접속(IDC)접합부(21)에서 케이블(12)의 각 도선(13)에 비교적 영구적으로 전기접속되며 ; 또한 핀접촉자와 같은 다른 부재와 비교적 비영구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부분을 포함하는데, 상기한 다른 부재는 전기접촉자와의 결합을 위해 삽입될 수 있으며 또한 전기접촉자에 대한 결합으로부터 해제될 수 있다. 변형 경감 본체(17)는 접촉자(15) 부분, 캡(16) 부분, 및 접합부(21)주위에 직접 몰드되어 후술되는 통합 구조체를 형성한다.
캡(16)의 세부는 제1도 내지 12도에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캡은 플라스틱 주입 몰딩 기술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캡을 제조하는 물질은 플라스틱 주입 몰드될 수 있는 플라스틱 또는 다른 물질일 수 있는데, 이러한 물질은 공지된 바와 같은 강화용 유리섬유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여러가지 스텝과 분극화 및 키잉(keying) 등의 수단은 캡(16)내의 표면 또는 외부 표면(혹은 그밖의 표면)에서 제공될 수 있다. 예를들면 이러한 목적을 위해 스텝(22), 슬롯(23), 그리고 각도지시기(24)용 핀이 제1도에 도시되어 있다.
캡(16) 내부에는 복수의 셀(20)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셀 또는 쳄버(20)는 접촉자(15)에 대한 소망의 지지기능 및 위치설정기능을 제공하고, 그안의 접촉자(15)와 전기접속을 이루도록 핀접촉자 또는 다른 외부부재를 셀내에 안내하는 식으로 형성된다. 캡(16)의 정면단부(25)에는 각 셀의 접촉영역(27)내로 테이퍼된 호올(hole) 또는 개구가 있는데, 이러한 호올 또는 개구내로는 각각의 전기접촉자(15)와의 전기접속을 위해 핀접촉자가 삽입될 수 있다. 특히, IDC 접합부(21)의 영구성에 비해 이와같은 전기접속은 대개 비영구적이며, 통상의 경우에는 핀접촉자가 셀(2)로부터 인출될 수 있다.
각각의 셀(20)은 양쪽 접촉영역(27) 및 위치설정영역(30)과, 그리고 랜드(land)지지부(31)를 포함한다. 상기 접촉영역(27)은 핀접촉자가 전기접촉자(15)와 결합하도록 삽입될 수 있는 부분이다. 상기 위치설정영역(30)은 케이블 종단 조립체(10)를 제조함에 있어서의 후술되는 추가의 단계를 위해 그리고 케이블 종단 조립체(10)의 이후 사용을 위한 접촉자(15)의 적절한 위치설정을 위해 셀(20)내에 접촉자(15)를 적절히 위치시키는 것을 도와준다. 랜드지지부(31)는 하기에 보다 상세히 기술되는 접촉자 지지기능을 제공한다.
제8도 내지 11도를 상세히 참조하면, 캡(16)의 세부가 상세히 도시된다. 각 셀(20)의 접촉영역(27)은 캡(16)의 정면(25) 및 배면(32)간에서 완전히 연장한다. 각 셀의 위치설정영역(30)은 정면(25)에 가까운 랜드(33)인접점(그러나, 테이퍼된 개구(26)와 접촉영역(27)과의 접합부 바로 뒤에 있는)으로부터 캡(16)의 배면(32)까지 연장한다. 이러한 설명된 목적을 위해, 각 셀의 길이는 제8도에 대하여 수직방향이며 ; 각 셀의 폭은 제8도에 도시된 수평방향이고, 각 셀의 두께는 제8도에 대한 페이퍼의 평면에 대해 수직 또는 안쪽방향의 크기이다. 접촉영역(27)의 두께 및 폭은 각 셀(20)의 각 접촉영역(27)의 높이방향에 수직인 대체로 정방형인 횡단면을 형성하게끔 거의 같다. 위치설정영역(30)의 폭은 접촉영역(27)의 폭과 대략 같다. 그러나, 위치설정영역(30)의 두께는 접촉자(15)부분에 대해 비교적 밀접한 고정을 제공하도록 접촉영역의 두께보다 작게 되어 있는데, 이로인해 하기 설명되는 소망의 위치설정기능을 얻는다.
배면(32)에서 각 셀(20)은 비교적 큰 장방형 개구(34) (제9도 및 11도)를 갖는다. 랜드(31)는 위치설정영역(30)과 정렬인 개구(34)의 두꺼운 영역에서 위치설정영역(30)의 비교적 더 얇은 부분까지의 점차적인 리이드인을 제공하도록 슬로프된다. 제11도에서 알 수 있는 바와같이, 이러한 래드(31)는 각 셀(20)에 대한 개구(26)에 인접한 랜드(33)로 연장되는 리브(35)의 초기부이다.
캡(16)의 배면(32)에는 캡의 폭을 따라 연장되는 한쌍의 리브(36)가 있다. 이 리브는 제11도 및 12도에서 알 수 있듯이 약간 테이퍼된 횡단면을 갖는데, 이는 예를들면 캡의 배면(32)과 가까운 쪽은 상대적으로 얇고 배면(32)에서 보다 떨어진 쪽은 상대적으로 더 두껍게 되어 있다. 변형 경감 본체(17)는 캡(16)의 배면단부(32)에 직접 몰드되어 있고, 이러한 몰딩 물질은 상기 리브의 테이퍼된 횡단면때문에 이 리브(36)와 결합되어 그쪽으로 유지되려는 경향이 있다. 셀(20)은 이중 정렬형태로 배열되고, 분할벽(37)은 셀의 각 열을 분리시킨다. 분할벽(37)은 캡(16)의 정면단부(25)로 연장되지만, 예컨대 제9도 및 11도의 (38)에서 알 수 있는 바와같이 배면단부(32)에서 리세스된다. 벽(37)내의 이러한 리세스(38)는 또한 변형 경감 본체(17)의 몰딩동안 그 속에서 플라스틱의 유동을 제공하여 변형 경감 본체와 캡(16)의 확실한 부착을 보장한다.
본 발명의 캡(16)에 대한 잇점과 전체 케이블 종단 조립체(10)에 대한 잇점은, 캡(16)이 플라스틱 주입몰딩을 실현하기 위해 비교적 복잡한 몰드를 필요로 하는 비교적 복잡한 부분이라 하더라도, 이와 같은 복잡한 부분의 몰딩이 단지 플라스틱만이 몰드되기 때문에 몰드가 행해진 이후에는 비교적 값싸고 효과적이라는 것이다. 삽입몰딩은 불필요하다. 접촉자(15)들은 그 자체가 캡(16)의 일부분으로서 몰드되지는 않는다. 게다가, 캡(16)이 비교적 복잡한 표면으로 형성되므로, 접촉자(15)는 상대적으로 덜 복잡하며, 이것은 또한 케이블 종단 조립체(10)의 코스트를 떨어뜨린다.
캡(16)은 여러가지 기능을 제공한다. 예를 들자면, 카바 혹은 하우징으로 생각될 수도 있는 접촉자(15)의 각 부분을 덮거나 혹은 내장한다. 캡(16)은 또한 접촉자(15)와 협동해서 위치설정기능을 제공함으로써 케이블 종단 조립체(10)의 제조목적과 그 사용 모두를 위해 적절한 위치설정을 보장한다. 케이블 종단 조립체(10)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과 관련하여, 캡(16)은 접합부(21)가 형성되는 절연변위 접속단계 동안과 변형경감 본체(17)의 몰딩동안 접촉자에 대한 지지본체로서 역할하는 지지기능을 일시적으로 제공한다. 또한 캡(16)은 셀(20)내에 삽입되어 전기접촉자(15)의 초과응력을 방지하도록 접촉자(15)와 협동하는 핀접촉자와 같은 외부부재에 대한 안내기능을 제공한다. 더군다나, 접촉자의 일부분이 위치설정영역(30)의 내부와 지지랜드(31)에서와 같은 캡(16)내의 표면과 직접 맞물리고 또한 몰드된 변형 경감부(17)와 결합하기 때문에, 접촉자에 인가된 힘은 캡 및 변형 경감부에서 비교적 잘 분산된다. 이러한 힘은 셀(20) 및 접촉자(15)에 대한 핀접촉자의 인입 또는 인출에 의해 가해질 수 있으며 ; 이러한 힘의 분산은 접촉자(15) 자체 및/또는 그것의 접합부(21)상의 어떤 손상적인 충격도 최소화하도록 돕는다. 캡(16)의 상술한 기능 및 다른 기능들은 하기의 설명으로부터 입증될 것이다.
제13도 내지 18도를 참조하면, 전기접촉자(15)가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각각의 전기접촉자(15)는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전기접촉자(15)는 IDC 단자부분(40), 기저부(41), 지지렉(42), 캔티레버 지지부(43), 및 캔티레버 접촉부분(44)을 포함한다. 접촉자(15) 및 다른 동일한 접촉자들은 스트립 물질로부터 절단될 수 있는데, 이러한 접촉자들은 접촉자쪽의 약한 접속부(46)에 부착된 캐리어 스트립(45)에 의해 공지된 방식대로 유지된다. 캐리어 스트립(45)은 IDC 단자부분(40)에 근접한 접촉자의 배면단부(47)에 접속된다. 캔티레버 지지부(43)는 접촉자(15)의 정면단부(48)에 있으며, 캔티레버 접촉부분(44)은 그러한 캔티레버 지지부(43)로부터 어느 정도 배면단부(47)를 향해 연장하여 기저부(41)에 도달하기 이전에 종결된다. 접촉자(15)는 베릴륨 구리물질과 같은 스트립 물질에 의해 절단될 수 있으며, 접촉자의 여러가지 사행과 곡선들은 통상의 기술을 사용하여 스탬프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접촉자(15)의 배면단부(47)에서는, 단자부분(40)이 비교적 통상의 방식대로 설계될 수 있다. 이러한 부분(40)은 예컨대 뾰족한 팁(51) 및 렉들 사이의 홈(53)으로 인입되는 경사면(52)을 갖는 한쌍의 병렬 렉(50)을 포함한다. 뾰족한 팁(51)은 케이블 절연체의 관통을 용이하게 하는데 사용될 수 있고, 또 상기한 경사면(52)은 전기접합부(21)를 형성하기 위하여 케이블 도선을 렉(50)과의 맞물리도록 홈(51)내로 안내한다.
기저부(41)는 IDC 단자부분(40)보다 비교적 폭이 넓으며 본래 3가지의 기능을 갖고 있다. 그 하나의 기능은 IDC 단자부분(40)과 접촉자의 작동단부(54)를 결합하는 기능이다. 상기 작동단부(54)는 지지렉(42), 캔티레버 지지부(43), 캔티레버 접촉부분(44)을 포함한다. 상기 기저부(41)의 다른 매우 중요한 기능은 각셀(20)의 배면에서 개구(34)의 측벽과 협동하여 변형 경감 본체(17)의 몰딩동안 셀내로의 플라스틱의 유입을 저지하도록 셀의 전방부분을 차단하는 기능이다. 따라서, 이러한 기저부는 몰드된 변형 경감 물질이 접촉자의 작동단부(54)를 손상시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각각의 셀(20)에서 캡에 대한 차단기능을 제공한다. 기저부(41)의 세번째 기능은 핀접촉자가 셀내에 너무 깊이 삽입되어 케이블 종단 조립체의 기계적 구조에 대한 손상을 초래하고/하거나 케이블(12)의 도선(13)과의 단락회로를 형성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핀접촉자의 최대삽입을 제한하는 것이다.
기저부(41)는 전술한 기능의 수행과 부합하여 오프셋(offset)부 또는 사행부(55)를 포함한다. 특히, 지지렉(42) 및 캔티레버 지지부(43)의 평면 바깥쪽으로의 캔티레버 접촉부분의 사행과 그러한 오프셋부(55)에 기인하여, 접촉자(15)는 (상술한 미합중국 특허 제4,030,799호에 기재된 통상의 포오크 접촉자의 평면형 성질과 비교해 볼때) 3차원 접촉자로 간주된다.
대체로 U자 형상인 구조는 예컨대 제13도 및 18도에서 알 수 있듯이 지지렉(42), 캔티레버 지지부(43) 및 캔티레버 접촉부분(44)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지지렉(42)은 기저부(41)에서 대체로 직선적으로 연장되지만, IDC 단자부분(40)의 직선 연장부에 대해서 상호 병렬식이나 혹은 공동 축상으로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이러한 상호 병렬식 연장부가 접촉자에 대한 제한은 아니며, 지지렉(42)은 그 상황이나 원하는 사용에 따라 비직선적으로나 그밖의 방식으로 연장되도록 사행될 수 있다. 그렇지만, 캡(16)의 셀(20)내의 직선으로 연장하는 위치설정영역(30)과 대응하여 삽입, 유지, 및 위치설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직선연장부가 바람직하다. 동일한 이유로, 캔티레버 지지부(43)는 지지렉(42)에 대해 대체로 공동 평면인 관계로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캔티레버 접촉부분(44)은 예를들어 제14도 및 15도에서 알 수 있는 바와같이 지지렉(42) 및 캔티레버 지지부(43)의 평면 바깥쪽으로 캔티레버 관계로 연장하도록 사행된다. 캔티레버 접촉부분(44)은 사행부(56)에서 캔티레버 지지부(43)의 평면에 대해 사행된다. 추가의 사행부(57)는, 예를들어 제20도의 도시로부터 알 수 있듯이, 케이블 종단 조립체(10)의 셀(20)내로 삽입된 핀접촉자 또는 다른 외부부재와 실제전기 접속 결합부가 형성되는 캔티레버 접촉부분(44)의 접촉영역(58)을 형성한다.
IDC 단자부분(40)은 예컨대 제13도에서 알 수 있는 바와같이 캔티레버 접촉부분(44)에 대해 오프셋된다. 이러한 오프셋의 정도는 캔티레버 접촉부분(44)의 중심을 따라 도시된 축선(61)에 대한 홈(53)의 중심을 통과하는 축선(60)의 관계로 나타내어진다. 이러한 오프셋 관계는 예를들어 상술된 미합중국 특허 제4,030,799호에 기술된 바와같이, 접촉자(15)를 비교적 밀접하게 패킹하게 하며, 그리고 2중 정렬 케이블 종단 조립체 배열내에 비교적 밀접하게 패킹되거나 혹은 밀접하게 위치설정된 도선(13)과 함께 사용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따라서, 예를들어 제4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접촉자(15)들이 서로에 인접되어 있지만 2중 정렬된 배열의 마주보는 열내에 있기 때문에, 상기 접촉자들중 하나의 IDC 단자부분(40)은 도선들(13)중 하나와 전기접합부(21)를 형성할 것이고, 제4도의 케이블 종단 조립체(10)내에 도시된 2개의 접촉자들 중 다른 하나는 앞에서 언급된 도선(13)에 인접한 도선과 접합부(21)를 형성할 것이다.
변형 경감 본체(17)의 몰딩 이전의 전기접촉자(15) 및 캡(16)의 반조립체가 제19도 및 20도에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반조립체를 조립하기 위하여, 접촉자(15)는 캡(16)의 각 셀(20)내에 삽입된다. 이와 같은 삽입은 복수의 접촉자(15)가 캐리어 스트립(45)에 단단히 고정되어 접촉자의 전체 열이 셀(20)의 전체 열내에 삽입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용이해질 수 있으며, 그후 캐리어 스트립(45)은 약한 접속부(46)에서 절개되어 제거된다.
셀(20)내에 접촉자(15)를 삽입하기 위하여, 캔티레버 지지부(43)가 셀의 배면에서 개구(34)와 정렬되므로 지지렉(42)이 위치설정영역(30)내로 미끄러져 정렬되고 케이블 접촉부분(44)은 셀의 접촉영역(27)내로 미끄러져 정렬된다. 캡(16)내에 형성된 2열의 셀(20)의 오프셋 배열과 각 접촉자의 기저부(41)의 오프셋부(55)는, 예컨대 제4도 및 제20도에서 알 수 있듯이, 2개 병렬 열중의 하나에서의 접촉자들의 IDC 단자부분(40)의 간격이 다른 열내 접촉자들의 IDC 단자부분(40)으로부터 비교적 떨어져 있게 되는 것이 확실하도록 도운다. 이러한 배열은 케이블(12)의 절연체(14)에 대한 최대한의 완전성과 케이블(12)의 각 도선(13)에 대한 접촉자(15)의 적절한 접속을 가능케 한다. 이와같은 간격은 또한 케이블(12), 접촉자(15), 및 캡(16)에 대한 플라스틱 몰딩 물질의 유동이 상기한 부품들의 단단한 통합 접속 및 접합부(21)의 캡슐화와 용접 밀폐를 확실히 달성하도록 돕는다.
셀(20)내로의 접촉자의 추가삽입은 정면단부(47), 특히 캔티레버 지지부(43)의 선행 단부를 셀(20)의 위치설정영역(30)의 정면단부에 있는 랜드나 혹은 비교적 근접한 랜드(33)와 결합되게 배치시킬 것이다. 중요한 것은, 셀(20)에 대한 접촉자(15)의 완전한 혹은 본질적으로 완전한 삽입이 접촉자 기저부(41)의 오프셋부 또는 사행부(55)를 지지랜드(31)의 경사면과 직접 대향 결합되게 배치한다는 것이다. 접촉자 기저부(41)내의 오프셋부(55)는 기저부(41)의 직선연장부(64)에 의해 결합된 한쌍의 둔각(62,63)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둔각 사행은 보통 직각의 사행보다는 접촉자 물질이 비교적 작은 응력을 받게하며 ; 이것은 접촉자의 완전성 및 수명을 보장케 한다. 지지랜드(31)의 형상은 접촉자 기저부(41)의 오프셋(55)와의 결합에서 비교적 밀접하게 고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에 따라서 예컨대 제4도, 15도 및 20도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오프셋부(55)가 경사되는 것과 동일한 각도로 경사된다. 오프셋부(55) 및 지지랜드(31)에서의 접촉자(15)의 밀접한 고정 및 결합은 하기에 설명되는 절연변위 접속 공정동안 지지랜드(31)로 하여금 접촉자를 지지하게 하며 또한 응력이 분산되게 한다. 아울러, 셀(20)내의 접촉 지지렉(42) 및 캔티레버 지지부(43)의 비교적 밀접한 고정은 IDC 단계 동안과 변형 경감 본체(17)의 몰딩동안 접촉자에 대한 정확한 위치설정 및 지지를 가능케 하여 응력이 분산되게 한다.
기저부(41), 특히 그 오프셋부(55)의 영역은 예를들어 제19도에서 알 수 있는 바와같이 셀(20)의 배면에 있는 개구(34)내에 보다 밀접하게 고정된다는 것이 중요하다. 접촉자 기저부(41)의 부분 및/또는 오프셋부(55)의 영역은 실질상 셀의 개구(34)를 완전히 채우며, 제19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접촉자(15)의 에지와 개구(34)의 측벽간의 간격은 오프셋부(55)를 넘어서 셀(20)내로 플라스틱이 유입되는 것을 막게끔 충분히 작다. 예를 들면, 각 셀에 개구(34)를 한정하는 벽과 오프셋부(55)간의 간격은 약 0.001 내지 0.002인치의 정도로 될 수 있다. 이러한 간격은 변형 경감 본체(17)의 몰딩동안 셀(20)내로의 플라스틱의 유입을 방지하게끔 충분히 작다.
더군다나, 개구(34)의 벽에 대한 오프셋부의 비교적 밀접한 고정과, 셀(20)의 위치설정영역(30)내의 지지렉(42)의 비교적 밀접한 고정과, 그리고 그 돌출부(65) 및 지지랜드(31)와 오프셋부와의 결합부를 포함하는 접촉자의 케이블 지지부(43)의 폭에 기인하여, 상기한 접촉자는 하기에 설명되는 IDC 단계와 주입몰딩 단계동안 비교적 단단하게 유지될 것이며 또한 접촉자에 인가된 힘이 캡(16) 및 변형 경감 본체(17)내로 분산되게 할 것이다.
제21도 및 22도를 참조하면, 케이블 종단 조립체(10)를 제조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장치는 일반적으로 도면부호(70)로 표시된 몰딩장치로 이루어지는데, 이러한 몰딩장치(70)는 A 절반부(71A) 및 B 절반부(71B)를 가진 몰드부(71)를 포함한다. 몰드부의 B 절반부(71B)는 케이블 종단 조립체(10)의 캡(16)이 비교적 밀접한 고정관계로 배치될 수 있는 리세스 또는 공동(72)을 갖는다. 바람직하게, 이와같은 밀접한 고정부는 플라스틱이 캡의 측부 및 단부주위의 몰드부(71) B 절반부내로 유입하는 것을 방지한다. 접촉자(15)는 캡이 몰드 절반부(71B)내에 배치되기 이전에 또는 이후에 캡(16)내에 장착된다. 이와같은 접촉자는 상술된 접촉자(15) 및 캡(16)의 반조립체를 완성하기 위하여 각각의 셀(20)내로 예를들어 제4도, 6도 및 20도에 도시된 위치까지 완전히 삽입된다. 접촉자(15)의 IDC 단자부분(40)은 몰드부(71)의 폐쇄시 케이블(12)의 각각의 도선(13)과의 절연변위 접속을 위해 노출된다. 제21도에서의 도시는 본 출원에서 다른 방식으로 도시 및 기재된 2중 정렬 배열의 열중의 단지 한 열의 접촉자(15)들만을 도시함으로써 간략화된 것이다. 그러나, 접촉자들의 양 열이 제22도에 도시되어 있다.
케이블(12)은 제2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IDC 슬롯(53)상에 각각의 도선을 정렬시키게끔 접촉자(15)의 IDC 단자부분(40)에 대응하여 위치된다. 그후, 몰드부(71)는 몰딩장치(70)의 유압 또는 다른 동력원을 사용하여 폐쇄되어, 몰드부의 A 절반부(71A)의 및 B 절반부(71B)가 합쳐진다. 몰드부가 폐쇄된 경우, 각각의 코어쌍(73)은 뾰족한 팁(51)으로 하여금 케이블 절연체(14)를 관통하게끔 힘을 가하고 또한 각각의 도선과 각각의 접촉자 사이에서 효과적인 전기접속 도는 접합을 행하게끔 각각의 IDC 홈(53)내로 도선(13)에 힘을 가하기 위해서는 케이블(12)을 IDC 단자부분(40)쪽으로 몰아대는 경향이 있다. 상기 언급된 IDC 기능을 실현하는 이러한 몰드부(71)의 폐쇄동안, 접촉자(15)는 도면에 도시된 관련 위치에서 캡(16)에 의해 비교적 단단하게 유지된다. 코어(73)의 배열은 제22도에서 보다 더 명백히 알 수 있다. 각각의 코어쌍(73)은 소정의 접촉자의 정렬된 각각의 IDC 단자부분(40)을 향해 케이블을 하부 방향으로 누른다. 각각의 접촉자와 바람직하게 정렬된 코어쌍을 형성하는 2개의 코어는 변형 경감 본체(17)가 접합부(21)를 캡슐화하도록 몰드될때 그 사이에서 몰딩 물질의 유동을 허용할만큼 충분히 이격되어 있다.
몰드부의 절반부 A 및 B의 한쪽 또는 양쪽의 한 측부에 있는 홈은 도면부호(74)로 표시되어 있다. 이러한 홈들은 절반부들이 폐쇄될때 몰드 절반부들간에서의 케이블(31)의 통과를 용이하게 하는 한편, 변형 경감 본체(17)의 몰딩동안 몰딩물질의 누출을 방지하기 위하여 몰드 절반부들과 케이블과의 견고한 고정이 이루어지게 한다.
몰드부(71)가 폐쇄됨에 따라, 몰드 공동이 몰드 절반부(71A,71B)와, 캡(16) 및 접촉자(15)의 반 조립체의 배면단부(32)에 의해 부분적으로 형성된다. 몰딩장치(70)는 몰드된 변형 경감 본체(17)를 형성하기 위해 몰드 공동내로 플라스틱 또는 다른 몰딩물질(원한다면, 유리 또는 다른 보강 혹은 충전물질을 포함할 수도 있음)을 주입한다. 이러한 몰딩물질은 케이블의 적어도 일부분과, 접촉자(15)의 IDC 단자부분과, 도선(13)과 접촉자(15)의 접합부(21) 주위를 흐르고(이에 따라, 몰딩물질을 여러개의 코어쌍(73) 사이로 흐름), 또한 상기 몰딩물질은 추가적으로 니트(knit) 리브(36) 주위로, 리세스(38)내로, 그리고 제한된 연장부로 흐르는데, 이는 접촉자(15)의 오프셋 사행부(55)가 셀(20)의 개구(34)의 부분(75) (제2도)내로 위치됨에 따라 허용되는 것이다.
몰딩물질(17) 또는 다른 경화물질의 응고시에는 케이블(13), 접촉자(15) 및 캡(16)과 함께 케이블 종단 조립체(10)의 실질상 통합 구조체가 형성된다. 이어서, 몰드부(71)는 코어(73)를 인출하도록 개방될 수 있고(제2도에 도시된 리세스(75)를 변형 경감 본체(17)의 배면단부에 남긴채), 반면에 접합부(21)는 실질상 완전히 캡슐화되어 몰드된 변형 경감 본체(17)내에서 용접 밀폐된 관계로 남는다. 그리고, 케이블 종단 조립체(10)는 예컨대 리세스(72) 및 몰드 절반부(71B)로부터 캡(16)을 인출함으로써 몰드부(71)에서 제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변형 경감 본체(17)를 몰드하는 물질과, 케이블 절연체(14)를 형성하는 물질은 호환성을 가지므로 이들 양자의 물질은 상술된 몰딩 단계동안 화학적으로 결합한다. 또한, 변형 경감 본체를 몰드하는 물질과 그리고 캡(16)을 형성하는 물질도 상술된 몰딩단계동안 그것의 화학적 결합을 얻을 수 있도록 동일하거나 호환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몰딩이 양호하게 일어나는 온도는 접합부(21)의 영역에서 산소 및 습기를 제거하거나 정화시키게끔 충분히 높은 온도가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산소 및 습기가 없는 환경은 바람직하게 변형 경감 본체(17)내의 캡슐화에 의해 얻어진 접합부(21)의 용접 밀폐에 의해 유지되어, 접합부에서의 전기분해 작용을 방지하도록 돕는다. 그러므로, 도선(13) 및 접촉자(15)를 만드는 물질(비록 차이는 있다고 하더라도)의 상호 작용 또는 반응은 제거되거나 혹은 적어도 최소화될 것이다.
상술된 케이블 종단 조립체(10)를 제조하는 방법은 다중도선 케이블의 도선들의 대량 종단부를 용이하게 실현시킴이 이해될 것이다. 변형 경감 본체(17)가 캡(16)에 직접 몰드되기 때문에, 미합중국 특허 제4,030,799호에 기술된 바와 같이 초음파 용접따위에 의해 캡을 몰드된 변형 경감 본체에 고정시킬 필요가 따로이 없다. 더군다나, 따로 초음파 용접기능을 실시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리-그라인드(re-grind)물질 또는 그것을 포함하는 물질과 같은 비교적 염가의 물질이 캡(16) 및 변형 경감 본체(17)를 제조하는데 사용될 수 있고, 따라서 케이블 종단 조립체(10)에 대한 코스트를 낮출 수 있다.
아울러, 상술된 본 발명의 부분들과 방법은 IDC 단계 및 변형 경감 본체의 몰딩이 3차원 접촉자를 사용하는 케이블 종단부나 혹은 케이블 종단 조립체를 제조함에 있어서 본질적으로 동일 공정의 일부로서 수행될 수 있게 함을 이해해야 한다.
본 발명의 케이블 종단 조립체(10)를 사용함에 있어서, 예를들어 제4도, 6도 및 20도에서 도시된 바와같이, 핀접촉자(80) (제20도)와 같은 외부부재는 셀들(20)중 하나의 개구(26)내로 삽입될 수 있다(또는 이러한 복수의 핀접촉자나 혹은 다른 외부부재가 각각의 셀(20)내로 동시에 삽입될 수 있다). 이와같은 삽입동안, 이러한 접촉자(80)의 선행 단부는 접촉자(15)의 캔티레버 접촉부분(44)과 맞물리며, 그것을 통로 바깥쪽으로 가볍게 밀어내어 핀접촉자의 추가의 삽입을 허용케 하려는 경향이 있다. 캔티레버 접촉부분은 탄성적으로 변형되며, 양호한 전기접속부가 형성되도록 삽입된 핀접촉자(80)의 표면을 와이핑하는 경향이 있다. 이와같은 와이핑은 그들간의 전기접속의 효율성이 보다 증대되게 캔티레버 접촉부분(44)의 접촉영역(58)의 표면과 핀접촉자(80)의 대향면의 세정을 실시하는 것일 수 있다.
3차원 캔티레버 접촉자(15) 및 그것과 캡(16)의 벽(37)과의 협동의 특징은 핀접촉자(80)에 의한 캔티레버 접촉부분(44)의 초과 변형으로 인해 캔티레버 접촉부분이 벽(37)과의 결합부를 넘어서 구부러질 수 없게 하는 것이며 ; 이것은, 그렇지 않다면 접촉자를 손상시킬 수 있는, 그것의 탄성한계를 넘어선 접촉자(15)의 초과응력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3차원 캔티레버 접촉자 배열의 다른 특징은 캔티레버 접촉부분(44)과 핀접촉자(80)의 전기접속부가 핀접촉자의 절삭이 없는(burr-free) 측면에 형성된다는것이다(공지된 바와같이, 핀접촉자(80)는 때때로 로울된 스톡(rolled stock)에서 스탬핑함으로써 제조하는데, 접기접속부가 상기 접촉자의 절삭이 없는 측면에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촉자(15) 및 상기 설명된 바람직한 케이블 종단 조립체에서 그것의 사용의 또다른 특징은 각 접촉자내의 오프셋부(55)가 이러한 오프셋 사행부를 넘어서 핀접촉자(80)의 선행 단부가 삽입되는 것을 저지 및 방지하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저지기능의 강도는 상기 오프셋부(55) 뒤에 있는 변형 경감 본체(17)의 몰드된 물질에 의해 증대된다. 이와같은 저지기능은 핀접촉자(80)가 셀(20)내로 너무 깊이 삽입되어 케이블(12)의 절연체를 관통하여 하나 이상의 케이블 도선과 단락회로를 형성하는 것을 방지한다.
아울러, 캔티레버형 접촉자와 이 접촉자의 초과응력을 방지하도록 벽(37)에 의해 제공된 지지부의 특징에 따라, 접촉자(15)는 비교적 높은 컴플라이언스를 가질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종단 조립체(10)는 각각의 셀(20)내로 삽입된 핀접촉자들의 비교적 큰 정도의 오정렬이나 오위치 설정을 받아들일 수 있고, 또한 횡단면 크기(접촉자의 컴플라이언스에 기인한) 및 접촉자 길이(오프셋 사행부(55)에 의해 제공되는 정지기능에 기인한) 양자에 있어서 핀접촉자의 비교적 큰 영역의 크기를 허용한다.
본 발명이 다중도선 전기도선(12)의 한 단부에 위치된 다중도선 전기케이블 종단부(11)에 관하여 도시 및 설명되었지만, 이러한 종단부는 또한 본 발명에 따라서 다중도선 전기케이블의 중간위치에서 제공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이 지금까지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도시 및 설명되었지만, 이러한 기술에 숙련된 자에게는 본 명세서를 읽음으로써 본 발명의 등가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하다는 것이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이 단지 예로서 소켓형 접속기에 대해서만 도시되고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특징이 카드에지형 및 다른 유형의 접속기에도 사용될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또한 접합부(21)는 납땜 접속부, 용접 접속부 등과 같이 IDC 접합부와 다른 것일 수도 있다. 아울러, 접촉자(15)는 2차원 또는 3차원인 포오크 접촉자 또는 다른 접촉자일 수도 있다. 그리고, 접촉자(15)와 셀(20)간의 관계는 접촉자를 포함하는 셀에 차단기능을 제공하는, 기저부(41) 및 그 오프셋부(51)와 개구(34)간의 협동관계와는 다를 수도 있으나; 그러한 차단기능을 제공하기 위하여 접촉자(15)와 캡(16)간의 협동관계가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모든 등가 변형 및 수정을 포함하며, 단지 다음의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제한된다.
본 발명의 케이블 종단 조립체, 접촉자 및 방법은 전기 및 전자기술분야에 있어서 전기적 상호 접속을 행하는데 사용될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Claims (9)

  1. 적어도 하나의 도선을 포함하는 전기케이블, 접합부를 형성하도록 상기 도선과 접속하기 위한 접속부분, 외부부재와 맞물림시 그것과 접촉하기 위한 접촉부분, 및 상기 접속부분과 접촉부분간에 위치되며, 지지본체수단의 외부 개구수단과는 반대쪽인 챔버단부를 폐쇄시키기 위해 지지본체내 랜드수단과 협동하기에 충분한 폭과 길이를 가진 오프셋수단을 포함하는 기저부분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전기접촉자, 상기 전기접촉자를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접촉부분에 대한 챔버를 한정하기 위한 벽수단, 상기 접촉부분과의 전기적 접속을 위하여 외부부재가 상기 챔버내로 삽입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한 개구수단, 상기 기저부분을 지지하기 위한 랜드수단, 및 상기 전기접촉자의 상기 접촉부분을 상기 챔버내에 적절히 위치시키도록 상기 접촉자와 협동하기 위한 위치설정수단을 포함하는 지지본체수단, 및 상기 케이블, 상기 전기접촉자 및 상기 지지본체수단의 적어도 일부분에 직접 몰드되어 이들과 함께 통합 구조체를 형성하도록, 상기 외부 개구수단과는 반대쪽인 상기 오프셋수단 측면에 대해 몰드되며 상기 접속부분과 접합부를 덮어서 몰드되는 변형 경감 본체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종단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분은 상기 도선과의 IDC 접속을 위한 절연변위 접속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종단 조립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자는 대응하는 상기 챔버 크기보다 작은 벽 두께를 가지며, 또한 상기 오프셋수단의 상기 길이 및 폭의 치수가 상기 쳄버단부의 대응하는 치수와 적어도 같도록 상기 오프셋수단을 형성하기 위해 사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종단 조립체.
  4. 제1항에 있어서, 복수의 전기접촉자를 구비하며, 상기 케이블이 상기 변형 경감 본체 수단에 의해 캡슐화된 각각의 접속부에서 각각의 접촉자에 접속된 복수의 도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종단 조립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은 다중도선 평판 케이블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종단 조립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접촉자는 3차원 접촉자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종단 조립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3차원 접촉자는 지지아암 및 케이블 접촉부분을 갖는 U자 형상의 접촉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종단 조립체.
  8. 도선과 접속하여 접합부를 형성하기 위한 절연변위 접속부분과, 상기 쳄버의 단부를 폐쇄시키도록 상기 접촉부분과 접속부분간에 위치된 기저부분을 추가로 갖는 전기접촉자를 그것의 접촉부분이 지지 본체 부분의 챔버내에 위치되게 하면서 케이블 종단 조립체의 지지 본체 부분내에 배치하는 단계, 상기 기저부분을 상기 지지 본체 부분내 챔버의 벽의 적어도 일부분을 형성하는 랜드에 의해서 지지하는 단계, 상기 전기접촉자의 절연변위 접속부분과 전기도선의 절연변위 접속을 실시하는 단계, 및 상기 전기접촉자의 접속부분, 상기 접합부, 상기 챔버의 단부를 폐쇄시키는 상기 전기접촉자 부분, 및 상기 지지 본체 부분에 변형 경감 본체를 직접 몰딩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종단 조립체 제조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접촉자 및 도선은 복수이고, 상기 절연변위 접속 실시 단계는 복수의 전기접촉자와 각각의 전기도선과의 절연변위 접속을 실질적으로 동시에 실시하는 단계를 구비하며, 그리고 상기 몰딩단계는 상기 접촉부분을 위해 상기 챔버의 단부를 차단하는 상기 전기접촉자, 상기 지지 본체 부분 및 상기 도선의 적어도 일부분에 직접 상기 변형 경감 본체를 몰딩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종단 조립체 제조방법.
KR1019870009307A 1986-08-28 1987-08-26 통합 몰드된 케이블 종단 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 KR96000213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900,909 1986-08-28
US900909 1986-08-28
US06/900,909 US4767352A (en) 1986-08-28 1986-08-28 Integrally molded cable termination assembly, contact and metho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3456A KR880003456A (ko) 1988-05-17
KR960002133B1 true KR960002133B1 (ko) 1996-02-10

Family

ID=254132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09307A KR960002133B1 (ko) 1986-08-28 1987-08-26 통합 몰드된 케이블 종단 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4767352A (ko)
EP (1) EP0259082B1 (ko)
JP (1) JP2566982B2 (ko)
KR (1) KR960002133B1 (ko)
AU (1) AU607433B2 (ko)
BR (1) BR8704408A (ko)
CA (1) CA1281093C (ko)
DE (1) DE3787696T2 (ko)
DK (1) DK170411B1 (ko)
HK (1) HK1006761A1 (ko)
MX (1) MX161737A (ko)
ZA (1) ZA87640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56152U (ko) * 1987-10-01 1989-04-07
US4946390A (en) * 1989-06-26 1990-08-07 Minnesota Mining & Manufacturing Co. Cable termination assembly with contact supporting housing and integrally molded strain relief
JP2662531B2 (ja) * 1990-03-29 1997-10-15 第一電子工業株式会社 圧接形コネクタ
FR2662863B1 (fr) * 1990-05-30 1992-08-28 Bull Sa Dispositif connecteur adaptateur de terminaison.
GB2277837A (en) * 1993-04-30 1994-11-09 Mod Tap W Corp Stuffer cap for I.D.C. connector
US6187246B1 (en) * 1998-12-31 2001-02-13 Berg Technology, Inc. Method of manufacturing an extended height insulative housing for an electrical connector
US6132236A (en) * 1999-05-14 2000-10-17 Methode Electronics, Inc. Flex cable termination apparatus and termination method
US6203376B1 (en) 1999-12-15 2001-03-20 Molex Incorporated Cable wafer connector with integrated strain relief
JP4084292B2 (ja) * 2003-11-21 2008-04-30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同軸ケーブルの圧接構造
CN104412458A (zh) 2012-02-07 2015-03-11 3M创新有限公司 电连接器应变消除件
US9509094B2 (en) 2012-02-07 2016-11-29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Board mount electrical connector with latch opening on bottom wall
US9509089B2 (en) 2012-02-07 2016-11-29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Electrical connector latch
US9948026B2 (en) 2012-02-07 2018-04-17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Wire mount electrical connector
US9455503B2 (en) 2012-02-07 2016-09-27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Electrical connector contact terminal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00206A (en) * 1950-04-07 1955-01-25 Gilbert Margaret Doris Method of fabricating electric plugs
US2701867A (en) * 1951-05-04 1955-02-08 Arthur W Obenschain Cable connector
GB998392A (en) * 1963-07-01 1965-07-14 Oliver Pell Control Ltd Improvements in electric socket connectors
US3905665A (en) * 1971-07-27 1975-09-16 Amp Inc Electrical contact structure and assembly method
US3930708A (en) * 1974-09-09 1976-01-06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Flat cable wire-connector
US4002395A (en) * 1974-12-12 1977-01-11 Viking Industries, Inc. Connector
US4030799A (en) * 1976-02-09 1977-06-21 A P Products Incorporated Jumper connector
US4094564A (en) * 1977-03-17 1978-06-13 A P Products Incorporated Multiple conductor electrical connector with ground bus
JPS5450190U (ko) * 1977-09-16 1979-04-06
JPS6059477U (ja) * 1983-09-30 1985-04-25 松下電工株式会社 コネクタのコンタクトの構造
US4602830A (en) * 1984-09-20 1986-07-29 Amp Incorporated Double row electrical conne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3787696T2 (de) 1994-04-21
DK170411B1 (da) 1995-08-21
CA1281093C (en) 1991-03-05
DK443387A (da) 1988-02-29
EP0259082B1 (en) 1993-10-06
HK1006761A1 (en) 1999-03-12
KR880003456A (ko) 1988-05-17
AU7720987A (en) 1988-03-03
BR8704408A (pt) 1988-04-19
EP0259082A3 (en) 1989-08-30
ZA876408B (en) 1989-04-26
EP0259082A2 (en) 1988-03-09
JP2566982B2 (ja) 1996-12-25
US4767352A (en) 1988-08-30
DK443387D0 (da) 1987-08-25
AU607433B2 (en) 1991-03-07
DE3787696D1 (de) 1993-11-11
MX161737A (es) 1990-12-20
JPS6364271A (ja) 1988-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43935A (en) Electrical connector
JP2525660B2 (ja) 電気コネクタ組立体およびそれに使用する成端カバ―
US4776803A (en) Integrally molded card edge cable termination assembly, contact, machine and method
US5766033A (en) High density electrical connector
US4030799A (en) Jumper connector
KR960002133B1 (ko) 통합 몰드된 케이블 종단 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
US5761805A (en) Method of making a high density electrical connector
US4737117A (en) Double-row electrical connector and method of making same
US20220173550A1 (en) Integrally shielded cable connector
KR20060050386A (ko) 커넥터 및 케이블 리테이너
CA2276836C (en) Modular high speed connector
KR20060135054A (ko) 커넥터 및 그 결선 방법
US4725243A (en) Polarizing key for cable termination
US6558206B1 (en) Electric connector
US4946390A (en) Cable termination assembly with contact supporting housing and integrally molded strain relief
JPH0317970A (ja) 圧接型コネクタ
JP4067181B2 (ja) 圧接結線用コネクタとその圧接方法
US4439001A (en) IDC Socket connector
EP0890203B1 (en) High density electrical connector
US8550841B2 (en) Flat cable connector having cable support structure
KR960002132B1 (ko) 개량된 점퍼 콘넥터
JPS60240072A (ja) 電気コネクタ及びその製造方法
US502479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a jumper connector
TWI840661B (zh) 電連接器組合
KR910003022B1 (ko) 전기 플러그 접속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204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