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3022B1 - 전기 플러그 접속기 - Google Patents

전기 플러그 접속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3022B1
KR910003022B1 KR1019830005430A KR830005430A KR910003022B1 KR 910003022 B1 KR910003022 B1 KR 910003022B1 KR 1019830005430 A KR1019830005430 A KR 1019830005430A KR 830005430 A KR830005430 A KR 830005430A KR 910003022 B1 KR910003022 B1 KR 9100030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conductor
signal
ground
memb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300054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6734A (ko
Inventor
라루 로커드 조셉
Original Assignee
에이. 엠. 피. 인코포레이티드
제이. 엘. 사이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 엠. 피. 인코포레이티드, 제이. 엘. 사이칙 filed Critical 에이. 엠. 피.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8400067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67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30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30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5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material of the contacting members
    • H01R4/66Connections with the terrestrial mass, e.g. earth plate, earth pin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기 플러그 접속기
제1도는 본 발명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전기 접속 시스템에 대한 투시 확대도.
제2도는 접속기의 전기 접촉 조립체 부분에 대한 투시 확대도.
제3도는 제2도의 조립형태에 대한 투시도.
제4도는 완전한 형태의 플러그 접속기에 대한 투시도.
제5도는 제4도의 5-5선을 절취한 단면도.
제6도는 플러그 접속기의 상부 평면도.
제7도는 플러그 접속기의 정면도.
제8도와 9도는 전기 접촉 조립체를 도시하는 접속기와 접속기 수용부재에 대한 도면.
제10도는 전기 접촉 조립체의 다른 실시예에 대한 부분을 도시하는 제2도와 동일한 도면.
제11도는 제10도를 조립한 형태의 투시도.
제12도는 접촉 조립체상에 고정된 하우징을 갖는 제11도의 12-12선을 절취한 단면도.
제13도는 전기 접속기 조립체의 다른 실시예에 대한 부분을 도시하는 제2도 및 10도와 유사한 단면도.
제14도와 제15도는 제13도의 조립된 형태에 대한 투시도.
제16도는 완성된 형태의 제13도 내지 15도의 플러그의 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다층 회로 기판 14 : 소켓 접촉부
16 : 접속기 수용부재 22 : 접속기
26 : 개구 32, 34 : 접촉부
36 : 접촉지지부재 38 : 리세스
40 : 돌기 44 : 신호 접촉부재
50, 60 : 도체 접속부 54 : 접지 접촉부재
72 : 하우징
본 발명은 전기 접속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전기 플러그 접속기에 관한 것이며, 전기 케이블의 전도체는 접촉부재에 접속되고 단자는 하우징에 밀봉 가능하게 고정되며 하우징은 케이블을 지지하고 접속기 수용부재에서 분극 위치에 래치 가능하게 장착된다.
전송 케이블용 전기 접속기는 그러한 케이블의 도체를 접속시킨다. 접속기는 일반적으로 분리 가능하게 다른 전기 접속기에 접속되어 전기적 신호를 전송원으로부터 수신 부재로 또는 수신 부재로부터 전송원으로 전송시킨다.
접속기는 전송원으로부터 수신 부재로 전송되는 신호의 손실 또는 불균일을 최소로하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접속기의 구성은 또한 전기적 동작 특성과 관련되어서 장치가 이동되고 다른 접속기와 분리되고 재연결될 때 일어나는 마모와 접촉에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며, 전기 플러그 접속기는 접촉 지지부재의 한 측면에 이격된 간격으로 고정된 신호 접촉부재를 가지는 유전 접촉 지지부재를 구비한다. 접지 접촉부재는 접촉지지부재의 전면단부로부터 외부로 연장하는 신호 접촉부재와 접지 접촉부재의 접촉부를 갖춘 접촉지지부재의 다른 측면에 고정된다. 신호 접촉부재와 접지 접촉부재의 도체 접속부는 접촉지지부재를 따라 연장하여 전기 케이블중에 신호 도체와 접지 도체가 신호 접촉부재와 접지 접촉부재의 도체 접속부에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유전 하우징 부재는 접촉 지지부재와 일부 전기 케이블에 고정되어 접촉부로부터 도체 접속부를 따라 접촉부재가 덮이도록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의하면, 하우징 부재는 접속기 수용부재의 분극 위치로 플러그 접속기를 래치시키는 분극 래치부재를 가진다.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층 회로 기판(10)은 전기 소켓 접촉부(14)의 매트릭스가 배치되는 영역(12)을 가진다. 접속기 수용부재(16)는 볼트(18)를 거쳐 기판(10)에 고착된다. 이격된 돌기(20)가 부재(16)의 상부와 하부의 내부 표면을 따라 위치되어, 전기 플러그 접속기(22)가, 제8도와 9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재(16) 개구(28)내의 표면(26)을 결합하는 가요성 래치부재(24)에 의해 래치 가능하게 고정되는 채널을 형성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접속기(22)의 전면부를 부재(16)내의 전면개구(30)를 통해 위치시켜 접속기(22)의 탭 접촉부(32, 34)가 영역(12)내의 각 소켓 접촉부(14)와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게 된다.
제2도 내지 9도는 전기 플러그 접속기(32)를 더욱 상세히 도시한다. 접촉부 지지부재(36)는 적당한 유전재료로 성형되며 이격되어 한 표면에 위치한 리세스(38)를 가진다. 장타원형 돌기(40)가 각각의 리세스(38)에 위치된다. 직렬로 구성된 3개의 리세스(38)는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재(36)를 따라 배치된다. 환상돌기(42)는 일정한 간격을 띄워서 부재(36)의 기저면으로부터 외부로 연장한다.
신호 접촉부재(44)는 적당한 금속 원료로부터 압연되어 형성되며, 접촉부(32), 장타원형 구멍(48)을 가지는 중심부(46), 페룰(ferrule)부 또는 도체 접속부(50)를 포함한다. 각 접촉부(32)는 내부로 향한 돌기(52)에 의해 상호 간격을 띄워 유지되는 2중 금속층을 가진다. 중심부(46)는 평면이며 장타원형 구멍(48)을 통해 연장하는 장타원형 돌기(40)를 갖춘 접촉 지지부재(36)의 각 리세스(38)에 배치된다. 신호 접촉부재(44)가 압력 또는 열을 가하여 확장되는 장타원형 돌기(40)의 외부단부를 거쳐 접촉 지지부재(36)의 리세스(38)위치에 고정될 때, 접촉부(32)는 부재(36)의 전면단부로부터 세로축을 따라 외부로 연장하는 반면에, 도체접속부(50)는 리세스(38)를 포함하는 동일 평면을 따라 부재(36)의 후단부로부터 외부로 연장하게 된다.
평면부(56)가 접촉부 운반부재(36)의 기저표면에 대해 배치될때 접지 접촉부재(54)는 환형 돌기(42)와 결합용인 구멍(58)으로 배치되는 신장 평면부(56)를 가지며, 여기서 돌기(42)의 외부 단부는 압력 또는 열을 가하여 결합되어 접지 접촉부재(54)를 부재(36)상에 고정시킨다. 직렬로된 신호 접촉부와 접지 접촉부(34)의 인접 외부 접촉부는 접촉부(32)와 동일한 방법으로 접지 접촉부재(54)로부터 외부로 연장하며 접촉부재(54)는 접촉부(32)와 동일한 구조로 되어 접지 접촉부(34)가 부재(36)의 중앙에 배치시켜 접촉부(32)와 세로로 배치되도록 한다. 도체 접촉부(60)는 접지 접촉부재(54)의 평면부(56)로부터 외부로 연장하면 평면부(56)와 동일 평면에 배치되어 부재(36)의 후단부로부터 외부로 연장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신호 접촉부재(44)와 접지 접촉부재(54)가 접촉 지지부재(36)에 고정되며, 전기 접촉조립체는 접촉부재(36) 전면단부의 중앙에 배치되고 부재(36)를 따라 장치된 접촉부(32, 34)로 형성된다. 접지 접촉부(34)는 직렬인 3개의 신호 접촉부(32)의 외부 접촉부에 인접 배치되어 이러한 접촉부(32, 34)의 위치는 접촉 지지부재(36)의 전체 길이를 따라 장치된다. 신호 접촉부와 접지 접촉부의 배열은 신호 접촉부(32)를 따라 처리되는 신호 정보의 최적 분리를 확실하게 하기 위해서 한개 또는 그 이상의 신호 접촉부(32)의 각 측면에 접지 접촉부(34)를 두어서 원하는 대로 할 수 있다.
도체 접속부(50, 60)는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호에 대하여 측면으로 이격되어 있으며 각 도체 접속부(50)는 제3도와 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측면에서 도체 접속부(60)에 대하여 중앙에 이격되어 구성되어 있다.
접촉 지지부재(36)는 신호 접촉부재(44) 상호간의 간격을 띄우고, 신호 접촉부재(44)를 접지 접촉부재(54)에 대해 간격을 띄운다.
3개의 도선 동축 케이블(64)의 신호 도체(62)는 신호 접촉부재(44)의 각 도체 접속부(50)에 배치되는 반면에, 각 케이블(64)에 대한 접지 또는 드레인 도체(66)는 도체 접속부(50)의 각 측면 아래의 각 도체 접속부(60)에 배치된다. 각 케이블(64)은 한쌍의 드레인 도체(66)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외부 유전재킷(70)을 내장하는 3개의 도선 동축 케이블(64)을 형성하는 신호 도체(62)를 덮고 있는 절연외장(68)을 둘러싸는 코팅된 플라스틱 외부 도체를 갖는다. 신호 도체(62)와 드레인 도체(66)는 종래의 주름잡기(crimping) 방법에 따라 도체 접속부(50, 60)에 고정되어 신호 접촉부재(44)의 각 도체 접속부(50)에 신호 도체(62)를 접속시키고 접지 접촉부재(54)의 각 도체 접속부(60)에 드레인 도체(66)를 접속시킨다. 도체 접속부(60)는 수정한 8개의 도면구성에 있어서 인접한 케이블로부터 드레인 도체(66)를 위치시키게 된다. 원하는 경우 신호 도체(62)와 드레인 도체(66)는 레이저 대 레이저 용접을 사용하여 도체 접속부(50, 60)에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케이블(64)의 도체(62, 66)가 각각의 접촉부재(44, 54)에 접속된 후에, 접속된 조립체는 케이블 위치 지정부재를 내장하는 주형내에 위치되어 적당한 유전재료의 유전하우징(12)이 도체 접속부(50, 60)에 고정된 신호 및 접지 접촉부와 케이블(64) 단자를 내장하는 접촉 지지부재(36) 상에 성형된다. 개구(73)는 케이블 위치 지정 부재로 인하여 하우징(72)에 형성된다. 하우징(72)은 또한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촉부(32, 34)의 내부를 외장하고 간격을 띄우고 지지하도록 케이블(64)부를 외장하며 변형을 약화시킨다. 하우징(72)은 또한 단자를 환경적으로 밀봉하고 접촉부를 안정화시키고 지지하며 다른 것보다 더 두껍기 때문에 가요성 래치 부재(24)를 거쳐 플러그 접속기(22)를 분극시킨다.
접촉 지지부재(36)와 하우징(72) 재료의 유전 상수는 케이블 재료와 실제 동일하여 케이블과 접촉부재를 따라 전송되는 신호 보존을 유지한다.
가요성 래치부재(24)는 하우징(72)을 주형하는 동안에 집적 래치부재로 형성되고 각 래치부재는 접속기 수용부재의 내부 표면에 대하여 결합하는 정지 표면(74)을 포함한다. 각 가요성 부재(24)는 플러그가 간격을 띄운 돌기(20) 사이에 접속기 수용부재(16)에 삽입될 때 내부로 휘어지는 전부다리(76)와 후부다리(78)를 포함한다. 래치 부재(24)의 정지 표면(74)이 접속기 수용부재(16)의 내부 전면과 결합할 때 래치부재(24)는 표면(26)를 결합하는 래치표면(80)을 갖춘 개구(28)내로 연장하는 전부다리(76)에서 외부로 휘어져서 제9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속기 수용부재(16) 위치에 플러그 접속기(22)를 래치할 수 있게 고정시킨다.
원호형돌기(82)는 다리(76, 78)와 같이 하우징(72)에 위치되어 플러그 접속기(22)가 접속기 수용부재(16)로 이동될 때 래치부재(24)가 과잉 변형되는 것을 방지한다. 제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측에 래치부재(24)는 우측의 래치부재(24) 보다 더 두껍고 간격이 띄워진 돌기(20)는 접속기 수용부재(16)를 따라 간격이 띄워져서 접속기 수용부재(16)내에 플러그 접속기(22)의 삽입을 분극시키도록 분극 장치를 지정하여 접촉부(32, 34)가 각 전기소켓 접촉부(14)와 전기적으로 적당히 접속시킨다.
3개의 도선으로 구성된 동축 케이블(64)은 접속기 조립체에 대한 신호 접촉 접촉부재(44)와 접지 접촉부재(54)의 도체 접속부에 접속되는 것으로 도시된 반면에, 3개의 도선으로 구성된 전송 케이블은 도체를 각 측면에서 드레인 도체로부터 격리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을 이용하는 전형적인 조립체는 전기 신호를 높은 신뢰도와 균일성으로 전송원으로부터 수신 부재 또는 수신 부재로부터 전송원으로 전송시키기 위해 전기 플러그 접속기(22)에 접속될 케이블(64) 또는 전송 케이블 단부를 위한 것이다.
제10도 내지 12도는 전기 접촉 조립체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며, 여기서 접촉 지지부재(36A)는 채널(86, 88)로 구성되어 있는 도체 위치 지정부(84)를 내장한다. 채널(86)은 리세스(38A)의 중심에 배치되며, 신호 접촉부재(44A)는 장타원형 돌기(40A)를 거쳐 고정되어 케이블(64)의 신호 도체(62)가 채널(86)에 위치되며 도체 위치 지정부(84)와 결합하는 신호 접촉부재(44A)의 각 도체 접속부(90)와 결합하여 위치되게 된다. 케이블(64)의 접지 도체(66)는 각 채널(86)의 각 측면에 있는 채널(88)을 따라 위치되고 도체 위치지정부(84)와 결합된 부분(92)에서 돌기(42A)를 거쳐 접촉 지지부재(36A)상에 고정된 접지 접촉부재(54A)의 도체 접속부와 결합하여 위치된다. 도체(62, 66)는 레이저 용접 기술에 의하여 접촉부재(44A)의 도체 접속부(90)와 접촉부재(54A)의 도체 접속부(92)에 각각 용접된다. 하우징(92A)은 접속된 접촉 조립체상에 성형된다.
제13도 내지 16도는 전기 접촉 조립체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며 여기서 접촉 지지부재(36B)는 채널(96)이 한 측면에 위치되고 채널(98)이 다른 측면에 위치되는 도체 위의 지정부(94)를 내장한다. 채널(96)은 리세스(100)와 통하고 두개의 채널(96), (98)은 경사 표면을 내장하여 채널(96, 98)을 거쳐 케이블(64)의 신호도체(62)와 접지 도체(66)를 각각 유도한다.
신호 접촉부재(102)는 중심 또는 중간부(108)와 페룰부(110)보다 더 두꺼운 힘부(124)보다 두꺼운 접촉부(104)로 구성되어 있으며 먼저 압연되고 밀링된 금속 원료를 압인하여 형성시킨다. 신호 접촉부재(102)의 중간부(108), 부분적인 휨부(106)와, 페룰부(110)는 리세스(100)의 내부 단부에서 정렬 돌기(116) 사이에 배치되어 중간부(108)와 페룰부(110)의 장타원형 구멍(114)을 통해 연장하는 장타원형 돌기(112)를 갖춘 각 리세스(100)에 배치된다. 정렬 돌기(116)는 리세스(100)내에 페룰부(110)를 정렬시키며 페룰부(110)에 있는 슬롯(118)이 각각의 채널(96)과 정렬되고, 슬롯이 압입될 수 있도록 신호 도체(62) 직경보다 약간 더 작은 폭을 갖는다. 신호 접촉부재(102)가 리세스(100)에 위치된 후에, 돌기(112)는 기계적으로 또는 열적으로 변형되어 접촉부(104)에 위치한 접촉부재(102)를 고정시켜 접촉 지지부재(36B)의 전면으로부터 외부로 연장시키고 그 전면을 따라 정렬시킨다.
접지 접촉부재(120)는 중심부(126)보다 더 두꺼운 힘부(124)보다 더 두꺼운 접촉부(122)로 구성되어 있으며 먼저 압연 또는 밀링된 금속 원료로부터 압인되어 형성되며, 중심부는 슬롯(130)이 위치되는 접합부(128)를 가진다. 슬롯(130)은 만곡부(134)에서 각 개구(132)와 통하며 만곡부가 슬롯(130)과 합체될 때 각 개구는 아래로 만곡된다. 슬롯(130)의 폭은 도체(56)의 직경보다 약간 더 작아서 도체안에 고정될 수 있게된다.
평면부(126)는 구멍(136)을 가지며 접지 접촉부재(120)가 장치될 때 접촉 지지부재(36B)상의 환상돌기(138)가 연장하게 된다. 돌기(138)는 기계적으로 또는 열적으로 변형되어 부재(36B)의 전면표면을 따라 정렬되고 외부로 연장하는 접촉부(122)를 갖춘부재(36B)상에 접촉부재(120)를 고정시켜 접촉부(104, 22)를 결합시킨다. 평면부(126)는 또한 그 안에 개구(140)를 가지며 개구는 케이블의 특성 임피던스와 유사하게 되도록 조립체의 임피던스에 맞는 크기와 위치로 설계된다.
접촉부재(102, 120)가 부재(36B)에 고정된 후에, 케이블(64)의 도체(62, 66)는 채널(96, 98)에 의해 유도되어 각 접촉부재(102, 120)의 슬롯(118, 130)을 따라 위치시킨다. 이러한 도체는 슬롯(118, 130)에 고정되어 종래의 용접 발생에 의해 정위치에 레이저 용접되어 제14도와 1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기 접촉 조립체를 형성시킨다.
제1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전 하우징(142)은 하우징(72, 142)이 단일 개구(144)를 가지고 변형을 방지하도록 케이블(64)의 결합을 최소로 하는 것과 동일한 방법으로 접촉 조립체상에 성형된다. 상이한 폭을 가진 집적 가요성 래치부재(146)는 하우징(142)의 측면으로부터 외부로 연장하고 원호형 동기(148, 150)는 하우징(142)이 래치부재(146)상에 위치되어 래치부재(140)가 과도한 압축을 받는 것을 방지한다. 하우징(142)은 하우징(72)과 같은 기능을 수행하며 부재(36B)와 하우징(142)의 케이블과 플러그 부재를 따라 전송되는 신호를 보전하기 위해 케이블(64)의 유전 상수와 실제적으로 동일하다.

Claims (10)

  1. 신호 접촉부재(44, 44A, 102)와 접지 접촉부재(54, 54A, 120)가 대향측에 장착된 슬래브형 유전 접촉지지부재(36, 36A, 36B)를 포함하는 전기 접촉 조립체와, 신호 접촉부재(44, 44A, 102)와 접지 접촉부재(54, 54A, 120)의 도체 접속부(50, 60, 90, 92, 110, 128)에 각각 전기 접속된 신호 도체(62)와 접지 도체(66)를 갖는 전기 케이블(64)과, 전기 접촉 조립체상의 유전 하우징(72, 142)을 포함하는 전기 플러그 접속기에 있어서, 상기 신호 접촉부재(44, 44A, 102)의 중심부(46, 108)와 접지 접촉부재(54, 54A, 120)의 평면부(56, 92, 126)는 접촉 지지부재(36, 36A, 36B)에 고정되고, 신호 접촉부(32, 104)와 접지 접촉부(34, 122)는 접촉 지지부재(36, 36A, 36B)의 전면으로부터 외향 연장되며, 하우징(72, 142)은 하우징(72, 142)의 전부 단부로부터 하향 연장되는 신호 접촉부(32, 104)와 접지 접촉부(35, 122)를 이격 및 지지하며 케이블(64)에 응력이 걸리지 않게 하도록 케이블(64)의 일부와 접촉 조립체상에 확고히 밀봉 방식으로 외부를 감싸는 방식으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플러그 접속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접촉부(32, 104)와 접지 접촉부(34, 122)는 각각 대체로 동일 평면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플러그 접속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체 접속부(50, 60)는 상기 접촉 지지부재(36)의 후부 단부로부터 외향 연장되고 신호 도체(62)와 접지 도체(66)는 주름 잡기에 의해 고정되고 용접되는 페룰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플러그 접속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체 접속부(90, 92)는 신호 도체(62)와 접지 도체(66)가 연장되고 도체 접속부(90, 92)에 용접된 채널(86, 88)을 갖는 접촉 지지부재(36A)의 도체 위치 지정부(84)에 인접하여 위치되는 평면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플러그 접속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접촉부재(102)의 도체 접속부(110)는 슬롯(118)을 갖는 페룰부재(110)이고, 상기 접지 접촉부재(120)의 도체 접속부(128)는 슬롯(130)을 갖는 평면부재이며, 상기 페룰부재(110)와 상기 평면부재는 신호 도체(62)와 접지 도체(66)가 연장되는 채널(96, 98)을 가지며 슬롯(118, 130)내에 위치되고 상기 페룰부재와 상기 평면부재(128)에 용접되는 접촉 지지부재(36B)의 도체 위치 지정부(94)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플러그 접속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접촉부(32)와 접지 접촉부(34)는 뒤로 굳혀진 금속층으로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플러그 접속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지지부재(36, 36A, 36B)는 신호 접촉부재(44, 44A, 102)의 중심부(46, 108)의 장타원형 구멍(48, 114)을 통해 연장되는 장타원형 돌기(40, 40A, 112)를 가지며, 접촉 지지부재(36, 36A, 36B)의 원형돌기(42, 42A, 138)는 접지 접촉부재(54, 54A, 120)의 평면부(56, 92, 126)의 구멍(58, 126)을 통해 연장되고, 장타원형 돌기(40, 40A, 112)와 원형 돌기(42, 42A, 138)의 외부 단부는 신호 접촉부재(44, 44A, 102)와 접지 접촉부재(54, 54A, 120)을 접촉 지지부재(36, 36A, 36B)에 고정하도록 비틀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플러그 접속기.
  8. 제1항에 있어서, 하우징(72, 142)은 가요성 래치 부재(24, 146)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플러그 접속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 부재(24, 146)는 다른 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플러그 접속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접촉부(104)와 접지 접촉부(122)는 속이 찬 막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플러그 접속기.
KR1019830005430A 1982-11-17 1983-11-16 전기 플러그 접속기 KR91000302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44247282A 1982-11-17 1982-11-17
US442472 1982-11-17
US442,472 1982-11-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6734A KR840006734A (ko) 1984-12-01
KR910003022B1 true KR910003022B1 (ko) 1991-05-15

Family

ID=237569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30005430A KR910003022B1 (ko) 1982-11-17 1983-11-16 전기 플러그 접속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S60109186A (ko)
KR (1) KR91000302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35122B2 (ja) 2003-08-06 2007-06-20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US8905767B2 (en) * 2013-02-07 2014-12-09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Cable assembly and connector module having a drain wire and a ground ferrule that are laser-welded togeth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S60109186A (ja) 1985-06-14
KR840006734A (ko) 1984-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26443A (en) Contact subassembly for an electrical connector and method of making same
US4602831A (en) Electrical connector and method of making same
US4682840A (en) Electrical connection and method of making same
US5855493A (en) Electrical connector strain relief with shield ground for multiple cables
US6050845A (en) Electrical connector for terminating insulated conductors
KR100256927B1 (ko) 고속 케이블의 차폐부 접속 시스템
JP2525660B2 (ja) 電気コネクタ組立体およびそれに使用する成端カバ―
US7377803B2 (en) Connector and connector system
US6773286B1 (en) Space-saving cable connector assembly with blind mate structure
US4737117A (en) Double-row electrical connector and method of making same
US20070099504A1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having improved locking mechanism
JPH10223269A (ja) 圧接コネクタ
EP0112019B1 (en) Electrical plug connector
KR20060050386A (ko) 커넥터 및 케이블 리테이너
US7878850B2 (en) Cable connector assembly with grounding device
KR940016993A (ko) 단자 정렬 시스템을 갖는 전기 커넥터 조립체
JPH0765915A (ja) 電気コネクタ
TWM631678U (zh) 整體屏蔽式電纜連接器
JPH0828252B2 (ja) 電気コネクタ組立体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60135054A (ko) 커넥터 및 그 결선 방법
US6059601A (en) Single-sided press-pinching connector and a method of making same
US6142815A (en) Electrical interface connector
EP0852832A1 (en) Electrical connector strain relief with shield ground for multiple cables
KR910003022B1 (ko) 전기 플러그 접속기
JP2007234490A (ja) 同軸ケーブル用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0412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