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1810B1 - 필기구 어셈블리와 어셈블리 방법 - Google Patents

필기구 어셈블리와 어셈블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1810B1
KR960001810B1 KR1019890005116A KR890005116A KR960001810B1 KR 960001810 B1 KR960001810 B1 KR 960001810B1 KR 1019890005116 A KR1019890005116 A KR 1019890005116A KR 890005116 A KR890005116 A KR 890005116A KR 960001810 B1 KR960001810 B1 KR 9600018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ove
insert
writing instrument
cap assembly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051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15886A (ko
Inventor
브이. 보세 스텝헨
브이. 로제아우 로버트
에이. 파아머 로렌스
Original Assignee
에이. 티. 크로스 캄파니
러쎌 에이. 보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 티. 크로스 캄파니, 러쎌 에이. 보스 filed Critical 에이. 티. 크로스 캄파니
Publication of KR8900158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158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18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18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5/00Attaching writing implements to wearing apparel or objects involving constructional changes of the imp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5/00Attaching writing implements to wearing apparel or objects involving constructional changes of the implements
    • B43K25/02Clips
    • B43K25/022Clips attached to a pen ca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13Article holder attachable to apparel or body
    • Y10T24/1321Pencil
    • Y10T24/1324Clasp attached
    • Y10T24/1353Pivoted jaw pencil holder

Landscapes

  • Clips For Writing Implements (AREA)
  • Pens And Brushes (AREA)
  • Mechanical Pencils And Projecting And Retracting Systems Therefor, And Multi-System Writing Instruments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필기구 어셈블리와 어셈블리 방법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필기구 캡의 단면도.
제2도는 제1도의 2-2선에 따른 단면도.
제3도는 제1도에 도시된 클립의 횡단면도.
제4도는 제3도에 도시된 클립을 상부측에서 바라본 평면도.
제5도는 제3도에 도시된 클립을 하부측에서 바라본 평면도.
제6도는 제1도에 도시된 캡의 정면도.
제7도는 제1도의 어셈블리를 구성하는 요소인 원통슬리브의 정면도.
제8도는 제7도의 원통슬리브를 하부측에서 바라본 평면도.
제9도는 제1도의 어셈블리를 구성하는 요소인 피봇 인서어트의 정면도.
제10도는 제6도의 캡, 제7도의 원통슬리브, 그리고 제9도의 피봇 인서어트를 각각 부분 파쇄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
제11도는 본 발명에 있어서 피봇링이 플라스틱 피봇 인서어트에 끼워져 안착된 상태를 나타낸 확대단면도.
제12도는 본 발명에 있어서 피봇링이 안착되기전 인서어트에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 확대단면도.
제13도는 제9도에 도시된 피봇 인서어트의 사시도.
제14도는 제9도의 피봇 인서어트를 하부측에서 바라본 평면도.
제15도는 제9도의 피봇 인서어트를 제13도의 반대방향 위치에서 부분 절단하여 도시한 사시도.
제16도는 본 발명의 필기구 캡 어셈블리를 갖는 필기구의 일부 파쇄 사시도.
제17도는 제16도의 필기구 상부측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
제18도는 본 발명에 따른 필기구 캡 어셈블리의 각 부분을 일부 절단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
제19도는 본 발명의 요소인 클립의 양측면부 경사면을 나타낸 확대단면도.
제20도는 플라스틱 인서어트에 링을 안착시키기 위한 작업상태도.
본 발명은 필기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필기구를 위한 포켓클립 메카니즘을 갖는 캡 어셈블리(cap assembly)를 새롭게 개선한 것이고, 그 어셈블리를 조립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포켓클립은 필기구의 캡이나 몸체에 일측이 개방된 형태로 고정되어, 필기구를 옷이나 양복주머니등에 끼워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와같은 클립들은 가늘고 플렉시블한 금속이나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서 필기구 몸체로부터 클립사이에 포켓 섬유의 두께만큼 충분한 여유를 갖도록 휘어짐이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고급형의 필기구들은 필기구 자체의 성능뿐만이 아니고 외형상에 있어서도 마치 귀금속과 같이 산뜻한 디자인이 수반되어 사용자의 옷이나 형태에 어울리는 악세사리의 일종으로 설계된다. 이와같은 점의 하나로서 필기구의 포켓클립은 예를들어 의복주머니의 두께가 얇은 경우에 필기구의 지지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거울에 사용하는 두꺼운 스포오츠 코우트 등에도 그 사용이 가능해야 한다.
그러나 일반적인 클립은 상기와 같이 두꺼운 옷에 반복 사용하는 경우 클립 자체의 탄성력 한계를 넘은 하중을 전달받게 되어 클립이 망가지거나 파손되는 경향이 많았다.
이와같은 현상은 탄성력이 작고 필기구의 몸체로부터 쉽게 휘어지지 않은 사각단면을 갖는 클립의 경우에는 더욱 심하였다. 따라서 필기구를 위한 클립은 얇은 옷이나 두꺼운 옷에도 사용이 가능하고, 심미감을 해치지 않는 대량생산과 고도의 기능을 갖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근자에는 피봇 포인트(pivot point)에 의하여 작동을 실시하는 클립의 구조로 된 약간의 필기구들이 알려져 있다.
피봇 클립의 기본적인 디자인에 대해서는 미국 특허번호 제1,339,359호와 제1,863,016호에 밝혀져 있다.
또한, 더욱 상세한 구조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다.
예를들어 미국 특허번호 제1,808,045호에 명시되어 있는 구조는 필기구 몸체에 클립을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도록 한 특징을 갖고서, 클립이 만년필 캡이나 몸체상에 형성된 홈내에 일측을 힌지점으로 하여 설치되도록 하고 있다.
이와같은 기능을 갖는 다른 종류의 클립으로는 미국 특허번호 제3,075,496호나 제4,551,034호와 같이 필기점을 축소시키거나 연장시키도록 된것도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조들의 단면적을 갖는 클립에 있어서는 그 사용이 적합하지 않거나 신뢰성이 떨어지고, 다수의 부품으로 구성되는 클립의 경우에는 충분한 조립공차를 발휘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종래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피봇가능한 클립을 갖는 필기구의 캡 어셈블리로서 심미감을 해치지 않는 대량생산이 가능하고 고도의 기능을 갖는 어셈블리의 조립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캡 어셈블리는 캡에 형성된 관통홈을 통하여 걸어지는 클립의 상측 저면부로 탄성력을 부가하는 스프링을 갖는다. 캡 내측으로는 클립의 돌출편상에 형성된 후크로 피봇링이 걸어지게 된다.
이 피봇링은 플라스틱 피봇 인서어트를 통하여 끼워지는데, 플라스틱 피봇 인서어트는 캡내에 삽입되는 금속재질로 된 원통슬리브내로 삽입 고정된다.
압축스프링은 피봇 인서어트의 스프링홀에 끼워져 클립의 선단 돌출편의 상측 저면부를 탄력적으로 밀게된다.
클립은 피봇링을 피봇점으로 하여 클립의 상단부에 탄력적으로 끼워진 스프링에 힘을 가하면서 클립의 하단부가 캡으로부터 떨어지도록 설계된다.
압축스프링은 항상 탄성력을 유지하면서, 클립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클립의 상부측을 밀어 클립이 캡과 평행선상을 유지하도록 해준다.
따라서 이와같은 피봇운동은 클립이 두꺼운 의복에 끼워지게 되는 경우에도 파손되지 않으며, 얇은 의복의 사용시에도 용이한 클립운동을 실시하게 된다.
피봇링은 대략 초음파 인서어팅 작업에 의하여 피봇 인서어트에 삽입 고정된다.
캡 어셈블리의 조립방법은, 먼저 원통형 슬리브를 캡내에 끼운 후, 슬리브의 절결홈이 캡의 관통홈과 일치하도록 하면서 슬리브를 캡에 강제 압입시켜 준다.
다음으로, 피봇 인서어트를 인서어트의 장홈이 슬리브의 절결홈 및 캡의 관통홈과 일치되도록 하여 슬리브내로 끼워준다.
피봇 인서어트는 피봇 인서어트 상단부가 캡과 슬리브의 개방 상면을 관통하여 돌출되는 상측부 구조에 의하여 캡에 고정된다.
이 상태에서 클립을 캡의 외측으로부터 캡의 돌출편과 후크를 캡내로 삽입하여 캡상에 설치하여 준다.
후크는 삽입홈과 주둥이 형상의 돌기편이 형성되어 있고, 이 삽입홈으로 피봇링이 작업공구에 의하여 끼워지게 된다.
또한, 링은 초음파 용접 가공에 의하여 삽입홈내로 안착됨과 동시에 피봇 인서어트의 자체 재질에 의해 걸림턱이 형성되면서 고정된다.
이와같은 본 발명의 구조에 의하여 필기구용 캡 어셈블리는 바(bar) 타입의 포켓클립을 구비하게 되고, 상기와 같은 클립은 피봇점이 캡내부에 형성되어 외부에서 보이지 않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조 및 조립기술은 클립의 작동시에 클립과 캡의 관통홈 상호간에 마찰을 발생하지 않고 부드러운 작동을 할 수 있게 됨에 따라 클립이 손상을 입지 않으면서 원활한 피봇 운동을 실시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필기구의 구조 및 그 조립방법 그리고 이에따른 효과를 첨부도면과 함께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필기구 캡 어셈블리의 단면도로서, 캡 어셈블리는 원통캡(10), 원통캡(10)내로 삽입되는 원통슬리브(40), 원통슬리브(40)내로 고정되는 피봇 인서어트(50) 그리고 원통캡(10)의 관통홈(15)을 통해 피봇 인서어트(50)에 안착되는 피봇링(30)에 걸어지는 포켓클립(20)을 갖는다.
제3도 및 제5도에 도시된 포켓클립(20)은 외형상 가늘고 긴 암(22)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내향 돌출된 멈춤편(24)은 암(22)의 하단부 라운드 부근으로 클립(20)의 하부측에 형성된다.
멈춤편(24)에는 캡(10)의 외주면과 밀착 접속하는 원호상 접촉면을 형성하여, 예를들어 캡(10)을 포켓에 끼울 경우 캡의 접촉면적을 증가시키면서, 멈춤편(24)의 내측부 형상이 캡(10)의 외주면과 대향하는 동일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포켓에 끼워지는 필기구의 지지력을 향상시켜 주게 된다.
원호상 저면부(26)는 암(22)의 상측면(27)부인 클립(20)의 저면과 내측면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클립(20)의 상측면(27)은 클립의 상면과 상측면을 기준으로 하여 90도 이상의 각도를 갖도록 경사져 있다.
클립(20)의 상측면(27)과 상면(21) 사이로 각을 이루는 모서리는 라운딩 처리되어 있다.
피봇 역할을 수행하는 후크(28)는 저면부(26)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있다.
후크(28)는 클립(20)의 하부측을 향하여 개방되어 피봇링(30)이 걸어지는 힌지홈(25)을 갖는다.
제4도 및 제5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후크(28)의 단폭은 단면도상에서 클립의 폭에서 후크의 폭을 제외한 공간부보다 약간 작은 크기를 갖고서 돌출 형성되어 있다.
멈춤편(24)과 상부측 원호상 저면부(26) 사이의 암(22) 중앙부는 대략 직사각형 단면형상을 갖고서 자체 두께보다 넓은 폭을 갖도록 형성된다.
클립의 하부측은 후크를 제외하고는 대략 정사각형의 단면형상을 갖는다.
제6도에 도시된 캡(10)은 원통형 실린더 형상으로 얇은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다.
캡(10)은 개방되어진 상부측(14)와 하부측(12) 사이로 긴 튜우브 형상의 축공(13)을 가지고, 상측부(14)의 선단은 원추형으로 경사 절곡된 원추선단부(16)를 갖는다.
원추선단부(16)에 근접하여 캡(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캡(10)의 원주면상에는 내부와 관통되는 직사각형의 관통홈(15)을 형성하였다.
이 관통홈(15)은 클립(20)의 후크(28)와 상측 원호상 저면부(26)의 크기를 고려하여 적당한 사이즈로 형성되며, 관통홈(15)을 통하여 제1도와 같이 클립(20)이 캡(10)의 외측으로부터 캡 내측인 축공(13)으로 캡(10)상에 피봇운동을 실시할 수 있도록 끼워진다.
클립(20)의 후크(28) 일측부인 상측 원호상 저면부(26)의 반대편으로는 저면 모서리를 따라 스커어트(19)를 충분한 길이로 형성하여 이 부분은 항상 관통홈(15)내로 존재하도록 해준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관통홈(15)의 형상은 직사각형으로 선택하였다. 그러나 이와같은 관통홈의 형상은 여러가지 클립의 형태에 따라,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원통슬리브(40)는 캡(10)의 전체 길이보다 짧은 원통체로 형성된다.
원통슬리브(40)는 상하측이 모두 개방된 끝단부(42)(44) 사이로 중앙통로(43)를 형성한다.
원통슬리브(40)는 원주면상에는 사각 절결홈(45)을 형성한다.
원통슬리브의 내측으로는 원주면을 따라 적정간격을 갖는 다수의 리브(47)를 슬리브의 길이방향에 맞추어 형성한다.
제7도 및 제8도에 도시된 바와같은 다수의 리브(47)들은 슬리브의 길이방향에 따라 적정간격으로 내측 원주면상에 배치되어진다. 원통슬리브의 상측단(44)부에는 내향 절곡된 링플렌지(48)를 형성함과 함께 그 중앙부로는 중앙홀(49)을 형성한다.
제16도 및 제17도에 도시된 원통슬리브(40)는 접속연결부를 갖고서 펜/연필 메카니즘을 작동시키거나 또는 몸통체(70)를 캡에 연결고정시켜 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원통슬리브(40)는 캡에 강압적으로 끼워져 다음에 설명하는 바와같은 피봇 인서어트의 위치 고정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원통슬리브(40)의 상부측은 경사를 갖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피봇 인서어트(50)와 피봇링(30)에 탄성력을 부가함과 동시에 피봇 인서어트(50)의 외주면과 원통슬리브(40)의 내주면 사이에 회전현상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하여 주게 된다.
피봇 인서어트(50)는 원통형 플라스틱 플러그 형상으로 원통슬리브(40)의 중앙통로(43)에 끼워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피봇 인서어트(50)의 외주면에는 인서어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오목홈(62)이 일정간격으로 다수 형성되어 있다.
피봇 인서어트(50)에는 압축스프링(32)이 끼워지는 스프링홈(51)이 형성되고, 피봇링의 후방으로는 장홈(53)이 형성된다.
장홈(53)은 클립의 후크(28)가 끼워지는 통로역할을 수행한다. 인서어트(50)의 내부에는 인서어트 총길이의 1/2길이 만큼의 중앙홀이 인서어트의 하면(52)으로부터 형성되어 있다.
이 중앙홀은 내측부로 단계적인 두개의 각기 다른 내경을 갖도록 형성되는데, 예를들어 하부홀(55)은 상부홀(57)의 내경에 비하여 약간 크게 형성되어진다.
인서어트(50)의 최상부에는 고정을 위한 보스(54)가 형성되어 있다.
인서어트(50)의 전체길이는 원통슬리브(40)에 비하여 작다.
피봇 인서어트(50)의 상면부인 평탄면(60) 상에는 스프링홀(51)과 장홈(53)이 형성되어 있다.
이 평탄면(60)은 인서어트(50)의 중심선상에 대하여 일정각도를 갖도록 경사져 있다.
상측단(56)부로 향하는 평탄면(60)의 경사는 클립(52)의 피봇운동에 따른 멈춤작용을 위하여 형성되어 있다.
또한, 평탄면(60)의 경사각도는 클립(20) 저면부(26)의 다양한 크기의 여유공간을 부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피봇 인서어트(50)는 대략 내마모성과 내구성이 좋은 폴리아세탈(polyacetal)등의 플라스틱 재질로서 형성된다.
돌기부(61)들은 피봇링(30)의 안착을 위하여 백네트면(58)상에 형성된다.
이 돌기부(61)들은 백네트면(58)으로부터 중앙하부홀(55)을 향하도록 돌출 형성되어 있다.
제19도와 같이 클립(20)의 양측면은 작동중에 긁힘을 감소시켜 주기 위하여 경사져 있다.
클립 양측면의 상단면(63)은 1차 경사각을 갖도록 형성하여 조립후에도 경사면이 보일 수 있도록 하였으며, 클립 양측면의 하단면(64)은 2차 경사각을 갖도록 형성하여 주었다.
클립의 상측면(27)부에 존재하는 양측면부의 상단면(63)은 클립의 아래쪽 하단부가 캡의 원주면상으로부터 떨어짐에 따라 캡 내부로 들어가게 된다.
따라서 상단면(63)의 경사부분은 클립의 상부측이 캡내로 이동하는 경우 캡과 클립간에 마찰이 일어나지 않도록 공간부를 형성하여 상호간의 접촉을 막아주게 된다.
클립 양측면의 하단면(64)은 캡의 관통홈내로 클립이 항상 정확히 위치하도록 하는 조정역할을 수행함과 함께 클립이 캡상에 일직선을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필기구 캡 어셈블리를 조립하기 위해서는 먼저 원통슬리브(40)를 캡(10)내로 끼워 캡(10)의 원추선단부(16)측으로 원통슬리브(40)를 강압적으로 삽입시켜 준다.
그리고 원통슬리브(40)의 중앙홀(49)을 통해 피봇 인서어트(50)의 보스(54)를 끼워 피봇 인서어트(50)의 상단 어깨턱(56)이 원통슬리브(40)의 링플렌지(448)에 걸리는 위치까지 삽입시켜 준다.
이때, 원통슬리브(40)의 내주면상에 형성된 리브(47)는 플라스틱 피봇 인서어트(40)의 외주면상에 형성된 홈(62)과 걸림작용을 하면서 회전을 방지하여 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피봇 인서어트(50)에 형성된 장홈(53)과 스프링홈(51)은 캡(10)에 형성된 관통홈(15) 및 원통슬리브(40)의 직사각형 절결홈(45)과 일치하게 된다.
장홈(53)의 크기는 후크(28)의 폭과 장홈(53)과 근접하는 인서어트(50)의 양측면 폭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선정한다.
인서어트(50)는 보스(54)에 체결되는 캡너트(34)에 의하여 고정된다.
본 발명에서는 보스(54)와 캡너트(34)에 각각 나사부를 형성하여 체결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보스(54)와 캡너트(34)간의 고정은 나사부를 이용하지 않고 용접 또는 접착기술을 이용할 수 있으며, 이미 잘 알려진 수단인 푸쉬-너트 연결 방법에 의해서도 가능한 것이다.
압축스프링(32)을 직사각형 절결홈(45)과 관통홈(15)을 통하여 인서어트의 스프링홈(51)에 끼운다.
스프링(32)은 이미 기설정된 클립(20)의 피봇점인 후크(28)와 클립(20)의 상측면(27) 사이로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클립(20)이 캡(10)으로부터 벌어지는 경우에는 스프링의 자체 탄성력에 의하여 반발력을 갖게 된다.
다음으로, 클립(20)의 후크(28)를 인서어트(50)의 장홈(53)으로 끼워준다.
이시점에서 클립(20)은 이미 피봇링(30)으로 길어지는 위치상에 놓여지게 된다.
피봇링(30)을 캡의 하단 입구(12)와 인서어트(50)의 상부홀(57)을 통하여 후크(28)의 힌지홈(25)으로 걸어준다.
이와같은 상태에서 제20도와 같이 끝단이 링(30)과 대향하는 형상으로 굴곡 형성된 작업공구(80)를 링이 위치하는 클립의 후크측으로 압입시켜 준다.
이때, 작업공구(80)에는 클립 후크(28)의 공간부를 부여하기 위하여 홈(82)이 형성되어 있다.
링(30)이 작업공구인 초음파 혼(horn)과 접촉하게 되면, 기설정된 일정길이 만큼 작업공구를 계속 삽입시켜 준다. 이에따라 초음파 에너지가 작동하면서 작동공구에 의해 이미 알려진 기술방법에 의해 링의 안착작업이 진행된다.
초음파 에너지의 양, 작동범위, 압력 그리고 시간등은 작업상태에 따라 적절하게 변동 가능한 것이다.
피봇링(30)의 기능은 클립(20)의 회전과 적절한 피봇 위치선정에 따른 축의 작동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피봇링(30)은 여러가지의 이유로서 다른 형태인 핀타입과 비교하여 여러가지의 독특한 기능을 갖는다.
첫째, 링(30)은 필기구의 외경에 거의 근접하여 피봇점을 구성하기 때문에 힘의 손실을 극소화하고, 따라서 축상의 힘이 원통슬리브와 캡(10)에 전달된다.
둘째, 클립(20)의 저면부로부터 돌출된 후크(28)는 제작작업시의 냉간 압인가공에 의하여 형성이 가능하다.
이와같은 성질은 클립(20)의 복잡성을 감소시켜 준다.
또한, 피봇 인서어트(50)에 요구되는 장홈(53)의 사이즈를 감소시켜 주고 인서어트의 강도를 증가시키게 된다.
링(30)의 반경은 피봇 인서어트(50)의 내경에 따라 변경 가능하다.
링(30)은 다른 부품의 조립후에도 삽입작업이 가능하고, 선조립 작업과 무관하게 초음파 작업에 의하여 정해진 위치로 링을 안착시킬 수 있다.
링(30)은 후크(28)의 힌지홈(25)에 링(30)이 완전히 안착될때까지 초음파 작업에 의해 용접된다.
이와같이 안착되는 피봇링(30)은 제1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부홀(57)과 돌기부(61) 자체의 재질을 이용하여 초음파 작업으로 링(30)을 완전히 고정시켜 주는 것이다.
후크에 형성된 주둥이 형상의 돌기편(29)은 후크의 삽입홈에 끼워진 링(30)을 지지하면서 힌지부를 구성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링의 위치는 어셈블리내의 기설정된 일부 부품요소의 위치가 아니고, 예를들어 인서어트의 삽입홈이 아닌, 정확하게 이야기하면 클립이 내부로 결합되어 클립(20)의 피봇운동을 실시하는 피봇점이 되는 것이다.
이와같은 조립기술과 구조적인 배열은 클립이 캡의 사각관통홈을 통하여 항상 정확한 위치를 설정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하여 다른 캡 어셈블리의 다른 요소들간에 공차가 발생하는 경우에도 링의 위치조정과 고정작업이 연관되는 각 부품들간의 조립후에도 실시가 가능해진다.
본 발명과 같이 노출되지 않는 피봇은 필기구의 외형을 귀금속 스타일을 갖도록 해주고 필기구의 전체 형상을 아름답게 해주게 된다.
피봇 포인트 작동은 클립(20)의 최하단부가 캡(10)으로부터 벌어지는 경우 클립(20)의 최상단부는 캡내로 들어가도록 되어 있다.
이것은 클립(20)의 하단부가 벌어짐과 함께 상단부를 눌러주는 것이 되는 것이다.
이와같은 동작은 필기구를 주머니나 혹은 두꺼운 의복등에도 쉽게 끼워질 수 있도록 해주게 된다.
이때, 압축스프링(32)은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하여 클립의 정상 운동에 따른 지지력을 발생시켜 줌과 동시에 압축스프링 자체의 안정성을 구비하여 클립에 무리한 힘이 가해지거나 파손되는 요소를 감소시켜 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만일 클립(20)에 과다한 힘이 부가되는 경우에는 클립(20)의 상측부가 캡(10)내로 유입되면서 클립(20)의 일부가 캡(10)으로부터 빠져나오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이와같은 구조는 손상된 클립이나 스프링의 교체가 가능하여 피봇링을 제거하고 손상된 부분은 캡으로부터 빼낸 후, 다시 새로운 부품으로 재조립이 가능한 것이다.
이때 피봇링은 교체조립시에 위치조정이 이루어지면서 피봇 인서어트에 형성된 본래의 삽입홈에 안착되는 위치보다 재조립시 약간 후퇴하게 된다.

Claims (24)

  1. 필기구의 캡 어셈블리의 구성이 : 외주면상으로부터 내측으로 통하는 관통홈이 일측부상에 형성된 원통체; 긴 장봉 형태의 몸체와 몸체의 상측부에 상기 원통체의 관통홈으로 끼워지는 돌출편을 가지며 상측부의 반대측인 하측부로는 상기 원통체의 원주면과 접속하는 멈춤편을 갖도록 형성된 포켓클립; 몸체상에 상기 원통체의 관통홈과 일치하는 장홈과 함께 스프링홈이 형성된 인서어트; 상기 장홈으로 끼워지는 후크와 상기 후크에 힌지홈이 형성되어진 포켓클립의 돌출편; 상기 인서어트 내부를 통해 상기 힌지홈으로 끼워져 안착되는 링; 상기 후크와 돌출편을 기준으로 링의 반대편인 클립의 상측단 사이에 위치하는 인서어트의 스프링홈에 설치되어 클립이 원통체와 수평을 이루면서 클립의 하단 멈춤편이 원통체와 접속하도록 포켓클립의 상측 저면부측으로 탄성력을 부가하는 탄성수단들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 캡 어셈블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의 하단부 멈춤편이 원통체의 외주면과 대향하는 동일한 접속면을 갖도록 형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 캡 어셈블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서어트가 기설정된 위치상에서 상기 링의 안착을 위해 인서어트 내에 고정수단을 형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 캡 어셈블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링을 고정위치상에 안착하기 위하여 상기 고정수단내에 상기 링이 부분적으로 지지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 캡 어셈블리.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링이 고정을 위한 상기 고정수단들에 의하여 상기 링이 안착 고정되도록 됨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 캡 어셈블리.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인서어트가 실린더형 플라스틱 플러그로서 링이 통과하는 중앙홀을 가지고, 상기 중앙홀의 내주면상에는 다수의 고정돌기로 이루어진 상기 고정수단을 갖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 캡 어셈블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체의 내주면과 상기 인서어트의 외주면 사이로 원통슬리브를 끼우고, 상기 원통슬리브는 상기 관통홈 및 장홈과 일치하는 절결홈을 갖도록 구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 캡 어셈블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슬리브의 내주면상에는 슬리브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리브를 형성하고, 상기 인서어트의 외주면 상으로는 원통슬리브의 리브와 대향하는 오목홈을 각각 형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 캡 어셈블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가 원통슬리브의 내주면상에 일정등간격을 갖고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 캡 어셈블리.
  10. 제9항에 있어서, 일정등간격을 갖고서 원주상에 형성되는 상기 리브가 다수의 복합 리브들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 캡 어셈블리.
  11. 제1항에 있어서, 원통체의 관통홈이 반대측 원주면상에 평행되게 형성되도록 구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 캡 어셈블리.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홈이 직사각형 관통홈 형상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 캡 어셈블리.
  13. 제12항에 있어서, 원통체와 상기 인서어트 사이로 원통슬리브를 끼워 구성함과 함께 상기 원통슬리브에는 상기 관통홈과 상기 장홈과 일치하는 직사각형 절결홈을 형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 캡 어셈블리.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수단이 탄성스프링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 캡 어셈블리.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의 내주면상에 상기 인서어트와 접속하는 길이방향의 다수 리브를 형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 캡 어셈블리.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가 원주상을 따라 등간격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 캡 어셈블리.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서어트가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링은 상기 인서어트에 초음파를 통해 안착되도록 됨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 캡 어셈블리.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서어트가 상기 원통체에 고정되기 위한 수단을 갖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 캡 어셈블리.
  1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링이 분할링(split ring)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 캡 어셈블리.
  20. 필기구 캡 어셈블리의 구성이 : 직사각형 관통홈을 갖는 원통체, 관통홈과 일치하는 직사각형 절결홈을 갖고서 원통체로 압입, 고정되는 슬리브, 절결홈과 일치하는 직사각형 장홈을 갖고서 슬리브에 삽입 고정되는 플라스틱 인서어트, 상기 인서어트는 내부로 상기 장홈과 통하는 원형단면의 중앙홀을 가지고 링은 상기 장홈과 근접하는 상기 중앙홀내로 설치되며, 포켓클립은 관통홈과 절결홈을 통해 끼워지는 돌출편을 갖고 돌출편은 홈이 형성된 후크를 포함하며, 링은 홈에 끼워져 인서어트 내에 안착되고, 인서어트에는 클립을 정지상태로 유지시켜주는 탄성수단을 갖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 캡 어셈블리.
  21. 외주면상에 관통홈을 갖는 원통체로서 캡의 상, 하면은 각각 개방되고, 상부측은 경사면을 갖도록 된 캡 어셈블리의 조립방법을 : 장홈과 장홈의 축선상으로 장홈에 근접하여 형성된 홀을 갖는 인서어트를 구비하고; 원통체의 상부 개방부를 통해 인서어트 상측이 돌출되도록 인서어트를 원통체에 삽입하고; 관통홈과 장홈을 상호 일치시키고; 스프링을 인서어트의 홀에 끼우고; 캡상에 관통홈과 장홈을 통하여 홈이 형성된 포켓클립의 후크를 끼워 포켓클립을 장착하고; 링을 인서어트를 통해 후크의 홈에 삽입시켜 주고 링을 인서어트에 안착시키도록 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 캡 어셈블리의 조립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링을 인서어트에 초음파 작업에 의하여 안착시킬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 캡 어셈블리의 조립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절결홈을 갖는 원통슬리브를 형성하여 인서어트를 원통체에 삽입하기 전에 원통슬리브를 먼저 삽입하고, 이어서 인서어트를 삽입하여 관통홈, 절결홈 그리고 장홈이 일치하도록 조립함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 캡 어셈블리의 조립방법.
  24. 제23항에 있어서, 링의 안착 작업전에 캡에 인서어트를 고정하는 작업을 선행하도록 됨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 캡 어셈블리의 조립방법.
KR1019890005116A 1988-04-18 1989-04-18 필기구 어셈블리와 어셈블리 방법 KR96000181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7/182854 1988-04-18
US07/182,854 US4837900A (en) 1988-04-18 1988-04-18 Pocket Clip assembly and assembly metho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5886A KR890015886A (ko) 1989-11-27
KR960001810B1 true KR960001810B1 (ko) 1996-02-05

Family

ID=226703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05116A KR960001810B1 (ko) 1988-04-18 1989-04-18 필기구 어셈블리와 어셈블리 방법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4837900A (ko)
EP (1) EP0338280B1 (ko)
JP (1) JPH0686159B2 (ko)
KR (1) KR960001810B1 (ko)
AR (1) AR247850A1 (ko)
BR (1) BR8901857A (ko)
CA (1) CA1295969C (ko)
DE (1) DE68903777T2 (ko)
ES (1) ES2036734T3 (ko)
IE (1) IE63240B1 (ko)
MX (1) MX16738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115075T3 (es) * 1992-08-28 1998-06-16 Bic Corp Instrumento de escritura retractil provisto de recambio reemplazable.
US5336006A (en) * 1992-10-09 1994-08-09 Bic Corporation Retractable writing instrument having replaceable cartridge
US5570965A (en) * 1995-09-01 1996-11-05 C & J Jewelry Co., Inc. Writing instrument clip assembly
DE29814815U1 (de) * 1998-08-11 1998-10-15 Rotring International Gmbh & Co Kg, 22525 Hamburg Schreibgerät
US6371677B1 (en) * 2001-05-16 2002-04-16 Alvin Lee Jewelry, Inc. Molded pen cap with biasing clip
US6799918B1 (en) 2003-09-16 2004-10-05 William L. Scolnik Selecting weight and balance in writing implements
JP5108265B2 (ja) * 2006-08-11 2012-12-26 ゼブラ株式会社 クリップの取付構造
JP5108460B2 (ja) * 2007-11-05 2012-12-26 ゼブラ株式会社 筆記具
JP5205200B2 (ja) * 2008-10-01 2013-06-05 ゼブラ株式会社 開閉操作機能付クリップの支持構造
JP5284899B2 (ja) * 2009-07-28 2013-09-11 ゼブラ株式会社 筆記具
WO2015028440A1 (en) * 2013-08-29 2015-03-05 Sanofi-Aventis Deutschland Gmbh Cap assembly for a drug delivery device and drug delivery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3029A (en) * 1907-04-15 1907-08-13 John Holland Gold Pen Co Clip for pen-caps.
US883767A (en) * 1907-05-15 1908-04-07 Albert Kasan Watts Pocket-clip for fountain-pens and pencils.
US884865A (en) * 1907-06-27 1908-04-14 Edward L Sands Pen and pencil holder.
US1863016A (en) * 1929-12-05 1932-06-14 Krause Henry Clip for fountain-pen caps, pencils and the like
US2541855A (en) * 1946-04-18 1951-02-13 Autopoint Co Clip assembly
FR970151A (fr) * 1948-08-03 1951-01-02 Agrafe de sûreté, notamment pour capuchon de stylographe
FR1009170A (fr) * 1950-01-26 1952-05-26 Agrafe élastique, notamment pour capuchon de stylographe
GB853896A (en) * 1958-09-16 1960-11-09 Thomas Lawson Wallace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retaining means for fountain pens and the like
FR1304105A (fr) * 1961-08-07 1962-09-21 Fagard A J & Cie Dispositif de fixation d'agrafe sur un capuchon de stylograph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5886A (ko) 1989-11-27
BR8901857A (pt) 1989-11-28
DE68903777T2 (de) 1993-05-06
IE63240B1 (en) 1995-04-05
DE68903777D1 (de) 1993-01-21
EP0338280B1 (en) 1992-12-09
JPH0686159B2 (ja) 1994-11-02
AR247850A1 (es) 1995-04-28
IE890827L (en) 1989-10-18
JPH01306296A (ja) 1989-12-11
US4837900A (en) 1989-06-13
CA1295969C (en) 1992-02-18
ES2036734T3 (es) 1993-06-01
EP0338280A1 (en) 1989-10-25
MX167385B (es) 1993-03-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01810B1 (ko) 필기구 어셈블리와 어셈블리 방법
US6609273B1 (en) Hinge
US6336250B1 (en) Spring hinge for eyeglasses
US4663802A (en) Gripping handle for an attache case having a pivot pin on only one of its leg extensions
US6985759B2 (en) Opening/closing structure for a flip attached to a portable phone
US4516869A (en) Clip for writing pen or similar object
US20010004786A1 (en) Hinge assembly
EP1055523B1 (en) Tip mechanism for knock-type ballpoint pen
JPS6027600A (ja) 筆記具のキヤツプ状金属部分への保持クリツプの固定機構
JP3032799U (ja) 圧着用具の端部構造
US4845810A (en) Self closing hinge
US7254870B2 (en) Clip fixing structure
US5025643A (en) Holding clip
KR870000794B1 (ko) 안경테 힌지
JP3839111B2 (ja) ボードスタンド
JP3971281B2 (ja) クリップ
KR0129704Y1 (ko) 수납형 핸들장치
JPH049196Y2 (ko)
US6687959B2 (en) Clip attaching structure
JP3057867U (ja) 折り畳み式鋸
KR200165505Y1 (ko) 전화기의 플립 힌지장치
JPH0320148Y2 (ko)
JPH06277786A (ja) リベット締め機構
JP2003094884A (ja) クリップ取付構造
JPH09268829A (ja) 蝶番用滑りリングおよび蝶番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