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1290B1 -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 - Google Patents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1290B1
KR960001290B1 KR1019920020323A KR920020323A KR960001290B1 KR 960001290 B1 KR960001290 B1 KR 960001290B1 KR 1019920020323 A KR1019920020323 A KR 1019920020323A KR 920020323 A KR920020323 A KR 920020323A KR 960001290 B1 KR960001290 B1 KR 9600012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signal
power supply
terminal
constant curr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203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10663A (ko
Inventor
나오히로 구로까와
료이찌 우찌야마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찌 세이사꾸쇼
가나이 쯔도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찌 세이사꾸쇼, 가나이 쯔도무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찌 세이사꾸쇼
Publication of KR9300106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06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12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1290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04Programme control other than numerical control, i.e. in sequence controllers or logic controllers
    • G05B19/05Programmable logic controllers, e.g. simulating logic interconnections of signals according to ladder diagrams or function charts
    • G05B19/054Input/output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rogrammable Controll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
제1도는 본 발명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 입력 회로의 제4실시예의 회로도.
제2도는 본 발명 입력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 입력 회로의 제3실시예의 회로도.
제3도는 본 발명의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의 제2입력 회로의 회로도.
제4도는 제1도의 입력 회로의 응용예를 설명하는 블럭도.
제5도는 본 발명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 입력 회로의 제1실시예의 회로도.
제6도는 일반적인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의 블럭도.
제7도는 종래예를 설명하기 위한 입력 회로도.
제8도는 본 발명에 의한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의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 : OV 단자 6,7 : 전원 단자
8 : 전원 공급 단자 13,13' : 정전류 소자
19 : 제한 저항 25 : 전환부
26 : 쌍방향 정전류 소자 27 : 전환 스위치
28 : 분류 저항
본 발명은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외부 입력 기기의 전원 전압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고 각종 외부 입력 기기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의 입력 회로에 관한 것이다.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는 보통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부 입력 기기(2 및 3)(도면에서는 그 출력부를 전자 스위치 및 접점으로 표시)의 신호를 수신하는 입력부 (1), 이 입력부(1)에 의해 수신된 신호에 대해 연산 처리하는 제어부(100), 이 제어부( 100)의 연산 처리 수순을 규정하는 시퀀스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시퀀스 프로그램 기억부(102), 이 기억부(102)의 내용에 기초하여 제어부(100)의 연산 처리 결과를 외부 부하(104)로 전달하는 출력부(103)으로 구성된다. 시퀀스 프로그램 기억부(102 )에 저장되는 시퀀스 프로그램은 미리 프로그램 장치(101)에서 프로그램되어 전송된 것이다.
이와 같은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의 입력부(1)에 있어서의 입력 회로는 종래 제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회로로 되어 있고, 전원 전압(9), 제한 저항(106), 절연을 목적으로 광학 신호 전달을 위한 포토 커플러(18), 잡음을 제거하는 컨덴서(22), 저항(2 1) 및 상기 포토 커플러의 제한 저항(20)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외부 입력 기기(2 및 3)의 전압 사양이 다르면, 포토 커플러(18)의 전달 특성이 변하므로 저항(106)의 값을 변화시켜야 하고, 또 저항( 106)의 값을 일정하게 하면, 전압 전원(9)의 제곱에 비례하여 저항(106)이 발열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으로서 일본국 실개소 64-46805호 공보에 기재된 기술이 있다. 이러한 기술에서는 입력 단자에 대해 2개의 상용 단자를 설치하고, 2종류의 직류 입력 전압중 소정의 것을 상용 단자로 사용해서 선택하도록 하고 있다.
그밖에, 일본 특개소 59-146305호 공보에 포토 커플러의 입력측 LED에 정전류 회로를 직렬로 접속함으로써 전압값이 다른 많은 종류의 입력 신호 전압에 대해 입력측 LED로 공급하는 전류를 거의 일정하게 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또, 일본 특개평 1-237702호 공보는 입력 신호 전압의 검출 기준 임계 전압의 크기를 입력 전압 레벨의 변도에 따라 전압 제어 회로에서 변화시킴으로써 입력 신호 전압의 레벨이 변동해도 그 입력 신호 전압을 확실하게 검출하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상기 일본 실개소 공보에 기재된 공지예에 있어서의 입력 전압 사양이 2종의 전압, 예를 들면 24V와 12V로 고정되고, TTL 회로(5V계)의 외부 신호를 취한 경우 규정 전류를 흐르게 하기 위해서는 제7도에 도시된 저항(106)을 변경해야 한다는 결점이 있었다. 또, 전원을 1종류로 고정되지 않도록 종래부터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24V의 전원을 외부에서 준비해야 하기 때문에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를 사용하는 사용자에게 매우 불편했다.
또, 일본 특개소 59-146305호 공보의 종래 기술에 따르면, 저항(106)을 변경할 필요가 없어지나, 개시하는 바와 같은 정전류 회로를 각 포토 커플러에 대해 이용한 경우에 외부 입력 점 수가 많아지면 실장 면적이 넓어지고, 또 비용면에서도 문제로 되었다.
또, 상기 어느 공지예에 있어서도 포토 커플러의 전류가 흐르는 방향이 고정 되어 있고, 외부 입력 기기의 사양, 예를 들면 전류 흡입형[싱크 타입(sink type)]과 전압 출력용(소스 타입)에서는 부품을 변경하던가, 가격이 비싼 쌍방향 포토 커플러를 사용해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어떤 부품을 변경하지 않고도 복수의 입력 전압에 대처할 수 있고, 또 실장 면적을 비교적 작게 할 수 있는 입력 회로를 구비한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외부 입력 기기가 싱크 타입이든 소스 타입이든 관계없이 부품을 변경하지 않고 사용할 수 있는 입력 회로를 구비한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는 복수의 외부 입력 기기로부터의 입력 신호에 따라 외부 부하를 제어하는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외부 입력 기기에서의 복수의 입력 신호를 수신하여 이 복수의 입력 신호를 대응하는 복수의 신호로서 출력하는 입력 회로, 상기 입력 회로에서 출력된 복수의 신호에 대한 연산 처리 수순을 규정하는 시퀀스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기억 수단, 상기 기억 수단에 저장된 시퀀스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연산 처리 수단 및 상기 연산 처리 수단의 연산 처리 결과를 상기 외부 부하로 출력하는 툴력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입력 회로가 상기 복수의 외부 입력 기기로부터의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복수의 신호 입력 단자, 접지 단자, 외부에서 전력이 공급되는 전원 공급 단자 및 상기 전원 공급 단자와 접지 단자의 한쪽과 상기 복수의 신호 입력 단자 사이에 각각 배치된 정전류 소자를 갖고 있다.
정전류 소자는 전압이 인가되면, 전압에 따라 내부 임피던스가 변화해서 일정전류를 흘리는 성질이 있다. 따라서, 저항 등을 교환하지 않고, 신호 입력 단자로 흐르는 전류를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임의의 전압을 회로에 인가할 수 있다. 따라서, 신호선의 길이의 영향도 받지 않고, 노이즈에 대한 내성도 손상되지 않게 된다. 또, 정전류 소자는 소형의 단일 소자로 종래의 몇 개의 소자를 조합한 정전류 회로와 비교하여 실장 면적이 작아서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의 소형화에 기여할 수 있다.
또, 비교적 이용 빈도가 높은 전원 전압을 내부 전원으로서 준비해 두고, 외부 전원 대신 이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
입력 회로에 비교기를 이용함으로써 포토 커플러의 LED의 전원 전압을 입력 회로의 전원 전압과 별개로 설정할 수 있어서, LED의 온 전류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비교기를 이용함으로써 외부 입력 기기가 소스 타입 인지 싱크 타입인지에 따른 전류 방향 전환은 포토 커플러의 LED의 전류 방향과 무관하게 행할 수 있다. 외부 입력 기기의 타입에 따른 전류 방향 전환은 외부 입력 기기에 대한 전류 극성 전환 및 정전류 소자의 방향 전환(또는 쌍방향 정전류 소자의 채용)으로 행할 수 있다. 또, 외부 입력 기기의 타입에 따라 포토 커플러에서 출력되는 신호의 극성이 반전되고, 한쪽의 타입에 대해 포토 커플러의 출력 신호를 반전시킴으로써 대처할 수 있다. 이러한 반전 처리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적으로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정전류 소자와 병렬로 저항을 배치함으로써 정전류 소자의 정격 전류가 적은 경우에도 전류값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8도에는 본 발명에 따른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의 한 실시예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이도면에 있어서 제6도와 동일 요소에는 동일한 도면 참조 부호를 붙인다. 이러한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의 특징은 입력 회로(1)의 부분으로서, 그 구성에 대해서는 별개로 도시한 제1도에 의해 설명한다.
제1도에 있어서, 제6도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1은 입력부이고, 2 및 3은 외부 입력 기기이다. 4는 외부 입력 기기로부터의 신호선을 접속하기 위한 입력 단자로서 0, 1, 2…n의 복수의 입력 단자가 설치되어 있다.
5는 OV 단자(접지 단자)로 외부 입력 기기군(2 및 3)의 한쪽이 공통으로 접속된다.
9 및 10은 각각 일반적인 24V 전원 및 12V인코더 등에서 자주 이용되는 12V 전원이고, 본 실시예에서는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에 내장되어 있다. 전원(9 및 10)의 음의 단자는 OV 단자에 공통 접속되어 있다. 6 및 7은 각각 전원(9)의 양의 단자 및 전원(10)의 양의 단자에 접속된 단자이고,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의 외부 표면에 배치되어 있다. 11은 필요에 따라 외부에서 공급되는 다른 전압의 전원이다.
8은 전원 공급 단자로 후술하는 내부 회로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단자이다.
12는 상기 외부 공급 전원(11)의 경우, 실수로 극성을 역으로 접속한 경우의 보호 다이오드이다.
13은 본 발명을 위해 설치한 정전류 소자로, 그 한 예로서 정전류 다이오드가 있다. 그 특성은 인가 전압이 변화하면, 내부 임피던스가 변화해서 항상 일정 전류를 흘리는 성질을 가진다. 제1도의 경우에는 싱크 타입 입력 기기용으로 정전류 다이오드의 방향은 캐소드가 입력 단자(4)측으로 되도록 접속되어 있다.
상기 "일정 전류"의 필요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예를 들면, 외부 입력 기기(2 및 3)이 TTL 출력(사용 전압이 5V)인 경우에 배선 길이가 길어지면, 임피던스가 높아져서 노이즈 내성이 나빠지기 때문에 소정 전류(8mA)를 흘릴 필요가 있다.
또, 외부 입력 기기(2 및 3)이 접점이면, 접점의 신뢰성을 고려하여 24V 전압에서 8m가 필요하다. 이와 같이 전류값은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따라서, 이와 같은 경우에 정전류 소자로서 8mA 타입의 소자를 이용하면 된다.
14는 보호 저항이고, 15 및 16은 후술하는 비교기의 기준 전압 발생용 저항이다. 예를 들면, 15(R1), 16(R2)의 값을 R1=R2로 하면, 사용 전압[전원 단자(8)에 접속된 전원 전압]의 1/2이 임계 전압으로 되어 배선에 의한 임피던스 변화에 대한 노이즈 내성이 양호해진다.
17은 비교기군으로 입력 단자(4)의 갯수에 대응한 수의 비교기가 설치된다. 각 비교기는 각각 외부 입력 기기(2 및 3)에서의 신호와 상기 기준 전압을 비교하고, 그 결과를 2 값("0" 또는 "1")로 출력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외부 입력 기기(2 및 3)이 "온"일때는 비교기의 출력은 "0"=로우 레벨 전압, "오프"일때는 "1"=하이 레벨 전압으로 된다.
18은 광학적으로 신호를 전달하는 소자로서 발광 소자와 수광 소자가 일체로 된 것으로 통칭 포토 커플러라고 한다. 각 포토 커플러(18)은 대응하는 비교기의 출력에 의해 구동된다.
19는 각 포토 커플러(18)의 LED에 흐르는 전류를 제한하기 위한 제한 저항으로서, 상기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에 내장되어 있는 복수의 전원중 1개의 전원 [여기에서 24V 전원(9)]의 양의 단자에 접속되어 비교기(17)이 온 하면 일정하게 제한된 전류가 포토 커플러(18)의 LED로 흘러서 신호가 후단으로 전달된다. 20은 포토 커플러(18)의 수광층 제한 저항이다. 21 및 22는 외부 입력 신호(2 및 3)의 진동등을 제거하기 위한 저항 및 컨덴서로 진동 제거 회로를 구성한다.
23은 상기 제어부(100)으로의 인터페이스부로서, 상기 진동 제거 회로에서의 신호 파형을 성형하거나 카운터 회로(24)로의 전환을 행한다. 카운터 회로(24)는 외부 입력 기기가 인코더와 같은 고속 펄스를 발생하는 것인 경우에 그 고속 펄스를 업, 다운 카운트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입력되는 신호로서 A상, B상 및 표시(marker) 신호의 3입력 신호이다. 인터페이스부(23)는 상기 카운터 기능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 입력 신호를 통상의 입력 신호로서 취급하도록 제어부(100)에서의 지시에 따라 동작을 전환하는 기능이 있다.
25는 본 실시예의 회로를 수납하는 프린트 기판의 패턴 상에 설치된 전환부이다.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입력 기기(2 및 3)이 상기 싱크 타입인 경우에 "A"측에 점퍼선 또는 0Ω 저항등으로 접속된다. 제2도에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역의 소스 타입인 경우에는 "B"측에 접속된다.
그런데, 제1도의 회로에 있어서, 전원 공급에 대하여 설명하면, 외부 기기(2 및 3)이 일반적인 전압(24V)를 필요로 하는 경우에는 짧은 막대 등을 이용하여 제1도에 도시된 ①의 접속(29V-S)간을 행한다. 외부 입력 기기(2 및 3)이 인코더와 같이 12V로 동작하면, ②의 접속(12V-S)간을 행하고, ①의 접속은 행하지 않는다.
또, 외부 입력 기기가 TTL(5V)등이면, 5V의 외부 전원(11)을 준비해서 ③의 접속(S-OV간)을 행한다. 이때 ① 및 ②의 접속은 행하지 않는다.
이들 접속을 위한 단자(5 내지 8)은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의 외부 표면에 노출하게 배치되어 사용자의 목적에 따라 자유롭게 접속할 수 있다.
단자(6,7 및 8)의 3단자에 대해서는 단자(6 내지 8) 사이 또는 단자(7 및 8) 사이를 선택적으로 상기 짧은 막대 등으로 접속할 수 있도록 전원 공급 단자(8)을 중앙에 배치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 전원 전압에 무관하게 정전류 소자(13)의 작용으로 어떤 부품을 변경하지 않고 입력 단자(4)에 일정한 전류를 흘릴 수 있게 된다.
단, 본 실시예에서는 입력 단자(4)에 흐르는 전류를 직접 포토 커플러(18)의 LED로 흘리는 구성이 아니고, 입력단자(4)와 포토 커플러(18) 사이에 비교기(17)을 기우는 구성을 채용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저항(15 및 16)에 의해 얻어지는 기준 전압과 각 입력 단자(4)의 전압의 비교 결과에 따라 대응하는 포토 커플러(18)의 LED가 구동된다. LED의 구동 전원에는 특정 전원[본 실시예에서는 24V 전원(6)]을 이용함으로써 LED의 온 시에 전류값을 일정하게 할 수 있다.
제2도는 상기 외부 입력 기기(2 및 3)이 상기 소스 타입인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전환부(25)를 "B"측에 접속함과 동시에 상기 정전류 소자(13)의 접속 방향을 역으로 한 것이다.
이 경우 실장 위의 전환부(25)의 점퍼선 등의 접속을 변경하면 되지만, 신호 적으로 비교기(17)의 출력이 반전하여 제어부(100)으로의 출력도 역으로 된다.
이것에 대해서는 인터페이스부(23) 내에서 하드웨어의 반전 회로 또는 소프트웨어에서 반전하는 처리로 대처 가능하다. 예를 들면, 하드웨어의 반전 회로는 도시하지 않으나, 전환부(25)의 신호를 1개의 인터페이스부(25)에서 수신하여 이 신호와 진동 제거 회로의 각 출력의 익스클루시브 논리합을 취하는 복수의 익스클루시브 OR회로를 설치함으로써 용이하게 실현 가능하다.
제3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면 중 26은 쌍방향 정전류 소자이고, 27은 전환 스위치이다.
쌍방향 정전류 소자(26)은 상기 정전류 소자(13)을 2개 내장한 하나의 패키지로 되어 있으며, 특성은 동일하나 쌍방향으로 일정한 전류를 흐릴 수 있다.
전환 스위치(27)은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의 외부 표면에서 전환 조작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어서 상기 외부 입력 기기(2 및 3)이 싱크 타입 인지 소스 타입인지에 따라 전환 사용 가능하다.
여기서 전환 스위치(27)의 "A"측은 싱크 타입이고, "B"측은 소스 타입이다. 그 밖에는 상기 제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또, 쌍방향 정전류 소자(26)은 하나의 패키지이나 상기 정전류 소자(13)을 2개 사용하여 병렬로 역 접속한 것이라도 좋다.
또, 인터페이스부(23)에 있어서의 신호 반전에 대해서는 상기 방법으로 행하면 된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제4도에 따라 설명한다.
본 발명은 상기 제1실시예에서의 전환부(25) 대신 정전류 소자(13)과 방향이 다른 정전류 소자(13')를 설치하고, 각각 "A"점 및 "B"점에 접속한 것이다. 이것에 의해 외부 입력 기기의 타입에 따른 스위치 등의 전환이 불필요해진다. 상기 신호 반전에 대해서는 상기와 동일하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4실시예를 제5도에 따라 설명한다.
본 발명은 상기 제1실시예에 의한 정전류 소자(13)과 병렬로 분류 저항(28)을 설치한 것으로서, 그 밖에는 제1실시예와 동일하다. 분류 저항(28)의 역할은 정전류 소자(13)의 전류값이 예를 들면 상기 제1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전류 값 8mA로는 부족한 경우에 회로 전류를 증가시키기 위한 것이다. 예를 들면, 최저 10mA가 필요해진 경우에 2mA를 증가시키기 위한 분류 저항이다. 저항값은 사용하는 전원 전압의 최소 전압으로 결정하면 된다.
제3실시예는 제2실시예에도 응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다음에, 상기 제1, 제2 및 제3실시예에 있어서, 제한 저항(19)에 대해 설명하면, 포토 커플러(18)은 발광측 LED에 흐르는 전류의 대소에 따라 입출력 전달비가 변하는 특성이 있고,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의 신호 전달은 전달 속도 및 수광 측의 온/오프 전압값에 관계되기 때문에 일정한 것이 좋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에 내장된 전원(9)에 제한 저항(19)가 접속되어 있고, 비교기(17)이 온 한때는 일정 전류가 흘러서 적절한 것으로 되어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① 입력 회로에 공급하는 전원 전압 범위를 넓게 할 수 있어서 내부 회로를 변경하지 않고, 각종 외부 입력 기기를 접속할 수 있다. ② 범용으로 사용되는 고정된 복수의 전원을 내장함으로써 사용자가 별도의 전원을 준비할 필요가 없고, 또 배선등의 수고를 덜 수 있다. ③ 외부 입력 기기의 사양 형태에 용이하게 일치시킬 수 있어서 대응이 용이하다. ④ 포토커플러는 경제적인 단방향의 것으로 충분하고,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를 염가로 구성할 수 있다. 또, 전달비를 일정하게 할 수 있어서 안정한 성능을 얻을 수 있다.

Claims (11)

  1.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에 접속된 외부 부하를 구동하는 시퀀스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기억 수단과 ; 상기 기억 수단에 저장된 시퀀스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프로세서 수단과 ; 상기 프로세서 수단의 처리 결과를 상기 외부 부하로 출력하는 출력 수단 및 상기 프로세서 수단에 접속되어 외부 입력 기기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는 입력 회로를 구비하고, 상기 입력 회로는, 상기 외부 입력 기기로부터의 상기 입력신호를 수신하는 신호 입력 단자와 ; 전원 공급 단자와 ; 접지 단자와 ; 복수의 전원 단자와 ; 상기 접지 단자에 접속함과 동시에 각각이 서로 다른 전원 단자에 접속한 서로 공급 전압이 다른 복수의 내부 전원과 ; 상기 복수의 전원 단자 중의 임의의 하나를 상기 전원 공급 단자에 접속하기 위한 점퍼선과 ; 상기 신호 입력 단자와 상기 프로세서 수단과의 사이에 배치되고, 외부 입력 기기로부터의 상기 신호에 따른 입력 신호를 발생하고, 이것을 상기 프로세서 수단에 공급하는 입력 신호 발생 수단과 ; 이 입력 신호 발생 수단과 상기 신호 입력 단자와의 사이에 배치된 정전류 소자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공급 단자에 공급되는 전압에 기초하여 기준 전압을 생성하는 기준 전압 생성 회로, 이 기준 전압과 신호 입력 단자의 전압을 비교하는 비교기 및 이 비교기의 출력에 따라 구동되는 입력측 발광 다이오드와 상기 입력 회로의 출려글 발생하는 출력측 포토 트랜지스터로 구성되는 포토 커플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포토 커플러의 입력측 LED의 전원 전압으로서 미리 정해진 일정 전압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전류 소자가 상기 전원 공급 단자 또는 접지 단자 중 소정의 것에 접속되도록 전환하는 점퍼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토 커플러의 입력측 LED의 전원 전압으로서 상기 내장 전원의 전압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정전류 소자를 쌍방향 정전류 소자로 하고, 이 쌍방향 정전류 소자가 상기 전원 공급 단자 또는 접지 단자중 소정의 것에 접속 되도록 전환하는 전환 스위치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정전류 소자가 역 방향으로 전류를 흘리는 한쌍의 정전류 소자로 구성되고, 이 한쌍의 정전류 소자의 각 일단은 상기 신호 입력 단자에 공유 접속되며, 각 타단은 각각 상기 전원 공급 단자 및 접지 단자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회로가 상기 정전류 소자와 병렬로 접속된 저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회로가 상기 정전류 소자와 병렬로 접속한 저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회로가 상기 정전류 소자와 병렬로 접속된 저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
  11.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에 접속된 외부 부하를 구동하는 시퀀스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기억 수단과 ; 상기 기억 수단에 저장된 시퀀스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프로세서 수단과 ; 상기 프로세서 수단의 처리 결과를 상기 외부 부하로 출력하는 출력 수단과 ; 상기 프로세서 수단에 접속되고, 외부 입력 기기로부터의 신호를 받는 입력 회로를 구비하고, 상기 입력회로는, 상기 외부 입력 기기로부터의 상기 신호를 받는 신호 입력 단자와 ; 전원 공급 단자와 ; 접지 단자와 ; 상기 신호 입력 단자와 상기 프로세서 수단과의 사이에 배치되고, 외부 입력 기기로부터의 상기 신호에 따른 입력 신호를 생성하며, 상기 신호를 프로세서 수단에 공급하는 입력 신호 발생 수단과 ; 상기 전원 공급 단자 및 상기 접지 단자의 어느 한 단자와 상기 신호 입력 단자와의 사이에 배치된 정전류 소자를 구비하고, 상기 입력 신호 발생 수단은, 상기 전원 공급 단자에 공급되는 전압에 의거하여 기준 전압을 생성하는 기준 전압 생성 회로와 ; 상기 기준 전압과 상기 신호 입력 단자의 전압을 비교하는 비교기와 ; 이 비교기의 출력에 의하여 구동되는 입력측 발광 다이오드와 ; 상기 입력 회로가 출력을 발생하는 출력측 포토 트랜지스터로 이루어진 포토 커플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
KR1019920020323A 1991-11-01 1992-10-31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 KR96000129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8794291A JP2851730B2 (ja) 1991-11-01 1991-11-01 プログラマブルコントローラ
JP91-287942 1991-11-0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0663A KR930010663A (ko) 1993-06-23
KR960001290B1 true KR960001290B1 (ko) 1996-01-25

Family

ID=177237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20323A KR960001290B1 (ko) 1991-11-01 1992-10-31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542049A (ko)
EP (1) EP0540033B1 (ko)
JP (1) JP2851730B2 (ko)
KR (1) KR960001290B1 (ko)
DE (1) DE69229664T2 (ko)
DK (1) DK0540033T3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208760A (zh) * 2020-01-10 2020-05-29 上海掇联电子科技有限公司 新能源汽车通用控制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21641A (en) * 1996-07-30 1998-10-13 Compaq Computer Corp. Secondary supply power referenced interlock circuit
US6404080B1 (en) 1999-06-01 2002-06-11 Honeywell Inc Electronic means to sense actuation of AC output control circuitry
US6985365B2 (en) * 2001-09-28 2006-01-10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Topology for flexible and precise signal timing adjustment
CN104950722B (zh) * 2015-06-16 2017-10-03 无锡中感微电子股份有限公司 终端设备的供电电路
US10974337B2 (en) * 2015-08-17 2021-04-13 Illinois Tool Works Inc. Additive manufacturing systems and methods
US10792682B2 (en) 2017-10-02 2020-10-06 Illinois Tool Works Inc. Metal manufacturing systems and methods using mechanical oscillation
JP7251364B2 (ja) 2019-07-02 2023-04-04 オムロン株式会社 カウンタユニット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45404A (en) * 1980-03-19 1981-11-12 Omron Tateisi Electronics Co Input circuit of sequence controller
JPS59146305A (ja) * 1983-02-10 1984-08-22 Hitachi Ltd 電圧入力形プログラマブルコントロ−ラ
US5149940A (en) * 1983-02-24 1992-09-22 Beckworth Davis International Inc. Method for controlling and synchronizing a welding power supply
JPS61115101A (ja) * 1984-11-09 1986-06-02 Toshiba Mach Co Ltd プログラマブルコントロ−ラの入力モジユ−ル
JPS6446805A (en) * 1987-08-17 1989-02-21 Mitsubishi Heavy Ind Ltd State display device for plant
JPH01237702A (ja) * 1988-03-18 1989-09-22 Hitachi Ltd プログラマブルコントローラの入力装置
US4951250A (en) * 1988-11-18 1990-08-21 Cruickshank Ancil B Combined input/output circuit for a programmable controller
JPH03217904A (ja) * 1990-01-23 1991-09-25 Toshiba Mach Co Ltd 入力モジュール
JPH03268006A (ja) * 1990-03-19 1991-11-28 Hitachi Ltd プログラマブルコントローラ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208760A (zh) * 2020-01-10 2020-05-29 上海掇联电子科技有限公司 新能源汽车通用控制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K0540033T3 (da) 1999-11-29
JPH05127711A (ja) 1993-05-25
DE69229664T2 (de) 2000-03-23
JP2851730B2 (ja) 1999-01-27
DE69229664D1 (de) 1999-09-02
EP0540033B1 (en) 1999-07-28
EP0540033A1 (en) 1993-05-05
US5542049A (en) 1996-07-30
KR930010663A (ko) 1993-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03107B2 (en) Lighting control circuit for vehicle lighting equipment
US6118259A (en) Controlled current generator for operating light emitting diodes
KR20120089771A (ko) 전자 변환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대응하는 전자 변환기, 조명 시스템 및 소프트웨어 물건
KR960001290B1 (ko)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
CN110418469B (zh) Led调光控制电路和方法以及led驱动模块
JP4554705B2 (ja) 車両用機器およびこの機器に使用する通信インタフェース回路
US6169491B1 (en) Multiport power monitor
US10237935B2 (en) Emission control device, light-emitting module, light-emitting unit, and lighting fixture
WO2003081960A1 (en) Interface for digital communication
WO2021181733A1 (ja) 発光素子駆動装置及び発光システム
CN112835312A (zh) 整车控制器通用高低电平可配置数字信号采集电路
JP2615890B2 (ja) 制御機器の入力装置
JPS63308410A (ja) 二端子網の光センサ
JPH08102363A (ja) 照明装置
JP2560733B2 (ja) 双方向2線式リモ−トコントロ−ル装置
KR0111805Y1 (ko) 입력 페일신호 출력회로
US20030010901A1 (en) Photo switching device
JPH09508736A (ja) 信号処理接続および機能ユニットを有する装置
JP2001034347A (ja) 減過電圧検出回路
JP4357755B2 (ja) 信号入力回路
JPS584505B2 (ja) 論理信号伝送装置
JPH0683263B2 (ja) 端末装置
JPH02301235A (ja) 光通信用発光ダイオードのドライブ装置
JPH07271456A (ja) 車載バッテリー共用回路
JPS61198918A (ja) 無接点検出スイッチ用集積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