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11805Y1 - 입력 페일신호 출력회로 - Google Patents

입력 페일신호 출력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11805Y1
KR0111805Y1 KR2019940034175U KR19940034175U KR0111805Y1 KR 0111805 Y1 KR0111805 Y1 KR 0111805Y1 KR 2019940034175 U KR2019940034175 U KR 2019940034175U KR 19940034175 U KR19940034175 U KR 19940034175U KR 0111805 Y1 KR0111805 Y1 KR 011180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input
turned
fail signal
re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3417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25784U (ko
Inventor
박상선
Original Assignee
이형도
삼성전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형도, 삼성전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형도
Priority to KR2019940034175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11805Y1/ko
Publication of KR96002578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2578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1180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11805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32Means for protecting converters other than automatic disconnec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36Means for starting or stopping convert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0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0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1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3/14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15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c-Dc Converters (AREA)

Abstract

광범위로 고안된 통신기용 직류-직류 컨버터에서 입력전압 변경시 입력 페일신호를 자동으로 변경시키는 입력 페일신호 출력회로가 개시되는 바, 이는 제1 또는 제2 입력전압이 입력되면 그 입력전압을 분압하는 분압저항과, 상기 분압사상에 의해 분압된 분압정압에 의해 스위칭되는 스위칭부와, 상기 스위칭부의 스위칭에 의한 코일의 여자 여부에 따라 접점의 위치가 전환되는 릴레이와, 상기 릴레이의 제1접점에 연결되어 제1입력전압이 입력되면 제1입력전압을 분압하는 제1분압저항과, 상기 릴레이의 제2접점에 연결되어 제2입력전압이 입력되면 제2입력전압을 분압하는 제2분압저항과, 상기 릴레이의 접점 위치에 따라 상기 제1분압저항 또는 제2분압저항에 의해 분압된 전압과 내부 기존전압을 비교하고 그 비교 결과에 따라 온/오프되는 션트 레귤레이터와, 상기 션트 레귤레이터에 연결되어 상기 션트 레귤레이터가 온되면 동작하여 흐르는 전류량에 비례하는 빛을 2차측의 포토 트랜지스타로 방출하는 포토 커플러로 구성되어, 압력전압의 버젼 변경시 이를 자동으로 검출하고 각각의 입력전압에 맞는 입력 페일신호를 출력하도록 함으로써, 복수의 입력전압에 맞는 컨버터를 따로 만들 필요가 없으므로 외부에서 유저가 임의로 컨버터 선택을 조직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피할 수 있게 되어 코스트를 절감하고 유저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입력 페일신호 출력회로
제1도는 종래의 입력 페일신호 출력회로를 나타낸 회로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입력 페일신호 출력회로를 나타낸 회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전원 입력부 30 : 페일신호 출력부
R1~R15 : 저항 D1, D2 : 다이오드
RL1 : 릴레이 PC-1 : 포토 다이오드
PC-2 : 포토 트랜지스터 Q1~Q3 : 트랜지스터
ZD1 : 제너 다이오드 SW1 : 션트 레귤레이터
이 고안은 통신기용 직류-직류 컨버터에서의 입력 페일(Pail)신호 출력회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입력 전압 변경시 입력 페일신호를 자동으로 변경시킴으로써, 코스트를 절감하고 유저의 신뢰도를 높이는 입력 페일신호 출력회로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시스템에는 동작을 위한 전원이 기본적으로 제공된다. 이러한 전원이 갑자기 입력측이 오픈되거나 공급이 차단되어 공급되지 않는 경우, 시스템은 동작상 에러와 데이타의 저장을 위한 대기 시간을 필요로 한다. 이러한 대기 시간을 홀드 업타임(Hold Up Time)이라 한다.
이와 같은 대기 시간을 갖기 위하여 입력전압이 인가되는 것과 같이 제공되는 신호가 페일신호이다. 이 신호는 입력측으로부터 전압이 인가되지 않는 경우 전원 오프에 앞서 오동작 방지 및 데이타 저장을 위한 신호로서 시스템에 제공된다.
제1도는 종래의 입력 페일신호 발생회로도이다.
제1도를 보면, 입력되는 전압(Vin)에 따라 2차측으로 전압을 공급 및 차단하는 전원 입력부(10)는, 입력전압(Vin)이 인가되면 입력전압(Vin)을 분압하는 분압저항(R2,R3)과, 상기 분압저항(R2,R3)에 의해 분압된 입력 전압과 기준전압과의 비교에 의해 온/오프되는 션트 레귤레이터(SR1)와, 상기 션트 레귤레이터(SR1)가 온되면 동작하여 저항(R1)을 통해 흐르는 전류량에 비례하는 빛을 발생하는 포토 커플러의 포토 다이오드(PC-1)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포토 커플러의 포토 다이오드(PC-1)에 의해 동작이 제어되어 입력 페일신호(Vin)를 출력하는 페일신호 출력부(30)는 2차측에 유기된 전압을 정류 및 평활하는 다이오드(D1) 및 콘덴서(C1)와, 상기 포토 커플러의 포토 다이오드(PC-1)가 동작하면 발생하는 빛에 의해 턴온되는 포토 커플러의 포토 트랜지스터(PC-2)와, 상기 포토 트랜지스터(PC-2)에 정전압용 제너다이오드(ZD1)를 통해 2단이 직렬로 결합되어 상기 포토 트랜지스터(PC-2)가 턴온되면 입력 페일신호(Vs)를 출력하는 트랜지스터(Q1,Q2)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단과 베이스단사이에 연결된 저항(R6,R7)은 트랜지스터(Q1)의 출력전압을 분압하여 트랜지스터(Q2)의 동작 레벨을 조정하고, 상기 트랜지스터(Q2)의 콜렉터단에 연결된 저항(R8,R9)은 트랜지스터(Q2)의 출력 전압을 분압하여 입력 페일신호의 레벨을 조정하며, 콘덴서(C2)는 노이즈를 제거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제1도에서 전원이 온되면 입력전압(Vin)은 분압저항(R2,R3)에 의해 분압되어 션트 레귤레이터(SR1)의 기준 전압단에 인가된다.
이때, 상기 입력전압(Vin)이 규정전압 이상인 정상 입력이면 분압저항(R2,R3)에 의해 분압된 입력 전압은 션트 레귤레이터(SR1)의 내부 기준 전압보다 크게 된다. 따라서, 상기 션트 레귤레이터(SR1)는 온되어 포토 커플러의 포토 다이오드(PC-1)를 온시킨다.
상기 포토 다이오드(PC-1)가 온되면 포토 다이오드(PC-1)에 흐르는 전류량에 비례하여 빛이 방출되고, 이 빛에 포토 커플러의 포토 트랜지스터(PC-2)가 턴온된다.
상기 포토 트랜지스터(PC-2)가 턴온되면 트랜지스터(Q1)가 턴온되고, 상기 트랜지스터(Q1)가 턴온되면 상기 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단에 연결된 트랜지스터(Q2)가 턴오프되어 하이 상태의 입력 페일신호(Vifs)를 출력한다.
한편, 입력전압(Vin)이 규정전압 이하가 되면 분압저항(R2,R3)에 의해 분압된 입력전압은 션트 레귤레이터(SR1)의 내부 기준 전압보다 작아지게 되어 션트 레귤레이터(SR1)는 오프된다.
그리고, 상기 션트 레귤레이터(SR1)가 오프되면 포토 다이오드(PC-1) 및 포토 트랜지스터(PC-2)가 오프되어 트랜지스터(Q1)도 턴오프된다.
상기 트랜지스터(Q1)가 턴오프되면 트랜지스터(Q2)는 턴온되어 입력 페일신호(Vifs)는 로우 상태가 된다.
이때, 통신용 DC-DC 컨버터는 입력 전압(Vin)이 48V, 60V 버젼(Version)으로 양분되어 있기 때문에 48V, 60V에 맞는 입력 페일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제1도와 같은 입력 페일신호 발생회로를 회로소자값을 각각의 입력 전압 값에 맞게 셋팅하여 각각 따로 만들고 버젼 변경시 유저에 의해 외부에서 선택하도록 함으로써, 회로가 복잡해지면서 가격이 상승하고, 또한, 유저에 의한 조작의 번거로움과 이로 인해 제품의 신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 고안의 목적은 하나의 컨버터를 이용하여 입력전압의 버젼 변경시 이를 자동으로 검출하고 각각의 입력 전압에 맞는 입력 페일신호를 출력하도록 함으로써, 코스트를 절감하고 유저의 신뢰도를 높이는 입력 페일신호 출력회로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이 고안에 따른 입력 페일신호 발생회로의 특성은, 입력 전원에 상응하는 빛을 방출하는 전원 입력부와, 상기 전원 입력부에서 방출되는 빛의 양에 의해 하이 또는 로우의 입력 페일신호를 출력하는 페일신호 출력부로 구성된 입력 페일신호 출력회로에 있어서, 제1 또는 제2입력전압이 입력되면 그 입력전압을 분압하는 분압저항과, 상기 분압저항 분압된 전압에 의해 스위칭되는 스위칭 수단과, 상기 스위칭 수단의 스위칭에 의한 코일의 여자 여부에 따라 접점의 위치가 전환되는 릴레이와, 상기 릴레이의 제1접점에 연결되어 제1입력전압이 입력되면 제1입력전압을 분압하는 제1분압저항과, 상기 릴레이의 제2접점에 연결되어 제2입력전압이 입력되면 제2입력 전압을 분압하는 제2분압저항과, 상기 릴레이의 접점 위치에 따라 상기 제1분압저항 또는 제2분압저항에 의해 분압된 전압과 내부 기준전압을 비교하고 그 비교 결과에 따라 온/오프되는 션트 레귤레이터와, 상기 션트 레귤레이터에 연결되어 상기 션트 레귤레이터가 온되면 동작하여 흐르는 전류량에 비례하는 빛을 상기 페일신호 출력부의 포토 트랜지스터로 방출하는 포토 커플러로 상기 전원 입력부가 구성되는데 있다.
이하, 이 고안에 따른 입력 페일신호 발생회로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2도는 이 고안에 따른 입력 페일신호 발생회로도이다.
제2도를 보면, 페일신호 출력부(30)의 구성은 제1도와 동일하므로 구성 설명을 생략하고 전원 입력부(20)만을 설명한다.
즉, 전원 입력부(20)는 입력전압(Vin)을 분압하는 분압저항(R1,R2) 사이에 분압된 입력전압에 의해 스위칭되는 트랜지스터(Q1) 저항(R3)을 통해 연결된다.
이 고안에서는 입력전압이 60V 일때 트랜지스터(Q1)가 턴온되도록 상기 저항(R1,R2,R3) 값을 설정해 주는 것을 예로 들었다.
그리고, 상기 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와 저항(R4)을 통한 입력 전원단자(Vin) 사이에는 상기 트랜지스터(Q1)의 턴온/턴오프에 따라 코일에 전류가 흘러 접점을 전환시키는 릴레이(RL1)가 연결된다.
이때, 이 고안에서는 상기 트랜지스터(Q1)가 턴온되면 즉, 입력전압이 60V이면 릴레이(RL1)의 여자되어 a접점이 b접점에 접속되고, 상기 트랜지스터(Q1)가 턴오프되면 즉, 입력 전원이 48V이면 a접점이 c접점에 접속되도록 설계하였다. 여기서, 릴레이(RL1)의 코일에 연결된 다이오드(D1)는 역전류 방지용이다.
그리고, 상기 릴레이(RL1)의 b접점에는 제1입력전압(예컨대, 60V)을 분압하는 저항(R5,R6)이 연결되고, c접점에는 제2입력전압(예컨대, 48V)을 분압하는 저항(R7,R8)이 연결된다.
또한, 상기 릴레이(RL1)의 a접점은 션트 레귤레이터(SR1)의 기준 전압단에 연결되어 있다.
이때, 상기 저항(R5,R6) 값은 60V에 맞게 설정하고, 저항 (R7,R8) 값은 48V에 맞게 설정한다.
따라서, 상기 션트 레귤레이터(SR1)는 입력전압이 60V일때는 저항(R5,R6)에 의해 분압된 전압에 의해 온/오프되고, 48V일때는 저항(R7,R8)에 의해 분압된 전압에 의해 온/오프된다.
상기 션트 레귤레이터(SR1)의 캐소드단에는 상기 션트 레귤레이터(SR1)가 온되면 저항(R9)을 통해 흐르는 전류량에 비례하는 빛을 발생하여 2차측의 포토 커플러의 포토 트랜지스터를 턴온시키는 포토 커플러의 포토 다이오드(PC-1)가 연결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이 고안에서 입력전압이 50V이면 미리 설정된 저항(R1,R2,R3) 값에 의해 트랜지스터(Q1)가 턴온된다.
상기 트랜지스터(Q1)가 턴온되면 릴레이(RL1)의 코일에 전류가 흘러 코일이 여자된다. 상기 코일이 여자되면 릴레이(RL1)의 a접점이 b접점과 연결된다.
따라서, 션트 레귤레이터(SR1)는 b접점에 연결되어 있는 저항(R5,R6)에 의해 분압된 전압에 의해 동작한다.
즉, 입력전압이 60V인 정상 입력이면 상기 션트 레귤레이터(SR1)는 입력전압을 분압하는 저항(R5,R6)에 의해 온된다.
그리고, 상기 션트 레귤레이터(SR1)가 온되면 포토 커플러의 포토 다이오드(PC-1)도 온된다.
상기 포토 다이오드(PC-1)가 온되면 포토 다이오드(PC-1)에 흐르는 전류량에 비례하여 빛이 방출되고, 이 빛에 의해 페일신호 출력부(30)의 포토 커플러의 포토 트랜지스터(PC-2)가 턴온된다.
상기 포토 트랜지스터(PC-2)가 턴온되면 트랜지스터(Q2)가 턴온되고, 상기 트랜지스터(Q2)가 턴온되면 상기 트랜지스터(Q2)의 콜렉터단에 연결된 트랜지스터(Q3)가 턴오프되어 하이 상태의 입력 페일신호(Vifs)를 출력한다.
한편, 입력전압(Vifs)이 규정전압인 60V 이하가 되면 분압저항(R5,R6)에 의해 분압된 입력전압은 션트 레귤레이터(SR1)의 내부 기준전압보다 작아지게 되어 션트 레귤레이터(SR1)는 오프된다.
그리고, 상기 션트 레귤레이터(SR1)가 오프되면 포토 다이오드(PC-1) 및 포토 트랜지스터(PC-2)가 오프되어 트랜지스터(Q2)도 턴오프된다.
상기 트랜지스터(Q2)가 턴오프되면 트랜지스터(Q3)는 턴온되어 입력 페일신호(Vifs)는 로우 상태가 된다.
한편, 입력 전압이 48V이면 미리 설정된 저항(R1,R2,R3) 값에 의해 트랜지스터(Q1)가 턴오프된다.
상기 트랜지스터(Q1)가 턴오프되면 릴레이(RL1)의 코일에 전류가 흐르지 않게 되므로 릴레이(RL1)의 a접점이 c접점과 연결된다.
따라서, 션트 레귤레이터(SR1)는 릴레이(RL1)의 c접점에 연결되어 있는 저항(R7,R8)에 의해 분압된 전압에 의해 동작한다.
즉, 입력전압이 48V인 정상 입력이면 상기 션트 레귤레이터(SR1)는 입력 전압을 분압하는 저항(R7,R8)에 의해 온된다.
또한, 상기 션트 레귤레이터(SR1)가 온되면 포토 커플러의 포토 다이오드(PC-1)도 온된다.
상기 포토 다이오드(PC-1)가 온되면 포토 다이오드(PC-1)에 흐르는 전류량에 비례하여 빛이 방출되고, 이 빛에 의해 페일신호 출력부(30)의 포토 커플러의 포토 트랜지스터(PC-2)가 턴온된다.
상기 포토 트랜지스터(PC-2)가 턴온되면 트랜지스터(Q2)가 턴온되고, 상기 트랜지스터(Q2)가 턴온되면 상기 트랜지스터(Q2)의 콜렉터단에 연결된 트랜지스터(Q3)가 턴오프되어 하이 상태의 입력 페일신호(Vifs)를 출력한다.
한편, 입력전압(Vin)이 규정 전압인 48V 이하가 되면 분압저항(R7,R8)에 의해 분압된 입력 전압은 션트 레귤레이터(SR1)의 내부 기준전압보다 작아지게 되어 션트 레귤레이터(SR1)는 오프된다.
그리고, 상기 션트 레귤레이터(SR1)가 오프되면 포토 다이오드(PC-1) 및 포토 트랜지스터(PC-2)가 오프되어 트랜지스터(Q2)도 턴오프된다.
상기 트랜지스터(Q2)가 턴오프되면 트랜지스터(Q3)는 턴온되어 입력 페일신호(Vifs)는 로우 상태가 된다.
한편, 이 고안은 입력전압이 48V, 60V로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입력 전압값에 따라 그에 상응하는 저항값을 설정해주면 복수의 어떠한 입력전압도 이용이 가능하다.
이상에서와 같이 이 고안에 따라 입력 페일신호 출력회로에 의하면, 광범위(Wide Range)(36V~72V)로 고안된 통신기용 직류-직류 컨버터에 코일의 여자 여부에 따라 접점의 위치가 달라지는 릴레이를 구비하고 각각의 접점에 복수의 입력전압을 각각 분압하는 사항을 연결하여 입력전압의 비젼 변경시 이를 자동으로 검출하고 각각의 입력전압에 맞는 입력 페일신호를 출력하도록 함으로써, 복수의 입력전압에 맞는 컨버터를 따로 만들 필요가 없으므로 외부에서 유저가 임의로 컨버터 선택을 조작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피할 수 있게 되어 코스트를 절감하고 유저의 신뢰도를 높이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입력 전원에 상응하는 빛을 방출하는 전원 입력부와, 상기 전원 입력부에서 방출되는 빛의 양에 의해 하이 또는 로우의 입력 페일신호를 출력하는 페일신호 출력부로 구성된 입력페일신호 출력회로에 있어서, 제1또는 제2입력전압이 입력되면 그 입력전압을 분압하는 분압저항과, 상기 분압저항에 의해 분압된 전압에 의해 스위칭되는 스위칭수단과, 상기 스위칭 수단의 스위칭에 의한 코일의 여자 여부에 따라 접점의 위치가 전환되는 릴레이와, 상기 릴레이의 제1접점에 연결되어 제1입력전압이 입력되면 제1입력전압을 분압하는 제1분압저항과, 상기 릴레이의 제2접점에 연결되어 제2입력전압이 입력되면 제2입력전압을 분압하는 제2분압저항과, 상기 릴레이의 접점 위치에 따라 상기 제1분압저항 또는 제2분압저항에 의해 분압된 전압과 내부 기준전압을 비교하고 그 비교 결과에 따라 온/오프되는 션트 레귤레이터와, 상기 션트 레귤레이터에 연결되어 상기 션트 레귤레이터가 온되면 동작하여 흐르는 전류량에 비례하는 빛을 상기 페일신호 출력부의 포토 트랜지스터로 방출하는 포토 다이오드로 상기 전원 입력부가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페일신호 출력회로.
KR2019940034175U 1994-12-15 1994-12-15 입력 페일신호 출력회로 KR011180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34175U KR0111805Y1 (ko) 1994-12-15 1994-12-15 입력 페일신호 출력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34175U KR0111805Y1 (ko) 1994-12-15 1994-12-15 입력 페일신호 출력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5784U KR960025784U (ko) 1996-07-22
KR0111805Y1 true KR0111805Y1 (ko) 1998-04-15

Family

ID=194014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34175U KR0111805Y1 (ko) 1994-12-15 1994-12-15 입력 페일신호 출력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11805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5784U (ko) 1996-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61642A (en) Switching power supply
US6137696A (en) Switching regulator for power converter with dual mode feedback input and method thereof
US6898090B2 (en) Switching power supply unit and electronic apparatus using the same
US5012399A (en) Self-oscillation type converter
US5917714A (en) Switching power supply with input voltage reduction detection
US6961255B2 (en) Switching power supply using controlled negative feedback in series with a switching device and responsive to the voltage and/or current to a load
US5063491A (en) Switching regular undervoltage detector
US6538492B2 (en) Power supply,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and output
EP1058176B1 (en) Power unit, and power supply system
JP3351464B2 (ja) 自励発振型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JPH11206126A (ja) 自励発振型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EP0255330A2 (en) Slow-start system for a control circuit
KR0111805Y1 (ko) 입력 페일신호 출력회로
US6611436B2 (en) Switching power supply unit having a regulator circuit and electronic apparatus using the same
EP1404014B1 (en) Power circuit
KR100275070B1 (ko) 전원공급장치의저전압보호회로
JPH0315423B2 (ko)
JP2000333450A (ja) 出力電圧低下検出回路及び出力電圧監視回路
JP3198731B2 (ja) 電源回路装置
KR100296577B1 (ko) 전원공급장치의 출력전압 안정화회로
JPH06106020B2 (ja) スイッチングレギユレータ
JPH0646560A (ja) スイッチング電源の電圧検出回路
KR0114761Y1 (ko) 정전판단회로버
JPH06284714A (ja) 絶縁型dc−dcコンバータ
KR100310219B1 (ko) 절전모드(dpm)시 소비 전력 감소 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092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