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1268B1 - 플래그(flag) 방식에 의한 버스(Bus)간의 데이타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플래그(flag) 방식에 의한 버스(Bus)간의 데이타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1268B1
KR960001268B1 KR1019930018948A KR930018948A KR960001268B1 KR 960001268 B1 KR960001268 B1 KR 960001268B1 KR 1019930018948 A KR1019930018948 A KR 1019930018948A KR 930018948 A KR930018948 A KR 930018948A KR 960001268 B1 KR960001268 B1 KR 9600012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g
bus
buses
shared memory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189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용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구자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구자홍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300189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126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12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1268B1/ko

Links

Landscapes

  • Multi Processo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플래그(flag) 방식에 의한 버스(Bus)간의 데이타 제어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플래그 방식에 의한 데이타 제어장치.
제2도는 제1도의 각부 파형도.
제3도는 본 발명의 플래그 방식에 의한 버스간의 데이타 흐름에 따른 개념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B Bus : 버스 1 : 공유메모리부
2,3 : 플래그부 4 : 제어부
본 발명은 서로 상이한 통신규약(protocol)을 갖는 두 종류의 버스 인터페이스(Bus interface)에서 데이타(data)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플래그 방식을 이용한 데이타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서로 상이한 통신규약을 갖는 두 종류의 버스에서 데이타 엑세스 제어방법은 공유메모리 엑세스(Shared Memorry Access)방법에 의한 인터럽트 (Inte rrupt)방법을 사용하였다.
즉, A버스 사이드의 스텝에서 B버스를 이용하는 시스템으로 데이타를 전송하기 위해서는 먼저 공유메모리에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타를 써 넣은 후, B버스에 인터럽트신호를 발생시켜 B버스 시스템에서 공유메모리에 써 넣어진 데이타를 가져갈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인터럽트 방법을 사용하는 종래의 기술에 있어서는 인터럽트 신호를 사용하는 신호라인(Sigal Line)이 단락되었을 경우는 시스템의 이용이 전혀 불가능하고 인터럽트 방식을 이용할 경우 타이밍에 고려해야 될 점들이 많이 발생하여 설계가 복잡하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상이한 통신규약을 갖는 두 종류의 버스 인터페이스에서 데이타의 흐름을 원활하게 제어하는 플래그(flag) 방식에 의한 버스(Bus)간의 데이타 제어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플래그(flag) 방식에 의한 버스(Bus)간의 데이타 제어장치의 특징은, 통신규약이 서로다른 제1 및 제2버스와, 상기 제1 및 제2버스사이에 데이타를 공유할 수 있는 공유메모리부와, 제1버스에서 공유메모리부를 이용할 수 있도록 플래그 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제1 플래그 발생부와, 상기 제2버스에서 공유메모리부를 이용할 수 있도록 플래그 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제2플래그 발생부와, 상기 제1 및 제2플래그발생부에 버스공유에 따른 각각의 플래그 신호들을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점에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플래그(flag) 방식에 의한 버스(Bus)간의 데이타 제어장치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플래그 방식을 이용한 데이타 제어장치 구성도로써, 통신규약이 서로 다른 제1버스(A Bus) 및 제2버스(B Bus)와, 제1버스(A Bus)와 제2버스 (B Bus)의 데이타를 공통으로 메모리할 수 있는 공통메모리부(1)와, 앤드게이트 (IC1), D-플립플롭(D-F/F1) 등으로 이루어져 제1버스(A Bus)에서 공유메모리(1)를 이용할 수 있도록 플래그를 발생하기 위한 제1플래그부(2)와, 앤드게이트(IC2), D-플립플롭(D-F/F2) 등으로 이루어져 제2버스(B Bus)에서 공유메모리(1)를 이용할 수 있도록 플래그를 발생하기 위한 제2플래그부(3) 및 상기 제1 및 제2플래그발생부 (2)(3)에 버스공유에 따른 각종 플래그 신호들을 제공하는 제어부(4)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플래그 방식에 의한 데이타 제어장치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4)의 각부 파형도로써, 여기서 각 앤드게이트(IC1,IC2)의 일 입력단에는 리세트(Reset) 신호가 인가되고 타입력단에는 제1 및 제2버스에서 플래그 크리어 신호가 입력되도록 하며 각 앤드게이트(IC1,IC2)는 해당 D-플립플롭(D-F/F1,D-F/F2)을 프리세트(preset)시키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각 D-플립플롭(D/F/F1,D-F/F2)의 입력단에는 제1 및 제2버스(A Bus, B Bus)의 플래그 세트 신호가 입력되고 출력단에는 상대방 버스에 플래그 신호 (FLAG AB*,FLAG BA*)를 출력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이 플래그 방식에 의한 버스간의 데이타 제어장치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각부 파형도로써, 전원이 공급되어 리세트(Reset) 신호가 걸리면 플래그 신호(FLAG AB*,FLAG BA*)는 하이상태로 된다.
그리고, 만약 제1버스(A Bus)가 제2버스(B Bus)로 데이타를 전송할 경우 제1플래그부(2)에 제2도와 같이 FLAG-SET-AB*의 트리거 펄스(Trigger pulse)를 싣는다.
이때 D-플립플롭(D-F/F1)에서 출력되는 FLAG AB*는 로우레벨을 갖게 되므로 제2버스(B Bus)에서는 공유메모리부(1)에 접근할 수 없다.
따라서 제1버스에서 전공하고자 하는 데이타를 공유메모리부(1)에 기록하고 기록이 완료되면 FLAG-CLEAR-AB*의 트리거 펄스를 제2도와 같이 실어 D-플립플롭 (D-F/F1)을 초기화시키므로 D-플립플롭(D-F/F1)에서 출력되는 FLAG AB* 신호는 하이레벨을 갖도록 한다.
그러므로 제2버스(B Bus)가 공유메모리부(1)에 접근할 수 있어 공유메모리부 (1)에 기록된 데이타를 제2버스(B Bus)가 읽어낸다.
또한, 제2버스(B Bus)에서 제1버스(A Bus)로 데이타를 전송할시에도 먼저 FLAG AB* 상태를 체크하여 하이상태면 제2버스(B Bus)에서 FLAG-SET-AB* 트리거 펄스를 제2도와 같이 실어 FLAG BA*가 로우레벨을 갖도록 하여 제1버스(A Bus)에서는 공유메모리부(1)에 접근할 수 없도록 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데이타를 전송한다.
따라서 제1버스(A Bus), 제2버스(B Bus)는 공유메모리부(1)에 접근하기 위해서는 서로 플래그(FLAG BA*,FLAG AB*)를 체크하여야 되며 접근가능한 상태가 될 경우 상대방의 플래그를 셋팅하여 상대방 버스의 접근을 막아야 된다.
그리고 반드시 버스 오퍼레이션(operation)이 끝났을 경우 해당버스는 상대방이 공유메모리부(1)에 접근할 수 있도록 플래그를 클리어(FLAG-CLEAR-AB*,BA*)해야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있어서는 플래그 방식을 이용하므로써 다른 버스간에 데이타 인터페이스(Data Interface)뿐만 아니라 제3도와 같이 다운 로드(Down load) 방식의 시스템에서 다운 로드의 시작과 끝을 메인프로세서(Main processor)에서 알리는 역할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통신규약이 서로 다른 제1 및 제2버스(A,B Bus)와, 상기 제1 및 제2버스 사이에 데이타를 공유할 수 있는 공유메모리부(1)와, 제1버스(A Bus)에서 공유메모리부(1)를 이용할 수 있도록 플래그 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제1플래그발생부(2)와, 상기 제2버스(B Bus)에서 공유메모리부(1)를 이용할 수 있도록 플래그 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제2플래그발생부(3)와, 상기 제1 및 제2플래그발생부(2)(3)에 버스공유에 따른 각각의 플래그 신호들을 제공하는 제어부(4)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그(flag)방식에 의한 버스(Bus)간의 데이타 제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버스(A Bus)에서 공유메모리(1)로 접속하기 위하여 플래그 신호(FLAG-CLEAR-AB*)를 세트시키도록 한 플래그(flag) 방식에 의한 버스 (Bus)간의 데이타 제어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버스(B Bus)에서 공유메모리(1)로 접속하기 위하여 플래그 크리어 신호를 (FLAG-CLEAR-AB*)를 세트시키도록 한 플래그(flag) 방식에 의한 버스(Bus)간의 데이타 제어장치.
KR1019930018948A 1993-09-18 1993-09-18 플래그(flag) 방식에 의한 버스(Bus)간의 데이타 제어장치 KR9600012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18948A KR960001268B1 (ko) 1993-09-18 1993-09-18 플래그(flag) 방식에 의한 버스(Bus)간의 데이타 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18948A KR960001268B1 (ko) 1993-09-18 1993-09-18 플래그(flag) 방식에 의한 버스(Bus)간의 데이타 제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1268B1 true KR960001268B1 (ko) 1996-01-25

Family

ID=193639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18948A KR960001268B1 (ko) 1993-09-18 1993-09-18 플래그(flag) 방식에 의한 버스(Bus)간의 데이타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1268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62405A (en) Peripheral unit selection system having a cascade connection signal line
KR920013141A (ko) 단일선로를 이용한 가변적 마스터 방식의 감시 제어 확장방법 및 회로
KR860001382A (ko) 분할된 개입중단 인터페이스 회로
KR910010335A (ko) 인터페이스 회로
US4075606A (en) Self-memorizing data bus system for random access data transfer
KR960001268B1 (ko) 플래그(flag) 방식에 의한 버스(Bus)간의 데이타 제어장치
KR940020994A (ko) 입/출력장치의 구성방법 및 그 회로
US5765019A (en) Microcomputer with built-in serial input-output circuit and collision detection circuit responsive to common input-output line being occupied
KR970007157Y1 (ko) 시스템버스와 다수 병렬포트 사이의 인터페이스 장치
KR900700971A (ko)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보드 시스템
KR920004415B1 (ko) 데이타 전송회로 및 방법
KR890004811Y1 (ko)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버스의 인터페이스 회로
KR900005661B1 (ko) 콘트롤러와 레이저 프린터간의 데이타신호 전송회로 및 방법
EP0400930A2 (en) Realtime redundant operating system
JPS6269348A (ja) デ−タ転送装置
JPS63157615A (ja) 分散電源システム
JP2867480B2 (ja) メモリ切替回路
JPH036037Y2 (ko)
KR890005155B1 (ko) 레이저 프린터의 직렬데이타 전송장치
JP2722912B2 (ja) アラーム信号調整回路
JPH01236389A (ja) メモリーカード
JPH0230929Y2 (ko)
JPS63263949A (ja) 同期端局試験器
KR19990000653A (ko) 비교기 클럭 발생 회로
JPS61276050A (ja) デ−タ転送方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