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1177Y1 - 철도차량용 자동문 구동장치 - Google Patents

철도차량용 자동문 구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1177Y1
KR960001177Y1 KR2019900016964U KR900016964U KR960001177Y1 KR 960001177 Y1 KR960001177 Y1 KR 960001177Y1 KR 2019900016964 U KR2019900016964 U KR 2019900016964U KR 900016964 U KR900016964 U KR 900016964U KR 960001177 Y1 KR960001177 Y1 KR 96000117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tomatic door
hanger
upper roller
guide rail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0001696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09406U (ko
Inventor
김남포
Original Assignee
대우중공업 주식회사
이경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중공업 주식회사, 이경훈 filed Critical 대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00016964U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1177Y1/ko
Publication of KR92000940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940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117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1177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19/00Door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rail vehicles
    • B61D19/003Door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rail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movements of the door
    • B61D19/005Door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rail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movements of the door slid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0621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 E05D15/0626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for wings suspended at the top
    • E05D15/0652T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5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fluid-pressure actuators
    • E05F15/56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fluid-pressure actua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 E05F15/565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fluid-pressure actua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for railway-ca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4Rails; T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50Mounting methods; Positioning
    • E05Y2600/51Screwing or bolt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1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for railway cars or mass transit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port Devices For Sliding Doo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철도차량용 자동문 구동장치
제 1 도는 종래의 기술에 의한 구동장치의 종단면도
제 2 도는 본 고안의 정면도
제 3 도는 제 2 도에서 a-a', b-b', c-c', d-d' 부의 상세도
제 4 도는 제 3 도의 A-A선에 의한 측단면도
제 5 도는 본 고안의 상, 하부 롤러를 나타낸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0 : 행거 50 : 상부롤러
60 : 안내레일 41.63.83. : 볼트
42 : 제1조정판 62 : 제3조정판
70 : 하부롤러 80 : 레일지지체
본 고안은 철도차량의 객실과 화장실, 세면실간의 칸막이에 설치되는 자동문의 구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설치에 따른 구동장치의 제작오차 및 조립오차등 극소화 하여 설치의 용이성 및 장치작동의 원활을 극대화한 철도차량용 자동문 구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기술과 관련된 종래의 철도차량용 자동문 구동장치는 제 1 도와 같이 공기압으로 동작되는 구동실린더(1)의 왕복운동이 연결판(2)을 통해 자동문(3)과 용접된 행거(4)에 전달되고 상기 행거(4)에 설치된 철제의 상부롤러(5)가 안내레일(6)을 타고 구름운동을 함으로서 자동문(3)이 개폐되게 되었다.
상기 자동문(3)의 자중은 상부롤러(5)를 통해 안내레일(6)이 지지하고, 자동문이 닫힐 때 충격으로 인한 탈선을 방지하기 위한 하부롤러(7)를 채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구동장치는 상부롤러(5)를 통해 안내레일(7)이 철제로 되어있기 때문에 구동시 접촉음이 과다하게 발생하여 객실승객에 불쾌감을 주며, 제작오차를 흡수할 수 있는 조정판의 개소와 여유가 적어 조립이 어렵고 조립시에 발생되는 오차의 수정작업이 많이 필요하며, 이에 따른 자동문이 구동시 많은 힘이 걸리고 원활치 못한 것이었다.
또, 행거(4)는 자동문(3)에 용접되어 있어 상, 하부롤러(5)(7)의 축심에 자동문(3)의 공차와 행거(4)의 용접부 오차가 누적되어 나타나므로 많은 조정여유가 있어야 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제반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구동시 소음이 적고 제작오차를 흡수할 수 있도록 조정판의 개소와 여유를 충분하여 조립 및 조립시의 오차발생에도 수정작업이 용이하며 작동이 원활한 철도차량용 자동문 구동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비철이고 내마모성 재질로 상부롤러를 마련하고 안내레일은 상부롤러의 형상과 일치시켜 좌우유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C형으로 마련하여 조정판은 상, 하, 좌, 우 방향으로 편차를 흡수토록 3개의 구성하는 한편 볼트로 체결되는 행거를 포함토록 자동문 구동장치를 마련함에 의한다.
이하에서 본 고안을 첨부도면에 따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본 고안은 제 2 도 내지 제 5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실린더(1)는 연결판(2)을 통해 자동문(3)과 볼트(41)로 체결된 행거(40)에 전달되고 상기 행거(40)에는 상, 하부롤러(50)(70)가 설치되어 있으며, 안내레일(60)은 상부롤러(50)를 지지토록 레일지지체(80)로 지지되어 있다.
상기 상부롤러(50)는 비철이고 내마모성이 재질인 나이라트론(NYLATRON)성형품을 사용하여 접촉 및 마찰소음을 격감시킴이 바람직하고, 하부롤러(70)는 내충격성이 좋은 활동계열의 재질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행거(40)는 자동문(3)의 상단에 볼트(41)에 체결되되 자동문(3)과 행거(40)사이에, 제 1 조정판(42)이 삽입되어 설치된다.
상기 레일지지체(80)는 칸막이골조(8)에 용접취부된 브라켓트(81)에 볼트(82)로 체결되는데 상기 블라켓트(81)와 레일지지체(80)사이에 제2조정판(83)이 삽입되어 설치된다.
상기 안내레일(60)은 상부롤러(50)의 형상과 일치되어 상부롤러(50)의 좌우유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C형으로 되고 칸막이골조(8)에 용접취부된 브라켓트(61)에 제3조정판(62)을 포함하여 볼트(63)로 체결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공기압에 의해 구동실린더(1)가 동작하면 구동실린더(1)의 로드에 조립된 연결판(2)을 통해 행거(40)에 구동력이 전달되고 행거(40)에 상부롤러(50)가 C형의 안내레일(60)를 따라 구름운동을 한다.
이 구름운동이 행거(40)에 볼트(41)로 체결된 자동문(3)으로 전달되면 자동문(3)를 통해 행거(40)로 전달 상부롤러(50)가 안내레일(60)을 따라 구름운동을 하므로서 자동문(3)이 열리게 된다.
이때, 상기 상부롤러(50)가 비철, 내마모성의 재질로 되어 있기 때문에 거의 소음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또한, 제작오차로 인해 조립시의 수정작업이 필요할 때는 제 1, 2, 3, 조정판(42)(83)(62)의 두께를 가감시켜 상, 하 , 좌, 우 방향으로 편차를 조절 흡수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고안은 비철, 내마모성 재질로된 상부롤러(50)를 포함하는 행거(40), 상기 상부롤러(50)를 안내지지하는 안내레일(60) 및 이 안내레일(60)을 지지하는 레일지지체(80)을 보유하고 이들사이에 제1, 2, 3, 조정판(42)(83)(62)이 삽입개재된 철도차량용 자동문 구동장치를 마련하므로서, 장치 조립시에 상, 하, 좌, 우 방향의 편차를 양호히 조절 흡수할 수 있게 용이한 설치가 가능하여 정밀시공을 최대한 확보할 수 있고 따라서 설치후 구동시에 소음이 적고 원활한 효과를 갖는 것이다.

Claims (1)

  1. (정정) 구동실린더(1)의 로드와 연결판(2)에 의해 연결된 행거(40)와, 이 행거에 설치되는 상부롤러(50) 및 하부롤러(70)와, 상기 상부롤러(50)을 지지하되 레일지지채(80)로 지지된 레일(60)으로 구성되어 상기 상부롤러(50)가 안내레일(60)을 따라 이동하여 자동문(3)을 개폐토록 하는 철도차량용 자동문 구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행거(40)는 하부에 제1조정판(42)을 삽입설치하여 상기 자동문(3)의 상단과 볼트(41)로 체결구성되고, 상기 레일지지체(80)는 이를 지지하는 통상의 브라켓트(81)에 제2조정판(83)을 삽입설치하고 볼트(82)로 체결구성되며,
    상기 안내레일(60)은 이를 지지하는 통상의 브라켓트(61)에 제3조정판(62)을 삽입설치하고 볼트(63)을 체결구성되어서,
    상기 제1, 2, 3, 조정판(42, 83, 62)의 두께 가감에 의한 상기 행거(40) 및 레일지지체(80)의 상, 하편차와 상기 안내레일(60)의 좌, 우, 편차를 조정가능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용 자동문 구동장.
KR2019900016964U 1990-11-06 1990-11-06 철도차량용 자동문 구동장치 KR96000117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16964U KR960001177Y1 (ko) 1990-11-06 1990-11-06 철도차량용 자동문 구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16964U KR960001177Y1 (ko) 1990-11-06 1990-11-06 철도차량용 자동문 구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9406U KR920009406U (ko) 1992-06-16
KR960001177Y1 true KR960001177Y1 (ko) 1996-02-08

Family

ID=193050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00016964U KR960001177Y1 (ko) 1990-11-06 1990-11-06 철도차량용 자동문 구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1177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9406U (ko) 1992-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69220A (en) Swing-and-slide door for vehicles especially railroad passenger vehicles
GB2027098A (en) Door assembly
US6070700A (en) Operating system for elevator doors
JPH11514411A (ja) 窓枠平面に対して横方向に移動可能な少なくとも1つのスライドウィングを備えた水平スライド式窓
KR960001177Y1 (ko) 철도차량용 자동문 구동장치
US6286261B1 (en) Vehicle sliding door track and guide elements
JP2004114824A (ja) プラットホーム用薄型可動柵
GB1572638A (en) Sliding door track mechanism
CN113799802B (zh) 一种大开度轨道交通站台门
JPH0343090B2 (ko)
KR102101378B1 (ko) 리프팅 창호의 슬라이딩 보조장치
CN207092793U (zh) 一种轻型客车滑动门上滑轮系统
KR870000822Y1 (ko) 엘리베이터 승강구의 해치도어 닫음장치
JPH029952Y2 (ko)
CN218466210U (zh) 道岔的走行机构、道岔的走行装置及道岔
JPH0515025Y2 (ko)
JPH0556535U (ja) 車両スライドドアのガイド構造
JPH0421995Y2 (ko)
JP2001193342A (ja) 気密型の引き戸装置
JPH0716497Y2 (ja) 自動車用スライドドアのスライド装置
JPS62125637U (ko)
JPH0635725Y2 (ja) 自動車のスライドドアレール
KR930009157B1 (ko) 엘리베이터의 도어 개폐장치
KR920008819Y1 (ko) 조립식 도어에 있어서의 하부힌지 조절장치
JPH0394318U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012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