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70000822Y1 - 엘리베이터 승강구의 해치도어 닫음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승강구의 해치도어 닫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70000822Y1
KR870000822Y1 KR2019850007811U KR850007811U KR870000822Y1 KR 870000822 Y1 KR870000822 Y1 KR 870000822Y1 KR 2019850007811 U KR2019850007811 U KR 2019850007811U KR 850007811 U KR850007811 U KR 850007811U KR 870000822 Y1 KR870000822 Y1 KR 87000082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door
spring
hatch door
ha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5000781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00680U (ko
Inventor
윤기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금성사
허신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금성사, 허신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금성사
Priority to KR2019850007811U priority Critical patent/KR870000822Y1/ko
Publication of KR87000068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068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7000082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0822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02Door or gate operation
    • B66B13/14Control systems or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Elevator Door Apparatus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승강구의 해치도어 닫음장치
제1도는 종래 해치 도어의 구조도.
제2도는 본 고안에 의한 해치도어의 구조도.
제3도는 시이트의 사시도.
제4도는 스프링 받이용 브래킷의 사시도.
본 고안은 엘리베이터의 승강기측 출입문이 전동장치에 의해 구동되고, 이 출입문의 여닫힘에 의해서 이것에 연계된 승강구측 출입문(이하 해치도어라 부름)이 여닫히도록된 것에 있어서, 그 해치도어의 닫음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승강기가 해치도어에 도착하게되면 전기적 신호에 의해 전동장치가 가동하므로서 승강기 출입문이 여닫히고 이와 동시에 승강기 출입문에 연계되어 해치도어도 여닫이게되어 있다.
이럴대, 출입문이 완전히 닫힐때까지 전동장치가 작동되는 것이 아니라 출입문이 완전히 닫히기전의 일정한 거리를 둔 상태에서 전동장치는 가동을 중지하도록 되어있고 또한 닫히게하려는 힘에 의해 부드럽게 충격을 완화하면서 해치도어의 출입문이 닫히게 되어있다.
여기서 승강기가 해치도어와 다른 해치도어 사이에 위치해 있을때 어떠한 원인이나 부주의등에 기인하여 해치도어가 열리는 경우 곧바로 해치도어를 닫아줌으로서 안전사고의 위험을 방지하는 것이 본원 고안 닫음장치의 역할이자 기능이다.
상기한 바의 해치도어는 제1도에 보는바와 같이 문짝(1)(2)의 상단에 부착된 행거(3)가 건축물의 승강기 운행통로 상에 마련되어 있는 승강구의 윗쪽면에 가로로 고정설치된 레일(5)에 얹혀있고 승강기 출입문의 구동에 의해 제1문짝(2)이 구동됨과 동시에 제1문짝(2)측의 행거(3)에 연결된 로우프(6)가 레일양단에 회전가능하게 설치한 로울러(7)를 지점으로 움직임으로서 제2문짝(2)이 개폐되는 구조로되어 있다.
이러한 해치도어의 닫음장치는 역시 제1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1문짝(1)측에 부착판(8)을 덧붙이고 그 전면에다가 시이트(9)를 댄다음 보울트(10)로 고정하였으며, 부착판(8)과 링크(11)의 상단 사이를 보조링크(12)로 연결하고, 각 링크(11)(12)와 시이트(9)의 이음부에는 베어링을 개재해서 이들간의 선회동작이 유연성을갖도록 하였다. 그리고 상기 링크(11)하단을 지지하고 있는 고정축(13)을 지지점으로 좌, 우방향으로 레버운동하는 링크(11)에 의해 위에서 말한바와 같은 문짝(1)(2)의 닫힘이 이루워지며, 상기 링크(11)의 하반부에서 제1문짝(1)쪽을 향해 인장력을 발휘하는 인장스프링(14)은 승강구 측방의 운행 통로면에 고정시킨 브래킷(15)과 상기 링크(11)의 적소에 연결되어 있다.
이 같은 구조의 종래 해치도어 닫음 장치는 상기링크를 잡아당기는 스프링의 인장력이 이 링크와 보조링크를 통해서 해치도어의 앞뒷면쪽으로 분산되지 않고 정확하게 직선상으로 이이트축에 전달되도록하는 일종의 안내장치가 없으므로 시이트에 작용하는 닫힘압력이 일부 분산되는 현상이 일어나고 이 때문에 닫히는 도중에 해치도어가 그 앞 또는 뒷쪽으로 흔들리는 결과를 초래하는 예가 많았다.
이러한 현상은 곧 인장스프링(14)과, 링크(11)이, 링크와 보조링크(12) 그리고 보조링크와 시이트(9)사이의 공차 때문에 발생하는 것으로서 문짝의 높이가 큰 경우일수록 더욱 심하다.
이것이 원인이되어 행거(3)에 의해서 수직으로 매달려있는 해치도어를 안내해주는 문짝 저면의 안내돌조가 승강구 레일홈의 전. 후 직립면에 심히 마찰되고 닫음 장치에 의한 닫힘력을 약화시키는 결과 뿐만 아니라 종국적으로는 상기한 안내돌조의 조기 마모와 문짝의 주행 소음발생원이 되기도 하였다.
또 해치도어의 크기나 중량에 따라 여기에 대응하도록 닫힘압력에 변화를 주기위해서는 링크(11) 하단의 고정축(13) 중심과 링크상의 인장스프링(14)단 고정 위치간의 거리(ℓ)를 조정해야하는 불편이 있고, 일단 시설한후에 이러한 닫힘 압력조절을 하는 경우에는 이같은 불편이 더욱 컸다.
본 고안은 위에 말한 종래해치도어 닫음장치의 단점을 개선하기 위해 고안한 것으로서 다음에 제2도 이하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고안의 주된 요지는 제2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링크(20)를 닫히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스프링(21)의 설치구조와 보조링크(22)를 안내할 수 있도록 시이트(23)의 구조를 개량한 것에 두고 있다. 먼저 시이트(23)의 구조에 대하여 살펴보면, 시이트(23)는 대략 그 중간쯤에 수직으로 세워진 안내판(24)과 함께 단일구조, 예를들면 구조방법등에 의하여 하나의 몸체를 이루도록 성형되어있고, 보조링크(22)는 기존의 제1문짝(25)의 안쪽에 위치한 시이트(23)의 수직부중앙에서 선회가능하면서 상기 안내판(24)에 안내받도록 결합되어있다.
더욱 자세히 말하면 상기 안내판(24)은 시이트(23)의 면으로부터 보조링크(22)의 옆두께만큼 툭 튀어나오게 형성되고 그 사이에서 보조링크(22)가 피봇축을 중심으로 자유로이 선회할수 있도록 끼워진채 일단이 피봇지지되어 있다는 것이다. 그리하여 문짝(25)이 스프링(21)의 힘에 의해 닫힐때 작용하는 힘이 보조링크(22)를 통한 작용력이 안내판(24)의 도움으로 일직선상으로 시이트(23)에 전달되고 이로서문짝(25)은 면방향으로 요동되는 일이 억제내지는 방지되는 것은 물론이고 문짝(25)의 저면에 돌출형성된 안내돌조와 승강구측의 당해레일홈과의 마찰도 대폭 감소된다.
이러한 마찰감소는 결과적으로 해치도어의 주행소음이 극소화될 뿐더러 그 안내돌조의 조기 마모의 예방효과를 가져오게된다.
한편링크(20)에 스프링성 압력을 가하는 스프링(21)은 종전의 인장스프링에 대응하는 압축코일 스프링으로 개조하고 그 설치위치도 링크(20)의 뒷쪽으로변경하여 압축성 탄력을 가하도록 구성하였다.
상기 압축스프링(21)은 하단이 링크(20)와 함께 동일 브래킷(26)상에 선회가능하도록 피봇설치된 지지봉(27)에 끼워져서 하단은 그 지지봉(27)의 칼라(28)에 그리고 상단은 스프링받이(29)에 받쳐져 있으며, 상기 스프링 받이(29)는 링크(20)측의 브래킷(30)상에 링크(20)의 길이방향으로 뚫어놓는 장공(31)의 범위내에서 위치조정이 가능하도록 보울트등에 의해 상호 결합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는 곧 설치후 보수시스프링 압력을 조정하는데 매우 요긴하다.

Claims (1)

  1. 스프링(14) 압력에 의해 승강구측 해치도어를 닫아주는 장치에 있어서, 링크(20)의 선단에 연결된 보조링크(22)용 안내판(24)을 시이트(23)상에 수직으로 형성하고, 상기 링크(20)의 하단지지용 브래킷(26)상에서 링크(20)의 뒷쪽에다가 칼라(28)가 달린 지지봉(27)을 피봇설치하여, 압축스프링(21)을 끼우며 상기링크(20)상에는 상기 스프링(21)의 상단받침용 스프링받이(29)를 부착하고, 상기 스프링받이 고정용 브래킷(30)상에는 스프링 압력조정용 길이방향의장공(31)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엘리베이터 승강구의 해치도어 닫음장치.
KR2019850007811U 1985-06-27 1985-06-27 엘리베이터 승강구의 해치도어 닫음장치 KR87000082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50007811U KR870000822Y1 (ko) 1985-06-27 1985-06-27 엘리베이터 승강구의 해치도어 닫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50007811U KR870000822Y1 (ko) 1985-06-27 1985-06-27 엘리베이터 승강구의 해치도어 닫음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0680U KR870000680U (ko) 1987-02-20
KR870000822Y1 true KR870000822Y1 (ko) 1987-03-05

Family

ID=192432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50007811U KR870000822Y1 (ko) 1985-06-27 1985-06-27 엘리베이터 승강구의 해치도어 닫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70000822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0680U (ko) 1987-0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065826A (en) Entranceway apparatus and closure means for elevators
US4947964A (en) Door drive apparatus with locking mechanism for elevators
US2064470A (en) Overhead door
US4660324A (en) Door opener
US3585757A (en) Overhead opening plug door
US4313525A (en) Car door safety interlock
SE307750B (ko)
JPH06156897A (ja) 安全装置
GB2112449A (en) Device for operating a sliding door
US6070700A (en) Operating system for elevator doors
EP0985626A3 (en) Elevator control panel opening/closing device
US2327026A (en) Garage door hanger
US3258062A (en) Overhead door safety catch
US5947232A (en) Swing arm to prevent sway of elevator ropes
CN1196028A (zh) 自动电梯门的开闭装置和门联接器
EP0850189B1 (en) Procedure for moving the landing door of an elevator, and a door coupler
US2008000A (en) Overhead door and operating mechanism
KR870000822Y1 (ko) 엘리베이터 승강구의 해치도어 닫음장치
US4731950A (en) Airtight closing sliding door with contact pressure and integrated one-hand operation
US3066729A (en) Overhead door operator with safety disconnectible coupling
JPH08143252A (ja) エレベータドア装置
JP2000211859A (ja) エレベ―タドア装置
GB1572638A (en) Sliding door track mechanism
JPH0953364A (ja) 吊り戸用戸車
CA2267428A1 (en) Operating system for lift doo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31224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