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0428Y1 - 2륜자동차의 가속장치 - Google Patents

2륜자동차의 가속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0428Y1
KR960000428Y1 KR2019930030344U KR930030344U KR960000428Y1 KR 960000428 Y1 KR960000428 Y1 KR 960000428Y1 KR 2019930030344 U KR2019930030344 U KR 2019930030344U KR 930030344 U KR930030344 U KR 930030344U KR 960000428 Y1 KR960000428 Y1 KR 96000042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celeration
operation member
speed
fixed
lower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3034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18461U (ko
Inventor
김상길
Original Assignee
김상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상길 filed Critical 김상길
Priority to KR2019930030344U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0428Y1/ko
Priority to PCT/KR1994/000181 priority patent/WO1995018035A1/en
Priority to JP6323175A priority patent/JPH07205866A/ja
Priority to AU14255/95A priority patent/AU1425595A/en
Publication of KR95001846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846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042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0428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1/00Motorcycles, engine-assisted cycles or motor scooters with one or two wheels
    • B62K11/14Handlebar constructions, or arrangements of controls thereon, specially adapted thereto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23/00Rider-operated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i.e. means for initiating control operations, e.g. levers, grips
    • B62K23/02Rider-operated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i.e. means for initiating control operations, e.g. levers, grips hand actu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23/00Rider-operated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i.e. means for initiating control operations, e.g. levers, grips
    • B62K23/02Rider-operated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i.e. means for initiating control operations, e.g. levers, grips hand actuated
    • B62K23/06Le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Throttle Valves Provided In The Intake System Or In The Exhaust System (AREA)
  • Steering Devices For Bicycles And Motorcycl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2륜자동차의 가속장치
제 1 도는 본 고안이 적용된 가속장치의 평단면도.
제 2 도는 제 1 도에 따른 측면도.
제 3 도는 제 1 도에서 회전조작부재의 평단면도.
제 4 도는 종래기술에 따른 사용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속도조절편설치부 2 : 회전조작부재몸체
3 : 베어링 4 : 가속와이어
5 : 끼움구멍 6 : 회전조작부재
7 : 핸들봉 8 : 속도조절편
9 : 스트립 10 : 보울트
11 : 속도조절편지지보울트 12 : 좌,우상부지지부재
13 : 하부지지부재 14 : 회전조작부재안내부
15, 17 : 플랜지부 16 : 몸체
18 : 가속와이어안내홈 19 : 피복관
20 : 피복관고정브라켓트 21 : 전륜제동용레버
22 : 손잡이커버 23 : 엄지손가락걸이
본 고안은 2륜자동차의 가속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운전자가 안정된 자세에서 조작을 쉽게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제동효과도 향상시키도록 된 2륜자동차의 가속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터사이클이나 스쿠우터(Scooter)와 같은 2륜자동차에는 전륜제동장치와 가속장치가 조향축에 수직으로 설치된 조종핸들에 함께 배치되어, 이 조종핸들을 파지한 상태에서 우측손의 손목동작으로 전륜제동 및 가속조작을 하도록 되어있는 바, 즉 제 4 도에 도시된 것과 같이 핸들봉(30)의 좌우측에 보울트와 너트로 설치된 지지간중 우측지지간(40)에 드로틀밸브와 연결된 가속와이어(41)를 당기거나 늦추게하여 드로틀밸브의 연료분사량을 조절함으로써 가속 또는 감속시키는 정,역회전이 가능하도록 가속용손잡이(42)가 끼워져 설치되는 한편, 상기 우측지지간(40)의 앞쪽에 전륜제동용레버(43)가 브레이크오일탱크(44)의 측면을 눌러 고무호스(45)를 매개로 브레이크라이닝(도시 않됨)으로 오일을 공급할 수 있도록 설치된 구조로 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 가속용손잡이(42)는 이를 정,역회전시켜 속도를 가감하는 용도로 쓰여짐과 더불어 조향핸들의 손잡이로도 사용되는 바, 즉 운전자가 운전석에 앉아 양쪽 손으로 조향핸들을 각각 파지한 상태에서 조향조작을 하면서 우측손으로는 가속용 손잡이(42)를 정,역회전시켜 속도를 적절하게 조절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제동을 할 경우에는 가속용손잡이(42)에 손바닥을 얹혀놓음과 동시에 엄지손가락을 걸어 놓고서 전륜 제동용레버(43)를 운전석방향으로 끌어 당기게 되는바, 이때 상기 가속용손잡이(42)는 가속와이어(41)의 장력에 의해 초기상태(아이들링)로 되돌려져 엔진브레이크가 동작되게 되면서, 상기 전륜제동용레버(43)의 한쪽끝이 브레이크오일탱크(44)의 한쪽측면을 가압하여 이 브레이크오일탱크(44)내의 오일을 고무호스(45)를 통해 브레이크 라이팅쪽으로 밀어보내서 전륜을 제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가속용손잡이(42)를 정, 역회전시켜 주행속도를 조절함에있어, 예컨대 주행속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킬려면 가속용손잡이(42)를 운전석방향으로 당겨 회전시킨 상태 즉, 우측손목이 비틀어진 상태를 유지하고 있어야 됨에 따라, 결과적으로는 조향핸들에 가해지는 힘이 상대적으로 좌측손잡이에 집중되는 상태에서 운전을 하게 되어, 상기 전륜제동용레버(43)를 조작하게 되는 급제동시 손목을 전륜제동용레버(43)쪽으로 원위치시키는데 시간이 필요하게 되어 신속성이 결여될 뿐만 아니라, 특히 긴급상황에 직면하면 순간적으로 가속용손잡이(42)를 파지하고 있는 손목에 힘이 들어가게 되므로 가속용손잡이(42)가 비틀려 회전되게 됨으로써 오히려 주행속도를 가속시키게 되는 것이 큰 문제로 되고 있다.
또한 차량정체가 심한 도심운행시에는 빈번하게 클러치조작을 해야 하는데 이때 좌우측 손목을 동시에 움직이면서 운전하는 데에 따른 불편함이 수반됨은 물론, 좌우측손목의 동작이 적절하게 조화를 이루지 못하게 되어 엔진에 무리가 가고 연료소모율도 증가하는 등의 여러 결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제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인지와 중지손가락만으로 간단하게 조작하여 운전성과 제동효과를 향상시키고 연료절감에도 기여하도록 된 2륜자동차의 가속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엄지손가락걸이가 부착된 핸들봉의 중심축에서 대각선방향으로 상,하부지지부재가 고정되고, 이 상,하부지지부재사이에 속도조절편을 갖춘 회전조작부재가 베어링을 매개로 회전가능하게 끼워짐과 더불어, 이 회전조작부재에 형성된 끼움구멍으로 드로틀밸브와 연결된 가속와이어의 끝이 상기 하부지지부재에 일정장력을 갖도록 고정된 피복관고정브라켓트를 매개로 고정되어, 상기 속도조절편을 인지와 중지로 눌러서 가속와이어의 장력을 변화시켜 엔진회전수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제 1 도 내지 제 3 도는 각각 본 고안이 적용된 상태의 평단면도와 측면도 및 정면도로서, 종래 기술을 설명하는 제 4 도와 동일한 부위에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이면서 그 설명은 생략한다.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원판형상을 이루면서 일측에 속도조절편설치부(1)가 연장형성된 회전조작부재몸체(2)의 중심부에 베어링(3)이 설치된것과 더불어, 상기 속도조절편설치부(1)와 대향되는 위치에 가속와이어(4)의 끝에 갖춰진 알루미늄합금이 끼워지는 끼움구멍(5)이 형성된 회전조작부재(6)가 핸들봉(7)에 끼워져 이 회전조작부재(6)의 정, 역회전에 따라 가속와이어(4)가 당겨지거나 늦춰지면서 엔진의 회전수를 조절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조작부재(6)에는 소정각도로 속도조절편(8)이 고정되어 있는 바, 즉 상기 속도조절편설치부(1)의 선단부에 한쪽방향으로 약간 벌어지도록 절곡형성된 스트립(9)이 보울트(10)와 너트로 체결되고, 이 스트립(9)을 매개로 반원형상의 단면을 갖는 속도조절편(8)의 한쪽 끝부분이 용접 고정되는 한편, 이 속도조절편(8)의 아랫쪽으로는 상기 속도조절편설치부(1)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된 속도조절편지지보울트(11)가 설치되어, 이 속도조절편지지보울트(11)를 매개로 속도조절편(8)이 얹혀진 상태로 설치됨에 따라 속도조절편(8)의 취부력을 향상시키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회전조작부재(6)는 핸들봉(7)에 대략 서로 대각선방향으로 고정시킨 좌,우상부지지부재(12)와 하부지지부재(13)에 수용된 상태로 설치되게 되는바, 즉 상기 좌,우상부지지부재(12)는 핸들봉(7)과 동일한 곡률반경을 갖는 플랜지부(15)위에 수직상방향으로 반원형상을 이룬 회전조작부재안내부(14)가 일체로 형성되면서 회전조작부재(6)의 양측을 지지하도록 2분할형성되고, 상기 플랜지부(15)를 매개로 손잡이커버(22)가 끼워맞춰지는 한편, 상기 하부지지부재(13)는 ㄷ자형상으로 절곡된 몸체(16) 양쪽끝에 플랜지부(15)가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져, 상기 몸체(16)의 끝부분에 후술되는 피복관고정브라켓트(20)를 고정시키도록 되어 있는 한편, 상기 핸들봉(7)에는 엄지손가락걸이(23)가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끼움구멍(5)은 회전조작부재몸체(2)의 일측에 나선형상을 이루도록 절개되어 형성된 가속와이어안내홈(18)의 끝쪽부위에 형성되어, 상기 회전조작부재(6)의 회전각도에 상응해서 가속와이어(4)가 상기 가속와이어안내홈(18)을 따라 정확하게 끌어당겨질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한편 이 가속와이어(4)는 한쪽끝이 기화기에 직접 연결되어 엔진의 회전수를 조절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기 피복관(19)등으로 피복되어 안내되도록 되어 있음과 더불어 이 피복관의 다른쪽 끝부위는 알루미늄합금이 환봉형태로 굳어진 상태로 상기 회전조작부재(6)에 형성된 끼움구멍(5)에 걸려지도록 설치되는 한편, 상기 가속와이어(4)의 피복관(19)은 하부지지부재(13)의 선단부에 고정된 피복관고정브라켓트(20)와 너트(20')를 매개로 고정되어 가속와이어(4)가 팽팽하게 당겨진 상태로 끼움구멍(5)과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회전조작부재(6)의 회전각도에 상응하도록 가속와이어(4)를 끌어당길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다음에는 본 고안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2륜자동차의 가속장치는, 운전자가 좌우측손으로 각각 고정된 조향핸들을 파지한 상태에서 손가락동작만으로 가속장치를 작동시키도록 되어 있는 바, 즉 출발 또는 가속기 우측엄지손가락을 엄지손가락걸이(23)에 걸고 우측손으로 조향핸들을 파지한 상태에서 우측손의 인지와 중지 손가락으로 상기 속도조절편(8)을 아랫쪽방향으로 눌러주면 이 속도조절편(8)이 고정된 회전조작부재(6)가 베어링(3)을 매개로 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가속와이어(4)가 끌어당겨져 이에 연결된 엔진의 드로틀밸브를 열어 엔진회전수를 증가시킴으로써 가속이 이루어지게 되는 한편, 상기 속도조절편(8)에서 손가락을 떼면 엔진의 기화기에 설치된 스프링의 힘으로 가속와이어(4)가 되돌려져 회전조작부재(6)가 원래의 위치로 되돌려지게 됨으로써 엔진이 공회전상태로 되돌아오게 된다.
따라서 우측손이 조행핸들의 손잡이커버(22)를 잡고 있는 그대로의 상태에서 신속하고 부드럽게 전륜제동용레버(21)를 당길 수 있게 됨으로써 안정된 상태에서 전륜제동용레버(21)의 조작이 이루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우측조향핸들의 손잡이커버(22)는 핸들봉(7)에 고정되어 비틀림이 발생되지 않음으로 종래의 회전식 손잡이에 비해 보다 안정된 자세로 운전할 수 있으며, 우측엄지손가락을 엄지손가락걸이(23)에 걸어서 우측손을 가장 편안하고 안전하게 조향핸들을 파지한 상태에서 우측손의 인지와 중지손가락을 편안한 상태로 펴서 속도조절편(8)을 아랫방향으로 눌러주게 되므로, 장시간 운전에도 우측손가락이 피로하지 않게 된다.
이상 설명한 것과 같이 본 고안의 가속장치에 따르면, 양쪽손으로 조향핸들을 확실하게 파지한 그대로의 상태에서 가속 및 감속조작을 할 수 있게 되어 보다 안전한 상태로 운전을 할 수 있음은 물론, 속도조절편의 누름상태를 해제하여 속도가 감속된 상태에서 제동하게 되므로 제동성이 향상됨과 동시에 적정시기에 기어변속이 가능하여 기계적마모를 줄여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한편, 불필요한 연료의 소모율도 저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엄지손가락걸이(23)가 부착된 핸들봉(7)의 중심축에서 대각선방향으로 상,하부지지부재(12,13)가 고정되고, 이 상,하부지지부재(12,13)사이에 속도조절편(8)를 갖춘 회전조작부재(6)가 베어링(3)을 매개로 회전가능하게 끼워짐과 더불어, 이 회전조작부재(6)에 형성된 끼움구멍(5)으로 드로틀밸브와 연결된 가속와이어(4)의 끝이 상기 하부지지부재(13)에 일정장력을 갖도록 고정된 피복관고정브라켓트(20)를 매개로 고정되어,상기 속도조절편(8)을 인지와 중지로 눌러서 가속와이어(4)의 장력을 변화시켜 엔진회전수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된 2륜자동차의 가속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구멍(5)이 회전조작부재몸체(2) 일측에 나선형상을 이루도록 절개되어 형성된 가속와이어안내홈(18)의 끝쪽부위에 형성되어, 상기 회전조작부재(6)의 회전각도에 상응하여 가속와이어(4)가 가속와이어안내홈(18)을 따라 끌어당겨지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2륜자동차의 가속장치.
KR2019930030344U 1993-12-29 1993-12-29 2륜자동차의 가속장치 KR960000428Y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30344U KR960000428Y1 (ko) 1993-12-29 1993-12-29 2륜자동차의 가속장치
PCT/KR1994/000181 WO1995018035A1 (en) 1993-12-29 1994-12-26 Accelerator for a motorcycle
JP6323175A JPH07205866A (ja) 1993-12-29 1994-12-26 二輪自動車の加速装置
AU14255/95A AU1425595A (en) 1993-12-29 1994-12-26 Accelerator for a motorcy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30344U KR960000428Y1 (ko) 1993-12-29 1993-12-29 2륜자동차의 가속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8461U KR950018461U (ko) 1995-07-22
KR960000428Y1 true KR960000428Y1 (ko) 1996-01-10

Family

ID=193733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30344U KR960000428Y1 (ko) 1993-12-29 1993-12-29 2륜자동차의 가속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H07205866A (ko)
KR (1) KR960000428Y1 (ko)
AU (1) AU1425595A (ko)
WO (1) WO199501803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746872B2 (en) * 2011-04-20 2017-08-29 Michael Gordon Thielvoldt Finger-operated accelerator mechanism
US10668974B2 (en) 2018-01-02 2020-06-02 Thomas Erdmann Throttle tube with cable side radial bearing located inline with cable cam housing
US11052963B2 (en) 2018-01-02 2021-07-06 Thomas Erdmann Throttle tube with radial bearing for ride by wire throttle systems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338725A (en) * 1929-11-18 1930-11-27 Rudolf Frankovsky Improvements relating to cycle or motor cycle control devices
GB363769A (en) * 1930-07-16 1931-12-31 Franz Johann Maciejewski Improvements in regulating devices for motor vehicles, more particularly motor cycles
AT177337B (de) * 1950-12-12 1954-01-25 Fischer A G Fuer Appbau Handdrehgriff, insbesondere für Motorräder
DE3201523A1 (de) * 1982-01-20 1983-07-28 Gustav Magenwirth Gmbh & Co, 7432 Urach Seiltrommel fuer den gasdrehgriff eines motorisierten fahrzeug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8461U (ko) 1995-07-22
WO1995018035A1 (en) 1995-07-06
JPH07205866A (ja) 1995-08-08
AU1425595A (en) 1995-07-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863521A (en) Adjustable handlebars
EP1739000B1 (en) Control device for a bicycle derailleur
US5370017A (en) Handlebar cable control with biased return feature
JPH1134966A (ja) 電動補助自転車における補助動力制御装置
US4901595A (en) Auxiliary brake control assembly for bicycle
KR960000428Y1 (ko) 2륜자동차의 가속장치
US2899835A (en) Hand control for automobile brake and accelerator pedals
EP2432668A1 (en) A vehicle control device, particularly for controlling the vehicle accelerating and braking system
US6167776B1 (en) Auxiliary throttle for snow mobiles and the like
JPS60146781A (ja) 動力補助エンジン付自転車の操作部構造
US4260171A (en) Bicycle handlebar adjustment assembly
EP1698551A2 (en) Bicycle control apparatus
US10124856B2 (en) Aerobar-mounted rotational torque surge brake for a bicycle
EP3992069A1 (en) Handlebar
SU1119908A1 (ru) Устройство управлени тормозом велосипеда
JP2020057049A (ja) レバー支持構造
EP0757953B1 (en) Power-assisted bicycle
CN213057385U (zh) 一种电动车、摩托车操控手柄
JP2699186B2 (ja) グリップブレーキを備えたブレーキ操作装置
JPS59105944A (ja) 棒状ハンドル型車両の始動用制御レバー
JP3102528B2 (ja) 車両用棒状ハンドル
CN2596038Y (zh) 踏板式摩托车无级变速可固定油门控制把手
JPS603029Y2 (ja) ドロツプハンドル
JPH0338070Y2 (ko)
CN2167015Y (zh) 线控自行车铃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010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