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0404Y1 - 문양거푸집판넬 - Google Patents

문양거푸집판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0404Y1
KR960000404Y1 KR92006650U KR920006650U KR960000404Y1 KR 960000404 Y1 KR960000404 Y1 KR 960000404Y1 KR 92006650 U KR92006650 U KR 92006650U KR 920006650 U KR920006650 U KR 920006650U KR 960000404 Y1 KR960000404 Y1 KR 96000040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tern
concrete
glyph
plate
side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9200665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23762U (ko
Inventor
변무원
Original Assignee
변무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변무원 filed Critical 변무원
Priority to KR92006650U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0404Y1/ko
Publication of KR93002376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2376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040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0404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9/00Forming or shuttering elements for general use
    • E04G9/10Forming or shuttering elements for general use with additional peculiarities such as surface shaping, insulating or heating, permeability to water or ai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9/00Forming or shuttering elements for general use
    • E04G9/02Forming boards or similar elements
    • E04G9/05Forming boards or similar elements the form surface being of plastics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문양거푸집판넬
제 1 도는 본 고안의 사시도
제 2 도는 제 1 도의 A-A선 단면도
제 3 도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제 4 도는 테두리버팀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써,
(a)는 앵글을 적용하여서 된 테두리버텀대
(b)는 찬넬을 적용하여서 된 데두리버팀대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간 부호의 설명
10 : 문양판 11 : 문양부
12 : 사이부 13 : 테두리부
20 : 테두리버팀대 30 : 사이버팀대
40 : 돌출리브
본 고안은 콘크리트 표면부에 양각 또는 음각 문양과 자연적인 배부름현상을 충실하게 표현하여 주면서도 거푸집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하여주는 문양거푸집판넬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일본국 특허청 공개실용신안공보 소59-132848호에는 합성수지 발포체로부터 되는 콘크리트용 형틀에있어서, 콘크리트타설 측면도에 석적용 천연석의 표면형상을 보이는 요함부분을 형성하고, 인접하여 만나는 요함부분의 사이에는 요함부분보다 높게 한층 평탄한 목지부분을 일체로 형성하고, 석적모양의 외관을 표현가능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용 석적모양형틀이 공개되어 알려진 바가 있다.
그러나, 종래의 이러한 큰크리트용 석적모양형틀은 발포성 합성수지로 제작되므로 쉽게 파손되고, 미경화 콘크리트의 측압을 지탱하여 주기위한 기술적구성부가 자체에 구비되어 있지 아니하므로 독자적인 거푸집판넬로서는 사용될 수 없으며, 미경화 콘크리트의 측압을 지탱하여 주는 별도의 거푸집판넬의 내면에 부착고정되어서 사용되어야 하였다. 뿐만아니라, 콘크리트가 경화된 후에 거푸집을 큰크리트 면으로부터 탈리시키면, 합성수지 발포체로 성헝된 석적모양형틀이 콘크리트면에 부분적으로 달라붙어서 파손되므로, 콘크리트면에 부분적으로 달라붙은 조각들은 떼어내어야 하는 부수적인 마무리작업이 소요되는 결함이 있었다.
한편, 븐 출원인에 의하여 선출원된 것으로 1990.10.23 일자로 특허출원 제90-16984호에는, 문양판이 폴리에칠렌등과 같이 매끄러운 특성을 가지는 합성수지재로 만들어지도록 함으로써, 반복사사용 가능 회수릍 증진시켜 주면서도, 탈리작업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주는 복합 거푸집판넬을 제안한 바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복합 거푸집판넬은, 콘크리트 경화시 발생되는 수화열에 의해서 합성수지 판재부가 팽창하여, 문양이 찌그러지거나, 거푸집들의 치수가 틀려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합성수지 판재부가 콘크리트면 쪽으로 팽창할 경우에는 문양이 찌그러지게 되었으며, 판재부가 길이방향으로 팽창할 경우에는 전체 거푸집틀의 중심치수가 틀려져서 콘크리트 구조물의 정확도가 떨어지게 되는 등의 결점을 수반하게 되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큰크리트 표면부에 양각 또는 음각 문양과 자연적인 배부름현상을 충실하게 표현하여 주면서도 반복적인 사용에도 부분적인 파손이 발생되지 아니하고 자체적으로 미경화 콘크리트의 측압을 충분히 지탱할 수 있도록 하여서 거푸집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하여 주는 문양거푸집판넬을 제공하는데에 있다.
이하, 본고안의 기술적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문양거푸집판넬은 제 1 도 내지 제 3 도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폴리에틸렌 수지로서 각종의 모양을 배면쪽으로 오목하게 들어가게 하여 배면이 불룩한 형상을 가지는 문양부(11)들이 평평한 면을 이루는 사이부(12)와 테두리부(13)들을 사이에 두고 소정의 위치마다 형성되는 문양판(10)과, 상기 문양판(10)의 테두리부(13)의 배면에 고정되어서 문양판(10)에서 전달되는 미경화 콘크리트의 측압을 지지하는 테두리버팀대(20)들로 구성됨을 그 기술적구성상의 기본적인 특징으로 한다.
문양판(10)은 제 2 도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문양부(11)와 사이부(12) 및 테두리부(13)의 두께가 균일하게 형성되도록 하여 부분적으로 강도상 춰약부분이 없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테두리버팀대(20)들은 문양판(10)의 배면에 고정되어서 문양만으로 부터 전달되는 미경화큰크리트의 하중을 충분히 지탱할 수 있도록 하여주는 구조부이다. 이때의 테두리버텀대(20)들은 미경화 콘크리트의 하중을 충분히 지탱할 수 있는 4각형의 단면형상을 각목으로서 적용한 것을 보여 주고 있으나, 필요에 따라서는 제 4 도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앵글이나 찬넬중에 한 종류를 선택하여서 사용될 수도 있음을 밝혀둔다.
또, 테두리버팀대(20)들만으로 문양판(10)에서 전달되는 미경화 콘크리트의 측압을 충분히 지탱할 수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기 사이부(12)의 배면에 사이버팀대(30)들을 고정시켜서 미경화 콘크리트의 측압을보다 효율적으로 지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펀, 테두리버팀대(20)들과 사이버텀대(30)들이 문양판(10)에 고정되는 고정수단은 볼트접합, 나사못접합 및 리벳접합들 중의 어느 하나가 필요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 문양판(10)의 사이부(12)와 데두리부(13)의 전면에는 필요한 위치마다 돌출 리브(40)들이 일체로 돌출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콘크리트의 표면에 경계문양이 표현되도록 하는 데에 도움이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문양거푸집판넬은 첫째, 불록한 형상의 문양들을 콘크리트 표면에 표현시키는 문양판(10)이 잘 파손되기도 하면서도 표면이 유연하고 매끄러운 재질인 폴리에틸렌 수지로 제작되므로 콘크리트가 경화된 후의 탈리작업이 손쉬워지며 부분적으로 파손되지 아니하므로 별도의 마무리작업이 뷸필요하여 반복사용이 가능하여지는 작용효과를 가지게 되며, 둘째. 문양판(10)의 테두리의 배면에는 미경화 콘크리트의 측압을 효을적으로 지탱하도록 테두리 버팀대(20)들이 고정되므로, 자체가 독자적인 거푸집판넬로 사용될 수 있도록 하여주는 매우 유용한 것이다.

Claims (3)

  1. 재질은 폴리에틸렌 수지이며 각종의 모양을 배면쪽으로 오목하게 들어가게 하여 배면이 불룩한 형상을 가지는 문양부(11)들이 평평한 면을 이루는 사이부(l2)와 테두리부(13)들을 사이에 두고 형성되는 문양판(10)과, 상기 문양관(10)의 테두리부(13)의 배면에 고정되어서 자연적인 배부름 현상을 표현되게 하면서도 문양판(10)에서 전달되는 미경화 콘크리트의 측압을 지지하는 테두리버팀대(20)들로 구성되는 문양거푸집판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부(12)의 배면에는 사이버팀대(30)들이 고정되어서 미경화 콘크리트의 측압을보다 효을적으로 지지하도록 하여주는 문양거푸집판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부(12)의 전면에는 돌출리브(40)들이 일체로 돌출되도록 구성하여 콘크리트의 표면에 경계문양이 표현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문양거푸집판넬.
KR92006650U 1992-04-22 1992-04-22 문양거푸집판넬 KR96000040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06650U KR960000404Y1 (ko) 1992-04-22 1992-04-22 문양거푸집판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06650U KR960000404Y1 (ko) 1992-04-22 1992-04-22 문양거푸집판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23762U KR930023762U (ko) 1993-11-26
KR960000404Y1 true KR960000404Y1 (ko) 1996-01-08

Family

ID=193320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92006650U KR960000404Y1 (ko) 1992-04-22 1992-04-22 문양거푸집판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0404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23762U (ko) 1993-1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419457A (en) Laminated structure with former element
KR101308043B1 (ko) 오목줄눈용 거푸집 및 그를 이용한 노출 콘크리트 오목줄눈 모듈화 시공방법
US2981997A (en) Flagstone mold
US5074517A (en) Cross-sectional stabilizers for elastomeric concrete form liners
KR960000404Y1 (ko) 문양거푸집판넬
EP0429752B1 (en) Form for patterned concrete
JP2000045443A (ja) ボイドスラブの製造方法
JPH07290433A (ja) 大型擬岩ブロックの製造方法
JP2974962B2 (ja) コンクリート製品製造用型枠装置
JP2000220157A (ja) コンクリート構造物用目地材
JPH0727134Y2 (ja) 人工大理石等の製造に使用する軽量上型
JP2679580B2 (ja) コンクリート製埋設型枠の製造方法
KR930012073B1 (ko) 복합 거푸집 판넬
JPH07103682B2 (ja) コンクリート成形用湾曲化粧マツトの製造方法
JPH08333890A (ja) コンクリート型枠
JPS6226499Y2 (ko)
JPH01198305A (ja) コンクリート表面模様成形方法及び型枠
JPH05406A (ja) コンクリート成形体の成形方法
JP3025529U (ja) コンクリート表面処理用造形板
JPH0716820A (ja) 造形物形成用の型材及びそれを用いた造形物の形成方法並びにそれにより得られた造形物
JPH06228976A (ja) 擁壁の形成方法
JP2947328B2 (ja)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基礎構造の施工方法
JP2927386B2 (ja) 窯業系建材表面の凹凸模様付け方法
JPH06158759A (ja) 型枠建材
JP2000176922A (ja) コンクリート型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10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