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0264B1 - 피아노 액숀플랜지의 붓싱크로쓰 삽지장치 - Google Patents

피아노 액숀플랜지의 붓싱크로쓰 삽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0264B1
KR960000264B1 KR1019920014539A KR920014539A KR960000264B1 KR 960000264 B1 KR960000264 B1 KR 960000264B1 KR 1019920014539 A KR1019920014539 A KR 1019920014539A KR 920014539 A KR920014539 A KR 920014539A KR 960000264 B1 KR960000264 B1 KR 9600002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hing
molding
flange
hole
inser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145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04523A (ko
Inventor
이호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삼익악기
이호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삼익악기, 이호진 filed Critical 주식회사삼익악기
Priority to KR10199200145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0264B1/ko
Publication of KR9400045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45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02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0264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CPIANOS, HARPSICHORDS, SPINETS OR SIMILA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TH ONE OR MORE KEYBOARDS
    • G10C3/00Details or accessories
    • G10C3/16Actio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 Forg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피아노 액숀플랜지의 붓싱크로쓰 삽지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장치단면 예시도.
제2도는 본 발명의 기초원형부의 정면 예시도.
제3도 “a”는 본 발명의 붓싱크로쓰가 플랜지의 구멍 내부에 삽지되면 압출력을 받는 상태의 예시도.
제3도는 “b”는 본 발명의 붓싱크로쓰가 플랜지의 구멍에 삽지되어 쎈터핀을 삽입하면 2차 압출력을 받는 상태의 예시도.
제3도는 “c”, “d”는 종래에 플랜지 구멍에 잘못 삽지되어 쎈터핀이 중심이 벗어나게 삽입된 경우의 붓싱크로쓰 예시도.
제3도는 “e”는 본 발명에 의해 정상적으로 삽지되고 썬터핀이 정상적으로 중심에 위치하게된 붓싱크로쓰의 예시도.
제4도는 본 발명의 플랜지 구멍에 붓싱크로쓰가 삽지되는 상태를 예시한 사시도.
제5도는 본 발명의 기초원형부의 동작이 끝난상태의 예시도.
제6도는 본 발명의 라디알 수축기능으로 구성된 삽지용 밀대 단면도.
제7도는 본 발명의 1단계 밀대와 3단계 밀대로 유도구입구에 삽입되고 끝단에 도착하면서 적절한 온도로 다림질되는 상태의 예시단면도.
제8도는 본 발명의 2단계 밀대로 붓싱이 경사 유도구를 통과하여 마찰계수가 하강하며 분포응력이 같아서 균형있는 수축으로 다림질되어 안내되고 붓싱크로쓰가 플랜지에 삽지되기전 단계의 예시단면도.
제9도는 본 발명의 붓싱크로쓰 원단을 절단하여 받침대위에 위치시킨 상태의 정면 예시도.
제10도는 본 발명의 붓싱크로쓰 원단을 받침대에서 안태핀으로 잡아주는 상태의 정면과 측면 예시도.
제11도는 본 발명의 1단계 실린더로 붓싱크로쓰 원단을 2/3정도 만곡시킨 상태의 정면 예시도.
제12도는 본 발명의 안내핀, 받침대, 1,2차 실린더로 붓싱크로쓰의 초기 원형과정인 펴서 겹치지 않도록 삽지하기전에 성형하는 상태의 정면 예시도.
제14도는 본 발명의 원형으로 성형된 붓싱크로쓰를 경사유도구로 안내되어 수축, 다림질 상태로 통과하는 예시도.
제15도는 본 발명의 4단계 밀대가 경사유도구 끝단에 밀려서 플랜지에 삽지되기 직전 상태의 부분확대 단면도.
제16도는 본 발명의 4단계 밀대로서 고속 삽입시켜서 플랜지 구멍에 붓싱크로쓰가 삽지되는 상태의 부분확대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플랜지 2.2′: 플랜지구멍
3.3′ : 성형된 붓싱크로쓰 3a,3b : 주입수축되는 과정의 붓싱
3c : 절단된 붓싱원단 4 : 접속면
5 : 붓싱성형삽지기 5a : 붓싱원형재단기
6 : 실린더 7 : 밀대
8 : 주입구(원형재단부) 9 : 경사유도구
10 : 히터 11 : 온도쎈서
12 : 배출구 13 : 플랜지받침
14 : 몸체 15 : 기초원형부
16 : 보온커버 17 : 안내핀
18,18′,20,20′ : 실린더 19,19′,21,21′ : 압축성형대
22 : 받침대 6a : 2차실린더
7a : 1단계밀대 7b : 2단계밀대
7c : 3단계밀대
23 : 라디알 수축기능용 밀대관(7a,7b와 동일)
24 : 절취홈 25 : 밀대봉
25′ : 고정보울트
본 발명은 피아노 액숀에 사용하는 플랜지의 구멍에 끼우는 붓싱크로쓰를 균일한 압축응력을 받아서 쎈터핀의 중심을 플랜지의 중심부에 가장 근접하게하여 액숀의 품질 생산성 내구성을 가일층 높이도록 발명한 피아노 액숀플랜지의 붓싱크로쓰 삽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실용신안공보 제 1063호 공보 89-5027호로 공고된 본원 출원인이 선등록한 피아노 액숀플랜지 제조장치에 공고되어 이싸는데 이것은 붓싱크로쓰의 원단을 길게 말아서 공급하여 액숀플랜지의 구멍에 절단하면서 끼우도록한 구성으로서 수공으로 붓싱을 하나하나 끼우고 절단하는 것이 비하여 자동화 하였다는 데에 상당한 효과가 있으나, 플랜지 구멍에 끼워진 붓싱은 신축성이 원단 그대로와 같이 크기 때문에 쎈터가 유지되는 제3도“a”와 같은 상태로 끼워지기가 어렵고 제3도“c”또는 “d”와 같이 편중되게 끼워지게 되는 경우가 대부분이고 동시에 쎈터핀을 끼울경우에도 역시 줌심을 벗어나서 편중되게 밀려서 첫째 액숀동작이 정상 상태가 되지 못하고, 둘째, 조립식 교정작업량이 많아지며, 셋째, 붓싱크로쓰 마모시에 붓싱크로쓰의 두께 차이 때문에 액숀 동작시 유동과 흔들림이 심하게 되어서 정숙하고 정교하게 연주해야되고 연주되어져야 하는 피아노의 수명에 지장을 초래하게 되었다. 다시말해서, 제 3 도 “a”와 같이 붓싱이 플랜지 구엉에 삽지되면 붓싱은 화살표와 같이 외주면에 압출력을 받게되고, 거기에 쎈터핀을 끼우면 “b”도와 같이 내주면서도 차 압출력을 받게된다.
이때 쎈터핀은 그 중심 방향으로 총합력 영(0)이되는 위치에 있어야 하는데 종래에는 제 3 도의 “c”또는 “d”와 같이 삽지되어 쎈터핀이 끼워져서 총합력이 영(0)이 되지 못하고 힘이 접속면에 몰리거나 그 반대로 몰렸던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같은 종래의 제결점과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하고자 장기간동안 여러가지 연구와 실험을 거듭하여 소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붓싱성형기는 성형삽지기(5)와 원형재단기(5a)로 구성하며 성형삽지기(5)는 몸체(14)에 주입구(8)에서 배출구(12)까지 점차 좁아지도록 경사유도구(9)를 내통되게 구성하고 온도쎈서(11)를 부착한 히터(10)를 끼우며, 기초원형부(15)와 보온커버(16)를 결합한 다음, 배출구(12)에는 플랜지 받침(13)을 장설한다. 기초원형부(15)는 실린더(18)(18′)(20)(20′)와 압축성형대 (19)(19′)(21)(21′) 및 안내핀(17)을 작동되게하는 받침대(22)로 받친 붓싱원형재단기(5a)로 형성되고 실린더(6))(6a)는 밀대(7)와, 2, 3, 4단계의 밀대 (7a) (7b)(7c)를 작동되게 하고 밀대(7a)(7b)는 절취홈(24)을 다수개 절취한 수축역활을 하는 밀대관(23)으로 구성되어 중앙에 밀대봉(25)을 띠우고 후단부에 보울트(25′)을 조여서 밀대봉(25)이 삽지고정토록 형성한 것이다.
이와같이된 본 발명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정해진 길이로 절단한 붓싱원단(3C)을 받침대(22)위에 놓고(제 9 도), 안내핀(17)을 하향으로 눌러서(제10도), 잡아주고 제 1 단계로 제11도와 같이 실린더(20)(20′)를 작동시켜 압축성형대(21)(21′)가 붓싱원단(3C)을 2/3정도 만곡시킨다.
다음에 제 2 단계로(제12도) 실린더(18)(18′)를 작동시켜서 압축성형대 (19)(19′)로 압축성형하고 안내핀(17)은 붓싱의 중심을 유지시켜서 원형재단을 한다. 즉 제 3 도 “a”와 같이 원형 붓싱이 재단된다. 이 과정의 원형재단기(a)는 붓싱이 펴지고 겹쳐지지 않토록하며 응력을 고르게 한다.
제 5 도는 기초원형부(15)의 동작이 끝나고 붓싱(3)이 주입구(8)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이며 여기서 붓싱성형삽지기(5)가 작동되는데 제 7 도의 우축도시는 1단계 밀대(8a)가 제 5 도에서 경사유도구(9)로 밀어 넣는 상태의 도시이고 제 7 도 좌측 도시는 붓싱(3)이 배출구(12)에 완성되어 플랜지(1)의 구멍(2)(2′)에 끼우기 직전 상태의 도시이다.
즉 밀대(7b)로 붓싱(3)은 균일하게 수축되어 경사유도구(9)의 배출구(12) 끝단에 도착하며 적절한 온도로 가열되어 다림질되어 삽지가 효율적이 되고 삽지후 건조와 고온효과로 플랜지(1)와 잡착이 매우 잘되며 삽지시간이 극히 단축된다.
이 과정에서 붓싱(3a)는 제 3 도 “a”와 같이 두꺼운 상태에서 좌측으로 점차 좁아지게 구성된 경사유도구(9) 내부를 밀려들어가는 과정에 히터(10)의 가열로 인해서 다림질하는 것과 같이 다려지면서 중심 쎈터가 정확한 제 3도“e”와 같은 붓싱(13)이 성형된다.
즉 주름살도 펴지고 두께가 일정한 링상의 붓싱(3)의 (3C)에서 제 8 도 및 제14도의 (3a)(3b)의 과정을 거쳐서 제 8 도 예시도와 같이되며, 밀대(7a)(7b)(7c)등이 좌협우광한 경사유도구(9)를 밀고 들어가기 위해서는 밀대가 제 6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수축 기능용 밀대관(23)이 다수개의 절취홈(24)을 절취하였기 때문에 제 8 도예시와 같이 밀대(7b)의 밀대관(23)이 경사유도구(9)의 좌측 좁은 경사쪽으로 밀려갈수록 절취홈(24)이 수축되어 가능하게 된다.
제 8 도는 밀대(7b)가 붓싱(3a)을 유도구(9)로 서서히 통과하여 붓싱(3b)와 같이되고 가열되어 유도구(9)와 마찰계수가 하강하며 분포응력이 같아서 균형있게 수축되면서 다름질이 된다.
제14도 역시 예시도이며 원형의 붓싱(3a)가 경사유도구(9)를 통해(A1)에서 (A2)로 이동하여 수축하면 고온에 의한 마찰계수 감소와 이 마찰계ㅔ수를 이용 정지 마찰계수보다 낮고 경사에 의해 3차원 이동이 용이하여 최대로 균일한 상태가 된다.
제15도는 밀대(7C)가 유도구(9)의 끝단에 밀어서 위치시키며, 밀대(7C)의 밀대봉(25) 선단에 간격(K)만큼의 여유공간을 두며, 밀대(7C)는 고속삽입하여 플랜지 받침(13)에 받쳐진 플랜지(1)의 구멍(2)에 삽입되도록 한다.
이와같이된 본 발명은 붓싱을 원형으로 말아서 플랜지 구멍에 삽지할때, 고온에 의한 양모와 유도로 저마찰계수, 운동마찰계수가 정지마찰계수 보다 낮은것을 이용하여 이동시 발생하는 진동이 없고, 합성백터 방향인 경사비탈의 원리, 고온에 의한 양모의 활성화에 의해서 조직내부의 불균형적인 요소 들을 3차원 이동을 용이하게 하여 균일화 시킴으로 플랜지 구멍의 중심과 핀의 중심을 최대한으로 접근시키는 효과적인 것이다.

Claims (1)

  1. 도면에 표시하고 상술한 바와같이 붓싱성형기는 성형삽지기(5)와 붓싱원형재단기(5a)로 구성하며 성형삽지기(5)는 몸체(14)에 주입구(8)에서 배출구(12)까지 점차 좁아지도록 경사유도구(9)을 내통되게 구성하고 온도쎈서(11)를 부착한 히터(10)를 끼우며, 기초원형부(15)와 보온커버(16)를 결합한 다음, 배출구(12)에는 플랜지받침 (13)을 장설한 다음, 기초원형부(15)는 실린더(18)(18′)(20)(20′)와 압축성형대 (19)(19′)(21)(21′) 및 안내핀(17)을 작동되게 하는 받침대(22)로 받친 원형재단기(5a)로 형성되고 실린더(6)(6a)는 밀대(7)(7a)(7b)(7c)를 작동되게 하고 밀대 (7a)(7b)는 절취홈(24)을 다수개 절취한 수축역활을 하는 밀대관(23)으로 구성되어, 중앙에 밀대봉(25)을 끼우고 후단부에 보울트(25′)를 조여서 밀대봉(25)이 삽지 고정토록 형성한 피아노 액숀 플랜지의 붓싱크로쓰 삽지장치.
KR1019920014539A 1992-08-11 1992-08-11 피아노 액숀플랜지의 붓싱크로쓰 삽지장치 KR9600002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14539A KR960000264B1 (ko) 1992-08-11 1992-08-11 피아노 액숀플랜지의 붓싱크로쓰 삽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14539A KR960000264B1 (ko) 1992-08-11 1992-08-11 피아노 액숀플랜지의 붓싱크로쓰 삽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4523A KR940004523A (ko) 1994-03-15
KR960000264B1 true KR960000264B1 (ko) 1996-01-04

Family

ID=193379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14539A KR960000264B1 (ko) 1992-08-11 1992-08-11 피아노 액숀플랜지의 붓싱크로쓰 삽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026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05740A (ja) * 2001-06-19 2003-01-08 Kawai Musical Instr Mfg Co Ltd ピアノのアクション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4523A (ko) 1994-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I58277B (fi) Sprutgjutform foer framstaellning av roerdelar av termoplast
JP2003054478A (ja) 自転車のクランクレバーの生産のためのプロセス
ES2136717T3 (es) Procedimiento para la fabricacion de una biela monobloque a base de material compuesto.
KR890014240A (ko) 튜브 연결구 및 그 제조방법
ES8102512A1 (es) Procedimiento de fabricacion de una llanta de velociclo o ciclomotor
US7137639B2 (en) Method for producing a connector element for connecting frame parts at a joint location in a bicycle framework and connector element obtained thereby
ATE132076T1 (de) Elektroschweissmuffen
KR960000264B1 (ko) 피아노 액숀플랜지의 붓싱크로쓰 삽지장치
JP4347472B2 (ja) 圧縮成形製品を製造するための装置及び方法
CA2225640A1 (en) Method of molding composite insulator and metal molding apparatus used for this molding method
SE8600350D0 (sv) Forfarande och anordning for framstellning av isoleringskropp
US4696780A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prosthesis cuff to receive an amputation stump
JPH07151290A (ja) 熱可塑性材料製の溶接スリーブ
BR9812180A (pt) Processo e arranjo para suportar as extremidades de um fio de resistência na manufatura de acessórios de tubo plástico soldáveis por aquecimento elétrico em um molde de injeção
US3822106A (en) Apparatus for molding tubes of fiberous cement and orienting the fibers therein
US5590820A (en) Auto mold machine for hats
JP3100179B2 (ja) 振出し型の釣り竿とその製造方法
JP2551036B2 (ja) 合成樹脂管の曲げ加工法
RU2215188C1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статора одновинтового насоса
US3442320A (en) Apparatus for making shell core and mold products
JPS588616A (ja) 中空棒部材の成形方法
KR910002364B1 (ko) 고분자 이형관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
JPS6319138Y2 (ko)
US452456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ackaging sheathed tubular strands
JPH03711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23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