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0149B1 - 이동무선수신기에 있어서의 전력소비량 삭감방법 - Google Patents

이동무선수신기에 있어서의 전력소비량 삭감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0149B1
KR960000149B1 KR1019900012182A KR900012182A KR960000149B1 KR 960000149 B1 KR960000149 B1 KR 960000149B1 KR 1019900012182 A KR1019900012182 A KR 1019900012182A KR 900012182 A KR900012182 A KR 900012182A KR 960000149 B1 KR960000149 B1 KR 9600001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eiver
equalizer
radio
signal
ti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121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05605A (ko
Inventor
크리스터 레이드 알렉스
Original Assignee
테레포오낙티이에보 라켓트 엘 엠 엘리크썬
에케 스타브링, 타게 뢰브그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테레포오낙티이에보 라켓트 엘 엠 엘리크썬, 에케 스타브링, 타게 뢰브그렌 filed Critical 테레포오낙티이에보 라켓트 엘 엠 엘리크썬
Publication of KR9100056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56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01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01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2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using signal quality detect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6Receivers
    • H04B1/10Means associated with receiver for limiting or suppressing noise or interfere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30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 H04B17/309Measuring or estimating channel quality parameters
    • H04B17/318Received signal strengt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2Wire connecto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7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48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wire connector
    • H01L2224/4805Shape
    • H01L2224/4809Loop shape
    • H01L2224/48091Arch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2Wire connecto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7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49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f a plurality of wire connectors
    • H01L2224/491Disposition
    • H01L2224/49105Connecting at different heights
    • H01L2224/49109Connecting at different heights outside the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73Means for bonding being of different types provided for in two or more of groups H01L2224/10, H01L2224/18, H01L2224/26, H01L2224/34, H01L2224/42, H01L2224/50, H01L2224/63, H01L2224/71
    • H01L2224/732Location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73251Location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n different surfaces
    • H01L2224/73253Bump and layer conne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73Means for bonding being of different types provided for in two or more of groups H01L2224/10, H01L2224/18, H01L2224/26, H01L2224/34, H01L2224/42, H01L2224/50, H01L2224/63, H01L2224/71
    • H01L2224/732Location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73251Location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n different surfaces
    • H01L2224/73265Layer and wire connec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02Details ; arrangements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along data transmission lines
    • H04L25/03Shaping networks in transmitter or receiver, e.g. adaptive shaping networks
    • H04L25/03006Arrangements for removing intersymbol interference
    • H04L2025/03433Arrangements for removing intersymbol interference characterised by equaliser structure
    • H04L2025/03535Variabl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02Details ; arrangements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along data transmission lines
    • H04L25/0202Channel estimation
    • H04L25/0212Channel estimation of impulse response
    • H04L25/0216Channel estimation of impulse response with estimation of channel length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이동무선수신기에 있어서의 전력소비량 삭감방법
제1도는 8개의 타임슬롯을 구비한 무선채널과 하나의 타임슬롯의 내용등을 도시적으로 나타낸 도면.
제2도는 단일로(monopath) 및 다중로 (multipath)전파등을 나타낸 도면.
제3도는 시간분산을 나타낸 도면.
제4도는 제안된 방법의 하나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 전화수신기를 도식적으로 나타낸 도면.
제5도는 제4도에 나타낸 수신기에 내장된 평가유닛의 블록도를 나타낸 도면.
제6도는 제안된 방법중의 또 하나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 전화수신기를 도식적으로 나타낸 도면.
제7도는 비트오류량을 수신신호강도의 함수로써 나타낸 그래프의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아날로그·디지탈 변환기 2 : 상관기(相關器)
3a,3b : 복조기(復調器) 5 : 파라미터 연산기
9 : 평가기(evaluator) 10 : 판정회로
15,92 : 기억장치 21 : 채널복호기(復號器)
22 : 통화검출기 23,24 : 전환유닛
25 : 스피이커 91 : 곱셈기
93,95 : 차분연산기 94 : 가산기
본 발명은 자동차 전화가 기지국으로부터 신호하는 경우의 전력소비량을 삭감하며, 또한 장치의 복잡함을 적게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이에 한정하는 것을 아니나, 본 발명은 장치의 전력소비량의 삭감을, 통상 전술한 장치에 내장되어 있는 등화기(等化器)를 어떤 조건위에서 능동화함에 따라 실현할수 있다.
자동차 전화장치의 수신회로는 통상 등화기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것은 기지극으로부터 무선신호를 송신하는 경우에 발생하는 무선매체의 불균일이나 홈을 보상하도록 동작한다. 등화기는 기본적으로는 수신회로에서 사용되고 있으며, 무선매체중의 다중로 전파의 결과 입력무선신호내에 발생하는 비트 오류(bit error)를 삭감할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것은 예컨대, WO 88/05981에 기재되어 있으며, 이른바 적응등화기를 포함하는 TDMA시스템에 관련하고 있다. 무선수신기에 내장되어 있는 등화기의 설정은 시간다중 방식으로 무선송신기에서 데이터 신호와 동시에 보내지는 동기신호의 여하에 의하고 있다.
이러한 동기신호의 도움에 의하여, 등화기는 데이터신호를 수신하였을 경우에 통신매체의 분산특성을 등화하도록 설정할수 있다. 등화기를 구비한 무선수신기는 주로, 높은 통신속도(100K 비트/초이상)의 영역에서 사용되지만 이것은 다중로전파(多重路傳播)의 영향에 대한 비트감도가 낮은 통신속도에 있어서의 비트감도보다도 커지기 때문이다.
등화기의 필요성은 또, 통신속도에 가해져서 주위환경의 성질에 의하여도 결정된다. 예컨대, 빌딩등이 없는 전체에 평판한 지표에서는 다중로전파의 영향은 최소로 된다. 다음과같은 일반적 견해를 얻을 수 있다.
통신속도가 미리 정하여진 값(대체로 100K 비트/초)을 초과할때는 주위환경의 여하에 불구하고 등화기의 사용이 필요하며, 비트오류에 대한 감도를 미리 결정된 용인할 수 있는 레벨까지 낮출 필요가 있다.
통신속도가 낮을 경우(수+K비트/초의 순서)라도, 주위환경이 ″곤란″, 즉 구능지대 이라던가, 고층주택이 밀직하여 빽빽히 들어서 있는 것과 같은 때에는 등화기를 사용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이것들 2가지 조건을 충족할 경우에는, 등화기를 사용할 것인가 안할것인가의 선택의 여지는 없다. 예컨대 통신속도가 비교적 늦어서도 등화기를 구비할 필요가 있다.
등화기의 사용은 또, 무선수신기로 채용되고 있는 복조방식에도 의존한다. 등화기는 수신신호의 위상과 강도에 관한 정보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비코우히어런트(cohercnt)복조의 경우에는 등화기는 사용할수 없다.
등화기의 이점은, 코우히어런트 검출이 적용될 경우에는 수신신호내의 시간분산을 등화할 수 있음에 있다. 등화기의 결점은 이러한 구조가 비교적 복잡하고, 또 전력소비량이 비교적 크다는 점이다.
등화기가 없을 경우에는, 비코우히어런트 복조를 적용할수 있다고 하는 이점이 있으며, 그 결과 수신기도 복잡하지 않고 또 전류소비량도 적어도 된다. 또한, 자동차가 고속으로 주행함에 따라 발생한다. 무선채널의 급격한 변화에 대하여도 추종성이 좋은 수신기를 얻을 수 있다. 결점으로는, 시간분산에 대한 복조를 할 수 없다는 것이며, 이 시간분산은 통신시간의 상당한 부분을 차지한다. 따라서, 등화기를 사용한 복조가 앞에서 설명한 조건을 충족할 경우, 또 등화기에 의한 복조가 가능할 경우에는 등화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앞에서 설명한 요구를 만족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일이다.
제안된 방법에 의하면, 사용된 무선채널에서의 시간분산이 추정되어, 그 추정된 시간분산에 따라서, 등화기를 구비하거나 또는 구비하고 있지 않은 복조기가 수신경로에 접속되어있다.
다음에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방법은 시분할 다원접속, 이른바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를 구비한 디지털식 자동차 무선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는, 종래 알려져있는 디지털식 TDMA방식 자동차 무선장치는 여러개의 고정기지국이란 부여된 무선채널을 사용하여 서로 통신을 할 수 있는, 여러개의 이동무선국 등으로 구성되어있다. 기지국은 예컨대 주파수 범위에서 935~960MHz의 범위에 있는 여러개의 무선채널을 사용하여 무선신호를 송신하도록 동작하는 한편, 이동무선국은 예컨대 주파수 범위에서 890~915MHz의 범위에 있는 여러개의 무선채널을 사용하여 무선신호를 송신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무선채널상에서의 송신은 제1도에 나타낸 프레임과 타임슬롯으로 분할되어, 하나의 프레임은 약 8미리초의 길이이고, 각각 약 1미리초의 길이를 구비한 8개의 타임슬롯으로 구성되어 있다. 사용할 수 있는 무선채널내의 하나 또는 소수의 채널이 일반적인 정보를 이동국에 송신하는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이 송신은 제어되고 또한 정합을 얻은 방법으로 되어 있다. 동기단어(SW)가 데이터 메시지(data message)의 한가운데에 배치되어 있다. 이 동기단어는 또 시간분산을 추정하기 위하여도 사용할수 있으며, 적응 등화기를 타임슬롯 CHO-CH7내의 버어스트(burst)마다에 이 추정치에 기초하여 설정할수 있도록 하고 있다.
제2도에 나타낸 기지국(B)은 지정된 채널상에서 이동국(M)에 대하여, 제1도에 나타낸 TDMA방식으로 무선파를 송시하도록 기능하다. 어떤 방향으로 향한 무선파는 고정되어 있거나 또는 이동할 수 있는 장해물(X)로 반사되는 한편, 그밖의 무선파는 장해물에서 반사되지 않고 이동국(M)에 도달하여, 여기에서 수신된다. 제2도에 나타낸 다중로 전파는 페이딩(fading)을 일으키나, 이 페이딩은 서로 다른 형태를 얻을 수 있다. 수신파 사이의 시간차가 비트시간, Tblt(제3도 참조)보다도 상당히 작은 시간간격으로 집중하여 있을 경우에는, 이른바 평판페이딩(flat fading)이 발생한다. 시간차가 보다 클 경우에는, 각기 비독립 페이딩을 구비한 하나 또는 여러개의 파동이 발생할 것이다. 이 페이딩은 수신함에 있어서, 강도와 위상의 변동을 일으킬 것이다. 수신기내의 코우히어런트 복조기는 등호기에 의하여 이 변화에 추종하게 된다. 위상위치는 앞에서 설명한 동기구간(SW)중에 이미 알려진 절차를 송신함에 따라 의심할 여지없이 결정할 수 있다. 채널이 급속하게 변화하지 않을 때, 즉 비트속도가 늦을때는 복조기는 수신신호의 위상위치에 관한 정보를 데이터 메시지 검출시간중에 경신할 필요는 없으나, 비트속도가 빠를 경우에는 전파파라미터를 각각의 타임슬롯의 선두, 또 때로는 타임슬롯의 사이라도 설정할 필요가 있다.
제3도는 기지국(B)의 송신기로 송신된 임펄스(impulse)가, 앞에서, 설명한 페이딩에 따라서, 이동국(M)에서 수신되는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임펄스 응답은 2가지의 임펄스 형상(I) 및 (II)을 구비하였고, 이중에서(I)은 전파시간에 상당하는 시간(t1)만큼 늦어져 있으며, 임펄스(II)는 감쇠되도 또한 시간(t2)만큼 늦어져 있으나, 이것은 제2도에 나타낸 장해물(X)에서의 반사에 의한 때문이다. 제3도는 원리를 나타내는 목적이고, 단순히 상상의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실제 이른바 내부신호간섭이 수신기내에서 발생하는 즉, 펄스(I)과(II)의 조합이다.또, 임펄스 응답은 2가지 임펄스만으로 구성된다고 가정하고 있다. 실제 상은 다수의 반사임펄스를 포함하는 간섭패턴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제3도는 이른바 시간분산을 나타내고 있는 즉 다중로 전파인 경우, 송신된 임펄스는 시간차가 다른 여러개의 임펄스를 만들어내는[제3도는 그와 같은 임펄스의 2가지, 즉 펄스(I)과(II)만을 나타내고 있다.]이와 같은 관계에 있어서는 비트시간(Tblt)도 또 중요하다. 채널이 시간분산의 영향을 무시할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는 펄스(II)가 (Tblt)기간에 들어가도록, 비트시간(Tblt)은 충분히 길지 않으면 아니된다. 즉, t2-t1<Tblt이다.시간분산은, 앞에서 설명한 내부신호간섭에 따라 비트오류를 발생한다. 시간분산의 영향은, Tblt이 비교적 긴 저속데이터 통신속도(25K 비트/초 이하)를 사용하던가, 또는 등화기를 사용함에 따라 작게 할 수 있다.
제4도는 본 발명에 의한 무선수신기의 제1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아날로그·디지탈 변환기(1)에는 2가지 직각채널(I) 및 (Q)가 접속되어 있으며 도면에는 나타내어 있지 않으나 무선주파수 입력회로로부터의 기본 주파수 영역내에 변조신호를 구비하고 있다. 이 회로는 국부발진기, 이상기(移相器)(90°) 및 저역필터를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기본주파수 영역내의 2개의 직각성분은 아날로그·디지탈 변환기의 출력(I1) 및 (Q1)에 샘플링이 된 형태로(예컨대 그 내부 간격이 샘플링 주기에 대응하는 형태로)얻을 수 있다. 이것들 두 개의 성분은 잘 알려져 있는 설계의 상관기(2)의 1입력강도로서 공급되며, 그 또 하나의 입력쌍(실성분 및 허성분)은 기억장치(15)(PROM)에 접속되어 있고, 이 기억장치는 송신측에서 송신된 동기단어(SW0)를 복잡한 형식으로 기억한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이 단어는 이른바 훈련기간중에 송신된다. 상관기(2)는 무선채널을 통하여 송신되어온 수신된 동기단(SW)와, 실제의 동기단어(SW0)자신과 사이의 상관을 채택하여, 얻어진 채널 임펄스 응답을 상관기(2)로부터 파라미터 연산기(5)로 보내진다. 이 임펄스 응답은 채널의 추정에 사용되어, 그 추정은 단일로 및 다중로 전파 또는 마찬가지로 그와 같은 전파의 확대에 대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다음에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평가기(9)가 상관기(2)의 출력에 접속되어 있으며, 이 수신기에 할당된 타임스롯(CH2)에서 수신된 버어스트(burst)로부터 얻어진 임펄스 응답의 평가를 한다. 평가기에서는 버어스트의 시간분산의 측정치를 구성하는 신호를 얻을 수 있다. 아날로그·디지탈 변환기의 출력에는 전환유닛(23)이 접속되어 있으며, 이것은 평가기(9)로부터 제어된다. 전환유닛(23)은 등화기를 구비한 복조기(3a)를 능동화함과 동시에, 등화기를 구비하고 있지 않는 복조기(3b)를 비능동화한다거나, 또는 그반대의 접속을 하도록 기능한다. 복조기(3a)는 예컨대 판정회로와 복호기(復號器)를 구비한 적응비터비 등화기로서 이것은 제38회 IEEE 자동차 기술회의, 1988년 6월 15-17일 개최, 펜실배니어주 필델피아에서의 회의보(639페이지)에 기재되어 있는 종류의 것이며, 한편 복조기(3b)는 예컨대 비코우히어런트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하기 위한 검출기로서, 신호시간거리(예컨대 제3도에 있어서)신호통신속도가 비트속도의 절반일 경우에는 (2Tblt)내의 2개의 위상값 사이의 상이함을 해석하는 차동복호기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종류의 복호기는 예컨대, 제39회 IEEE자동차 기술회의, 1989년 5월 1~3일 개최 캘리포르니아주 샌프랜시스코에서의 회의보 제1권(18페이지)에 기재되어 있다.
각가의 복조기(3a,3b)의 출력은 스위치(24)에 접속되어 있으며, 이것은 계속 무선수신기의 채널복호기(21)에 접속되어 있다. 그 다음, 통화검출기(22) 및 스피커(25)에 접속되어 있다.
평가기(9)에서는 평가된 시간분산값에 기초하여, 2개의 신호(a)또는 (b)를 계산한다. 만일 시간분산이 미리 정하여진 값보다 클 경우에는, 신호(a)가 전환유닛(23) 및 (24)에 보내지게 되고, 신호를 받으면 복조기(3a)를 무선수신기의 수신경로에 접속한다. 시간분산이 먼저값보다 길대에는 신호(b)가 전환유닛(23) 및 (24)에 보내지고, 복조기(3a)를 비능동상태로 하는 하편에서, 동시에 복조기(b)를 능동상태로한다.
제5도는 평가기(9)의 구성을 더욱 상세하게 나타낸 것이다. 채널 입력강도를 나타낸 h(t)는 승산기(91)로 제곱된다. 승산기(91)는 강도 │h(t)│2을 계산하고, 임펄스응답h(t)의 에너지 측정치를 부여한다. 또, 임펄스 응답에너지를 상이한 시간간격의 사이에서 계산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것은 스웨덴 특허 8701679-6에 기술되어 있어, 그 제10도 및 제11도에 회로도가 나타내어있다. 임펄스 응답의 이상값(제공값)│h0(t)│2(시간분산이 없는 경우)이 기억장치(92)에 기억되어 있어, 차분(差分)연산기(93)에서 │h(t)│2와 비교된다. 차분연산기(93)에는 옵션으로서 가산기(94)를 접속하여, 수 버어스트에 걸친 시간분산치의 적산 또는 가산을 할수 있다. 그 결과의 값(e)은, 앞에서 설명한 차분연산기(95)내에 기억되어 있는 (e0)와 비교되어, 그런 다음에 앞에서 설명한 방법으로 전환유닛(23) 및 (24)을 제어하는 신호(a)또는 (b)를 결정한다.
앞에서 설명한 실시예에 있어서, 시간분산은 지정된 시간간격 사이의 임펄스 응답에너지를 측정하여 평가함에 따라서 추정되어 있다.
시간분산을 추정하는 또 하나의 방법은, 수신전계강도(=RssI)와 채널 복호기를 측정된 비트오류의 결과와의 관계를 조사하는 방법이다. 제6도는 이와같은 시간분산추정의 한예를 나타낸 것이다. 제6도에 나타낸 유닛중에서, 제5도와 같은 소자는 동일한 참조번호로 식별되고 있다. 채널복호기(21)는 비트오류량을, 예컨대 복조된 기저대역신호의 오류검출부호를 사용하여 추정하고, 이 비트오류량에 관한 정보를 제공한다.
판정회로(10)는 아날로그·디지탈 변환기(1)로부터 얻을 수 있는 신호의 전력, 즉 복조되어 있지 않는 신호의 (I) 및 (Q)성분의 전력을 측정한다. 용이하게 이해되는 바와같이, 입력신호 전력은 신호를 직각성분으로 분할하기 전에 측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것은 주로 수신전기장 강도의 측정치를 얻기 위하여 실시된다.
수신된 전기장 강도가 대단히 클 경우에는, 동시에 채널복호기가 고률의 비트오류를 검출한다거나 많은 비트를 정정하려함으로, 이것은 시간분산이 지배적임을 나타내고 있다. 판정회로는 다음에 전환유닛(23)및(24)로 신호를 보내고, 무선수신기의 중에서 최초에 복조기(3b)가 접속사용된 경우를 생각하면, 복조기(3a)(등화기 부설)를 접속하여, 복조기(3b)를 이탈한다. 제6도에 나타낸 실시예는 가장 적합한 등화기를 구비하고 있지 않는 복조기에서 등화기를 구비한 복조기에의 전환순서에만 적용된다. 이 전환순서는 명백히 그 반대방향의 전환보다도 중요하지만, 그것은 등화기를 구비한 복조기는 모든 채널 종류에 대하여 기능할수 있기 때문이다.
제4도에 나타낸 예와 마찬가지로, 판정회로(10)는 여러 버어스트 기간에 걸쳐서의 평균치 계산을 몇가지 인가의 형식으로 실행할수 있다.
제7도는 수신무선신호의 비트오류량을 수신신호강도의 함수로서 나타낸 그래프이다. 일반적으로, 신호강도가 증가하면 비트오류량은 감소하나, 이것은 수신기가 송신기의 가까이에 배치되어 있어 다중로 전파의 영향 및 외란이 작기 때문이다.
곡선(a)은 시간분산에 의한 외란, 예컨대 다중로 전파(multipath propaga tion)가 있는 경우는 나타내 있으며, 신호강도가 클 경우에도 외란이 발생한다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이와같은 상태는, 예컨대 건물이 밀집하고 있는 구역에서 발생한다. 이 경우 수신기에서는 등화조작을 포함한 복조는 실행되고 있지 않다.
곡선(b)은 시간분산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를 나타내 있으며, 여기에서는 등화조작을 할것인가 않할것인가에 관계없이 신호강도가 충분히 커지면, 비트오류량은 영에 가깝다.
판정회로(10)는 미리 결정된 신호강도(S0)에 있어서의 비트 오류량을 조사하여, 시간분산이 존재하는지 어쩐지의 판별을 한다. 비트오류량이 이 신호강도에서 약 0.1% 인때에는, 곡선(b)이 적응되어 전환은 발생하지 않는다. 한편, 비트오류량이 도면에서 약 3.5%로 되면, 판정회로는 시간분산이 존재한다고 판단하여 등화기를 구비한 복조기(3)로의 전환이 발생한다. 신호강도(S0)에서의 허용치로서 1%가 작용되고, 이것은 판정회로(10)에서의 판정기준으로 하고 있다.
점선으로나타낸 곡선(C)은 신호강도(S)의 변화에 따라서 서로 다른 허용치를 나타내고 있다.
판정회로(10)는 시간기능(타이머)를 구비하여, 미리 정하여진 시간간격후 제어신호를 전환유닛(23) 및 (24)에 보내어, 등화기를 구비한 복조기(3a)로부터 등화기를 구비하고 있지 않는 복조기(3b)로의 전환을 실행하여, 복조기(3b)를 사용할 수 있는지 없는지의 시험을 하고, 전력소비를 절약할려 한다. 만일, 비트오류량이 전환의 후라도 아직 적다면[곡선(b)], 복조기(3b)선택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러나, 전환후에 비트오류량이 재차 많아지게 되면[곡선(a)], 등화기를 구비하고 있지 않는 복조기 (3b)로부터 등화기를 구비한 복조기 (3a)[곡선(b)]에 전환할 필요가 있다.
판정회로(10)는 각각의 버어스트마다에 추정을 할 필요도, 서로 연속한 여러개의 버어스트의 각각에 대하여 적산할 필요가 없다. 예컨대 판정회로는 일정시간동안(예컨대 10초) 측정 및 추정을 중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많은 경우, 무선수신기가 놓여져 있는 주위상황은, 예컨대 버어스트가 수 10개 입력되는 시간동안에는 급격하게는 변화하지 않는다. 또한 등호기를 서둘러서 접속하지 않으면 아니될 경우에는 비교적 적다. 그러나, 건물이 밀집하고 있는 구역의 경우에는, 주위환경은 급격하게 변화할 수 있어서, 예컨대 도시나 시가지에는 기지국을 자유로히 간파하는 산태나, 부근(구릉, 산, 건조물)으로부터의 반사가 변화한다.
본 발명에 의한 발명은, 주로 이동국이 수화모우드에 있을때는 적용된다. 이 위치에서는 이동국은 동작상태에 있고, 제어채널(CCH)상에 입력되는 회화를 듣고 있다. 현재 이채널은 아날로그 채널이지만 장래에는 디지털 채널로 될 것이며, 그에 대하여는 본 발명의 개념을 적용할 수 있다. 이동무선수신국이 사용되는 시간의 주요한 부분은 수화시간이며, 이 기간중 제어채널에 대한 수화(受話)가 이루어지게 된다.
아날로그 제어채널인 경우, 비트송신속도가 통상 10K비트/초와 같이 낮으므로 등화기의 필요는 없다. 그러나 제어채널이(통화채널에 가하여) 디지털화되어 고속비트 통신속도(10K비트/초 이상)의 경우에는 등화기가 필요하게 되지만, 이 경우에도 등화기는 비교적 큰 전류소비를 필요로 함으로, 등화기를 불필요하게 접속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통화 모우드에서의 전환은 이 모드에서 동작하는 그밖의 기기의 전류소비량으로 숨겨져 「masked」되어 버리므로 그만큼 본질적으로 중요하지는 않다.

Claims (4)

  1. 수신기의 수화모우드 또는 수신기의 음성모우드에 있어서의 이동 무선수신기의 전력소비량 삭감방법으로서, 수신기의 수화모우드에서는 디지털 무선채널상의 입력전선신호는 무선신호가 송신기와 수신기 사이를 전파하는 동안에 받는 시간분산의 정도에 따라 복조 및 등화되어 있는 전력소비량 삭감방법에 있어서, 입력 무선신호의 시간분산을 추정하는 단계와; 추정된 값을 복조중 등화가 필요한 시간분산량을 나타내는 소정의 값과 비교하는 단계와;상기 비교결과에 따라서 수신기내에서 무선신호의 복조를 등화기를 사용하지 않은 복조로부터 등화기를 사용한 복조로 전환하거나 그 반대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무선수신기에 있어서의 전력소비량 삼감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정단계는 무선채널의 임펄스 응답을 복원하는 단계와, 임펄스 응답의 에너지를 나타내는 복원의 임펄스 응답의 값을 구하는 단계와; 구해진 값을 시간분산이 없으므로 임펄스 응답의 에너지를 나타내는 소정의 값과 비교하여 시간분산의 추정값을 발생시키는 단계를 발생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무선수신기에 있어서의 전력소비량 삭감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해진 값은 상기 무선신호의 다수의 입력버어스트하는 동안 소정의 값과 비교하고, 상기 추정단계는 다수의 입력버어스트를 걸치는 소정의 시간간격에 대해 상기 비교결과를 적분해서 시간분산의 추정값을 발생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무선수신기에 있어서의 전력소비량 삭감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정단계는 무선신호의 전계강도를 측정하는 단계와; 측정 전계강도에 대한 복조 무선신호의 비트오류량을 설정하는 단계와; 비트오류량이 소정의 값을 초과하였을 때에 등화기를 사용한 복조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무선수신기에 있어서의 전력소비량 삭감 방법.
KR1019900012182A 1989-08-25 1990-08-09 이동무선수신기에 있어서의 전력소비량 삭감방법 KR96000014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SE8902844A SE464437B (sv) 1989-08-25 1989-08-25 Metod i en mogilradiomottagare foer att reducera mottagarens effektbehov
SE8902844-3 1989-08-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5605A KR910005605A (ko) 1991-03-30
KR960000149B1 true KR960000149B1 (ko) 1996-01-03

Family

ID=203767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12182A KR960000149B1 (ko) 1989-08-25 1990-08-09 이동무선수신기에 있어서의 전력소비량 삭감방법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5230077A (ko)
EP (1) EP0415897B1 (ko)
JP (1) JP2889670B2 (ko)
KR (1) KR960000149B1 (ko)
AU (1) AU629387B2 (ko)
DE (1) DE69006804T2 (ko)
HK (1) HK66994A (ko)
MY (1) MY105931A (ko)
NZ (1) NZ234618A (ko)
SE (1) SE464437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8493B1 (ko) * 2002-10-15 2010-10-20 톰슨 라이센싱 다중경로 신호 강도 표시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102151A1 (de) * 1991-01-25 1992-07-30 Philips Patentverwaltung Empfaenger fuer ein digitales uebertragungssystem
JP2623375B2 (ja) * 1991-03-07 1997-06-25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データ受信装置
SE468266B (sv) * 1991-04-12 1992-11-30 Ericsson Telefon Ab L M Foerfarande att synkronisera en radiomottagare till en inkommande radiosignal
SG54201A1 (en) * 1992-09-18 1998-11-16 Oki Electric Ind Co Ltd Adaptive equalizing receiver and maximum likelihood sequence estimating receiver
US5363412A (en) * 1992-12-28 1994-11-08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of adaptive maximum likelihood sequence estimation using filtered correlation synchronization
US5677934A (en) * 1992-12-30 1997-10-14 Nokia Mobile Phones Limited Multipath propagation compensation in a TDMA system
FR2706100B1 (fr) * 1993-03-03 1995-07-21 Alcatel Mobile Comm France Procédé pour égaliser un bloc de données en réception dans un système de communications à accès multiple à répartition dans le temps et récepteur mettant en Óoeuvre ce procédé.
FR2706101A1 (fr) * 1993-03-03 1994-12-09 Alcatel Mobile Comm France Procédé pour égaliser un bloc de données en réception dans un système de communication à accès multiple à répartition dans le temps et récepteur mettant en Óoeuvre ce procédé.
JPH07118676B2 (ja) * 1993-04-16 1995-12-18 日本電気株式会社 無線電話装置
DE4330143A1 (de) * 1993-09-07 1995-03-16 Philips Patentverwaltung Anordnung zur Siganlverarbeitung akustischer Eingangssignale
EP0674398B1 (en) * 1993-10-12 2002-05-02 Ntt Mobile Communications Network Inc. Delay spread sensor and detection switching circuit using it
JPH07326977A (ja) * 1994-02-04 1995-12-12 Advanced Micro Devices Inc 通信回路
US5550868A (en) * 1994-03-03 1996-08-27 Lucent Technologies Inc. π/4-DQPSK delay spread detection and compensation apparatus and method
FR2718589B1 (fr) * 1994-04-11 1996-05-31 Alcatel Mobile Comm France Dispositif de traitement en réception, notamment pour système de radiocommunication numérique avec des mobiles.
US5590396A (en) * 1994-04-20 1996-12-31 Ericsson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 deep-sleep mode in a digital cellular communication system
FR2719961B1 (fr) * 1994-05-11 1996-06-21 Alcatel Mobile Comm France Dispositif d'estimation de la qualité d'un canal de transmission et utilisation correspondante.
FR2724084B1 (fr) * 1994-08-31 1997-01-03 Alcatel Mobile Comm France Systeme de transmission d'informations par un canal de transmission variant dans le temps, et equipements d'emission et de reception correspondants
US5761622A (en) * 1995-05-18 1998-06-02 Ericsson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operation of a portable or mobile battery-operated radios
US5907555A (en) * 1995-10-18 1999-05-25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Method for compensating for time dispersion in a communication system
FR2742611B1 (fr) * 1995-12-19 1998-01-16 Alcatel Telspace Systeme de codage/decodage utilisant la modulation maq-16 codee en blocs a multiniveaux
JP3085236B2 (ja) * 1997-02-28 2000-09-04 日本電気株式会社 バースト信号復調器
US6333953B1 (en) 1997-07-21 2001-12-25 Ericsson Inc. System and methods for selecting an appropriate detection technique in a radiocommunication system
US6084862A (en) * 1997-09-26 2000-07-04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Time dispersion measurement in radio communications systems
US6084926A (en) * 1997-12-08 2000-07-04 Ericsson Inc. Method and system for demodulating radio signals
JP3859386B2 (ja) * 1999-03-31 2006-12-20 三菱電機株式会社 波形等化器、波形等化装置及び受信装置
US6580930B1 (en) 1999-04-15 2003-06-17 Ericsson, Inc. Signal detector selector and method for selecting a detector
AU2001290287A1 (en) * 2000-09-29 2002-04-15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Demodulator and demodulating method
EP1487122A1 (en) * 2003-06-12 2004-12-15 STMicroelectronics S.r.l. Digital radio receiver
KR100698265B1 (ko) * 2005-03-21 2007-03-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등화 장치
US7978752B2 (en) 2006-03-15 2011-07-12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switching operating modes of a receiver
EP2441539A1 (de) 2010-10-12 2012-04-18 Siemens VAI Metals Technologies GmbH Energie- und ausbringungsoptimiertes Verfahren und Anlage zur Erzeugung von Stahlwarmband
EP2441538A1 (de) * 2010-10-12 2012-04-18 Siemens VAI Metals Technologies GmbH Stranggießvorrichtung mit dynamischer Strangdickenreduzierung
EP2441540A1 (de) * 2010-10-12 2012-04-18 Siemens VAI Metals Technologies GmbH Verfahren und Anlage zur energieeffizienten Erzeugung von Stahlwarmband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454732A1 (fr) * 1979-04-17 1980-11-14 Ibm France Procede et dispositif pour initialiser un egaliseur adaptatif a partir d'un signal de donnees inconnu dans un systeme de transmission utilisant une modulation a double bande laterale-porteuses en quadrature
US4457007A (en) * 1982-11-29 1984-06-26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Army Multipath interference reduction system
JPS6027241A (ja) * 1983-07-25 1985-02-12 Nec Corp 無線中継方式のバツテリセ−ビング方式
DE3585502D1 (de) * 1984-12-10 1992-04-09 Nippon Telegraph & Telephone Einseitenbanduebertragungssystem.
US4823398A (en) * 1985-12-23 1989-04-18 Kazuya Hashimoto Diversity receiver
SE457399B (sv) * 1987-04-23 1988-12-19 Ericsson Telefon Ab L M Anordning i en koherrent mobiltelefonmottagare foer reducering av bitfel
SE458653B (sv) * 1987-09-02 1989-04-17 Ericsson Telefon Ab L M Foerfarande i en koherent mobilradiomottagare foer initiering av en i mottagaren ingaaende utjaemnare
DE3823374A1 (de) * 1988-07-09 1990-01-18 Philips Patentverwaltung Vorrichtung zur entzerrung und demodulation winkelmodulierter datensignale
JPH04504340A (ja) * 1989-03-20 1992-07-30 モトローラ・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電力要求が低減されたdspベースの無線機
JPH02261226A (ja) * 1989-03-31 1990-10-24 Mitsubishi Electric Corp 移動電話機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8493B1 (ko) * 2002-10-15 2010-10-20 톰슨 라이센싱 다중경로 신호 강도 표시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Y105931A (en) 1995-02-28
SE8902844D0 (sv) 1989-08-25
AU629387B2 (en) 1992-10-01
DE69006804T2 (de) 1994-06-01
SE464437B (sv) 1991-04-22
AU6131690A (en) 1991-02-28
US5230077A (en) 1993-07-20
EP0415897B1 (en) 1994-02-23
EP0415897A1 (en) 1991-03-06
JPH0391328A (ja) 1991-04-16
NZ234618A (en) 1992-11-25
KR910005605A (ko) 1991-03-30
HK66994A (en) 1994-07-22
JP2889670B2 (ja) 1999-05-10
DE69006804D1 (de) 1994-03-31
SE8902844L (sv) 1991-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00149B1 (ko) 이동무선수신기에 있어서의 전력소비량 삭감방법
US5199047A (en) Receiver for a digital transmission system
CA2120714C (en) Method and apparatus of estimating channel quality in a receiver
JP2532784B2 (ja) セルラ―移動無線システム内で専用制御チャンネルおよびこれに関連する基地局を選択する方法
US4873683A (en) TDMA radio system employing BPSK synchronization for QPSK signals subject to random phase variation and multipath fading
US5936961A (en) Signalling packet for communication system with reference modulated in accordance with a time-dependent law
AU711253B2 (en) Method, transmitter and receiver for transmitting training signals in a TDMA transmission system
US5550868A (en) π/4-DQPSK delay spread detection and compensation apparatus and method
US5715240A (en) Communication device capable of estimating signal quality without synchronization pattern
US6249518B1 (en) TDMA single antenna co-channel interference cancellation
EP0958666B1 (en) Compensation of doppler shift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EP0295226B1 (en) Apparatus in a mobile telephone receiver for reducing bit error
JP3216985B2 (ja) 回線制御装置
AU1600197A (en) Adaptive compensation of doppler shift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6163534A (en) Method for determining the speed of a terminal equipment and a receiver
EP1052820A1 (en) Method and apparatus to determine the speed of mobile communications apparatus
JP3649542B2 (ja) 非線形信号相関器およびその方法
EP1147623B1 (en) A method for modifying the channel impulse response in tdma systems
JP2603075B2 (ja) 移動通信方式
Chuang et al. A high performance diversity selection technique for TDMA portable radio communications
AU728020B2 (en) Synchronization method and receiver comprising multiplication means, transform and comparison means
KR100282802B1 (ko) 적응 버스트 동기식 복조장치
JP3246198B2 (ja) ダイバーシティ受信装置
Valle Doppler spread measurements for tuning pilot-assisted channel estimation
Safavi et al. Novel techniques for performance optimisation of DECT receivers with non-linear front-en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1228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