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33879A -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 및 그의 작동 방법 - Google Patents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 및 그의 작동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33879A
KR950033879A KR1019950012352A KR19950012352A KR950033879A KR 950033879 A KR950033879 A KR 950033879A KR 1019950012352 A KR1019950012352 A KR 1019950012352A KR 19950012352 A KR19950012352 A KR 19950012352A KR 950033879 A KR950033879 A KR 9500338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steering
motion
ring gear
input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123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베커 롤프
하클 마티아스
크레머 볼프강
뮨쯔 라인너
Original Assignee
랄프 베렌스·만프레드 크네취
로버르트 보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랄프 베렌스·만프레드 크네취, 로버르트 보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랄프 베렌스·만프레드 크네취
Publication of KR9500338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33879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0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 B62D5/008Changing the transfer ratio between the steering wheel and the steering gear by variable supply of energy, e.g. by using a superposition g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00Arrangement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steering depending on driving conditions sensed and responded to, e.g. control circu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0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 B62D5/001Mechanical components or aspects of steer-by-wi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maingrou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0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 B62D5/04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 B62D5/0457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characterised by control features of the drive means as such
    • B62D5/0481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characterised by control features of the drive means as such monitoring the steering system, e.g. failures
    • B62D5/0484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characterised by control features of the drive means as such monitoring the steering system, e.g. failures for reaction to failures, e.g. limp hom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Steering Mechanis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이 작동하는 동안 기어형 액추에이터를 경유하며, 드라이버의 의도에 따르는 제1스티어링 운동과 부스터에 의해 생성된 제2스티어링 운동은 스티어링 기어에 중첩 공급되고, 부스터 운동이 감퇴할 때 기어 전환이 발생하며 기어 전환이 발생하며, 기어 영역에서 전환이 수행되는 동안 보조 운동을 분리시킴과 동시에 그 결과 증가된 스티어링 휠토크를 이용하여 부스팅 운동에 있어서 효과적인 본래의 스티어링 각도 조건에 이른다.

Description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 및 그의 작동 방법
본 내용은 요부공개 건이므로 전문내용을 수록하지 않았음
제1도는 운동이 제1조력 스티어링 위치에서 드라이버 부스터에 의해 개시되는 모터 구동식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에 있어서의 부가의 중첩 회전 운동을 위해 유성기어의 기본 원리에 따르는 액추에이터의 부분단면도, 제4도 및 제5도를 조력 스티어링 위치(제4도)와 비상 주행위치(제5도) 사이의 전환이 소위 드로-키 기어(draw-key gear)의 방식으로 수행되는 대체 변형된 유성 기어 설계를 도시한 단면도, 재7도는 드로-키 스위칭 기구가 태양-휠 및 유성 캐리어의 동축 보어상에 배열되며 각각 VⅡ- VⅡ 라인을 따라 절단 및 횡단된 드로-키 원리하의 전환 스티어링 전송을 위한 부가의 대체 변형된 유성형 기어를 도시한 도면.

Claims (10)

  1. 기어형 액추에이터를 경유하며, 드라이버의 의도에 따르는 제1스티어링 운동과 부스터에 의해 생성된 제2스티어링 운동이 스티어링 기어에 중첩 공급되고, 부스터 운동이 감퇴할 때 기어 전환이 발생하는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의 작동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환은 운동을 위한 최단 전동 거리로 중첩시키는 액추에이터의 기어 영역에서 수행되며, 그 결과 증가된 스티어링 휠토크를 이용하여 부스팅 운동에 있어서 효과적인 본래의 스티어링 각도 조건에 이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 작동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형 엑추에이터는 유성 기어를 포함하고 중첩 입력은 유성 기어의 링 기어를 통해 발생하며, 상기 부스팅 운동에 의해 사용되고 링 기어상에 위치한 중첩 입력부는 분리되고 태양 휠은 입력 사프트에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완전히 분리된 링기어와 함께 상기 입력 샤프트는 출력 사프트에 연결된 유성 캐리어에 직접 확고히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 작동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운동을 중첩시키는 액추에이터의 기어 영역에 있어서 부가적인 전환에 의해 “스티어-바이-와이어”모드가 발생하며, 드라이버의 의도에 따른 제1스티어링 운동과 스티어링 기어에 공급된 스티어링 운동 사이의 작동적 결합은 차단되고, 상기 제1스티어링 운동은 그것을 기어형액추에이터에 공급하는 입력 샤프트를 차단하므로써 방지되고, 부스팅 운동은 스티어링 기어에 작동적으로 연결되고, 스티어링 작업은 오직 부스팅 운동을 통해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 작동 방법.
  4. 기어형 액추에이터(10,10′,10″)를 경유하며, 드라이버의 의도에 따른 제1스티어링 운동과 부스터에 의해 발생된 제2스티어링운동은 후자가 감퇴할 경우 부스팅 운동의 중첩 입력부를 차단하기 위한 수단(12,12',37)과 함께 스티어링 기어에 중첩 공급되는 모터 구동식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에 있어서, 액추에이터(10,10′,10″)상의 중첩 입력부를 분리 시키는 스위칭 수단은. 스티어링 훨에 연결된 기어 입력부(입력 샤프트 15,15′,15″)와 스티어링 기어에 연결된 출력 샤프트(16) 사이에서 액추에이터 전동비의 감소가 발생하는 방식으로 동시에 액추에이터의 기어 구성요소에 영향을 미치며, 그 결과 적어도 부스팅 운동에 있어서 효과적인 본래의 스티어링 각도 조건을 지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구동식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보존 운동에 의해 스티어링 훨 운동의 중첩을 일으키는 액추에이터의 경우는 유성 기어(10,10′,10″)의 형상을 가지며, 부스터에 연결된 중첩 입력부는 유성 기어(10,10′,10″)의 링기어(11,11′,11″)의 영역에 발생하며, 전환 장치는 중첩 입력부를 포함하는 링기어 영역을 분리시키고 입력 샤프트(15,15′,15″)를 링기어나 또는 직접 출력 샤프트(16)에 연결된 유성 캐리어(16a′)에 확고히 결속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구동식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유성 기어(10)의 링기어(11)는 내부 치형부에 의해 유성 휠(19)과 맞물리는 제1링기어부(11a)와 외부 치형부(23)를 통해 중첩 입력부를 수용하는 제2링기어부(11b)로 이루어지며, 슬라이드(의 축상 위치에 의존하여 서로 부분적으로 결속하는 외부 및 내부 치형부(21, 22, 24, 25, 26)를 통해 링기어(11) 및 입력 샤프트(15) 사이에 배열된 슬라이드(12)에 의해 기계적으로 연결할 수 있게 되어 있는 것과, 제1위치에 있어서 슬라이드(12)는 중첩 입력부가 전체 링기어(11)에 작용하는 방식으로 2개의 링기어부(11a, 11b)를 서로 연결하며, 반면에 제2슬라이드 위치에 있어서 평기어(11b)로 설계된 링기어부는 자유 회전가능하게 분리되며, 상기 입력 샤프트(15)는 유성 휠(19)과 맞물리는 잔류 링기어부(11a)에 직접 활동 연결되고, 전체적으로 유성 기어(10)의 전동비는 유성 기어(10)의 입력 샤프트(15)의 회전 운동을 직접 연결하므로써 상기 입력 샤프트(15)가 스티어링 휠에 연결되도록 설계되며, 만약 태양 휠(18)과 입력 샤프트(15)사이의 정상 연결이 지속될 경우 부스팅 운동이 발효될 때 동작 모드와 비교하여 거의 동일한 스티어링 각도 조건이 스티어링 휠상에서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구동식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12)는 “스티어-바이-와이어” 모드를 허용하는 부가의 전환 위치내로 축상 대체될 수 있고, 이 위치에서 입력 샤프트(15)의 회전 운동 및 그에 따른 하우징 치형부(17a)에 관한 스티어링 훨의 회전 운동을 차단하는 결속링(14)을 대체하고, 이 위치에서 2개의 링기어부(11a, 11b) 사이의 결속 연결부는 중첩 입력부를 통해 오직 부스팅 운동의 영향하에서 연속적으로 스티어링 동작을 허용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토 구동식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
  8.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천공부 또는 종축 결속홈(31)안으로 결속 볼(28)을 선별적으로 방사상으로 가압하므로써, 입력 샤프트(15′)와 2개의 링기어부(11a′, 11b′)사이에 배열된 슬라이드(12′)는 조력 스티어링 위치에 있는 2개의 링기어부(11a′,11b′)또는 중첩 입력부에 연결된 링기어부(11b′)의 분리부 사이에 선별적으로 확동 회전 연결부를 형성하며, 또한 보유 볼(28′)을 통해 유성 훨과 맞물리는 분리된 링기어부(11a′)와 입력 샤프트(15′)사이에 활동 연결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구동식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
  9.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스위칭 볼(39, 39′)을 통해 입력 샤프트(15″)와 태양 휠(18′)사이 및 입력 샤프트와 출력 샤프트(16)에 연결된 유성 휠 캐리어(16a′) 사이에 결속 연결부를 선별적으로 형성하는 스위칭 슬라이드(37)는 입력 샤프트의 구멍(36)에서 유서 기어(10″)의 내부에 있는 구멍 크기로 통합되며, 결속 작업은 스위칭 볼(39, 39′)의 각각의 방사 위치에 의해 수행되며 상기 스위칭 볼은 방사상으로 굵어진 비드(41)에 의해 볼을 각각의 결속 위치로 대체시키는 스위칭 슬라이드(37)의 대응 축상 슬라이딩 위치에 의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구동식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
  10.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1019950012352A 1994-05-19 1995-05-18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 및 그의 작동 방법 KR95003387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P4417510.8 1994-05-19
DE4417510A DE4417510A1 (de) 1994-05-19 1994-05-19 Verfahren zum Betrieb eines Servolenksystems und Servolenk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33879A true KR950033879A (ko) 1995-12-26

Family

ID=65184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12352A KR950033879A (ko) 1994-05-19 1995-05-18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 및 그의 작동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H07315235A (ko)
KR (1) KR950033879A (ko)
DE (1) DE441751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097A1 (de) * 2002-01-03 2003-07-17 Zf Lenksysteme Gmbh Lenksystem für Kraftfahrzeuge
DE10342681B3 (de) * 2003-09-16 2005-04-21 Thyssenkrupp Automotive Ag Fahrzeuglenkung mit einer Übersetzungsverhältnisänderungseinrichtung
JP4686478B2 (ja) * 2003-12-24 2011-05-25 コンティネンタル・テーベス・アクチエンゲゼルシヤフト・ウント・コンパニー・オッフェネ・ハンデルスゲゼルシヤフト 伝動装置ロック機構及び伝動装置ロック機構を備えた重畳式操舵設備
DE102005061791A1 (de) * 2005-12-23 2007-07-05 Schaeffler Kg Verriegelungseinheit, insbesondere für eine Überlagerungslenkung
CN106627742B (zh) * 2016-09-23 2019-03-22 华南农业大学 一种自动驾驶车辆的转向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4417510A1 (de) 1995-11-23
JPH07315235A (ja) 1995-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71669A (en) Track drive system with dual mode steering
US3966005A (en) Compound steering system for endless-track vehicles
JP4216513B2 (ja) クローラー車両用のトランスミッション−ステアリングアセンブリ
CN108518473B (zh) 一种车辆主传动器及其控制方法
KR890004935A (ko) 무한궤도 차량용 구동장치
JPS60159453A (ja) 無段変速機の変速操作機構
JPH0754939A (ja) 駆動輪、特に可動作業機の駆動輪用機械式変速機
KR20120116479A (ko) 차량의 능동 스티어링을 위한 장치 및 이 장치를 구비하는 스티어링 기구
JP4812753B2 (ja) 自動車用の2作動モードを有する無限可変動力分岐トランスミッション
JP2005306317A (ja) 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KR950033879A (ko)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 및 그의 작동 방법
JPS5830552A (ja) 遊星歯車装置
US4763543A (en) Transmission for a working vehicle
US20060264290A1 (en) Vehicle steering system comprising a device for altering the transmission ratio
NZ200435A (en) Sun and planet/clutch system for speed change in tractor transmission
JP2004009989A (ja) 車両用操舵装置
RU2725016C1 (ru) Электроусилитель рулевого управления
JP3429959B2 (ja) 変速操向装置及びこの変速操向装置を備えた無限軌道車両
JP2003083420A (ja) ホイール式車両の機械−油圧トランスミッション
JP3520360B2 (ja) 倍力装置
JP3097632B2 (ja) 作業車輌の走行伝動装置
JPH08156813A (ja) 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JP2004058896A (ja) 車両用操舵装置
KR200165463Y1 (ko) 삼륜차량의 엔진 출력 전,후진 제어장치
JPH089484Y2 (ja) トラクターにおけるトランスミッションの超低速ギヤと副変速ギヤとの噛合い規制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