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27776A - 디지탈 자동 주파수 조정장치 - Google Patents
디지탈 자동 주파수 조정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950027776A KR950027776A KR1019940004461A KR19940004461A KR950027776A KR 950027776 A KR950027776 A KR 950027776A KR 1019940004461 A KR1019940004461 A KR 1019940004461A KR 19940004461 A KR19940004461 A KR 19940004461A KR 950027776 A KR950027776 A KR 95002777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ignal
- output
- outputting
- horizontal
- add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4—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using self-clocking codes
- G11B20/1403—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using self-clocking cod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two levels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0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 G11B15/03—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by using coun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lor Television Systems (AREA)
- Processing Of Color Television Signals (AREA)
Abstract
Description
Claims (12)
- 디지탈 자동 주파수 조정장치에 있어서, 아날로그 수평동기신호와 시스템클럭신호(F_clk)를 입력하여 수평 동기 분리포인트값을 추출하고, 한 수평동기구간내 클럭갯수와 디지탈 수평동기신호(MHsync)를 출력하는 수평동기 변환수단과, 상기 수평동기 변환수단으로부터 출력된 수평동기 분리포인트값과 수평동기내 클럭갯수값을 입력하여 시스템클럭에 의해 실제 수평동기구간을 산출하고, 상기 실제수평동기구간으로부터 표준수평동기구간을 감산하여 라인지터량을 산출하는 라인지터 산출수단과, 표준 저역변환 반송색신호(Fcu)와 상기 라인지터 산출수단으로부터 클력된 라인지터량을 입력하여 보정된 저역변환 반송색신호를 출력하는 반송색신호 보정수단과, 상기 반송색신호 보정수단으로부터 보정된 반송색신호와 표준 저역 변환 반송색신호들 입력하여 자동주파수 조정을 위한 새로운 저역변환 반송색신호를 발생하는 모듈로 카운터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자동 주파수 조정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동기 변환수단은, 수평동기신호(MHsync)를 시스템클럭(F_clk)신호를 입력하여 상기 디지탈 수평동기신호에 의해 수평동기 분리포인트값을 추출하는 수평동기 분리포인트값 추출수단과, 상기 디지탈 수평동기신호를 입력하여 한 수평동기구간내 시스템클럭신호의 갯수를 카운팅하여 출력하는 클럭신호 카운팅수단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자동 주파수 조정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탈 수평동기 발생수단은, 수평동기신호(MHsync)를 시스템클럭(F_clk)신호에 래치시키는 제1래치(101)와, 상기 제1래치(101)로부터 래치출력된 수평동기신호를 다시 래시시켜 출력하는 제2래치(102)와, 상기 제1래치 (101)로부터 래치 출력된 수평동기신호와 수평동기 분리를 위한 기준레벨값을 감산출력하는 감산기(103)와, 상기 제2래치(102)로부터 래치 출력된 수평동기신호와 수평동기 분리를 위한 기준레벨값(Thr)을 감산출력하는 감산기(104)와, 상기 감산기 (103)로부터 감산출력된 신호와 상기 감산기(104)로부터 감산출력된 신호를 입력하여 논리곱 출력하는 오아게이트(105)와, 상기 오아게이트(105)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시스템 클럭신호(F_clk)에 의해 소정지연 시켜 디지탈 수평동기신호(MHsync)를 출력하는 플립플롭(106)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자동 주파수 조정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동기 분리포인트값 추출수단, 수평동기신호(Hsync)를 시스템클럭(F_clk)신호에 래치시키는 제1래치(101)와, 상기 제1래치(101)로부터 래치출력된 수평동기신호를 다시 래치시켜 출력하는 제2래치(102)와, 상기 제2래치(102)로부터 래치 출력된 신호를 입력하여 상기 수평동기신호(MHsync)에 의해 래치시켜 제2수평동기분리 포인트값(B)을 출력하는 제3래치(107)와, 상기 제1래치(101)로부터 래치 출력된 신호를 입력하여 상기 수평동기신호(MHsync)에 의해 래치시켜 제1수평동기분리 포인트값(A)을 출력하는 제4래치(108)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자동 주파수 조정장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클럭신호 카운팅수단은, 상기 플립플롭(106)로부터 출력된 디지탈 수평동기신호(MHsync)에 의해 로드되어 수평동기구간내의 클럭갯수를 카운팅하는 카운터(109)와, 상기 카운터 (109)로부터 출력된 클럭갯수를 상기 디지탈 수평동기신호(MHsync)에 의해 래치시켜 출력하는 제5래치(110)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자동 주파수 조정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탈 수평동기신호(MHsync)를 시스템 클럭신호(F clk)에 의해 소정 클럭 지연 출력하는 플립플롭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자동 주파수 조정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라인지터 산출수단은, 수평동기 분리를 위한 기준레벨값(Thr)와 상기 제2수평동기분리 포인트값(B)을 감산출력하는 감산기(201)와, 상기 제1수평동기분리 포인트값(A)과 제2수평동기분리 포인트값(B)을 감산하는 (202)와, 상기 감산기(201)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상기 감산기(202)로부터 출력된 신호로 나누어 출력하는 제산기(203)와, 상기 제산기(203)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디지탈 수평동기신호(MHsync)에 의해 지연시켜 제1분리에러신호를 출력하는 플립플롭(204)과, 상기 플립플롭(204)로부터 출력된 제1분리에러신호를 디지탈 수평동기신호(MHsync)에 의해 지연시켜 제2분리 에러신호를 출력하는 플립플롭(205)과, 상기 플립플롭(204)로부터 출력된 제1분리에러신호로부터 상기 플립플롭(205)로부터 출력된 제2분리에러신호를 감산하여 에러차값을 출력하는 감산기(206)와, 상기 감산기 (206)로부터 출력된 에러차값과 상기 수평동기 변환부(100)로부터 출력된 한 수평동기구간내 클럭신호갯수(N)를 가산하여 출력하는 가산기(207)와, 상기 가산기(207)로부터 가산 출력된 신호와 시스템 클럭신호(F_clk)를 승산하여 실제수평동기구간 (L_current)을 출력하는 승산기(208)와, 상기 승산기(208)부터 출력된 실제수평동기구간(L_current)에서 표준수평 동기구간(L_standard)을 감산하여 라인지터(ΔTline)를 출력하는 감산기(209)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자동 주파수 조정장치.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색신호 보정수단은, 상기 라인지터(ΔTline)와 상수(K)를 승산하여 출력하는 승산기(301)와, 제1 표준저역변환 반송색신호(Fcul)와 상기 승산기(301)로부터 승산된 신호를 가산하여 출력하는 가산기(302)와, 상기 가산기(302)로부터 가산된 신호를 절대값을 취해 출력하는 절대치기(ABS) (303)와, 제2표준저역변환 반송색신호(Fcu2)를 상기 절대치기(303)로부터 절대값을 취한 신호를 나누어 몫과 나머지를 출력하는 제산기(304)와, 상기 제산기(304)로부터 출력된 몫과 상기 가산기(302)로부터 가산출력된 신호를 배타논리합하여 출력하는 익스클루시브 오아게이트(305)와, 제3표준 저역변환 반송색신호(Fcu)와 상기 익스클루시브 오아게이트(306)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가산하여 출력하는 가산기(306)와, 상기 가산기(306)로부터 가산된 신호를 소정클럭 지연된 디지탈 수평동기신호에 동기시켜 출력하는 래치(307)와, 상기 래치(307)로부터 지연 출력된 신호를 시스템 클럭신호(F_clk)에 동기시켜 보정된 제3 보정저역변환 반송색신호(NFcu3)를 출력하는 래치(308)와, 상기 제산기(304)로부터 출력된 나머지와 상기 가산기(302)로부터 가산 출력된 신호를 배타논리합하여 출력하는 익스클루시브 오아게이트(309)와, 상기 가산기(302)로부터 가산된 신호와 제2표준 저역변환 반송색신호(Fcu2)를 논리곱 출력하는 앤드게이트(310)와, 상기 가산기(302)로부터 가산출력된 신호와 상기 익스클루시브오아게이트(309)로부터 출력된 신호와 상기 앤드게이트(310)로부터 논리곱 출력된 신호를 가산하여 출력하는 가산기(311)와, 상기 가산기(311)로부터 가산된 신호를 소정클럭지연된 디지탈 수평동기신호(3DMHysnc)에 동기시켜 출력하는 래치 (312)와, 상기 래치(312)로부터 래치출력된 신호를 시스템 클럭신호(F_clk)에 동기시켜 보정된 제1 보정저역 변환 반송색신호(NFcu1)를 출력하는 래치(313)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자동주파수 조정장치.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로 카운터는, 상기 제1 보정저역변환 반송색신호(NFcu1)와 버퍼(403)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가산출력하는 가산기(401)와, 상기 가산기(401)로부터 가산된 신호를 카운팅하여 출력하고, 상기 카운팅 값이 설정된 값이 될시 캐리신호를 출력하는 모듈로 Fcu2(402)와, 상기 모듈로 Fcu2(402)로부터 출력된 카운팅값을 입력하여 시스템클럭신호(F_clk)에 의해 버퍼링 출력하는 버퍼 (403)와, 상기 모듈로 Fcu2(402)로부터 출력된 캐리신호 및 버퍼(406)로부터 버퍼링 출력된 신호와 제3보정 저역변환 반송색색송색호(NFcu3)를 가산 출력하는 가산기(404)와, 상기 가산기(404)로부터 가산 출력된 신호를 설정값과 연산하여 소정논리값을 출력하는 모듈로 Fcu4(405)와 상기 모듈로 Fcu4(405)로부터 출력된 논리값을 시스템클럭신호(F_clk)에 의해 버퍼링 출력하는 버퍼(406)와, 상기 버퍼(406)로부터 버퍼링 출력된 신호와 제2표준저역변환 색반송신호(Fcu2) 또는 제4표준저역변환 색반송신호(Fcu4)를 가산하여 출력하는 가산기(407)와, 상기 버퍼(406)로부터 버퍼링 출력된 신호와 상기 가산기(407)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시스템클럭신호(F_clk)에 의해 하나를 선택 출력하는 MUX(408)와, 상기 MUX(409)로부터 선택출력된 신호를 입력하여 싸인 저역변환 반송색신호(SINFcu)와 코싸인 저역변환 반송색신호(COSFcu)를 출력하는 롬(409)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자동주파수 조정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라인지터 산출수단은, 수평동기 분리를 위한 기준레벨값(Thr)와 상기 제2수평동기분리 포인트값(B)을 감산출력하는 감가산기(201)와, 상기 제1수평동기분리 포인트값(A)과 제2수평동기분리 포인트값(B)을 감산하는 (202)와, 상기 감산기(201)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상기 감산기(202)로부터 출력된 신호로 나누어 출력하는 제산기(203)와, 상기 제산기(203)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디지탈 수평동기신호(MHysnc)에 의해 지연시켜 제1분리에러신호를 출력하는 플립플롭(204)과, 상기 플립플롭(204)로부터 출력된 제1분리에러신호를 디지탈 수평동기신호(MHysnc)에 의해 지연시켜 제2에러신호를 출력하는 플립플롭(205)과, 상기 플립플롭(204)로부터 출력된 제1분리에러신호로를 디지탈 수평동기신호(MHysnc)에 의해 지연시켜 제2에러신호를 출력하는 플립플롭(205)과, 상기 플립플롭(204)로부터 출력된 제1분리에러신호(Herror1)로부터 상기 플립플롭(205)로부터 출력된 제2에러신호를 감산하여 에러차값을 출력하는 감산기(206)와, 상기 감산기(206)로부터 출력된 에러차값과 상기 수평동기 변환부(100)로부터 출력된 한 수평동기구간내 클럭신호갯수(N)를 가산하여 출력하는 가산기(207)와, 상기 가산기(207)로부터 가산 출력된 신호와 시스템 클럭신호(F_clk)를 승산하여 실제수평동기구간(L_current)을 출력하는 승산기(208)와, 상기 승산기(208)부터 출력된 실제수평동기구간(L_current)에서 표준수평 동기구간(L_standard)을 감산하여 라인지터(ΔTline)를 출력하는 감산기 (209)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자동 주파수 조정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색신호 보정수단은, 상기 라인지터(ΔTline)와 상수(K)를 승산하여 출력하는 승산기(301)와, 제1 표준저역변환 반송색신호(Fcul)와 상기 승산기(301)로부터 승산된 신호를 가산하여 출력하는 가산기(302)와, 상기 가산기(302)로부터 가산된 신호를 절대값을 취해 출력하는 절대치기(303)와, 제2표준저역변환 반송색신호(Fcu2)를 상기 절대치기(303)로부터 절대값을 취한 신호를 나누어 몫과 나머지를 출력하는 제산기(304)와, 상기 제산기(304)로부터 출력된 몫과 상기 가산기(370)로부터 가산출력된 신호를 배타논리합하여 출력하는 익스플루시브 오아게이트(305)와, 제3 표준 저역변환 반송색신호(Fcu)와 상기 익스클루시브 오아게이트(306)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가산하여 출력하는 가산기(306)와, 상기 가산기 (306)로부터 가산된 신호를 소정 클럭 지연된 디지탈 수평동기신호에 동기시켜 출력하는 래치(307)와, 상기 래치(307)로부터 래치출력된 신호를 시스템 클럭신호(F_clk)에 동기시켜 보정된 제3보정저역변환 반송색신호(NFcu3)를 출력하는 래치 (308)와, 상기 제산기(304)로부터 출력된 나머지와 상기 가산기(302)로부터 가산 출력된 신호를 배타논리합하여 출력하는 익스클루시브 오아게이트(309)와, 상기 가산기(302)로부터 가산된 신호와 제2 표준 저역변환 반송색신호(Fcu2)를 논리곱 출력하는 앤드게이트(310)와, 상가 가산기(302)로부터 가산출력된 신호와 상기 익스클루시브 오아게이트(309)로부터 출력된 신호와 상기 앤드게이트(310)로부터 논리곱 출력된 신호를 가산하여 출력하는 가산기(311)와, 상기 가산기(311)로부터 가산된 신호를 소정클럭지연된 디지탈 수평동기신호에 동기시켜 출력하는 래치(312)와, 상기 래치(312)로부터 래치출력된 신호를 시스템 클럭신호(F_clk)에 동기시켜 보정된 제1 보정저역변환 반송색신호(NFcu1)를 출력하는 래치(313)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자동주파수 조정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로 카운터는, 상기 제1 보정저역변환 반송색신호(NFcu1)와 버퍼(403)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가산출력하는 가산기(401)와, 상기 가산기(401)로부터 가산된 신호를 카운팅하여 출력하고, 상기 카운팅 값이 설정된 값이 될시 캐리신호를 출력하는 모듈로 Fcu2(402)와, 상기 모듈로 Fcu2(402)로부터 출력된 카운팅 값을 입력하여 시스템클럭신호(F_clk)에 의해 버퍼링 출력하는 버퍼 (403)와, 상기 모듈로 Fcu2(402)로부터 출력된 캐리신호 및 버퍼(406)로부터 버퍼링 출력된 신호와 제3보정 저역변환 반송색색송색호(NFcu3)를 가산 출력하는 가산기(404)와, 상기 가산기(404)로부터 가산 출력된 신호를 설정값과 연산하여 소정논리값을 출력하는 모듈로 Fcu4(405)와 상기 모듈로 Fcu4(405)로부터 출력된 논리값을 시스템클럭신호(F_clk)에 의해 버퍼링 출력하는 버퍼(406)와, 상기 버퍼(406)로부터 버퍼링 출력된 신호와 제2표준저역변환 색반송신호(Fcu2) 또는 제4표준저역변환 색반송신호(Fcu4)를 가산하여 출력하는 가산기(407)와, 상기 버퍼(406)로부터 버퍼링 출력된 신호와 상기 가산기(407)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시스템클럭신호(F_clk)에 의해 하나를 선택 출력하는 MUX(408)와, 상기 MUX(409)로부터 선택출력된 신호를 입력하여 싸인 저역변환 반송색신호(SINFcu)와 코싸인 저역변환 반송색신호(COSFcu)를 출력하는 롬(409)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자동주파수 조정장치.※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40004461A KR0143530B1 (ko) | 1994-03-08 | 1994-03-08 | 디지탈 자동 주파수 조정장치 |
US08/291,846 US5515108A (en) | 1993-08-18 | 1994-08-17 | Digital automatic frequency control method and circuit therefor |
JP6194135A JP3032430B2 (ja) | 1993-08-18 | 1994-08-18 | デジタル自動周波数調整方法及びその回路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40004461A KR0143530B1 (ko) | 1994-03-08 | 1994-03-08 | 디지탈 자동 주파수 조정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50027776A true KR950027776A (ko) | 1995-10-18 |
KR0143530B1 KR0143530B1 (ko) | 1998-07-15 |
Family
ID=193785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40004461A Expired - Fee Related KR0143530B1 (ko) | 1993-08-18 | 1994-03-08 | 디지탈 자동 주파수 조정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0143530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90979B1 (ko) * | 2006-02-07 | 2008-01-02 | 삼성전자주식회사 | 동기검출장치 |
-
1994
- 1994-03-08 KR KR1019940004461A patent/KR0143530B1/ko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0143530B1 (ko) | 1998-07-1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GB2241620A (en) | Delay devices | |
GB1352937A (en) | System for correcting time-base errors in a repetitive signal | |
KR890005990A (ko) | 샘플 레이트 변환 시스템 | |
KR0185594B1 (ko) | 샘플링 레이트 변환 장치 | |
US6111897A (en) | Multiplexing/demultiplexing apparatus in digital communication system with variable frame structur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 |
KR960036465A (ko) | 4상 위상 변조기 | |
KR950027776A (ko) | 디지탈 자동 주파수 조정장치 | |
US7773006B2 (en) | Systems and methods of parallel to serial conversion | |
JP2841935B2 (ja) | 位相復調器 | |
JPH04291822A (ja) | A/d変換器 | |
JP2882385B2 (ja) | クロック位相同期回路 | |
JP2723819B2 (ja) | 標本化クロック再生装置 | |
KR950006818A (ko) | 디지탈 자동주파수조정(afc) 방법 및 장치 | |
AU670345B2 (en) | Reset and synchronizing device | |
JP2793726B2 (ja) | 水平同期信号検出装置 | |
KR100211333B1 (ko) | 디지탈 음성신호의 동기 조절장치 | |
WO2003047109A3 (en) | Bit-detection arrangement and apparatus for reproducing information | |
JPH08163399A (ja) | ディジタル信号の位相差吸収装置 | |
KR920009216A (ko) | 영상신호 크리스프너 | |
JP2943852B2 (ja) | クロック同期回路 | |
JPH08256138A (ja) | クロック抽出回路 | |
KR910016209A (ko) | 영상 신호의 시간차 보정 장치 | |
JPS6323436A (ja) | 位相同期回路 | |
JPH0368293A (ja) | 高品位テレビジョン信号の自動位相調整方式 | |
JPH10257351A (ja) | 水平同期信号再生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40308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5012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19940308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80325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8040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1998040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103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2032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3032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4033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5033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6033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70329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80328 Year of fee payment: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80328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003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