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19107A - 내연기관의 스로틀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내연기관의 스로틀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19107A
KR950019107A KR1019940037187A KR19940037187A KR950019107A KR 950019107 A KR950019107 A KR 950019107A KR 1019940037187 A KR1019940037187 A KR 1019940037187A KR 19940037187 A KR19940037187 A KR 19940037187A KR 950019107 A KR950019107 A KR 9500191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rottle valve
opening degree
accelerator operation
actuator
thrott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371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0156758B1 (ko
Inventor
아베 가즈히꼬
이리야마 마사히로
Original Assignee
요시후미 쓰지
닛산 지도샤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요시후미 쓰지, 닛산 지도샤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요시후미 쓰지
Publication of KR9500191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91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567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56758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2Circuit arrangements for generating control signals
    • F02D41/04Introducing corrections for particular operating condi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40Engine management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Throttle Valves Provided In The Intake System Or In The Exhaust System (AREA)
  • Control Of Vehicle Engines Or Engines For Specific Uses (AREA)
  • Electrical Control Of Air Or Fuel Supplied To Internal-Combustion Engine (AREA)
  • Combined Controls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Abstract

엑츄에이터의 회동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기를 설치하는 것없이 액츄에이터의 적절한 위치제어를 행한다.
트랙션 제어요구 신호가 발생되면(S1) 목표개방도 θ가 액셀러레이터 페달(21)의 조작량 ACC보다 작은 경우에는 (S2) 스로틀밸브(3)의 개방도 TVO가 액셀러레이터 페달(21)의 조작량 ACC보다 작아지기까지 스로틀밸브 개방도 TVO의 속도가 작아지는 출력에서 스로틀밸브(3)의 폐쇄되는 방향으로 구동되고(S4) 그 후 피드백제어가 행해진다(S5). 그리고 목표개방도 θ가 액셀러레이터 페달(21)의 조작량 ACC보다 커져 피드백제어가 중지되더라도 스텝모터(41)의 출력을 액츄에이터 연동부재(44)와 걸림레버(4)가 근소하게 걸리는 출력으로 지지한다(S6).

Description

내연기관의 스로틀 제어장치
본 내용은 요부공개 건이므로 전문내용을 수록하지 않았음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스로틀 제어장치의 전체시스템도.
제2도는 제1도의 실시예에 따라 스로틀 제어의 내용을 도시한 흐름도.
제3도는 제1도의 실시예에 따른 스로틀 제어의 작용을 설명하는 시간선도.

Claims (3)

  1. 액셀러레이터조작에 의해 탄성부재를 개재하여 스로틀밸브를 개폐시키는 액셀러레이터조작계와, 상기 스로틀밸브에 그 스로틀밸브를 폐쇄시키는 방향으로만 걸리고 소정의 트랙션 운전조건에서 액츄에이터에 의해 구동되어 스로틀밸브를 상기 액셀러레이터조작계의 탄성부재의 부세력에 저항해서 목표 개방도까지 강제적으로 폐쇄하는 트랙션제어계를 갖춘 내연기관의 스로틀밸브 장치에 있어서, 액셀러레이터조작게에서 액셀러레이터조작량을 검출하는 액셀러레이터조작량 검출수단과, 스로틀밸브의 개방도를 검출하는 스로틀 개방도 검출수단과, 그 액셀러레이터조작량 검출수단의 액셀러레이터조작량에 상당하는 출력치와 그 스로틀 개방도 검출수단의 스로틀밸브의 개방도에 상항하는 출력치를 비교하는 비교수단을 갖춤과 동시에, 상기 트랙션 제어계가 상기 트랙션 운전조건에서 상기 비교수단에 의해 스로틀 밸브 개방도에 상당하는 출력치가 액셀러레이터조작량에 상당하는 출력치와 일치하고 있다고 판단되었을 때에 소정의 출력에서 엑츄에이터를 스로틀밸브 폐쇄방향으로 구동시키는 액츄에이터 소정출력 구동수단과, 상기 비교수단에 의해 스로틀밸브 개방도에 상당하는 출력치가 액셀러레이터조작량에 상당하는 출력치가 액셀러레이터조작량에 상당하는 출력치보다 작아졌다고 판단되었을 때에 상기 목표개방도에 가까워 지도록 액츄에이터의 피드백제어를 개시하는 액츄에이터 피드백 제어수단을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의 스로틀 제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백제어중에 상기 스로틀밸브 개방도가 목표개방도보다 작아졌을 때에는 상기 트랙션 제어계가 상기 액츄에이터로, 스로틀밸브가 액셀러레이터조작계만을 조작되는 개방도를 유지하면서 그 트랙션 제어계가 스로틀밸브에 걸리면서 추종하는 폐쇄방향의 지지출력을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의 스로틀 제어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트랙션 운전조건이 종료했을 때에 상기 트랙션 제어계가 상기 폐쇄방향의 지지출력의 부여를 중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의 스로틀 제어장치.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1019940037187A 1993-12-27 1994-12-27 내연기관의 스로틀 제어장치 KR015675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33273/1993 1993-12-27
JP5333273A JPH07189760A (ja) 1993-12-27 1993-12-27 内燃機関のスロットル制御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9107A true KR950019107A (ko) 1995-07-22
KR0156758B1 KR0156758B1 (ko) 1998-11-16

Family

ID=182642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37187A KR0156758B1 (ko) 1993-12-27 1994-12-27 내연기관의 스로틀 제어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H07189760A (ko)
KR (1) KR015675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421798B2 (ja) * 2016-08-29 2018-11-14 マツダ株式会社 エンジンの制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7189760A (ja) 1995-07-28
KR0156758B1 (ko) 1998-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10018250A (ko) 자동차의 구동력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JPH0762450B2 (ja) 内燃機関のスロツトル弁制御装置
KR910018222A (ko) 자동변속기 제어장치
KR880009190A (ko) 자동차엔진용 페일세이프 시스템
JPH0385338A (ja) 内燃機関のスロットル弁制御装置
KR940000304A (ko) 자동변속기의 제어장치
EP0523072A1 (en) THROTTLE.
KR900015970A (ko) 차량 변속장치
KR970011339A (ko) 내연 기관용 스로틀 밸브의 전폐 검출 시스템
KR880003778A (ko) 스로틀밸브 제어장치
KR930021930A (ko) 엔진의 흡입공기량 제어장치
KR950019107A (ko) 내연기관의 스로틀 제어장치
KR920005747A (ko) 내연기관의 드로틀 개방도 제어장치
JPH11148396A (ja) 車両走行制御装置
JPS618442A (ja) 車両用内燃機関のアクセル制御装置における異常診断装置
JPS60159346A (ja) 車両用走行制御装置
JP4488423B2 (ja) 電子制御スロットル装置の制御装置
JP2004156546A (ja) スロットルバルブ制御装置
JPH1150879A (ja) 内燃機関のスロットル弁制御装置
KR950019112A (ko) 내연기관의 스로틀 밸브 제어 장치
JPH0121338B2 (ko)
JPH04203218A (ja) エンジンのスロットル弁制御装置
JP2004293447A (ja) 電子制御スロットルの位置学習方法および装置
JPH03290042A (ja) 内燃機関のスロットル弁制御装置
JPS63314330A (ja) フェイルセ−フ機構付きドライブバイワイヤ式スロットル弁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