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14487B1 - 횡출식 주탕(橫出式 注湯)장치 - Google Patents

횡출식 주탕(橫出式 注湯)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14487B1
KR950014487B1 KR1019870014981A KR870014981A KR950014487B1 KR 950014487 B1 KR950014487 B1 KR 950014487B1 KR 1019870014981 A KR1019870014981 A KR 1019870014981A KR 870014981 A KR870014981 A KR 870014981A KR 950014487 B1 KR950014487 B1 KR 9500144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dle
molten metal
pouring
support
ro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149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07153A (ko
Inventor
지로오 사토오
겐이츠 요시다
Original Assignee
후지와 기코오가부시끼가이샤
사토 키요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61310681A external-priority patent/JPH0783928B2/ja
Priority claimed from JP62199461A external-priority patent/JPS6444261A/ja
Application filed by 후지와 기코오가부시끼가이샤, 사토 키요카 filed Critical 후지와 기코오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8800071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71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144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44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01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without moulds, e.g. on molten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41/00Casting melt-holding vessels, e.g. ladles, tundishes, cups or the like
    • B22D41/04Casting melt-holding vessels, e.g. ladles, tundishes, cups or the like tilt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sting Support Devices, Ladles, And Melt Control Thereby (AREA)
  • Treatment Of Steel In Its Molten Stat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횡출식 주탕(橫出式 注湯)장치
제1도는 용탕 안내통로수단을 제2도의 I-I 선 단면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본 발명에 의한 2유니트 배치형식으로 된 횡출식 주탕장치의 정면도.
제2도는 제1도의 횡출식 주탕장치의 평면도.
제3도는 제1도의 III-III선의 단면도.
제4도는 제2도의 W-IV선의 단면도.
제5도는 오른쪽 레이들이 생략되어 있는 제1도의 횡출식 주탕장치의 배면도.
제6도는 제2도의 VI-VI선의 단면도.
제7도는 본 발명에 따른 2유니트 배치형식으로 된 횡출식 주탕장치의 제2실시예의 개략 정면도.
제8도는 제7도의 횡출식 주탕장치의 개략 부분 측면도.
제9도는 제7도의 횡출식 주탕장치의 개략 평면도.
제10도는 종래의 횡출식 주탕장치의 레이들의 부분 단면도.
제11도는 제10도의 횡출식 주탕장치의 레이들의 수직 단면도.
제12도 및 제13도는 종래의 2유니트 배치형식으로 된 횅출식 주탕장치의 평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내한 부호의 설명
1,1a,1b : 레이들(Ladle) 10a,10b : 주탕유니트
12 : 레이들 14 : 내부프레임
16 : 수평프레임부재 18 : 수직 프레임부재
20 : 외부프레임 22 : 로드셀(10ad shell)
24 : 수평 프레임부재 26 : 수직 프레임부재
28 : 브라켓 32 : 바닥벽
34 : 앞벽 36 : 옆벽
38 : 용탕수납공간 40 : 출탕구
42 : 용탕안내통로수단 44 : 용탕안내통로
46 : 용탕안내바닥 50 : 격벽
52 : 내화성재료 54 : 셀(Shell)
60 : 베어링부재(브라켓부재) 61 : 부재
62 베어링구명(브라켓구멍) 64 : 베어링 로울수단(지지 베어링수단)
66 : 로울(Roll)(베어링) 67 : 지지체
67a : 회전중심 또는 회전가능한 부분 68 : 국부톱니바퀴
69 : 접속부재 70 : 구동수단
71 : 구동기어 72 : 출력톱니바퀴(출력기어)
80 : 지지수단 82 : 핀
90 : 접속수단 92 : 브라켓
94 : 장착판 96 : 고정핀
100 : 주탕컵 A : 대차(台車)
O : 회전축(회전지지축) P : 출탕구
R : 레이들의 반경 r : 용탕안내 바닥의 반경
W : 출탕구의 폭 M : 주형
본 발명은, 주형기에 의해 연속적으로 제조된 주형에 용융금속(용탕:溶湯)을 레이들로부터 연속적으로 주탕하는 횡출식 주탕강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주형설비에 의하여 연속적으로 제조된 주형에, 용탕을, 연속적으로 주탕하는 자동 주탕시스템에 의하여, 주물(鑄物)의 제조를 효과적으로 행하기 위한 여러종류의 경동식(傾動式) 주탕유니트가 제안되거나 도입 되었다.
일예로서, 주탕지점으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는 주탕컵을 구비하는 주형의 경우에는, 중간에 용탕안내로를 배설하든가, 또는 옆쪽으로 출탕구가 형성된 횡출식 주탕장치가 사용되었다.
이러한 형출식 주탕장치에서 사용되는 전형적인 레이들은, 제10도에서 나타낸 바와같이, 수직단면이 부채형상으로 되어 있다. 레이들(1)의 회전축(0)에 해당하는 부채의 피버트와, U자 형상의 출탕구(P)는, 제11도에서와 같이, 회전축(0)을 따라서 레이들의 한쪽 측면에 형성된다.
이러한 특성의 횡출식 주탕장치는, 레이들을 경동(傾動) 시킴으로써, 레이들내의 용탕이 출탕구(P)쪽으로 나오도록 하며, 이에 의하여 주형내로 용탕을 주탕한다.
그러나, 레이들이 점차적으로 경동됨에 따라 출탕구(P)의 윤곽이 변하며, 출탕구(P)로부터 주탕컵으로 유임되는 주탕유선(流線)이 그에 상응하여 변하기 때문에, 레이들의 경동과 동시에 주탕장치의 위치를 정밀하게 조정하거나, 선택적으로 주형을 확장된 주탕컵이 구비되도록 제조해야 할 필요가 있었다.
더우기, 필요할때 주당을 원활하고 확실하게 중지할 수 없다고 하는 점이, 상기 구성의 주탕장치의 근본적인 단점이라고 생각되어 왔으며, 서로 상이한 출탕구 형태와 레이들 경동기술이 제안되었으나, 어떠한 것도 만족할 반한 실용적 가치를 나타내지는 못했다.
일반적으로, 연속 주조라인을 정지시키지 않고 주탕을 수행하기 위하여, 2개의 주탕장치 유니트를 교대로 사용하는 것이 관습으로 되어 있으며, 1개가 주탕을 하면서 다른 1개에는 용탕을 채우도록 한다.
이러한 2개의 유니트가 주조라인을 따라서 사용되고, 주형의 폭이 상당히 콘 경우에는, 주탕될 수 없는 중간 주형의 수를 최소화하려는 노력이 경주된다.
예를들면, 제12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대칭구조의 레이들(1a),(1b)을 각각 구비한 2개의 유니트가 서로 인접하여 설치되고, 필요한 경우, 용탕안내로(G)가 출탕구쪽에 부착된다. 또는, 제13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출탕유니트가 주조라인에 대해 소정각도로 경사지게 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주탕 구성으로서는, 2개의 주탕유니트로부터의 용탕을 완전한 동일지점, 또는 주형의 단일 주탕컵으로 홀려 떨어뜨릴 수가 없거나 극히 어렵다.
특히, 주형의 폭이 좁은 경우, 또는 대용량의 레이들을 갖춘 대형 주탕장치를 필요로 하는 고속주조라인을 포함하는 자동주탕 시스템의 경우에 있어서는, 상기의 어떠한 방법도 주탕이 불가능하다.
본 발명자 등의 실험에 의하면, 2개의 주형이 거리간격을 두면서 연속적으로 주탕되어야 할때, 채워진 주형다음에 위치하는 주형이, 앞의 주형으로부터의 열에 크게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이 열은, 주형모래의 급격한 변화를 초래하여, 주형공간부의 주위벽의 왜곡이 생기며, 결과적으로 주물에 결함이 생길 가능성이 크게 된다.
특히, 제13도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주형의 크기가 작은 경우에 심하게 된다.
본 발명자등은, 고속 주조라인작업에서의 상기 문제점이,2개의 주탕 유니트가 동일 주탕지점에서 완전히 동일한 주형으로 주탕할 수 있도록 배치되는 구성에 의하여 극복될 수 있으며, 상기 배치는 고속택트(tact)운동으로 작업되는 주조라인에 가장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새로운 사실에 기초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특히 고속 택트 운동하는 주조라인에 적합하며, 레이들의 출탕구로부터 각 주형의 주탕컵으로 유임되는 용탕의 주탕유선을 변화시키지 않고, 완전히 동일한 주탕지점에서 용탕을 연속적으로 주탕할 수 있는 횡출식 주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고속 택트 운동하는 주조라인에 최소한 2개의 주탕 유니트가 배치되어, 완전히 동일한 지점에서 주형에 용탕을 높은 주조효울로 주탕할 수 있는 횡출식 주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레이들이 이 레이들로부터 주형으로 용탕을 주탕하기 위하여 경동할 때, 용탕을 항상 일정한 조건(속도, 양, 시간, 기타)하에서 주형으로 주탕할 수 있는 횡출식 주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레이들로부터 주형으로 주탕하는 동안, 원하는 경우에 언제든지 용탕의 주탕을 원활하고 확실하게 중지할 수 있는 횡출식 주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용이하게 착탈될 수 있는 레이들을 포함하는 횡출식 주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제1실시예]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청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 내지 제3도는, 주조라인을 따라 배치되어 본 발명을 실시하는 횡출식 주탕장치의 2개의 유니트(10a),(10b)로 구성되는 자동주탕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2개의 주탕유니트(10a),(10b)는, 거울을 두고 마주 보는 식으로 배치되며, 근본적으로 구성은 동일하다.
주탕유니트(10a),(10b)가 거의 동일하게 구성되므로, 구성에 대한 이하의 설명은 주로 유니트(10a)와 관련하여 한다.
주탕유니트(10a)는 후술하는 레이올(12)을 포함하며, 레이들(12)은 용기를 둘러싸는 내부프레임(14)상에 장착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실시예에서 설명되는 내부프레임(14)은, 정방형으로 조립된 수평 프레임부재(16)와, 이 수평 프레임부재(16)에 고정되며, 수직으로 위를 향하여 연장된 수직 프레임부재(18)로 구성되는 골조이다.
내부프레임(14)온, 로드셀(22)을 통해 외부프레임(20)내에 설치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실시예의 외부프레임(20)은, 예를들면, 궤도 위를 이동하도록 채택되는 대차등의 위에서 상호 결합되는 수평 프레임부제(24)와, 상기 수평 프레임부재(24)에서 위를 향해 수직으로 연장되는 4개의 수직 프레임부재(26)로 구성되는 골조이다.
내부프레임(l4)온, 인장형 로드셀(22)과 항께 외부프레임(20)에 설치된다.
각각의 로드셀(22)은, 수직 프레임부재(26)중의 하나에 유지되는 브라켓(28)과, 내부프레임(14)의 수평 프레임부재(16)사이에 배치된다.
다음에, 본 발명에 의하여 구성되는 레이들(12)의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레이들(12)은, 부분적 단면윤곽이 부채형상으로 되고, 제2도 및 제4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도면에 대해 직각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축(0)을 가진다.
레이들(12)은, 회전축(O)으로부터 반경(R)의 거리를 둔 원호형 윤곽의 바닥벽(32)에 의해 구획되며, 소정량의 용융금속(용탕)을 담을 수 있는 용탕수납공간(38)과, 상기 바닥벽(32)에 인접하는 암벽(34)과, 상기 바닥벽(32) 및 앞벽(34)의 양 옆 모서리를 따라 형성된 양 옆벽(36)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2도에 가장 잘 나타낸 바와 같이, 출탕구(40)가 한쪽 옆벽(36)으로부터 바깥쪽을 향해 수직으로 돌출한 용탕 안내통로수단(42)에 형성된다.
용탕 안내통로수단(42)에는, 출탕구(40)와 용탕 수납공간(38)의 사이를 연이어 통하는 용탕 안내동로(44)가 형성된다.
출탕구(40)는 폭(W)을 가지고 용탕 안내통로(44)에 내해 직각으로 배설되어 있다.
출탕구의 바닥벽, 또는 출탕구(40)에서 나온 용탕을 안대하는 용탕 안내바닥(46)은, 용탕주입의 중지를 원활하고 확실하게 행하도록, 반경(r)으로 된 원호형상, 또는 원호에 가까운 만곡형상인 것이 바람지하며, 반경(r) 또는 만곡부의 중심은, 레이들의 회전축(O)과 일치한다.
본실시예에 있어서는, 용탕안내통로(44)와 출탕구(40)사이에, 수납공간(38)에서 발생한 슬랙(Slag)등이, 출탕구(40)로부터 주형으로 흘러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격벽(50)이 배설된다.
용탕과 접촉하게 되는 각 벽(32),(34) 및 (36)과, 용탕 안내통로(44), 출탕구(40), 격벽(50), 및 기타 레이들(12) 의 관련부분들은, 내화성재료(52) 로 형성되며, 상기 내화성재료(52)는, 강판등으로 형성된 외부벽 또는 셀(Shell)(54)에 의하여 덮여진다.
제2도, 제3도 및 제6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바닥이 개방된 대략 뒤집힌 U자 형상인 베어링부재(60)가, 레이들(12)의 암벽(34)의 외부에 고정된다.
각각의 베어링부재(60)는, 아랫쪽이 개방된 베어링구멍(62)이 마련되어 있어서, 내부프레임(14)의 수직 프레임부재(18)에 유지된 베어링로울(Roll)수단(64)의 로울(66) 위에 놓여진다.
베어링구멍(62)과 로울(60)은, 이들의 회전중심이 레이들의 회전축(O)과 일치하도록 만들어진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용탕 안내통로수단(42)이 배설되는 쪽과 반대쪽인 레이들의 옆벽에 인접하여 국부톱니바퀴(68)가 위치된다.
국부톱니바퀴(68)의 회전중심부(또는 부채형의 피버트)는, 내부프레임(14)의 수직 프레임부재(18)상에 배설된 지지수단(80)에 회전 가능하게 접속된다.
물론, 국부톱니바퀴(68)는, 그의 회전중심이 레이들의 회전축(O)과 일치하도록 형성된다.
국부톱니바퀴(68)의 톱니는, 레이들이 경동운동을 하도록 구동하는 구동수단(70)의 출력톱니바퀴(72)의 톱니와 이맞물림 한다.(제5도 참조).
본 실시예에서는, 구동수단(70) 이 내부프레임(l4)상에 장착된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레이들(12)은 그의 앞에 부착된 베어링부재(60)로써 로울수단(64)상에 회전이 자유롭게 놓여지며, 동시에 접속수단(90)으로써, 국부톱니바퀴(68)에 착탈이 가능하게 유지되어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제2도 및 제3도에서 명확한 바와같이, 접속수단(90)은, 국부톱니바퀴(68)에 고정된 브라켓(92)과, 이 브라켓(92)에 걸어 맞추어지도록 레이들(12)의 측면에 유지되는 장착판(94)을 포함한다.
따라서, 레이들(12)은, 상기한 바와같이, 베어 링부재(60) 가 메어 링로울수단(64) 에 의하여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며, 장착판(94) 이 국부톱니바퀴(68)의 브라켓(92)에 의하여 유지되므로, 베어링로울수단(64)에 의하여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각각의 장착판(94)과 브라켓(92)의 걸어맞춤을 확실하게 하기 위하여, 양쪽판에 형성된 구멍들을 통해 고정핀(96)이 삽입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레이들(12)은 내부프레임(14)에 의해 유지되며. 국부톱니바퀴(68)가 구동수단(70)의 출력톱니바퀴(72)에 의해 구동됨에 따라 베어링로울수단(64)에 내해 경동하게 된다.
구동수단용의 제어(도시하지 않음) 및 기타 관련 구성요소가 마찬가지로 내부프레임(14)상에 장착된다는 것은 관련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있어 자명하다.
비록, 이상의 설명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주탕장치를 제1도에 나타낸 왼쪽 유니트(10a)와 관련하여 설명하였으나, 오른쪽 유니트(10b)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2개의 유니트는, 거울을 두고 마주 보는 방식으로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동일부분에는 동일부호를 부여하였으며,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주탕유니트(10a),(10b)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2개의 유니트(10a),(10b)는, 그들의 앞면, 또는 출탕구(40)가 주조라인을 따라서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다시말하면. 제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레이들(12)의 출탕구(40)는, 채워져야 하는 주형(M)의 주탕컵(100)의 양쪽에 위치한다.
각각의 레이들(12)은, 소정량의 용탕을 수납하고 있다.
다음에, 어느쪽인가의 주탕유니트의 구동수단(70) 이 구동하여, 회전력이 출력톱니바퀴(72)로부터 국부톱니바퀴(68)로 전달되고, 그 결과 레이들(12)이 회전축(O)에 내해 경동한다.
레이들내의 용탕은, 용기의 용탕 안내통로(44)를 거쳐, 출탕구(40)를 통해 주형(M)의 주탕겁(100)으로 유입된다.
출탕구(40)의 바닥벽(46)이 원호 또는 그와 유사한 만곡된 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출탕구(40)와 주형(M)의 주탕컵(100)의 상대 위치가, 레이들(12)이 기울어지더라도 실질적으로 변동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레이들(12)이 일정한 속도로 경동항에 따라, 출탕구(40)로부터 컵(100)으로 유입되는 용탕의 주탕유선(流線)이, 레이들의 경동에 의해 변동될 가능성이 없이, 용탕은 항상 가장 안전하게 주형(M)의 주탕컵(100)으로 유입된다.
더우기,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된 일본국 특공소 제52-9580호 공보의 명세서에 기재된 방법에 따르면, 보다 바람직한 주탕이 수행될 수 있는데, 즉 레이들(12)을 주탕전까지는 Vθ1의 속도로 회전하여 경동하고, 주탕중에는 Vθ2의 속도(Vθ2<Vθ1)로 회전하여 경동하며, 주탕후에는 일정속도로 환원시켜 행한다.
한쪽의 레이들(12)에 의한 주탕이 완료하면, 다른쪽 레이들(12)이 작동을 개시하며, 그 동안에 비워진 레이들은 다시 용탕으로 채워진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레이들의 형상이, 부채형상인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부채형상인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른 형상으로도 실시가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에는, 레이들의 경동속도가, 일정 조건하에서 용탕을 레이들로부터 주형으로 주입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설명에서는,2개의 형출식 주탕유니트의 배치가 사용되었으나, 용도에 따라 하나의 장치만이 단독으로 작동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레이들(12)이 내부프레임(14)상에 착탈이 자유롭게 장착되는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내신에 프레임에 고정될 수도 있다.
[제2실시예]
본 발명의 원리가 적용되는 또 다른 실시예를 제7도, 제8도 및 제9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2실시예는, 상기 제1실시예와 대략 유사하다. 다만, 레이들의 경동기구와, 레이들의 형상 및 대차위에 레이들이 장착되는 방식이 약간 다르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동일 부분에 내해 동열부호를 사용한다. 제7도 내지 제9도는, 본 발명을 실시하도록 주조라안을 따라 배치되는 또 다른 횡출식 주탕장치의 2개의 유니트(10a),(10b)로 구성되는 자동주당시스템을 나타낸다.
2개의 주당유니트(10a),(10b)는, 거울을 두고 마주보는 방식으로 배치되며, 구성은 근본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구성에 대한 아하에서의 설명은, 주로 유니트(10a)와 관련하여 한다.
주탕유니트(10a)는 후에 상술하는 레이들(12)을 포함하며, 레이들(12)은 내부프레임(14) 상에 장착된다.
본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내부프레임(14)은, 정방형으로 조립된 수평 프레임부재(16)와, 이 수평 프레임부제(16)에 고정되며, 수직으로 위를 향해 연장된 수직 프레임부재(18)로 구성되는 골재이다.
내부프레임(14)은, 로드셀(22)을 통해 외부프레임(20)내에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외부프레임(20)은, 예를 들면, 궤도위를 이동하도록 채택되는 대차(A)등의 위에서 상호 결합되는 수평 프레임부재(24)와, 이 수평 프레임부재(24)로부터 위를 향해 수직으로 연장되는 4개의 수직 프레임부재(26)로 구성되는 골조이다.
각각의 로드셀(22)은 수직 프레임부재(26)중의 하나에 유지되는 브라켓(28)과, 내부프레임(14)의 수평 프레임부재(16) 사이에 배치된다.
다음에, 본 발명에 의하여 구성되는 레이들(12)의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레이들(12)은, 부분적 단면윤곽이 부채형상이며, 제7도 및 제9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제7도의 도면에대해 직각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지지축(0)을 구비한다.(본 실시예에서는, 이 회전지지축을 구비하는 레이들의 측면을 레이들의 한쪽 끝단이라 칭하고, 이 축과 반대쪽을 다른쪽 끝단이라 칭한다.)
레이들(12)은, 회전지지축(O)으로부터 반경(R)의 거리를 둔 원호형 윤곽의 바닥벽(32)에 의해 구획되며, 소정량의 용탕을 맘을 수 있는 용량 수납공간(38)과, 상기 바닥벽(32)에 인접하는 앞벽(34)과, 상기 바닥벽(32) 및 앞벽(34)의 양 옆 모서리를 따라 형성된 양 옆벽(36)으로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8도 및 제9도에서 가장 잘 나타내어져 있는 바와같이, 한쪽 옆벽(36)으로부터 바깥쪽을 향하여 수직으로 돌출한 용탕 안내통로수단(42)에 출탕구(40)가 형성된다.
용탕 안내통로수단(42)에는, 출탕구(40)와 용탕 수납공간(38)의 사이를 연이어 통하는 용탕 안내통로(44)가 형성된다.
출탕구(40)는 폭(W)으로서 용탕 안내통로(44)에 대해 직각으로 배설되어 있다.
출탕구의 바닥벽, 또는 출탕구(40)에서 나오는 용탕을 안대하는 용탕 안내바닥(46)은, 용탕주입의 중지를 원활하고, 확실하게 행하도록 반경(r)으로 된 원호형상, 또는 원호에 가까운 만곡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 7 도의 B부분 참조)
반경(r) 또는 만곡부의 중심은, 레이들의 회전지지축(O)과 일치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용탕 안내통로(44)와 출탕구(40)의 사이에, 수납공간(38)내에서 발생되는 슬랙등이, 출탕구(40)로부터 주형으로 흘러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격벽(50)이 배설된다.
용탕과 접촉하게 되는 각 벽(32),(34) 및 (36)과, 용탕 안내통로(44), 출탕구(40), 격벽(50) 및 기타 레이들(12)의 관련 부분들은, 내화성재료로 형성되며, 상기의 내화성 재료는 강판등으로 형성된 외부벽 또는 셀(Shell)에 의하여 덮여진다.
제7도 내지 제9도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같이, 바닥이 개방되고, 대략 뒤집힌 U자 형상의 브라켓부재(60)가, 레이들(12)의 한쪽 끝단에서 앞벽(34)의 외부모서리에 고정된다.
각각의 브라켓부재(60)는, 아랫쪽이 개방된 브라켓구멍(62)이 마련되어 있어서, 내부프레임(14)의 수직 프레임부재(18)에 유지된 지지 베어링수단(64)의 베어링(66) 상에 놓여지게 된다. 따라서 레이들(12)은 내부프레임(14)에 의해 한쪽 끝단에서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브라켓구멍(62) 및 베어링(66)은, 이들의 회전중심이 레이들(12)의 회전지지축(O)과 일치하도륵 만들어진다.
레이들(12)의 아래쪽 또는 옆쪽에는 레이들의 윤곽을 따라 지지체(67)가 배설되어 있어서, 각 지지체와 레이들 사이에 소정간극을 두고 레이들(12)을 지지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지지체(67)가 레이들(12)의 아래쪽 양 모서리, 또는 외부둘레상에 1쌍씩 배설된다. 레이들(12)의 아래쪽 양 모서리상의 지지체(67)는, 적어도 1개의 접속부재(69)에 의하여 상호 구속되도록 접속되며, 후술하는 구동수단(70)의 구동력에 의하여 동열 궤적을 따라 일체적으로 앞뒤로 경동하게 된다.
지지체(67)의 외부쪽에는, 레이들(12)을 경동하는데 필요한 동력전달 수단으로서 톱니장치가 설치된다.
톱니장치는 구동기어(71)와 걸어 맞추어지고, 구동기어(71)는 예를들면, 무한궤도체인에 의하여 내부프레임(14)상에 장착된 모우터등의 구동수단(70)의 출력기어와 접속되며, 이에 의하여 구동수단(70)으로부터의 구동력이 지지체(67)의 톱니장치로 전달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지지체(67)들이 각각, 모우터의 양 옆에 위치도는 구동기어(71)와 걸어맛추어진다. 레이들(12)은, 레이들의 중심에 대해 2개의 대칭점에서, 지지체(67)에 의하여 외부바닥에 양 옆쪽이 지지된다.
따라서, 레이들(12)은 지지체(67)와 일체로 되며, 구동수단(70)으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에 의해 항께 경동한다.
레이들(12)의 앞 또는 한쪽 끝단의 각 지지체(67)의 회전중심 또는 회전가능한 부분(67a)은, 내부프레임(14)의 수직 프레임부재(18)의 상부에 배설된 지지베어링수단(64)의 베어링(66)위에 회전가능하게 놓인다
물론, 지지체(67)의 회전중심은, 레이들(12)의 회전지지축(O)과 일치하도록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같이, 레이들(12)은, 레이들의 앞 또는 한쪽 끝단에 배설된 브라켓부재(60)로서, 지지베어링수단(64)의 베어링(66)과 걸어 맞추어져서 회전가능하게 놓여진다. 동시에, 레이들(12)의 다른쪽 끝단 뒤쪽에서는, 부재(61)가 상부 접속부제(69)상에 놓여지며, 상부 접속부재(69)는, 지지체(67)들을 접속하도록 지지체 사이에 연장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같이, 지지체(67)의 뒷쪽(다른쪽 끝단)에 배설된 톱니장치는, 구동기어(71)에 의해 지지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레이들(12)은 지지체(67)와 일체로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서, 레이들(12)은 무엇보다도 내부프레임(14)에 의해 구동수단과 함께 유지되며, 지지체(67)가 구동수단(70)을 통하여 구동기어(71)에 의해 구동됨에 따라 지지베어링수단(64)의 베어링(66) 주위를 경동한다.
구동수단(70)용의 제어수단(도시하지 많음) 및 기타 관련구성요소가 마찬가지로 내부프레임(14)상에 장착된다는 것은 관련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있어 자명하다.
비록, 이상의 설명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주탕장치를 제7도에서 나타낸 왼쪽 유니트(10a)와 관련하여 설명하였으나, 오른쪽 유니트 (10b)에도 마찬가지로 동일하게 적용된다.
2개의 유니트는, 거울을 두고 마주보는 방식으로 동일하게 구성되어 배치되기 때문에, 동일부분에는 동일부호를 부여하였으며,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주탕유니트(10a),(10b)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2개의 유니트(10a),(10b)는 그들의 앞면, 또는 출탕구(40)가 주조라인을 따라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다시 말하면, 제9도에서 나타낸 바와같이, 각각 소저량의 용탕을 수납하고 있는 레이들(12)의 출탕구(40)가 레이들(12)로부터 간격을 두고 위치한 채워져야할 주형(M)의 주탕컵(100)의 양쪽에 위치한다.
다음에, 어느쪽인가의 주탕유니트의 구동수단(70)이 구동하여 회전력이 구동기어(71)로부터 지지체(67)의 톱니장치로 전달되고, 그 결과 레이들(12)이 회전지지축(O)에 내해 경동한다.
레이들(12)내의 용탕은, 용기내의 용탕 안내통로(44)를 거쳐서, 출탕구(40)를 통해 주형(M)의 주탕컵(100)으로 유입된다.
출탕구(40)의 바닥벽(46)이, 원호 또는 그와 유사한 만곡된 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레이들(12)은 회전중심으로서 피버트가 달린 부채형상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출탕구(40)와 주형(M)의 주탕컵(100)의 상내 위치는, 레이들(12)이 경동하더라도 실질적으로 변동되지 않게 된다.
레이들(12)이 일정한 속도로 경동함에 따라, 출탕구(40)로부터 컵(100)으로 유입되는 용탕의 주탕유선이 레이들의 경동에 의해 변동될 가능성이 없으면서, 원하는 때에는 주탕의 유입을 원만하고 확실하게 중지할 수 있도록 용탕이 항상 가장 안정하게 일정한 조건(주탕속도, 주탕량, 주탕시간, 기타)으로 주형(M)의 주탕컵(100)내로 유입될 수 있다.
더우기,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된 일본국 특공소 제52-9590호 공보의 명세서에 기재된 방법에 의하면, 레이들(12)을 주탕전까지는 Vθ1의 속도로 회전시켜 경동하고, 주탕중에는 Vθ2의 속도(Vθ2<Vθ1)로 회전하여 경동하며, 주탕후에는 일정속도로 환원시킴으로써, 보다 바람직한 주탕이 수행될 수 있다.
한쪽의 레이들(12)에 의해 주형이 채워지면, 다른쪽 레이들(12)이 작동을 개시하고, 그 사이에 비워진 레이들이 용탕으로 다시 채워지며, 상기의 주기가 반복된다.
따라서, 레이들(12)이 주형에 용탕을 주업하기 위하여, 회전지지축 주위로 경동해야 할때, 레이들(12)의 하부의 양쪽옆에 배설된 지지체(67)가 구동수단(70)으로부터의 구동력에 의해 상승하게 된다.
따라서, 레이들(12)은 회전지지축을 회전중심으로 지지체(67)에 의하여 2개소에서 대칭적으로 중복 지지된 상태로 경동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은, 레이들(12)이 여하한 불균형하중에도 불구하고 안정되게 경동하기 때문에, 통상의 위험한 주탕고정의 안전을 위해서는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같이, 레이들(12)은 지지체(67)의 좌우양쪽에서 대칭적으로 또는 중복지지된 상태로 경동하며, 회전지지축을 중심으로 하여 경동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레이들(12)용 회전지지구, 또는 경동지지기구는, 종래의 캔틸레버(cantllever)형또는 단일 지지기구보다 적은 강성(剛性)을 필요로 하므로 구성이 단순해진다.
또한, 레이들(12)가 내부프레임(14)으로부터 착탈이 자유롭도록 만들었기 때문에, 레이들(12)의 옆벽 및 기타 부분의 내화 재료를 교환하거나 수리할 때에도, 종래의 레이들을 유지하는 경우보다 훨씬 용이해진다.
또한, 지지체(67)는 각 지지체가 용기의 한쪽 끝단과 다른쪽 끝단에 있는 앞뒤 지지점에서만 레이들(12)과 접촉하고, 나머지 부분이 레이들의 외부 바닥으로부터 소정간격을 두도록 배치된다.
지지체의 구조 및 간격은, 레이들 내의 용탕열이 지지체(67)로 전도되는 것을 최소화 하기 때문에, 지지체의 열변형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한 바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구조의 횡출식 주탕장치는, 다음과 같은 장점을 제공한다.
즉, 본 발명에 의한 장치는 레이들의 츨탕구로부터 주형의 주탕컵으로 유입되는 용탕의 주탕유선을 변동시키지 않은채, 용탕을 주형내로 지속적으로 안정된 조전하에서 주당할 수 있으며, 언제라도 원활하고 확실하게 주탕을 중지할 수 있다.
또한, 2개의 유니트가 주조라인을 따라 설치되어도, 용탕은 지속적으로, 하나의 안전히 동일한 주탕 지점에서 주형내로 주탕될 수 있다.
이러한 배치는, 특히 고속 택트(tact) 운동하는 주조라인에서 채택될때 유용하다.
또한, 레이들이 지지체에 의하여 2개의 끝단 부분에서 중복 지지되므로, 어떠한 불균형 하중에도 불구하고 안정되게 경동될 수 있다.
또한, 경동 가능한 지지기구는, 종래의 기구와 같이 튼튼한 필요가 없으므로, 구조가 단순해진다.
더우기, 레이들이 장치로부터 착탈이 자유롭도록 만들어져 있기 때문에, 레이들의 가동에 따른 수리 및 기타 유지가 극히 용이하게 된다.

Claims (6)

  1. 회전축 주위로 경동하는 레이들(12)과, 상기 레이들(12)을 구동하는 구동수단(7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레이들(12)은, 용탕 수납공간(38)과, 상기 용탕 수납공간(38)에 연이어 통하도록 형성되며 옆쪽으로 연장된 용탕 안내통로(44)와, 회전축과 직각 방향으로 되어 상기 용탕 안내통로(44)와 연이어 통하는 출탕구(40)를 포함하고, 상기 용탕 안내통로(44)는. 상기 출탕구부분을 형성하는 용탕 안내바닥(46)을 가지고, 상기 안내바닥은 구부러져 그 만곡중심이 회전축과 거의 일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출식 주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들(12) 및 구동수단(70)과 상호 작용하며, 회전축과 일치하는 경동 중심주위로 상기 레이들을 경동시키는 지지체(67)와, 상기 구동수단(70) 및 지지체(67) 사이에서 경동력을 전달하는 수단을 더욱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출식 주탕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들(12)이 분리할 수 있게 장착되는, 상기 회전축 상에 위치한 베어링부재(60)와, 상기 지지체(67) 및 상기 레이들(12)을 분리할 수 있게 연결시키는 접속부재(69)를 더욱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출식 주탕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67)는 두개의 지지체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각 지지체의 제1끝단은 상기 베어링부재(60)에 연졀되며, 각 지지체의 제2끝단은 상기 접속부재(69)를 통하여 상기 레이들(12)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출식 주탕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각 지지체(67)는 레이들(12)내의 용융금속으로부터 지지체(67)로의 열전도를 최소한으로 하기에 층분한 거리만큼 레이들(12)의 바깥 둘레로부터 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출식 주탕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레이들(12) 및 지지체(67)가 장착되는 내부 프레임(14)과, 외부프레임(20), 및 상기내부프레임(14)이 로드셀(22)을 통해 상기 외부프레임(20)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출식 주탕장치.
KR1019870014981A 1986-12-27 1987-12-26 횡출식 주탕(橫出式 注湯)장치 KR95001448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1-310681 1986-12-10
JP61310681A JPH0783928B2 (ja) 1986-12-27 1986-12-27 横出し式注湯機
JP310681 1986-12-27
JP?62-199461 1987-08-10
JP199461 1987-08-10
JP62199461A JPS6444261A (en) 1987-08-10 1987-08-10 Pouring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7153A KR880007153A (ko) 1988-08-26
KR950014487B1 true KR950014487B1 (ko) 1995-12-02

Family

ID=265115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14981A KR950014487B1 (ko) 1986-12-27 1987-12-26 횡출식 주탕(橫出式 注湯)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4834272A (ko)
EP (1) EP0273733B1 (ko)
KR (1) KR950014487B1 (ko)
DE (1) DE3786071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0116548D0 (en) * 2001-07-06 2001-08-29 Mcp Equipment Moulding Equipment
WO2004018131A1 (es) * 2002-08-20 2004-03-04 Loramendi, S.A. Cuchara de colada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151683A (en) * 1937-05-12 1939-03-28 American Smelting Refining Method and apparatus for casting copper anodes
US2406147A (en) * 1944-05-09 1946-08-20 Kellogg M W Co Apparatus for producing metal
SE385796B (sv) * 1974-04-11 1976-07-26 Kockums Jernverks Ab Avgjutningsanordning
US4112998A (en) * 1975-10-22 1978-09-12 Fujiwa Kika Kabushiki Kaisha Pouring method and apparatus therefor
CH624594A5 (ko) * 1977-09-12 1981-08-14 Mezger Ed Maschinenfabrik & Ei
JPS60111759A (ja) * 1983-11-21 1985-06-18 Toyota Motor Corp 扇形注湯機の運転制御方法
SE453302B (sv) * 1984-10-16 1988-01-25 Asea Ab Anordning for skyddad slaggfri avtappning ur tippbar cylindrisk behalla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3786071T2 (de) 1994-01-27
DE3786071D1 (de) 1993-07-08
EP0273733A3 (en) 1990-03-21
KR880007153A (ko) 1988-08-26
US4834272A (en) 1989-05-30
EP0273733A2 (en) 1988-07-06
EP0273733B1 (en) 1993-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15586A (en) Continuous caster tundish having wall dams
KR19990081870A (ko) 연속주조장치의 용탕 공급장치
KR950014487B1 (ko) 횡출식 주탕(橫出式 注湯)장치
PT996517E (pt) Processo e dispositivo para controlar o movimento de uma panela de fundicao com altura de fundicao reduzida numa instalacao de fundicao
CA1097883A (en) Metal pouring ladle
CN113751700A (zh) 一种自动浇注机和控制方法
EP0518586B1 (en) Rotary nozzle
JP3361369B2 (ja) 自動注湯方法及び装置
JPH0783928B2 (ja) 横出し式注湯機
US587583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inuous casting using a rotating cylinder
CN220178145U (zh) 一种浇包装置
CN218192535U (zh) 一种炼钢模铸浇注装置
CN110026544A (zh) 倾斜推模式钢段铸造机
US3977579A (en) Apparatus for adjusting the operating position of casting vessels during the continuous casting of steel
JP2000272751A (ja) 水中鋳込コンベヤ
CN212384584U (zh) 一种自动浇注机
JP3651313B2 (ja) 真空誘導溶解炉を使用した回転急冷鋳造装置
JPH0323262B2 (ko)
CN219449818U (zh) 一种可摆转铝液除气机
CN213614116U (zh) 一种铁水浇注包装置
CN215508962U (zh) 一种保温浇包
SU852437A1 (ru) Конвейерна литейна машина дл ОТлиВКи чушЕК
JP2932713B2 (ja) 溶湯容器傾動装置
JPH08174199A (ja) 注湯取鍋
JP5569919B2 (ja) アーク溶解炉およびアーク鋳造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108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