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13405B1 - 화상판독장치 - Google Patents

화상판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13405B1
KR950013405B1 KR1019910017873A KR910017873A KR950013405B1 KR 950013405 B1 KR950013405 B1 KR 950013405B1 KR 1019910017873 A KR1019910017873 A KR 1019910017873A KR 910017873 A KR910017873 A KR 910017873A KR 950013405 B1 KR950013405 B1 KR 9500134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ading
document
transport roller
image
orig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178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09173A (ko
Inventor
가즈야 이주인
히로오 이찌하시
가쯔미 고리야마
요시까즈 사노
마고또 오구라
오사무 하마모도
데쯔야 시마다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야마지 게이조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270483A external-priority patent/JPH04148751A/ja
Priority claimed from JP02309487A external-priority patent/JP3135254B2/ja
Priority claimed from JP3022073A external-priority patent/JP3021059B2/ja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야마지 게이조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9200091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91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134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340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567Handling of original or reproduction media, e.g. cutting, separating, stacking
    • H04N1/0057Conveying sheets before or after scanning
    • H04N1/00588Conveying sheets before or after scanning to the scanning pos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24Details of scanning heads ; Means for illuminating the original
    • H04N1/028Details of scanning heads ; Means for illuminating the original for picture information pick-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567Handling of original or reproduction media, e.g. cutting, separating, stack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567Handling of original or reproduction media, e.g. cutting, separating, stacking
    • H04N1/0057Conveying sheets before or after scann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567Handling of original or reproduction media, e.g. cutting, separating, stacking
    • H04N1/0057Conveying sheets before or after scanning
    • H04N1/00599Using specific components
    • H04N1/00602Feed roll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567Handling of original or reproduction media, e.g. cutting, separating, stacking
    • H04N1/0066Aligning or positioning related to hand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567Handling of original or reproduction media, e.g. cutting, separating, stacking
    • H04N1/00665Details specific to handling of web-shaped media, e.g. paper or film rolls
    • H04N1/00676Cutting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화상판독장치
제 1 도는 원고화상판독장치의 개략단면도.
제 2 도는 원고화상판독장치의 개략사시도.
제 3a 도 내지 제 3c 도는 원고화상판독장치에 있어서의 원고운송상태도.
제 4 도는 본 발명을 구체화하는 팩시밀리 장치내의 광학판독시스템의 단면도.
제 5 도는 제 4 도에 도시된 광학판독시스템의 확대 단면도.
제 6 도, 제 8a 도 내지 제 8c 도, 제 9 도, 제 10도 및 제 13 도는 각각 본 발명의 원고화상판독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하는 개략단면도.
제 7 도, 제 12 도, 제 14 도, 제 15 도 및 제 16 도는 실시예를 각각 설명하는 개략사시도.
제 11 도는 본 발명의 원고화상판독장치의 제 4 실시예의 개략단면도.
제 17 도는 본 발명의 화상판독장치가 사용될 수 있는 팩시밀리 장치의 일예를 설명하는 개략블록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4a : 이송로울러 1105b : 판독라인
1106 : 가압수단 1106a : 쉬트
1110a : 중량부재 P,S : 원고
본 발명은 화상판독장치에 관하며, 보다 더 상세히는 원고서류의 화상정보를 광학적으로 판독하며, 팩시밀리장치, 이미 스캐너등과 같은 화상정보처리장치용으로 적합한 원고화상판독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년, 팩시밀리 장치, 이미스 스캐너 등과 같은 화상정보처리장치분야에 있어서는 소형화, 경량화 및 저렴화가 보다 더 강력하게 요구되어 왔다. 특히, 팩시밀리 장치의 경우에는, 소위 개인용의 가정 팩시밀리를 포함하는 시장의 화상에 따라 상기 요구조건이외에도 디자인 및 기능에 대한 다양한 요구조건들이 생겨났다.
원고서류의 화상정보를 광학적으로 판독하는 그와 같은 화상정보처리장치에 합체될 원고화상판독장치의 경우에는, CCD 및 축소광학시스템과 같은 라인센서를 사용하는 축소판독시스템 ; 원고의 폭과 동일한 길이의 라인센서와, 압축화이버렌즈 같은 등배- 확대 광학 시스템, 및 LED 어레이 같은 광원을 프레임내에 일체적으로 조립시켜 사용하는 접촉판독시스템 ; 및 원고화상은 직접 판독하기 위하여 원고에 밀착유지되는 라인센서와 렌즈어레이 없이 프레임내에 일체적으로 조립된 광원을 사용하는 완전 접촉판독시스템이 채용되어 왔다.
그와같은 화상판독장치의 예는 각각 단면도와 개략사시도인 제 1 및 제 2 도에 개략적으로 예시되어 있다.
여기에는, 원고(P)의 화상을 광학적으로 판독하는 라인센서(101) ; 상기 라인센서(101)을 향하여 원고 (P)를 한 장씩 분리 및 이송하기 위하여, 분리부재(111)와 쉬트이송로울러(112)로 구성된 자동 쉬트 이송유니트(113) ; 및 이송된 원고(P)를 라인센서(101)의 판독위치(104)에 접촉시키는 원고접촉수단으로 기능하며 상기 원고(P)를 운송시키는 원고운송수단으로도 기능하는 운송(가압)로울러(102)가 도시되어 있다.
그와같은 화상판독장치에 있어서는 라인센서의 판독라인으로부터의 원고의 부상이나 이 판독라인상에서의 원고의 이동의 결과에 기인하는 화상판독에서의 화상 번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운송(가압)로우러는 접촉센서의 판독부에 대향하여 구비되어 있고 이에 따라 원고를 상기 접촉센서의 판독라인과 밀접상태로 유지시킨다.
상기 운송(가압)로울러는, 원고를 접촉센서의 판독부의 판독라인과 밀접상태로 유지시키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고무재료로 제조되어 상기 판독부의 어떤 불규칙성에 관계없이 원고의 밀접을 달성시킨다.
또한, 상기 운송(가압)로울러의 표면은 원고의 화상정보판독을 위한 기준 색상을 결정하기 위하여, 원고의 화상정보의 판독 이전에 대개는 판독부에 의해 판독되며, 이 목적을 위해 상기 표면은 대개 백색이다.
따라서 백색고무로울러는 일반적으로 상기 운송(가압)로울러용으로 채용된다.
그러나, 원고운송수단 및 원고접촉수단의 기능은, 만약 화상판독장치에 있어서의 운송로울러에 의해 수행된다면, 하기 결점으로 귀착될 수 있다.
(1) 원고화상을 상기 라인센서에 의해 판독하기 위하여 원고를 라인센서와 밀접상태로 유지시키기 위하여는, 운송로울러가 라인센서 또는 원고의 판독폭 만큼 길어야만 한다. 따라서 운송력의 국부적인 불균일은 라인센서의 판독면의 평면성에 기인하며, 결국 원고의 비뚤어진 진행을 일으킨다.
(2) 라인센서의 판독면과의 접촉상태에 있어서 원고의 운송은 운송로울러를 구동시키는 모우터에 가해지는 부하를 증가시키며, 따라서 결국 상기 모우터내에 열 발생 제어이상으로 이어진다. 그러므로, 원고의 안정된 운송을 달성하기 위하여는, 대형 모우터가 필요하게 되는 데, 이는 장치의 원가절감, 콤팩트화 및 중량감소에 있어서 장애요인이 된다.
(3) 결과적으로 삐뚤어진 상태로 이송된 원고는 제 3a 도 내지 제 3c 도에 관한 하기내용에서 설명될 바와같이 운송과정에서 더욱더 삐뚤어지는 경향이 있다.
제 3a 도 내지 제 3c 도는 제 1 도 및 제 2 도에 도시된 화상판독장치의 개략평면도이며, 여기에서는 라인센서는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운송로울러(102)의 후방에 위치된다.
원고가 제 3a 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자동쉬트이송유니트(113) 내에서 삐뚤어진 상태로 이송될 때, 원고는 제 3b 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화살표로 표시되어 있는 자동쉬트이송유니트(113)의 운송력(a)에 의해 운송로울러(102)로 진행된다.
그러면, 원고(P)의 일부분이 제 3c 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운송로울러(102)와 라인센서와의 사이에 끼워짐에 따라, 상기 부분은 화살로 표시되어 있는 운송로울러(102)의 운송력(b)을 받는다. 일반적으로, 자동쉬트이송유니트(113)의 이송로울러(도시되어 있지 않음)의 주변속도는 운송로울러(102)의 주변속도보다 얼마간 더 작게 선택된다.
따라서, 화살표에 의해 표시된 부하(C)는, 주변속도에 있어서의 상기 차이 및 마찰부지에 의해 유발된 부하에 기인하여, 원고의 운송방향에 대향하는 방향으로 발생되며, 역시 화살표로 표시된 회전력(d)은 상기 운송력(b) 및 부하(c)에 의해 발생되며 따라서 원고(P)에 있어서 삐뚤어진 정도가 심화되는 원인이 된다.
반면에, 운송로울러와는 따로 압력로울러가 필요하면, 상기 압력로울러를 위치결정시키는 판독부상의 공간과, 상기 압력로울러를 운송로울러의 구동방향과 동일한 구동방향으로 구동시키기 위한 기어와 같은 드라이브시스템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이 필요하게 되므로, 장치의 전체높이는 불가피하게 증가한다.
또한, 장치의 전체높이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보다 더 작은 직경의 압력로울러가 채용되면, 압력로울러는 더욱 더 벤딩되므로, 판독부 및 가압로울러의 조립정밀도는 상기 판독부의 광원으로부터 방사되고 로울러 표면에 의해 반사되는 광을 판독부내의 광전변환장치에 확실하게 안내시키기 위하여 향상되어져야만 한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제조원가의 상승과 생산성 손실의 결과가 발생될 것이다.
게다가, 가압로울러는 판독부의 유리에 대하여 작은 마찰계수를 가지지만 확실한 운송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원고에 대하여 큰 마찰계수를 가질 필요가 있으며, 그와같은 요구조건을 만족시키는 재료를 선택하는 것이 어렵다.
전술된 바와 같이 화상기록장치의 소형화, 경량화 및 저렴화의 끊임없는 요구조건을 만족시키기 위하여는 아직도 다양한 기술적 문제가 남아있다.
전술한 내용을 고려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팩시밀리 장치, 이미지 센서, 컴퓨터, 워드 프로세서 복사기 등과 같은 다양한 화상정보처리장치용으로 적합하며, 콤펙트하고 경량이며 저렴한 화상판독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원고를 삐뚤어진 방향으로 운송함이 없이, 간단한 구도로 원고화상을 판독할 수 있고 원고화상판독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위치 결정 및 원고운송이 어려운 접촉형 화상센서를 포함하는 경우에도 용이하게 취급할 수 있는 원고화상판독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정보처리장치와 용이하게 제거 및 결합되는 원고화상판독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장치의 전체높이의 감소가 가능하고, 반사광을 판독부에 안내하기 위하여 고조립정밀도를 필요로 하지 않으며, 가압수단용 재료의 용이한 선택을 가능하게 하는 화상판독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목적은 삐뚤어진 진행, 가격상승 및 예컨대 모우터의 크기증가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며 근년들어 요구되는 크기 중량 및 가격에 있어서의 감소를 달성할 수 있도록 하는 화상판독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프레임을 일체적으로 위치시키고 유니트 구조를 채용함으로써 원고판독에 관한 성분의 조립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화상판독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화상정보처리장치의 다양한 모델용으로 적합가능하도록 상기 유니트를 표준화시킴으로써 설계, 평가 및 생산작업량을 현저하게 감소시키고 이에 따라 장치의 총원가감소를 가능하게 하는 화상정보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게다가,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콤펙트한 경량유니트로서 형성되어 있으며, 이에따라 화상정보처리장치에 있어서의 레이아웃을 용이하게 하고 그 설계에 있어서의 자유도를 증가시킬 수 있는 화상판독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특별한 훈련, 기능 또는 도구없이도 조작자에 의해 용이하게 대체가능하며, 이에 따라 화상정보처리장치내의 화상판독장치의 결함 또는 기능장애가 용이하게 보수될 수 있는 화상판독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가요성 쉬트와 상기 가요성 쉬트를 가압하는 가요성 부재와 상기 가요성 부재를 가압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원고가압수단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원고를 판독수단과 밀접상태로 유지시키는 화상판독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있어서, 원고를 가압하는 가압수단은 보다 더 평편한 구도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장치의 전체높이가 감소될 수 있다.
또한 가압수단의 표면을 판독수단에 의해 판독함에 있어서는, 상기 표면이 평편하기 때문에, 가압수단으로서 소직경의 백색 고무로울러를 채용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보면, 가압수단의 표면으로부터 판독수단으로 반사된 광을 안내하기 위하여, 고조립정밀도가 요구되지 않는다.
게다가, 가압수단은 운송기능이 있기 때문에, 가압 및 운송수단으로서 기능하는 백색로울러의 경우와는 달리, 원고 또는 기록수단에 대한 마찰계수가 고려될 팰요가 없다. 이 때문에, 가압수단에 대한 재료선택이 용이하게 될 수 있다.
가요성 쉬트는 폴리에스터 필름가 같은 유기수지필름으로 구성될 수 있는 반면에, 상기 가요성 쉬트를 가압하기 위한 가요성 부재는 예컨대 고무스폰지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가요성 부재를 가압하는 수단은 예컨대 그 중량에 의해 압력을 가하는 중량부재(weight) 또는 스프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원고를 광원으로 조사시키고 상기 원고로부터 반사되는 광이 입사하는 라인센서와 같은 판독수단과 상기 원고를 접촉 또는 실질적 접촉상태로 유지시킴으로써 화상정보를 판독하며 여기에서 라인센서의 판독부는 원고운송로울러의 닙(nip)의 외부에 그리고 상기 닙의 원고이송측내에 위치되어 있고 원고 접촉수단은 상기 판독부에 구비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크기, 중량 및 원가의 감소가 실현될 수 있는 화상판독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실시예 1]
본 발명의 화상판독장치가 팩시밀리 장치에 적용된 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이후에 설명될 것이다.
제 4 도는 전체 팩시밀리장치의 단면도이며, 제 5 도는 상기 팩시밀리장치의 광학판독시스템의 확대단면도이다.
제 4 도 및 제 5 도에 관련하여, 주몸체(1001)로부터 상부우측방향으로 비스듬하게 뻗어있는 원고트레이(1101)가 복수의 원고(S) 적층을 지지할 수 있다. 주몸제(1001)의 상부면에는 상기 원고트레이(1101)로부터 운송된 원고(S)의 화상정보판독용 광학판독시스템(1100)이 구비되어 있다.
주몸체(1001)의 하단 좌측부에는 기록수단을 구성하는 써멀헤드(1201) 및 커터(1203)를 포함하고 있는 기록시스템(1200)이 구비되어 있다. 광학판독시스템(1100)의 상부면에는 도시되지 않은 조작패널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광학판독시스템(1100)은 원고트레이(1101)상에 적층된 원고(S)를 분리부재(1102) 및 압력접촉하에 유지된 분리로울러(1103)에 의하여 하나씩 분리시키고, 그 원고를 아이들러 로울러(1104b)와 접촉상태로 유지된 이송로울러(1104a)에 의해 접촉화상센서(1105)의 화상판독위치로 운송시키며, 압력수단(1106)에 의해 상기 원고(S)를 상기 접촉화상센서에 가압함으로써 상기 원고(S)의 화상정보를 판독한 뒤, 이후 원고(S)를 방출아이들러 로울러(1107b)와 접촉하여 유지된 방출로울러(1107a)에 의해 기록 커버상으로 방출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접촉화상센서(1105)에 있어서, 광원을 구성하는 LED(1105a)는 원고(S)의 정보-지지면을 조사하며 접촉화상센서(1105)의 원고운송면측상에 광수용부를 가지고 있는 광전변환장치(1105b)는 상기 정보지지면에 의해 반사된 광을 수용하며, 이에 의해 전기신호의 형태로 있는 화상정보를 판독한다.
획득된 정보를 팩시밀리 모우드로 다른 장치의 길고 유니트에 전송되며, 또는 카피모우드로 이 장치의 기록유니트에 전송된다.
원고(S)의 상부면을 안내하기 위한 상부 원고안내부재(1108)를 포함하고 있는 상부 유니트는 축(1109)에 대하여 회전함으로써 개방될 수 있으며, 이에 눌려 찌그러진 원고의 제거 또는 접촉화상센서 또는 ADF(자동서류 이송기)의 유지를 쉽게 한다.
원고 트레이(1101)상에는, 상기 트레이(1101)상에 적층된 원고(S)의 측가장자리를 정렬시키기 위하여 원고(S)의 운송방향에 수직인 방향, 즉, 원고(S)의 횡방향으로 활주가능한 슬라이더(1101a)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기록시스템(1200)에는 써멀헤드(1201)가 상기 접촉화상센서(1105) 또는 외부로부터 전송된 화상신호에 의해 구동되며, 이에 의해 상기 써멀헤드(1201)의 도시하지 않은 열발생소자가 상기 화상신호에 대응하는 열을 발생시킨다.
상기 써멀헤드(1201)는 뒤쪽으로부터 기록쉬트(S') 쪽으로 스프링(1204)에 의해 가압된다. 플래튼로울러(1202)는 화상신호와 동기하여 회전되며, 이에 의해 화상정보는 상기 기록쉬트(S')는 소정위치에 기록된다.
써멀헤드(1201)에 의해 기록을 완성했을 때, 기록쉬트(S')는 플래튼로울러(1202)에 의해 바람직한 양만큼 전진되며, 커터(1203)에 의해 절단된다.
절단후, 기록쉬트(S')는 다시 그 전방끝이 써멀헤드(1201)의 기록위치에 가까이 올때까지 플래튼로울러(1202)에 의해 역전되며, 따라서 기록작동이 완성된다.
팩시밀리 모우드에 있어서 화상기록을 이 장치의 접촉화상센서(1105)로부터의 화상신호 대신에 다른 팩시밀리장치로부터 전송된 화상신호로 처리된다.
다음에는 확대단면도인 제 5 도를 참조하여 광학판독시스템(1100)이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가압수단(1106)은 원고접촉부재로서 기능하는 가요성쉬트(1106a) 및 한 끝에 정방향-U형상 단면부를 가진 금속부재(1106b)로 구성되어 있으며, 나사(1106c)로 상부 원고안내부재(1108)상에 고정된다.
가요성 쉬트(1106a)를 폴리에스테르필름과 같은 가요성 필름 또는 판형상부재로 구성되며, 원고(S)를 접촉화상센서(1105)의 판독라인(광전변환소자 ; 1105b)상으로 가압한다.
상기 가요성 쉬트(1106a)의 표면은 그것이 원고(S)의 화상정보판독에 있어서 기준색상데이타를 제공하기 위하여 접촉화상센서(1105)에 의해 판독되기 때문에 백색이 바람직하며, 또는 얇은 원고 또는 투명원고를 판독하는 경우에 배경색상을 또한 제공한다. 가요성 쉬트(1106a)의 배면은 판독위치에 대응하는 면적내에서 고무스폰지(1110b) 맞은편 중량부재(110a)에 접착된다.
상기 중량부재(1110a)는 굽은 금속판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그 한끝은 상부 원고 안내부재(1108)와 수직 이동가능하게 맞물린다. 중량부재(1110a) 및 고무스폰지(1110b)는 중심에서 화상판독위치로 10mm의 폭에 걸쳐 압력을 가하는 크기로 되어 있다.
상기 가요성 쉬트(1106a)는 상기 판독라인(1105b)에 대향하는 중앙부에서 블록형상으로 다소 돌출해 있으며, 이에 의해, 상기 상부원고안내부재(1108)의 중심에서 내측으로 수직 이동하게 하고 판독라인(1105b)에 평행하게 위치된 중량부재(1110a)는 상기 중앙부상에 효과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중량부재(1110a)는 약 40그램인 것이 선택된다. 중량부재(1110a)와 가요성 쉬트(1106a)와의 사이에 위치된 고무스폰지(1110b)는 전체표면에 걸쳐 상기 언급된 무게의 작용하에서 0.5내지 1mm의 변형을 보일정도의 경도(굳기)가 바람직하다.
접촉화상센서(1105)에 이 실시예에서와 같이 단초점렌즈가 없을때, 초점심도는 약 50μm로 제한된다.
접촉화상센서의 판독라인(1105b)의 평탄성이 ±150μm의 변동을 갖는다면 단지 강성의 중량부재에 의해 만족스런 접촉을 달성하기는 사실상 어렵다. 그러나 강성중량부재(1110a) 가요성 쉬트(1106a)와의 사이에, 압력방향으로 탄성을 나타내는 고무스폰지(1110b)의 존재는 중량부재(1110a)의 증가효과와 가요성 쉬트(1106a)의 탄성에 기인하여 열등한 표면평탄도의 접촉화상센서상에서도 들어올림없이 원고의 만족스러운 접촉을 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판독라인(1105b)상에서, 원고(S)의 화상-지지면은 LED( 1105a)으로부터의 광에 의해 조사되며, 상기 화상지지면으로부터 반사된 광은 광전변환소자(1105b)내에 도입되어 원고(S)의 화상정보의 판독을 달성한다.
이 방식으로, 압력로울러(백색고무로울러)를 대체시킨 가요성 쉬트(1106a)는 상기 압력로울러의 중량보다 더 낮은 중량으로 판독라인(1105b)과 접촉하여 있는 원고(S)를 유지시키며, 압력수단(1106)을 플래터형태로 실현시키며, 이에 의해 전체기기의 총높이를 감소시킨다.
또한 원고(S)로부터의 화상정보판독용 기준색상데이타를 얻기 위한 목적으로 가요성 쉬트(1106a)의 표면을 판독함에 있어서, 곡률이 소직경의 압력로울러에 있어서와 같이 크지 않기 때문에 가요성 쉬트(1106a)에 반사된 광을 접촉화상센서의 광전변화소자(1105b)로 안내하는데 조립의 높은 정밀도를 요구하지 않는다.
더욱이, 중량부재(1110a)와 가요성 쉬트(1106a)와의 사이의 고무스폰지(1110b)의 존재는 상기 센서에 단초점렌즈가 없어서 제한된 초점심도를 가질지라도 그리고 판독위치(1105b)의 평판도가 좋지 않을지라도, 접촉화상센서(1105)의 판독위치(1105b)에 대하여 원고의 화상-지지면을 확고하게 가압하게 한다.
또한 압력수단(1106)은 원고(S)를 운송시키는 기능을 하지 않기 때문에 가요성 쉬트(1106a)에 대한 재료선택이 더욱 용이하며 운송로울러가 또한 압력로울로서도 기능하는 경우와 비교할 때 더 큰 자유도를 갖는다.
상기 설명에 있어서, 써멀헤드는 기록시스템(1200)의 기록수단으로서 채택되지만, 잉크제트기록 또는 정전기 기록과 같은 다른 기록시스템이 마찬가지로 사용가능하다.
잉크제트기록시스템중에서, 잉크에 버블을 형성시킴으로써 잉크를 방출시키는방법이 잉크제트기록헤드 또는 기록유니트의 중량감소 및 컴팩트화에 특히 적합하며,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크기 및 중량의 감소를 성취하는데 효과적이다.
본 실시예는 팩시밀리에 적용하여 설명하였지만, 복사기 또는 다른 화상판독장치에도 또한 당연히 적용가능하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는 중량부재(1110a), 고무스폰지(1110b) 및 가요성 쉬트(1106a)가 상호 접착되어 있지만 그 유사한 효과는 이 성분들을 상호분리상태로 결합함으로써 획득될 수 있다.
[실시예 2]
다음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제 6 도는 본 발명의 화상판독장치의 제 2 실시예의 개략단면도이며, 제 7 도는 그 개략사시도이다.
제 6 도 및 제 7 도를 참조하면, 원고(P)의 화상판독용라인센서(201) ; 원고(P)운송용 운송로울러(202) ; 원고(P)를 라인센서(201)의 판독위치(204)와 접촉시키는 원고접촉부재(203) ; 및 분리부재(211)와 이송로울러(212)의 결합으로 구성된 자동쉬트이송유니트(213)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원고접촉부재(203)는 라인센서(201)와 원고이송유니트(213)의 측면에 있는 운송로울러(202)와의 사이의 접촉점(205)의 밖에 위치되며, 운송로울러(202)의 닙 바깥쪽에 위치되어 있다.
라인센서(1)상에서 접촉부재(203)와 운송로울러(202) 사이의 거리는 판독위치(204)에서의 원고접촉부재(203)와 운송로울러(202)가 상호 방해하지 않을 정도에서 결정된다. 자동쉬트유니트(213)의 운송력은 원고로 사용되는 용지의 질의 변경에 따라 통상 일정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상기 거리는 가능한 짧은 것이 바람직하며, 실제로 2내지 5mm의 거리가 합당하다.
운송로울러(202)는 에틸렌-프로필렌고무, 클로로프렐고무 또는 실리콘으로 구성될 수 있다. 원고접촉부재(203)는 폴리에스테르, 폴리에틸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나일론 또는 플로오르처리수지와 같은 가요성 부재, 또는 알미늄박 또는 티타늄박과 같은 금속박으로 편리하게 구성된다. 원고접촉부재(203)의 두께는 그것이 사용된 재료에 의해 어느정도 결정되더라도 0.1mm 또는 그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요성 부재(203)는 한 끝에서 접착 또는 고정나사에 의해 지지부재(206)에 고정되며, 다른 한 끝에서 가요성 부재 자체의 탄성 또는 중량으로 라인센서(201)의 판독위치(204)와 접촉한다.
상기 실시예들은 다음과 같은 이점을 제공할 수 있었다 :
(1)운송로울러(202)가 단지 원고의 운송에만 기능하기 때문에, 상기 로울러의 고무부분은 짧게 될 수 있었으며, 이에 의해 라인센서의 판독면의 평탄도의 영향을 감소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했으며 안정된 원고운송을 달성시켰다. 또한 상기 평탄도의 조절이 용이했기 때문에 원가절감이 촉진될 수 있었다 :
(2) 원고운송기능 및 원고접촉기능이 상이한 부재로 분리되었기 때문에, 원고이송에 요구되는 압력과 원고를 라인센서와 접촉시키는데 요구되는 압력이 최소화될 수 있었다. 따라서, 라인센서의 표면상의 불균일성을 완화하기 위하여 운송로울러(202)를 변형시키는데 요구된 압력이 더 이상 요구되지 않았다. 따라서, 모우터상의 부하가 감소될 수 있었으며, 그것은 크기 및 모우터의 원가를 절감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였다.
(3) 쉬트가 비뚤어져 공급된 경우에도 비뚤어진 쉬트 진행은 거의 발생되지 않았다.
제 8a 도 내지 제 8c 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개략 평면도이며, 여기에서 본 도면에 도시된 않는 라인센서는 이송로울러(202) 뒷편에 위치되어 있다. 원고(P)가 제 8A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비뚤어진 위치로 공급될 때, 상기 원고(P)의 전방끝은 원고접촉수단(203)에 충돌하여 운송기능을 결여시키며, 이에 의해 제 8b 도에서 화살표로 지시한 바와같이 저항력(e)을 발생시킨다.
자동이송유니트(213)는 화살표로 지시된 이송력(a)을 발휘하여, 상기 저항력(e)과 협력하여 화살표로 지시된 그리고 원고(P)의 위치를 고정시키는데 기능하는 회전력(d)을 발생시키며, 이에 의해 원고(P)는 적절한 위치로 복귀된다.
상기 저항력(e)이 원고 전방끝 전체에 걸쳐 분포될 때, 상기 이송력(a)은 저항력(e)을 극복하여 원고를 운송로울러(202)로 이송시킨다.
제 8c 도에 관련하여, 운송로울러(202)가 짧게 제작되어서, 자동이송유니트(213)의 부하(c)와 운송로울러(202)의 운송력(b)과의 사이의 회전력이 거의 발생되지 않는다. 따라서, 원고의 비뚤어짐 자체의 운송이 달성될 수 있었다.
비뚤어진 진행은 운송로울러(202)의 고무부분의 중심을 주주사방향에서 자동원고이송유니트(213)의 중심과 도시되어 있지 않은 라인센서의 유효판독길이의 중심과 정렬시킴으로써 또한 방지될 수 있었다.
(4) 원고접촉수단(203)은 얇은 용지, 투명 쉬트 또는 좁은 폭을 가진 원고를 판독하는 경우에 바람직하지 않은 영향을 피하기 위하여 판독위치의 적어도 한 부분이 백색으로 제작되었다. 또한 다단계 화상판독에 기준 화이트칼라가 제공될 수 있었다. 더 상세하게는, 라인센서(201)의 출력은 예컨대 원고접촉수단(203)의 화이트영역의 반사율을 기준으로하여 비트의 단위로 상기 출력을 기억함으로써 전기적으로 교정될 수 있다.
상기 화이트 영역은 원고접촉수단(203) 자체를 백색재료로 구성함으로써, 또는 원고와 직면하는 수단(203)의 표면상에 백색인쇄 또는 도색에 의해 형성될 수도 있다. 더욱이, 유사한 효과가 투명한 원고접촉수단(203)의 상기 원고에 대향하는 표면상에 상기의 인쇄 또는 도색에 의해 또한 획득할 수 있었다.
[실시예 3]
제 9 도는 본 발명의 화상판독장치에 제 3 실시예의 개략 단면도이며, 여기에서 원고접촉수단은 가요성 부재(203)와 스프링(207)으로 구성되어 있다.
가요성 부재(203)는 고무 또는 스폰지, 또는 구조적으로 탄성을 보이는 부재로 구성된다. 압력수단으로서 기능하는 스프링(207)은 유사한 만족도를 가지고 실시예 1에서와 같은 중력으로 대체될 수 있었다.
또한 본 실시예는 실시예 2에서와 같은 유사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었다.
[실시예 4]
제 10 도는 본 발명의 화상판독장치의 제 4 실시예의 개략 단면도이며, 여기에서 운송로울러(202)는 라인센서(201) 외부에 구비되어 있다. 백업아이들러로울러(208)는 운송로울러(202)로 가압되며 운송로울러(202)와 협력하여 원고를 끼움으로써 원고(P)를 운송하는 기능을 한다. 원고가압수단은 제 6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가요성 부재(203)를 채용한다. 또한 본 실시예는 제2실시예와 같은 우수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었다.
[실시예 5]
제 11 도는 본 발명의 화상판독장치의 제 5 실시예의 개략적 단면도인데, 여기에서 라인센서(201)의 판독평면과 운송로울러(202) 사이의 마찰계수보다 작은 마찰계수를 갖춘 부재(210 : 이하 슬라이딩 부재라 함)가 제 6 도에 도시된 제 2 실시예의 운송로울러(202)에 구비되어 있다. 라인센서(201)의 판독평면은 통상 유리로 구성되어 있으며, 슬라이딩 부재(210)는 바람직하게 불소 수지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슬라이딩 부재(210)는 프린팅, 코팅 또는 접착에 의해서 형성될 수 있으며 판독 평면 이외의 원고의 진행을 방해하지 않는 한 라인센서(201)의 케이싱부분과 같은 다른 부분에 구비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실시예의 장점에 부가하여 접촉점(5)에서 원고(P)가 없을 때 조차도 경부하로 운송로울러(202)를 구동하는 장점을 얻을 수 있어서, 동력 소비의 감소 및 모우터의 소형화가 효과적으로 달성될 수 있다.
[실시예 6]
제 12 및 13 도는 본 발명의 화상판독장치의 제 6 실시예를 예시하는데 여기에서 제 6 도에 도시된 장치는 프레임에 일체의 유니트로 구성되어 있다. 분리부재(211)는 도시되지 않은 부재에 의해 지지되며, 프레임(209)에 고정된다. 상기 프레임(209)은 라인센서(201), 분리부재(211), 이송로울러(212 ), 운송로울러(202) 그리고 원고접촉수단(203)을 일체로 지지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정보처리장치의 조립 및 화상판독장치의 분리는 예를들어 정보처리장치로부터 역기능의 경우, 특별한 기술없이 그리고 특수한 공구없이 인력으로 교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니트 구조는 정보처리장치의 설계 및 조립에 관한 원가를 감소시키며, 이것에 의해 감소된 원가로 이러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도시되지 않았지만 구동력 전달수단은 물론 복수의 기어 타이밍 벨트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실시예 7]
제 14 도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판독장치의 다른 실시예로서 제 6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원고화상판독장치를 프레임내에 일체를 통합함으로써 유니트내에 구성되는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분리 스트립(211)은 도시되지 않은 부재에 의해서 지지되며, 프레임(209)에 체결돠어 있다. 프레임(209)은 라인센서(201), 분리스트립(211), 용지이송로울러(212), 운송로울러(202) 그리고 원고접촉수단(203)을 일체로 지지하는 구조를 갖추고 있다.
용지이송로울러(212) 및 운송로울러(202)는 장치몸체(예를들면 팩시밀리장치의 전송수단을 포함하는 전체적인 구조)내에 구비된 구동력원으로부터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력 전달수단으로서 이용되는 4개의 기어장치(214)에 의해 피구동된다. 따라서 단일 모우터에 의해 용지이송로울러(212) 및 운송로울러양자는 피구동 될 수 있다.
제 15 도는 제 8 도에 도시된 유니트와 장치몸체의 결합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유니트(200)는 화살표(AA)와 평행하게 가이드(259,262)를 따라 운동한다. 더욱 긴 가이드(259)의 끝에 스토퍼가 구비되어 있다. 짧은 가이드(262)의 끝에 스토퍼로서 역시 작용하는데 커넥터(260)가 구비되어 있다. 커넥터(260)는 유니트(200) 의 측면에 단일 터미널과 전기적으로 연결을 위해 구비되어있다.
단일 터미널(263)은 라인센서(201)의 구동신호, 라인센서로부터의 화상신호, 기준신호를 전달하는 라인들을 포함하고 있고 커넥터(260)로 계산에 의해서 와이어링(261)을 통해 장치몸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어서, 서로 제어가능하게 된다.
장치몸체측의 프레임(258)에 부재(259∼262)가 체결되어 있고, 모우터(257)는 측벽상에 구동원으로서 구비되어 있다. 모우터(257)는 기어장치(256)로 구비되어 있고 이것은 결합 유니트(200)에서 기어장치(251)와 맞물려, 구동력이 기어장치(251)를 통해 유니트측에 기어장치(214)에 전달된다. 이렇게 전달된 구동력에 의해서 로울러(202,212)가 회전한다. 기억장치(251)는 아암(252)상에 장착되고, 측벽상에 고정된 축(225)에 대하여 회전가능하며, 화살표(BB)방향으로 부재(225)에 대하여 피봇가능하다. 유니트(200)가 장착되지 않을 때, 아암(252)은 스프링(254)에 의해서 하향으로 가압된다. 그리고 하부위치에서 스토퍼(253)가 구비되어 아암(252 ; 제 15 도)의 피봇운동을 한정한다.
다음, 제 16 도는 유니트(200)가 몸체 프레임(252)과 완전히 결합된 상태로 도시하고 있다.
유니트가 전달기어장치(214) 사이에서 화살표(AA ; 제 15 도)를 따라 운동하면, 용지이송로울러(212)의 축상에 구비된 기어장치(214-1)는 기어장치(251)와 결합된다. 기어장치(214-1)에 의해서 기어장치(251)가 가압부(CC)에 대하여 상향으로 밀어져서, 구동돌력원의 기어장치(256)에 맞물린다.
더욱이 유니트(200)를 이동시킴에 따라 동시에 스토퍼(259,260)의 제한운동으로 커넥터(260)에 의힌 전기연결은 달성된다.
이때, 기어장치(214-1,251,256)는 서로 정합된다 (제 16 도).
이러한 구조로 인해 유니트안에 장착된 화상판독장치는 쉽게 또한 견고하게 결합 및 분리될 수 있다. 더욱이, 모우터와 같은 구동원이 장치의 한쪽에 있으므로, 유니트의 원가는 절감될 수 있다.
다수의 부재를 유니트에 장착함에 있어서 이들 부재의 내구력이 필요하지 않으며, 이에따라 전체크기 및 중량을 감소시킨다. 유니트(200)와 장치몸체 사이의 전기연결은 유니트(200)에 제공된 신호터미날(263)에 의해서 달성되고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따른 장치몸체에 있는 커넥터(260)에 대응한다.
하지만, 터미널 및 커넥터는 각각 몸체 및 유니트에 제공될 수 있다. 더욱이, 동시에 결합하고 있어서, 이들 사이에서 전기연결이 달성되는 한편 유니트의 결합 및 전기연결은 별개로 2개의 작용상태로 될 수 있다. 구동원으로서 모우터는 유니트내에 장착되며, 모우터를 구동하는 동력원으로 커넥터를 경유하여 동력을 공급한다.
기계적 연결 및 전기연결은 검출수단에 의해서 감사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 마이크로 스위치 등에 의한 아암(252)의 하나 또는 두 개의 검출피봇위치에 의해서 또한 전기연결부를 경유한 전기신호전달에 의해서 검사될 수 있다. 물론, 연결을 다른 부에서 마이크로 스위치 또는 전기검출에 의해서 검사되는 것은 가능하다.
[실시예 8]
제 7 도는, 개략 블록 다이어그램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화상판독장치를 가진 팩시밀리의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원고(P)를 원고화상판독장치(300) 안으로 삽입함에 따라, 또한 전송작동을 개시함에 따라, 구동원(393)에 의해서, 이 원고판독장치(300)가 운송로울러를 회전시켜 원고를 운송하며, 라인센서에 의해서 화상정보를 판단한다. 이 정보는 전기신호로서 제어수단(90)의 기억부내에 저장된다.
더욱이, 전송되도록 전송수단을 통하여 연결된 외부회로(394)와 함께 끝에 연결됨에 따라, 기억부내의 화상신호는 전송수단을 경유하여 전송된다.
한편, 상기 실시예에서는 다양한 타입의 화상판독장치가 팩시밀리 전송에 사용하기 위하여 도시되었으며, 각각의 경우에, 확실한 정보전송이 얻어질 수 있다.
더욱이, 기록수단(392)은 기록 매체상에 전송된 화상정보를 기록한다. 기록수단과 같은, 써멀헤드 잉크기록헤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발명의 이점]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이 상승 또는 이동없이 판독수단의 판독부의 폐쇄 접촉하여 원고서류를 유지하기 위하여 가요성 쉬트로 이루어진 가압수단의 사용을 특징으로 하고 있으며, 여기에서 가압수단은 편평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그러므로 장치의 전체높이는 감소될 수 있다.
또한 가압수단이 편평하므로, 만곡된 표면을 구비한 종래의 가압수단의 경우와 비교하여 볼 때, 반사된 광을 판독부로 안내하기 위하여 고정밀의 조립제가 요구되지 않는다.
또한, 가압방향으로 가요성 부재가 접촉을 개량하기 위하여 가압수단을 구성하는 가요성 쉬트와 중량부재 사이에 삽입되어, 본 발명의 화상판독장치가 초점이 제한된 깊이로 인해 접촉화상센서로 사용될 수 있다.
더욱이 가압수단 그 장체가 운송기능을 행하여, 그 재질의 선택이 종래의 가압로울러의 경우에 비해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더욱이 본 발명의 화상판독장치는 비뚤어진 전진, 높은 가결 및 모우터의 큰 치수가 해결되어 특히 최근에 요구되는 치수, 중량 및 원가로의 절감을 얻게 되었다. 더욱이, 구성요소를 프레임내에 일체로 내포하고 있는 유니트 구조는 원고화상판독에 대한 구성요소의 조립정밀성을 개량시켰다.
또한, 상기 유니트는 설계, 검토 및 제조를 포함한 작업을 크게 감소시키기 위하여 화상정보처리장치의 다양한 모델로 표준화 및 통합되었으며, 이에 따라 이러한 장치의 전체가각감소를 달성하였다.
더욱이, 상기 화상판독장치가 컴팩트 및 경량의 유니트로 실현됨에 따라, 화상정보처리내의 레이아웃은 간편하게 되었으며 설계의 자유도가 확대되었다.
더욱이, 화상정보처리장치내에 통합된 화상판독장치의 결함 또는 기능부전의 경우에, 이러한 고장은, 특별한 훈련, 기술 또는 공구없이 조작자에 의해서 유니트의 간단한 교체로 수리될 수 있다.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컴팩트하고 경량이고 저렴한 화상판독장치를 제공하며, 이것을 팩시밀리, 화상센서, 컴퓨터, 워드프로세서, 복사기 등과 같은 다양한 화상처리장치에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으나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 및 정신내에서 다양한 변경을 이룰수 있다.

Claims (54)

  1. 원고의 화상정보를 판독하는 판독수단을 포함하는 화상판독장치에 있어서, 상기 판독수단의 판독폭보다 더 좁은 운송부로 이루어지는 하류방향으로 원고를 운송하는 운송로울러 ; 와 상기 판독수단에 비해 상기 운송로울러의 원고 운송위치의 상류인 위치에 위치되는 가요성 쉬트, 상기 가요성 쉬트를 가압하는 가요성 부재 및 상기 가요성 부재를 가압하는 수단으로 이루어지는 원고가압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판독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가요성 부재 가압용 상기 수단은 중량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가요성 부재 가압용 상기 수단은 스프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가요성 부재 가압용 상기 수단은 고무스폰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가요성 부재는 가요성 쉬트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가요성 부재는 실질적으로 평평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가요성 부재는 유기수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가요성 부재는 적어도 일부는 백색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9. 판독수단, 하류방향으로 원고를 이송시키고 상기 판독수단의 판독 폭보다 더 좁은 운송로울러, 와 상기 판독수단에 비해 상기 운송로울러의 원고운송위치의 상류인 위치에 위치되는 가요성 쉬트, 상기 가요성 쉬트를 가압하는 가요성 부재와 상기 가요성 부재를 가압하는 수단으로 이루어지는 화상판독장치 ; 상기 화상판독장치로 운송될 원고를 지지하는 원고적층 유니트 및 작동패널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기록수단으로 구성되는 기록유니트로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유니트는 기록수단과 기록재료절단용 커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수단은 써멀헤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수단은 잉크제트 기록헤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잉그제트 기록헤드는 열에너지를 사용하는 잉크방출방법에 기초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5. 원고를 적어도 실질적으로 판독수단과의 접촉을 유지하고, 상기 원고를 광원으로 조사하고, 상기 원고에 의해 반사된 광을 상기 판독수단으로 유도함으로써 화상정보를 판독하는 화상판독장치에 있어서, 상기 판독수단의 판독부분이 원고운송로울러 닙의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판독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원고접촉수단은 가요성의 필름형상부재로 구성되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원고접촉수단은 상기 판독수단쪽으로 탄성적으로 가압되는 탄성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8.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원고운송로울러는 상기 판독수단의 판독면과 접촉상태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9. 제 18 항에 있어서, 자동원고이송장치, 상기 판독위치 및 상기 운송로울러는 원고운송방향으로 이송측으로부터 방출측까지 이 순서대로 위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이송장치의 이송로울러 중심을 원고운송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결하며 또한 상기 원고운송로울러의 중심을 원고운송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결하는 라인은 그 주 주사방향으로 상기 판독수단의 유효판독길이의 중심의 통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1.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원고접촉수단의 적어도 일부는 백색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2. 제 18 항에 있어서, 마찰계수가 상기 원고운송로울러와 판독수단의 판독면 사이의 마찰계수보다 작은 슬라이딩 부재는 상기 원고운송로울러에 의해 접촉된 위치내에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3. 제 15 항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자동원고이송유니트, 상기 판독수단, 상기 원고운송로울러 및 상기 원고접촉수단은 일체로 프레임내에 구비되어 유니트 구조를 구성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4.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원고운송로울러와 상기 원고접촉수단 사이의 거리는 2mm 내지 5mm의 범위내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5. 제23항에 있어서, 전기 터미널 또는 커넥터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6. 원고를 조사하는 광원과 상기 원고에 의해 반사된 광을 수광함으로써 화상정보를 판독하는 판독수단으로 이루어지고, 여기서 상기 판독수단의 판독부분은 원고이송로울러의 닙의 외부와 상기 원고의 이송측에 위치되고, 원고접촉수단은 상기 판독부분에 제공되며 원고운송로울러는 상기 판독수단의 폭보다 더욱 좁은 폭을 갖는 화상판독장치 ; 상기 화상판독장치로 운송되어져야 할 원고를 지지하는 원고적층장치 ; 및 작동패널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처리 장치.
  27. 제 26 항에 있어서, 기록수단으로 구성되는 기록 유니트로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8.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유니트는 기록수단과 기록재료절단용 커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9.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수단은 써멀헤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0.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수단은 잉크제트 기록헤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1.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잉트제트 기록헤드는 열에너지를 사용하는 잉크방출방법에 기초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2.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판독장치를 상기 정보처리장치와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전기터미날 또는 커넥터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더 구성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3.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판독장치의 장착을 검출하는 검출수단으로 더 구성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4.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판독장치는 상기 정보처리장치로부터 상기 운송로울러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전달 수단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5. 광은 화상판독수단의 판독부에 밀접된 원고에 조사되며, 상기 원고에 의해 반사되어 상기 판독부상에 입사되는 광은 원고상이 화상을 판독하는데 사용되며, 상기 판독부는 원고 공급측에 또한 원고운송로울러의 닙 외부에 배열되어 있는 화상판독장치에 있어서, 원고를 상기 판독부어 대해 접촉시키는데 사용되는 원고접촉수단, 및 상기 원고운송로울러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상기 장치의 외부로부터 전달하는데 사용되는 구동력, 전달수단으로 구성되며 상기 원고운송로울러는 상기 판독수단의 폭보다 더욱 좁은 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판독장치.
  36.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접촉수단은 필름형상을 갖는 가요성 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7.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접촉수단은 상기 화상판독수단에 대해 탄성적으로 가압되는 가요성 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8.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원고운송로울러는 상기 화상판독수단의 판독부의 면과 동일면에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9. 제 38 항에 있어서, 용지 공급측으로부터 용지 방출측쪽으로 자동용지 공급장치, 상기판독부 및 상기 운송로울러가 이 순서대로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0. 제 39 항에 있어서, 원고운송방향에 수직한 방향인 상기 자동용지 공급장치의 용지공급로울러 중점을 원고운송방향에 수직한 방향인 상기 원고운송로울러 중점과 연결하는 직선은 상기 화상판독수단의 수 주사방향으로 유효원고판독길이의 중점을 통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1.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원고접촉수단의 적어도 일부는 백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2. 제 38 항에 있어서, 판독면과 원고운송로울러와의 사이의 마찰계수보다 더 작은 마찰계수로 갖는 슬라이딩 부재로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3. 제 35 항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자동용지공급수단, 상기 화상판독수단, 상기 원고운송로울러 및 상기 원고접촉수단을 하나의 유니트로서 프레임내에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4. 제 43 항에 있어서, 전기터미날 및 커넥터중의 적어도 하나로 더 구성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5.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원고운송로울러와 상기 원고접촉수단사이의 거리는 2mm 내지 5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쉬트는 상기 판독수단이 원고를 판독하는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7. 제 1 항에 있어서, 원고는 상기 판독수단의 판독면의 부분에 접촉되어 운송되며, 판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판독수단은 접촉형 판독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9.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쉬트는 상기 판독수단이 원고를 판독하는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0. 제 9 항에 있어서, 원고는 상기 판독수단의 판독면의 부분에 접촉되어 운송되며, 판독면에서 판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판독수단은 접촉된 판독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2. 제 15 항에 있어서, 원고운송로울러는 판독수단의 폭보다 더욱 좁은 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3. 제 26 항에 있어서, 원고운송로울러는 판독수단의 폽보다 더욱 좁은 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4. 제 35 항에 있어서, 원고운송로울러는 판독수단의 폭보다 더욱 좁은 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19910017873A 1990-10-11 1991-10-11 화상판독장치 KR95001340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270483A JPH04148751A (ja) 1990-10-11 1990-10-11 画像読取装置
JP90-270483 1990-10-11
JP90-309487 1990-11-14
JP02309487A JP3135254B2 (ja) 1990-11-14 1990-11-14 原稿画像読取装置
JP3022073A JP3021059B2 (ja) 1991-02-15 1991-02-15 原稿画像読取装置
JP91-22073 1991-02-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9173A KR920009173A (ko) 1992-05-28
KR950013405B1 true KR950013405B1 (ko) 1995-11-08

Family

ID=272837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17873A KR950013405B1 (ko) 1990-10-11 1991-10-11 화상판독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EP (1) EP0480418B1 (ko)
KR (1) KR950013405B1 (ko)
AT (1) ATE169788T1 (ko)
DE (1) DE69129961T2 (ko)
DK (1) DK0480418T3 (ko)
ES (1) ES2121762T3 (ko)
MY (1) MY109762A (ko)
TW (1) TW21999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67435B2 (ja) * 1992-12-24 2000-07-17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読取用光電変換装置及び該装置を有する画像処理装置
JP3315061B2 (ja) 1997-07-30 2002-08-19 日本ボールドウィン株式会社 印刷紙面等の内容読取判別装置
KR20000032746A (ko) * 1998-11-17 2000-06-15 윤종용 스캐너의 원고 이송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82002135A1 (en) * 1980-12-10 1982-06-24 Xerox Co Ltd Fuji Thermal printing type copy machine
JPS57154264A (en) * 1981-03-18 1982-09-24 Ricoh Co Ltd Original conveyor
JPS58138167A (ja) * 1982-02-12 1983-08-16 Ricoh Co Ltd 画像読み取り装置
JPS604368A (ja) * 1983-06-21 1985-01-10 Sharp Corp 光学読取装置
US4768100A (en) * 1983-07-22 1988-08-30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processing apparatus
FR2589021B1 (fr) * 1985-10-21 1996-03-29 Ricoh Kk Lecteur-enregistreur integre
JPS63107362A (ja) * 1986-10-24 1988-05-12 Sharp Corp 画像読取装置
JPS63117552A (ja) * 1986-11-06 1988-05-21 Canon Inc 画像読取装置
JPS63133538U (ko) * 1987-02-23 1988-09-01
US4939541A (en) * 1988-04-13 1990-07-03 Minolta Camera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JP2684681B2 (ja) * 1988-06-02 1997-12-03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読取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129961D1 (de) 1998-09-17
ATE169788T1 (de) 1998-08-15
TW219990B (ko) 1994-02-01
DK0480418T3 (da) 1999-02-15
EP0480418B1 (en) 1998-08-12
EP0480418A2 (en) 1992-04-15
DE69129961T2 (de) 1999-03-18
ES2121762T3 (es) 1998-12-16
MY109762A (en) 1997-06-30
EP0480418A3 (en) 1993-04-07
KR920009173A (ko) 1992-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61571A (en) Image reading device
US6995880B2 (en) Image reading apparatus
US5610731A (en) Image scanner having contact-type image sensor movable under automatic document feeder
US5526141A (en) Original image reading apparatus having device for conveying an original at a position deviated from an original reading position of a contact-type reading sensor
TW384623B (en) Image reading apparatus
US7973985B2 (en) Scanning device
US5621544A (en) Image reading device and image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CA2044345C (en) Scanner with document and copy sheet registration means
JP3524311B2 (ja) 画像読取装置及び画像記録装置
KR950013405B1 (ko) 화상판독장치
JP3535650B2 (ja) 画像読取装置
JP3021059B2 (ja) 原稿画像読取装置
US4855759A (en) Laser scanning with an elastic nip roller
JP2709164B2 (ja) 光学式読取装置
JP2009253877A (ja) 原稿自動読み取り装置
JP2001358900A (ja) 画像読取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H05103165A (ja) 原稿読取装置
JPH0724845Y2 (ja) 画像読取装置
JP3119423B2 (ja) 原稿読取装置
JP2022087910A (ja) 画像読取装置
JPH02305169A (ja) 画像読取装置
JPH04180342A (ja) 原稿画像読取装置
JP3870998B2 (ja) 原稿読取り装置
JPH09270884A (ja) 画像読取装置
JPH04266259A (ja) 読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023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