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12661B1 - 영상신호의 ee 레벨 조정회로 - Google Patents

영상신호의 ee 레벨 조정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12661B1
KR950012661B1 KR1019920025902A KR920025902A KR950012661B1 KR 950012661 B1 KR950012661 B1 KR 950012661B1 KR 1019920025902 A KR1019920025902 A KR 1019920025902A KR 920025902 A KR920025902 A KR 920025902A KR 950012661 B1 KR950012661 B1 KR 9500126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l
signal
video signal
voltage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259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17722A (ko
Inventor
목도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김광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김광호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200259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12661B1/ko
Publication of KR9400177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177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126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266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14Picture signal circuitry for video frequency reg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7/00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for television systems or their details
    • H04N17/06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for television systems or their details for record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icture Signal Circuits (AREA)
  • Control Of Amplification And Gain Control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영상신호의 EE 레벨 조정회로
제 1 도는 종래 방법에 따른 영상신호의 EE 레벨 조정회로도.
제 2 도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신호의 EE 레벨 조정회로도.
제3(a)도∼제3(g)도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신호의 EE 레벨 조정회로의 동작파형도.
제 4 도는 제 2 도의 오차검출기의 구체회로도.
제 5 도는 제 2 도의 전압제어 증폭기의 구체회로도.
본 발명은 영상신호 처리용 집적회로에 내장되어 있는 영상신호의 EE (Electronic-to-Electronic) EE조정회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출력되는 영상신호의 EE을 집적회로 내부에서 자동으로 조정할 수 있는 영상신호의 EE 레벨 조정회로에 관한 것이다.
최근, VCR(Video Cassette tape Rocorder)신호처리용 집적회로에 있어서 소비전력을 최소화하고, 칩(chip)의 면적을 줄이면서 여러 기능들을 집적시키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상기 기능들중 EE 모드는 일반적으로 VCR 세트의 생산 과정에서 영상신호 입력에 대해 일정한 영상신호를 출력하는가를 모니터링하는 것이다. 상기 모니터링 결과 영상신호의 출력이 규정치와 다르면 영상신호의 EE 레벨을 조정하여야 한다.
제 1 도는 종래 방법에 따른 영상신호의 EE 레벨 조정회로(1)의 블럭도이다.
영상신호의 EE 레벨 조정회로(1)는 영상신호입력단(11), 자동이득제어증폭기(13), 자동이득제어검출기(15), 전압조정기(17), 궤환클램프(19), 의사동기신호발생기(21), 영상신호증폭기(23) 및 영상신호출력단(25)을 포함한다.
상기 영상신호입력단(11)은 자동이득제어증폭기(13)와 접속되어 있다. 상기 자동이득제어증폭기(13)는 상기 자동이득 제어검출기(15)에서 발생되는 오차전압에 의해 영상신호입력단(11)을 통해 VTR의 외부단자 또는 안테나(도시되지 않음)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신호의 레벨을 조정한다. 상기 자동이득제어검출기(15)는 상기 자동이득제어증폭기(13)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의 레벨과 규정레벨을 비교하여 검출된 오차전압을 상기 자동이득 제어중폭기(13)로 궤환시킨다. 즉, 상기 자동이득제어검출기(15)는 상기 제어이득증폭기(13)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의 레벨과 규정레벨을 비교하여 오차가 발생되면, 가변저항기로 이루어지며 칩의 외부에 있는 전압조정기(17)에 의해 상기 영상신호를 상기 규정레벨과 일치되도록 오차전압만큼 조정하고, 이 조정된 오차 전압을 상기 자동이득제어증폭기(13)로 궤환시킨다. 그러므로, 자동이득제어증폭기(13)는 상기오차전압에 따라 영상신호입력단(11)으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신호의 이득을 조정하여 출력한다.
상기 자동이득제어검출기(15)는 저역필터(27), 클램프(29), 증폭기(31), 클램프(33), 동기신호분리회로(35), 지연회로(35) 및 오차전압검출기(39)로 이루어진다. 상기 저역필터(27)는 상기 자동이득제어증폭기(13)에서 레벨이 조정된 영상신호로부터 휘도신호를 분리하여 통과시키고, 상기 클램프(29)는 상기 휘도신호의 동기신호선단들의 레벨을 일정하게 일치시킨다. 상기 증폭기(31)는 상기 동기신호분리회로(35)에서 정상적인 동기신호를 분리할 수 있도록 상기 자동이득제어증폭기(31)에서 레벨이 조정된 영상신호를 증폭하고, 상기 클램프(33)는 상기 증폭된 영상신호의 동기신호선단들의 레벨을 일정하게 일치시킨다. 또한, 상기 동기신호분리회로(35)는 상기 클램프(33)에서 출력된 영상신호로부터 동기신호를 분리하고, 상기 지연회로(37)는 상기 동기신호의 주기를 소정시간 지연시킨다. 상기 오차전압검출기(39)에서 상기 클램프(29)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의 백포치(back porch)와 상기 지연회로(37)에서 출력되는 소정시간 지연된 동기신호 일치되는 부분에서 발생되는 키드펄스(keyed pulse)를 적분한 레벨을 규정 레벨과 비교한다. 상기에서 키드펄스를 적분한 레벨은 상기 자동이득제어증폭기(13)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의 레벨과 일치한다. 따라서, 적분된 키드펄스의 레벨이 상기 규정레벨과 일치하지 않으면 상기 전압조정기(17)로 적분된 키드펄스의 레벨을 변화시켜 오차를 조정하여 규정된 레벨과 일치시키며, 상기 오차전압검출기(39)는 적분된 레벨을 조정한 전압값을 상기 자동이득제어증폭기(13)로 출력한다. 따라서, 상기 자동이득제어증폭기(13)는 상기 영상신호 입력단(11)을 통해 입력되는 영상신호를 오차전압에 의해 레벨조정하여 출력한다.
상기 궤환클램프(19)는 상기 자동이득제어증폭기(13)에서 출력된 영상신호의 동기신호선단들의 레벨이 동일한 전위를 갖도록 일치시킨다. 상기 의사동기신호발생기(21)는 검색 또는 정지화면등의 특수기능시 상기 궤환클램프(19)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에 의사수직 및 의사수평 의사동기신호를 실어주는 것으로, EE 모드시에는 상기 궤환클램프(19)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와 동일한 영상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영상신호증폭기(23)는 상기 의사동기신호발생기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증폭하여 영상신호출력단(25)을 통해 TV로 출력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영상신호의 EE 레벨 조정회로는 자동이득제어검출기(15)에서 자동이득제어증폭기(13)로부터 출력되는 영상신호의 레벨과 규정레벨을 비교하며, 오차를 검출하고, 칩의 외부에 있는 전압조정기(17)에 의해 영상신호의 레벨을 오차 만큼 조정하여 규정레벨과 일치시킨다. 그러므로, 상기 자동이득제어검출기(15)는 조정된 전압값을 발생하고, 자동이득제어증폭기(13)는 상기 제어신호를 궤환시켜 이득을 조정하여 영상신호 입력단을 통하여 입력되는 영상신호가 규정된 레벨로 출력되도록 한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기술은 영상신호의 출력레벨을 조정하기 위하여 전압조정기를 사람이 직접 조정하므로 생산성이 감소되고 불량률 및 인건비에 의한 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칩의 외부에 있는 전압조정기에 의해 온도 및 전원전압등의 변화 또는 전기적특성이 균일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영상신호의 출력레벨을 자동으로 조정할 수 있는 영상신호의 EE 레벨 조정회로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균일한 전기적 특성을 가지는 영상신호의 EE 레벨 조정회로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입력단과, 영상신호를 입력하여 영상신호를 출력하는 자동이득제어증폭 수단과, 상기 자동이득제어증폭 수단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의 동기신호선단들의 레벨을 일치시켜 동일한 전위를 갖도록 하는 궤환클램프 수단과, 상기 궤환클램프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에 특정 모드시 의사동기신호를 실어주고 EE 모드시 상기 클램프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출력하는 의사동기신호 발생수단과, 상기 의사동기신호 발생수단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의 레벨을 자동으로 조정하여 규정레벨을 가지는 영상신호를 출력하는 레벨 자동조정 수단과, 상기 EE 레벨 자동조정 수단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증폭하는영상신호 증폭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제 2 도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신호의 EE 레벨 조정회로(55)의 블럭도이다.
상기 영상신호의 EE 레벨 조정회로(55)는 영상신호입력단(11), 자동이득제어증폭기(13), 자동이득제어검출기(15), 궤환클램프(19), 의사동기신호발생기(21), EE 레벨 자동조정기(41), 영상신호증폭기(23) 및 영상신호출력단(25) 을 포함한다.
상기 영상신호입력단(11)은 VTR의 외부단자 또는 안테나(도시되지 않음)로부터 영상신호를 입력하는 것으로 자동이득제어증폭기(13) 접속되어 있다.
상기 자동이득제어증폭기(13)는 상기 자동이득제어검출기(15)에서 검출된 영상신호의 레벨에 의해 상기 입력되는 영상신호를 조정하여 레벨이 다르더라도 일정한 크기를 가지는 영상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자동이득제어검출기(15)는 종래의 자동이득제어검출기와 동일하게 구성되며 상기 자동이득제어증폭기(13)에서 검출되는 상기 영상신호의 레벨은 상기 자동이득제어증폭기(13)로 궤환시킨다.
상기 궤환클램프(19)는 상기 자동이득제어증폭기(13)에서 출력된 영상신호의 동기신호선단들 레벨을 일치시켜 동기신호선단들이 동일한 전위를 갖도록 한다.
상기 의사동기신호발생기(21)는 검색 또는 정지화면둥의 특수기능시 상기 궤환클램프(19)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에 의사동기신호를 실어 주는 것으로, EE 모드시에는 상기 궤환클램프(19)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와 동일한 영상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EE 레벨 자동조정회로(41)는 상기 의사신호동기 발생기(21)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의 레벨을 자동으로 조정하여 영상신호증폭기(23)로 완전한 규정 레벨을 갖는 영상신호을 출력한다.
상기 EE 레벨 자동조정회로(41)는 전압제어증폭기(43), 저역필터(45), 클램프(47), 오차검출기(49), 정전압발생기(51) 및 게이트펄스발생기(53)를 포함한다. 상기 전압제어증폭기(43)는 상기 오차검출기(49)로부터 입력되는 오차전압에 의해 상기 의사동기신호 발생기(21)에서 출력된 영상신호의 이득을 제어하여 규정치의 영상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저역필터(45)는 상기 전압제어증폭기(43)에서 출력된 영상신호에서 휘도신호만을 통과시키고, 상기 정전압발생기(51)는 온도 및 전원등의 변화에 대하여 일정한 동기신호선단 및 페네스탈 레벨의 직류전압들을 발생한다. 상기 클램프(47)는 상기 저역필터(45)에서 출력되는 휘도신호의 동기신호선단을 상기 정전압발생기(51)에서 출력되는 직류전압에 일치시켜 출력하고, 상기 게이트펄스발생기(53)에서 영상신호의 레벨과 페데스탈 레벨(pedestal level)의 오차를 검출하기 위한 게이트 펄스를 발생한다. 상기 오차검출기(49)는 상기 게이트펄스가 '로우(LOW)'상태일 때 페데스탈 레벨의 직류신호와 휘도신호의 레벨을 비교하여 오차전압을 전압제어증폭기(43)로 출력한다.
상기 영상신호증폭기(23)는 상기 EE 레벨 자동조정회로(41)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증폭하여 영상신호출력단(25)을 통해 TV로 출력한다.
제3(a)도∼제3(g)도는 본 발명에 다른 영상신호의 EE 레벨 조정회로(55)의 동작파형도이다.
제 3(a)도∼제3(g)도의 파형도를 참조하여 영상신호의 EE 레벨 조정회로(55)의 동작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영상신호입력단(11)을 통해 자동이득제어증폭기(13)에 영상신호가 입력되면, 이 자동이득제어중폭기(13)는 상기 자동이득제어검출기(15)에서 검출된 영상신호의 레벨에 의해 레벨이 다르더라도 일정한 크기를 가지는 영상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자동이득제어검출기(15)는 상기 자동이득제어증폭기(13)에서 검출되는 영상신호의 레벨을 자동이득제어 증폭기(13)로 궤환시킨다.
상기 궤환클램프(19)는 자동이득제어증폭기(13)에서 출력된 영상신호의 동기신호선단들의 레벨이 동일한 전위를 갖는 제 3(a) 도의 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의사동기신호발생기(21)는 상기 궤환클램프(19)에서 출력된 신호와 동일한 신호를 전압제어 증폭기(43)로 출력한다.
상기 전압제어증폭기(43)는 오차검출기(49)로부터 입력되는 오차전압에 따라서 신호의 이득을 제어하여 상기 의사 동기신호발생기(21)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신호의 레벨을 조정한다. 상기 저역필터(45)는 상기 전압제어증폭기(43)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신호에서 제 3(b) 도와 같이 휘도성분의 신호를 분리하여 상기 클램프(47)로 출력한다. 또한, 상기 정전압발생기(51)는 상기 휘도신호의 동기신호선단 레벨을 한정하기 위해 온도 및 전원등의 변화에 대하여 일정한 직류 레벨을 가지는 제 3(c) 도와 같은 신호를 상기 클램프(47)로 출력한다. 그러므로, 상기 클램프(47)는 상기 제 3(b) 도 및 제 3(c) 도와 같은 신호들에 의해 동기 신호선단레벨이 동일한 전위를 가지는 제 3(d) 도와 같은 신호를 오차검출기(49)로 출력한다. 또한, 상기 정전압발생기(51)에서 상기 클램프(47)에서 출력되는 제 3(d) 도의 신호가 규정치의 레벨을 가지는가를 판단하기 위한 일정한 직류레벨을 가지는 제 3(e)와 같은 신호를 발생하여 오차검출기(49)로 출력한다.
상기 게이트펄스 발생기(53)는 상기 전압제어증폭기(43)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신호의 칼라 버스트(color burst) 신호가 있는 페데스탈 기간동안 동기신호신단 레벨에서 페데스탈 레벨까지의 레벨검출을 하기 위해 제 3(f) 도와 같은 펄스를 발생하여 오차검출기(49)로 출력한다. 상기에서 오차검출기(49)는 정전압발생기(51)로부터 입력되는 제 3(e) 도의 직류레벨에 의해 클램프(47)로부터 입력되는 제 3(d) 도의 휘도신호 레벨이규정레벨과 일치하는가를 판단한다. 그리고, 상기 휘도신호 레벨이 규정레벨과 일치하지 않을 때 상기 게이트펄스발생기(53)로부터 입력되는 제 3(f) 도의 펄스신호가 '로우'상태에서만 오차를 검출한다.
그러므로, 상기 전압제어증폭기(43)는 상기 오차검출기(49)로부터 입력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신호의 이득을 조절하여 상기 의사동기신호발생기(21)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신호의 레벨을 조정하여 출력한다.
상기 영상신호증폭기(23)는 상기 전압제어증폭기(43)로부터 출력되는 레벨이 조정된 영상신호를 입력시켜 규정치로 증폭시켜 제 3(g) 도와 같은 영상신호를 출력한다.
제 4 도는 제 2 도의 오차검출기(49)의 구체회로도이다. 상기 오차검출기(49)는 정전류원(61), 상기 게이트펄스발생기(53)로부터 제 3(f) 도의 펄스 신호를 입력시켜 이 펄스신호가 '로우'상태일 때만 동작하는 제어부(65), 상기 클램프(47)로부터 상기 제 3(d) 도의 휘도신호와 상기 정전압발생기(51)로부터 제 3(e) 도의 페데스탈 레벨의 직류신호를 입력시켜 휘도신호와 규정레벨이 일치하는가를 비교하는 비교부(63), 상기 비교부(63)에서 비교된 전압에 의해 휘도신호와 규정레벨의 오차전압을 검출하는 검출부 (67)로 이루어진다.
상술한 오차검출기(49)는 비교부(63)에 입력단(I1)을 통해 정전압발생기(51)에서 출력되는 제 3(e) 도의 페데스탈 레벨의 직류신호가 입력되며, 입력단(I2)를 통해 클램프(47)에서 출력되는 제 3(d) 도의 휘도신호가 입력된다. 또한, 제어부(65)에 입력단(I3)을 통해 게이트펄스발생기(53)에서 출력되는 제 3(f) 도의 게이트펄스가 입력된다.
상기 입력단(I3)을 통해 입력되는 게이트펄스가 '하이'상태이면 모스트랜지스터(M3)가 '온'되어 상기 비교부(63)를 동작시키지 않으며, 이때 모스트랜지스터(M4)를 통해 캐패시터(C1)에 충전된 전압이 기준전압이 된다.
그러나, 입력단(I3)을 통해 입력되는 게이트펄스가 '로우'상태이면 모스트랜지스터(M3)가 '오프'되어 비교부(63)를 동작시킨다. 상기에서 모스트랜지스터(M3)가 '오프'상태이면 트랜지스터(Q5)는 '온'되어 콜렉터에 일정한 전류가 흐르게 된다. 상기 트랜지스터(Q5)의 콜렉터 전류는 트랜지스터들(Q3)(Q4)의 콜렉터전류들의 합으로 이루어지는데, 입력단들(I1)(I2)을 통해 입력되는 직류신호와 휘도신호의 레벨 차이에 의해 이 트랜지스터들(Q3)(Q4)의 콜렉터 전류들의 크기가 변하게 된다. 상기에서 트랜지스터들(Q3)(Q4)의 콜렉터 전류들의 크기가 변하게 되면 모스트랜지스터(M4)(M5)의 드레인 전류를 변화시켜 캐패시터(C1)의 충전전압을 변화시킨다.
상기에서 입력단들(I1)(I2)을 통하여 입력되는 직류신호와 휘도신호의 레벨이 동일하다면 트랜지스터들(Q2)(Q4)의 콜렉터전류가 동일하게 되어 모스트랜지스터(M4)(Ms)의 채널 깊이를 동일하게 한다. 상기 모스트랜지스터(M5)의 채널깊이가 증가함에 따라 저항(R6)를 통해 모스트랜지스터(M5)에 흐르는 전류의 양이 증가하게 된다. 그러므로, 전류 미러(current mirror)를 이루는 트랜지스터들(Q6)(Q7)의 베이스 전류를 증가시켜 저항(R5)을 통해 흐르는 전류중 트랜지스터(Q7)로 흐르는 전류의 양을 증가시킨다. 상기에 모스트랜지스터(M5)를 흐르는 증가량은 트랜지스터(Q7)를 흐르는 전류의 증가량과 비례한다. 따라서, 모스트랜지스터(M4)를 흐르는 전류는 증가하지 않게 되어 캐패시터(l)의 충전전압을 기준전압으로 유지시켜 출력단(Q1)을 통해 전압제어발진기(43)로 출력한다.
또한, 상기 입력단(I1)을 통해 입력되는 직류신호가 입력단(I2)을 통해 입력되는 휘도신호보다 레벨이 높다면 모스트랜지스터(M5)를 통하여 흐르는 전류의 증가량이 작게 된다. 그러므로, 저항(R5)을 통해 흐르는 전류중 트랜지스터(Q7)로 흐르는 량이 작아지게 되어 모스트랜지스터(M4)로 흐르는 전류의 양이동 증가하게 되며 캐패시터(C1)의 충전전압이 기준전압보다 높게 되어 출력단(O1)을 통해 전압제어증폭기(43)로 출력하다.
그리고, 상기 직류신호보다 휘도신호의 레벨이 높다면 상기와 반대로 되어 캐패시터(C1)의 충전전압을 기준전압보다 낮게 유지시켜 출력단(C1)의 충전전압을 기준전압보다 낮게 유지시켜 출력단(O1)을 통해 전압 제어증폭기(43)로 출력한다. 상기에서 출력단(O1)을 통해 전압제어증폭기(43)로 출력되는 전압은 입력단들(I4)(I5)의 전압레벨에 의해 범위가 한정되어진다. 즉, 상기 입력단들(I4)(I5)에서의 전압이 V14및 V15이면 출력단(O1)에서의 전압(V1)의 범위는
V14-VBE8〈V1〈V15+VBE9
이 된다. 상기에서 VBE8은 트랜지스터(Q8)의 베이스-에미터 전압이고, VBE9는 트랜지스터(Q9)의 베이스-에미터전압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오차검출기(49)는 입력단(I3)를 통해 입력되는 게이트펄스가 '로우'상태일 때 입력단(I1)을 통해 입력되는 페데스탈의 직류신호와 입력단(I2)를 통해 입력되는 휘도신호의 레벨 비교에 의해 오차를 검출하여 출력단(O1)을 통해 전압제어증폭기(43)로 출력한다.
제 5 도는 제 2 도의 전압제어증폭기(43)의 구체회로도이다.
상기 전압제어증폭기(43)는 이상동신호발생기(41)로부터 영상신호에서 고주파 성분의 노이즈를 제거하는 입력부(71), 상기 오차검출기(49)로부터 입력되는 오차전압에 의해 상기 고주파 성분의 노이즈가 제거된 영상신호의 레벨을 변화시켜 이들을 조정하는 제어부(73), 상기 이들이 조정된 일정한 레벨로 영상신호를 증폭하는 증폭부(75), 상기 일정한 레벨로 증폭된 영상신호를 완충시켜 영상신호 증폭기로 출력하는 출력버퍼(77) 및 바이어스부(81)를 구비한다.
상기 입력부(71)로 입력단(I11)을 통해 이상동기신호 발생기(41)로부터 영상신호가 입력되면 캐패시터(C11)에 의해 고주파 성분의 노이즈를 제거하고 트랜지스터(Q13)을 통해 제어부(73)에 출력한다. 또한, 상기 입력부(71)는 저항(R14)의 양단에 걸리는 일정 전압에 의해 직류성분의 신호가 제어부(73)에 출력한다. 또한, 상기 입력단(I12)을 통해 상기 오차검출기(49)에서 검출된 오차전압이 저항(R30)을 통해 트랜지스터(Q28)의 베이스에 입력되어 이 트랜지스터(28)을 '온'시킨다. 상기에서 상기 오차 전압은 가변하는 것으로 상기 트랜지스터(Q28)의 콜렉터 전류를 가변시키며, 이에 따라 트랜지스터들(Q22)(Q27)의 콜렉터 전류를 가변시킨다. 그러므로, 상기 트랜지스터들(Q19)(Q20)의 트렌스컨덕턴스(transconductance ; gm)가 변하게 된다. 이때, 상기 트랜지스터(Q19)의 트랜스컨덕턴스 gm(Q19)=∂IC19/∂VBE19가 된다. 상기에서 ∂I19는 트랜지스터(Q19)의 콜렉터 전류의 미소 변화량이고, ∂VBE19는 트랜지스터(Q19)의 베이스-에미터 사이 전압의미소변화량이다.
또한 상기 트랜지스터(Q20)에 대한 트랜스콘덕턴스도 동일하게 표현될 수 있다. 상기 트랜지스터들 (Q19)(Q20)의 트랜스컨덕턴스들이 변함으로써 저항(R21)과 트랜지스터(Q19)의 역트래스컨덕턴스(=1/gm,Q19)에 의해 전달되는 영상신호의 레벨이 변하게 된다. 상기 전달되는 영상신호의 레벨변화에 따라 상기 트랜지스터(Q23)의 콜렉터 전류도 변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트랜지스터(Q25)의 콜렉터 전류는 일정하므로 상기 트랜지스터(Q23)의 콜렉터 전류의 변함에 따라 트랜지스터(Q24)의 콜렉터 전류도 변한다. 또한, 상기 트랜지스터(Q23)가 영상신호에 의해 구동되므로 콜렉터에 영상신호에 대한 전류가 흐르게 되며, 따라서 트랜지스터(Q24)의 콜렉터에서 영상신호가 흐르게 된다. 그러므로, 트랜지스터(Q24)의 콜렉터에는 일정한 이득을 가지는 영상신호가 발생되며, 이 영상신호는 트랜지스터들(Q29)(Q30)(Q31) 및 저항들(R31)(R32)로 이루어진 출력버퍼를 통하여 출력단(O11)에서 영상신호증폭기(25)로 출력된다.
상기에서 칩의 내부 또는 외부에서 발생되어 입력단(I13)을 통해 입력되는 정전류신호에 의해 바이어스부(81)는 항상 동작하게 된다. 또한, 모스트랜지스터들(M12)(M13) 및 트랜지스터들(Q17)(Q18)은 회로를 안정시키기 위한 잔류제한부(79)를 이룬다.
상술한 바와 같이 칩의 외부에 있는 전압조정기에 의하지 않고 EE 레벨 자동조정회로에 의해 게이트퍼스의 '로우'상태일때 페데스탈 레벨의 직류신호와 휘도신호의 레벨을 비교하여 오차발생시 입력되는 영상신호의 이득을 조정하여 원하는 영상신호를 출력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영상신호의 출력레벨이 자동조정되므로 제조공정이 줄어들어 생산성이 향상되고 생산비가 절감되는 잇점이 있다. 또한, 영상신호의 출력레벨을 회로적으로 조정하므로 온도 및 전원전압 등의 변화에도 균일한 전기적 특성을 가지는 잇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

Claims (6)

  1. 영상신호를 입력시키는 입력단과 ; 영상신호를 입력하여 영상신호를 출력하는 자동이득제어증폭 수단과 ; 상기 자동이득제어증폭 수단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의 동기신호선단들의 레벨을 일치시켜 동일한 전위를 갖도록 하는 궤환클램프 수단과 ; 상기 궤환클램프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에 특징 모드시 의사동기신호를 실어주고, EE 모드시 상기 클램프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출력하는 의사동기신호 발생수단과 ; 상기의사동기신호 발생수단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의 레벨을 자동으로 조정하여 규정레벨을 가지는 영상신호를 출력하는 EE 레벨 자동조정 수단과 ; 상기 EE 레벨 자동조정 수단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증폭하는 영상신호 증폭 수단을 구비하는 영상신호의 EE 레벨 조정회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이득제어증폭 수단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의 레벨을 검출하여 상기 자동이득제어증폭 수단에 궤환시키는 자동이득제어검출수단을 더 구비한 영상신호의 EE 레벨 조정회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이득제어증폭 수단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는 레벨이 다르더라도 일정한 크기를 갖는 영상신호의 EE 레벨 조정회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EE 레벨 자동조정 수단은, 상기 의사동기신호 발생수단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의 레벨을 제어신호에 의해 조정하는 전압제어증폭기와 ; 상기 레벨이 조정된 영상신호에서 휘도신호를 분리하는 저역필터와 ; 상기 영상신호의 동기신호선단 및 페데스탈 레벨을 한정하는 직류 전압들을 발생하는 정전압발생기와 ; 상기 휘도신호의 동기신호선단들의 레벨을 일치시켜 동일한 전위를 갖도록 하는 클램프와 ; 상기 휘도신호의 레벨과 상기 페데스탈 레벨의 오차를 검출하기 위한 게이트펄스를 발생하는 게이트펄스발생기와 ; 상기 게이트펄스가 일정상태일 때 상기 휘도신호의 레벨과 상기 페데스탈 레벨을 비교하여 오차에 의한 상기 제어신호를 전압제어증폭기를 출력하는 오차검출기를 구비하는 영상신호의 EE 레벨 조정회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오차검출기는, 정전류원과 ; 상기 게이트펄스가 상기 일정상태일 때 동작하는 제어부와 ; 상기 휘도신호의 레벨과 페데스탈 레벨이 일치하는가를 비교하는 비교부와 ; 상기 비교부에서 비교된 전압에 의해 오차전압을 검출하여 이에 의한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검출부를 구비하는 영상신호의 EE 레벨 조정회로.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제어증폭기는, 상기 이상 동기신호발생기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신호에 고주파 성분의 노이즈를 제거하는 입력부와 ; 상기 오차 검출기로부터 입력되는 오차전압에 의해 상기 노이즈가 제거된 영상신호의 이득을 변화시켜 이득을 조정하는 제어부와 ; 상기 이득이 조정된 영상신호를 일정한 레벨로 증폭하는 증폭부와 ; 상기 증폭된 영상신호을 완충시켜 출력하는 출력버퍼를 구비하는 영상신호의 EE레벨 조정회로.
KR1019920025902A 1992-12-28 1992-12-28 영상신호의 ee 레벨 조정회로 KR9500126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25902A KR950012661B1 (ko) 1992-12-28 1992-12-28 영상신호의 ee 레벨 조정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25902A KR950012661B1 (ko) 1992-12-28 1992-12-28 영상신호의 ee 레벨 조정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7722A KR940017722A (ko) 1994-07-27
KR950012661B1 true KR950012661B1 (ko) 1995-10-19

Family

ID=193470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25902A KR950012661B1 (ko) 1992-12-28 1992-12-28 영상신호의 ee 레벨 조정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12661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7722A (ko) 1994-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50012661B1 (ko) 영상신호의 ee 레벨 조정회로
US5867222A (en) Video sync signal slicing using variable gain control
EP0551858A2 (en) Duobinary to binary decoder
US20020140511A1 (en) Current sense automatic level control system with pre-bias
US5633690A (en) Automatic gain control circuit of a video processing system and method therefor
US7557864B2 (en) Video signal judgment circuit
US5398114A (en) Circuit for compensating for the drop-out of a reproduced video signal
JPH06104691A (ja) 電荷結合素子遅延装置
KR200162270Y1 (ko) 티브이의 휘도신호 증폭회로
JP2797809B2 (ja) 自動利得制御回路
KR950010890B1 (ko) 영상신호 자동이득제어장치
JP2587526B2 (ja) コモンドライバー回路
KR960015780B1 (ko)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의 자동 이득조정 검출기 안정화 회로
JPS583626B2 (ja) 同期分離回路におけるノイズ消去回路
KR970002189B1 (ko) 영상기록 재생기의 칼라 자동 조절장치
KR0170238B1 (ko) 중간 주파수 신호처리용 자동이득 제어회로
KR100231447B1 (ko) 기록 증폭기의 기록 전류 자동 조절회로 및 방법
KR0132822B1 (ko) 중간 주파수 시스템
JP3128448B2 (ja) Fm信号検波器
KR0119812Y1 (ko) 티브이의 음성유지회로
KR960000687B1 (ko) 비디오 신호의 기록 레벨 자동 조절장치
EP0217443B1 (en) Picture signal processing circuit
KR910000554Y1 (ko) 클릭음 방지회로
JPS58215879A (ja) 自動利得制御装置
JP3403095B2 (ja) クランプ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928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