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12444B1 - 선삭작업용 바이트 - Google Patents

선삭작업용 바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12444B1
KR950012444B1 KR1019890700414A KR890700414A KR950012444B1 KR 950012444 B1 KR950012444 B1 KR 950012444B1 KR 1019890700414 A KR1019890700414 A KR 1019890700414A KR 890700414 A KR890700414 A KR 890700414A KR 950012444 B1 KR950012444 B1 KR 9500124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cutting
bite
turning
cutting
cutt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7004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701255A (ko
Inventor
미하익 울라으코
Original Assignee
미하익 울라으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하익 울라으코 filed Critical 미하익 울라으코
Publication of KR8907012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7012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124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24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7/00Automatic or semi-automatic turning-machines with a single working-spindle, e.g. controlled by cams; Equipment therefor; Features common to automatic and semi-automatic turning-machines with one or more working-spindles
    • B23B7/02Automatic or semi-automatic machines for turning of sto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7/00Tools for turning or boring machines; Tools of a similar kind in general; Accessories therefor
    • B23B27/04Cutting-off tools
    • B23B27/045Cutting-off tools with chip-breaking arrang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7/00Cutters, for shaping
    • Y10T407/24Cutters, for shaping with chip breaker, guide or deflector
    • Y10T407/245Cutters, for shaping with chip breaker, guide or deflector comprising concave surface in cutting face of too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7/00Cutters, for shaping
    • Y10T407/25Cutters, for shaping including cut off to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utting Tools, Boring Holders, And Turrets (AREA)
  • Milling Processes (AREA)
  • Sawing (AREA)
  • Semiconductor Las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선삭작업용 바이트
[도면의 간단한 설명]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바이트의 측면도이고,
제2도는 바이트를 절삭부쪽에서 본 정면도.
제3도는 바이트의 평면도.
제4도는 제3도의 A-A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본 발명은 선삭작업용 바이트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가공이 곤란한 재질을 선삭작업하거나 또는 작업중 바이트를 교환하지 않고 하나의 바이트로 여러 가지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된 선삭작업용 바이트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바이트를 사용하여 선삭작업을 할 때, 가공물의 측면에서 가공물의 축방향으로 가공을 하거나 또는 상호 면가공을 해야 할 경우에는 일반적인 바이트를 사용하고, 절단작업이나 또는 가공물의 중심방향 및 축방향으로 깊은 홈가공을 해야 할 경우에는 홈바이트를 선삭작업용하게 되는 바, 이러한 두가지 바이트의 특징으로서는 바이트폭이 좁다는 점과, 이렇게 바이트의 폭이 좁으면 절단작업시 재료의 불필요한 낭비를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폭이 좁은 홈을 파내야 할 경우의 홈가공작업이 쉬워지게 된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종래의 홈바이트를 사용해서 가공하기 어려운 재질을 가공하는 경우 칩이 가공홈에 끼이게 되어 상기이 진행되는 동안 바이트와 가공물에 손상을 주게 된다.
또한 유럽공개특허 제222,951호에 도시된 바이트는 측방향의 선삭작업 또는 면가공을 하는 경우, 축방향을 따라 넓은 폭의 작업을 할 수 있는 장점은 있으나, 폭이 좁은 홈가공작업 및 절단작업에는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일반적인 선삭작업을 해야 할 경우에는 여러 가지 형상의 바이트를 교환하면서 사용해야 한다는 등의 문제점이 제기되어 왔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칩의 형성 및 분리안내작동을 개선시켜 여러종류의 재료를 각기 다르게 가공작업할 때 절삭면에서 분리안내되어 나온 칩이 점차적으로 끊어지도록 함으로써, 바이트와 가공물에 해를 입히지 않으면서 작업성의 저하를 감소시킬 수 있도록 된 바이트를 제공하고, 또 가공물의 중심방향으로 홈가공 작업과 절단작업, 축방향으로의 홈가공 및 측면에서 축방향으로의 선삭작업이나 면가공 및 모방선삭작업 등에 모두 사용될 수 있는, 즉 가공물의 작업조건에 따라 모든 방향에서의 선삭작업에 모두 사용될 수 있는 바이트를 제공하는 한편, 고합금 강철과 내산성 강철 및 내열성 강철, 그리고 알루미늄, 구리, 황동 등의 비철금속 재료와 같이 일반적으로 큰 레이크(rake; 칩이 미끄러져 나가는 면)가 요구되는 재질의 선삭작업에도 사용될 수 있는 바이트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주절삭부를 갖춘 선단부와, 바이트 홀더에 고정장착되도록된 후미부, 상기 주절삭부와 연결된 중앙 오목홈을 갖춘 절삭면으로 구성된 선삭작업용 바이트에 있어서, 상기 중앙오목홈은 주절삭부와 대체로 평행한 축에 대해 아아치형 곡면을 가지면서 그 선단이 이 주절삭부의 중앙부와 연결되고 그 후단은 상기 주절삭부와 일정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는 절삭면의 일부분과 연결되며, 상기 중앙오목홈은 오목한 바닥면에 대해 만곡져 있는 경사지고 볼록한 측벽에 의해 구획지워지되, 상기 측벽의 상단과 하단이 상기 주절삭부와 연결되는 바닥면에 근접하면서는 서로 가까워지는 한편, 상기 측벽의 하단은 바닥면의 측방향경계선을 구획지워주어, 상기 주절삭부쪽에서 보아 바닥면의 폭이 처음에는 감소하다가 뒷쪽으로 가면서 다시 증가하도록 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오목한 바닥면과 연결된 주절삭부 양측면의 주절삭부는 절삭면의 평면부와 인접하고 상기 평면부 양측단은 주절삭부와 평행한 방향으로 선삭작업을 할 수 있게 하는 측면 주절삭부를 이루도록 되어 있으며, 또 상기 중앙오목홈의 양측면에는 상기 주절삭부와 대체로 평행한 축선에 대해 아아치형 곡면으로 형성되면서 상기 중앙오목홈의 바닥면보다 큰 곡률을 갖는 두 개의 외부오목홈이 형성되고, 상기 외부오목홈의 앞쪽은 중앙오목홈의 양측면에 있는 주절삭부를 따라 상기 평면부와 연결되며, 뒷쪽은 상기 중앙오목홈이 바닥면의 뒷쪽끝보다 상기 주절삭부를 향해 약간 앞쪽에서 절삭면의 일부분과 연결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본 발명 바이트몸체는 절삭용 합금 또는 소결합금(燒結合金) 재질로 만들어지고, 이 바이트(1)의 저면에는 바이트홀더의 삽입구에 형성된 보조홈에 바이트가 끼워넣어질 수 있도록 길이방향으로 돌기대(2)가 형성되며, 상기 바이트(1)의 후미부(3)는 앞쪽의 절삭부보다 높이가 낮은 돌출부로 이루어져 있는데, 대체로 상기 저면과 평행을 이루고 있는 상기 돌출부는 바이트의 후미면(4)이 홀더의 체결구 후미벽과 맞닿도록 바이트홀더에 설치된 고정대(clamping arm)에 결합된 다음 나사 등에 의해 바이트를 홀더의 홈에 안정되게 고정시켜 주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바이트의 후미부(3)를 이루는 쪽의 바이트하부(5)는 하측면(6)과 대체로 평행하지만 바이트의 앞쪽에서는 상측면(7)이 위쪽으로 올라가면서 바깥쪽으로 벌어지도록 되어 있어, 상기 후미부(3)의 앞쪽에 위치한 바이트 주몸체의 측면이 아래쪽에서 보아 윗쪽으로 올라갈수록 바깥쪽으로 경사져 있다. 또, 바이트의 선단면(8)도 역시 아래쪽에서 보아 윗쪽으로 올라가면서 바깥쪽으로 경사지고, 바이트의 주절삭부(9)는 상기 선단면(8)의 위쪽끝 즉 이 선단면(8)이 절삭면(10)과 만나는 곳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주절삭부(9)쪽에서 보아 바이트전체는 뒷쪽방향으로 가면서 경사지게 형성되어 공구대에 설치될 때 적당한 여유간격을 마련해 주도록 되어 있다.
한편, 상기 절삭면(10)의 중앙에는 칩이 효과적으로 형성되어 절단되도록 중앙오목홈(11)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 중앙오목홈(11)의 양측면에서 주절삭부(9)에 가장 근접한 절삭면부에는 측면절삭단부(12)를 이루는 측단부가 형성되어져 있다.
또, 바이트의 절삭면(10)에 형성된 중앙오목홈(11)은 앞쪽끝이 주절삭부(9)의 중앙부와 연결되고 뒷쪽끝이 절삭면(10)과 연결된 오목한 바닥면(13)과, 이 바닥면(13)에서 보다 바깥쪽으로 경사져 있는 볼록한 측벽(14)을 갖추고서, 상기 주절삭부(9)와 연결되는 선단에서부터 시작되는 상기 오목한 바닥면(13)의 폭이 처음에는 점차 좁아졌다가 나중에는 점차 넓어지도록 되어있다.
또한, 양측면에서 중앙오목홈(11)을 구획지워주는 벽부분에는 양쪽 각각에 외부오목홈(15)이 형성되어있는 바, 이 외부오목홈(15)은 바이트전체의 길이방향에 수직하면서 오목하고 또 중앙오목홈(11)의 바닥면(13)보다 반경이 작고 길이도 짧게 형성되고, 이들 외부오목홈(15)은 중앙오목홈(11)의 앞쪽면에서 서로에 대해 마주보도록 아아치형 면적을 잘라낸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상기 절삭면(10)의 나머지 앞부분에는 주절삭부(9) 및 측면절삭단부(12)와 연결되면서 바이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짧게 평면부(16)가 형성되고, 이 평면부(16)의 중앙부에 상기 오목한 바닥면(13) 선단이 위치한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 오목한 외부오목홈(15)에 의해 잘려져 나간 상기 중앙오목홈(11)의 경사진 측벽(14)은 그 상단과 하단이 주절삭부(9)에 근접하면서 점차 가까워지도록 되어 있고, 상기 중앙오목홈(11)의 바닥면(13)과 측벽(14)은 중앙오목홈(11)의 오목한 바닥면(13)보다 작은 반경을 갖는 외부오목홈(15)을 지나 뒷쪽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바이트는, 이를 이용해서 선삭작업을 하는 경우, 절단작업이나 홈가공 작업시 생긴 칩이 평면부(16)와 오목한 외부오목홈(15)에 의해 안내되어져 작은 반경의 헬리컬형상으로 구부러지게 되고, 상기 주절삭부(9)에서 형성된 칩의 중앙부는 이 주절삭부(9)와 곧바로 연결된 중앙오목홈(11)을 지나면서 좀더 큰 반경의 헤리컬형상으로 구부러지게 됨과 동시에 볼록한 측벽(14)에 의해 칩의 횡방향으로부터 압력을 받게 된다. 따라서, 칩의 길이방향과 횡방향으로 발생되는 큰 변형과 이 변형에 의해 칩에 가해지는 변형력이 칩을 헬리컬모양의 형태를 풀면서 점진적으로 끊어주게 되고, 이와 더불어 칩의 횡방향으로의 굽혀짐과 칩의 중앙쪽으로 변형력 때문에 칩의 폭이 줄어들게 되어, 결과적으로 가공물에서 생성된 칩이 가공홈의 측면틈을 통과하여 깨끗하게 빠져나오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이트를 이용하여 모방 선삭가공과 면가공 및 측방향의 선삭가공을 하게 되면, 모즌 재질의 가공물에서 칩이 효과적으로 안내되어 끊기게 되고, 또 직접적인 선삭가공을 할 때에는 칩이 바이트의 양쪽에 형성된 외부오목홈(15)의 하나와 충돌한 후 절삭면의 밖으로 안내되면서 점차적으로 끊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이트는 홈가공작업을 할 때 칩이 잘 안내형성되어 점진적으로 끊어지게 됨으로써, 절삭면 근처에 길다란 칩이 쌓일 위험이 없을 뿐만 아니라, 가공물의 가공조건에 따라 절단작업이라던가 모방선삭가공, 측면에서의 선삭가공 및 축/반지름방향에서의 면가공 등에도 사용할 수 있게 됨으로써, 종래의 바이트와는 달리 바이트를 교환하지 않고 본 발명에 따른 1개의 바이트를 사용하여 모든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Claims (3)

  1. 주절삭부(9)를 갖춘 선단부와, 바이트고정부에 고정장착되도록 된 후미부(3), 상기 주절삭부(9)와 연결된 중앙오목홈(11)을 갖춘 절삭면(10)으로 구성된 선삭작업용 바이트(1)에 있어서, 상기 중앙오목홈(11)이 주절삭부(9)와 대체로 평행한 축에 대해 아아치형의 곡면을 이루면서 그 선단이 이 주절삭부(9)의 중앙부와 연결되고 후단은 주절삭부(9)와 일정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는 경사면(10)의 일부분과 연결되고, 상기 중앙오목홈(11)은 오목한 바닥면(13)에 대해 만곡진 경사지고 볼록한 측벽(14)에 의해 구획지워지면서, 상기 측벽(14)의 상단과 하단이 상기 주절삭부(9)와 연결되는 바닥면(13)에 근접하면서는 서로 가까워지고, 상기 측벽(14)의 하단은 바닥면(13)의 측방향경계선을 구획지워주어, 상기 주절삭부(9)쪽에서 보아 바닥면(13)의 폭이 처음에는 감소하다가 뒷쪽으로 가면서 다시 증가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삭작업용 바이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한 바닥면(13)과 연결된 주절삭부(9) 양측면의 주절삭부(9)가 절삭면(10)의 평면부(16)와 인접하고, 상기 평면부(16) 양측단에는 주절삭부(9)와 평행한 방향으로 선삭작업을 할 수 있게 하는 측면절삭단부(12)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삭작업용 바이트.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오목홈(11)의 양측면에 상기 주절삭부(9)와 대체로 평행한 축선에 대해 아앙치형의 곡면으로 형성되면서 상기 중앙오목홈(11)의 바닥면(13)보다 큰 곡률을 갖는 두 개의 외부오목홈(15)이 형성되고, 이 외부오목홈(15)의 앞쪽이 중앙오목홈(13)의 양측면에 있는 주절삭부(9)를 따라 상기 평면부(16)와 연결되는 한편, 뒷쪽은 상기 중앙오목홈(11)이 바닥면(13)의 뒷쪽끝보다 상기 주절삭부(9)쪽을 향해 약간 앞쪽에서 절삭면(10)의 일부분과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삭작업용 바이트.
KR1019890700414A 1987-08-07 1988-08-08 선삭작업용 바이트 KR95001244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SE8703085A SE461635B (sv) 1987-08-07 1987-08-07 Skaer foer svarvning och avstickning
SE8703085-4 1987-08-07
PCT/SE1988/000399 WO1989001375A1 (en) 1987-08-07 1988-08-08 Arrangement in cutting inserts, especially for turning tool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701255A KR890701255A (ko) 1989-12-19
KR950012444B1 true KR950012444B1 (ko) 1995-10-18

Family

ID=203692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700414A KR950012444B1 (ko) 1987-08-07 1988-08-08 선삭작업용 바이트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4973204A (ko)
EP (1) EP0404771B1 (ko)
JP (1) JP2595079B2 (ko)
KR (1) KR950012444B1 (ko)
AT (1) ATE107554T1 (ko)
AU (1) AU603260B2 (ko)
DE (1) DE3850405T2 (ko)
RU (1) RU1829985C (ko)
SE (1) SE461635B (ko)
WO (1) WO198900137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L91575A (en) * 1989-09-08 1992-07-15 Iscar Ltd Cutting insert having a chip former
SE466689B (sv) * 1990-07-19 1992-03-23 Sandvik Ab Skaer foer profil- och spaarsvarvning
SE9101324D0 (sv) * 1991-05-02 1991-05-02 Mircona Ab Anordning vid spaanformande skaer
USRE37595E1 (en) * 1992-04-30 2002-03-19 Sandvik Ab Cutting insert for cutting and grooving tools
SE508121C2 (sv) * 1992-04-30 1998-08-31 Sandvik Ab Skär för svarvnings- och spårstickningsverktyg
DE9214563U1 (ko) * 1992-10-28 1992-12-10 Sandvik Ab, Sandviken, Se
US5638728A (en) * 1995-05-11 1997-06-17 Kaiser Tool Company, Inc. Replaceable tool support with arcuately curved surface portion
US6742971B2 (en) 2002-02-19 2004-06-01 Manchester Tool Company Cutting insert
US20030206777A1 (en) * 2002-05-03 2003-11-06 Gyllengahm Ulf Stefan Metal cutting insert having straight cutting edge and curved abutment surface
US7011476B1 (en) 2002-08-14 2006-03-14 Kaiser Tool Company, Inc. Double-ended grooving and turning tool with clamping surfaces
US6974282B2 (en) * 2002-08-14 2005-12-13 Kaiser Tool Company Toolholder for small size grooving and turning insert
US6722825B1 (en) 2002-08-14 2004-04-20 Kaiser Tool Company, Inc. Small size grooving and turning insert
US6688816B1 (en) 2002-08-14 2004-02-10 Kaiser Tool Company, Inc. Grooving and turning insert
US8707694B2 (en) * 2011-12-23 2014-04-29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Shape memory alloy actuator
TW201540611A (zh) * 2014-04-23 2015-11-01 Beac Co Ltd 構件貼附裝置
US11161178B2 (en) * 2016-10-31 2021-11-02 Kyocera Corporation Cutting insert, cutting too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machined product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929790A1 (de) * 1979-07-23 1981-02-12 Kraftwerk Union Ag Lager fuer verbrauchte laengliche brennelemente
JPS5892207A (ja) * 1981-11-29 1983-06-01 日本ケミコン株式会社 電解コンデンサの駆動用電解液
JPS5922420A (ja) * 1982-07-28 1984-02-04 Nec Corp ダイオ−ド可変減衰器の駆動回路
FR2561960B1 (fr) * 1984-03-30 1988-01-15 Danit Carbex Sa Plaquette de coupe
SE452273B (sv) * 1986-05-07 1987-11-23 Seco Tools Ab Sker for avstickning
SE454060B (sv) * 1986-08-15 1988-03-28 Sandvik Ab Spanavskiljande verkty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TE107554T1 (de) 1994-07-15
WO1989001375A1 (en) 1989-02-23
DE3850405T2 (de) 1995-03-02
JP2595079B2 (ja) 1997-03-26
EP0404771B1 (en) 1994-06-22
JPH02502896A (ja) 1990-09-13
SE8703085L (sv) 1989-03-23
SE8703085D0 (sv) 1987-08-07
EP0404771A1 (en) 1991-01-02
DE3850405D1 (de) 1994-07-28
AU603260B2 (en) 1990-11-08
US4973204A (en) 1990-11-27
AU2311488A (en) 1989-03-09
RU1829985C (ru) 1993-07-23
KR890701255A (ko) 1989-12-19
SE461635B (sv) 1990-03-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50012444B1 (ko) 선삭작업용 바이트
RU1807917C (ru) Металлорежуща вставка
JP2744574B2 (ja) 旋削並びに溝切り用の多角形インサート
RU1777572C (ru) Пластина многогранной формы дл резани по металлу
JP2598588B2 (ja) 皮むき加工用差込みチップおよび切削工具
KR100389107B1 (ko) 얇은칩에대한칩브레이커를가진절삭인서트
RU2010682C1 (ru) Сменная режущая пластина для фрезы
JP3535616B2 (ja) 切削用インサート
US4969779A (en) Cutting insert
ES2088164T3 (es) Herramientas de corte con unas entalladuras trapezoidales, que se extienden a lo largo de la arista cortante.
KR930011655B1 (ko) 나사절삭용 드로우 어웨이팁
JP2532936B2 (ja) 切屑制御付き切削インサ―ト
EP0958873A1 (en) Cutting insert for grooving
PL163541B1 (pl) Wkladka tnaca, zwlaszcza freza walcowo czolowego PL PL
JPH10217007A (ja) スローアウェイチップ
JPH11503674A (ja) チップ制御機能を備えたカッティングインサート
JP2022502274A (ja) ワークピースを加工するための切削インサート及び工具
EP1219369A1 (en) Cutting tool and indexable insert therefor
KR930002410B1 (ko) 칩 제어특징부를 지닌 절삭 인서트
JPH10109210A (ja) スペードドリル用スローアウェイチップ
KR100225981B1 (ko) 선삭 및 홈가공을 위한 칩형성 인서트(chip forming insert, espceially for turning and sloting)
US4963060A (en) Cutting insert with chip control
JP4854360B2 (ja) 切削インサートおよびそれを装着してなる切削工具
RU2765010C9 (ru) Режущая пластина и инструмент для обработки заготовки резанием
JP3292607B2 (ja) 切削インサ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009

Year of fee payment: 15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