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11967B1 - 반도체 녹음기용 메모리 정리 장치 - Google Patents
반도체 녹음기용 메모리 정리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950011967B1 KR950011967B1 KR1019920013814A KR920013814A KR950011967B1 KR 950011967 B1 KR950011967 B1 KR 950011967B1 KR 1019920013814 A KR1019920013814 A KR 1019920013814A KR 920013814 A KR920013814 A KR 920013814A KR 950011967 B1 KR950011967 B1 KR 95001196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ddress
- memory
- recording
- register
- address counter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16—Storage of analogue signals in digital stores using an arrangement comprising analogue/digital [A/D] converters, digital memories and digital/analogue [D/A] converters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27/00—Electric analogue stores, e.g. for storing instantaneous values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8/00—Arrangements for selecting an address in a digital store
- G11C8/04—Arrangements for selecting an address in a digital store using a sequential addressing device, e.g. shift register, counter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2207/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2207/16—Solid state audio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 Debugging And Monitor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녹음기용 메모리 정리장치의 상세회로도이고,
제2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녹음기용 메모리 정리장치의 주요 부분의 동작 타이밍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2 : 카운터 5, 6, 14, 20 : 레지스터
7 : 링카운터 15 : D플립플롭
16 : 가산기 17 : JK 플립플롭
18 : 멀티플렉서 19 : 보수기
21 : 비교기
본 발명은 반도체 녹음기용 메모리 정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 말하자면 음성 분석, 합성회로와 반도체 메모리를 사용하는 녹음기에 있어서 반도체 메모리의 공간을 최대한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반도체 녹음기용 메모리 정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음성 분석, 함성칩의 사용 등, 회로 기술의 발달로 소형화 및 경량화가 이루어진반도체 녹음기는 일반적으로 저소비전력을 필요로하기 때문에 휴대가 간편하고, 음색이 변질될 염려가 없으며, 또한 전화기 등과 각종 생할용품에 부착이 가능하다는 사용상의 편리한 점때문에 그 수요가 점차로 확대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반도체 녹음기를 사용하다 보면, 자기 테이프를 사용하는녹음기 처럼 불필요한 기록이 있는 부분이나 기록이 소거된 부분들이 메모리 공간상의 여러곳에 이산적으로 분포되어 있어서, 그중에 하나의 부분을 택하여 새로운 음성 데이터를 기록하고자 하는 경우에 새로이 기록해야 할 음성 데이터의 양이 상대적으로 많게 되면 인접되어 있는 영역의 "필요한" 기록 내용을 일부 지우지 않고서는 새로운 기록을 연속적으로 기록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현시점의 반도체 녹음기에 있어서, 필요한 기록을 보호함과 동시에 한정된 메모리 공간에서 새로운 기록의 최대한 연속적으로 하기 위한 메모리 공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반도체 메모리에 기록된 음성 데이터의 기록위치를 수시로 손쉽게 이동시켜 정리하기 위한 기능이 추가로 필요하게 되는데, 이는 많은 양의 기록을 하기 위하여 반도체 메모리의 용량을 늘려 주는 것 못지 않게 중요한 일이다. 왜냐하면, 반도체 메모리의 용량이 아무리 늘어나더라도 메모리를 효율적으로 관리하지 않으면 대용량의 메모리로부터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상실되어 버리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필요한 기록이 있는 메모리 영역의 음성 데이터를 불필요한 기록이 있는 메모리 영역에 재배치를 시킴으로써 불필요한 기록이 있는 부분은 삭제를 하면서도 필요한 기록은 보호를 할 수 있고, 또한 연속적으로 새로운 음성 데이터를 기록할 수 있는 영역을 넓히게 됨으로써 메모리의 공간을 최대한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반도체 녹음 기용 메모리 정리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나타난 첨부 도면을 통하여 설명하면 메모리의 정보영역에 저장되어 있는 음성 데이터의 위치에 관한 정보를 수정시키기 위하여, 메모리의 정보영역을 지정하기 위한 어드레스를 순차적으로 발생시키고, 메모리의 기록영역에 저장되어 있는 음성데이터를 이동시키기 위하여, 메모리 기록영역을 지정하기 위한 어드레스를 순차적으로 발생시키는 제1어드레스 카운터(1)와, 메모리의 정보 영역에 저장되어 있는 음성 데이터의 위치에 관한 정보를 수정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1어드레스 카운터가 발생시키는 어드드레스와 동일한 어드레스를 시차를 두고 순차적으로 발생시키고, 메모리의 기록영역에 저장되어 있는 음성 데이터를 이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1어드레스 카운터와 이동분 만큼의 어드레스 차를 가진 어드레스를 순차적으로 발생시키는 제2어드레스 카운터(2)와 상기 제1어드레스 카운터에 의해서 지정되는 메모리의 정보영역으로부터 출력되는 불필요한 기록의 기록 위치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제1 및 제2레지스터(5)(6)와, 상기 제1어드레스 카운터에 의해서 지정되는 메모리의 정보영역으로부터 출력되는 각 기록의 기록 위치에 관한 정보를 순차로 저장하고, 상기 제1어드레스 카운터에 의해서 지정되는 메모리의 기록영역으로부터 출력되는 음성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3레지스터(14)와, 상기 제1 및 제2, 제3레지스터에 저장되어 있는 기록위치에 관한 정보를 사용하여 기록 위치를 판별하고 판별 결과에 따라 위치 정보를 수정하기 위한 누산수단(15)(16)(18)(19)과, 상기 누산에 필요한 제어신호를 주기적으로 생성하여 출력하는 수단(7)과, 상기 제1 및 제2어드레스 카운터의 어드레스 지정에 의해 음성 데이터의 이동 완료되는 위치의 어드레스를 포착하기 위한 비교수단(21)과, 상기 음성 데이터의 이동이 완료되는 위치의 어드레스를 보관하기 위한 수단(6)(20)으로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을 상세히 기술하기 전에 참고가 되는 반도체 녹음기에 관한 사항과 아울러 본 발명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한 사항을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아날로그 파형인 음성 파형을 디지틀 데이터로 변조하는 방식중 많이 사용이 되고 있는 적용델타변조(Adaptive Delta Modulation, ADM)방식을 사용하여 음성 파형을 디지틀화 하는 경우에 음성 데이터 양(量)은 초당 8∼32K비트가 된다.
이러한 음성 데이터가 기록이 되는 반도체 녹음기의 메모리 공간을 아래의 직선 좌표로 나타내고 반도체 녹음기와 관련하여 살펴보면,
반도체 녹음기의 메모리 공간을 나타내는 위 직선 좌표상에서, 각 점 A1, A2, A3,…, An, …, Af는 반도체 녹음기의 메모리에 여러 종류의 음성 데이터를 기록함에 따라 길이가 설정되어 자연히 구분되어 지는 기록 영역의 각 구분의 시초 어드레스를 나타내며, 위 좌표상의 구간 0∼A1-1(A1-1은 A1보다 1이 앞선 어드레스임)은 이러한 기록 영역의 각 구분의 시초 어드레스가 기억되는 정보 영역을 나타낸다.
어드레스 카운터로 좌표상의 어드레스 A1부터 차례로 어드레스를 지정하여 현재 발생되는 음성 데이터를 필요에 따라 구분지어 기록하였을 때, 음성 데이터가 기록되는 순서는 제1구분, 제2구분, …, 제n구분, …이고, 음성 데이터의 기록을 멈추면 어드레스 카운터는 앞으로 기록이 될 음성 데이터의 기록 시점인 어드레스 Af를 나타낸다.
반도체 녹음기의 사용시 상기한 바와 같이 음성 데이터가 기록이 되는 각 구분은 음성 데이터가 기록되는 순서와 관계없이 반도체 녹음기의 사용자가 반도체 녹음기의 기록번호 입력 버튼(button)으로 각각 서로 다른 고유번호를 기록번호로서 임의로 부여하게 되며, 이 경우에 사용자에 의해서 기록번호 입력 버튼을 통해서 입력된 신호는 각 기록번호에 고유하게 설정되어 있는 특정이 어드레스로써 어드레스 카운터를 프리세트시키고, 이와 같이 프리세트된 어드레스 카운터에 의해서 정보영역의 어드레스가 지정이 됨으로써 기록 영역의 각 구분의 위치를 나타내 주는 어드레스와 최종 어드레스(또는 그 다음 구분의 시초 어드레스)의 한 쌍이 상기한 어드레스 카운터에 의해 지정되는 특정 어드레스의 정보영역에 저장된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설명하면, 위 좌표가 나타내는 메모리 공간의 어드레스가 22비트의 어드레스 카운터로써 지정이 되고 각각의 어드레스로 지정이 되는 장소의 데이터의 바이트가 4비트인 경우에, 위 좌표상의 제2구분에 음성 데이터의 기록을 시작할 때, 반도체 녹음기의 사용자가 반도체 녹음기의 기록 번호 입력 버튼으로 7번(01112)을 임의로 선택하면 22비트의 어드레스 카운터에 000…0 0111 0000(기록 번호 입력 버튼으로 7번을 선택하는 경우에 지정되는 정보영역의 특정의 어드레스)이 입력이 되고, 이어서 어드레스 카운터의 값이 1씩 증가되어 연속적으로 이어지는 6개의 어드레스(6×4비트)에 의해 지정되는 장소에 기록영역의 제2구분의 기록 시점의 어드레스인 22비트의 A2가 기록이 되고, 음성 데이터의 기록이 종료되면 000…0 0111 0110(경우에 따라 000…0 0111 1000)로부터 또다시 연속적으로 이어지는 6개의 어드레스에 제2구분의 기록 종료 시점의 어드레스인 22비트의 A3가 기록된다.
따라서 기록 종료 이후에, 사용자가 기록영역에 저장되어 있는 음성 데이터의 재생을 위하여 반도체 녹음기의 기록번호 입력 버튼으로 7번을 누르게 되면, 기록번호 7번에 고유하게 설정되어 있는 특정의 어드레스를 어드레스 카운터에 프리세트시키고, 이후 어드레스 카운터의 값을 1씩 증가시켜서 메모리의 정보영역에 저장되어 있는 내용을 읽어내면 기록영역의 제2구분의 기록 위치를 나타내는 A2와 A3가 독출된다.
이와 같이, 좌표상의 정보영역(0∼A1-1)은 각각 서로 다른 기록번호로서 지정이 되는 여러개의 영역으로 세분되어 있으며, 각각의 세분된 영역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기록 위치에 관한 정보를 나타내는 한 쌍의 시초 어드레스 외에도 음성 데이터의 기록시에 반도체 녹음기의 사용자가 재생되는 음질을 고려하여 미리 지정하는 초당 데이터의 양(量)에 관한 정보(기타 정보)등을 기록하기 위한 여분의 어드레스들을 가진다.
상기한 좌표상의 기록영역에서 불필요한 기록이 있는 경우에, 필요한 기록을 보호하면서 불필요한 기록은 삭제시킴으로써 새로운 기록을 위한 메모리 공간의 확보를 다음과 같이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록영역의 제2구분에 기록이 된 음성 데이터가 불필요한 경우에, 제3구분 이후에 기록되어 있는 음성 데이터를 A3 어드레스로부터 리드(read)하여 A2어드레스에 연속되는 영역에 재배치(rewrite)하므로써 제2구분에 기록된 음성데이터를 삭제하고, 이에 따라 메모리 공간의 기록영역상에서 음성 데이터의 기록 위치가 변동되므로 기록 위치에 관한 기본 정보를 기록 위치 변동분(A3-A2)만큼 수정하기 위하여 좌표상의 정보영역(0∼A1-1)에 기억된 각 구분의 시초 어드레스 An(≥A3)을 검출하여 An-(A3-A2)을 계산한 뒤에 이를 다시 An(≥A3)이 저장되었던 어드레스에 기록하고, 또한 앞으로 기록이 될 음성 데이터의 기록 시점인 어드레스 Af의 값도 Af-(A3-A2)로 수정된다.
따라서, 메모리 공간의 기록영역의 기존의 필요한 기록은 그대로 유지시킴으로써 보호할 수가 있고, 새로운 기록을 연속적으로 할 수 있게 되는 기록영역은 제2구분에 기록되어 있다가 삭제되어버린 음성데이터가 차지했던 영역의 크기(A3-A2)만큼 증가시킬 수가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반도체 녹음기의 메모리에 불필요한 기록이 있는 경우에 나머지 기록의 전부 또는 일부를 불필요한 기록이 있는 기록영역 쪽으로 메모리내에서 고속으로 이동시키고, 이동 종료시의 기록영역의 어드레스를 항상 보관하여 앞으로 하게 될 기록의 시점으로 하고, 이에 따라 메모리의 정보영역에 기억되어 있는 각 기록의 시초 어드레스를 기록의 위치가 변동된 만큼 수정하기 위한 기능(이하 '메모리 정리 기능"이라 칭함)을 반도체 녹음기에 부여하기 위한 것이다.
다음의 한 예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반도체 메모리의 고속성과, 녹음시에 애널로그 음성 파형이 디지틀 음성 데이터로 변환되어 반도체 메모리에 기록이 되는 속도를 비교하기 위한 것이다.
음성 파형을 초당 16K 비트의 디지틀 데이터로 변환시켜 4M×8비트 보다 용량이 큰 메모리에 기록하면,
(4M×8비트)÷16K비트/초=2K초,
2K초÷60초/분=약 33분.
위 식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약 33분 이상의 시간동안 음성 데이터가 메모리에 기록됨을 알 수 있다.
이 경우에, 메모리에 기록된 음성 데이터를 차례로 리드하여 다시 라이트(write)하는 방법으로 메모리에 기록된 음성 데이터의 기록 위치를 이동시킬 수가 있는데, 만약 초당 2M번의 어드레스를 지정하여 리드/라이트 사이클을 반복하게 되면 결과적으로 초당 1M×8비트의 데이터를 메모리 내에서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약 33분 정도의 4M×8비트의 음성 데이터를 반도체 메모리 내부에서 이동시키는데 걸리는 시간은 4초이며, 이는 애널로그 음성 파형이 디지틀 음성 데이터로 변환되어 반도체 메모리에 저장되는 기록 시간에 비해 상당히 짧은 시간이다.
이러한 속도는 반도체 녹음기에서 주로 사용이 되는 통상적인 디램(Dynamic Random Access Memory, DRAM)에서는 문제될 것이 없으므로, 위에서 언급한 메모리 정리에 소요되는 시간중 대부분의 시간을 차지하게 되는 음성 데이터의 기록 위치 변경을 상당히 짧은 시간에 할 수가 있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녹음기용 메모리 정리장치의 상세회로도로서, 상기의 좌표가 나타내는 메모리 공간의 위치를 나타내 주는 어드레스의 비트 수가 n이고 각각의 어드레스로 지정되는 바이트가 1비트로 이루어진 경우에 있어서 메모리 정리 기능을 내장한 어드레스 지정회로의 예를 든 것이다.
제1도의 회로에서 링 카운터(7)의 비트 수는 상기한 좌표상의 정보영역(0∼A1-1)내에서 기록 위치에 관한 기본 정보 및 기타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서로 다른 기록 번호로 지정이 되는 세분된 영역 내의 어드레스의 총 갯수와 관계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기타 정보등을 기록하기 위한 어드레스의 갯수를 2개, 기록 위치에 관한 기본 정보(모두 2n 비트가 되는 한쌍의 시초 어드레스)를 기록하기 위한 어드레스의 갯수를 2×8개로 하여 모두 18개로 편의상 정하면 후술되는 2클록(CLKa)×2기간 동안의 누산 기간 때문에 링 카운터(7)의 비트수는 모두 22개가 된다. 이와 같이 정하는 경우 제2도에는 링 카운터(7)의 각 출력비트(Q0, Q1, Q2, …, Q21)의 출력이 도시되어 있다. 제1도에서는 회로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링 카운터(7)의 4개의 출력비트(Qa)(Qb)(Qc)(Qd)만 도시되어 있으며 각각 제2도의 (Q1)(Q9)(Q11)(Q21)에 해당된다. 메모리 정리시 링 카운터(7)은 상기 좌표상의 정보구간(0∼A1-1)에 위치한 각각의 세분된 영역에 기록되어 있는 정보 중에서 기록 위치에 관한 기본정보만을 선택하여 반복적으로 수정하기 위한 것이다.
제1도의 회로에서, 메모리 정리시에는 그 속도를 빠르게 하기 위하여, 클럭 입력에 배선 표시가 되어 있지 않은 각 소자에는 기록과 재생시에 사용이 되는 클럭보다 높은 주파수의 클럭신호(CLKa)가 입력이 되고, 또한 어드레스 출력 제어기(3,4)의 제어 입력단자(/G, G)에도 동일한 클럭신호(CLKa)가 입력된다.
따라서 메모리의 정리시에 제1 및 제2어드레스 카운터(1, 2)는 제2도에 도시한 클럭신호(CLKa)의 상승 시점에서 값이 1씩 계속적으로 증가되고, 클럭신호(CLKa)의 상태가 0(low)이면 제1어드레스 카운터(1)의 값이, 클럭신호(CLKa)의 상태가 1(high)이면 제2어드레스 카운터(2)의 값이 각각 어드레스 출력 제어기(3,4)를 거쳐서 메모리 소자부(도시되지 않음)의 어드레스 단자(MAd)로 출력됨으로써 메모리의 어드레스를 지정하게 된다.
그리고, 레지스터(14,5,6,20)에서는 클럭신호(CLKa)의 상승 시점에서 데이터의 직렬 또는 병렬 이동이 이루어지게 되고, D형 플립플롭(15,22)과 JK 플립플롭(12,27,29)은 클럭신호(CKLa)의 상승시점에서, JK 플립플롭(17,28)과 링카운터(7)는 클럭신호(CLKa)의 하강 시점에서 동기되어 상태 변화가 일어난다.
이후, 전술한 좌표를 참조로하여 기술되었던 내용이 전제가 되어 상세한 설명이 이루어진다.
메모리 정리시, Pa 신호에 따라 RS 플립플롭(26)을 세팅하여 앞으로 하게 될 기록의 시초 어드레스 Af의 값을 보관하고 있는 제4레지스터(20)의 병렬입력 인에이블 단자(/PE, Parallel Enable)를 불능으로 하여 그 값이 고정되도록 한다.(T0 시점)
이후 시작 신호(PS)가 링카운터(7)의 최하위 2비트 입력단자(J0,J1)에 동시에 입력이 되면, 링카운터(7)의 출력 비트층(Qa,Qb,Qc,Qd)는 시차를 가지고 2주기의 클럭신호(CLKa)의 기간 동안 1(High)의 상태를 주기적(週期的)으로 유지하는 출력 변화가 시작되고, 이와 동시에 시작신호(PS)에 의해서 제1어드레스 카운터(1)가 프리세트되면서 불필요한 기록의 해당 기록번호 입력 번호(32)을 이용하여 외부에서 사용자가 지정하는 불필요한 기록의 위치에 관한 최초 어드레스(Aa로 정함) 및 그 다음 기록의 최초 어드레스(Ab로 정함)가 저장되어 있는 정보영역의 첫 번째 어드레스가 제1어드레스 카운터(1)에 로딩된다.(T1 시점)
다음에, 클럭신호(CLKa)에 동기되어 제1어드레스 카운터(1)의 값이 1씩 증가되어, 상기한 제1어드레스 카운터(1)의 어드레스가 어드레스 출력제어기(3)를 통하여 메모리에 연속적으로 지정이 되면 불필요한 기록의 기록 위치에 관한 기본 정보인 최초 어드레스 및 그 다음 기록의 최초 어드레스가 메모리의 데이터 출력단자(MDO)에서 출력이 되기 시작한다.(T2 시점)
메모리의 데이터 출력단자(MDO)에서 출력되는 불필요한 기록의 위치정보(Aa, Ab)는 레지스터(6,5)에 직렬로 이동(shift in)이 된다. 따라서 레지스터(6)에는 먼저 출력이 되는 불필요한 기록의 최초 어드레스(Aa)가 로딩되고, 레지스터(5)에는 불필요한 기록의 그 다음 기록의 최초 어드레스(Ab)가 로딩된다.(T3 시점)
T1과 T2 시점 사이에 메모리의 데이터 출력단자(MDO)로부터 출력이 되는 기타 정보(Ie)는 레지스터(5,6)을 거쳐서 도면에 표시되지 않은 다른 저장수단으로 직렬 이동된다.
레지스터(6,5)에 불필요한 기록의 위치정보(Aa,Ab)의 로딩이 완료되면 링카운터(7)의 출력 비트(Qd)가 1(High)이 된다. 이어서 OR 게이트(11,30)을 통해 레지스터(0,5)의 시프트 인에이블 단자(/SE, Shift Enable)로 1(High)이 입력되어 레지스터(6,5)의 내부의 데이터의 직렬 이동이 중지되고, 또한 JK 플립플롭(12)의 반전 출력단자(/Q)는 계속적으로 1(High)을 유지하게 되므로 메모리로부터 레지스터(6,5)로 이동되어 온 불필요한 기록의 위치정보(Aa,Ab)가 계속적으로 레지스터(6,5)에 보존이 된다.
이어, 링카운터(7)의 출력비트(Qd) 보다 2주기의 클럭신호(CLKa) 후에 출력비트(Qa)로부터 1(High)이 출력되면, JK 플립플롭(12)(29)의 반전 출력단자(/Q)로부터 1(High)이 이미 출력이 되는 상태이므로 AND 게이트(13)의 출력은 1(High)이 되어 제1어드레스 카운터(1)가 클리어된다.
또한, 링카운터(7)의 출력비트(Qa) 보다 n주기의 클럭신호(CLKa) 후에 출력비트(Qb)로부터 1(High)이 출력되면, JK 플립플롭(12)(28)의 반전 출력단자(/Q)로부터 1(High)이 이미 출력이 되고 있으므로 AND 게이트(10)의 출력은 1(High)이 되어 제2어드레스 카운터(2)가 클리어된다.
따라서 n주기의 클럭신호(CLKa)의 시차를 두고 각각 클리어 되는 제1 및 제2어드레스 카운터(1,2)가 나타내는 어드레스의 차는 n이 된다. 이는 제1어드레스 카운터(1)로 어드레스를 지정하여 n비트가 되는 각 기록의 시초 어드레스 An을 리드해 낸 후 그 값을 수정한 다음, 다시 n비트의 An이 저장되었던 장소에 제2어드레스 카운터(2)로 어드레스를 지정하여 An의 수정 값을 입력시키기 위한 것이다(뒤에 상술됨).
제1어드레스 카운터(1)는 클리어된 이후부터 어드레스를 처음부터 순차적으로 1씩 증가시키면서 지정하므로써 메모리의 정보영역(좌표상의 0∼A1-1구간)상에서 기록 영역내의 각 구분의 위치를 나타내 주는 시초 어드레스 An을 차례로 리드하기 시작한다. 이와 같이 메모리의 정보영역(0∼A1-1)을 처음부터 순차적으로 리드하는 이유는, 기록 영역의 어드레스 Ab 이후의 기록의 시초 어드레스 An(≥Ab)을 검출하기 위해서 이며, 정보 영역에서 An(≥Ab)이 Ab가 기록이 된 어드레스 보다 앞선 어드레스에 기록되어 있을 수가 있기 때문이다.
제1어드레스 카운터(1)에 의해서, 좌표상의 정보영역(0∼A1-1 구간)상에서 각각의 기록위치에 관한 정보를 나타내는 시초 어드레스 An중에서, 제일 처음에 리드되는 시초 어드레스(An1으로 정함)가 메모리의 데이터 출력단자(MDO)를 통해서 레지스터(14)에 직렬 이동이 되며 이 시점이 제2도의 (T4)시점이다.
(T4)시점의 이후, 링카운터(7)의 출력비트(Qc)의 값 1(High)은 OR 게이트(11,8)를 통하여 제1어드레스 카운터(1)의 카운트 인에이블 단자(/CE)로 출력됨으로써 제1어드레스 카운터(1)의 동작을 정지시키고, 또한 OR 게이트(11)와 AND 게이트(31)와 OR 게이트(9)를 거쳐서 제1어드레스 카운터(2)의 카운트 인에이를 단자(/CE)와 레지스터(14)의 병렬입력 인에이블단자(PE)로 출력됨으로써 제 어드레스 카운터(2)의 동작을 정지시킴과 동시에 레지스터(14)의 내에서 데이터의 직렬 이동을 중지시키고 병렬 이동을 가능하게 한다.
이로써, 레지스터(14)와, D형 플립플롭(15)과, 가산기(16)와, 멀티플렉서(18)와, 보수기(19)와 레지스터(5,6)로 구성되는 누산 회로를 통하여, 정보영역(0∼A1-1)으로부터 리드되어 레지스터(14)에 현재 저장되어 있는 값인 시초 어드레스(An1)를 수정하기 위한 준비가 완료된다.
제2도에 도시되어 있는 타이밍의(T4)시점에서, 레지스터(14)에 직렬로 이동된 시초 어드레스(An1)는 레지스터(14)의 출력단자(Q)를 통하여 가산기(16)의 입력단자(A)로 입력이되고, 레지스터(5)에 저장되어 있던 어드레스(Ab)는 보수기(9)를 거치면서 음의 값(-Ab)로 변환된 뒤에 멀티플렉서(18)를 통하여 가산기(16)의 입력단자(B)로 입력이 된다.
가산기(16)로부터 An1-Ab의 가산의 결과가, (T5)시점에서 클럭신호(CLKa)와 동기되어 레지스터(14)에 입력이 되고, 다시 레지스터(14)의 출력단자(Q)를 통하여 가산기(16)의 입력단자(A)로 입력된다.
한편, 가산기(16)의 가산 결과가 An1-Ab≥0이면, 즉 가산기(16)의 합의 부호 비트(Ss)가 0(Low)이면, D형 플립플롭(15)의 반전 출력단자(/Q)의 값이 0(Low)에서 1(High)으로 변화되어 멀티플렉서(16)의 선택 입력(S)에 입력이 되므로 레지스터(6)에 저장되어 있던 값인 시초 어드레스(Aa)가 멀티플렉서(18)의 (A) 입력을 통하여 가산기(16)의 입력단자(B)에 입력이 되고, 가산기(16)에 의해 누산이 이루어져 그 결과인 수정된 시초 어드레스(An1-Ab)+Aa가 레지스터(14)에 입력이 된다(T6 시점).
따라서 An1이 Ab보다 그 값이 클 때, 즉 An1이 기록 영역에서 어드레스 Ab 이후의 기록의 시초 어드레스 일때만이 누산이 이루어져 An1이 An1-Ab+Aa로 수정이 된다.
또한, 가산기(10)의 함의 부호 비트(Ss)가 0이면, D형 플립플롭(15)과 JK 플립플롭(17)을 통해서 1(High)이 AND 게이트(23)로 출력되므로, AND 게이트(23)로부터 메모리 소자부로 라이트 신호(W)가 출력된다(T6시점), 이와 동시에 동작이 정지된 제2어드레스 카운터(2)에 저장되어 있는 값으로 어드레스가 지정되어(전술한 바, 제1어드레스 카운터(1)의 값과의 차는 n), 레지스터(14)의 제일 상단의 출력(Qn-1)이 메모리에 직렬로 입력되기 시작한다.
이후, 2주기의 클럭신호(CLKa)의 기간 동안의 1(High)을 유지하던 링카운터(7)의 출력비트(QC)가 0이 되면, 레지스터(14)의 병렬입력 인에이블 단자(PE) 0(Low)이 입력되므로 레지스터(14)의 현재 데이터인 수정된 시초 어드레스(An1-Ab+Aa)가 1비트씩 상단으로 직렬 이동(shift up)이 되고, 제2어드레스 카운터(2)의 계수 가능 입력(/CE)에 0(Low)이 입력되므로 제2어드레스 카운터(2)의 값이 다시 1씩 증가되어 메모리의 어드레스를 지정하게 되므로, 누산 결과인 수정된 시초 어드레스(An1-Ab+Aa)가 레지스터(14)의 최상위 비트 출력(Qn-1)을 통하여 메모리로 출력이 된다.
또한 링 카운터(7)의 출력비트(Qc)가 0이 되면 제1어드레스 카운터(1)도 다시 계수가 1씩 증가되어 메모리의 어드레스를 지정하게 되므로 시초 어드레스(An1)과 1쌍을 이루는 다음 기록의 시초 어드레스(An2)가 리드되어 레지스터(14)에 직렬이동이 된다.
위 과정을 종합적으로 설명하면 클록(CLKa)의 상태가 1(High)이면 제2어드레스 카운터(2)가, 클록(CLKa)의 상태가 0(Low)이면 제1어드레스 카운터(1)의 각각 어드레스 출력 제어기(4)(3)을 통해 번갈아 메모리 소자부에 어드레스를 지정하게 됨으로써 레지스터(14)에서는 메모리에 라이트되는 An1의 수정값이 1비트씩 출력(Qn-1)을 통해 출력됨과 동시에 메모리에서 리드되는 (An2)의 값이 입력(DI)를 통해 1비트씩 직렬 이동이 된다.
제2도에는 메모리 소자부의 에이터 입력(MDI)를 통해 라이트 되는 An1의 수정값인(An1-Ab+Ad)와 메모리 소자부의 데이터 출력(MDO)를 통해 리드되는 데이터(An2)가 도시되어 있다.
레지스터(14)에서 An1의 수정값이 출력되고 An2가 입력 완료된(T7) 시점은 링카운터(7)의 출력비트(Qd)가 1이 되는 시점으로서, 2클럭(CLKa)의 누산기간(타이밍도의 T4∼T6) 때문에 링카운터(7)의 출력비트(Qc)가 출력되는 시점보다 n+2 주기의 클럭신호(CLKa)가 늦게 된다.
링카운터(7)의 출력비트(Qd)는 출력비트(Qc)와 마찬가지로 OR 게이트(11)를 통해서, 전기 누산시와 같은 신호로 작용되므로 이후 어드레스(An1)과 1쌍을 이루는 다음 기록의 시초 어드레스(An2)도 마찬가지로 수정이 되어 메모리에 입력이 된다.
상기 과정은 기록 위치에 관한 기본 정보인 한쌍의 시초 어드레스(An1,An2)가 수정이 되어 메모리에 재입력되는 과정을 기술한 것으로, 이와 같은 과정이 링카운터(7)의 주기적인 출력 변화에 의해 계속적으로 반복되어 메모리에 저장된 각 구분의 시초 어드레스 An(≥Ab)이 모두 수정이 된다.
제2어드레스 카운터(2)의 어드레스가, 좌표상의 정보영역 구간(0∼A1-1)에서 제일 마지막 어드레스이며 또한 시초 어드레스의 수정 작업이 완료되는 어드레스인 A1-1이 되면, 제2어드레스 카운시(2)의 어드레스 A1-1을 디코딩한 계수(A1-1)가 출력이 되어 제1 및 제2 어드레스 카운터(1,2)가 프리세트 된다.
프리세트되는 제1 및 제2 어드레스 카운터(1,2)에는 레지스터(5,6)에 보관된 불필요한 기록의 위치정보인 Ab, Aa가 각각 입력이 된다.
또한, 디코딩 계수(A1-1)는 링카운터(7)을 클리어 하여, 시초 어드레스 An의 수정 작업시의 회로동작을 중지시킨다.
이후, 클럭신호(CLKa)의 상태가 0(Low)일 때 제1어드레스 카운터(1)로 어드레스가 지정되면, 메모리의 어드레스 Ab 이후에 기록된 음성 데이터가 메모리의 데이터의 출력단자(MDO)를 통해서 1비트씩 출력이 되어 레지스터(14)에 이동이 되고, 클럭신호(CLKd)의 상태가 1(High)일 때 제2어드레스 카운터(2)에 의해서 어드레스 Aa부터 순차적으로 지정이 되면 레지스터(14)에 이동된 데이터가 레지스터(14)의 출력단자(Q0)로부터 출력되어 AND 게이트(25)를 통해서 메모리에 다시 입력이 된다.
이와 같은 과정이 반복되어 메모리의 기록영역에 저장되어 있는 음성 데이터의 기록 위치가 변경된다.
기록 이동이 종료될 때, 즉 상기한 좌표상의 Af-1까지의 데이터가 -Ab+Aa 만큼 수평이동이 완료될 때 레지스터(20)의 값 Af와 제1어드레스 카운터(1)의 값이 일치되어 비교기(21)의 출력단자(A=B)의 출력이 1(High)이 되고, 제2어드레스 카운터(2)의 값은 Af-Ab+Aa가 된다. 이것이 메모리 정리이후에 새로운 음성 데이터의 기록을 위한 시초 어드레스가 된다.
비교기(21)의 출력단자(A=B)로부터 출력된 신호는 종료신호(Sf)로서 출력되며, RS 플립플롭(26)을 리세팅하여 제4레지스터(20)의 병렬 인에이블 단자(/PE)에 0(Low)를 입력하고, 이어지는 게이트들을 통해 제2레지스터의 병렬 인에이블 단자( PE)에 1(High)를 입력하게 되므로 제2어드레스 카운터(2)의 값인 Af-Ab+Aa가 레지스터(6,20)에 이동되어 보관된다.
또한 종료신호(Sf)는 T 플립플롭(34) 및 레지스터(5)의 클리어 입력단자(CL)와 JK플립플롭(27,28,29)의 리세팅 입력단자(K)에 입력이 되어(배선 불표시)회로의 상태가 메모리 정리 이전의 상태로 환원이 된다.
제1도의 회로에서, 이후 시작 신호(Ps)에 의해 프리세트되는 제2어드레스 카운터(2)의 값은 레지스터(6)에 수정되어 보관된 새로운 기록을 위한 시초 어드레스가 되며, 기록시에는 제2어드레스 카운터(2)에 의해서 지정되는 어드레스에 기록을 하게 된다.
제1도의 회로에 있어서, 기록시와 정지시에 메모리의 기록 가능 시간(또는공간)은 제2어드레스 카운터(2)의 값을 디코딩하여 적당한 표시장치 예를 들어 그 값이 일정 수가 되면 디코딩되어 짧은 신호음을 내는 장치를 통하여 청각적으로 표시하거나, 일정수가 변동될 때마다 배열된 순서에 따라 소등 또는 점등되는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군 등을 통하여 시각적으로 표시할 수가 있다.
다음은 메모리 정리 이외시에 제1도에 도시되어 있는 회로에 대한 보충 설명을 한다.
기록과 재생시에 시작 신호(Ps)에 의해서 프리세트되는 제1 및 제2어드레스 카운터(1,2)에는 해당기록번호 입력 버튼으로(32)로 특정되는 정보영역의 어드레스와, 레지스터(6)에 보관된 기록영역의 새로운 기록을 위한 시초 어드레스 Af가 입력이 된다.
기록 및 재생시에는 RS 플립플롭(20)을 세팅하기 위한 Pa 신호는 사용되지 않는다. 따라서 리세팅 상태에 있는 RS 플립플롭(26)의 출력 0(Low)은 제4레지스터의 병렬 가능 입력(/PE)에 출력이 되므로 제4레지스터(20)는 직렬 이동 선택 입력(SE)에 1(High)이 입력되지 않는 한 제2어드레스 카운터(2)의 값에 따라 그 값이 변하게 된다.
기록시에는 (RE) 및 (PG)입력단자는 0(Low)상태를 유지한다. 기록시에, 링카운터(7)의 출력비트(Qc)가 1(High)이 될 때까지 제1어드레스 카운터(1)가 어드레스를 지정하면, 레지스터(20)에 보관된 시초 어드레스 Af가 메모리 소자부의 데이터 입력단자(MDI)를 통해 메모리에 직렬 이동되어 기록 시작위치가 메모리에 저장된다(이 기간동안 레지스터(20)의 직렬이동선택 입력단자(SE)에 1이 입력됨).
링카운터(7)의 출력비트(Qc)가 1(High)이되면 링카운터(7)의 인에이블 단자(EN)에 0(Low)을 입력함으로써 링카운터(7)의 동작이 정지되고, 제2어드레스 카운터(2)에 의해서 메모리의 어드레스가 지정되어 메모리에 기록이 이루어진다.
반도체 녹음기의 사용자가 외부 장치를 통해 외부에서 입력하는 기록 종료 신호(Cw)에 동기되어 링카운터(7)가 다시 계수 기능이 되고, 이와 동시에 JK 플립플롭(27)이 클리어 되어 제2어드레스 카운터(2)가 계수 정지되어 기록 종료 어드레스를 나타내고, 제2어드레스 카운터(2)의 값에 따라 그 값이 변하는 제4레지스터(20)는 기록 종료 위치, 즉 새로운 기록을 위한 시초 어드레스를 가리키게 된다.
이어 제1어드레스 카운터(1)에 의해서 메모리의 어드레스가 지정이 되면, 레지스터(20)에 보관된 다음 기록의 시초 어드레스(계수 정지된 제2어드레스 카운터(2)의 값)가 메모리 소자부의 데이터 입력단자(MDI)를 통해 메모리에 직렬로 이동된다(이 기간중 레지스터(20)의 직렬 이동 선택 입력(SE)에 1(High)이 입력됨).
링카운터(7)의 출력비트(Qa)가 1(High)이 되면 제1어드레스 카운터(1)는 클리어되고, 그 값은 메모리 소자부에 직렬 이동(Shift out)이후의 레지스터(20)의 값 0과 일치한다. 따라서 비교기(21)의 출력단자(A=B)로부터 종료신호(Sf)가 출력되며, 다음 기록의 시초 어드레스인 제2어드레스 카운터(2)의 값이 레지스터(6,20)에 입력이 된다.
기록의 재생시에는, 1(High)을 유지하는 외부 입력 신호(RE)의 도움으로 링카운터(7)의 출력비트(Qd)기 1(High)이 될 때까지 제2어드레스 카운터(2)의 계수를 정지시켜 Af(시작신호(Ps)에 의해 프리세트되는 값)를 보존하고, 제1어드레스 카운터(1)가 어드레스를 지정하여 해당 기록의 위치에 관한 기본 정보인 한 쌍의 시초 어드레스(Aa,Ab)가 레지스터(6,5)에 입력이 된다.
링카운터(7)의 출력비트(Qd)에 동기되는 신호(Pc)(RE× /Qd)에 의해서 링카운터(7)가 정지되고, 신호(Pc)가 제2어드레스 카운터(2)의 클럭 동기 프리세트 입력단자(SPR) 및 레지스터(5)의 병렬입력 인에이블 단자(PE)에 입력되고, 이후 클럭신호에 동기되어 그 값이 시로 치환되어 각각 Aa, Af가 되고 제1어드레스 카운터(1)의 클럭동기 프리세트 입력단자(SPR)에도 신호(Pc)가 입력되어, 레지스터(5)의 값 Ab가 입력이 된다.
제2어드레스 카운터(2)로 어드레스가 지정되어 기록의 재생이 이루어지고, 제2어드레스 카운터(2)의 값에 따라 그 값이 변하는 레지스터(20)의 값이 1씩 증가하여 제1어드레스 카운터(1)의 값인 Ab과 일치할 때 비교기(21)의 출력단자(A=B)로부터 종료 신호(Sf)를 얻고 레지스터(6)에 보관되어 있는 Af로 제2어드레스 카운터(2)가 프리세트된다. 제2어드레스 카운터(2)의 값에 따라 변하는 레지스터(2)의 값도 Af가 된다.
기억 용량이 작은 녹음기일수록 필요한 기록을 보호하기 위한 기능이 매우 높게 요구되는 바, 제1도와 같은 회로는 메모리 정리를 통하여 얻게 되는 새로운 기록을 위한 시초 어드레스가 반드시 기존의 기록을 보호하고 최대 기록을 할 수 있는 값을 가지게 되어 소용량의 반도체 녹음에 있어서는 필수적인 것이다.
이러한 점으로 인하여 메모리 정리 기능을 가진 반도체 녹음기가 전화기에 설치되어 사용되어 질 때, 소용량의 메모리를 가지고서도 어느 정도의 기억 용량이 아니면 실현할 수 없었던 통화중의 음성 메모리나 평상시의 음성 메모를 겸용할 수 있게 되며 특히 반도체 녹음기의 소형성으로 인하여 휴대용 무선전화기의 음성 메모장치로서 적합하게 된다.
기존의 반도체 녹음기에 있어서는 필요한 기록을 보호하면서 전기의 음성 메모를 하기 위해선 비교적 큰 메모리 용량이 필요하게 되므로 메모리 가격이 비싼 현재에는 전화기에 설치되는 반도체 녹음기가 다중의 상대방에게 미리 녹음한 일정한 메시지를 자동 응답으로 전하기 위한 목적에 주고 사용이 되고 있다.
다음에 기술된 내용은 수시로 메모리 정리를 하여 필요한 기록의 보호와 도시에 새로운 기록을 여분의 메모리 공간에 최대한으로 할 수 있게 되는 반도체 녹음기가 전화기에 설치되어 사용되어지는 예를든 것이다.
음성 신호 전류의 입·출력 단자가 전화 수화기의 송·수화선에 연결되어 설치되는 메모리 정리 기능 있는 반도체 녹음기에 있어서, 통상적으로 있게 되는 녹음, 재생, 정리의 온-오프 버튼(on-off Button), 기록번호 지정버튼(전화기의 번호 버튼과 병용 가능)외에, 제1도의 회로에서 설치 방법을 예시한 기록 가능 시간을 알기 위한 시각적 표시 장치, 녹음 일시 정지 버튼(반도체 녹음기 메모리의 어드레스 카운터의 계수 가능 입력단자에 배선되어 단순히 계수를 일시 정지시키는 것으로 기록 불능 상태가 됨)을 전화기 외부 표면에 설치하고, 기록 가능 시간의 청각적 표시 장치를 전화 수화기의 수화선에 연결하여 통화 내용 기록 중 잔여 기록 가능 시간의 청각적 표시 장치를 전화 수화기의 수화선에 연결하여 통화 내용 기록 중 잔여 기록 가능 시간을 수화기를 통해 알 수 있게 하고, 통화시 통화되는 내용 중에서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내용이 있을 때 짤막하게, 예를 들어 약속 장소, 일시, 거래 금액, 주소, 전화 번호 등의 중요한 내용만을 선택적으로 녹음하기 위하여 기록번호 버튼 및 녹음버튼을 눌러서 전화기에 설치된 반도체 녹음기에 기록하고, 일시 정지 버튼을 눌러 불필요한 기록을 하지 않고 있다가 필요시 일시 정지 버튼을 다시 눌러 필요한 내용만을 선택적으로 기록을 하게 하면 소용량의 반도체 녹음기를 가지고서도 비교적 장시간의 통화시에도 충분히 음성메모장치의 역할을 수행할 수가 있게 된다.
상기한 전화기에 설치되는 메모리 정리 기능이 있는 반도체 녹음기의 메모리 용량이 4M이고, 초당 음성 데이터량을 16K비트로 하면 평균 17초 정도의 불필요한 기록을 제외한 "필요한" 기록만을 15개까지 보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반도체 녹음기의 기능을 향상시키고, 메모리의 용량을 절약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 일정한 어드레스 차를 가지고 번갈아 어드레스를 지정하는 제1어드레스 카운터(1) 및 제2어드레스 카운터(2)를 사용하여 메모리에서 음성 데이터를 읽어내고 재기록하여 전기 일정한 어드레스 차만큼 기존의 기록을 메모리 공간상에서 이동시키고, 제1어드레스 카운터(1)로 제4레지스터(20)에 보관한 기존기록의 종점 어드레스까지 메모리에서 음성 데이터를 읽어내었을 때 제1어드레스 카운터의 값과 제4레지스터(20)의 값과의 일치를 비교기(21)로 포착하여 제2어드레스 카운터(2)의 재기록 완료 어드레스를 알아내고 제2어드레스 카운터(2)의 재기록 완료 어드레스를 제4레지스터(20)에 입력하여 기록이동이후의 기존의 기록과 새로운 기록을 위한 기록영역의 새로운 구분점으로 보관하고, 메모리의 정보영역으로부터 차례로 읽어낸 각 기록들의 위치 정보를 보관하는 제3레지스터(14)의 값과 기록이동시 제1어드레스 카운터(1)가 음성 데이터를 읽기 시작하는 시점 어드레스를 보관하는 제1레지스터(5)의 값을 가산기(16)을 통하여 감산한 결과로 대소 비교를 하여 각 기록들의 위치 변동 여부를 판별하고, 이에 따라 위치변동이 판별되면 제2어드레스 카운터(2)가 음성 데이터를 재기록하기 시작하는 어드레스를 보관하는 제2레지스터(6)의 값을 가산기(16)을 통하여 전기 감산한 결과에 누산하여 위치변동되는 기록의 위치정보를 수정하고 메모리의 정보영역에 다시 기록함으로써, 메모리에서 불필요한 기록을 삭제함과 동시에 기존의 필요한 기록들을 보호하고 새로운 기록을 위한 연속적인 메모리 공간을 확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녹음기용 메모리 정리장치.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20013814A KR950011967B1 (ko) | 1992-07-31 | 1992-07-31 | 반도체 녹음기용 메모리 정리 장치 |
PCT/KR1993/000066 WO1994003896A1 (en) | 1992-07-31 | 1993-07-31 | A memory arrangement device for a semiconductor record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20013814A KR950011967B1 (ko) | 1992-07-31 | 1992-07-31 | 반도체 녹음기용 메모리 정리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40002854A KR940002854A (ko) | 1994-02-19 |
KR950011967B1 true KR950011967B1 (ko) | 1995-10-12 |
Family
ID=193373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20013814A KR950011967B1 (ko) | 1992-07-31 | 1992-07-31 | 반도체 녹음기용 메모리 정리 장치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950011967B1 (ko) |
WO (1) | WO1994003896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00016501A1 (en) * | 1998-09-11 | 2000-03-23 | Motorola Inc. | Method and apparatus for coding an information signal |
KR20000036613A (ko) * | 2000-03-23 | 2000-07-05 | 최중인 | 시간 분할에 의한 객체지향 어드레스 지정 기법 |
Family Cites Familie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2939412C2 (de) * | 1979-09-28 | 1983-11-17 | Siemens AG, 1000 Berlin und 8000 München | Schaltungsanordung zum Adressieren von Daten für Lese- und Schreibzugriffe in einer Datenverarbeitungsanlage |
JPS6228993A (ja) * | 1985-07-30 | 1987-02-06 | Toshiba Corp | 記憶装置 |
GB8704315D0 (en) * | 1987-02-24 | 1987-04-01 | Int Computers Ltd | Data display apparatus |
JPH0748316B2 (ja) * | 1988-05-30 | 1995-05-24 | 日本電気株式会社 | デュアルポートメモリ回路 |
US5027330A (en) * | 1988-12-30 | 1991-06-25 | At&T Bell Laboratories | FIFO memory arrangement including a memory location fill indication |
DE4038328A1 (de) * | 1990-12-01 | 1992-06-11 | Grundig Emv | Adress-steuerung fuer einen first in-/first out-speicher |
-
1992
- 1992-07-31 KR KR1019920013814A patent/KR950011967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1993
- 1993-07-31 WO PCT/KR1993/000066 patent/WO1994003896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40002854A (ko) | 1994-02-19 |
WO1994003896A1 (en) | 1994-02-1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GB2207783A (en) |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with voice recognition function | |
ES457764A1 (es) | Perfeccionamientos en disposiciones de control de acceso de memoria en dispositivos multi-procesadores de datos. | |
KR100389987B1 (ko) | 음성 메모리 디바이스상에 저장된 정보용 분산 디렉토리 | |
KR950011967B1 (ko) | 반도체 녹음기용 메모리 정리 장치 | |
KR100327286B1 (ko) | 어드레스백업기능을갖는디지털음성기록재생장치및어드레스정보의관리방법 | |
EP0632458B1 (en) | Parallel data outputting storage circuit | |
US6145060A (en) | Data storage device with only internal addressing | |
EP0602896A2 (en) | Digital video cassette recorder | |
US5870354A (en) | Data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capable of detecting an input for controlling an output | |
KR19990029049A (ko) | 음성 기억 및 재생장치 | |
KR0115141Y1 (ko) | 오디오 신호 기록/재생장치 | |
JPS61246848A (ja) | 動作履歴記憶回路 | |
KR100403254B1 (ko) | 음성기록재생장치용메모리의판독/기록제어방법및제어회로 | |
JPH0254517B2 (ko) | ||
JPS58218677A (ja) | 音声記憶機能付電子機器 | |
JPH0756785A (ja) | ディジタル信号記録再生用メモリ | |
SU693408A1 (ru) | Генератор псевдослучайных чисел | |
JPH056214B2 (ko) | ||
JPS63276353A (ja) | ダイヤル番号音声確認方式 | |
JPS62223859A (ja) | Vtrのデ−タ記録方法及びデ−タ記録再生方法 | |
JPS61163397A (ja) | 電子式録音装置 | |
JPH0352445A (ja) | トーキーユニット録音方法 | |
JPH0575714A (ja) | サービストーン発生回路 | |
JPH0216476B2 (ko) | ||
JPH01251845A (ja) | 電話機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G160 |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