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11809B1 - 레이저 프린터의 한글 모아쓰기 방법 - Google Patents

레이저 프린터의 한글 모아쓰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11809B1
KR950011809B1 KR1019880012896A KR880012896A KR950011809B1 KR 950011809 B1 KR950011809 B1 KR 950011809B1 KR 1019880012896 A KR1019880012896 A KR 1019880012896A KR 880012896 A KR880012896 A KR 880012896A KR 950011809 B1 KR950011809 B1 KR 9500118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utral
hangul
final
type
init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128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05348A (ko
Inventor
정정오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주식회사
최근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주식회사, 최근선 filed Critical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8800128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11809B1/ko
Publication of KR9000053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53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118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18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5/00Arrangements for producing a permanent visual presentation of the output data, e.g. computer output printers
    • G06K15/02Arrangements for producing a permanent visual presentation of the output data, e.g. computer output printers using printers
    • G06K15/18Conditioning data for presenting it to the physical printing elements
    • G06K15/1848Generation of the printable ima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5/00Arrangements for producing a permanent visual presentation of the output data, e.g. computer output printers
    • G06K15/02Arrangements for producing a permanent visual presentation of the output data, e.g. computer output printers using printers
    • G06K15/12Arrangements for producing a permanent visual presentation of the output data, e.g. computer output printers using printers by photographic printing, e.g. by laser prin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Document Processing Apparatus (AREA)
  • Record Information Processing For Print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레이저 프린터의 한글 모아쓰기 방법
제1도는 한글 자소 분류표.
제2도는 한글 조합형 2바이트 코트를 초 ·중·종성 바이트로 나누는 방법을 보인 도면.
제3도는 본 발명을 수행하기 위한 메모리상에 필요한 데이타들을 저장해두는 포맷을 나타낸 것으로 제3a도는 시작 어드레스 테이블, 제3b도는 폰트 이미지 저장메모리를 나타낸 도.
제4도는 메모리에 저장된 폰트 이미지와 폰트 프레임과의 관계를 나타낸 도.
제5도는 본 발명의 한글 모아쓰기를 설명하는 플로우챠트.
제6도는 제1도의 한글자소 분류표에 의한 특성테이블.
제7도는 16단위 부호에서의 부분적인 비트 구성에 해당하는 한글 자모를 나타내는 표.
본 발명은 한글 모아쓰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적은 메모리에 많은 타입의 자소를 저장하고 이를 빠른 시간안에 처리하고자 하는 레이저 프린터 콘트롤러에 적합한 한글 모아쓰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프린터에서 한글을 인자하는 방법으로 완성형 이미지를 인자하는 방법과 초 ·중·종성 자소를 모아 쓰기하여 인자하는 방법이 있다. 한글을 완성형으로 이미지를 인자하는 경우 글자의 모양은 전체적으로 조화를 이루지만 저장 메모리를 많이 필요로 하는 단점이 있다. 즉, 한글의 초·중·중성으로 만들 수 있는 한글 자수는 총 11172자(19(초성)×21(중성)×28(종성)=lll72)가 된다. 따라서 완성헝으로 한글을 인자하기 위해서는 11172자를 저장할 수 있는 많은 메모리를 필요로 한다.
반면에 한글 모아쓰기에 의한 인자 방법은 초성, 중성, 종성을 각각 한글 한자의 크기로 저장하여 이를 오어링함으로써 인자하는 것이므로 메모리수가 완성형에 비하여 훨씬 감소될 수 있다. 즉, 제1도와 같은 자소 분류표에 의하여 모아쓰기를 할 경우에는 (334자(19초성)×8÷21(중성)×6÷28(종성)×2=334)를 저장할 메모리만을 필요로 한다.
그러나 종래의 방법에는 불필요한 여백이 메모리를 차지할 뿐만 아니라 인자시에는 상기 여백까지 프린트를 해야하므로 불필요한 시간이 소요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초성. 중성, 종성 이미지만을 메모리에 저장하여 프린트함으로써 메모리가 적게 들고, 초성, 중성, 종성 모아쓰기를 할때 읽어서 써주는 바이트수가 적어 처리 속도를 단축하는 한글 모아쓰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하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초성, 중성, 종성으로 이루어진 한글을 모아쓰기 하기위하여 초성, 중성, 종성의 결합방법에 따라 타입을 분류한 표로서 이 표는 모아쓰기 방법에 따라 여러가지 다른 방식으로 작성될 수 있다. 분류표를 보는 방식은 예를 들어 '한'자의 경우 초성'ㅎ'의 입장에서 보면 중성 ' ㅏ'와 종성'ㄴ'과의 결합이므로 초성타입은 6이 되고, 중성' ㅏ'의 입장에서 보면 초성'ㅎ'과 종성'ㄴ'과의 결합이므로 중성타입은 6이 되며, 종성 'ㅎ'과 중성' ㅏ'와의 결합이므로 종성타입은 1이 된다.
제2도는 한글조합형 2바이트 코드를 입력으로 받아 이를 초성바이트, 중성바이트 및 종성바이트로 각각 나누어 3바이트로 만드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제3도는 본 발명을 수행할 수 있도록 메모리상에 데이타를 저장하는 포맷을 나타낸 것으로 제3a도는 초, 중, 종성을 각 타입별로 순서대로 배열하여 그 번지에 그 자소의 이미지가 들어 있는 시작 어드레스를 저장에 두는 테이블이고, 제3b도는 상기 시작 어드레스 테이블로부터 정보를 읽어서 찍어야 할 폰트 이미지가 현재의 기준 좌표로부터 얼마만큼 이동하여 찍어야 할 것인지를 결정하는 폰트이미지 저장 메모리를 나타낸다. 제4도는 제3b도의 메모리에 저장된 폰트 이미지와 폰트 프레임 관계를 일예로써 나타내어 설명한 것이다.
제5도는 본 발명의 모아쓰기 방법을 흐름도로서 나타낸 것이며, 제6도는 제1도의 자소 분류표에 의하여 작성된 특성 테이블이며 제7도는 16단위 부호에서의 부분적인 비트 구성에 해당하는 한글 자모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모아쓰기를 시행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한글 조합형 코드 2바이트를 읽어서 제2도와 같이 초성, 중성, 종성의 3바이트로 나누는데 이는 제7도에서 찾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한'자의 코드를 찾을 때는 제7도에서 초성 'ㅎ'의 코드 '11110' , 중성 ' ㅏ'의 코드 'O0010', 종성'ㄴ'의 코드 'OO10O'이므로 초성 바이트는 '30'종성 바이트는 '2', 종성 바이트는 '4'가 된다.
다음에 모아쓰기할 한글의 종성이 존재하는지를 파단하여 자속의 타입을 결정하는데 이는 제6도의 특성 테이블에서 구할 수 있다. 종성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예를 들어'하'의 경우는 테이블 1과 테이블 2에서 구하며, '초성타입을 구하기 위해서는 테이블 2에서 중성 바이트값(2)에 해당되는 곳을 읽으면 그 값이 초성타입이 된다 이 예에서는 '1'이 된다. 중성타입을 구하기 위해서는 테이블 1에서 초성바이트 값(30)에 해당하는 곳을 읽으면 그 값이 중성타입이 되며, 이 예에서는'3'이 된다. 중성이 존재하는 경우, 예를 들어'한'의 경우는 테이블 3과 테이블 4에서 자소 타입을 구할 수 있으며 초성타입을 구하기 위해서는 테이블 3에서 중성바이트(2)에 해당하는 것을 읽으면 되고 이 예에서는 '6'이 된다. 종성 타입을 구하기 위해서는 테이블 4 에서 중성바이트 값에 해당하는 곳을 읽으면 되며, 이 예에서는 '1'이 된다. 중성타입은 본 발명의 예에서는 두가지의 경우만이 존재하는데 중성이 'ㄴ'이면 중성타입은 6이 되고 'ㄴ'이외의 다른 종성이면 중성타입은 5가 된다. 이와 같이 자소의 타입은 종성이 존재하는지 존재하지 않는지의 여부에 따라 달라지며 이에 따라 인자하면 된다. 종성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의 한글 인자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제6도의 테이블 2로부터 중성 바이트 어드레스에 저장된 초성 타입을 읽는다. 초성 베이스 어드레스, 초성바이트, 초성타입으로부터 초성 폰트이미지의 시작 어드레스를 제3a도의 시작 어드레스테이블로부터 찾는다. 초성폰트 이미지의 시작어드레스는 초성 베이스 어드레스에 초성바이트와(초성타입-1)에 32(1타입당 32개의 어드레스로 구성)를 곱한 값을 더하여 얻어지고, 여기서 초성베이스 어드레스는 전체 초성타입 어드레스의 최초 시작되는 어드레스이다. 다음에 초성폰트 이미지 시작 어드레스로부터 상대 x좌표의 바이트수, 상대 y좌표의 도트수를 읽어 현재 x, y좌표로부터 초성폰트 이미지가 쓰일 x, y좌표를 계산한다. 다음에 제3b도의 폰트 이미지 저장 메모리로부터 폭의 바이트수, 높이의 도트수를 읽고 제4도와 같은 폰트 이미지를 읽어 버퍼에 쌓는다. 이로써 초성이 메모리에 저장된다.
다음에 중성을 메모리에 저장하기 위해서는 먼저 테이블 1로부터 초성바이트어드레스에 저장된 중성타입을 읽고 중성 베이스 어드레스, 중성바이트, 중성타입으로부터 중성 폰트 이미지의 시작 어드레스를 시작 어드레스 테이블로부터 찾는다. 여기에서 중성 폰트 이미지의 시작 어드레스는 중성 베이스 어드레스에 중성 바이트와 중성타입-1에 32를 곱한 값을 더하여 구해지고, 중성베이스 어드레스는 전체 중성타입 어드레스에서 최초의 시작 어드레스를 나타낸다. 중성 폰트 이미지 시작 어드레스로부터 상대 x좌표의 바이트수와 상대 y좌표의 도트수를 읽어 현재 x, y좌표로부터 중성폰트 이미지가 쓰일 x, y좌표를 계산하고, 폰트 이미지 저장 메모리로부터 폭의 바이트수, 높이의 도트수, 및 폰트 이미지를 읽어 현재 버퍼의 내용(초성)과 오어링하여 버퍼에 세이브한다. 이렇게 하여 종성이 없는 한글 1자의 인자를 수행하게 된다.
다음에 종성이 존재하는 경우의 한글 인자방법을 설명한다. 초성을 버퍼에 세이브하는 단계는 종성이 없는 경우와 동일하지만 초성타입은 제6도의 테이블 3으로부터 구해지기 때문에 전자와 다르다는 것만 주의하면 된다.
중성을 버퍼에 세이브하는 단계 역시 종성이 없는 경우의 단계와 같지만 이때의 중성 타입은 종성이'ㄴ'인 경우 6이 되고 기타의 경우는 5가 된다. 이렇게 하여 초성과 중성이 버퍼에 세이브된다. 다음에 종성을 버퍼에 세이브하기 위해서는 제6도의 테이블 4로부터 중성 바이트어드레스에 저장된 종성타입을 읽고 종성 베이스 어드레스, 종성바이트, 종성타입으로부터 종성폰트 이미지의 시작어드레스를 제3a도의 시작 어드레스 테이블로부터 찾는다. 여기에서 종성폰트 이미지의 시작 어드레스는 종성 베이스 어드레스에 종성바이트와(종성타입-1)에 32를 곱한 값을 더하여 구해지고, 종성 베이스 어드레스는 전체 종성타입 어드레스 중에서 최초 시작되는 어드레스이다. 종성폰트 이미지 시작 어드레스로부터 상대 x좌표외 바이트수와 상대 y좌표의 도트수를 읽어 현재 x, y좌표로부터 종성폰트 이미지가 쓰일 x, y좌표를 계산한 다음, 폰트 이미지 저장메모리로부터 폭의 바이트수와 높이의 도트수를 읽고 폰트이미지를 읽어 현재 버퍼의 내용(초성, 중성)과 오어링하여 버퍼에 세이브한다. 이로써 초성, 중성, 종성으로 구성된 1자의 한글이 인자될 수가 있다.
제4도는 제3b도의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폰트 이미지(빗금친 부분)와 한글 한글자 전체프레임과의 관계를 나타낸 것이다. 즉 찍어야 할 폰트이미지를 찾았을때 이 폰트이미지를 현재의 기준 x, y좌표로부터 x축으로 얼마, y축으로 얼마를 이동시켜 찍을 것인가를 나타낸다. 여기에 필요한 정보는 폰트 이미지 저장 메모리(제3b도)에 저장되어 있는 상대 x좌표의 바이트수, 상대 y좌표의 바이트수, 폭의 바이트수 및 높이의 도트수가 된다.
상기 설명한 본 발명에 의하여 한글 모아쓰기를 행하면 초, 중, 종성 자소별 모아쓰기를 함으로 완성형에 비해 메모리가 적게들고 또한 한글 자소의 폰트프레임 전체를 가지고 있지 않고 각 자소의 이미지가 있는 부분만 메모리에 저장함으로 메모리가 적게 든다. 또한 초, 중, 종성 모아쓰기를 할때 읽어서 써주는 바이트 수가 적고 특성테이블에 의해 각 자소의 타입을 쉽게 찾을 수 있어 처리속도가 빨라지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2)

  1. 한글 조합형 2바이트 코드를 읽어서, 초성, 중성, 종성의 3바이트로 나누는 단계와; 특성테이블로부터 초성, 중성, 종성 타입을 찾는 단계와, 상기 테이블 및 시작어드레스 테이블로부터 각 자소의 시작어드레스를 찾는 단계와, 이미지 부분과 이에 관한 상대좌표, 폭 및 높이에 대한 정보만을 저장하고 있는 폰트 이미지 저장 메모리로부터 정보를 읽어서 각 자소를 세이브하는 단계와, 나중에 세이브된 자소는 먼저 세이브된 자소와 논리합하여 세이브하는 단계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프린터의 한글 모아쓰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특성테이블로서는 제6도의 특성테이블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모아쓰기 방법.
KR1019880012896A 1988-09-30 1988-09-30 레이저 프린터의 한글 모아쓰기 방법 KR9500118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80012896A KR950011809B1 (ko) 1988-09-30 1988-09-30 레이저 프린터의 한글 모아쓰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80012896A KR950011809B1 (ko) 1988-09-30 1988-09-30 레이저 프린터의 한글 모아쓰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5348A KR900005348A (ko) 1990-04-14
KR950011809B1 true KR950011809B1 (ko) 1995-10-10

Family

ID=192782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12896A KR950011809B1 (ko) 1988-09-30 1988-09-30 레이저 프린터의 한글 모아쓰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11809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5348A (ko) 1990-04-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S58212251A (ja) ドツト・バタ−ンの編集方法
KR950011809B1 (ko) 레이저 프린터의 한글 모아쓰기 방법
EP0409450B1 (en) Character generator
JP2584973B2 (ja) 文字認識装置における認識結果出力方法
JPH07122787B2 (ja) 連綿文字作成装置
JP2616669B2 (ja) 毛筆書体作成システム
JPH0373913B2 (ko)
JP2644778B2 (ja) 文字発生装置
JPS605469B2 (ja) ゲラ刷りシステム
JP2951809B2 (ja) 手書き文字フォント印字方式
JP3012269B2 (ja) 印刷制御装置
JPH08153092A (ja) 文書処理装置
JP3037888B2 (ja) 情報処理装置
JPS63259680A (ja) 文字フオント管理方法
KR910001559B1 (ko) 문서 작성 장치
JPH07132651A (ja) 印字処理装置
KR940018229A (ko) 레이저 빔 프린터의 고속 인쇄방법
JPH02253977A (ja) 印字装置
JPH0477277A (ja) 印刷装置
JPH0596811A (ja) 印字方法
JPH05158453A (ja) 文字検索方式
JPH05303669A (ja) 光学的文字読み取り装置
JPH0239358A (ja) 文書作成装置
JPH0486276A (ja) フォント情報格納方式
JPH04305694A (ja) ドットパターン格納装置並びに格納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122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