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11310B1 - 금속봉재의 제조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금속봉재의 제조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11310B1
KR950011310B1 KR1019920701033A KR920701033A KR950011310B1 KR 950011310 B1 KR950011310 B1 KR 950011310B1 KR 1019920701033 A KR1019920701033 A KR 1019920701033A KR 920701033 A KR920701033 A KR 920701033A KR 950011310 B1 KR950011310 B1 KR 9500113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ands
rolling
pair
slit
c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7010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7002096A (ko
Inventor
기이찌 마쓰오
Original Assignee
엔 케이 케이 코오포레이숀
사이또오 히로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 케이 케이 코오포레이숀, 사이또오 히로시 filed Critical 엔 케이 케이 코오포레이숀
Priority claimed from PCT/JP1991/001263 external-priority patent/WO1993005897A1/ja
Publication of KR9370020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70020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113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131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1/00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 B21B1/08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for rolling structural sections, i.e. work of special cross-section, e.g. angle steel
    • B21B1/0815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for rolling structural sections, i.e. work of special cross-section, e.g. angle steel from flat-rolled products, e.g. by longitudinal shea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 Roll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금속봉재의 제조방법 및 장치
[도면의 간단한 설명]
제1도는 본 발명에 관한 봉재 제조 설비의 완성압연열의 배치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제2(a)도~제2(g)도는 제1도에 나타낸 완성압연열의 각 스탠드의 로울캘리버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제3도는 K3스탠드의 직후에 배치된 제1 및 제2슬릿로울의 평면배치도이다.
제4도는 한쌍의 제1슬릿로울의 캘리버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제5도는 한쌍의 제2슬릿로울의 캘리버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제6도는 제3도에서 제5도에 걸쳐 나타낸 한쌍의 제1슬릿로울 및 한쌍의 제2슬릿로울에 따라 구성된 슬릿로울가이드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제7(a)도~제7(h)도는 5개의 봉재를 동시에 압연하는 경우의 K3에서 K1로울 스탠드의 로울캘리버에 의한 스트랜드의 변형과정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제8(a)도~제1(i)도는 6개의 봉재를 동시 압연하는 경우의 K5에서 K1로울 스탠드의 로울 캘리버에 의한 스트랜드의 변형과정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제9(a)도~제9(c)도는 선행기술 1에 있어서의 압연과정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제10(a)도~제10(d)도는 선행기술 2에 있어서의 압연과정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제11도는 선행기술 2에 있어서의 여러쌍의 슬릿로울의 배치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기술분야]
본 발명은 1개의 빌릿(billet)으로부터 4개이상의 금속봉재(金屬棒材) 특히 강제봉재(鋼製棒材)를 동시에 압연하여 제품을 얻은 금속봉재의 제조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배경 기술]
직경이 9~20mm 정도의 강제봉재는 콘크리이트를 강화하는 콘크리이트봉재로서 대량으로 제조되고 있다. 여기에서 봉재라 함은 단면이 대략 원형인 봉재일뿐 아니라 단면이 약간 타원형 또는 4각형(square shape)의 봉재, 및 상기한 봉재에 리브가 형성된 리브 봉재등도 포함한다.
이와 같은 봉재는 일반적으로 16~20 스탠드로 된 봉재 압연기에 따라 다음과 같이 하여 제조된다.
봉재 압연기는 대별하면 조잡압연열(roughing rolling train)과 완성압연열로 되어 있고, 조잡압연열에서 일반적으로 100~150mm의 빌릿(鋼片)을 압연하여 그 단면적을 70~95%로 감소시켜 중간빌릿을 조제한다. 이어서 완성압연열에 의하여 상기한 중간빌릿 압연함에 따라 최종제품을 얻는다. 이와 같이 1개의 빌릿으로 1개의 금속봉재를 제조하는 방법이 일반적이지만, 이와 같은 제조방법에서는 생산능률이 좋지 않다.
그리하여 완성압연열에서 1개의 중간 빌릿으로 여러개의 봉재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다음의 방법이 제안되고 있다. (1) 1984년 2월 8일자의 일본국 특개소 59-24503호에 개재된 완성압연열로서 1개의 중간빌릿으로부터 동시에 3개의 봉재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이하, 선행기술 1이라 한다). 선행기술 1의 방법에 있어서, 완성압연열은 중간빌릿을 제9(a)도에 나타낸 서로 엷은 연결부(2d,2e)에 의하여 연결된 3개의 스트랜드(strand)(2a,2b,2c)로 압연하기 위한 2개의 스탠드(stand)(K4,K3)와 연결된 3개의 스트랜드(2a,2b,2c)를 그 연결부(2d,2e)에서 절단하기 위한 한쌍의 슬릿로울(slit roll)과 제9(b)도에 나타낸 절단된 3개의 스트랜드(2a,2b,2c)를 타원형상으로 압연하기 위한 한쌍의 캘리버로울을 지닌(K2)와, 그리고 제9(c)도에 나타낸 최종제품인 3개의 봉제(3a,3b,3c)를 얻기 위한 완성캘리버(孔型) 부착의 한쌍의 로울을 지닌 스탠드(K1)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9(b)도는 한쌍의 슬릿로울으로 절단된 상태의 스트랜드를 나타내었고, 그리고 제9(c)도는 K1스탠드로 압연된 다음의 최종제품의 봉재(3a,3b,3c)의 형상을 뜻한다.
선행기술 1은 이와같은 완성압연열에 의하여 1개의 중간 빌릿으로 동시에 3개의 봉재를 제조함에 한정되어 있다. (2) 1985년 5월 23일자의 일본국 특개소 60-92001호에 개재된 1개의 중간 빌릿으로 동시에 4개의 봉재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이하, 선행기술 2이라 한다). 선행기술 2은 본건 발명의 특허출원인이 선행기술 1의 방법의 생산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개발한 것으로서 선행기술 2의 방법에 의하면 다음과 같이하여 봉재가 제조된다. 즉, 상기한 K4및 K3스탠드에 의하여 제10(a)도에 나타낸 서로 엷은 연결부(4e,4f,4g)에 의하여 연결된 4개의 스트랜드(4a,4b,4c,4d)를 형성한다. 이어서 K3및 K2스탠드의 중간에서, 제11도에 나타낸 한쌍의 제1슬릿로울(6)에서 제1(b)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4개의 스트랜드(4a,4b,4c,4d)를 그 중앙의 연결부(4f)에 잇따라서 절단한다. 이어서 제11도에 나타낸 2쌍의 제2슬릿로울(7,8)에서 연결부(4e,4g)에 잇따라서 절단하고, 제10(c)도에 나타낸 4개의 스트랜드(4a,4b,4c,4d)를 수득하였다. 이어서 4개의 스트랜드(4a,4b,4c)를 동시에 압연하여 제1(d)도에 나타낸 최종 제품의 봉재(5a,5b,5c,5d)를 제조한다. 스트랜드의 압연 및 절단 과정을 제10(a)도~제10(d)도에 나타내었고 슬릿로울의 평면배치를 제11도에 나타내었다.
그러나, 선행기술 2의 방법은 4개의 봉재를 동시에 제조하는 방법에 한정되는 점에 한계가 있다.
본원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한 보다 개량된 금속봉재의 제조방법으로서 본원 발명의 목적은 4개이상의 금속봉재를 동시에 제조하는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발명의 설명]
본 발명은 종래의 조잡압연열을 이용하여 금속봉재를 제조하기 위한 완성압연열의 새로운 구성 및 압연방법을 제안한 것이다.
완성압연열의 스탠드는 압연방향으로 향하여 K4,K3,K2,K1스탠드이라 한다.
① 평평한 중간 빌릿이 조잡압연열에 완성압연열의 K4스탠드에 공급된다. 조잡압연열의 최후의 로울스탠드를 K5스탠드이라 한다.
② 목표로하는 봉재수를 N개이라 하면, K4스탠드는(N-1)개의 철부를 갖는 성하 한쌍의 로울으로 구성된다. 이 철부 부착로울에 따라 중간빌릿을 압연하여 구획된 부분이 대략 동일 단면적을 갖도록 중간빌릿에 요부를 넣는다.
③ K3스탠드는 한쌍의 캘리버로울으로 구성되어 한쌍의 로울의 폭방향의 양단의 2개의 캘리버는 가로방향으로 긴 타원형상의 단면을 하고 있고, 그리고 한쌍의 로울은 때에 따라서는 상하 방향으로 긴 타원형의 캘리버를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K3스탠드에서는 캘리버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지닌 스트랜드가 형성되어 있다.
④ K3스탠드에 인접하여 설치하는 여러쌍의 슬릿로울 배치에 본 발명에 있어서의 주된 특징이다. 즉, K3스탠드의 직후에 2개의 칼날부분을 갖는 한쌍의 제1슬릿로울을 배치하여 중간 빌릿의 양단의 2개의 스트랜드를 그 연결부에서 절단한다. 다음에 4개의 봉재를 동시에 제조하는 경우에는 1개의 칼날부분을 지닌 한쌍의 제2슬릿로울에서 스트랜드의 중앙의 연결부를 절단한다. 5개의 봉재를 제조하는 경우에는 2개의 칼날을 구비한 한쌍의 제2슬릿로울으로 스트랜드를 절단한다. 동시에 6개 또는 7개의 봉재를 제조하는 경우에는 한쌍의 제3슬릿로울을 한쌍의 제2슬릿로울의 후부에 배치한다. 이상과 같이 연결한 스트랜드를 그 양단의 스트랜드에서 중앙의 스트랜드로 향하여 여러쌍의 슬릿로울으로 순차 절단함에 본 발명의 특징이 있다. 동시에 2개 이상의 스트랜드를 절단하면, 절단된 스트랜드가 서로 분리할 수 없기 때문이다.
⑤ 모든 스트랜드를 절단한 다음 절단된 모든 스트랜드를 K2스탠드에서 보통의 오발(oval) 압연을 한다. 따라서 K2스탠드에는 동시 압연하는 스트랜드의 개수만큼의 오발캘리버를 구비한 상하 한쌍의 로울이 설치되어 있다.
⑥ K2스탠드의 후방에는 최종압연을 하는 K1스탠드가 배치되어 있다. K1스탠드에서는 K2스탠드에서 압연된 스트랜드를 최종제품의 치수, 형성이 되도록 압연한다. 따라서, K1스탠드에는 최종제품의 치수 및 현상을 지닌 캘리버를 구비한 상하 한쌍의 로울이 설치되어 있다.
[발명의 실시하기 위한 가장 좋은 형태]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첨부도면에 따라서 설명한다. 제1도에 있어서, (9)는 조잡압연열의 최종스탠드 K5이고, 일반적으로는 한쌍의 수직로울(V로울이라 한다)을 지니고 있어 다음의 K4스탠드에 공급하는 중간 빌릿의 형상을 최종적으로 조정한다. (11)는 K4스탠드, (13)은 K3스탠드, (16)은 한쌍의 제1슬릿로울, (17)은 한쌍의 제2슬릿로울, (18)은 K2스탠드, (20)은 K1스탠드를 뜻한다. 더우기, 도면에는 없으나 K5스탠드의 전방에는 보통의 조잡압연열이 배치되었고 또 K1스탠드의 후방에는 압연재를 일정한 치수를 절단하는 장치 및 쿠울링 베드등을 구비한 정제 설비가 배치되어 있다. 제1도에 나타낸 스탠드 배치에 있어서의 로울캘리버 및 스트랜드의 변형과정을 제2도에 따라서 설명한다.
제2(a)도는 전술한 K5스탠드의 로울캘리버 형상 및 중간 빌릿(10)의 형상을 뜻한다. K5스탠드는 한쌍의 V로울에 따라 K4스탠드에 있어서의 압연에 필요한 형상을 중간 빌릿(10)에 부여한다.
제2(b)도는 4개의 스트랜드를 동시 압연하는 경우의 전체적으로는 타원형상의 캘리버로울(11) 및 4분할된 스트랜드를 뜻한다. 캘리버로울(11)은 제2(b)도에 도해한 바와같이 3개의 철부(凸部)(11a,11b,11c)를 지니고 있고, 중간 빌릿(10)을 대략 동일 단면적을 지닌 4개의 스트랜드(12a~12d)로 분할한다. 이러한 경우 캘리버 로울의 철부의 깊이는 1~4mm 정도이고, 얕은 균열로서 4개의 스트랜드(12a~12d)는 서로 충분히 연결되어 있다. 균열이 깊이는 스트랜드(12)의 두께에 대하여 10~20%이다. 분할된 4개의 스트랜드(12a~12d)는 대략 각형 또는 타원형을 뜻한다.
제2(c)도는 연결한 4개의 스트랜드가 K2스트랜드이고, 또한, 압연되는 상태를 뜻한다. 양단의 로울캘리버(13a,13d)는 타원형 또는 상자형으로서 중간의 로울캘리버(13b,13c)는 원칙적으로는 다이어몬드형이라 한다. 따라서 양단의 스트랜드(14a,14d)는 상자형이고, 중간의 2개(14b,14c)는 다이아몬드형이다. 4개의 스트랜드는 엷은 연결부(이하, 연결부라고 한다)(14e~14g)에서 서로 연결되어 있다.
제2(d)도는 한쌍의 제1슬릿로울이며 연결부중에서 양단의 연결부(14e,14g)를 절단한 상태를 뜻한다.
제2(e)도는 한쌍의 제2슬릿로울이며, 중앙의 연결부(14f)가 절단된 다음의 스트랜드(14a~14d)를 뜻한다.
제2(b)도는 K2스탠드에 있어서 로울캘리버(18a~18d) 및 스트랜드(19a~19d)를 뜻한다. K2스탠드는 제2(b)도에서 나타낸 4개의 스트랜드를 최종 압연에 적합하도록 압연하기 위하여 타원형상의 로울캘리버를 지니고 있으며, 이에 따라서 타원형상을 지닌 4개의 스트랜드가 형성된다.
제2(g)도는 최종압연을 하는 K1스탠드에 있어서의 로울캘리버(20a~20d)를 뜻한다. 최종 제품의 둥근 봉재인 경우에는 로울 캐릴버는 둥근 캘리버이다. 최종 제품이 타원 또는 각형인 경우에는 K1스탠드에 있어서의 로울캘리버의 형상을 최종 제품의 형상과 일치하도록 형성하여 둘 필요가 있다. 최종제품이 리브부착 봉재인 경우에는 로울캘리버(20a~20d)는 리브가 제품에 인가될 수 있는 캘리버로 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중간빌릿(10)등의 개략치수를 뜻한다. 실시예에서는 150mm의 빌릿을 우선 조잡압연열로 압연하였다. 그 최종 스탠드 K5에서 압연하여 얻은 중간빌릿(10)의 치수는 폭 41.24mm, 두께 13.48mm이고, 폭중앙부가 부풀어진 상자형상이었다. 따라서 로울캘리버도 상자형상이었다. K4스탠드에 있어서의 로울캘리버는 폭이 약 48.1mm, 최대 두께 약 10.5mm의 전체로서 타원형상을 구비하였고 그리고 로울캘리버를 대략 4등분하는 위치에 철부(11a~11c)를 구비하고 있었다. 4등분된 스트랜드의 폭은 각기 11.5~12.5mm이였다.
K3스탠드에 있어서의 양단의 로울캘리버(13a,13d)는 폭약 7.9mm, 두께 약 9.5mm의 타원 형상이였다. 중간의 다이어몬드 형상의 로울캘리버(13b,13c)는 폭 약 11.4mm, 두께 약 12mm이였다. 연결부는 폭이 약 0.8mm, 두께 약 1mm 이하이였다. K2스탠드에 있어서의 로울캘리버는 폭약 17.8mm, 두께 약 6.6mm의 납작한 타원형상이였다. K1스탠드(20)의 로울캘리버는 직경이 약 8.9mm의 둥근캘리버였다. 따라서 최종 제품으로서 약 8.8mm 직경의 봉재를 제조할 수 있었다.
상술한 치수는 어디까지나 실시예의 일부로서, 이것들의 치수는 한정되지 않으면, 치수도 개략의 수치이다.
다음에 본 발명의 주요부분을 차지하는 여러쌍의 슬릿로울의 구조를 제3도에서 제8도에 따라 설명한다.
제3도는 K3스탠드의 직후에 배치되는 한쌍의 제1슬릿로울(16) 및 한쌍의 제2슬릿로울(17)의 평면 배치도이다. (16c,16d,17b)는 각기 절단된 스트랜드의 진행방향을 조정하는 가이드이다.
제4도에 스트랜드(14a~14d)의 절단 상태를 뜻한다.
본 발명의 특징은 K3스탠드를 압연되어 4분할된 4개의 스트랜드(14a~14d)중에서 바깥쪽의 2개의 스트랜드(14a,14d)의 연결부를 한쌍의 제1슬릿로울(16)의 2개의 칼날(16a,16b)로 절단함에 있다. 2개의 칼날(16a,16b)의 형상에서 중요한 점은 절단된 양측의 스트랜드(14a,14d)를 바깥쪽으로 향하도록 그 칼날을 구성하는 일이다.
다음에 제5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한쌍의 제2슬릿로울(17)의 칼날(17a)에 따라 중앙의 2개 스트랜드(14b,14c)를 그 연결부(14f)에 잇따라서 절단한다. 한쌍의 제2슬릿로울의 칼날(17a)의 각도는 절단된 스트랜드가 서로 바깥쪽으로 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선행 기술 2와 달라서 우선 양단의 스트랜드를 절단하고 다음에 안쪽의 2개의 스트랜드를 순차로 절단함에 특징을 지니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제3도에서 제5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스트랜드의 양단으로부터 중앙부에 향하여 순차로 절단하는 방법을 채용한다. 이 방법에 의하면 스트랜드의 압연속도에 불구하고 한쌍의 제1슬릿로울(16)의 위치에 관하여 한쌍의 제2슬릿로울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고, 또 압연속도의 변화에도 대응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제6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한쌍의 제1슬릿로울(16) 및 한쌍의 제2슬릿로울(17)은 하우징(22)에 수용되어 있다. (23)은 절단된 스트랜드를 유도하기 위한 가이드이다. 전체를 슬릿로울 가이드이라 칭한다. 이상은 동시에 4개의 봉재를 제조하는 경우의 실시형태이다.
제7도는 5개의 봉재를 동시에 제조하는 실시형태를 뜻하며, 제8도는 6개의 봉재를 동시에 제조하는 실시형태를 뜻한다. 5개 또는 6개의 봉재의 동시 제조 방법은 4개의 봉재를 동시에 제조하는 경우와 전혀 마찬가지이지만 다음에 보충 설명을 한다.
제7(a)도는 K5스탠드에 있어서의 로울캘리버(9a) 및 중간빌릿(10)을 뜻한다.
제7(b)도는 K4스탠드의 한쌍의 로울(24)이고 5개의 같은 단면적의 스트랜드(25a~25e)가 압연되는 상태를 뜻한다.
제7(c)도는 K3스탠드의 1쌍의 로울(26)이고, 양단의 스트랜드(27a,27e)가 타원형 또는 상자형 스트랜드에 중간의 3개의 스트랜드(27b~27d)가 다이어몬드형 또는 수직방향으로 길다란 타원형으로 압연되는 상태를 뜻한다.
제7(d)도는 한쌍의 제1슬릿로울(28)의 2개의 칼날(28a,28b)로 양단의 스트랜드(27a,27b)를 절단하는 상태를 뜻한다.
제7(e)도는 2개의 칼날(29a,29b)을 지닌 1쌍의 제2슬릿로울(29)이고, 연결한 3개의 스트랜드(27b,27c,27d)를 그 연결부(27g,27h)에서 절단하는 상태를 뜻한다.
제7(f)도~제7(h)도는 절단된 스트랜드(27a~27e)가 K2,K1스탠드에서 압연되는 상태를 뜻한다.
제8(a)도~제8(i)도는 6개의 봉재를 동시에 제조하는 경우의 로울캘리버 및 스트랜드의 변형상태를 뜻한다.
제8(a)도는 K5스탠드, 제8(b)도는 K4스탠드, 제8(c)도는 K3스탠드에 있어서의 스트랜드의 변형과정을 뜻한다.
제8(d)도는 1쌍의 제1슬릿로울(38)에 의한 스트랜드의 절단상태, 제8(b)도는 1쌍의 2슬릿로울(39)에 의한 스트랜드의 절단상태, 제8(f)도는 1쌍의 제3슬릿로울(40)에 의한 스트랜드의 절단상태를 각기 뜻한다.
동시에 제조하는 봉재의 본수를 N(N≥4이다) 이라 하면, N이 짝수인 경우에는 1/2×N쌍의 슬릿로울을 구비한다. 그리고, N이 홀수인 경우에는 1/2×(n-1)쌍의 슬릿로울을 구비한다.
제8(h)도는 K2스탠드에 있어서의 압연상태, 제8도(i)는 K1스탠드에 있어서의 압연상태를 각기 뜻한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주로 4개 이상의 강제봉재를 동시에 압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이지만 알루미늄, 구리, 그밖에 일반적인 금속봉재의 제조에 이용할 수 있는 것은 그 발명의 원리로부터 명백하다.

Claims (9)

  1. 다음 단계로 이루어지는 1개의 중간빌릿으로부터 N개(N은 4이상)의 금속봉재를 동시에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1) 1개의 중간빌릿을 형성하고, (2) 이어서, 중간빌릿은 실질적으로 같은 단면을 지니고, 또한, 두꺼운 연결부로 상호 연결된 N개의 스트랜드에 압연하고, (3) 이어서, 상기 N개의 스트랜드는 실질적으로 같은 단면을 지니고, 또한, 엷은 연결부로 상호 연결된 N개의 스트랜드에 압연하고, (4) 이어서, 상기 N개의 스트랜드로부터 최양측에 위치하는 스트랜드의 각각을, 각기 엷은 연결부에 잇따라서 절단하고, (5) 이어서, 아직 절단되어 있지 않은 나머지 엷은 연결부에 잇따라서 절단하고, (6) N개의 홀수인 경우에는 상기 N개의 스트랜드의 나머지 스트랜드의 모두가 각기의 엷은 연결부에 잇따라서 절단될때까지 상기 단계(5)에 특정된 상기 절단을 반복하며, (7) N가 짝수인 경우에는 아직 절단되어 있지 않은 상기 나머지 스트랜드의 최후 2개의 스트랜드를 엷은 연결부에 잇따라서 절단하고, 그리고, (8) 이어서, 상기 절단된 N개의 스트랜드를 N개의 금속봉재에 동시에 압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봉재의 제조방법.
  2. 다음 단계로 이루어지는 1개의 중간빌릿으로부터 N개(N은 4이상)의 금속봉재를 동시에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1) 1개의 중간빌릿을 형성하고, (2) 이어서, 상기 중간빌릿은 실질적으로 같은 단면적을 지니고, 또한, 두꺼운 연결부로 상호 연결된 N개의 스트랜드에 압연하고, (3) 이어서, 상기 N개의 스트랜드는 최양측에 위치하는 스트랜드의 각각을 단면 타원형, 또는 단면 직사각형으로 압연하고, 그리고 나머지 스트랜드의 각각을 단면 다이아몬드형으로 압연하고, 상기 N개의 스트랜드의 모두는 엷은 연결부로 상호 연결되어 있으며, (4) 이어서, 상기 N개의 스트랜드로부터 최양측에 위치하는 스트랜드의 각각을, 각기 엷은 연결부에 잇따라서 절단하고, (5) 이어서, 아직 절단되어 있지 않은 나머지 스트랜드로 부터 최양측에 위치하는 스트랜드의 각각을, 각기 엷은 연결부에 잇따라서 절단하고, (6) N개의 홀수인 경우에는, 상기 N개의 스트랜드의 나머지 스트랜드의 모두는, 각기 엷은 연결부에 잇따라서 절단될때까지 상기 단계(5)에 특정된 상기 절단을 반복하며, (7) N가 짝수인 경우에는 아직 절단되지 않은 상기 나머지 스트랜드의 최후 2개의 스트랜드를 엷은 연결부에 잇따라서 절단하고, 그리고, (8) 이어서, 상기 절단된 N개의 스트랜드를 N개의 금속봉재에 동시에 압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봉제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1개의 중간빌릿으로부터 N개(N은 4이상)의 금속봉재를 동시에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1) 1개의 빌릿은 봉재압연기의 조잡압연열에 따라서, 1개의 중간빌릿에 압연하고, 그리고, (2) 이어서, 상기 중간빌릿을 상기 봉재압연기의 완전압연열에 따라서 N개의 금속봉재에 압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금속봉재의 제조방법.
  4. 제1항, 제2항 또는 제3항의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N개의 스트랜드는 4개의 스트랜드로 되어 있는 금속봉재의 제조방법.
  5. 제1항, 제2항 또는 제3항의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N개의 스트랜드는 5개의 스트랜드로 되어 있는 금속봉재의 제조방법.
  6. 제1항, 제2항 또는 제3항의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N개의 스트랜드는 6개의 스트랜드로 되어 있는 금속봉재의 제조방법.
  7. 다음 단계로 이루어지는 1개의 중간빌릿으로부터 N개(N은 4이상)의 금속봉재를 동시에 제조하는 장치에 있어서, 복수쌍의 슬릿로울로 되어 있는 슬릿로울 가이드는, (1) N가 홀수인 경우에는 압연방향으로 직렬 배열된(1/2×N-1)쌍의 슬릿로울, 이 1/2×(N-1)쌍의 슬릿로울의 각 한쌍의 두쌍의 칼날부를 지니고 있으며, (2) N가 짝수인 경우에는 압연방향으로 직렬 배열된 1/2×N쌍의 슬릿로울, 이 1/2×N쌍의 슬릿로울중의 1/2×(N-1)쌍의 슬릿로울의 각 한쌍은 두쌍의 칼날부를 지니고 있으며, 그리고, 상기 1/2×N쌍의 슬릿로울중의 최후의 한쌍의 슬릿로울은 단일쌍의 칼날부를 지니고 있으며, (3) 각각, 상기 두쌍의 칼날부를 지니는 상기 복수쌍의 칼날부 사이의 간격이 압연방향에 있어서 순차적으로 적게 되도록 압연방향으로 직렬 배치되어 있으며, (4) N가 짝수인 경우에는 상기 단일쌍의 칼날부를 지닌 최후의 한쌍의 슬릿로울은 압연방향에 있어서 최후의 배치되어 있으며, 그리고, (5) 상기 한쌍의 슬릿로울의 칼날부는 압연방향과 평행하고, 그리고, 상기 한쌍의 슬릿로울의 칼날부는 대칭적으로 상호 대면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봉재의 제조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완성압연열은, 압연방향으로 직렬 배치된 제1에서 제4의 로울스탠드(K4,K3,K2,K1)과, 제1에서 제4의 로울스탠드의 각각은 금속봉재를 압연하기 위한 한쌍의 캘리버로울을 지니고 있으며, 그리고 상기 제2로울스탠드(K3)와 상기 제3로울스탠드(K2) 사이에 배치된 슬릿로울가이드를 구비하여서 된 금속봉재의 제조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봉재 압연설비는, 조잡압연열과 이 조잡압연열의 직후에 설치되어 있는 완성압연열을 구비하여서 된 금속봉재의 제조방법.
KR1019920701033A 1991-09-21 1991-09-21 금속봉재의 제조방법 및 장치 KR95001131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1991/001263 WO1993005897A1 (fr) 1990-08-20 1991-09-21 Procede de fabrication de barres metalliques et appareil associ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7002096A KR937002096A (ko) 1993-09-08
KR950011310B1 true KR950011310B1 (ko) 1995-09-30

Family

ID=813893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701033A KR950011310B1 (ko) 1991-09-21 1991-09-21 금속봉재의 제조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1131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096711A (zh) * 2014-07-08 2014-10-15 江苏永钢集团有限公司 一种多线切分共用空过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096711A (zh) * 2014-07-08 2014-10-15 江苏永钢集团有限公司 一种多线切分共用空过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7002096A (ko) 1993-09-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26044A (en) Method of producing steel bars from billets
EP0597093B1 (en) Method of manufacturing metal bars and apparatus therefor
US6568056B2 (en) Hot continuous-rolling system with vertical-roll stand
KR950011310B1 (ko) 금속봉재의 제조방법 및 장치
US5284042A (en) Method to obtain sections and/or bars in the cold state, and sections and/or bars thus obtained
US4420961A (en) Method for producing beam blank for universal beam
US4193283A (en) Method of slitting a double or triple stranded bar
EP1038599B1 (en) Slitter for production of multiple sections
US4007617A (en) Method of rolling metal blanks
JP2630067B2 (ja) 金属棒材の製造方法および装置
US4070893A (en) Finish rolling method for production of round cross-sectional shape materials
JPH0796301A (ja) 1系列圧延方法
CN114042754A (zh) 一种型材轧制系统及生产方法
US4204416A (en) Method of rolling section billets
US4201075A (en) Method of rolling section billets
JP2738280B2 (ja) 外法一定平行フランジ溝形鋼の製造方法
SU622514A1 (ru) Способ прокатки заготовок
JPH0441006A (ja) 継目無角形鋼管の製造方法及びその製造装置
JP2001205301A (ja) 圧延設備
DE2757071A1 (de) Verfahren zum walzen von knueppeln
JP3582222B2 (ja) 形鋼用粗形鋼片の圧延方法
JPH0810918A (ja) ビレット圧延法
JP2529846B2 (ja) クラッド線棒材の孔型圧延方法
JPH05269502A (ja) H形鋼の熱間圧延方法
SU837519A2 (ru) Способ производства заготовокиздЕлий ТипА гильз дизЕль-MOTOPOB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917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