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11105B1 - 펜텐산의 히드로카르복실화에 의한 아디프산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펜텐산의 히드로카르복실화에 의한 아디프산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11105B1
KR950011105B1 KR1019910023658A KR910023658A KR950011105B1 KR 950011105 B1 KR950011105 B1 KR 950011105B1 KR 1019910023658 A KR1019910023658 A KR 1019910023658A KR 910023658 A KR910023658 A KR 910023658A KR 950011105 B1 KR950011105 B1 KR 9500111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hodium
reaction
acid
hydrocarboxylation
carried o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236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11995A (ko
Inventor
델리 필립
데니 필립
그로쎄링 쟝-미쉘
메 프랑소와
Original Assignee
롱-쁠랑 쉬미
노엘 비냘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롱-쁠랑 쉬미, 노엘 비냘리 filed Critical 롱-쁠랑 쉬미
Publication of KR9200119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119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111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1105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55/00Saturated compounds having more than one carboxyl group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 C07C55/02Dicarboxylic acids
    • C07C55/14Adipic acid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51/00Preparation of carboxylic acids or their salts, halides or anhydrides
    • C07C51/10Preparation of carboxylic acids or their salts, halides or anhydrides by reaction with carbon monoxide
    • C07C51/14Preparation of carboxylic acids or their salts, halides or anhydrides by reaction with carbon monoxide on a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 in organic compound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Low-Molecular Organic Synthesis Reactions Using Catalysts (AREA)
  • Catalys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펜텐산의 히드로카르복실화에 의한 아디프산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펜텐산의 히드로카르복실화, 즉 적어도 하나의 펜텐산에 대한 물 및 일산화탄소의 반응에 의해 아디프산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유럽 특허 출원 제188 209호에서는 불포화 모노카르복실산, 특히 펜트-3-엔산, 일산화탄소 및 물을 로듐-기제 촉매 및 요오드-함유 조촉매 존재하에 염화메틸렌 등의 용매중에서 100~240℃, 바람직하게는 150~180℃에서, 전압 14~240기압, 바람직하게는 24~40기압하에 반응시킴으로써 직쇄 디카르복실산, 특히 아디프산을 제조하는 방법이 제안되었다.
반응 혼합물의 함수량 및 용매는 당해 방법을 구성하는 범위내에서 선택되어야 하며 이런 것은 공업적 규모의 견지에서는 수용하기 어려운 제한이다.
미합중국 특허 제3,579,552호에는 올레핀 및 그의 일부 유도체의 히드로카르복실화 반응시 로듐-기재 촉매 및 요오드-함유 조촉매를 사용한다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직쇄 산의 비율이 여전히 불충분하다.
미합중국 특허 제3,579,551호에는 올레핀 및 그의 일부 유도체의 히드로카르복실화 반응시 로듐-기재 촉매 및 요오드-함유 조촉매를 사용한다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계의 활성은 여전히 불충하다.
이런 상황하에 활성 및 아디프산의 선택성이 개선되고 상술한 제한이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극복된 유용한 촉매계가 명백히 요망된다.
즉, 본 발명의 목적은 로듐 또는 로듐 화합물 및 요오드-함유 조촉매 존재하에 적어도 하나의 펜텐산을 히드로카르복실화하여 아디프산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반응이 이리듐, 루테륨, 오스뮴 및 이들의 화합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공촉매 존재하에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범위내에서 펜텐산은 펜트-2-엔산, 펜트-3-엔산, 펜트-4-엔산 및 이들의 혼합물을 나타낸다.
펜트-4-엔산은 양호한 결과를 초래하지만 아직 용이 입수 가능한 것이 아니다.
펜트-3-엔산은 그 자체로 또는 그의 이성질체와의 혼합물로 입수 가능성을 고려해볼때 보다 더 적합하고 본 방법의 범주내에서 만족할 만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로듐-기체 촉매의 존재를 필요로 한다. 로듐원으로는 어느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본 방법을 수행하는데 적합한 로듐원의 예로는 다음과 같은 것을 들 수 있다 :
Rh 금속 ; Rh2O3;
RhCl3; RhCl3·3H2O ;
RhBr3; RhBr3·3H2O
RhI3; Rh(NO3)3; Rh(NO3)3·2H2O
Rh2(CO)4Cl2; Rh2(CO)4Br2; Rh2(CO)4I2;
Rh(CO)4Cl[P(C6H5)3]2
Rh[P(C6H5)3]3Br
Rh[P(C6H5)3]3Br
RH4(CO)12; Rh6(CO)16; Rh(CO)2(acac) ;
Rh(Cod)(acac)2; Rh(acac)3;
Rh2(Cod)2Cl2·Rh2(CO2CH3)4;
HRh(CO)[P(C6H5)3]3;
(Cod=1,5-시클로옥타디엔 ; acac : 아세틸아세토네이트)
본 발명을 수행하는데 보다 적합한 것은 다음과 같다 :
Rh2(Cod)2Cl2;
Rh2(CO)4Cl2;
RhI3; RhCl3·3H2O ; Rh(acac)3;
Rh(Cod)(acac)2; Rh2(CO2CH3)4; Rh4(CO)12;
및 Rh6(CO)16..
로듐의 사용량은 광범위하게 변화될 수 있다.
통상 반응 혼합물 1ℓ당 로듐 금속 10-3~10-1몰이 만족할만한 결과를 제공한다. 보다 적은 양도 사용될 수 있으나 반응 속도가 저감된다. 보다 많은 양의 사용은 경제적 관점에서 불리할 뿐이다.
로듐 농도로 바람직한 것은 5.10-3~10-2(포함) 몰/ℓ이다.
본 방법의 범위내에서 요오드-함유 조촉매는 HI 및 반응 조건하에 HI를 생성할 수 있는 요오드-함유 유기 화합물, 특별하게는 C1~C10-알킬 요오다이드, 보다 특별하게는 메틸 요오다이드를 나타낸다.
RhI3등의 화합물은 유용한 로듐원인 동시에 요오드-함유 조촉매의 전부 또는 일부를 구성할 수 있다.
요오드-함유 조촉매의 사용량은 통상 I/Rh의 몰비가 0.1이상이 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 몰비가 20초과이면 바람직하지 못하다. I/Rh의 몰비로 바람직한 것은 1~4(포함)이다.
물의 존재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는데 필수불가결하다. 물의 사용량은 통상 물/펜텐산의 몰비가 1~10(포함)이 되도록 하는 양이다. 보다 적은 양을 사용하면 전환이 제한되는 결점이 있고, 보다 많은 양을 사용하면 촉매 활성이 상실되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또한 이리듐, 루테늄, 오스뮴 및 이들의 화합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공촉매의 존재를 필요로 한다.
본 발명을 수행하는데 적합한 이리듐원의 예로는 다음과 같은 것을 들 수 있다 :
Ir 금속 ; IrO2; Ir2O3;
IrCl3; IrCl3·3H2O ;
IrBr3; IrBr3·3H2O ;
IrI3;
Ir2(CO)4Cl2; Ir2(CO)4I2;
Ir2(CO)8; Ir4(CO)12;
Ir2(CO)[P(C6H5)3]I2;
Ir(CO)[P(C6H5)3]2Cl ;
Ir[P(C6H5)3]3I ;
HIr[P(C6H5)3]3(CO) ;
Ir(acac)(CO)2;
[IrCl(Cod)]2
(Cod : 1,5-시클로옥타디엔 : acac : 아세틸아세토네이트)
본 방법을 수행하는데 적합한 루테늄원의 예로는 다음과 같은 것을 들 수 있다 :
Ru 금속 ; RuO2; RuO4
RuCl3; RuCl3·3H2O ; RuBr3; RuI3; Ru(OAc)3; RuCl4
Ru(CO)5; Ru(CO)12; [Ru(CO)3Br2]2; Ru(CO)4I2
Ru(acac)3; RuCl(η-C3H5)
본 방법을 수행하는데 적합한 오스뮴원의 예로는 다음과 같은 것을 들 수 있다 :
Os 금속 ; OsO ; Os2O3; OsO2; OsOF4
OsCl3; OsBr3; OsCl3·3H2O
OsCl4,
Os2(CO)12
이리듐원 중에서 본 방법을 수행하는데 바람직한 것은 다음과 같다 :
IrCl3; IrCl(Cod)2; Ir4(CO)12
루테늄원 중에서 본 방법을 수행하는데 보다 바람직한 것은 다음과 같다 :
RuO2·H2O ;
RuCl3·H2O ; RuCl2(Cod) ; Ru3(CO)12; Ru(acac)3
오스뮴원 중에서 본 방법을 수행하는데 보다 바람직한 것은 다음과 같다 ;
OsCl3; Os3(CO)12
공촉매는 이리듐 및 그 화합물에서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로듐에 대한 금속 M로 표시되는 공촉매의 몰비는 광범위하게, 예컨대 0.05~50(포함)로 변화될 수 있다. M/Rh비로 바람직한 것은 0.1~5(포함)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액체상에서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반응 혼합물은 용매 또는 희석제를 함유할 수 있다. 본 방법의 범위내에서 사용될 수 있는 용매 또는 희석제로는 탄소수 20이하의 포화 지방족 또는 방향족 카르복실산, 및 임의로 염소화되며 반응 조건하에 액체인 포화 지방족 또는 방향족 탄화수소가 있다.
본 방법에 있어서 유리한 것은 포화 C1~C6지방족 카르복실산, 바람직하게는 아세트산을 사용하는 것이다.
본 방법에 있어서 또한 유리한 것은 염소화 포화 지방족 탄화수소, 바람직하게는 염화 메틸렌을 사용하는 것이다.
용매 또는 희석제가 반응 혼합물에 존재할 경우, 용매 또는 희석제의 양은 이 혼합물의 99부피양%에 이를 수 있다. 본 발명을 잘 수행하기 위해서는 이 양은 10부피양% 이상, 바람직하게는 30~90부피양% (포함)이다.
반응 온도는 통상 100~240℃이다. 본 발명을 잘 수행하기 위해서는 160~190℃(포함)이다.
반응 압력은 대기압 이상이다. 전압은 예컨대 2~150바로 광범위하게 변화될 수 있다. 통상 5~50바에서 양호한 결과가 수득된다.
실질상 순수한 일산화탄소 또는 공업품 일산화탄소가 상업상 이용가능한 것으로서 사용가능하다.
반응 종료시 또는 그 후에 아디프산은 추출 및/또는 결정화 같은 적당한 수단에 의해 분리된다.
이하 실시에는 본 발명을 설명한다.
[실시예]
[실시예 1]
[RhCl(Cod)]2형태의 로듐 0.1밀리몰, IrCl3형태의 이리듐 0.1밀리몰, 펜트-3-엔산 20-밀리몰, 57중량% 수용액 형태의 HI 0.57밀리몰 및 아세트산 10ml을 유리 플라스크에 연속 도입한다.
플라스크를 미리 아르곤으로 정화시킨 용량 125㎤의 스테인레스 강철(HSTELLOY B2) 오토클레이브에 둔다.
오토클레이브를 용접 밀폐하고 교반로에 둔 후 압축 기체 공급기에 연결한다.
CO 2바를 오토클레이브에 넣어 차게하고 오토클레이브를 25분간 175℃로 조정한다. 이때 오토클레이브의 압력은 4바이다. 압력을 10바로 조정한다.
상기 온도에서 30분 반응후 CO 흡수를 중지하고 오토클레이브를 냉각 및 탈기시킨다.
반응 매스를 기체상 크로마토그래피 및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로 분석한다.
생성물의 형성량(충진된 펜트-3-엔산에 대한 몰 수율)은 다음과 같다 :
선형도(L)는 76%이다.
펜트-3-엔산의 전환도(DC)는 100%이다.
[실시예 2 및 3]
참고실험(a) 및 (b)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오토클레이브에서 공촉매 종류만을 변화시키면서 첫번째 일련의 실험을 수행한다.
소정의 조건 및 수득된, 결과를 하기 표 I에 나타낸다.
[표 I]
(*) 로듐 부재하에 반응시간 120분으로 실험 수행 ;
[실시예 4~8]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오토클레이브에서 공촉매로서 하기 표 II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매회 다른 종류의 루테늄 화합물을 함유하는 배치에서 두번째 일련의 실험을 수행한다. 표 II에 나타낸 결과는 다른점에서 동일한 조건하에 수득된 것이고 표에서 t는 반응시간을 나타낸다.
[표 II]
[실시예 9]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오토클레이브에서 RhI3형태의 로듐 0.1밀리몰, IrCl3형태의 이리듐 0.1밀리몰, 펜트-3-엔산 20밀리몰, 물 35밀리몰 및 아세트산 10밀리몰을 함유하는 배치에서 실험을 수행한다.
175℃에서 전압 10바하에 35분간 반응 후 수득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
DC(%)=100
Al(%)=64
M4L(%)=14
L(%)=86
[실시예 10~17]
반응시간(T) 및/또는 이 온도에서의 전압(P)을 변화시키면서 실시예 9와 동일한 배치에서 세번째 일련의 실험을 수행한다. 소정의 조건 및 수득된 결과를 하기 표 III에 나타낸다 :
[표 III]
[실시예 18]
IrCl3대신에 동량의 [IrCL(Cod)]2를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9를 반복실시 한다.
기타 모든 조건을 동일하게 하여 실질상 동일한 결과를 수득한다.
[실시예 19]
IrCl3대신에 동량의 Ir4(CO)12를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9를 반복실시한다.
기타 모든 조건을 동일하게 하여 실질상 동일한 결과를 수득한다.
[실시예 20]
RhI3대신에 [RhCl(Cod))]2를 사용하고 HI 0.3밀리몰을 배치에 가하여 상기 실시예 9를 반복실시한다.
기타 모든 조건은 동일하게 하여 실질상 동일한 결과를 수득한다.
[실시예 21~26]
참고 실험 c
IrCl3양 및/또는 충진된 펜텐산의 종류가 다른 것 이외는 실시예 9와 유사한 배치에서 네번째 일련의 실험을 수행한다. 소정의 조건 및 175℃에서 전압 10바하에 수득된 결과를 하기 표 IV에 나타낸다.
[표 IV]
[실시예 27~29]
총부피(물+아세트산)를 일정하게 12.5ml로 유지하면서 반응 혼합물중의 물의 농도를 변화시키며 실시예 9와 유사한 배치에서 다섯번째의 일련의 실험을 수행한다.
소정의 조건 및 수득된 결과를 하기 표 V에 나타낸다.
[표 V]
[실시예 30~32]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오토클레이브에서 IrCl3형태의 이리듐 0.1밀리몰, 펜트-3-엔산 20밀리몰, 물 39밀리몰, 용매(하기 표 VI에 그 종류를 나타냄) 10ml, 및 [RhCl(Cod)]2형태(실시예 30 및 31) 또는 RhI3형태(실시예 32)의 로듐 0.1밀리몰을 함유하는 배치에서 여섯번째 일련의 실험을 수행한다. 실시예 30 및 31에 배치는 또한 HI 0.3밀리몰을 함유한다. 175℃에서 수득된 결과 및 소정의 조건을 하기 표 VI에 나타낸다.
[표 VI]

Claims (13)

  1. 로듐 또는 로듐 화합물 및 요오드-함유 조촉매 존재하에 적어도 하나의 펜텐산의 히드로카르복실화에 의한 아디프산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반응이 또한 이리듐, 루테늄, 오스뮴 및 이들의 화합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공촉매 존재하에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 2 항에 있어서, 로듐에 대한 금속 M로 표시되는 공촉매의 몰비가 0.05~50인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공촉매가 이리듐 및 그의 화합물에서 선택된 방법.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로듐 농도가 10-3~10-1몰/ℓ인 방법.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I/Rh 몰비가 0.1~20인 방법.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물/펜텐산의 몰비가 1~10인 방법.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반응이 포화 C1~C6카르복실산 존재하에 수행되는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포화 카르복실산이 아세트산인 방법.
  9.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반응이 염화 메틸렌 존재하에 수행되는 방법.
  10.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M/Rh비가 0.1~5인 방법.
  11.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I/Rh비가 1~4인 방법.
  12.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반응 온도가 100~240℃인 방법.
  13. 제 1 항 도는 제 2 항에 있어서, 압력이 2~250바인 방법.
KR1019910023658A 1990-12-20 1991-12-20 펜텐산의 히드로카르복실화에 의한 아디프산의 제조방법 KR95001110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90-16387 1990-12-20
FR9016387 1990-12-20
FR9016387A FR2670779A1 (fr) 1990-12-20 1990-12-20 Procede de preparation de l'acide adipique par hydrocarboxylation d'acides penteniqu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1995A KR920011995A (ko) 1992-07-25
KR950011105B1 true KR950011105B1 (ko) 1995-09-28

Family

ID=94037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23658A KR950011105B1 (ko) 1990-12-20 1991-12-20 펜텐산의 히드로카르복실화에 의한 아디프산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5268505A (ko)
EP (1) EP0493273B1 (ko)
JP (1) JPH07113000B2 (ko)
KR (1) KR950011105B1 (ko)
CA (1) CA2058043C (ko)
DE (1) DE69102260T2 (ko)
ES (1) ES2054468T3 (ko)
FR (1) FR267077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675797B1 (fr) * 1991-04-26 1994-10-28 Rhone Poulenc Chimie Procede de preparation de l'acide adipique par hydrocarboxylation d'acides penteniques.
US5672743A (en) * 1993-09-10 1997-09-30 Bp Chemicals Limited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acetic acid
FR2721019B1 (fr) 1994-06-14 1996-09-06 Rhone Poulenc Chimie Procédé de séparation de diacides aliphatiques à partir de leurs mélanges avec l'acide adipique.
GB9503382D0 (en) * 1995-02-21 1995-04-12 Bp Chem Int Ltd Process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79552A (en) * 1968-08-15 1971-05-18 Monsanto Co Production of carboxylic acids
US3579551A (en) * 1968-08-15 1971-05-18 Monsanto Co Production of carboxylic acids
US4788333A (en) * 1985-01-07 1988-11-29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Hydrocarboxylation of unsaturated carboxylic acids to linear dicarboxylic acids
US4788334A (en) * 1986-12-10 1988-11-29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Acid accelerated hydrocarboxyl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493273B1 (fr) 1994-06-01
FR2670779B1 (ko) 1994-04-22
JPH07113000B2 (ja) 1995-12-06
JPH0539243A (ja) 1993-02-19
KR920011995A (ko) 1992-07-25
CA2058043A1 (fr) 1992-06-21
US5268505A (en) 1993-12-07
ES2054468T3 (es) 1994-08-01
DE69102260T2 (de) 1994-10-06
CA2058043C (fr) 1996-07-23
FR2670779A1 (fr) 1992-06-26
DE69102260D1 (de) 1994-07-07
EP0493273A1 (fr) 1992-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20009974B1 (ko) 3-펜테노산의 제조방법
JP2590350B2 (ja) 酸加速ヒドロカルボキシル化
KR950011105B1 (ko) 펜텐산의 히드로카르복실화에 의한 아디프산의 제조방법
KR950011106B1 (ko) 펜텐산의 히드록시카르복시화에 의한 아디프산 제조방법
EP0395038B1 (en) Preparation of adipic acid from lactones
JP3084107B2 (ja) 酢酸及び無水酢酸を同時に連続的に製造する方法
KR970008590B1 (ko) 펜텐산의 히드로카르복실화에 의한 아디프산의 제조방법
EP0106656B1 (en) Preparation of carboxylic acids and esters thereof
RU2130919C1 (ru) Способ оксикарбонилирования бутадиена
KR100350919B1 (ko) 이리듐용액의제조방법및촉매로서의용도
KR100250337B1 (ko) 펜텐산의 히드로카르복실화에 의한 아디프산의 제조방법
EP0374687B1 (en) Isomerization of carboxylic acids
EP0140673B1 (en) Preparation of carboxylic acids and esters
EP0428979B1 (en) Carbonylation of allylic butenols and butenol esters
KR0133557B1 (ko) 락톤의 히드록시카르보닐화 방법
KR0145239B1 (ko) 알릴부텐올및 그의 에스테르의 카르보닐화 방법
KR0147807B1 (ko) 펜테노산의 히드로카르복실화에 의한 아디프산의 제조방법
KR100288999B1 (ko) 카르복실산의 이성화 방법
KR20000016428A (ko) 펜테노산의 히드록시카르보닐화 방법
EP0639555B1 (en) Isomerization of carboxylic acids
US3360482A (en) Anhydrous liquid catalytic composition
KR100509404B1 (ko) 메틸포르메이트이성질화에의한아세트산및/또는메틸아세테이트의제조방법
JPS5932456B2 (ja) エチリデンジアセテ−トおよび/またはアセトアルデヒドの製造法
KR20010101275A (ko) 베타-감마 불포화 에스테르의 제조 방법
EP0933347A1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a carboxylic aci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91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