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10675B1 - 용기와 덮개의 구조 - Google Patents

용기와 덮개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10675B1
KR950010675B1 KR1019860010446A KR860010446A KR950010675B1 KR 950010675 B1 KR950010675 B1 KR 950010675B1 KR 1019860010446 A KR1019860010446 A KR 1019860010446A KR 860010446 A KR860010446 A KR 860010446A KR 950010675 B1 KR950010675 B1 KR 9500106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nular
inlet
lid
cover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600104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05879A (ko
Inventor
이. 라킨 마크
에스. 트립 에드워드
에스. 지글러 존
Original Assignee
애보트 래브러토리즈
죠셉 엠. 버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25194829&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950010675(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애보트 래브러토리즈, 죠셉 엠. 버닉 filed Critical 애보트 래브러토리즈
Publication of KR8700058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58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106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06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32Caps or cap-like covers with lines of weakness, tearing-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e.g. to facilitate formation of pouring open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20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or mixing fluids, e.g. from vial to syringe
    • A61J1/2089Containers or vials which are to be joined to each other in order to mix their cont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05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for collecting, storing or administering blood, plasma or medical fluids ; Infusion or perfusion containers
    • A61J1/10Bag-type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28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20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or mixing fluids, e.g. from vial to syringe
    • A61J1/2003Accessories used in combination with means for transfer or mixing of fluids, e.g. for activating fluid flow, separating fluids, filtering fluid or venting
    • A61J1/202Separating means
    • A61J1/2041Separating means having removable plu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20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or mixing fluids, e.g. from vial to syringe
    • A61J1/2003Accessories used in combination with means for transfer or mixing of fluids, e.g. for activating fluid flow, separating fluids, filtering fluid or venting
    • A61J1/2068Venting means
    • A61J1/2072Venting means for internal vent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mat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 Bag Frames (AREA)
  • Centrifugal Separators (AREA)
  • Packages (AREA)
  • Cartons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용기와 덮개의 구조
제 1 도는 본발명에 다른 덮개의 평면도.
제 2 도는 제 1 도의 덮개의 전면도.
제 3 도는 제 2 도의 Ⅲ-Ⅲ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제 4 도는 본 발명에 따른 용기의 분해사시도.
제 5 도는 통상적인 조립위치, 즉, 덮개가 약병용 입구와 유체밀봉적 결합을 이룬 상태에서의 제 4 도의 용기의 덮개의 부분단면도.
제 6 도는 압열멸균솥안에서의 소독에 있어서의 냉각사이클중에 겪게 되는 것 등과 같이 용기의 외부의 압력환경이용기내의 압력보다 낮은 상태에서의 덮개의 변형을 도시한 것으로서, 제 5 도와 유사한 부분 단면도.
제 7 도는 압열멸균솥안에서의 소독시에 겪게 되는 것으로서 외부에서의 압력환경이 용기내의 압력보다 높은 상태에서의 덮개의 변형을 도시한 것으로서, 제 5 도와 유사한 부분단면도.
제 8 도는 덮개의 중앙부를 제거하기 위해 찢김선을 따라 찢어지는 제 5 도의 덮개를 도시한 것으로서, 일부는 단면으로 도시한 평면도.
제 9 도는 본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덮개의 찢김선을 도시하고 그러한 덮개가 약병용 입구에 대해 부착된 형태를 도시하는 부분단면도.
제10도는 약병용 입구의 덮개가 제거된 후에 밀봉마개와 약병정지기가 제거되기전의 용기와 약병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부분단면도.
제11도는 동심적 주름을 갖는 압력반응적이고, 팽창이 가능한 격막이 형성된 또다른 덮개의 부분단면도.
제12도는 제 9 도에 도시된 덮개의 부분사시도.
제13도는 제 9 도에 도시된 덮개의 힘집중기둥의 위치를 도시한 부분평면도.
제14도는 제 5 도의 XIV-XIV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제15도는 제 9 도의 XV-XV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8 : 희석제용기 10 : 덮개
12 : 가요성 주머니 14 : 판
16 : 가장자리부 18 : 희석제
20 : 약병용 입구 22 : 구멍
24 : 축밀봉부 28 : 구멍
30 : 몸통부 32 : 암나사
34 : 원통부 36 : 환형돌기
38 : 밀봉마개 40 : 가장자리부
42 : O링 46 : 내주면
48 : 원통면 50 : 주변 플랜지
52 : 하면 54 : 환형 돌기
55 : 환형 프랜지 56 : 원통형 벽부분
57 : 격막 58 : 찢김선
58a,58b : 모서리 59 : 환형 부분
60 : 원통형 벽부분 61 : 외원통면
62 : 격막부 64 : 중공부재
67 : 격막영역 70 : 덮개지지벽
72 : 환형 채널 76 : 당김링
78 : 태브 80 : 스트링거
82 : 힘집중기둥 88 : 약병
89 : 내용물(약제) 89a : 걸림턱
89b : 보조톱니 90 : 수나사
92 : 오목부 93 : 병목
94 : 약병정지기 96 : 환형 솔더
97 : 헤드부 98 : 환형돌기
99 : 돌출 부재 200 : 투약구
101 : 돌출 단부 102 : 마개
본발명은 취약한 밀봉부(a frangible seal)를 갖는 용기(a container)를 위한 덮개에 관한 것이며, 특히, 소독(sterilization)을 위해 가열되는 희석제용기(diluent container)등과 같은 용기에 이용되는 약병용 입구의 덮개에 관한 것이다.
사용시에 서로 연결됨으로써 약제(a medicament)와 희석제(a diluent)를 편리하고 안전하게 혼합할 수 있도록 분리된(별도의) 용기(separate containers)들속에 그러한 약제와 희석제를 봉입(packaging)하는 것에 관련된 용기시스템들은 종래에 공지되어 있다. 사용직전에 그러한 혼합물을 준비할 수 있음으로써 수명이 짧은 혼합물의 품질 저하에 주의해야 하는 문제가 없어진다. 그러한 용기시스템들은 일리노이주의 노드시카고에 소재한 애보트래버러토리즈에 의해 상표면 ADD-VATAGE로 판매되고 있다. 그러한 용기 시스템들의 여러 실시예들이 1983년 12월 23일자로 이, 라킨에 의해 출원된 미국특허 출원인 USSN 565,126에 기재되어 있으며, 그 출원은 이 출원의 출원인에게 양도되었다. 또한, 그 출원의 명세서에 기재된 내용이 본원에 참고로 인용되어 있다.
그러한 이중용기시스템(dual container systems)은 염수(a normal saline solution)나 포도당(dextrose)또는 물등과 같은 용기가 제공되고 각각의 처방에 따라 적절한 약제를 담고 있는 작은 병(a vial)등과 같은 약제용기가 그러한 희석제용기에 연결되는 보건의료분야에서 특히 중요한 것이다.
그러한 시스템에서는 고체(분말)나 액체일 수 있는 첨가적인 약제가 적정량의 희석제속에 적정량만큼 첨가된다. 각각의 희석제용기는 입구(a port)를 가지면, 거기에는 예를 들어 약제용기의 한 쪽의 단부, 즉, 목부분(neck)을 삽입하고 나사결합방식등에 의해 서로를 고정시킴으로써 약제용기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USSN 565,126 에 기재되어 있듯이 서로 연결되어야 할 그러한 용기들의 입구와 단부에는 운반이나 처리중에 다양한 오염성분으로부터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해 제거가 가능한 덮개(removable closures or covers)가 제공되어 있는 것이 양호하다. 그러한 보호용 덮개들은 소독전에 부착(applying) 되는 것이 통상적이며 희석제용기의 경우에는 특히 그러하다. 입구와 약병목을 막는 덮개들은 두개의 용기들을 서로 연결하기직전에 간호원에 의해 제거된다. 본발명에 다른 덮개들은 그러한 희석제용기들의 입구막이용으로 특히 적하하지만 다양한 용기들에 대해 이용가능할 것임은 다음의 설명으로부터 명료해질 것이다.
그러한 덮개에 대해서는 몇가지의 요구조건들이 있다. 의료용에 있어서는 그러한 두개의 용기의 덮개가 일부러 제거하기전까지 효과적인 밀봉상태를 유지해야 한다.마개는 운송이나 처리중에 파손되어 내용들이 누설되거나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기위해 적절한 강도를 가져야 한다. 덮개는 또는 이용자에 의해 용이하게 제거될 형태를 가져야 한다.
희석제용기의 덮개는 또한 소독중에 직면하는 상황을 견뎌야 한다. 그러한 소독은 증기소독인 것이 일반적이고 그 때에 용기는 고열과 습기 및 덮개의 안과 밖에서의 정압차나 부압차를 겪게 된다. 덮개를 사이에 둔 그러한 압력차는 약병(약제용기)의 단부를 희석제용기와 상호결합시키기 위해 요구되는 입구들의 크기가 클수록 더 커지는 응력이 덮개에 생기게 된다.
희석제용기의 입구의 구조는 약병이나 기타의 용기의 적절한 결합을 위한 설계당시의 형태와 치수를 유지하게 하기 위해 소독온도범위내에서 치수상으로 안정적이게폴리에스터(a polyester) 등과 같은 비교적 단단한 물질(a relatively rigid material)로 성형(molding)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한 희석제용기의 덮개는 전혀 다른 요구조건을 만족시켜야 한다. 덮개는 덮개를 사이에 둔 압력차를 최소화하도록 입구의 안쪽, 즉, 용기내의 공간의 체적변화를 허용하기 위해 이용자가 덮개의 일부를 의도적으로 제거하는 것을 편리하게 하기위해 찢어질 수 있어야 한다. 또한, 덮개는 편리한 밀봉부착을 위해 입구에 대해 용접(welding)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덮개를 위한 그러한 요구조건을 만족시키는 물질은 덮개가 고정될 입구의 구성물질과는 다른 팽창계수를 가질 것이며, 그럼으로써 소독중에 부가적인 응력이 생길 것이다. 예를 들어 가소성을 갖는 염화폴리비닐(PVC ; polyvinyl chloride)은 덮개용으로 적합한 성질을 가지며 미국의 연방식품의 약부(The United Stated Food and Drug Administration)에 의해 약제용기용으로 승인되었다. 그러나, 그러한 PVC 물질은 흔히 부위 (음성적인) 팽창계수(a negative coefficient of expansion)를 가지며 압열멸균솥안에서의 소독과정에서 변형되거나 수축되기 쉽다. 그러한 성질로 인하여 종래의 입구의 형태에 폴리에스터로 성형된 입구가 이용될 때에는 그러한 PVC로 이루어진 덮개의 찢김선(the tear lines) 의 파손에 따른 문제가 생긴다.
본발명의 목적은 앞서 설명한 요구조건을 만족시키는 덮개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팽창할 수 있는 격막(an expansible diaphragm)으로 이루어진 덮개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격막은 양쪽에 압열멸균솥안서의 그러한 덮개의 소독중에 덮개의 양쪽에 가해지는 차압(pressure differentials)을 최소화함으로써 덮개의 취성영역에 대해 그러한 힘이 작용하여 파손될 수 있는 것을 방지하려는 것이다.
본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상기 덮개의 수축과정에서 취약한 영역에 대해 인장력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거나 다른 원인에 의해 취약한 영역에 인장력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응력을 이완시킬 수 있는 덮개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소독 및 취급시의 파손의 우려를 줄이면서도 이용시의 개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마개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사출성형(injection molding)에 의해 일체부재 (a unitary element)로 용이하게 형성되고 입구상의 적절한 밀봉위치에 편리하게 조립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덮개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이용자가 찢김선을 일부러 찢을 때의 시작이 편리한 덮개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덮개의 개방시의 외부의 공기가 빨려들어가는 것을 감소시키거나 제거하여 오렴의 우려를 줄이기 위해 살균기체를 담고 있는 입구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발명의 상기 및 기타의 목적은 첨부된 도면과 청부범위를 참고하면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읽으면 좀더 명료해질 것이다.
본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르면 취약한 영역(a frangible section)을 갖는 덮개가 희석제용기의 단단한 약병용 입구의 단부위에 배치된다. 희석제용기는 가요성 플라스틱주머니(a flexible plastic bag)이다. 약병용 입구는 가요성 주먼니의 벽을 통해 연장하여 입구통로(an inlet passage)를 형성하고 있으며 약병과 결합하게 되어 있다. 약병용 입구는 가요성 주머니내의 희석제실(the diluent compartment)과 약병간의 밀봉된 통로(a sealed passage)를 제공한다. 그럼으로써, 약병은 주머니속의 희석제속에 약제를 풀어넣기 위한 입구와 결합할 것이다. 약병용 입구는 입구통로의 둘레에 환형 플랜지의 형태인 환형 부착면(an annular attachment surface)과 그러한 플랜지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한 환형 벽의 형태인 지지부(a support portion)를 포함한다. 환형 벽은 약병용 입구의 외단부(the outer and or opening)의 둘레에 배치되고 약병용 입구의 중심축에 거의 평행하게 플랜지로부터 바깥쪽으로 연장하는 다수의 외부의 지지면(external support surfaces)들을 형성한다.
덮개는 얇은 가요성 플라스틱물질로 된 단일의 일체식성형부재(a single intergal molded member of thin flexible plastic material)이다. 그 것은 약병용 입구의 환형 플랜지와 밀봉적으로 맞물리는 플랜지의 형태인 주변부(a peripheral partion)를 포함한다. 동심적 원통벽부위(a concetric cylindrecal wall portion)가 약병용 입구의 환형 벽의 외부지지면들과 맞닿거나 밀접하게 배치된다. 원형 찢김선(a circular tear line)이 취약한 밀봉부를 이루며, 그 것은 덮개의 원통벽부위와 주변부간에 배치된다. 원통벽의 상부는 약병용 입구의 환형 벽의 너머로 돌출하고 덮개의 중심부에 뻗쳐있는 팽창이 가능한 격막(an expansible diaphragm)에 대해 결합되어 있다. 격막이 팽창할 수 있는 격막영역은 약병용 입구의 외단부에 뻗쳐 있고 입구통로와 정렬된 영역을 포함한다.
덮개의 통상적인 약병용 입구상의 조립위치에서는 덮개의 내면과 외면에 대해 가해진 상이한 압력에 기인한 어떤 차압이라도 덮개의 격막의 중앙부분의 이동에 의해 적절히 대응한다. 덮개가 압열멸균솥속에서 덮개의 구성물질의 수축이나 변형에 의한 것이든 그 양쪽에서의 차압에 의해 생기는 힘에 의한 것이든간에 응력을 받게 되면 약병용 입구와 덮개의 환형 벽의 형태는 찢김선에 대해 반경방향의 인장력이 가해지는 것을 경갑시키거나 방지할 것이 분명하다.
당김링(a pull ring)이 찢김선내의 덮개영역에 대해 연결되어 취약한 밀봉부를 찢어내어 덮개 영역을 제거함으로써 약병용 입구를 노출시킬 수 있게 한다.
[실시예의 설명]
본발명을 좀더 완벽하게 이해하기 위해 이제 도면을 보기로 한다.
우선, 제 4 도를 보면, 가요성을 갖는 희석제용기(8 ; a flexible container)가 가요성 주머니(12 ; a flexible ; bag)와 덮개(10 ; a cover member)가 구비된 약병용 입구(20 ; a vial port) 및, 투약구(100 ; an administration port)를 포함한다. 그러한 덮개는 용기의 압열멸균솥안에서의 소독과 운반 및 처리중에는 제 5 도 내지 제 7 도에 보이듯이 약병용 입구에 대해 부착(attaching)되어 있다. 약병용 입구(20)는 주머니속의 희석제(18 ; diluent)에 대해 임의의 약제(a selected medicament)를 첨가하기 위해 덮개(10)의 중앙부분을 제거(제8도 참조)할 때에 제10도에 보이듯이 약병(a medicament vial)을 수용하며 결합되게 설계된다. 투약구(100)는 주머니를 희석제로 채우거나 기타의 첨가제를 첨가하거나 또는 I.V. 튜브나 기타의 추출수단을 부착하기 위한 종래의 형태로 될 것이다.
가요성 주머니(12)는 두 장의 가요성 플라스틱물질로 된 판(14)을 그 가장자리부(16)를 따라 밀봉시킴으로써 형성된다. 그럼으로써, 희석제(18)가 가요성 주머니(12)의 양 쪽의 판(14)의 사이에 누설이 없이 수용된다. 약병 입구(20)는 가요성 주머니(12)의 내부와 외부를 서로 연결하기 위한 통로(a passageway)를 형성하고 있으며 축밀봉부(24 ; mandrel seal)에 의해 가장자리의 구멍(22 ; an edge opening)를 통과해서 유체밀봉식으로 결합되어 있다.
약병용 입구(20)는 압열멸균솥안에서의 소독처리과정에서 겪게 되는 온도변화에 의한 영향을 거의 받지 않는 폴리에스터수지 등과 같은 열적으로 안정된 물질(a temperaturestable material)로 형성되는 것이 양호하며 거의 관형이고 중공형인 비교적 견고한 부재(a generally tubular, hollow, relatively rigid member)이다. 이는 약병을 적절히 수용하고 내부의 밀봉마개(38)를 유지하기 위한 입구의 형태와 치수공차(dimensional tolerances)를 유지하게 할 것이다. 약병용 입구(20)는 가요성 주머니(12)의 외부에 배치된구멍(28)를 갖는다. 환형 플랜지(55 ; an annular flange)가 구멍(28)을 에워싸며 덮개지지벽(70 ; a cover support wall or fence)이 그 곳으로부터 연장된다. 제 5 도 내지 제 8 도에 좀더 상세히 보이듯이 외부의 구멍(28)과 동심관계인 몸통부(30 ; a body portion)의 내주(inner periphery)에는 나사(32 ; threads)가 형성되어 있다. 몸통부(30)는 환형돌기(36 ; an annular bead or ridge)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말단쪽의 원통부(34 ; a distal cylindrical portion)에서 마무리된다. 환형 돌기(36)는 원통부(34)보다 큰 외경(an outer diameter)을 갖는다.
제 5 도 내지 제 8 도에 보이듯이, 약병용 입구(20)의 내단부를 위한 돌출한 가장자리부(40 ; an inwardly projecting lip)를 가지며, 그 것은 원통부(34)의 환형 돌기(36)와 스냅 결합식(in a snap-fit engagement)으로 맞물린다. 수축이 가능하고 변형이 가능한 O링 (42 ; a compressible and deformable O-ring)에 의해 약병용 입구(20)의 단부와 마개(38)의 사이에 유체밀봉적 결합부(a fluid-tight sealing engagement)가 유지되며, 그러한 O링은 마개(38)의 중심부상의 원통면(48 ; a cylindrical surgace)과 원통부(34)의 내주면(46)으로 이루어진 마주보는 양면의 사이에 유체밀봉적으로 맞물리게 수축되어 있다.
덮개(10)는 소독전에 희석제용기(8)에 밀착되는 것이 통상적이다. 그 것은 약병용 입구(20)의 외단부에 대한 유체밀봉적 마개로서의 기능을 가짐으로써 희석제용기(8)가 사용대기 되기까지 오염을 방지하고 소독 상태를 유지한다. 그러한 사용대기는 간호원의 보조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이 통상적이다. 덮개(10)는 또한 밀봉마개(38)의 부주의한 제거나 누설시에 구멍(38)을 통한 내용물의 손실을 방지할 것이다. 덮개(10)는 거기에 있는 취약한 밀봉부(a frangible seal)가 용이하게 찢어질 수 있게 하기 위하여 업계에서 공지된 바의 삽입충진제(insert fillers)를 갖는 가요성 PVC 합성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제 1 도 내지 제 3 도를 보면 덮개(10)는 평평한 하면(52 ; a planar undersurface)을 갖는 주변플랜지(50 ; a peripheral flange)를 포함한다. 하면(52)은 약병용 입구(20)상의 환형 플랜지(55 ; an annular flange)의 상면에 대해 고정되게 되어 있다. (제 4 도 내지 제 8 도를 참조). 하면(52)과 환형 플랜지(55)의 상면간의 유체밀봉은 결합면간을 열간용접(heat welding)하거나 음파용접(sonic welding)함으로써 이루어질 수도 있다. 두개의 환형 면간의 적절한 유체밀봉을 이루는 수단은 어느 것이라도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제 3 도에 명료히 보이듯이, 주변플랜지(50)의 내주의 모서리에는 환형 비드(54 ; an annular bead)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그 것은 제 2 도에 보이듯이 주변 플랜지(50)와 수직방향의 원통형 벽부분(56)간의 접합부를 이룬다. 두개의 예리한 모서리(58a,58b ; two sharp corners)간의 덮개의 얇은 부분은 덮개의 둘레로의 찢김선(58)을 이루며, 그 것은 환형돌기(54)와 원통형 벽부분(56)간의 접합부에서의 덮개의 유체밀봉적 일체성을 유지하고 용이하게 파손될 수 있는 연속막(a readily frangible continuous membrains)을 형성한다.
원통형 벽부분(56)은 제 1 도와 제 3 도 및 제 4 도에 보이듯이 그 상단부에서 격막(57)의 환형 부분(59)의 외주에 대해 연결되어 있다. 환형 부분(59)의 내주의 가장자리에 일체로 형성되어 늘어져 있는 격막(57)은 제 2 도에 보이듯이 외원통면(61 ; an outer cylindrical suuface)을 갖는 아래쪽의 원통형 벽부분(60 ; a depending cylindrical wall portion)를 포함한다. 원통형 벽부분(60)의 저단부는 반구형 격막부(62 ; a dome-shaped diaphragm portion)와는 역방향인 굽힘부나 나선형 부분에 의해 이어진다. 원통형 벽부분(60)과 반구형 격막부(62)는 가요성 격막(57)을 이루며, 그 것은 환형 플랜지(50)상에 뻗쳐 있는 유체밀봉적 마개의 횡단면의 유체밀봉을 완성하는 작용을 한다. 격막(57 ; 제 3 도를 참조)의 중앙의 중공부재(64 ; center hollow element)는 덮개(10)의 사출성형과정에서 이용되는 특정한 성형부재에 의해 적절한 형태로 성형되어 있고, 또한, 덮개의 일체성을 유지하기 위해 도시된 형태로부터 변화되거나 생략될 수 있을 것이다.
덮개(10)의 격막(57)의 원통형 벽부분(60)과 반구형 격박부(62)는 팽창할 수 있는 벨로우즈형 격막(an expansible bellows-type diaphragm)일 수 있고, 그 것은 나선형 벽에서 구부려질 (bend or roll)것이며, 그럼으로써, 제 5 도 내지 제 7 도에 보이듯이 약병용 입구(20)내에 내장되는 체적을 용이하게 변화시킬 수 있을 것이다. 그럼으로써, 격막(57)은 희석제용기가 소독을 위해 압열멸균솥속에 때에 약병용 입구(20)의 내부와 주변대기간의 차압을 최소화할 것이다. 이는 덮개(10)내에서 발생하는 응력을 최소화하고 평상시에 찢기먼(58)상에 가해지는 파손력과 밀봉마개(38)의 제거시에 가해져야 할 제거력을 최소화할 것이다. 입구내에 내장된 공간, 즉, 체적의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변화는 또한 입구내에 일정체적의 살균공기가 포획되게 한다. 그러한 포획체적은 밀봉마개(38)의 구멍(28)속으로 공기가 유입(inrush)하는 것을 제거하거나 줄이며, 그럼으로써, 오염의 우려를 줄인다.
덮개(10)는 희석제용기(8)의 제조중에 그러한 희석제용기(8)의 약병용 입구(20)의 환형 플랜지(55)에 밀착되는 것이 통상적이다. 희석제는 투약구(100)를 통해 주머니에 넣어진다. 이어서, 꽉 채워지고 밀봉된 가요성 용기(8)가 압열멸균솥속에 넣어져서 소독처리된다. 소독처리과정에 압열멸균솥속에 압력이 형성되며, 그 것은 가요성 주머니(12)의 내부와 약병용 입구(20)의 내부의 압력을 초과하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반구형 격막부(62)는 일반적으로 제 7 도에 도시된 방식대로 가요성 주머니(12)의 내부를 향해 밀려든다. 제 7 도에 보이듯이 반구형 격막부(62)는 가요성 주머니의 안쪽을 향해 위어지며 외격막(the outer diaphragm wall)은 용기의 안쪽을 향해 구부러진다.
고온정점보다 뒤에서의 기간(the later portion of the high temperature "peak dwell" period)에서 압열멸균솥속의 압력은 약병용 입구속의 압력보다 낮으며, 그러므로, 밀봉마개의 격막부(62)가 제 6 도에 보이듯이 가요성 주머니보다 위쪽을 향해 멀어지게 하는 차압으로 귀결된다. 원통형 벽부분(60)과 황형 부분(59) 및 또다른 원통형 벽부분(56)은 또한 그러한 상향운동을 수용하도록 휘어진다. 냉각중에 압열멸균솥속의 압력은 처음처음 약병용 입구속의 압력을 다시 초과한다.
앞서 설명했듯이, 응역이완용 덮개지지벽(70 ; a stress relief wall or fence)이 제 4 도에 보이듯이 입구에 제공된다. 그러한 덮개지지벽(70)은 약병용 입구(20)의 말단쪽의 벽부분(a distal end wall portion)을 포함한다. 그 것은 제 3 도와 제 5 도 내지 제 8 도에 보이듯이 원통형 벽부분(60)의 외원통면(61)과 덮개(10)의 원통형 벽부분(56)의 내면에 의해 형성된 환형 채널(72 ; an annular channel)속에 끼워진다. 응력이완용 덮개지지벽(70)은 원통형 벽부분(56)에 밀접해 있고, 또한, 덮개지지벽(70)과 덮개(10)의 대응부분은 덮개에 생기는 안쪽으로 향한 인장력으로부터 찢김선(58)을 적어도 부분적으로나마 격리시키는 기능을 가지며, 그럼으로써, 찢김선(58)의 의도하지 않은 파손이나 찢김을 방지한다. 그러한 힘들은 마개의 부품들의 수축이나 팽창 또는 하나 이상의 부품들의 비틀림에 기인하기도 하며 압열멸균처리시에생기는 차압에 기인해서 덮개에 생길 것이다. 특히, PVC 등과 같은 수축성 물질이 덮개를 형성하기 위한 재료로 이용되고 입구가 예를 들어 폴리에스터로 형성된 치수안정적인 것이면 상대적 수축계수 및 그에 따른 힘이 심각해진다. 밀봉 마개에서의 그러한 힘들은 덮개의 양쪽간의 차압에 기인한 힘에 부가적으로 작용한다. 원통형 벽부분(56)과 덮개지지벽(70)간의 접합은 적어도 응력이완작용을 한다. 그와 관련하여, 각각의 부분들은 덮개의 환형벽이 초기조립시에 덮개지지벽과 접합하는 상대치수와 형태를 정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상용실시예(a current commercial embodiment)에서는 제14도에 보이듯이 원통형 벽부분(56)과 덮개지지벽(70)간의 반경방향으로서의 초기 간극(an initial radial spacing)이 약 1.3mm(약 0.050인치)이면 기능상 충분하다는 것이 밝혀졌다.
그러한 상용 실시예에서, 약병용 입구(20)는 외경이 약 33mm (약 1.30인치)이고 플랜지(55)위로의 높이가 약 3.3mm(약 0.13인치)인 덮개지지벽(70)을 갖고 폴리에서터로 성형된다. 덮개는 앞서 설명했듯이 불활성 충전물을 갖고 가소성이 있는 PVC로 성형되며, 원통형 벽부분(56)은 두께가 약 0.51mm(약 0.02인치)이고 덮개지지벽(70)의 상부의 위로 축방향으로 약 1.53mm(약 0.06인치)연장한다. 실제이용시에 수축력이나 인장력은 원통형 벽부분(56)을 구부리거나 비틀어서 적어도 그 상부가 덮개지지벽(70)과 접촉하게 하고 거기에서 인장력이 발생하면 덮개지지벽에 의해 지지되게 하거나 덮개의 중심부에 대해 그러한 상부상에서 안쪽으로 당겨지게 가해진다.
덮개지지벽(70)은 원통벽 벽부분(56)에 대한 연속적인 환형 외부지지면을 제공하는 환형 벽으로 도시되어 있다. 그러한 덮개지지벽(70)을 높이가 충분히 높고 개방공간이 충분히 작아서 덮개가 찢김선에서 반경방향의 안쪽으로 당겨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면 이격된 일련의 지지영역들이나 지주들 또는 링들에 의해서도 이루어질 수도 있다.
그러므로, 약병용 입구(20)의 덮개지지벽(70)과 덮개의 대응부분은 가요성 덮개(10)의 찢김선을 위한 응력완화부로서의 기능을 갖는다. 또한 그러한 격막형태는 덮개의 취약한 밀봉부에 대한 악영향을 배저한 채로 약병용 입구(20)의 내부와 압열멸균솥안의 대기간의 압력차를 최소화할 수 있게 한다.
앞서 설명했듯이, 희석제용기(8)는 약병용 입구(20)와 연결된 약병에 의해 가해지는 약제를 희석제(18)속에 섞을 수 있게 설계된다. 그러한 상호연결전에 찢김선(58)을 따라 덮개를 찢어냄으로써 덮개의 중심영역이 제거되어 약병용 입구(20)를 노출시킨다. 그러한 제거는 제 8 도에 보이듯이 당김링(76)을 당김으로써 이루어진다.
당김링(76)은 화형 부분(59)과 일체로 성형되고, 그 것은 좁은 힘집중기둥(82 ; a narrow force-concentrating post)에 의해 거기에 대해 부착된다. 힘집중기둥(82)은 제 2 도 및 제 4 도에 명료히 도시되어 있다. 당김링(76)은 또한 제조와 조립 및 처리시에 덮개상에서 링의 위치를 유지하기 위해 얇고 쉽게 파손되는 일체형 스트링거(80 ; thin breakable integral stringers)에 의해 환형 부분(59)에 대해 일시적으로 부착된다. 확대된 손가락끼움태브(78 ; the enlarged finger-locating tab)에서 당김링(76)을 잡고 위쪽으로 당겨서 덮개의 원통형 벽부분(56)을 당길 때에 상기 얇은 스트링거(80)들은 용이하게 파손된다. 측부의 스트링거(80)들의 태브(78)를 향한 쪽으로의 선단(the leading edges)들은 스트링거(80)들의 파손시에 당김링의 부주위한 찢김을 방지하기 위해 제 4 도 내지 제 7 도 및 제10도에 보이듯이 그 합치점(at their merger)에서 당김링속으로 활모양으로 휘어 있다. 당김링(76)이 제 8 도에 보이듯이 위쪽으로 당겨질 때에 기둥(82 ; the post)은 이용자의 당김력이 원통형 벽부분(56)은좁은 영역에 집중되게 하며 찢김선(58)의 짧은 가해지게 한다. 제 3 도와 제14도에서 보이듯이 그러한 힘의 집중을 돕기 위한 기둥(82)이 연장부(83 ; an extension)로서의 좁고 두꺼운 부분(a narrow thickened portion)이 형성된다. 그럼으로써, 취약한 막이 용이하게 파괴되어 찢김을 시작하며 제 8 도에 도시된 찢김선을 따라 점진적으로 진행된다. 그럼으로써 찢김선의 원내에서 그 것과 함께 일체로 형성된 보든 격막의 잔존덮개가 환형 플랜지(55)에 고정된 채로 남아 있는 환형 돌기(54)와 주변플랜지(50)로부터 분리되게 찢어질 것이다. 그러한 제거시의 공기의 유입은 덮개의 중심부의 제거방식과 형태에 기인하여 최소화할 것이며, 그럼으로써, 오염이 최소화할 것이다. 덮개지지백(70)의 주변에 대한 원통형 벽부분(56)의 초기적 크기초과분(the initial oversize)과 그에 따른 그사이의 초기적 반경방향의 공간은 원통형 벽부분(56)이 소독중의 원통형 벽부분(56)의 수축에도 불구하고 벽으로부터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약병용 입구(20)의 구멍(28)이 완전히 개방되고 제10도에 도시된 약병(88)등과 같은 약제용기를 삽입하게 개방된다. 약병(88)의 병목(93 ; neck)의 둘레에 배치된 수나사(90 ; male threads)가 약병용 입구(20)의 몸통부(30)의 재부에 형성된 암나사(32 ; female threads)와 나사결합식으로 맞물린다. 약병(88)에 있는 걸림턱(89a ; ratchet teeth)은 입구의 보조톱니(89b ; complementrary teeth)와 맞물려서 맞물림 이 시작될 약병용 입구(20)속에 약병(88)을 연결하는 과정에서 밀봉마개(38)와 일체로 형성되어 뽀족하게 돌출한 헤드부(97 ; a projecting arrow or prong-shaped head)가 약병정지기(94 ; vial stopper)의 오목부(92 ; a recess)속으로 들여보내짐으로써 헤드부(97)의 환형 숄더(96 ; an annular shoulder)가 정지기(94)의 환형 돌기(98 ; an annular ledge)를 넘어서 맞무리게 할 것이다. 몸체부(30)의 외면에 형성된 독출늑재(99; projecting ribs)들이 그 부위를 보강한다. 약병용 입구(20)에 있는 환형의 밀봉용 돌출단부(101 ; an annular sealing lip)는 약병의 마무리단부(th end finish of the vial)와 접합하여 약병용 이구에 결합되는 약병의 병목간에 밀봉적 연결을 이루게 한다.
약병(88)의 내용물(89)은 약병용 입구(20)의 돌기(36)와의 맞물림위치로부터 밀봉마개(38)를 제거함으로서 가요성 용기(8)속으로 방출된다. 약병용 입구의 단부로부터의 밀봉마개(38)의 수동식 분리(manual disengagement)는 가요성 용기의 벽(14)을 통해서 이용자가 밀봉마개(38)을 조작(manipulation)함으로써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약병정지기(94)는 밀봉마개(38)의 돌기(97)와의 상호잠김적 맞물림을 이루고 있으므로 밀봉마개의 제거와 동시에 제거될 것이다.
약병정지기(94)와 밀봉마개(38)을 제거함에 따라 약병(88)속에 들어 있는 약제(89)가 희석제(18)속으로 흘러들 것이다. 가요성 주머니(12)는 희석제(18)내에 약제(89)가 적절하고 완전하게 섞이는 것을 보장하기 이하여 적절히 조작될 수 있을 것이다. 약제(89)는 희석제(18)와의 적절한 혼합물을 이루기 위한 여러가지의 분말이나 액체인 약물이나 비타민 또는 영양제일 것이다. 그리고, 최종적으로 요구된 혼합물이 마개(102)를 갖는 투약구(100)를 통해 분배된다. (제 4 도를 참조)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덮개(10)는 반구형 격막부(62)와 역방향으로 접힌 가요성 측벽을 갖는 격막(57)을 이용하지만, 제11도에 보이듯이 차압에 대해 차례대로 접히는 방식으로 반응할 수 있는 격막부로 변형될 수 있음은 자명한 것이다. 제11도의 실시예에서는 앞서 설명한 실시예에 대응하는 부분에 거기에 할당된 숫자에 100을 더한 숫자가 할당된다. 덮개(110)는 동심적이고 연속적인 파형이나 나선형이며 오목형과 볼록형이 교대로 배열된 형태를 포함하는 격막영역(167)을 갖는다. 격막영역(167)은 차압에 대해 노출되었을 때에 휘어짐으로써 약병용 입구(20)의 축방향의 양쪽의 어느 쪽으로든지 팽창할 수 있다. 덮개(110)는 원통형 벽부분(156 ; a cylindrical wall portion)을 가지며, 그 내면은 덮개(10)와 관련하여 앞서 설명했듯이 응열완화부로서의 기능을 갖는 덮개지지벽(70)의 둘레에 꼭 맞게 수용된다. 덮개(110)에서 환형의 V자홈(151 ; an annular notch)이 주변플랜지(150)와 원통형 벽부분(156)의 사이의 얇고 취약한 찢김선(158)을 형성한다.
제 9 도와 제12도와 제13도 및 제15도는 본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그러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앞서 설명한 실시예에서의 부품에 할당된 숫자에 200을 더한 숫자가 할당된 부품은 서로 일치된다. 제 9 도와 제12도와 제13도 및 제15도는 주변 플랜지(250)로부터 상승되고 힘집중기둥(282)의 바닥과 거의 공통인 평면인 상면에 대해 인접하게 배치된 변형된 취약한 찢김선(258)을 포함한다. 그러한 찢김선(258)은 힘집중기둥(282)의 바닥에 밀접하게 통과함으로써 힘집중기둥(282)에 가해진 당김력이 그들의 중간에 끼어 있는 부위들을 통해 확산할 기회를 거의 없애며, 그럼으로써, 제 1 도 내지 제 8 도의 실시예에서보다 훨씬 집중적이게 된다. 힘집중기둥(282)는 또한 제12도 및 제13도에 보이듯이 V자형의 단면을 가지며, 이용자가 당김링(276)을 당길 때에 찢김선상의 초기적 파괴력이 훨씬 더 협소하고 정확하게 집중된다. 내부 보강늑재(283)가 원통형 벽부분(256)은 또한 제 9도의 실시예에서처럼 덮개지지벽(70)에 대해 인접해 있다.
그러므로, 본발명에 따른 신규의 덮개는 앞서 설명한 요구조건을 충족시킬 것이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특징을 갖는 여러가지의 동등한 실시예가 가능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발명의 범위는 청구범위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Claims (31)

  1. 용기(8 ; a container)에 있어서, 가요성 주머니(12 ; a flexible bag)와, 상기 주머니(12)속으로의 접근용 구멍(28 ; an access opening)이 형성되어 있는 입구(20 ; a port structure)및, 상기 구멍(28)을 막기 위한 것으로서 얇고 가요성이 있으며 유체밀봉적인 덮개(10 ; a thin flexible fluid-tight cover member)를 포함하고, 상기 입구(20)는 상기 용기(8)로 부터 바깥쪽으로 연장된 지지부 (a support portion ; 예를 들어, 덮개지지벽 ; 70)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구멍(28)의 주변의 외부지지면(external support surfaces)들을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덮개(10)는 상기구멍(28)에 대해 노출되어 있는 격막영역(67 ; a diaphragm section)을 수용하고 있고 상기 지지부(70)의 단부를 가로지르게 연장되어 있는 벽부분(56 ; a wall portion)과, 상기 외부지지면들의 주변에 배치되고 상기 벽부분(56)과 일체로 이루고 있는 환형 부분(59 ; an annular portion)과 상기 입구(20)에 대해 부착되게 되어 있는 플랜지 (50 ; a flange)및 상기 환형 부분(59)과, 상기플랜지(50)사이에 있는 취약한 부분(a frangible portion)으로 이루어진 찢김선(58,158,258 ; a tear line)을 포함하며, 그럼으로써 상기 환형 부분(59)은 덮개(10)의 상기 벽부분(56)과 상기 환형 부분(59)에서 생긴 응력으로부터 상기 찢김선(58,152,58)을 보호하여 원상태로 유지할수 있게 응력완화하는 방식으로 상기 지지부(70)와 맞물릴 수 있고, 상기 찢김선(58,158,259)을 따라 절개하면 상기 구멍(28)을 노출시킬 수 있게 사기 벽부분(56)과 상기 환형 부분(59)을 포함하는 영역을 제거할 수 있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구(20)가 상기 지지부(70)에 인접하게 배치된 환형 플랜지(55 ; an annular flange)를 포함하고, 상기 덮개(10)의 상기 플랜지(50)가 상기 입구(20)의 상기 환형플랜지(55)에 대해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10)의상기 찢김선(58,158,259)이 상기 입구(20)의 상기 지지부(70)와 상기 혼형 플랜지(55)사이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환형 플랜지(55)가 상기 지지부(70)로부터 반경방향의 바깥쪽으로 연장되고, 상기 덮개(10)는 상기 환형 플랜지(55)에 대해 접착(bonding)되며, 상기 찢김선(58,158,258)은 상기 플랜지(50)의 내주의 모서리(the inner peripheral edge)에 인접하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환형 부분(59)은 제 1 모서리와 제 2 모서리를 갖고, 상기 환형 부분(59)의 그러한 제 1 및 제 2 의 모서리들중의 하나는 상기 덮개(10)의 상기 벽부분(56)과 일체를 이루고 있으며, 상기 환형 부분(59)의 그러한 제 1 및 제 2 의 모서리들중의 나머지 하나는 상기 찢김선(58)을 이루기 위한 취약한 부분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찢김선(58,158)을 이루기 위한 취약한 부분이 상기 환형 부분(59)에서의 상기 외부지지면들로부터 멀리 떨어진 측부로부터 바깥쪽으로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환형 부분(59)이 제 1 모서리와 제 2 모서리를 갖고, 상기 환형 부분(59)의 그러한 제 1 및 제 2 의 모서리들중의 하나는 상기 덮개(10)의 상기 벽부분(56)과 일체를 이루고 있으며, 상기 환형 부분(59)의 제 1 및 제 2의 모서리들 중의 나머지 하나를 따라서는 상기 찢김선(158)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10)의 상기 벽부분(56)과 상기 환형 부분(59)은 일종의 접합부(a junction)를 따라 서로 연결되어 있고, 상기 찢김선(258)을 이루는 취약한 부분은 상기 접합부에 인접한 상기 환형 부분(59)에 대해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벽부분(56)과 상기 환형 부분(59)은 일종의 접합부(a junction)를 따라 서로 연결되어 있고, 상기 찢김선(258)은 상기 접합부의 근처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구(20)와 상기 덮개(10)가 서로 상당히 다른 팽창계수를 갖는 물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11. 제 1 항 내지 제10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10)의 상기 환형 부분(59)이 상기 입구(20)의 상기 지지면들에 인접하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하는 용기.
  12. 제 1 항 내지 제10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10)의 상기 찢김선(58,158,258)및 상기 환형 부분(59)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입구(20)의 상기 지지면들에 대해 이격된 관계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13. 제 1 항 내지 제10항중의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격막영역(67)이 상기입구(20)에 대해 안쪽과 바깥쪽으로 망원경처럼 팽창할 수 있는 팽창성 격막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격막영역(67)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환형이고 나선형인 부분을 포함함으로써 그러한 환형이고 나선형인 부분의 휘어짐에 의해 상기 덮개(10)에 있어서의 상기 환형이고 나선형인 부분내의 부분에서 상기 입구(20)의 축방향으로이동하게 팽창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15. 용기(8 ; a container)의 입구(20 ; a port structure)를 덮기 위한 것으로서, 얇고 가요성이 있으며 유체밀봉적인 덮개(10 ; a thin flexible fluid-tight cover member)에 있어서, 상기 덮개(10)는 찢김선(58,158,258)을 이루는 취약한 부분을 갖고, 상기 덮개(10)는 상기입구(20)를 에워싸며 상기 입구(20)의 주변의 표면에 대해 밀봉적으로 고정될 플랜지(50 ; a flange)와, 상기 입구(20)의 위에 펼쳐질 제거가 가능한 영역(a removable section)및, 상기 플랜지(50)에 대해서 상기 제거가 가능한 영역을 잡아당겨서 상기 용기(8 ; a container)(58,158,258)의 취약한 밀봉부위의 절개를 시작할 수 있는 손잡이수단(78 ; manually engageable menas)을 포함하며, 상기 제거가 가능한 영역은 격막부(62 ; a diaphragm portion)와 그러한 격막부(62)의 둘레에 있는 거의 원통형인 벽부분(56 ; a generally cylindrical wall portion)을 포함하고, 상기 벽부분(56)은 상기 격막부(62)에 비해 바깥쪽에 배치된 취약한 부분으로 이루어진 찢김선(58,158,258)을 따라 상기 플랜지(50)에 대해 연결되어 있고 상기 입구(20)의 외면들과의 응력완화적 맞물림을 이루게 배치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덮개.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10)의 상기 플랜지(50)가 상기 벽부분(56)으로부터 반경방향의 바깥쪽으로 연장된 환형플랜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덮개.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찢김선(58)이 상기 덮개(10)의 상기 플랜지(50)내주의 모서리에 인접해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덮개.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벽부분(56)은 환형인 제1모서리와 제2모서리를 가지며, 상기 덮개(10)의 상기 격막부(62)가 상기 벽부분(56)의 제1 및 제 2 의 모서리들 중의 하나의 일체를 이루고 상기 찢김선(58)은 상기 벽부분(56)의 상기 제1 및 제 2 의 모서리들 중의 나머지 하나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덮개.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찢김선(58)이 상기 벽부분(56)의 반경방향의 바깥쪽의 표면으로부터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덮개.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벽부분(56)은 환형인 제 1 모서리와 제 2 모서리를 가지며, 상기 덮개(10)의 상기 격막부(62)가 상기 벽부분(56)의 제 1 및 제 2 모서리들 중의 하나와 일체를 이루고 상기 찢김선(58)은 상기 벽부분(56)의 상기 제 1 및 제 2 모서리들 중의 나머지 하나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덮개.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10)의 상기 벽부분(56)과 상기 격막부(62)가 일종의 접합부(a junction)를 따라 서로 연결되어 있고, 상기 찢김선(58)이 그러한 접합부에 인접하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덮개.
  22. 제15항 내지 제21항 중의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격막부(62)가 그러한 격막부(62)에 대해 안쪽과 바깥쪽으로 망원경처럼 팽창할 수 있는 팽창성 격막영역(67 ; an expansible diaphragm section)를 수용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덮개.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격막영역(67)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환형이고 나선형인 부분을 포함함으로써 그러한 환형이고 나선형인 부분의 휘어짐에 의해 상기 덮개(10)에 있어서의 상기 환형이고 나선형인 부분내의 부분에서 상기 입구(20)의 축방향으로 이동하게 팽창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덮개.
  24. 제15항 내지 제21항 중의 어느 한 항에 다른 덮개(10) 및 외주(an outer periphery)가 제 1 용기(12 ; a first container)와 유체밀봉적 결합을 이루고 있고 일부는 상기 제 1 용기(12)의 바깥쪽에 배치되어 있는 입구(20 ; a port member)와 조합된 덮개(10)와 입구(20)의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입구(20)에 있어서의 상기 제 1 용기(12)의 바깥쪽에 배치된 외측부분은 환형 플랜지(55 ; an annular flange)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덮개(10)의 상기플랜지(50)는 상기입구(20)의 상기 외측부분을 에워싸고 상기 환형 플랜지(55)와 유체밀봉적 결합을 이루게 부착되고, 상기 입구(20)의 상기 외측부분에 포함된 덮개지지벽(70)이 상기 덮개(10)의 상기 벽부분(56)의 내면에 인접하게 배치됨으로써 상기 찢김선(58)에 대항 응력완화적 구조를 이루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덮개와 입구의 조립체.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입구(20)가 상기 제 1 용기(12)의 안쪽에 배치된 내측부분을 갖고, 상기 입구(20)의 상기 내측부분은 제 2 용기(a second container)와 유체밀봉적으로 맞물릴 수 있는 결합수단을 가지며, 상기 입구(20)는 상기 입구의 상기 내측부분의 내부단부를 폐쇄하는 것으로서 분리가 가능한 밀봉마개(38 : a detachable sealing closure)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덮개와 입구의 조립체.
  26. 제 1 항 내지 제10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10)가 상기 찢김선(58)의 작은 구간(a limited segment)에 대해 당김력(a pulling force)을 손으로 가하여 그러한 찢김선의 절개를 시작할 수 있게 하는 당김수단(76 ; 당김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27. 제 26항에 있어서, 상기당김수단이 상기 찢김선(58)의 작은 구간에 대해 파괴력을 전달하기 위하여 상기 환형 부분(59)이나 벽부분(56)에 인접한 영역에서 상기 덮개(10)의 상기 제거가 가능한 영역과 일체를 이룬 좁은 힘집중기둥(82)과 상기 힘집중기둥(82)에 대해 손으로 당김력을 가히기 위한 수단(78)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28. 제 27항에 있어서, 상기 힘집중기둥(82)이 쐐기형 단면을 가지며, 그 좁은 부분이 상기 덮개(10)의 상기 환형 부분(59)이나 벽부분(56)의 근처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29. 제 1 항, 제 2 항, 제 3 항, 제 4 항, 제 6 항, 제 8 항 , 제 9 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찢김선(58)의 작은 구간에 대하여 손으로 당김력을 가하여 그 것의 절개를 개시하기 위한 당김수단(76)을 포함하고, 상기 당김수단(76)은 상기 찢김선(58)의 작은 구간에 대해 파괴력을 전달하기 위하여 상기 찢김선(58)의 근처에 있는 좁은 힘집중기둥(82)과 상기 힘집중기둥(82)에 대해 손으로 당김력을 가하는 수단(78)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30. 용기(8 ; a container)에 있어서, 가요성 주머니(12 ; a flexible bag)와, 상기 주머니(12)속으로의 접근용 구멍(28 ; an access opening)이 형성되어 있는 입구(20 ; a port structure)및, 상기 구멍(28)을 막기 위한 것으로서 얇고 가요성이 있으며 유체밀봉적인 덮개(10 ; a thin flexible fluid-tight cover member)를 포함하고, 상기 입구(20)는 상기 용기(8)로부터 바깥쪽으로 연장된 지지부 (a support portion ; 예를 들어, 덮개지지벽 ; 70)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구멍(28)의 주변의 외부지지면(external support surfaces)들을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덮개(10)는 상기구멍(28)에 대해 노출되어 있는 팽창이 가능한 격막영역(67 ; a diaphragm section)을 수용하고 있고 상기 지지부(70)의 단부를 가로지르게 연장되어 있는 벽부분(56 ; a wall portion)과, 상기 외부지지면들의 주변에 배치되고 상기 벽부분(56)과 일체로 이루고 있는 환형 부분(59 ; an annular portion)과 상기 입구(20)에 대해 부착되게 되어 있는 플랜지 (50 ; a flange)및 상기 환형 부분(59)과, 상기플랜지(50)사이에 있는 취약한 부분(a frangible portion)으로 이루어진 찢김선(58,158,258 ; a tear line)을 포함하며, 그럼으로써 상기 환경 부분(59)은 덮개(10)의 상기 벽부분(56)과 상기 환형 부분(59)에서 생긴 응력으로부터 상기 찢김선(58,152,58)을 보호하여 원상태로 유지할수 있게 응력완화하는 방식으로 상기 지지부(70)와 맞물릴 수 있게 하고, 상기 격막 영역(67)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환형이고 나선형인 부분을 포함함으로써 상기 격막영역(67)이 상기 격막영역(67)의 환형이고, 나선형인 부분의 구부림에 의해 팽창하여 상기 덮개(10)에 있어서의 상기 환형이고 나선형인 격막영역(67)의 부분내에 있는 부분이 상기 입구(20)에 대해 앞쪽과 바깥쪽으로 망원경처럼 움직일 수 있게 하며, 상기 벽부분(56)과 상기 환형부분(59)이 상기 찢김선(58,152,58)을 따라 찢어져서 상기 덮개(10)의 잔여부분으로부터 절단될 수 있는 제거가 가능한 영역을 이루고, 상기 덮개(10)는 또한 상기 찢김선(58,152,58)의 작은 구간에 대해 파괴력을 전달하기 위해 상기 벽부분(56)에 인접한 영역에서 상기 덮개(10)의 상기 제거가 가능한 영역과 일체를 이루고 있는 좁은 힘집중기둥(82)과 상기 접근용 구멍(28)을 드러내기 위해 상기 덮개(10)의 상기 제저가 가능한 영역을 제거하기 위해 상기 찢김선(58,152,58)을 파괴하기 위하여 상기 힘집중기둥(82)에 대해 손으로 당김력을 가하는 수단(76 ; 당김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31. 용기(8 ; a container)의 입구(20 ; a port structure)를 덮기 위한 것으로서, 얇고 가요성이 있으며 유체밀봉적인 덮개(10 ; a thin flexible fluid-tight cover member)에 있어서, 상기 덮개(10)는 찢김선(58,158,258)을 이루는 취약한 부분을 갖고, 상기 덮개(10)는 상기입구(20)를 에워싸며 상기 입구(20)의 주변의 표면에 대해 밀봉적으로 고정될 플랜지(50 ; a flange)와, 상기 입구(20)의 위에 펼쳐질 제거가 가능한 영역(a removable section) 및, 상기 플랜지(50)에 대해서 상기 제거가 가능한 영역을 잡아당겨서 상기 찢김선(58,158,258)의 취약한 밀봉부위의 절개를 시작할 수 있는 손잡이수단(78 ; manually engageable menas)을 포함하며, 상기 제거가 가능한 영역은 격막부(62 ; a diaphragm portion)와 그러한 격막부(62)의 둘레에 있는 거의 원통형인 벽부분(56 ; a generally cylindrical wall portion)을 포함하고, 상기 벽부분(56)은 상기 격막부(62)에 비해 바깥쪽에 배치된 취약한 부분으로 이루어진 찢김선(58,158,258)을 따라 상기 플랜지(50)에 대해 연결되어 있고 상기 입구(20)의 외면들과의 응력완화적 맞물림을 이루게 배치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며, 상기 격막부(62)은 적어도 하나이상의 환형이고 나선형인 부분을 포함함으로서 상기 격막영역(67)이 상기 격막영역(67)의 환형이고 나선형인 부분의 구부림에 의해 팽창하여 상기 덮개(10)에 있어서의 상기 환형이고 나선형인 격막영역(67)의 부분내에 있는 부분이 상기입구(20)의 축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게 하고, 상기 당김수단(76)은 상기 찢김선(58,158,258)의 작은 구간에 대해 손에 의한 당김력을 전달하기 위해 상기 벽부분(56)에 인접한 영역에 있는 상기 덮개(10)의 상기 제거가 가능한 영역과 일체를 이루고 있는 좁은 힘집중기둥(82)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덮개.
KR1019860010446A 1985-12-09 1986-12-08 용기와 덮개의 구조 KR95001067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806,782 1985-12-09
US06/806,782 US4757911A (en) 1985-12-09 1985-12-09 Container and closure construc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5879A KR870005879A (ko) 1987-07-07
KR950010675B1 true KR950010675B1 (ko) 1995-09-21

Family

ID=251948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60010446A KR950010675B1 (ko) 1985-12-09 1986-12-08 용기와 덮개의 구조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US (1) US4757911A (ko)
EP (1) EP0225468B1 (ko)
JP (1) JP2578592B2 (ko)
KR (1) KR950010675B1 (ko)
AT (1) ATE83916T1 (ko)
AU (1) AU602318B2 (ko)
CA (1) CA1268143A (ko)
DE (1) DE3687410T2 (ko)
DK (1) DK591486A (ko)
ES (1) ES2003589A6 (ko)
GR (1) GR862658B (ko)
IE (1) IE59592B1 (ko)
IL (1) IL80321A (ko)
NZ (1) NZ218161A (ko)
ZA (1) ZA86782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L88667A (en) * 1987-12-28 1992-02-16 Abbott Lab Container with improved ratchet teeth interlock
US4898209A (en) * 1988-09-27 1990-02-06 Baxter International Inc. Sliding reconstitution device with seal
US5004110A (en) * 1989-08-03 1991-04-02 Abbott Laboratories Retortable closure for plastic container
JPH05103819A (ja) * 1991-08-08 1993-04-27 Nissho Corp 薬剤収容容器
JP3065735B2 (ja) * 1991-08-29 2000-07-17 株式会社ニッショー 薬剤容器およびそれを用いた薬液注入装置
FR2682088B1 (fr) * 1991-10-04 1994-06-10 Emballages Conditionnement Conditionnement pour la preparation extemporanee de produits medicamenteux.
JPH05137773A (ja) * 1991-11-15 1993-06-01 Nissho Corp 薬液容器
US5332399A (en) * 1991-12-20 1994-07-26 Abbott Laboratories Safety packaging improvements
CA2093560C (en) * 1992-04-10 2005-06-07 Minoru Honda Fluid container
JPH05317383A (ja) * 1992-05-19 1993-12-03 Nissho Corp 薬剤容器との連通手段を備えた溶解液容器
JPH06239352A (ja) * 1993-02-05 1994-08-30 Nissho Corp 溶解液注入セット
DE4410790A1 (de) * 1994-03-28 1995-10-05 Berg Jacob Gmbh Co Kg Schraubkappe mit Anschweißring
CN1073952C (zh) * 1995-01-30 2001-10-31 波多拉包装公司 用于包围容器壁中的孔的安装件及其组合体
US6464096B2 (en) 1995-01-30 2002-10-15 Portola Packaging, Inc. Fitment having removable membrane
US5909845A (en) * 1996-06-28 1999-06-08 S. C. Johnson & Son, Inc. Wick-based liquid emanation system with child-resistant overcap
SE9702636D0 (sv) * 1997-07-08 1997-07-08 Pharmacia & Upjohn Ab Improvements related to medical containers
US5989237A (en) 1997-12-04 1999-11-23 Baxter International Inc. Sliding reconstitution device with seal
GB9815291D0 (en) * 1998-07-14 1998-09-09 Nycomed Imaging As Package
AR021220A1 (es) 1998-09-15 2002-07-03 Baxter Int DISPOSITIVO DE CONEXIoN PARA ESTABLECER UNA COMUNICACIoN FLUíDA ENTRE UN PRIMER RECIPIENTE Y UN SEGUNDO RECIPIENTE.
US6022339A (en) 1998-09-15 2000-02-08 Baxter International Inc. Sliding reconstitution device for a diluent container
US7425209B2 (en) 1998-09-15 2008-09-16 Baxter International Inc. Sliding reconstitution device for a diluent container
US6367047B1 (en) 1998-10-20 2002-04-02 Ecrix Multi-level error detection and correction technique for data storage recording device
US6381706B1 (en) 1998-10-20 2002-04-30 Ecrix Corporation Fine granularity rewrite method and apparatus for data storage device
US6246551B1 (en) * 1998-10-20 2001-06-12 Ecrix Corporation Overscan helical scan head for non-tracking tape subsystems reading at up to 1X speed and methods for simulation of same
US6421805B1 (en) 1998-11-16 2002-07-16 Exabyte Corporation Rogue packet detection and correction method for data storage device
US6367048B1 (en) 1998-11-16 2002-04-02 Mcauliffe Richard Method and apparatus for logically rejecting previously recorded track residue from magnetic media
US20040118801A1 (en) * 2002-10-30 2004-06-24 Brown Craig E. Fully vented wide rim nursing bottle
HUP0300549A3 (en) * 2000-05-08 2012-09-28 New Vent Designs Fully vented wide rim nursing bottle
US7828165B2 (en) * 2000-05-08 2010-11-09 New Vent Designs, Inc Fully vented wide rim nursing bottle with contoured vent tube
US20050258124A1 (en) * 2002-10-30 2005-11-24 Brown Craig E Fully vented wide rim nursing bottle with contoured vent tube
KR100535744B1 (ko) * 2002-03-07 2006-01-10 넥솔테크(주) 액상식품 추출용 밀봉 용기
US6994699B2 (en) * 2002-06-12 2006-02-07 Baxter International Inc. Port, a container and a method for accessing a port
US7413097B1 (en) 2003-08-01 2008-08-19 Portola Packaging, Inc. Tamper-evident closure and method of making same
US7641851B2 (en) 2003-12-23 2010-01-05 Baxter International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validation of sterilization process
US20060111688A1 (en) * 2004-11-22 2006-05-25 Kraus Robert G Ventriculostomy reservoir
AU2005322136B2 (en) * 2004-12-23 2011-01-06 Hospira, Inc. Port closure system for intravenous fluid container
US7488311B2 (en) 2004-12-23 2009-02-10 Hospira, Inc. Port closure system for intravenous fluid container
KR100899485B1 (ko) * 2005-06-14 2009-05-26 뉴 벤트 디자인스, 인크 젖병 조립체
US8757406B2 (en) * 2005-10-26 2014-06-24 New Vent Designs, Inc. Fully vented wide rim nursing bottle
US8801689B2 (en) 2007-08-01 2014-08-12 Hospira, Inc. Medicament admixing system
US8146759B2 (en) * 2009-01-21 2012-04-03 New Vent Designs, Inc. Fully vented wide rim nursing bottle with canted vent tube
US8721612B2 (en) 2010-12-17 2014-05-13 Hospira, Inc. System and method for intermixing the contents of two containers
EP3295919A1 (en) 2011-10-03 2018-03-21 Hospira, Inc. System and method for mixing the contents of two containers
ES2562333B1 (es) * 2013-05-29 2017-10-16 Aptargroup, Inc., Cierre con tapa y membrana extraíble
ES2725880T3 (es) 2013-05-29 2019-09-30 Aptargroup Inc Cierre con tapa y membrana extraíble
US11059633B2 (en) 2019-10-31 2021-07-13 Cheer Pack North America Flip-top closure for container
EP4103485A1 (en) * 2020-02-13 2022-12-21 West Pharmaceutical Services, Inc. Containment and delivery systems for cryogenic storage

Family Cites Families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34739A (en) * 1931-06-18 1936-03-24 Lydia B Koch Paper cap for bottles
US2040798A (en) * 1934-06-05 1936-05-12 Schoonmaker Carl Telltale closure device
US2723041A (en) * 1951-04-09 1955-11-08 Hart-Still Sydney Charles Closure for bottles and other containers
US3047178A (en) * 1958-06-24 1962-07-31 Baxter Laboratories Inc Closure system
US3434620A (en) * 1966-03-10 1969-03-25 American Flange & Mfg Frangible plastic closure
US3394831A (en) * 1966-06-13 1968-07-30 American Hospital Supply Corp Apparatus for storing and handling parenteral liquids and method for opening same
US3465910A (en) * 1967-10-02 1969-09-09 Owens Illinois Inc Container closure having integral strip opening means
US3509879A (en) * 1967-11-24 1970-05-05 American Hospital Supply Corp Parenteral liquid container having frangible part structure
ZA72496B (en) * 1971-03-03 1972-09-27 Baxter Laboratories Inc Tamperproof and reusable sterile closure assembly
US3981412A (en) * 1971-03-29 1976-09-21 Asmus Richard W Container closure
US3923183A (en) * 1973-03-07 1975-12-02 American Hospital Supply Corp Container for medical liquid with separable outer and inner closures
US3915212A (en) * 1973-12-10 1975-10-28 Abbott Lab Flexible medical fluid container having a combined fill and administration port and reinforced hanger
NL7413077A (nl) * 1974-10-03 1976-04-06 Leer Koninklijke Emballage Houder met schroefdop.
US3940802A (en) * 1975-01-24 1976-03-02 The Green Cross Corporation Medical appliance made of plastic
US3946891A (en) * 1975-04-07 1976-03-30 Picoy Anthony R Safety cap for pressurized bottles
US3999678A (en) * 1975-12-01 1976-12-28 Sobrefina Sa Closing arrangement for packing containers
US4187893A (en) * 1978-07-19 1980-02-12 Abbott Laboratories Combined additive and administration port for a container
JPS5841964Y2 (ja) * 1979-05-18 1983-09-22 テルモ株式会社 プラスチック製薬液容器
US4303067A (en) * 1980-01-21 1981-12-01 American Hospital Supply Corporation Medical liquid bag having an improved additive port
US4344545A (en) * 1981-04-13 1982-08-17 The Continental Group, Inc. Pilferproof closure with mechanical interlock
US4344472A (en) * 1981-04-13 1982-08-17 Abbott Laboratories Pull tab tear cap for container port
JPS5886173A (ja) * 1981-11-16 1983-05-23 東洋製罐株式会社 輸液用容器の栓及びその製造方法
US4614267A (en) * 1983-02-28 1986-09-30 Abbott Laboratories Dual compartmented container
US4442949A (en) * 1983-03-21 1984-04-17 American Flange & Manufacturing Co. Inc. Tear open closure assembly
US4523691A (en) * 1983-04-08 1985-06-18 Abbott Laboratories Port structure for I.V. container
US4506807A (en) * 1983-04-13 1985-03-26 Anderson James Y Powder dispensing container for dripless assembly to and disassembly from a flame spraying torch
US4601704A (en) * 1983-10-27 1986-07-22 Abbott Laboratories Container mixing system with externally mounted drug container
AU581188B2 (en) * 1983-11-17 1989-02-16 Visy Industrial Plastics Pty Ltd Closure means and parts thereof
US4606734A (en) * 1984-02-22 1986-08-19 Abbott Laboratories Container mixing system with externally mounted drug container
IE57676B1 (en) * 1984-03-19 1993-02-24 Abbott Lab Drug delivery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3687410T2 (de) 1993-05-27
DK591486A (da) 1987-06-10
IE863213L (en) 1987-06-09
GR862658B (en) 1987-03-03
AU6604486A (en) 1987-06-11
ATE83916T1 (de) 1993-01-15
IE59592B1 (en) 1994-03-09
IL80321A0 (en) 1987-01-30
NZ218161A (en) 1990-07-26
CA1268143A (en) 1990-04-24
ZA867825B (en) 1988-03-30
US4757911A (en) 1988-07-19
DE3687410D1 (de) 1993-02-11
IL80321A (en) 1991-12-12
EP0225468A2 (en) 1987-06-16
JP2578592B2 (ja) 1997-02-05
EP0225468B1 (en) 1992-12-30
EP0225468A3 (en) 1988-10-05
KR870005879A (ko) 1987-07-07
DK591486D0 (da) 1986-12-09
JPS62137056A (ja) 1987-06-19
AU602318B2 (en) 1990-10-11
ES2003589A6 (es) 1988-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50010675B1 (ko) 용기와 덮개의 구조
US4640424A (en) Self-opening nipple construction and nursing container
US5114421A (en) Medicament container/dispenser assembly
US6012596A (en) Adaptor cap
US6485479B1 (en) Sterile connector
EP3656694B1 (en) Connecting and container system with inclined frangible line
US6959812B2 (en) Filter package
AU2016279559B2 (en) Connecting and container system
JPH09104451A (ja) 袋状容器用の注入排出口システム
US4240481A (en) Seal for flexible container having flexible, generally conical portions
ES2745278T3 (es) Dispositivo de taponamiento para permitir una retirada de una pequeña cantidad de una composición, conjunto de envasado que comprende tal dispositivo de taponamiento, procedimientos de retirada de una pequeña cantidad y de envasado
JPH0113859B2 (ko)
US3978859A (en) Closure member for pierceable access ports
AU771466B2 (en) Membrane port for a container
US4305443A (en) Seal for flexible container having flexible, generally conical portions
US4872872A (en) Medicament container/dispenser assembly
AU2016279560C1 (en) Connecting and container system
WO1997026941A1 (en) Double seal cap
JPS59139269A (ja) 医療用コネクタ−
JPH0415219Y2 (ko)
EP1122185A2 (en) Cap for container
JP4365948B2 (ja) 輸液バッグ
JPH054835Y2 (ko)
JPH06111Y2 (ja) 輸液用プラスチック容器
EP0176568A1 (en) Self-opening nipple construction and nursing contai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719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