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10433Y1 - 입체 교차시설물 - Google Patents

입체 교차시설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10433Y1
KR950010433Y1 KR2019930009749U KR930009749U KR950010433Y1 KR 950010433 Y1 KR950010433 Y1 KR 950010433Y1 KR 2019930009749 U KR2019930009749 U KR 2019930009749U KR 930009749 U KR930009749 U KR 930009749U KR 950010433 Y1 KR950010433 Y1 KR 95001043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ad
roads
lanes
vehicle
ent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0974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20774U (ko
Inventor
임명출
Original Assignee
임명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명출 filed Critical 임명출
Priority to KR2019930009749U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10433Y1/ko
Publication of KR94002077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2077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1043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0433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00Design or layout of roads, e.g. for noise abatement, for gas absorption
    • E01C1/04Road crossings on different levels; Interconnections between roads on different level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00Design or layout of roads, e.g. for noise abatement, for gas absorption
    • E01C1/002Design or lay-out of roads, e.g. street systems, cross-sections ; Design for noise abatement, e.g. sunken ro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입체 교차시설물
제1도는 본 고안의 입체 교차시설물을 네거리에 적용한 상태의 실시예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일부를 절결하여 나타낸 일실시예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입체 교차시설물의 예시평면도.
제4a,b,c도는 본 고안의 입체교차 시설물에서의 차량진입출 상태를 나타낸 예시평면도로서,
(a)도는 각 도로에서 제1방향 진행유도로를 따라 인접한 우측도로로 우회전하여 진행하는 차량진행방향을 도시한 예시도.
(b)도는 각 도로에서 제2방향 진행유도로를 따라 대향된 도로로 직진하여 진행하는 차량진행방향을 도시한 예시도.
(c)도는 각 도로에서 제2방향 진행유도로를 거쳐서 연계된 제3방향 진행유도로를 따라 좌측편에 인접한 도로로 좌회전하여 진행하는 차량진행방향을 도시한 예시도.
제5도는 보행자 통행로의 보행자 통행방법을 나타낸 예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200,300,400 : 도로
110,210,310,410 : 제1방향 진행유도로
111,121,131,211,221,231,311,321,331,411,421,431 : 진입차선
112,122,132,212,222,232,312,322,332,412,422,432 : 진출차선
120,220,320,420 : 제2방향 진행유도로
130,230,330,430 : 제3방향 진행유도로
500 : 중앙통행 공간부 510,520,530,540 : 보행자 통행로
본고안은 교통량이 빈번한 도심지에서 여러방향의 도로가 교차하는 네거리(통상 십자로(十字路)라 칭하는 네거리)등의 교차지점에 설치하여서 교차지점을 통과하는 통행차량이 교차로에서 정체됨이 없이 원활한 소통을 하도록 구성한 입체교차 시설물에 관한 것으로, 여러 방향의 도로에서 교차시설물로 진입하여 원하는 방향으로 진출진행하는 각 방향의 차량이 인접한 도로(좌우측 방향에 위치한 도로) 또는 대향된 도로 등의 다른 도로에서 진입하거나 진출하기 위하여 진행하는 타 차량과 평면상에서 교차하거나 저촉하지 않으면서 각 방향으로 유도진행할 수 있도록 일정한 도폭의 차선을 유지하며 분리 형성된 각 진입출 방향의 진행유도로를 따라서 원활히 소통을 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입체교차 시설물 하부에 대각선상으로 동굴상의 보행자 횡단 통행로를 함께 구축하므로서 각종 육교나 횡단보도의 교통신호장치등의 값비싼 시설물이 불필요할 뿐만 아니라, 교차로에서의 차량 정체 시간이 전혀 없으며, 차량간의 접촉사고등의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산업상의 이용가치가 큰 입체 교차시설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종래에도 여러 방향의 도로가 교차하는 네거리등의 교차지점에서 차량의 원활한 소통을 위하여 설치하는 여러 종류의 입체 교차시설물이 안출되어 사용되었으나, 그 대부분의 시설물은 여러 방향의 도로에서 진입한 각 차량의 교차시설물, 예를 들면 평면상의 로터리부에서 통상적으로 역시계 방향으로 회전(진행방향상 우회전)하면서 원하는 진출 방향의 도로로 진행유도 되도록 구성되었기 때문에 인접한 도로 즉, 우측편에 위치한 인접도로 또는 대향방향의 도로에서 진입하는 차량과 평면상으로 교차하게 되어 교차진행시 접촉사고등의 안전사고가 발생할 위험요소가 있었으며, 또한 교차하기 위해 타차량의 진행시간 동안 대기하는 경우에 상호 저촉됨으로 인한 차량 소통에 지장을 받게 되므로서 교차시설물의 평면상 로터리에서 극심한 교통정체 현상을 일으킴은 물론, 많은 차량이 교차시설물의 로터리에서 체류하는 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교차로 내에서 차량소통이 원활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또한, 입체교차 시설물의 경우에도 통상 평면적으로 구성되었기 때문에 상기 평면상의 로터리부에서와 동일한 문제점이 있게 되어 교차로내에서 차량의 원활한 소통을 기대할 수 없었으며, 특히, 로타리의 사방진입로나 로타리의 지하에 보행자를 위한 지하통로나 육교 및 횡단보도를 반드시 설치하거나 별도의 교통신호장치를 필요로 하므로서 비경제적이고도 비효율적인 교차로의 교통란이 초래되었던 것이다. 본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들을 해결 보완하여서 네거리등의 교차지점의 각 방향에서 진입하는 차량이 원하는 진출방향의 도로로 진행할때 인접도로 또는 대향도로에서 진입하는 차량과의 교차나 저촉됨이 전혀없이 각각 구분 형성되어 충분한 차선폭을 유지하도록 콘크리트 몰탈이나 철구조물의 나선형 단층 구조물로서 입체적으로 형성된 각 진입출 방향의 진행 유도로를 따라서 원할하게 진행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원활한 차량진행을 위해 나선형 진행유도로 하부에 대각선상의 보행자통로를 함께 구성한 입체교차 시설물을 제공하고자 함에 고안의 목적이 있는 것으로, 본고안에 앞선 본출원인의 선출원인 실용신안등록출원 제93-2012호 및 제93-8025호의 결점인 일부 교차 및 저촉현상을 해소할 수 있도록 진행유도로를 개량시킨 것이다.
본고안의 기술내용을 네거리로 형성된 교차지점에 적용시킨 일실시예로서 나타낸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은 본고안의 입체 교차시설물을 네방향의 도로가 교차하는 네거리에 설치하는 경우를 예시한 일실시 예시도로서, 제1도는 본고안의 입체 교차시설물을 전체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제2도는 콘크리트 몰탈로 축조한 시설물의 일부를 절결하여 나타낸 예시도이며, 제3도는 입체 교차시설물의 예시평면도로서 차량이 진입하는 진입도로의 인접도로 즉, 진입한 다음 바로 우회전하여 진행할 수 있는 인접방향의 제2도로와 직진 및 좌회전 진행의 제3 및 제4의 도로로 진행할 수 있도록 구분하여 분리 형성한 나선형 제1∼제3방향 진행 유도로를 평면적으로 나타낸 예시도이며, 제4도는 각 도로에서 진입하여 진출방향으로 진행하는 차량이 인접도로 또는 대향도로에서 진입하여 진행하는 차량과의 교차나 저촉됨이 없이 제1 내지 제3방향 진행유도를 따라서 진출하고자 원하는 방향으로 유도진출하는 진행상태의 설명을 위한 교차시설물의 예시평면도로서, (a)도는 각 진입도로에서 진입하여 인접한 우측도로(우회전방향)로 진행하는 경우이고, (b)도는 진입도로와 대향된 대항도로(직진방향)로 진행하는 경우이며, (c)도는 인접한 좌측도로(좌회전방향)로 진행하는 차량진행 방향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즉, 제1도 및 제2도와 같이, 교차지점의 각 방향에 위치하는 인접도로(100)(200)(300)(400)의 진입차선(111)(121)(131), (211)(221)(231), (311)(321)(331), (411)(421)(431)으로 진입하는 차량이 진행하고자 하는 진출방향으로 우회전하거나 직진 또는 좌회전하여 진행할때 진입도로의 인접도로 또는 대향도로에서 진입하거나 진출하기 위하여 유도 진행하는 타 차량과 평면상에서 교차하거나 저촉하지 않으면서 원하는 각 방향으로 유도 진행하도록 콘크리트 몰탈이나 철구조물 등으로 성형 축조된 나선형 단층구조물로서 옹벽체(벽체)를 갖는 입체 교차시설물을 형성하되, 각 도로(100)(200)(300)(400)의 진입차선(111)(121)(131), (211)(221)(231), (311)(321)(331), (411)(421)(431)으로 진입하는 차량이 각각의 진행방향인 제1진행방향(우회전방향)과 제2진행방향(직진방향)및 제3진행방향(좌회전방향)으로 구분하여 차량의 진행을 유도하도록 일정한 경사도와 높낮이를 갖는 나선형 도로로서 입체적으로 제1방향 진행유도로 (110)(210)(310)(410)와 제2방향 진행유도로 (120)(220)(320)(420) 및 제3방향 진행유도로 (130)(230)(330)(430)를 따라서 각 입출방향에 위치하는 각 도로(100)(200)(300)(400)의 진출차선(412)(322)(232), (112)(422)(332), (212)(122)(432), (312)(222)(132)을 통하여 원하는 진출방향의 도로(100)(200)(300)(400)로 원활하게 유도 진출하여 계속 진행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제2∼3방향 진행유도로 (130)(230)(330)(430)는 제1방향 진행유도로(110)(210)(310)(410)보다 그 높이가 높은 일체의 옹벽체로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교차시설물이다.
상기 입체 교차시설물의 제1내지 제3방향 진행유도로를 형성함에 있어서, 우회전방향인 제1방향 진행유도로(110)(210)(310)(410)는 제2내지 제3방향 진행유도로 보다 낮게 형성하여 각 도로(100)(200)(200)(400)의 진입차선(111)(211)(311)(411)과 진입방향의 우측편에 인접한 각도로 (200)(300)(400)(100)의 진출차선(112)(212)(312)(412)을 연결하여 진입차량이 진행방향에서 우회전방향으로 진출진행하도록 형성하고, 직진방향인 제2방향 진행유도로 (120)(220)(320)(420)는 각 도로 (100)(200)(300)(400)의 진입차선 (121)(221)(321)(421)과 진입방향의 대향된 각 도로 (300)(400)(100)(200)의 진출차선(122)(222)(322)(422)을 연결하여 진입차량이 진행방향에서 직진방향으로 진출 진행하도록 형성하고, 제3방향 진행유도로 (130)(230)(330)(430)는 각 도로 (100)(200)(300)(400)의 진입차선(131)(231)(331)(431)과 진입방향의 좌측편에 인접한 각 도로 (400)(100)(200)(300)의 진출차선(132)(232)(332)(432)을 연결하여 진입차량이 진행방향에서 좌회전 방향으로 진행하도록 형성하되, 각 진행유도로 (110)(210)(310)(410), (120)(220)(320)(420), (130)(230)(330)(430)는 인접도로 또는 대향도로에서 진입하는 차량 또는 진출하기 위해 유도 진행하는 차량과의 저촉됨이 없이 원하는 각 방향으로 유도진행하므로서 원활한 차량 소통이 이루어지도록 입체적인 나선형 진행유도를 형성하여서 구성함을 특징을 하는 것이다.
상기 우회전방향인 제1방향 진행유도로(110)(210)(310)(410)는 교차시설물의 외주연을 따라 위치하며 인접도로와 역시계 방향으로 연결형성되고, 상기 제2방향 진행유도로 (120)(220)(320)(420)와 제3방향 진행유도로 (130)(230)(330)(430)는 상기 제1방향 진행유도로 (110)(210)(310)(410)의 내측부에 위치하면서 역시계 방향으로 나선형을 이루도록 각 진입차선(121)(221)(321)(421), (131)(231)(331)(431)으로부터 시작하여 대향된 직진방향의 도로 (300)(400)(100)(200)의 진출차선 (122)(222)(322)(422) 및 인접한 좌회전 방향 도로 (400)(100)(200)(300)의 진출차선 (132)(232)(332)(432)을 향하여 점진적으로 나사형을 이루면서 경사져서 오르다가 내려가는 형상으로 연결형성되어 있으며, 각각의 도로 (100)(200)(300)(400)의 사이에 위치하는 일체의 옹벽체로서 단층구조인 입체 교차시설물인 상기각 제1내지 제3방향 진행유도로 (110)(120)(130)(420)(430)(330), (210)(220)(230)(120)(130)(430), (310)(320)(330)(220)(230)(130), (410)(420)(430)(320)(330)(230)의 하부에는 제3도 및 제5도와 같이 대각선 상으로 동굴상의 보행자 통행로(510)(520)(530)(540)를 각각 형성하여서 교차시설물의 중심부에 형성된 중앙통행공간부(500)와 관통 연결되도록 형성하므로서 보행자가 원하는 각사 방향으로 자유롭게 진입출하여 통행할 수 있도록 형성하여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고안은 그 실시에 있어서 각 진입차선 (111)(211)(131), (211)(221)(231), (311)(321)(331), (411)(421)(431)과 각 진출차선 (232)(322)(412), (332)(422)(112), (432)(122)(212), (132)(222)(312)의 차선폭과 차선수의 형성에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차량의 소통량과 도로의 여건에 따라 적절하게 차폭은 물론 여러개의 차선으로 조정하여 구성할 수 있는 것일 뿐 아니라, 각 진입차선과 진출차선을 공용한 경우에도 나선형의 진행유도로만 구분하여 분리 형성한다면 차선의 구분에 상관이 없으며, 또한 본고안의 입체교사시설물의 폭과 높이는 각 보행자 통행로(510)(520)(530)(540)의 상측부로 형성되어 차량이 통행할 수 있고, 각 방향진행 유도로가 서로 구분되게 분리형성되면서 입체적으로 나선형을 이루도록 형성하는 범위내에서는 특별히 한정됨이 없는 것이다.
본고안의 입체 교차시설물을 이용한 차량의 진행상태와 그 작용효과를 첨부도면 제4도를 참조하여 일실시예로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각 도로(100)(200)(300)(400)의 진입차선(111)(211)(131), (211)(221)(231), (311)(321)(331), (411)(421)(431)으로 진입하는 차량을 우회, 직진, 좌회로서 각각 (A)(B))(C), (D)(E)(F), (G)(H)(I), (J)(K)(L)이라고 가정할 때, (A)(D)(G)(J) 우회차량은 제1방향 진행유도로 (110)(210)(310)(410)를 따라 입체 교차시설물의 최외곽부 보행자 통행로(510)의 입구상측으로 진행하여 각 도로 (200)(300)(400)(100)의 진출차선(112)(212)(312)(412)으로 진출하면서 우회전방향으로 원활한 진행을 할 수 있으며, (B)(E)(H)(K) 직진차량은 제2방향 진행유도로 (120)(220)(320)(420)를 따라 상승 하강하는 경사고도로 진행하여 각 도로(300)(400)(100)(200)의 진출차선(122)(222)(322)(422)으로 진출하면서 직진방향으로 원활한 진행을 할 수 있고, (C)(F)(I)(L) 좌회차량은 상기 제2방향 진행유도로 (120)(220)(320)(420)와 연계하여 분리 형성된 제3방향 진행유도로 (130)(230)(330)(430)를 따라 경사지게 오르다가 좌회하강하는 경사고도로 진행하여 각 도로 (400)(100)(200)(300)의 진출차선 (132)(232)(332)(432)으로 진출하면서 죄회전방향으로 원활하게 연속 진행을 할 수 있는 것이다.
본고안의 입체 교차시설물은 상술한 바와 같이 각 도로의 진입차선으로 진입한 차량의 원하는 방향의 도로로 진출하여 진행할 수 있도록 또는 직진 및 죄회전 방향에 위치한 각 방향의 도로와 연결된 제1방향 진행유도로와 나선형의 제2및 제3방향 진행유도로가 각각 입체적으로 구분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진행 유도로 중에서 제2 및 제3방향 진행유도로는 진행방향의 도로에 가까워짐에 따라 점차적으로 내향되는 위치에 차선이 위치하도록 나선형상으로 형성되면서 교차시설물의 외주연에서부터 중심부분 즉, 사방의 보행자 통행로(510)(520)(530)(540)가 합쳐지는 중앙 통행공간부(500)측으로 제1, 제3, 제2방향 진행유도로가 순차적으로 구분형성되므로서 각 유도로를 따라 진행하는 차량이 각 도로의 진입차량이나 타 유도로를 따라 진행하는 차량과의 교차는 물론, 상호 저촉되거나 정체됨이 없이 원활하게 진행하게 되어 교차로에서의 차량 정체현상을 해소하고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이며, 특히, 본원고안은 입체 교차시설물의 상측으로 각기 분리된 좌, 우방 및 직진으로 주행하는 주행로가 형성됨과 동시에 그 하부에 중앙 통행 공간부(500)를 중심으로 동굴상의 통행로(510)(520)(530)(540)가 각 사방으로 관통된 일체의 구조로 되어 있어서 차량의 정체현상 없는 진행과 차량진행에 전혀 지장없이 보행자들의 안전한 도로횡단을 동시에 배려한 장점으로 인하여 종래와 같은 고가의 전자식 교통신호장치의 설치나 육교 및 횡단보도등이 불필요하며, 콘크리트 또는 철재시설물로서 본고안의 입체 교차시설물을 구성하는 경우에 저렴한 시공 설치비로서 간편하게 시공 설치할 수 있는 시공상의 편리함과 견고성 및 사후유지관리가 거의 필요없는 편리함은 물론, 이러한 입체 교차시설물은 도심지의 기존 사거리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어 경제성과 산업상 이용가치가 매우 크고 실용적이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3)

  1. 교차지점의 각 방향에 위치하는 도로 (100)(200)(300)(400)의 진입차선 (111)(121)(131), (211)(221)(231), (311)(321)(331), (411)(421)(431)으로 진입하는 차량이 진행하고자 하는 진출 방향으로 우회전하거나 직진 또는 좌회전하여 진행할때 진입도로의 인접도로 또는 대항도로에서 진입하거나 진출하기 위하여 유도 진행하는 타 차량과 평면상에서 교차하거나 저촉하지 않으면서 원하는 각 방향으로 유도 진행하도록 콘크리트 또는 철제구조물로 입체교차 시설물을 형성하되, 각 도로 (100)(200)(300)(400)의 진입차선(111)(121)(131), (211)(221)(231), (311)(321)(331), (411)(421)(431)으로 진입하는 차량이 각각의 진행방향인 제1진행방향(우회정방향)과 제2진행방향(직진방향) 및 제3진행방향(좌회전방향)으로 구분하여 차량의 진행을 유도하도록 입체적으로 형성된 제1방향 진행유도로 (110)(210)(310)(410)와 제2방향 진행유도로 (120)(220)(320)(420) 및 제3방향 진행유도로 (130)(230)(330)(430)를 따라서 각 진입출 방향에 위치하는 각 도로 (100)(200)(300)(400)의 진출차선 (412)(322)(232), (212)(122)(432), (312)(222)(132)을 통하여 원하는 진출방향의 도로(100)(200)(300)(400)로 원할하게 유도진출하여 계속 진행할 수 있도록 제1내지 제3방향 진행유도로를 일체로된 옹벽체의 나선형 단층구조물로 형성하여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교차시설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방향 진행유도로 (110)(210)(310)(410)는 각 도로 (100)(200)(300)(400)의 진입차선(111)(211)(311)(411)과 진입방향의 우측편에 인접한 각 도로 (200)(300)(400)(100)의 진출차선(112)(212)(312)(412)을 연결하여 진행방향에서 우회전 방향으로 진출진행하도록 형성하고, 제2방향 진행유도로 (120)(220)(320)(420)는 각 도로(100)(200)(300)(400)의 진입차선(121)(221)(321)(421)과 진입방향의 대향된 각 도로 (300)(400)(100)(200)의 진출차선 (122)(222)(322)(422)을 연결하여 진행방향에서 직진방향으로 진출 진행하도록 형성하고, 제3방향 진행유도로 (130)(230)(330)(430)는 각 도로(100)(200)(300)(400)의 진입차선 (131)(231)(331)(431)과 진입방향의 좌측편에 인접한 각 도로 (400)(100)(200)(300)의 진출차선(132)(232)(332)(432)을 연결하여 진행방향에서 좌회전 방향으로 진행하도록 형성하여서, 인접도로는 대향도로에서 진입하는 차량 또는 진출하기 위해 유도진행하는 차량과의 저촉됨이 없이 원하는 각 방향으로 유도진행하므로서 원활한 차량 소통이 이루어지도록 입체적인 나선형 진행유도로를 형성하여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교차시설물.
  3. 제1항에 있어서, 각 사방으로 제1방향 진행유도로 (110)(210)(310)(410)와 제2방향 진행유도로 (120)(220)(320)(420) 및 제3방향 진행유도로 (130)(230)(330)(430)를 형성하는 일체로된 옹벽체의 나선형 단층구조물의 하부 중앙에 중앙통행 공간부(500)를 형성하고, 이를 중심으로한 대각선상으로 동굴상의 보행자 통행로(510)(520)(530)(540)를 일체로 관통 연결되게 형성하여 원활한 차량통행과 보행자의 횡단통행을 아무런 저촉없이 동시에 이루어지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교차시설물.
KR2019930009749U 1993-02-15 1993-06-05 입체 교차시설물 KR95001043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09749U KR950010433Y1 (ko) 1993-02-15 1993-06-05 입체 교차시설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3-2012 1993-02-15
KR930002012 1993-02-15
KR93-8025 1993-05-14
KR930008025 1993-05-14
KR2019930009749U KR950010433Y1 (ko) 1993-02-15 1993-06-05 입체 교차시설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20774U KR940020774U (ko) 1994-09-17
KR950010433Y1 true KR950010433Y1 (ko) 1995-12-13

Family

ID=708464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09749U KR950010433Y1 (ko) 1993-02-15 1993-06-05 입체 교차시설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10433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00251122A1 (en) * 2000-06-07 2001-12-17 Soo Haeng Lee Multi-layer road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20774U (ko) 1994-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10243657A1 (en) Nonstop traffic system using half (1/2) cloverleaf and traffic method applied with the same
US4630961A (en) Traffic intersection
US1784728A (en) Transit apparatus
US20070189851A1 (en) Full interchange urban road system and the traffic method of using it
US7473050B2 (en) Single-layer interchange overpass
JPS58131203A (ja) ダウンタウンにおける二重構造h形ノンストツプフリ−ウエイ
KR0146403B1 (ko) 논스톱 교차로 시스템
KR20010090092A (ko) 교통흐름이 원활한 삼거리교차로 시스템
KR100996931B1 (ko) 교차로 시스템
US4861184A (en) Continuous flow cloverleaf type interchange
KR20120005894A (ko) 복층구조 지하도로의 입체교차로
US1981361A (en) Crossing structure
US20060216111A1 (en) Two-level continuous flow crossroad and construction method and prefabricated parts thereof
KR950010433Y1 (ko) 입체 교차시설물
KR20040110407A (ko) 교차로시스템
CN110485226A (zh) 城市十字路口无红绿灯全方向无障碍通行立交桥
KR102246680B1 (ko) 교차로 통행 체계
KR100519402B1 (ko) 다방면 입체교차로 구조
CN211472000U (zh) 城市十字路口无红绿灯全方向无障碍通行立交桥
CN103437257A (zh) 通行无障碍十字路口
CN1378017A (zh) 一种新型城市公路立交桥
CN1065014C (zh) 微型立体交叉系统
CN111058341A (zh) 一种城市路段的非机动车交通优化系统
RU2379404C2 (ru) Строительный комплекс
Thai Van et al. Design of roundabouts in France: Historical context and state of the ar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