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10290Y1 - 유아용 한글 학습교재 - Google Patents

유아용 한글 학습교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10290Y1
KR950010290Y1 KR2019930006300U KR930006300U KR950010290Y1 KR 950010290 Y1 KR950010290 Y1 KR 950010290Y1 KR 2019930006300 U KR2019930006300 U KR 2019930006300U KR 930006300 U KR930006300 U KR 930006300U KR 950010290 Y1 KR950010290 Y1 KR 95001029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cture
learning
sign
board
magnet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0630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25412U (ko
Inventor
김창겸
Original Assignee
김창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창겸 filed Critical 김창겸
Priority to KR2019930006300U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10290Y1/ko
Publication of KR94002541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2541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1029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0290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00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 G09B1/02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and having a support carrying or adapted to carry the elements
    • G09B1/04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and having a support carrying or adapted to carry the elements the elements each bearing a single symbol or a single combination of symbols
    • G09B1/06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and having a support carrying or adapted to carry the elements the elements each bearing a single symbol or a single combination of symbols and being attachable to, or mounted on, the support
    • G09B1/08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and having a support carrying or adapted to carry the elements the elements each bearing a single symbol or a single combination of symbols and being attachable to, or mounted on, the support by means of magne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00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 G09B1/32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comprising elements to be used without a special support
    • G09B1/38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comprising elements to be used without a special support the elements being connectible magnetical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oys (AREA)
  • Drawing Aids And Blackboard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유아용 한글 학습교재
제1도는 본 고안의 일부 절결한 1단계 학습예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2단계 학습예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3단계 학습예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1 : 얇은 철판 2 : 그림
3,33 : 부호 4 : 고무자석조각
22 : 그림이름 A : 문제판
B : 해답판
본 고안은 유아들의 용이한 한글 습득을 목적으로 하는 유아용 한글 학습교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그림 및 이 그림을 지칭하는 그림이름을 상호 일치하는 부호를 사용하여 자석 부착식으로 부착하는 1~3단계 교육 및 반복 교육을 통하여 유아들이 자연스럽게 한글을 숙지토록 한 것이다.
일반적인 유아들의 한글 학습방법은 주입식 내지는 반복쓰기 또는 동화책등을 읽어주는 암기식 등, 다소 피동적인 교육 방법으로서 유아들이 흥미를 가지고 스스로 그리고 자연스럽게 한글을 터득하기에는 극히 효과적인 학습수단이 되지는 못한다.
본 고안의 출원인은 상기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전술한 바와 같은 그림 및 그림이름을 상호 일치된 부호를 이용하여 스티커식으로 붙여주는 3단계 학습교재의 유아용 한글학습교재를 선출원한 바 있다. (출원번호 93-4500호)
상기 본원인의 선출원 고안은 그림판에 부호가 부여된 그림 그리고 상기 그림부호와 일치하는 부호를 갖는 그림이름을 스티커식으로 구비하여 그림이름을 그림에 부착하는 1단계 학습, 또 이와는 반대로 그림을 그림이름에 부착하는 2단계 학습 및 각 부호를 배제한 상태에서 그림이름을 그림에 부착하는 3단계 학습을 통하여 유아들이 자연스럽게 한글을 습득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같은 선출원 고안은 스티커 부착식으로서 유아들이 스티커를 떼는데 어려움이 따르고 잘못 부착하였을 경우 이를 즉시 시정하는 데에도 시간이 지체되는 등 다소의 문제점이 노출되고 있으며 특히 하나의 단위교재를 반영구적으로 반복 사용할 수 없는 점도 지적되고 있다 .
본 고안은 이와같은 선출원 고안을 개량하여 용이한 부착 수단과 함께 즉시 수정이 가능하고 학습후 단위교재를 폐기하지 않고 장기간 반복 사용하는데 주안점을 두고 있다.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고안의 1단계 학습으로써 문제판(A)과 해답판(B)이 구비되며 이들은 공히 앞뒤면이 얇은 종이로 접착된 얇은 철판(1)(11)으로 구성된다.
문제판(A)에는 각각의 부호(3)를 갖는 그림(2)이 도시되며, 해답판(B)에는 상기 부호(3)와 일치되는 부호(33) 및 그림(2)을 지칭하는 이름, 즉 그림이름(22)을 갖는 고무자석조각(4)이 부착되어 있다.
이 고무자석 조각(4)의 상면은 얇은 종이가 접착되어 여기에 부호(33) 및 그림이름(22)이 기재되며, 또 이 고무자석 조각(4)은 해답판(B)에 이와 부합하는 형태로 요설된 홈(11')에 약간의 삽착이 이루어 지도록 함으로써 고무자석 조각(4)의 보관시 유동이 없도록 한다.
제2도는 본 고안의 2단계 학습으로써 제1도와는 반대의 구성이다.
즉, 문제판(A)에는 부호(33) 및 그림이름(22)을 기재하고 해답판(B)의 고무자석 조각(4)에는 부호(3) 및 그림(2)을 도시하여 된 것으로 1단계 학습의 역복습 기능을 갖는다.
그리고 제3도는 본 고안의 3단계 학습으로써 제1, 2도에서 부여된 부호(3)(33)를 배제하고 문제판(A)에는 그림(2)만, 그리고 해답판(B)의 고무자석 조각(4)에는 그림이름(22)만을 기재하여 된 것이다.
이와같은 본 고안의 학습방법은 다음과 같다.
제1단계 학습의 경우 제1도에서와 같이 유아들은 학습지시, 또는 스스로 문제판(A)에 부여된 부호(3)와 일치되는 부호(33)를 해답판(B)에서 찾아 그 고무자석조각(4)을 해답판(B)에서 분리한 다음 각 부호(3)(33)가 일치하는 그림(2) 상면에 스스로 부착케 하는 과정에서 그림이름(22)을 자연스럽게 확인하게 되므로 그 그림(2)에 대한 문자를 습득하게 된다.
그리고 제2도에서는 제1도의 1단계 학습과는 반대로서 그림(2)이 그려진 고무자석 조각(4)을 해답판(B)에서 떼내어 이에 부여된 부호(3)와 일치하는 그림이름(22)의 부호(33)를 찾아 부착시켜 줄때 그 그림(2)이 갖는 문자, 즉 그림이름(22)을 문제판(A)에서 확인하게 되므로 그 그림(2)에 대한 문자를 다시 역으로 복습하게 된다.
한편 제3도의 3단계 학습과정에서는 제1도와 동일한 구성을 취하되 상기 제1도 및 제2도에서 부여되고 있는 부호(3)(33)는 삭제한 상태이다.
즉 제1단계 및 제2단계 학습과정에서는 각각 일치되는 부호(3)(33)에 의존하여 그림(2)과 그림이름(22)을 일치시켜 문자를 습득케 하는 학습수단인바, 이와같은 학습과정에서 그림(2)과 부합하는 그림이름(22)을 어느정도 숙지한 상태가 되므로 제3단계 학습과정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부호(3)(33)에 의존하지 아니하고 습득된 그림이름(22)을 스스로 찾아 이와 일치되는 그림(2)에 부착시켜 주도록 하므로서 완전한 문자의 습득을 갖도록 한다.
본 고안은 상기한 1,2,3단계의 학습과정으로 약 5개의 한글단어를 숙지하게 되며, 이를 단위구성체로 하여, 이와 구성은 같되, 그림(2) 및 그림이름(22)의 내용을 달리하는 다수의 다른 단위구성체를 총체적으로 엮어 한 권의 유아용 학습교재로 제공된다.
특히 본 고안은 이와같은 1,2,3단계의 한글습득 학습교재를 제공함에 있어서, 문제판(A)과 해답판(B)은 공히 얇은 철판(1)(11)으로 구성되어 있고 그림(2) 또는 그림이름(22)을 갖는 고무자석조각(4)은 그 자력으로 인하여 문제판(A) 및 해답판(B)에 쉽게 접착 또는 분리할 수 있다.
이는 유아들이 학습과정에서 극히 용이하게 해답판(B)의 고무자석 조각(4)을 분리 할 수 있고 또 이를 문제판(A)에 쉽게 부착시켜 줄 수 있다.
특히 본 고안은 상기 고무자석조각(4)을 해답판(A)의 그림(2) 또는 그림이름(22)에 잘못 부착하였더라도 즉시, 그리고 쉽게 시정이 가능하며 각 단계의 학습이 완료되더라도 다음에 다시 반복으로 복습할 수 있어 교재의 반영구적 사용이 가능하다.

Claims (1)

  1. 문제판(A)과 해답판(B)을 구비하되 이들은 공히 얇은 종이로 접착된 얇은 철판(1)(11)으로 구성하고 문제판(A)에는 각각의 부호(3)가 부여된 그림(2)을 표시하는 한편, 해답판(B)에는 고무자석조각(4)을 구비하되 이 고무자석조각(4)에는 상기 부호(3) 및 그림(2)과 일치하는 부호(33) 및 그림이름(22)을 기재한 1단계 학습과, 그림이름(22)과 부호(33)는 문제판(A)에 또 그림(2)과 부호(3)는 고무자석조각(4)에 부여한 2단계 학습, 그리고 문제판(A)에는 그림(2)을, 고무자석조각(4)에는 그림이름(22)을 갖도록 하되 각 부호(3)(33)는 삭제한 3단계 학습과정의 유아용 한글 학습교재.
KR2019930006300U 1993-04-20 1993-04-20 유아용 한글 학습교재 KR95001029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06300U KR950010290Y1 (ko) 1993-04-20 1993-04-20 유아용 한글 학습교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06300U KR950010290Y1 (ko) 1993-04-20 1993-04-20 유아용 한글 학습교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25412U KR940025412U (ko) 1994-11-18
KR950010290Y1 true KR950010290Y1 (ko) 1995-12-08

Family

ID=193539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06300U KR950010290Y1 (ko) 1993-04-20 1993-04-20 유아용 한글 학습교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1029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3253A (ko) * 2017-09-21 2019-03-29 정인영 역사 체험용 브로마이드 타입 교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9717A (ko) * 2001-02-27 2002-09-05 이명우 장애인용 학습 교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3253A (ko) * 2017-09-21 2019-03-29 정인영 역사 체험용 브로마이드 타입 교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25412U (ko) 1994-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loom Helping All Children Learn Well in Elementary School--And Beyond.
MX9603594A (es) Dispositivo de aprendizaje interactivo con fonemas parlantes.
Kornhaber Howard Gardner 1943–
US4822283A (en) Semantic mapping device for teaching language skills
KR950010290Y1 (ko) 유아용 한글 학습교재
ATE174442T1 (de) Didaktisch-erzieherisches spielzeug für arithmetische grundoperationen, lesen und schreiben
KR200423325Y1 (ko) 퍼즐형 학습교구
Richgels Experimental reading with invented spelling (ERIS): A preschool and kindergarten method
US4664633A (en) Non-computer learning aid
KR200294647Y1 (ko) 한글학습장치
CN213424304U (zh) 一种幼教学习箱装置
KR950009107Y1 (ko) 어린이용 문자학습기
Quisenberry et al. Beginning Reading: A Stage-Structure Analysis
KR0137260Y1 (ko) 유아교육용 한글 학습교재
KR950009981Y1 (ko) 유아용 한글 학습교재
KR0123958Y1 (ko) 한글 익히기 교재
Hanover Handwriting comes naturally?
KR200310246Y1 (ko) 문자블록
Nemeth Teaching Meaningful Mathematics to blind and partially sighted children
JP3034618U (ja) 外国語の単語の習得用貼り付け式単語シール
KR200205203Y1 (ko) 학습용 합성수지판
JP3053705U (ja) 漢字学習用シール
KR20030062368A (ko) 색칠학습장
Serio Can't spell cat
CN2284429Y (zh) 数字、拼音学习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205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